KR20230108744A -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744A
KR20230108744A KR1020220003290A KR20220003290A KR20230108744A KR 20230108744 A KR20230108744 A KR 20230108744A KR 1020220003290 A KR1020220003290 A KR 1020220003290A KR 20220003290 A KR20220003290 A KR 20220003290A KR 20230108744 A KR20230108744 A KR 2023010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ata
electricity
energy storage
unit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499B1 (ko
Inventor
정경규
박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9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은,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를 도출하는 계통 운영부, 및 상기 도출된 전력 판매 단가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system bill using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전력 계통 운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국가경제산업 및 국민생활의 안정을 위해 안정적 전력공급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우리나라 전력 계통은 국가경제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는 국가 계획을 통해 재생 에너지 발전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다만, 재생 에너지의 가변성 및 간헐성과 같은 불안정성과 우리나라 전력계통의 취약한 주파수 안정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충 등과 같은 전력계통 확장계획의 경제성에 대한 논쟁도 함께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수급균형 및/또는 고품질의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전력계통 운영에 있어 각종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예비력(reserve) 확보 및 전력계통 전반의 장기적인 또는 단기적인 경제성 분석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기존에는 전력계통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기적인 운영비용의 추정 방법으로서 시계열 회귀분석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시계열 회귀분석 방식은 재생 에너지가 확대되고 온실가스,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제약들이 추가되는 등 전력계통이 확장해 나가는 상황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어 운영비용을 추정하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전력계통의 장기적인 운영비용 분석에 있어서 종래 단기적인 계통한계가격 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발전기기동정지계획(Unit Commitment) 방법을 적용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는 전력계통이 확장됨에 따라 증가하는 발전설비 대수와 비선형적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연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전력 수요 변동에 대비하여 주파수 주총을 위한 약 5% 주파수 변동을 막기 위해 감발운전 시행으로 최대운전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일 수요예측을 통한 피크전력 대비 예비 전력량 생산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등)를 흡수하기 위해 선로용량 공사 및 변전소 증설 공사 시행으로 과도한 전력계통이 구성되며 이를 위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발전소 및 변전소 부지 선정 과정에서 과도한 민원이 발생하고, 건설비용 및 시간이 장기간 소요되고 있다.
또한, 중요 고객에 대하여 다중 전원 공급을 위한 선로 추가 건설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1-0130488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의 급격한 출력변동을 완충하여 전력 품질 개선 및/또는 피크 부하 기여도를 재고할 수 있게 하는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여전력이나 저가 전력을 저장하여 최대수요나 집중 수요 시간대에 활용하여 피크 전력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요에 따른 전력 공급량의 조절로 예비 전력량을 감소시켜 발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은,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를 도출하는 계통 운영부; 및
상기 도출된 전력 판매 단가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는, 전력 판매 회사의 전기 요금 데이터, 전력 거래소 전력 구입 데이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구입 데이터, 및 선로 부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로 부하 데이터는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 및 연간 계절별 계통별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판매 단가의 최대값은 상기 전기 요금 데이터와 상기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대 피크 부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 동안, 다수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충전-방출 스케줄과 미리 설정되는 전기 요금 조견표에 따른 계절별 시간대별 부하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발생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전력 판매 단가는 전력거래소의 전력구입 SMP(System Marginal Price) 단가와 신재생 발전소로부터의 신재생 발전 전력구입 SMP 단가를 비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데이터 수신부가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계통 운영부가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를 도출하는 단계; 및 (c) 전력 공급부가 상기 도출된 전력 판매 단가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 발전기 감발운전의 목적인 주파수 추종을 대신함으로써 최대출력 운전으로 약 150만kW(5%)의 발전량 증가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신재생 에너지의 급격한 출력변동을 완충하여 전력 품질 개선 및/또는 피크 부하 기여도 재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잉여전력이나 저가 전력을 저장하여 최대수요나 집중 수요 시간대에 활용함으로써 피크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수요에 따른 전력 공급량 조절을 통해 예비 전력량를 감소시켜 발전 비용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국내 주요 건물(병원, 군부대 등)에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 무정전 전원 공급) 대신 설치하여 무게 및/또는 부피면에서 약 50% 감소, 수명은 약 1.5배에서 2배 증가로 갑작스런 상황에서도 이중전원으로써 대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초기 투자비용은 높으나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배출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계통 운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별 피크 부하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간 계절별 피크 컷(peak cut) 데이터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본 요금 부과 기준 결정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간 계절별 월별 공급예비율 분포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계통 운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통 운영 시스템(100)은, 발전원 블럭(110), 변전 블럭(120), 메인 예비 전력 저장 블럭(130), 보조 예비 전력 저장 블럭(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객(150,160)은 전력을 공급받는데, 제 1 고객(150)은 신재생 발전 전력을 공급받고, 제 2 고객(160)은 전통 발전 전력을 공급받는다. 물론,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변압기(미도시), 전력량계(미도시) 등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음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전원 블럭(110)은 발전소(111) 및 이 발전소(111)에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112)로 구성되며, 기저부하 발전소, 최대부하 발전소, 중간부하 발전소로 분류될 수 있다. 기저부하 발전소는 기저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로서 24시간동안 계속 운전하는 발전소를 말한다.
최대부하 발전소는 최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로서 수력/양수 발전소, 태양광 발전소, 풍력 발전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최대부하는 지정된 시간동안 설비들에 의해 소비되거나 생산된 부하이다. 중간부하 발전소는 기저부하와 최대부하의 중간부분의 전력을 담당하는 부하를 생산하며, 화력 발전소를 예로 들 수 있다.
변전 블럭(120)은 발전원 블럭(110)에서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배전 선로(D/L:Dstribution Line)를 통해 배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전 블럭(120)은 765kV, 345kV, 154kV 등으로 변전하는 변전소(121)로 구성된다. 메인 예비 전력 저장 블럭(130)은 발전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예비 전력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예비 전력 저장 블럭(140)은 메인 예비 전력 저장 블럭(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고객에 전력을 공급하는 예비 전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전력을 고객(16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200)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200)은,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0),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계통 운영부(220), 상기 도출된 최대값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전력 공급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전기 요금 데이터, 전력 거래소 전력 구입 데이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구입 데이터, 선호 부하 데이터 등의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
전기 요금 데이터는 연료비 조정 단가, 기후환경요금 등을 반영한 데이터이다. 또한, 선로 부하 데이터는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 연간 계절별 계통별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통 운영부(220)는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대값 도출은 미리 설정되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전력 판매 회사의 전기 요금 데이터와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분석하면 최대 피크 부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예를 들면, 9-10시, 12-13시, 14-15시) 동안,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실행되는 충전 방출 스케줄과 전기 요금 조견표에 따른 계절별 시간대별 부하량의 관계를 미리 프로그래밍화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발생하는 구간에 전력 판매 단가 최대값을 도출한다면 최대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부연하면, 최대값은 상기 전기 요금 데이터와 상기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대 피크 부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 동안, 다수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에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충전-방출 스케줄과 미리 설정되는 전기 요금 조견표에 따른 계절별 시간대별 부하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발생하는 구간이 된다. 즉,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구매한 구입단가 ≤ 고객판매단가로서, 구입단가가 낮은 전력부터 오름차순으로 판매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반영된다.
또한, 전력거래소(240)의 전력구입 SMP(System Marginal Pric; 계통한계가격) 단가와 신재생 발전소(250)로부터의 신재생 발전 전력구입 SMP 단가를 비교하여 최적의 수익이 높은 판매 시간대에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에서 충전과 방출을 통해 구매비용 절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신재생 발전 전력구입 SMP 단가는 PPA(Power Purchasement Agreement)에 의한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PPA는 전력생산자(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구매자(전기 사용자)가 사전 동의된 기간동안 사전 동의된 가격으로 전력 구매를 고정 계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력 공급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충전-방출 스케쥴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여 고객(26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력 공급부(230)는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EMS(Energy Management System), PCS(Power Conversion Syste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부(230)는 이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발전소에 연결하거나, 배전 선로상에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별 피크 부하 데이터의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7월과 8월 사이 구간(300)에 피크 부하율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이해를 위해 월별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도시하였으나, 이를 기반으로 더 상세하게 분석하면, 일별 시간대 부하율 데이터의 산출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간 계절별 피크 컷(peak cut) 데이터의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간대별, 일별, 년도별, 월별 부하가 표시된다. 11-12 시간대(410)의 경우, 약 809kW이고, 15-17 시간대(420)의 경우, 약 951kW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본 요금 부과 기준 결정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약 전력이 1,000kW인 경우, 최저 요금적용전력은 계약전력의 약 30%이다. 요금적용전력은 300kW에서 800kW까지 변동된다. 즉, 7월에는 300kW이고, 8월에는 750kW이고, 9월에는 600kW이다.
전력수급상황 및 정책방향을 반영한 부과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간 계절별 월별 공급예비율 분포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급 예비율(%)은 발전소 정비용량(kW)과 최대수요전력(kW)의 차이이다. 예비율은 계절에 관계없이 하향 평준화가 됨으로 상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름/겨울철 공급능력 극대화를 위해 봄/가을철 예방정비가 시행되고 있다. 즉, 봄/가을때 피크를 억제하여 예방 정비율을 증가시키고, 여름/겨울에 수급 안정을 도모한다. 일반적으로, 봄/가을철에도 공급 예비율은 5~7% 수준이다.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적정 공급 예비율은 10~12%수준이다.
따라서, 다음 표와 같이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현행 개선
*직전 1년간 7~9월분, 12~2월분
최대 Peak로 기본요금 부과
*단, 계약전력의 30%를 기준으로
최저 기본요금 부과
*직전 1년간 최대 Peak로 기본
요금 부과
*단, 계약전력의 10%를 기준으로
최저 기본요금 부과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계통 운영 시스템
110: 발전원 블럭
120: 변전 블럭
130: 메인 예비 전력 저장 블럭
140: 보조 예비 전력 저장 블럭
150,160: 고객
200: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210: 데이터 수신부
220: 계통 운영부
230: 전력 공급부
231,232,233: 제 1 내지 제 3 에너지 저장 장치

Claims (10)

  1.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0);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를 도출하는 계통 운영부(220); 및
    상기 도출된 전력 판매 단가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전력 공급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는, 전력 판매 회사의 전기 요금 데이터, 전력 거래소 전력 구입 데이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구입 데이터, 및 선로 부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부하 데이터는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 및 연간 계절별 계통별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판매 단가의 최대값은 상기 전기 요금 데이터와 상기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대 피크 부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 동안, 다수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에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충전-방출 스케줄과 미리 설정되는 전기 요금 조견표에 따른 계절별 시간대별 부하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발생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판매 단가는 전력거래소(240)의 전력구입 SMP(System Marginal Price) 단가와 신재생 발전소(250)로부터의 신재생 발전 전력구입 SMP 단가를 비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6. (a) 데이터 수신부(210)가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계통 운영부(220)가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판매 단가를 도출하는 단계; 및
    (c) 전력 공급부(230)가 상기 도출된 전력 판매 단가에 맞도록 다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의 충전과 방출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요금 관련 데이터는, 전력 판매 회사의 전기 요금 데이터, 전력 거래소 전력 구입 데이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구입 데이터, 및 선로 부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부하 데이터는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 및 연간 계절별 계통별 피크 부하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판매 단가의 최대값은 상기 전기 요금 데이터와 상기 선로부하 일별 시간대 피크 부하율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대 피크 부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 동안, 다수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31,232,233)에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충전-방출 스케줄과 미리 설정되는 전기 요금 조견표에 따른 계절별 시간대별 부하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수익성이 발생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판매 단가는 전력거래소(240)의 전력구입 SMP(System Marginal Price) 단가와 신재생 발전소(250)로부터의 신재생 발전 전력구입 SMP 단가를 비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방법.
KR1020220003290A 2022-01-10 2022-01-10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90A KR102631499B1 (ko) 2022-01-10 2022-01-10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90A KR102631499B1 (ko) 2022-01-10 2022-01-10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744A true KR20230108744A (ko) 2023-07-19
KR102631499B1 KR102631499B1 (ko) 2024-02-02

Family

ID=8742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90A KR102631499B1 (ko) 2022-01-10 2022-01-10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4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856A (ja) * 2002-04-08 2004-01-08 Enesaabu Kk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52467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운영방법
KR20140098369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전력공사 변동비 반영시장의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을 이용한 실시간 요금제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60028884A (ko) * 2014-09-04 2016-03-14 안대건 태양광 발전장치 및 전력저장장치가 구비된 전력공급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80023162A (ko) * 2016-08-25 2018-03-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0488A (ko) 2020-04-22 2021-11-0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계통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856A (ja) * 2002-04-08 2004-01-08 Enesaabu Kk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52467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운영방법
KR20140098369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전력공사 변동비 반영시장의 시간대별 계통한계가격을 이용한 실시간 요금제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160028884A (ko) * 2014-09-04 2016-03-14 안대건 태양광 발전장치 및 전력저장장치가 구비된 전력공급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80023162A (ko) * 2016-08-25 2018-03-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0488A (ko) 2020-04-22 2021-11-01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계통 운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499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reedharan et al. Microgrid and renewable generation integ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enholm et al. On the path to sunshot-emerging issues and challenges in integrating high levels of solar into the electrical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ystem
Begovic et al. Integration of photovoltaic distributed generation in the power distribution grid
Denholm et al. Impact of flexibility options on grid economic carrying capacity of solar and wind: three case studies
Zakeri et al. Economy of electricity storage in the Nordic electricity market: The case for Finland
Nikolakakis et al. A review of renewable investment and power system operational issues in Bangladesh
Myers et al. Assessment of high penetration of solar photovoltaics in Wisconsin
Darghouth Electricity bill savings from residential photovoltaic systems: sensitivities to changes in future electricity market conditions
Ferroni et al. Further considerations to: Energy Return on Energy Invested (ERoEI) for photovoltaic solar systems in regions of moderate insolation
Pina et al. A multiperiod multiobjective framework for the synthesis of trigeneration systems in tertiary sector buildings
Li et al. The dynamics of electricity grid operation with increasing renewables and the path toward maximum renewable deployment
Kim et al. Optimal capacity of shared energy storage and photovoltaic system for cooperative residential customers
Ciocia et al. Optimal size of photovoltaic systems with storage for office and residential loads in the Italian net-billing scheme
Brandeis et al. Analysis of electrical energy storage technologies for future electric grids
Lu et al. Duke energy photovoltaic integration study: Carolinas service areas
Trevizan et al. Valuation of behind-the-meter energy storage in hybrid energy systems
Gandhi et al. Levelised cost of PV integration for distribution networks
Tian et al. Coordinated RES and ESS Planning Framework Considering Financial Incentives Within Centralized Electricity Market
Gomes et al.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small-size residential solar PV+ battery systems under different tariff structures in Brazil
Lamadrid et al. The effect of stochastic wind generation on ramping costs and the system benefits of storage
KR20230108744A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계통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rdmann Economics of electricity
Shivakumar et al. Need for Flexibility and Potential Solutions
Chughtai et al. Planning for mitigation of variability in renewable energy resources using temporal complementarity
Mu et al. Risk-constrained multi-period planning for park-level integrated energy system based on CVaR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