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426A -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426A
KR20230108426A KR1020220003807A KR20220003807A KR20230108426A KR 20230108426 A KR20230108426 A KR 20230108426A KR 1020220003807 A KR1020220003807 A KR 1020220003807A KR 20220003807 A KR20220003807 A KR 20220003807A KR 20230108426 A KR20230108426 A KR 2023010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avatar
information
lif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변시섭
진재선
Original Assignee
(주)헬스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허브 filed Critical (주)헬스허브
Priority to KR102022000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426A/ko
Publication of KR2023010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정 사람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람이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서 건강관리를 수행하며, 상기 수행한 결과를 현실에서 자신의 건강관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METAVERSE PLATFORM FOR HEALTH MANAGEMENT BASED ON LIFE SEQUENCE}
본 발명은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사람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람이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분신)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다양한 행위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현실에서 자신의 건강관리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의료기술이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하고 있다. 각 개인이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거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각종 의료장비를 통해 측정한 혈액검사결과, 심전도, 각종 의료영상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정보는 전문적인 수치로 표시되기 때문에, 의학적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거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각 개인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때에는 각종 의료정보 이외에, 식생활이나 운동정보와 같이 개인의 생활패턴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필요하지만, 각 개인이 의료정보 및 자신의 생활패턴을 토대로 건강관리를 어떻게 수행하고 개선해 나아갈지 직접 결정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건강검진이나 진료를 받기 위해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진료 시간은 비교적 짧고 예약을 한다고 하더라도 대기해야하는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번거로운 실정이다. 즉, 복잡한 현대인의 생활 패턴과 바쁜 일정으로 인해서 자신의 건강관리를 원활하게 해나가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한편, 현실세계에서의 건강관리를 위한 생활이나 활동을 가상세계와 연결하여 분담하거나 대행할 수 있다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른바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의 건강관리에 대한 상당 부분을 대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시스템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메타버스(metaverse)라고 하는 것은, 가상이나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나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조어이다. 즉, 웹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하는 것처럼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상기 메타버스는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개념으로, 본 발명은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러나 아바타를 활용한 메타버스 시스템은 주로 사용자가 쇼핑을 수행할 때 이용되는 등 매우 제한된 범위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현실세계에서의 사용자의 생활패턴(예: 식사, 운동 등의 정보)이나 의료정보(예: 혈액검사결과, CT, MRI 영상 등)를 기반으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정보를 확인하고, 검진, 판독, 진료 등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지 않아도 되는 범위에서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현실세계의 자신에게 적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헬스케어와 관련된 분야에서 메타버스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개인이 자신의 라이프 시퀀스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건강정보를 체크함과 동시에 해당 건강정보를 현실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리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의 의료검사정보는 물론, 실생활과 연관된 운동정보, 식사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생성한 각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한 다양한 행위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현실의 개인에게 적용하여 건강관리를 더욱 더 넓고 깊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2423호(2015.10.07.)는 가상 병원 시스템, 가상 병원 생성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상 병원 시스템은 현실 병원 또는 주치의에 의해 관리되는 현실 본인들을 모사한 3D 프린팅 가상 본인들을 이용하여 현실 본인들에 대한 의료 행위, 정보 공유 및 원격 치료가 가능하도록 가상 병원을 제공하되, 현실 본인에 대하여 측정된 진료 정보가 3D 프린팅 가상 본인의 장기 위치 또는 진료 정보가 측정된 위치에 동기화되고, 3D 프린팅 가상 본인에 누적된 진료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와 현실 본인에 대한 DNA 정보, 섭생 및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 예측 및 치료 지도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2423호는 3D 프린팅 가상 본인을 이용하여 현실 본인에 대한 원격 진료 환경을 제공하고, 유비쿼터스 기술과 사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의료 생태계를 구축하여 3D 프린팅된 가상 본인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처한 건강 이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개인의 의료검사정보는 물론, 운동, 식사 등의 생활패턴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생성한 각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현실의 개인에게 적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2423호와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030350호(2019.10.10.)는 바이오 아바타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정보관리모듈, 상기 신체정보를 이용해 바이오 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바이오 아바타를 이용해 목표 아바타를 설정하고,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상기 바이오 아바타에 적용하는 서버모듈, 및 상기 바이오 아바타를 이용해 사용자의 목표 건강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모듈을 포함한 바이오 아바타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030350호는 사용자의 노화진행속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노화진행속도에 대응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바이오 아바타에 적용하는 서버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패턴을 고려함으로써, 사용자 건강상태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개인의 일생에 걸친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속성을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건강정보를 체크함과 동시에 해당 건강정보를 현실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리 정보에 적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030350호와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특정 사람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라이프 시퀀스를 통해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연계하여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아바타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상기 특정 사람의 건강관리를 수행한 결과를 현실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의료정보는 물론, 실생활과 연관된 운동정보, 식사정보 등을 해당 개인이 보유하거나 관련 시설에 구비된 각종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하여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라이프 시퀀스를 활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익명화한 상태에서 기록하고 관리하는 상황에서 가상공간의 아바타와 상기 아바타의 현실공간의 개인이 상호 동일한 라이프 시퀀스를 액세스하도록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은, 특정 개인의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 및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의 건강관리를 대행하는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공간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건강관리 결과를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개인의 현실공간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헬스데이터는,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정보,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의료정보;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식단정보, 운동정보, 수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는,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상기 특정 개인의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물리가상 동기화부;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아바타를 통해서 표시하는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활동을 구동하는 아바타 구동부; 및 상기 아바타의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는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아바타를 통한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상기 아바타의 외관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정 개인으로 하여금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는,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확인한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건강상태에 대한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계로 확인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크기, 표정, 움직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이나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헬스데이터를 반영한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수행되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은,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특정 개인의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라이프 시퀀스 제공 단계; 및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의 건강관리를 대행하는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공간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건강관리 결과를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개인의 현실공간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 단계는,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 단계; 상기 특정 개인의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물리가상 동기화 단계;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아바타를 통해서 표시하는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활동을 구동하는 아바타 구동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는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아바타를 통한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상기 아바타의 외관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정 개인으로 하여금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확인한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건강상태에 대한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단계로 확인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크기, 표정, 움직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 따르면, 각 개인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라이프 시퀀스를 통해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에서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 과정에서 생성된 해당 건강정보를 현실적으로 자신의 실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아바타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타버스를 토대로 간접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개인의 일생에 걸친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속성을 하나의 라이프 시퀀스에 시계열적으로 기록하여 저장 및 보관하고, 이를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개인별 생활양식, 헬스 트레이닝이나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각 개인별 건강관리 모니터링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스트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구조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xml을 통한 라이프 시퀀스의 기록/전송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운용방법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실현하는 컴퓨터(서버)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복수의 의료기관 시스템(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사업자 측에서 운용하는 서버 컴퓨터로서, 각 사용자들로부터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헬스데이터는 각 사용자의 신체정보(예: 신장, 체중 등),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예: 검사결과, 의사 소견 등),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예: 크기, 촬영일시, 장소, 압축방식, 모달리티, 어노테이션 여부 등),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의료정보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취득할 수 있는 식단정보, 운동정보, 수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의료정보의 경우 의료기관 시스템(300)을 통해 수집하거나 해당 의료정보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건강정보의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배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레스토랑이나 운동시설에 부착된 식별코드(예: QR 코드)를 인식하여 날짜별로 식사량이나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수집하거나, 신체에 부착된 생체정보 측정기와 블루투스 통신이나 NFC 통신을 통해서 심박수, 혈압, 혈당, 수면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는 각 사용자별 일생 전반에 걸친 각종 헬스데이터에서 식별정보를 제외한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것으로서, 각 사용자별로 고유하게 생성되며, 각 병원이나 기관별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헬스데이터의 개인 정보 보호 및 유출 방지를 위해서, 상기 헬스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제거하는 비식별화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별 식별정보를 라이프 시퀀스와 매칭하여 관리하여야 하는데,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해당 사용자의 헬스데이터가 추가로 수집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서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찾은 후 시계열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생성한 각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를 활용하여,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각 사용자별 아바타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각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한 결과를 현실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통해서 생성되어 가상공간에 적용되는 각 사용자별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라이프 시퀀스와 매칭하여 동기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되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으므로, 상기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라이프 시퀀스와 매칭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아바타가 어느 사용자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추후 상기 아바타를 활용한 건강관리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해당 사용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를 활용한 건강관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종 헬스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각 사용자별로 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한 아바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가상공간에 배치한다.
이때 가상공간은 각 사용자들이 건강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병원은 물론,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연계되어 있는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레스토랑, 헬스클럽 등을 배치한 맵으로서, 플랫폼 측에서 임의로 가상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각 도시나 지역별 현실 생활공간을 그대로 가상공간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에 배치된 병원, 레스토랑, 헬스클럽 등은 광고나 홍보를 통해 유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상기 수익은 상기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각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사용자별 아바타를 생성한 이후, 각 아바타에 연계된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를 전문의에게 제공하여, 각 사용자별 현재 건강상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문의가 수행하는 각 사용자별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각 사용자별 현재 건강상태를 토대로 상기 생성한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상태를 양호한 상태부터 나쁜 상태까지 1단계부터 10단계로 나누어 수치화한 경우, 어느 특정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전문의의 진단결과 고혈압 및 당뇨가 의심되어 적절한 운동 및 식이요법이 필요한 3단계로 확인된 경우,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를 3단계에 설정한 형태(예를 들어, 아바타의 움직임을 정상상태보다 둔화하거나, 색깔을 조금 어둡게 변경하거나, 혹은 땀을 흘리는 모습 등으로 변경)로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확인하는 즉시 운동 및 식이요법이 필요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관리 상태를 표현하는 아바타를 확인하여,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연계되어 있는 헬스클럽이나 식당의 현실공간에서의 방문을 통해서 운동 및 식이요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이러한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운동결과 및 식이요법결과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고,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진단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상기 가상공간에 배치된 자신의 아바타를 다른 병원으로 이동시켜 현재 건강상태의 진단을 의뢰할 수 있으며, 추후 해당 병원에서 사용자의 아바타에 연계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현재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한 결과를 해당 아바타에 어노테이션하거나,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병원을 이리저리 방문할 필요없이, 우선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각 병원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진단을 받고, 그 중에서 맘에 드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여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방문하여 건강검진이나 진단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각 사용자의 헬스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헬스데이터의 지속적인 추가로 인해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되면, 현재 건강상태를 다시 확인하는 것은 물론, 상기 확인한 현재 건강상태에 따른 아바타의 상태를 새롭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이전보다 개선되었다면, 이전의 아바타보다 더욱 활성화되고 건강한 형태의 아바타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하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이전보다 악화되었다면, 이전의 아바타보다 더욱 움직임이 저하되고 건강하지 못한 형태의 아바타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동안 자신의 건강상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유무선 통신 단말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헬스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활동한 건강관리에 대한 결과나 경과를 제공받아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간의 계약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각종 의료정보를 포함한 헬스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하는 각 사용자별 헬스데이터에서 추출한 식별정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생성하는 각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식별정보 DB(410)와, 상기 헬스데이터에서 식별정보를 제거한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비식별화 헬스데이터 DB(420)와, 각 사용자별 헬스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되는 라이프 시퀀스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라이프 시퀀스 DB(430)와, 각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수행하는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건강관리 DB(440)와, 각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가상공간 DB(450)로 구성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헬스데이터를 등록하는 각 사용자별 회원정보, 가상공간에 배치되는 병원, 식당, 헬스클럽 등에 대한 정보, 각 사용자가 등록한 헬스데이터를 이용한 수익창출이나 수익분배와 관련된 금융정보 등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가상공간 구현부(110), 헬스데이터 수집부(120), 헬스데이터 비식별화부(130), 식별정보 가상화부(140),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150),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160), 건강관리 추천정보 제공부(170), 웹서버(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공간 구현부(110)는 병원, 식당, 운동시설 등을 가상으로 구현한 맵을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맵은 실제 도시환경처럼 도로, 건물 등을 배치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실제 특정 도시나 지역의 현실 세계를 그대로 반영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헬스데이터 수집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각 사용자별 의료정보 및 건강정보를 포함한 헬스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헬스데이터 수집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는 식단, 운동, 수면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한 건강정보에 대한 헬스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는 신체정보,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등의 의료정보에 대한 헬스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헬스데이터 비식별화부(130)는 상기 헬스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수집한 각종 헬스데이터에서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개인별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를 추출하여, 비식별화 헬스데이터 DB(42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즉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헬스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의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익명화하는 것이다.
상기 식별정보 가상화부(140)는 상기 헬스데이터 비식별화부(130)에서 추출한 개인별 식별정보와 상기 라이프 시퀀스 생성부(150)에서 생성하는 각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식별정보 DB(4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각 개인별 식별정보와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는 식별번호나 식별이 가능한 이름이나 코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화는 개인별 식별정보를 해당하는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매칭해 둠으로써(예, 매핑테이블 생성), 이후 아바타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따른 건강관리에 대한 결과나 경과를 각 개인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150)는 상기 헬스데이터 비식별화부(130)를 통해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라이프 시퀀스 DB(43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150)는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특정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새로운 헬스데이터가 추가로 제공되면, 기존에 생성하여 저장해둔 라이프 시퀀스의 시계열 순서에 맞추어 추가로 제공된 새로운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150)는 상기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160)는 각 사용자가 상기 라이프 시퀀스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대행하도록 한다. 즉 각 사용자들이 라이프 시퀀스가 매칭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 건강관리를 대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160)는 아바타 생성부(161), 물리가상 동기화부(162),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163), 아바타 구동부(164),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16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바타 생성부(161)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별로 특화된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한다.
상기 물리가상 동기화부(162)는 상기 아바타 생성부(161)에서 아바타를 생성하면, 상기 특정 개인의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상호간에 매칭(즉 매핑테이블 생성)함으로써, 비식별화된 라이프 시퀀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공간의 활동을 지원하도록 한다.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163)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생성부(150)에서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사전에 등록한 전문의에게 요청하고, 상기 전문의로부터 진단결과를 제공받아 각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현재 건강상태는 질병의 존재 유무, 질병의 진행상태 등은 물론, 사용자의 정신건강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162)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165)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아바타를 통한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상기 아바타의 외관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정 개인으로 하여금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는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확인한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건강상태에 대한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현재 건강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163)는 어느 하나의 단계로 확인된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아바타의 크기, 표정, 움직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만을 보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한 헬스데이터를 반영한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예: 1주, 1개월 등)로 수행되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구동부(164)는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활동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165)는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생성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서 상기 가상공간에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건강상태의 경과나 결과를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되는 상기 아바타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활동한 건강상태의 경과나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어, 해당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수행하였던 건강관리를 현실공간에서 그대로 적용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건강관리 추천정보 제공부(170)는 상기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각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병원, 식당, 헬스클럽 등을 추천한다.
상기 웹서버(18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접속하고자 할 때,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각 개인별 건강관리 모니터링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헬스데이터가 수집되면, 각 사용자별 헬스데이터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헬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개인별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DB(410)에 저장한다. 상기 개인별 식별정보는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부여한 각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즉 ID)와 매칭하고, 상기 매칭한 테이블 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DB(4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는 라이프 시퀀스 ID로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한 헬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개인의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익명화하는 헬스데이터 비식별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삭제한 비식별화 헬스데이터를 비식별화 헬스데이터 DB(42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 DB(430)에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각 사용자별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각 사용자별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 DB(4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아바타의 식별정보는 상기 매칭된 개인의 식별정보와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테이블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개인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 및 아바타 식별정보를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가상공간의 아바타가 누구의 아바타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후 상기 아바타를 활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결과나 경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아바타에 연계된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전문의에게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문의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토대로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된 아바타를 이용함에 따라 변경되는 건강관리에 대한 경과나 결과를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아바타의 활동을 통해 상기 가상공간에서 생성된 건강관리에 대한 경과나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어, 각 사용자가 현실에서 적용하여 자신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각 사용자의 헬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각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할 때, 상기 라이프 시퀀스의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적용되는 각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스트림(life sequence data stream),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구조체(life sequence data struct),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life sequence data frame) 중 어느 하나로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스트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스트림은 헤더코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코드는 라이프 시퀀스 식별자(life sequence identifier), 헤더의 길이(header length),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불변 속성정보(permanent attributes)(예: 성별, 인종, 머리색, 눈색, 혈액형 등), 개인별 각 헬스데이터의 공통 속성정보(common attributes)(예: 나이, 나이에 따른 신체 사이즈 몸무게 등), 각 헬스데이터 식별자(health data identifier), 예비 필드(reserved fiel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는 헬스데이터 식별자(health data identifier), 헬스데이터 정보코드 길이(health data information code length), 메타데이터 길이정보(metadata length), 메타데이터(metadata), 헬스데이터 요약(health data summary),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location path), 가상공간 활동(cyber domain activity) 정보, 물리공간 활동(physical domain activity)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이와 동등한 방식으로 정보를 추가로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는 헬스데이터의 속성(크기, 촬영일시, 촬영장소, 압축알고리즘, 모달리티 등), 헬스데이터의 신체의 각 부위(머리, 몸통, 팔, 다리 등), 헬스데이터의 진단 정보(진단, 의사소견 등), 헬스데이터의 어노테이션(annotation)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헬스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시계열 순서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활동정보는 어느 하나의 헬스데이터를 가상공간에서 활용하였을 때 기록되는 정보이며, 상기 물리공간 활동정보는 어느 하나의 헬스데이터를 실제 물리공간에서 활용하였을 때 기록되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의 영문 표현을 cyber domain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virtual domain이나 cyber space라는 용어와 대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공간의 경우에도 physical domain 이외에 physical space, real domain, real space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구조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구조체는 라이프 시퀀스 헤더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 헤더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는 링크정보를 통해서 상호 연결(예: linked list)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헤더정보는 라이프 시퀀스 식별자,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불변 속성정보, 개인별 각 헬스데이터의 공통 속성정보, 각 헬스데이터 식별자, 예비 필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는 헬스데이터 식별자, 메타데이터, 헬스데이터 요약,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 가상공간 활동정보, 물리공간 활동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은 별도의 파일로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라이프 시퀀스 헤더정보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 프레임을 포함한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구조체를 자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헤더정보 프레임은 라이프 시퀀스 식별자,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불변 속성정보, 개인별 각 헬스데이터의 공통 속성정보, 각 헬스데이터 식별자, 예비 필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 프레임은 헬스데이터 식별자, 메타데이터, 헬스데이터 요약,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 가상공간 활동정보, 물리공간 활동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라이프 시퀀스 데이터 프레임은 도 7에서 예시한 데이터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자동으로 읽어서 데이터 구조로 만들어 프로그램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 구조의 장점은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지 않고도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언제든지 수정하거나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xml을 통한 라이프 시퀀스의 기록/전송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 시퀀스는 xml을 통해 기록/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라이프 시퀀스는 라이프 시퀀스 헤더(life sequence header), 라이프 시퀀스 내용(life sequence contents), 및 헬스데이터(health dat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7에 예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xml을 통해 전송할 경우, GET, PUT, POST, DELETE 등의 함수를 사용하는 RESTful 프로토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8에 예시한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구조체, 데이터 프레임, 마크업 언어(예: xml) 외에도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 라이프 시퀀스를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그램은 이상에서 설명한 라이프 시퀀스 헤더와 라이프 시퀀스 정보(내용) 및 각 헬스데이터를 데이터 블록으로 정의한 다음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구조체, 데이터 프레임, 마크업 언어(예: xm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 구성된 라이프 시퀀스를 패킷화한 다음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운용방법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헬스데이터가 수집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헬스데이터가 수집되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수집한 각종 헬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 DB(430)에 저장한다(S200).
이때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할 때, 상기 수집한 헬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개인별 식별정보에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 내부의 라이프 시퀀스 ID를 부여하고, 상기 헬스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개인의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익명화하는 헬스데이터 비식별화 작업을 선행적으로 처리하여야 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참조하여 신체정보를 참조한 개인별 아바타를 생성하고(S300), 상기 개인별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 및 아바타 상호간을 매칭하여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400). 즉 각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건강관리를 위해 활동할 때, 상기 아바타에 매칭된 라이프 시퀀스가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인별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 및 아바타 상호간을 매칭하여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아바타에 연계된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아바타를 통해서 표시한다(S500).
또한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각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에 표시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활동을 구동하도록 지원하며(S600), 상기 아바타를 통해 활동한 각종 건강관리에 대한 경과나 결과를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700).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건강관리 결과를 토대로, 현실공간에서 사용자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800)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따른 개인의 건강상태 경과나 결과를 제공받아 현실에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나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헬스데이터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프 시퀀스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면 현재 건강상태를 다시 확인하여 아바타의 상태를 새롭게 변경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실현하는 컴퓨터(서버)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하드웨어 구조는, 중앙처리장치(1000), 메모리(20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 웹서버(60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과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는 데이터베이스와 하드웨어 구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웹 서버(6000)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하드웨어 구조로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원격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1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또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 구현되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매체는 인터넷 또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되어 결합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일부는, 이들 구성요소 중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은 버스(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 개인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라이프 시퀀스를 통해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에서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 과정에서 생성된 해당 건강정보를 현실적으로 자신의 실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아바타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메타버스를 토대로 간접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개인의 일생에 걸친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속성을 하나의 라이프 시퀀스에 시계열적으로 기록하여 저장 및 보관하고, 이를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 개인별 생활양식, 헬스 트레이닝이나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110 : 가상공간 구현부
120 : 헬스데이터 수집부 130 : 헬스데이터 비식별화부
140 : 식별정보 가상화부 150 :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
160 :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 161 : 아바타 생성부
162 : 물리가상 동기화부 163 :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
164 : 아바타 구동부 165 :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
170 : 건강관리 추천정보 제공부 180 : 웹서버
200 : 사용자 단말 300 : 의료기관 시스템
400 : 데이터베이스 410 : 식별정보 DB
420 : 비식별화 헬스데이터 DB 430 : 라이프 시퀀스 DB
440 : 건강관리 DB 450 : 가상공간 DB

Claims (12)

  1. 특정 개인의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 및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의 건강관리를 대행하는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공간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건강관리 결과를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개인의 현실공간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헬스데이터는,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정보,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의료정보;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식단정보, 운동정보, 수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부는,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상기 특정 개인의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물리가상 동기화부;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아바타를 통해서 표시하는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활동을 구동하는 아바타 구동부; 및
    상기 아바타의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는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부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아바타를 통한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상기 아바타의 외관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정 개인으로 하여금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부는,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확인한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건강상태에 대한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계로 확인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크기, 표정, 움직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이나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헬스데이터를 반영한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수행되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7.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특정 개인의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라이프 시퀀스 제공 단계; 및
    상기 라이프 시퀀스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의 건강관리를 대행하는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공간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수행한 건강관리 결과를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특정 개인의 현실공간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헬스데이터는,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정보,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의료정보;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식단정보, 운동정보, 수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건강관리 대행 단계는,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 단계;
    상기 특정 개인의 식별정보,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 및 아바타의 식별정보를 매칭하는 물리가상 동기화 단계;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아바타를 통해서 표시하는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
    상기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활동을 구동하는 아바타 구동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하여 업데이트하는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업데이트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아바타를 통한 건강관리의 경과나 결과를 상기 아바타의 외관에 반영하여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며, 상기 특정 개인으로 하여금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물리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건강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확인한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건강상태에 대한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단계로 확인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크기, 표정, 움직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이나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헬스데이터를 반영한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수행되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방법.
KR1020220003807A 2022-01-11 2022-01-11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KR20230108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07A KR20230108426A (ko) 2022-01-11 2022-01-11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07A KR20230108426A (ko) 2022-01-11 2022-01-11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26A true KR20230108426A (ko) 2023-07-18

Family

ID=8742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07A KR20230108426A (ko) 2022-01-11 2022-01-11 라이프 시퀀스 기반 건강관리 메타버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4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967B2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bioactive agent effect
CN109478418A (zh) 用于使健康数据匿名化并且跨地理区域传输健康数据进行分析的系统和方法
Portela et al. Pervasive and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in intensive medicine–the complete picture
US86065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bioactive agent use
KR20170140757A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앙상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방법
US20100041958A1 (en) Comput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modification
US200902710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bioactive agent use
US20100017001A1 (en) Comput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modification
US20170329905A1 (en) Life-Long Physiology Model for the Holistic Management of Health of Individuals
US20170231560A1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bioactive agent effect
US201002803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bioactive agent use
US200902713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bioactive agent use
US20100125561A1 (en) Comput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modification
US20100042578A1 (en) Comput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modification
US2019039295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iagnosing a condition
JPWO2019244949A1 (ja) 生体情報処理方法、生体情報処理装置、および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12423A (ko) 가상 병원 시스템, 가상 병원 생성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93986A (ko)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Duncan et al. COMPASS-CP: an electronic application to capture patient-reported outcomes to develop actionable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attack care plans
KR20200132400A (ko)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WO2021100880A1 (ja) 提案システム、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Israni et al. Human‐Machine Interaction in Leveraging the Concept of Telemedicine
KR20190081268A (ko)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가족력 위험도 산출 방법
Mollica Assessment of trauma in primary care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