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32A -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32A
KR20230108132A KR1020220003549A KR20220003549A KR20230108132A KR 20230108132 A KR20230108132 A KR 20230108132A KR 1020220003549 A KR1020220003549 A KR 1020220003549A KR 20220003549 A KR20220003549 A KR 20220003549A KR 20230108132 A KR20230108132 A KR 2023010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armland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9575B1 (en
Inventor
이성일
김연중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75B1/en
Publication of KR2023010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based on storage of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and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based on storage of location information include basic information of farmland from a manager terminal and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armland.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information;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the farmland area.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Acces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농일지의 자동 작성을 위해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 및 작업 내역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n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worker's access to farmland and work histor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or automatic creation of a farming diar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작목에 대한 하루 동안의 영농 작업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 영농일지를 작성하여 경작지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영농일지는 영농 활동과 관련된 환경 변화와 작업 방법을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영농일지에는 기온과 강수량, 날씨에 대한 기후상황이 정확하게 기재되고 당일 작업한 세부 항목별로 투입인원과 작업 시간이 기록된다. 이와 같은 영농일지를 통해 작목의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영농일지를 빠트리지 않고 주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farmhouses manage farmland by creating a farming diary to record farming work conditions for crops for a day. These farming diaries refer to documents that record environmental changes and working methods related to farming activities. In the farming diary, climate conditions for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eather are accurately recorded, and the number of workers and working hours are recorded for each detailed item that was worked on that day. It is very important for workers to fill out the farming diary periodically without missing it because the management status of crops can be checked through such a farming diary.

하지만, 영농 작업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할 때 영농일지 작성을 누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연속적으로 작목의 상태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영농일지 작성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하는 시간에 맞춰 작업자에게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it was difficult to continuously manage the state of the crops because farming workers often omitted to write farming diaries when they went out of the farmlan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mission of writing a farming diary, there is a need to request a worker to write a farming diary in time for the worker to leave the farmland.

그에 따라 영농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여러 경작지마다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들어 자본이 부족한 중소 농민들에게는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farm workers enter or not enter the farmland. However,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 of managing access using a wireless network, a separate network construction cost is required for each farmland, which is a burden for small and medium-sized farmers who lack capital. there was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영농 작업자가 경작지에 진입하거나 경작지 밖으로 진출할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해 영농 작업자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별도의 알림을 제공할 수 없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a farm worker in real time because it is not detected when a farm worker enters or leaves the farm field, and a separate notification cannot be provided.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45554호에서는 프로파일 기반 영농일지 생성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더라도 작업자의 경작지 출입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자가 경작지 영역 밖으로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의 누락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한다.In this regar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5554, a prior art document, describes a method for generating a profile-based farming diary. However, even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suggest preventing omission of writing a farming diary by checking the entry and exit of a worker in real time and requesting the preparation of a farming diary when the worker moves out of the farmland area.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been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경작지 출입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경작지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 누락을 방지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utomatically record the user's access to the farmlan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without installing separate equipment, and request the user to write a farming diary when entering the farmland, thereby preventing omission of writing the farming di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mory-based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동일한 경작지 영역을 공유하는 사용자 간의 경작지 방문 이력을 공유하여 효율적인 영농 작업을 관리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cces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that manages efficient farming work by sharing a farmland visit history among users sharing the same farmland area.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지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작지 체류 시간과 이동 경로를 조합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세부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ombine farming diary written by the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time of stay in the farmland and the moving route to generate schematized data on the work statu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detailed work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includes basic information of farmland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information includ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the farmland are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는, 경작지에 대하여,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와 영농일지 서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며,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provides arable 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able land area, arable lan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f the arable land, and a farming diary form with respect to arable l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into the farmland area,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is recorded,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includes basic information of farmland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information includ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into the farmland area;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the farmland area.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i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perform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includes basic information of farmland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armland.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the farmland area.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경작지 출입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경작지 진출 시 영농일지 작성을 요청하여 영농일지 작성 누락을 방지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user's access to the farmland is automatically recorded using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without installing separate equipment, and omission of the farming logbook is prevented by requesting the creation of a farming diary when the user enters the farml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동일한 경작지 영역을 공유하는 사용자 간의 경작지 방문 이력을 공유하여 효율적인 영농 작업을 관리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that manages efficient farming work by sharing a farmland visit history among users who share the same farmland area.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지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작지 체류 시간과 이동 경로를 조합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세부 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chematized data for the work status is generated by combining a farming diary written by a user and a farmland stay time and a movement rout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perform detailed task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us.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간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실시간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농일지 서식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방문 이력을 출력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관리 현황을 나타내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cess contro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step by step.
FIG. 4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information in 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hown in FIG. 3 .
FIG.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ep of determining entry or exit into a farmland area in 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hown in FIG. 3 .
FIG. 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tep of creating a farming diary in 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hown in FIG. 3 .
7 to 8 are exemplary diagrams for receiv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 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monitoring a user's location in real tim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11 is an exemplary view of a request message for writing a farming diary provided to a user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farming diary format included in a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n which cropland visit historie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are output.
14 and 15 are exemplary views of screens showing farmland management statu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tervening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However, prior to explaining this,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below is first defined.

영농 작업에서 '작목'은 작물이나 가축 등의 종류를 뜻하며 여기서 말하는 작물은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이때 '작목'은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작목 코드로서 영농일지에 기입될 수 있다.In agricultural work, 'crop' refers to a type of crop or livestock, and the crop here refers to a plant grown for human use. At this time, the 'crop' may be written in the farming log as a crop code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경작지 기초 정보'는 영농 작업이 진행되는 현장, 즉 경작지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로서, 경작지 이름, 작목, 상세 주소, 총 면적, 해당 현장의 실시간 기후 정보 등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기후 정보와 같은 '경작지 기초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다.'Basic cropland information' is detailed information on a field where farming is performed, that is, a farmland, and may includ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a farmland name, crop, detailed address, total area, and real-time climate information of the site. In this case, 'farmland basic information' such as real-time climat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real time.

여기서 말하는 '기후 정보'란 경작지의 상세 주소에 기초하여 검색된 해당 현장의 날씨 정보로서, 예를 들어, 최저 온도, 최고 온도, 평균 기온, 강수량, 적설량, 풍속,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climatic information' is weather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ite retrieved based on the detailed address of a farmlan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precipitation, snowfall, wind speed, humidity, and the like.

'경작지 영역 정보'는 지도상의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의 경작지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지도상에 표현되는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GPS 모듈에 의해 연산되는 위치 좌표와 비교될 수 있도록, GPS 좌표체계에 따른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Cultivated land area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farml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and is expressed as a set of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range of the actual farml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farmland area represented on the map. can Her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GPS coordinate system to be compared with position coordinates calculated by a GPS module included in a user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경작지 정보'는 상술한 경작지 기초 정보와 경작지 영역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로서 후술할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경작지와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Cultivated land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above-described farmland basic information and farmland area information, and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farmland set by a manager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계정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나 관리자 중 특정인의 계정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계정 식별자, 사용자나 관리자의 성명,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정규 근로시간, 사용자가 근무하거나 관리자가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경작지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u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erson's account among multiple users or managers, such as account identifier, user's or manager's name, user's or manager's regular working hours, and one or more It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ultivated land.

'사용자'는 경작지에서 근무하는 자로서 작물의 경작을 직접 수행하는 작업자를 의미하고, '관리자'는 경작지에서 근무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관리하는 책임자, 예를 들어 경작지의 지주 등을 의미한다.A 'user' is a person who works in a farmland and refers to a worker who directly cultivates crops, and a 'manager' refers to a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one or more users working in a farmland, for example, a landlord of the farmland.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terms defined above, terms that require explanation are separately explained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 간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llustrates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block diagram.

도 1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여기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협력하여, 경작지에 대한 사용자의 진입 또는 진출을 감지하여 기록한 출입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들에게 각 경작지에 대한 영농일지 작성을 안내하며, 작성된 영농일지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경작지별 현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200 or a manager terminal 201 through a network N, wher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is a user terminal 200 Alternatively, by cooperating with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user's entry or exit to the farmland is detected and recorded, and the recorded entry and exit history is managed, the users are guided to create a farming diary for each farmland, and the created farming diary is stored. Provides a ser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each farmland to the manager.

한편 사용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201)은 각각 상술한 사용자와 관리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출입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여, 출입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ar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used by the above-described user and manager, respectively, and communicate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so that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can You can receive the services we provide.

이때, 사용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201)은 전자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단말기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may be implemented as electronic terminals. Here, the electronic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 television, a wearable device, etc.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N or connecting to other terminals and servers.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or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mart Phone, Mobile WiMAX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etc.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elevision may includ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nternet TV (Internet Television), terrestrial TV, cable TV, and the like. Furthermore, a wearable device is a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an be worn directly on the human body, such as, for example, a watch, glasses, accessories, clothes, shoes, etc. can be connected with

특히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도, 휴대성이 보장되는 휴대용 단말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됨으로써 출입 관리 장치(10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wearable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mong the above-described computers, portable terminals, televisions, and wearable devices, and is configured with a portable terminal or wearable device equipped with a GPS module to enable entry and exit It is possible to enable the management device 100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그러나 관리자 단말(201)은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성의 정보처리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관리자 단말(201)에 대응하는 관리자에 대해서도 경작지에 대한 진출 및 진입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201)도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GPS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201)을 이용하는 관리자가, 관리자이면서 동시에 경작지의 경작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로서 관리자 단말(201)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1)을 통해 출입 관리 장치(100)에 자신의 관리 대상인 경작지를 등록함과 동시에, 관리자의 계정 식별자를 경작지에 근무하는 사용자 중 하나로 등록할 수 있다.However, the manager terminal 201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a GPS module like the user terminal 200 or as a desktop computer. However, when entering and exiting a farmland for a manager corresponding to the manager terminal 201 is also to be recorded, the manager terminal 201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GPS module like the user terminal 200 . That is, a manager using the manager terminal 201 can use the manager terminal 201 as both a manager and a user who performs cultivation work on the farmland. In this case, the manager uses the manager terminal 201 to access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 the manager's account identifier can be registered as one of the users working on the farmland at the same time as registering the farmland to be managed.

한편 출입 관리 장치(100)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데이터를 교환하여 복수의 경작지에 대한 영농일지와 사용자의 출입 이력을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서버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되거나, 제3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is composed of a server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above-described user terminal 200 or manager terminal 201 to provide a farming diary for a plurality of farmlands and a user's access hist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terminal having an application for interaction or a web browser installed thereon, or as a cloud computing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or may store data through a third server.

구체적으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storage unit 130.

제어부(110)는 출입 관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출입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to perform correspond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various request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execute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read a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or store a new file in the storage unit 130.

제어부(110)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경작지에 대응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집하여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함으로써, 경작지를 등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기초 정보를 입력받고, 경작지 영역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110 collects arable l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arable land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registering the arable land. 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input of farmland basic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select farmland area information.

경작지 영역 정보를 선택받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 또는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 즉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필요한 경우 지도상에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경작지 영역의 좌표 정보를 실제 경작지에 대한 GPS 좌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cropland area information selection, the controller 1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farmland area on a map corresponding to an actual farmland area to the manager terminal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Further,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ange of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or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farml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armland area on the map, that is, GPS coordinate information. can do.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conver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armland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on the map into GPS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actual farmland, if necessary.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후술할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하는 경작지 기초 정보에 포함된 주소 정보나 지번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추정하고, 추정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작지 영역을 지도상에서 확인하고, 잘못 표시된 경우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관리자 스스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refers to address information or lot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farmland bas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ps corresponding to the actual farmland area. A user interface for estimating the cropland area on the map and displaying the farmland area on the estimated map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201 . Accordingly, the manager can check the farmland area of his/her own on the map, and if it is incorrectly displayed, the manager can select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farmland area by himself.

그리고 제어부(110)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경작지 기초 정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함께 하나의 경작지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경작지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store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30 as information on one farmland together with the farmland basic information and the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201 . 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f one or more users who manage the farmland,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judge entry or exit to an area.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inuously and periodically collect and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외부에 체류하는 상태에서는,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외에서 내부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may monitor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in a state where the user terminal 200 stays outside the farmland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oves from outside the farmland area to insid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farmland.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내에 체류하는 상태에서는, 경작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내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monitor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moves outside the farmland area in a state where the user terminal 200 stays within the farmland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oves from within the farmlan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moved out of the farmland.

이처럼 사용자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함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의 변화를 참조할 수 있다.As such, i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enters or leaves the farmland, the control unit 110 may refer to changes in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이때 제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의 출퇴근 시간을 참조하여 일정 시간 동안에만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거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reference to each user's commute time or monitor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그리고 제어부(110)는 경작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or leaves the farmland area,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the entry or exit time in a notification message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t least one of them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사용자 A의 경작지 B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는 'A님, 2021년 12월 1일 오전 8시 59분에 경작지 B에 도착하셨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발송하고, 경작지 B의 관리자에 대응하는 관리자 단말(201)로는 '사용자 A님이 2021년 12월 1일 오전 8시 59분에 경작지 B로 출근하셨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user A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200 entering the cultivated land B,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corresponding user 'A, December 1, 2021 at 8:00 am You have arrived at arable land B at 59 minutes' message is sent, and to the manager terminal 201 corresponding to the manager of arable land B, 'User A went to work at arable land B at 8:59 am on December 1, 2021. ' message can be sent.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출이 감지되면,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100)로 영농일지 서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요청하거나,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농일지 작성 페이지나 기능을 호출하는데 필요한 URI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URI는 해당 URI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객체의 형식으로 메시지 내에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ntry of the user terminal 20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10 may generate a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 connected to the farming diary form and provide th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At this time, the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a web page including a farming diary form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10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10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URI required to call a farming log writing page or function of an application that works with. At this time, the URI included in the farming log writing request message may be inserted into the message in the form of a hyperlink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URI.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영농일지 서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응답하되,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영농일지 서식의 항목들에 자동 기입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영농일지 작성 페이지나 기능을 호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영농일지에 자동 기입될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a farming diary form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ler 110 responds with a web page including the farming diary form to the user terminal 200, but converts basic information on farmland into fields of the farming diary form. It can be automatically filled in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200, basic information on cultivated land to be automatically entered in the farming diary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when a farming diary writing page or function is call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can do.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수동 기입되는 항목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기입된 항목 정보와 수동 입력된 항목 정보가 모두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manually entered item information through the farming diary form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tores the farming diary in which both automatically entered item information and manually entered item information are entered. can be stored in

한편 제어부(110)는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해당 영농일지를, 경작지의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2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해당 영농일지를 작성한 사용자, 또는 해당 경작지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열람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arming diary is stored,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farming diary to the manager terminal 201 of the farmland manager.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10 may provide the corresponding farming diary to a user who has created the farming diary or to other user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armland so as to be able to read it.

나아가 제어부(110)는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해당 영농일지가 작성된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도식화된 자료를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10 may create schematized data about the work status based on the work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rming diary and the staying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which the farming diary is writte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may provide the schematized data to the manager terminal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이때 제어부(110)는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함에 있어서, 경작지에 등록된 사용자가 둘 이상이고, 둘 이상의 사용자가 각각 같은 날에 영농일지를 작성한 경우, 모든 사용자들의 영농일지에 기재된 작업 분류 정보와 각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작업현황과 그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generating the schematized data,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re are two or more users registered in the farmland, and the two or more users write farming diaries on the same day, work classification information written in the farming diaries of all users and each Using the sojourn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user's travel route,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prehensive work status and schematized data for it.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A가 경운 작업을 수행하였고, 사용자 B가 파종 작업을 수행한 경우, 각각의 작업자의 작업 분류를 구분하여 나타내는 이동 경로를 동일한 하나의 지도상에 표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er A performs plowing work and user B performs seeding work, the control unit 110 may express a movement path separately indicating the work classification of each worker on the same map. .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각 사용자의 출입 이력, 영농일지,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inquiry for at least one of each user's access history, farming diary, and schematized data on work status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received We can provide materials in response to your request.

한편 통신부(12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or networks.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t least one of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hipset.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Wireless Fidelity (Wi-Fi), Wi-Fi Direct,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lso, wired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for example, USB 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할 수 있고, 제어부(110)에서 작성한 출입 알림 메시지와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 완료된 영농일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서 요청받은 자료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transmits the access notification message and the farming diary request message created by the control unit 110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user terminal A completed farming diary may be received from 200 .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provide data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ontrol unit 110 .

저장부(130)에는 파일,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Data such as files, applications, and programs may be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130 . The controller 110 may access and us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or may store new data in the storage unit 130 . Also, the controller 110 may execute a program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30 .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과 통신하면서, 등록된 경작지에 대하여, 경작지를 경작하는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하며, 각각의 경작지에 대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출입을 관리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영농일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경작지별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storage unit 13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each user cultivating the arable land is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registered arable land, and each arable land is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30. A server program necessary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200 to manage access, have users fill out a farming diary, analyze the work status for each farmland, generate schematized data, and provide it to the manager. can be installed

또한 저장부(130)에는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동작 결과로 수집되거나 산출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저장부(130)는 등록된 복수의 경작지 각각에 대한 경작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경작지 정보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경작지 기초 정보와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above program to operate or data collected or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farmland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gistered farmlands. In this case,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farmland basic information and farmland area information.

또한, 저장부(130)는 관리자나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각각의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부여된 권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권한정보는 출입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출입 이력, 영농일지, 또는 경작지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의 열람 범위를 정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일부의 사용자는 자신의 출입 이력만 열람할 수 있으나, 일부 사용자는 동일한 경작지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출입 이력을 모두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와 연관된 모든 경작지의 모든 사용자들의 출입 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농일지나 도식화된 자료도 기본적으로 관리자는 모두 열람 가능하되, 사용자들의 권한은 그 일부로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권한정보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manager or user account information and authority information granted to each user or manager. At this time, the author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scope of reading access history, farming diary, or schematized data on cultivated land that can be provided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For example, some users may only read their own access history. However, some users may be granted the right to view all access histories of a plurality of users registered in the same farmland, and the administrator may be granted the right to view the access history of all users of all farmland related to the manager. can have Likewise, managers can basically read all farming diaries or schematized data, but users' authority may be limited to some of them. As such, authority inform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그리고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에 대해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위치별 체류시간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경작지에 대한 진출입 기록, 즉 출입 이력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record periodically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terminal 200 , a movement path based thereon, a stay time for each lo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a record of the user's entry and exit to the farmland determined based on this, that is, an entry and exit history may be stored.

나아가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130)로부터 영농일지를 독출하여 경작지별 또는 사용자별로 정렬된 영농일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farming diary written by the user terminal 200 . Accordingly, when receiving a request to read farming diaries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controller 110 reads the farming diaries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provides the farming diaries sorted by farmland or user to the user. can provide

그리고 저장부(130)에는 경작지에 대하여, 영농일지에 기록된 작업 분류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부(110)가 산출한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has schematized data about the current state of work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10 based on the work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farming diary and the stay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respect to cultivated land. can be saved.

한편, 이하에서는 출입 관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출입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제어부(110)가 동작하거나, 제어부(110)가 통신부(120) 또는 저장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hereinafter, an access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each step of the access management method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control unit 110 or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the storage unit 130 by the control unit 110 .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10 will be omitt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step by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farmland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shown in FIG. 3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method for determining entry or exit to a farmland area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shown in FIG. 3, and FIG. It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the step of preparing a farming diary in the illustrated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또한, 도 7 내지 도 8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경작지 영역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실시간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농일지 서식의 예시도이며, 도 13은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작지 방문 이력을 출력한 화면의 예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별 경작지 관리 현황에 대한 예시도이다.In addition, FIGS. 7 to 8 are exemplary diagrams for receiv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and FIG. 9 is a real-time user location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and FIG. 11 is an example view of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farming log format included in the farming log writing request messag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FIG. 13 is an example of a farmland visit histor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manager terminal. 14 and 15 are exemplary views of a farmland management status for each user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nd a manager terminal.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출입 관리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6 includes steps processed time-sequentially i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S. 1 and 2 .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S. 1 and 2 can be applied to the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6. there is.

도 3 내지 도 6은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7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출입 관리 장치가 구현되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to 6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5 . 7 to 1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show examples of screen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from a server in which an access control device is implemented.

우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S310).First, as shown in FIG. 3 ,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and store farmland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S3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상세 주소를 포함하는 경작지 기초 정보를 수신하고(S311), 수신된 경작지 상세 주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2).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ceives farmland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farmland detailed address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S311), and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detailed address, Map information of a certain range may be provided (S312).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경작지 상세 주소에 기초한 일정 범위의 지도(7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S313).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을 마킹하여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마킹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들을 직선으로 이어 다각형 모양의 영역을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선택된 다각형 모양의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실제 경작지 영역의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71 of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detailed address to the manager terminal 201 ( S313).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range of the farmland area by marking a point 72 that is a vertex of the farmland area boundary.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select a polygonal area as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by connecting points 72 that are vertices of the boundary of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marked by the manager terminal 201 with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convert the selected cropland area on the polygonal map into 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ctual farmland area and store the converted field area information.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실제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산출한 결과(73)를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로 하여금 설정된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관리자가 알고 있는 실제 경작지의 넓이와 비교하여 경작지 영역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the manager terminal 201 with a result 73 of calculating the area of the actual farml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armland area on the map. Accordingly,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allow the manager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set farmland area and compare it with the actual farmland area known by the manager to confirm whether the farmland area is correctly set.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을 재설정하는 지우기 버튼(74)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경작지 영역의 넓이를 산출한 결과(73)가 실제 경작지 영역의 넓이와 다르거나, 경작지 영역의 경계의 꼭지점이 되는 점(72)을 잘못 마킹한 경우, 경작지 영역을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the manager terminal 201 with a delete button 74 for resetting the farmland area. Therefore, if the result 73 of calculating the area of the farmland area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width of the farmland area or if the user incorrectly marks the vertex 72 of the boundary of the farmland area, the farmland area can be reset. ca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상세 주소, 예를 들어, 경작지의 지번을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수신하여, 지번에 대응하는 경작지 영역의 지도상 경계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201)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가 자동 설정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수정없이 그대로 경작지 영역으로 인정하는 경우, 실제 지번에 대응하는 영역의 GPS 좌표 정보들의 집합을 경작지 영역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a farmland detailed address, for example, a farmland lot number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automatically sets a boundary on a map of a farml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farmland lot number to the administrator. By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201,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firmation from the administrator.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store a set of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ctual land number as farmland area information when a manager recognizes a farmland area on an automatically set map as a farmland area as it is without modification.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선택된 경작지 영역의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 및 경작지 기초 정보와 연관하여 경작지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S314).Farm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range information of the farmland area select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may be stored as farmlan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farmland basic information (S314).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경작지 영역의 범위가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작지 기초 정보 중 일부(81), 예를 들어, 경작지 AA, 총면적 3,472.3 ㎡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range of farmland area is selec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provides a part 81 of farmland basic information, for example, farmland AA, total area of 3,472.3 m 2 as shown in FIG.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1.

출입 관리 장치(100)는 설정된 경작지에서 작물의 경작을 직접 수행하는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된 사용자의 계정정보(8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1)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된 '김 ○○, 박 ○○, 최 ○○, 이 ○○, 김 △△. 오 △△' 등의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연관된 사용자의 계정정보(82) 중 적어도 한 명을 선택받아, 최종 선택된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를 'AA경작지'의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를 경작지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gister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who directly cultivates crops in a set farml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ccount information 82 of the user associated with the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20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Related 'Kim ○○, Park ○○, Choi ○○, Lee ○○, Kim △△. User's account information, such as 'o',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ceiv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82 of the associated user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and registers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finally selected user terminal 200 as a user of 'AA farmland'. can do.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store account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200 by including it in farmland information.

S310단계를 수행한 뒤,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20).After performing step S310,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anaging the farmland area (S32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91)를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within a farmland area,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assigns a location 91 on a map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tual location to the user's moving direction. It can be displayed together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 또는 경작지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에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does not exist within the farmland area or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farmland area,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port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information may not be provided. Howeve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exists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farmland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a map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there is.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하나의 경작지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존재하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91)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색깔, 모양 등을 다르게 각각의 사용자 위치를 표시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92),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을 함께 표시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when one or more users exist within one farmland area, allows the location 91 on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one or more users to be visually distinguished, for example, by color, Each user location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shape and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201 . Also,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account information 92 of each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a user nam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201.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면서, 경작지 영역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할 수 있다(S330).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200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farmland area information while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real time (S330).

구체적으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지 판단할 수 있다(S331).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continuously and periodically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dicate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farmland area information. It can be judged (S331).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밖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S332).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S332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경작지 영역 밖인 상태에서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경작지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3).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outside the farmland area,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monitor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S332).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collected in real time is not included in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peat step S332.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farmland area when the user terminal 200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from outside the farmland area (S333).

한편, 출입 관리 장치(100)는 S33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외부로 이동하는지 감시할 수 있다(S334). 출입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면, S334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경작지 영역 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경작지 밖으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5).Meanwhi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included in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in step S331,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monitor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oves outside the farmland area (S334). ).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collected in real time is included in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peat step S334.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included in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moved out of the farmland (S335).

S334 단계 또는 S335 단계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근무하는 경작지 명칭, 정규 근로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을 확정할 수 있고, 확정된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할 수 있다(S340).In step S334 or S335,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uses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farmland name where the user works and regular working hours, and the determined entry or exit time may be recorded in the entry/exit history (S340).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시각과 진출 시각의 차이가 기설정된 시간 미만, 예를 들어, 한 시간 미만이라면 휴식시간 혹은 식사시간으로 분류하여 출입 이력에 진입 시각과 진출 시각을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정규 근로시간이 아닌 시각에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영농 작업을 하기 위한 방문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입 시각 및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try time and exit time of the user terminal 2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less than one hour,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classifies it as a break time or meal time to enter the access history. Time and exit time may not be record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during non-regular working hours,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visit is not for farming work, and sets the entry time and exit time to the entry and exit history records. may not be recorded in

S340 단계에서 출입 관리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또는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한 후,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S350).After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cords the entry or exit time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access history in step S340,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entry or exit time to the farmland to the user terminal ( 200) (S350).

이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 출입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 방식으로 전달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 내의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되거나, 서드파티 서비스의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통상의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면, 진입 시각이 포함된 진입 알림 메시지(101), 예를 들어, '김○○님이 AA 경작지를 09:34에 진입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elivered in a push notification method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delivered in the form of a message withi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delivered in the form of a message of a third party service, or in the form of a normal message. It can also be deliver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records the entry time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access history, an entry notification message 101 including the entry time, for example, 'Kim○○' A notification message in a push notification format, such as 'You entered the AA farmland at 09:34', may be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출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록하면, 진출 시각이 포함된 진출 알림 메시지(102), 예를 들어, '김○○님께서 AA 경작지를 17:41에 진출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records the entry time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entry/exit history, an entry notification message 102 including the entry time is sent, for example, '○○ Kim A notification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notification, such as 'We entered :41,' may be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되지 않은 계정정보를 가진 사용자 단말(200)의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이 감지된 경우, 침입 감지 알림 메시지(103), 예를 들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이 AA 경작지에 진입하였습니다'와 같은 푸시 알림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진입 알림 메시지(101), 진출 알림 메시지(102)와는 구분되게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sends an intrusion detection notification message 103, for example, 'unregistered A notification message in the form of a push notification, such as 'The user terminal has entered AA farmland', may be generated separately from the entry notification message 101 and the exit notification message 102 and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201 .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경작지에서 진출하는 경우, 영농일지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S36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상술된 바에 따라 사용자의 진출을 감지하면(S361),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362).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allow a farming diary to be written when the user leaves the farmland (S36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detects the user's entry as described above (S361), it generates a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 connected to the farming diary form to the user terminal 200. It can be provided (S36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는 푸시 알림 형식의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04)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농일지 서식 또는 영농일지 작성 웹페이지를 호출하는데 필요한 URI, 또는 해당 URI로 하이퍼링크되는 객체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식의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11, 112)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request message 104 for writing a farming diary in the form of a push notific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quests a farming logbook creation in the form of a message including a URI required to call a farming logbook form or a webpage for preparing a farming logbook, or an object hyperlinked to the corresponding URI. Messages 111 and 112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104, 111, 112)를 통해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a request for providing a farming diary form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s 104 , 111 , and 112 .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363),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request for providing a farming diary form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S363), and may wait until the request for providing a farming diary form is received.

출입 관리 장치(100)는 S363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경작지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364).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영농일지 서식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63,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a farming log form in which basic farmland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filled in to the user terminal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the farming log form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S36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farming diary form stored i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기초 정보 입력 필드(121)에 경작지 이름, 경작지 작목, 당일 기후 정보를 자동 기입하여 영농일지 서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시간 입력 필드(122)에 작업 시작 시각과 작업 종료 시각 및 총 작업 시각을 출입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 기입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출입 이력에 기초하여 당일 작업한 작업 인원에 대한 정보도 자동 기입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a farming diary form by automatically entering the farmland name, farmland crop, and climate information of the day in the farmland basic information input field 121 . 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enter the work start time, work end time, and total work time in the work time input field 122 based on the access history.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also automatically fill i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orkers who worked on the day based on the access history.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자동 기입된 정보 중 수정이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기입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manually entered information to be corrected if correction is necessary among automatically entered information.

그리고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종류 입력 필드(123)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의 작목과 작업 일자에 기초하여 작업 종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작지의 작목이 '콩'이고 해당 작업 일자가 6월 19일이라면, 파종 작업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작업 종류 입력 필드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드롭박스 상의 선택항목 중 '파종' 작업을 최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a job type input field 123 to the us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ommend a type of work based on the crops and work dates of the cultivated land. For example, if the crop of cultivated land is 'bean' and the corresponding work date is June 19,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wing was performed, and 'seeding' ' Tasks can be placed at the top.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작업 세부사항 입력 필드(124)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당일 작업 특이사항이나 인수 인계 사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a task detail input field 124 to the user terminal 200 to allow the user to input specific task details or handover items for the day.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65).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도 12의 영농일지 서식의 작업 종류 입력 필드(123)와 작업 세부사항 입력 필드(124)에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item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n automatically filled farming diary form (S365). For exampl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item information input into the work type input field 123 and the work detail input field 124 of the farming diary form of FIG. 12 from the user terminal 200 . .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항목 정보를 기입하고, 모든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할 수 있다(S366).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write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tore a farming diary in which all item information is written (S366).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경작지, 동일한 작업 일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된 영농일지를 취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영농일지를 경작지별 또는 작업 일자별로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출입 관리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영농일지 열람 요청을 수신하면, 경작지별 취합된 영농일지 혹은 특정 작업자가 작성한 영농일지를 관리자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collect and store farming diaries prepared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200 corresponding to the same farmland and the same work date.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to read farming diaries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arrange the farming diaries written by the corresponding user by farmland or work date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terminal 200. Furthermor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viewing farming diaries from the manager terminal 201,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the manager terminal 201 with farming diaries collected by farmland or prepared by a specific worker.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경작지 출입 이력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드시트 형식의 출입 이력(131)을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권한정보에 따라 다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a request for reading the farmland access history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access history 131 in a spreadsheet format may be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 At this time,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different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information.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출입 이력을 날짜, ID, 진입 시각, 진출 시각, 작업 종류, 작목, 경작지 이름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필터 기능을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has a filter function capable of arranging the access history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by date, ID, entry time, exit time, work type, crop, and farmland name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 201) can be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한 경작지 관리 현황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계정정보(141)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farmland management status for one user as shown in FIG. 14 .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the account information 141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on the farmland management status.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사용자의 당일 방문 경작지 정보(142)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할 수 있다. 당일 방문 경작지 정보(142)에 표시되는 정보는 각 경작지에 대한 사용자의 진입 시각, 진출 시각, 작업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업 종류는 사용자가 당일 작성한 영농일지의 작업 종류와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당일 영농일지가 작성되지 않은 경우,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의 작목과 작업 일자에 기초하여 추천된 작업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the farmland information 142 visited on the day of the corresponding user on the farmland management status by each user terminal 200 .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armland information 142 visited on the day may include the user's entry time, exit time, and type of work for each farmland. In this case, the work type may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work type of the farming diary prepared by the user on the day. If the farming diary is not prepared for the day,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a recommended type of work based on the crop and work date of the farmland.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 분포(143)를 경작지 관리 현황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관리하는 복수의 경작지를 지도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경작지 분포(143)에 도시된 복수의 경작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세부 작업현황(144)에 선택된 경작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the farmland distribution 143 on the farmland management status, and display a plurality of farmlands managed by the user on a map in an identifiable manner. At this time, if one of the plurality of farmlands shown in the farmland distribution 143 is selected, the selected farmland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detailed work status 144 .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작업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당일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경로와 작업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식화된 자료에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체류 시간에 기초한 그래프(151)를 생성할 수 있고, 영농일지에 작성된 작업 종류와 연동하여 작업 종류에 따라 모양, 크기, 색깔을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도식화된 자료에 작업 종류를 알 수 있는 범례(152)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provide schematized data on the detailed work status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may display the work route and workload based on the staying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terminal 200 on the same day. At this time,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100 may generate a graph 151 based on the user's movement route and stay time in the schematized data, and in conjunction with the type of work written in the farming log, the shape, size, and color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can be mark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may display a legend 152 indicating the type of work on the schematized data.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자 단말(201)로부터 세부 작업 현황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작업 시간 중간에 수신되면, 작업 시작 시각부터 열람 요청이 확인된 시각까지의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세부 작업 현황을 도식화된 자료로 생성하여 열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receives a request for viewing the detailed work status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manager terminal 201 in the middle of the working time,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start time of the work to the time the reading request is confirmed ) Based on the stay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the detailed work status can be generated as schematized data and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1 that requested the reading.

이를 통해 출입 관리 장치(100)는 경작지에 근무하는 사용자들과 관리자로 하여금, 매일의 경작지 출입 및 영농작업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access control device 100 enables users and managers working in the farmland to easily grasp and manage daily farmland access and farming work status.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bu'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patent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separated from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executable by a computer. In this case, instructions and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may be generat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lso,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computer recording medium, which is a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t can include both 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or example,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HDD and SSD,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 DVD, and Blu-ray disc, or a memory included in a server accessible through a network.

또한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commands executable by a computer. A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ssembly language, or machine language. . Also,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tangib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g, a memory, a hard disk, a magnetic/optical medium, or a solid-state drive (SSD)).

따라서 도 3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computer program by a computing device. A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a low-speed bus and a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various buses and may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mounted in any 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command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to display graphic information for provid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on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speed interface. Examples include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or storage devices. As another example, multiple processors and/or multiple buses may be used along with multiple memories and memory types as appropriate. Also,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mprising chips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analog and/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the computing device. In one example, the memory may consist of a volatile memory unit or a collection thereof. As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mposed of a non-volatile memory unit or a collection thereof. Memory may also be another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Also, the storage device may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A storage device may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component that includes such a mediu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devices in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other components, such as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or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device array of the lik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

100: 출입 관리 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201: 관리자 단말
100: access control device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storage unit
200: user terminal 201: manager terminal

Claims (16)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경작지의 기초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It is performed by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Receiving and storing arable lan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f arable land and arable 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able land area from a manager terminal;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enters or exits the farmland area; and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the farmlan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작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수신된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경작지 기초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farmland information,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farmland area on a map corresponding to an actual farmland area to the manager terminal,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range of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nd storing farmland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armland rang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farmland basic information and an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으로 판단하여 진입 시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입 이력에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을 벗어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밖으로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로 판단하여 진출 시각을 상기 출입 이력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entry or exit to the cultivated land area,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exist within the farmland area,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is monitor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farmland area and enters the farmland area. Record the time in the access history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within the farmland area,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 of the farmland area is monitored,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side the farmland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has moved out of the farmland area, and the entry time is determined as the entry and exit time. An access management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memory, comprising the step of recording in a histor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3,
Provid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he information on the entry or exit time of the farmland i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이 감지되면,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riting a farming diary,
The step of preparing the farming diary,
generating a farming diary writing request message connected to a farming diary format and providing th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entry of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a farming log form in which basic information on the cultivated land is automatically filled in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the farming log form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ite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utomatically filled farming log form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farming diary in which the item information is enter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상기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도식화된 자료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if the farming diary is stored, generating schematized data about the current state of work based on the work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rming diary and the stay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schematized data to the manager terminal, th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출입 이력, 상기 영농일지, 상기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When a search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access history, the farming diary, and schematized data on the work status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provi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quest Further comprising,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based access management method.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로서,
경작지에 대하여, 상기 경작지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영역 정보와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경작지 정보와 영농일지 서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며, 상기 경작지 영역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s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based access control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rable land area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able land area, arable land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f the arable land, and a farming diary form;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to determine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into the farmland area,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entering or exiting;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user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제 경작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경작지에 연관된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지도상의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경작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경작지 기초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의 계정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unit,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 farmland area on a map corresponding to an actual farmland area is provided to a manag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farmland, information on the range of the farmland area on the map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The access contro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for storing the farmland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ange of the farmland area in the storage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farmland basic information and the account identifier of the manager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내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으로 판단하여 진입 시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입 이력에 기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 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경작지 영역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감시하여 상기 경작지 영역 밖으로 벗어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로 판단하여 진출 시각을 상기 출입 이력에 기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uni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oes not exist within the farmland area,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is monitor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moves into the farmland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farmland area. The entry time is recorded in the access history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within the farmland area, it is monitor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 of the farmland area,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 of the farmland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has entered and the entry time is determined. An access contro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which records the access history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입 또는 진출이 판단되면, 경작지 진입 또는 진출 시각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If entry or exit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information on entry or exit of the farmland i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출이 감지되면, 상기 영농일지 서식과 연결되는 영농일지 작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농일지 서식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작지의 기초 정보가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기입된 영농일지 서식을 통해 입력된 항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항목 정보가 기입된 영농일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When the entry of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a farming diary preparation request message connected to the farming diary form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the farming diary form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farmland A farming diary form in which basic information of is automatically filled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te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utomatically filled farming diary form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farming diary form in which the item information is writte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based access control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농일지가 저장되면 상기 영농일지에 포함된 작업 분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별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도식화된 자료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farming diary is stored, schematized data for work status is generated based on the work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rming diary and the sojourn time for each location on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chematize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access management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출입 이력, 상기 영농일지, 상기 작업 현황에 대한 도식화된 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unit,
When a search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access history, the farming diary, and the schematized data on the work status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quest is provided. Access control device based on information memory.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s recorded. 위치 정보 기억 기반 출입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executed by an access contro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KR1020220003549A 2022-01-10 2022-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KR102649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en) 2022-01-10 2022-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en) 2022-01-10 2022-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32A true KR20230108132A (en) 2023-07-18
KR102649575B1 KR102649575B1 (en) 2024-03-20

Family

ID=8742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49A KR102649575B1 (en) 2022-01-10 2022-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5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38A (en) * 2003-10-27 2005-05-19 Sorimachi Kk Automated system for recording farm work
WO2017164009A1 (en) *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Agribusiness support system, agribusiness support method, control device, communications terminal,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in
KR20180045554A (en)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farming-diary based on prof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38A (en) * 2003-10-27 2005-05-19 Sorimachi Kk Automated system for recording farm work
WO2017164009A1 (en) *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Agribusiness support system, agribusiness support method, control device, communications terminal,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in
JP6973375B2 (en) * 2016-03-24 202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80045554A (en)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farming-diary based on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575B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5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ud-based agricultural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US98135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generating a geospatial data map for use in agricultural operations
JP5997255B2 (en) Visual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mobility application for field workers
RU2728540C2 (en) Agricultural crops growing planning and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US9113590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in-season crop status in an agricultural crop and alerting users
Channe et al. Multidisciplinary model for smart agriculture using internet-of-things (IoT), sensors, cloud-computing, mobile-computing & big-data analysis
US20160247082A1 (en) Crop Model and Prediction Analytics System
US9111320B2 (en) Automated location-based information recall
US20140176688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2015027883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gricultural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via a mobile device
Steele Analysis of precision agriculture adoption & barriers in western Canada
EP2752808A1 (en) Imaging device, work support progra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McGlade et al. An early exploration of the use of the Microsoft Azure Kinect for estimation of urban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EP3032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plant disease through crowdsourcing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09600A1 (en) Mobile device, computer product,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80082272A (en) Farming management system, terminal,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Chauhan Advantages and challeging in E Agriculture
Jagyasi et al. Event based experiential computing in agro-advisory system for rural farmers
Jarvis et al. Adoption of web-based spatial tools by agricultural producers: Conversations with seven northeastern Ontario farmers using the GeoVisage decision support system
KR102649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memory
CN103618785A (en) Agriculture technology extension Android client system and realizing method thereof
Brown et al. Coping with historic drought in California rangelands: Developing a more effective institutional response
JP2020154440A (en) Task information analyzer and task information analysis method
Narechania KisanVikas-Android Based ICT Solution in Indian Agriculture to Assist Farmers.
JP7478066B2 (en) Work management system, work management method, and work manage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