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14A -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14A
KR20230108114A KR1020220003507A KR20220003507A KR20230108114A KR 20230108114 A KR20230108114 A KR 20230108114A KR 1020220003507 A KR1020220003507 A KR 1020220003507A KR 20220003507 A KR20220003507 A KR 20220003507A KR 20230108114 A KR20230108114 A KR 2023010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ry incontinence
unit
user
urine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73400B1 (en
Inventor
강병욱
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이제라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이제라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이제라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0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400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35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400B1/en
Publication of KR2023010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4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temperature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being also a toilet training 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Neuro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rsing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 수집부 내면 또는 외면에 패턴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의 배뇨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요실금 팬티, 상기 제1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로부터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1연결단자로 제1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단자,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소변발생신호를 발생하는 판단부, 제1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와 제2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서버 또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nty portion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a urine collect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panty portion to collect user's urine, and a conductive fiber, and includes an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ion portion. Alternatively, a smart urinary incontinence panty comprising a pattern unit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on an outer surface to generate a first electrical signal when the user urinates,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attern unit and receiv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first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to receive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urine generating signal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t may include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including a determining unit generating first sensing data, an acceleration sensor generating first sensing data, and a temperature sensor generating second sensing data, and a serv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rocessing device. .

Description

스마트 요실금 팬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Smart urinary incontinence panty and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실금 종류를 판단하여 요실금 종류에 따른 적절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요실금 관리시스ㅌ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of a user and enables appropriat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은 본인이 원치 않는데도 불구하고 소변이 새는 현상을 말한다. 재채기를 하거나, 크게 웃을 때 소변이 새는 경우도 있으며, 외출이나 걷기, 뛰기, 줄넘기 등 운동을 하는 경우에 소변이 새는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부관계를 하는 과정에서 소변이 마렵다고 느끼게 되며 곧바로 소변을 보기도 한다.Urinary incontinence refers to the leakage of urine in spite of the person's desire. Urine may leak when you sneeze or laugh loudly, and urine may leak when you go out or exercise such as walking, running, or jumping rope. In some cases, during intercourse, you feel the need to urinate, and you may urinate right away.

이처럼 요실금은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며, 요실금으로 인해 속옷이 젖는다는 것을 주변사람들이 알까봐 심리적인 불안감을 함께 겪게된다.As such, urinary incontinence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social life, and people experience psychological anxiety in case people around them know that underwear is wet due to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복합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진성 요실금, 심인성 요실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Urinary incontinenc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complex urinary incontinence,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true urinary incontinence, and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복압성 요실금은 요실금 증상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경우로 크게 웃을 때, 재채기를 할 때, 운동을 할 때 등 배에 힘이 들어가면 소변이 흘러나오는 형태로, 중년기 여성의 요실금 증상의 대부분이 복압성 요실금에 해당한다.Stress urinary incontinence is the most common symptom of urinary incontinence, in which urine flows out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tomach, such as when laughing, sneezing, or exercising. applicable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이 마렵다는 신호가 있어서 화장실에 가지만,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 또는 속옷을 내리기 전에 이미 소변이 흘러나오는 경우이다.Urgency urinary incontinence is when you go to the bathroom because you have a signal that you need to urinate, but urine already flows out before you get to the bathroom or before you take off your underwear.

복합성 요실금은 배에 힘을 줄 때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과, 신호가 와서 소변을 보려는데 속옷을 내리기 전에 속옷이 젖는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형태이다.Complex urinary incontinence is a mixed form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which urine leaks when the stomach is strained, and urge urinary incontinence, in which underwear is wet before unloading when a signal is received to urinate.

복합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30% 정도가 겪고 있는 질환이다.Complex urinary incontinence is a disease that affects about 30% of patients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일류성 요실금은 방광이 수축하지 않거나, 소변 배출구가 막혀 있는 환자로,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방광이 더 이상 소변을 저장할 수 없어서 흘러나오는 형태이다.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is a patient in which the bladder does not contract or the urine outlet is blocked, and the bladder is full of urine and the bladder can no longer store urine and flows out.

진성 요실금은 방광이 소변을 저장하지 못하고 항시 흘러나오는 형태로, 요도괄약근의 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이다.True urinary incontinence is a form in which the bladder does not store urine and always flows out, and is a case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urethral sphincter is completely lost.

심인성 요실금은 치매 노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방광이나 요도의 기능은 정상이지만, 소변을 어디에서 봐야 하는지, 언제 봐야 하는지를 구분하지 못하다 보니 아무 곳에서나, 옷을 입고 있어도 그냥 소변을 보는 형태이다.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is a common symptom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he function of the bladder or urethra is normal. .

이러한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은 수술을 통한 치료방법과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나뉜다. Method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are divided into surgical treatment methods and non-surgical treatment methods.

비수술적 치료는 케겔운동, 저주파 자극요법, 배뇨시간 조절 훈련이 있다. Non-surgical treatment includes Kegel exercise, low-frequency stimulation therapy, and training to control urination time.

배뇨시간 조절훈련은 소변이 마렵다는 신호가 올 때마다 화장실을 가는 것이 아니라, 소변 보는 시간을 정해놓고, 그 시간을 점차 늘려가는 방식이다.만약 소변을 1시간 정도 간격으로 보고 있다면, 일주일 정도에 20분이나 30분 정도씩 그 간격을 늘려가는 것이다.Urination time control training is not going to the bathroom every time the signal to urinate comes, but setting the time to urinate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time. Increase the interval by 20 or 30 minutes.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210136056 (2021.11.16 공개); 요실금 관리를 위한 사물 인터넷(IOT) 솔루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36056 (published on November 16, 2021);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s for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본 발명은 요실금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요실금 종류에 따른 적절한 관리를 가능하도록 가이딩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guides it to enable prop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또한, 본 발명은 요실금 판단 결과에 따라 치매환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enabling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dementia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urinary incontin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요실금 팬티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부,전도성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 수집부 내면 또는 외면에 패턴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의 배뇨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 smart incontinence pan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nty portion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a urine collect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panty portion to collect the user's urine, and a conductive fiber, the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ion portion.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pattern unit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on an outer surface to generate a first electrical signal when the user urinates,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attern unit and receiv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 수집부 내면 또는 외면에 패턴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의 배뇨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요실금 팬티, 상기 제1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로부터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1연결단자로 제1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단자,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소변발생신호를 발생하는 판단부, 제1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와 제2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서버 또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nty portion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a urine collect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panty portion to collect user's urine, and a conductive fiber, and includes an inn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ion portion. Alternatively, a smart urinary incontinence panty comprising a pattern unit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on an outer surface to generate a first electrical signal when the user urinates,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attern unit and receiv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first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to receive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urine generating signal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t may include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including a determining unit generating first sensing data, an acceleration sensor generating first sensing data, and a temperature sensor generating second sensing data, and a serv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rocessing device. .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요실금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pplication for managing urinary incontinence may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하는 제1사용자 정보부,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와 제1배뇨일지 작성부로 전달하는 제2사용자 정보부, 상기 제1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진성 요실금 및 심인성 요실금으로 분류하여 판단하는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제1배뇨일지 작성부,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하는 제1배뇨훈련부, 및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치매가 의심됨을 표시하는 제1치매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stores a first user information unit for storing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a second electrical signal,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and the A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the first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information unit and urin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signal,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to classify and determine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mixed urinary incontinence, flood urinary incontinence, true urinary incontinence, and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a first voiding diary that automatically creates a voiding diary when the user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A first urinary training unit for guiding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training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is received from the preparation unit and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A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may be included to indicate that the user's dementia is suspected whe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at the user has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is received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또한, 상기 서버는 제3사용자 정보부, 제4사용자 정보부,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 제2배뇨일지 작성부, 제2배뇨훈련부, 제2치매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may include a third user information unit, a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a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 second urination diary preparation unit, a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and a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may store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2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와 제2배뇨일지 작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may store a urine generation signal, a second electrical signal, second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cond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는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진성 요실금 및 심인성 요실금으로 분류하여 판단할 수 있다.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includes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and the urine generation signal, second electrical signal,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By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it is possible to classify and determine the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mixed urinary incontinence,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true urinary incontinence, and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배뇨일지 작성부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The second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may automatically create a urination diary when the user receiv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상기 제2배뇨훈련부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urinary training unit may guide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training whe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

또한, 상기 서버는 제2치매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또한, 상기 제1치매관리부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함을 상기 제2치매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Can be delivered.

또한, 상기 제2치매관리부는 상기 제1치매관리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전달받거나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표시하거나, 치매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의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치매가 의심됨을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receives notific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or receiv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user A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or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user, or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to indicate that the user is suffering from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or to a server of a national institution that specializes in managing dementia, so that the user has dementia Suspicion can be conveyed.

본 발명은 스마트 요실금 팬티의 전기신호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센싱결과에 기반하여 요실금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요실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관리를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smart urinary incontinence pants and the sensing result of the processing device, and inducing appropriat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요실금 팬티의 전기신호와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센싱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치매를 판단하고, 치매판단시 사용자, 보호자 분만 아니라 치매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으로 사용자의 치매의심 사실을 전달하여 적절한 치매관리를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user's dementia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smart incontinence pants and the sensing result of the processing device, and when the dementia is determined, it is a national institution that specializes in managing dementia as well as the user and guardian, and the user's suspected dementia is confirmed. It has the advantage of inducing appropriate dementia management by deliv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결합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팬티에 결합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요실금 관리시스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서버의 블록도이다.
1 shows a urinary incontinence pan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llustrates a processing device coupled to an incontinence pan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a processing device coupled to an incontinence pan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urin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waterproof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관리시스템(1000)은 스마트 요실금 팬티(100), 프로세싱 디바이스(200), 휴대용 단말기(300),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art urinary incontinence panty 100 , a processing device 200 , a portable terminal 300 , and a server 400 .

<스마트 요실금 팬티(100)><Smart incontinence panties (100)>

스마트 요실금 팬티(100)는 팬티부(110), 소변 수집부(120), 패턴부(130), 제1연결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incontinence panty 100 may include a panty portion 110, a urine collection portion 120, a pattern portion 130,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1. 팬티부(110)1. Panty part 110

본 발명의 팬티부(110)는 통상의 팬티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진다. The panty portion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in the same way as a normal panty.

2. 소변 수집부(120)2. Urine collection unit 120

상기 소변 수집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팬티부(110)를 착용한 후 소변이 상기 팬티부(110)에 가장 먼저 도달하는 부위이다. 상기 소변 수집부(120)는 상기 팬티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한다. The urine collecting part 120 is a part where urine first reaches the panties part 110 after the user wears the panties part 110 . The urine collection unit 120 is disposed inside the panty unit 110 to collect user's urine.

상기 소변 수집부(120)는 건강한 사람이 일반적인 조건으로 배뇨하는 소변이 아닌 요실금 환자가 짧은 시간에 소량 배출되는 소변을 흡수하여 화장실을 가지 않고 일정시간 생활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성이 부여된다.The urine collect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helping incontinent patients to li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going to the toilet by absorbing small amounts of urine dischar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not urine that healthy people urinate under normal conditions.

상기 소변 수집부(120)에서 흡수되는 소변량은 50 내지 150cc일 수 있다. The amount of urine absorbed by the urine collection unit 120 may be 50 to 150 cc.

상기 소변 수집부(120)는 소변이 처음 도달하는 도수층(121), 소변을 확산하는 확산층(122), 소변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수층(123), 소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rine collection unit 120 includes a water supply layer 121 where urine first arrives, a diffusion layer 122 for diffusing urine, an absorbent layer 123 for absorbing and storing urine, and a waterproof layer 124 for preventing leakage of urine to the outside. ) may be included.

상기 도수층(121)은 친수성 섬유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받아 상기 확산층(122)으로 전달한다. 상기 도수층(121)은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부위로 순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순면층은 사용자의 민감한 피부에 닿는 부위로 유기농 순면 재질로 형성되어 피부염을 방지하도록할 수 있다. The aqueous layer 121 is formed of a hydrophilic fiber material, receives user's urine, and transfers it to the diffusion layer 122 . The water supply layer 121 is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may be made of pure cotton. The pure cotton layer is an area in contact with the user's sensitive skin and is formed of organic pure cotton to prevent dermatitis.

상기 확산층(122)은 소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수층(121)으로부터 전달된 소변을 확산시켜 상기 흡수층(123)으로 전달한다.The diffusion layer 122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and diffuses the urine transferred from the water supply layer 121 and transfers it to the absorption layer 123 .

상기 흡수층(123)은 친수성 재질의 상부층(123a)과 셀룰로오스 재질의 하부층(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123a)은 일정량의 소변을 흡수한다. 상기 하부층(123b)은 상기 상부층(123a)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남은 소변을 가두어 소변의 역샘을 방지한다. 여기서 역샘이라 사용자의 자세 변경, 기침 등으로 상기 요실금 팬티(10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흡수층(123)에서 도수층(121)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말한다. The absorbent layer 123 may include an upper layer 123a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and a lower layer 123b made of a cellulose material. The upper layer 123a absorbs a certain amount of urine. The lower layer 123b traps urine that is not absorbed by the upper layer 123a and prevents urine from flowing backwards. Here, the reverse flow means that urine flows backward from the absorbent layer 123 to the water layer 121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rinary incontinence panty 100 due to a user's posture change or coughing.

상기 방수층(124)은 상기 팬티부(110) 내부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소변 흡수층(123)에 흡수된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수소재의 백시트일 수 있다. 상기 백시트는 액체 상태의 수분은 배출되지 않으면서 증기 상태의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미세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proof layer 124 is a portion that meets the inside of the panty portion 110 and may be a back sheet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o prevent urine absorbed in the urine absorption layer 123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back sheet may have minut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moisture in a vapor state is discharged while moisture in a liquid state is not discharged.

3. 패턴부(130)3. Pattern part 130

상기 패턴부(130)는 전도성 섬유로 상기 방수층(124) 내면 또는 상기 방수층(124)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attern part 130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124 or an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124 using a conductive fiber.

상기 전도성 섬유는 카본계, 은나노 및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섬유는 섬유 형태 또는 실(thread) 형태일 수 있다. The conductive fib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carbon-based, nano-silver, and graphene. In addition, the conductive fiber may be in the form of a fiber or a thread.

상기 패턴부(130)는 전도성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요실금 팬티(100)와 함께 세탁가능하여 상당기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attern part 130 is made of conductive fiber and can be washed together with the incontinence panty 100, so it can be reus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상기 패턴부(130)는 상기 전도성 섬유를 상기 방수층(124) 내면에 초음파 융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ttern part 130 may be formed by ultrasonic welding the conductive fi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124 .

또는, 상기 패턴부(130)는 상기 전도성 섬유를 상기 방수소재의 백시트에서 패턴이 형성되도록 봉제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attern part 130 may be formed by sewing the conductive fibers so that a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sheet of the waterproof material.

또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상기 패턴부(130)는 상기 방수층(124) 외면과 상기 팬티부(110)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attern part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1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nty part 110 through ultrasonic welding.

상기 패턴부(130)는 제1패턴과 제2패턴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은 나란한 선 형태이거나, 상기 나란한 선에서 연장된 복수의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ttern unit 13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face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may be in the form of parallel lines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es extending from the parallel lines.

상기 패턴부(130)의 단부에는 상기 패턴부(13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패턴부(130)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로 전달하는 복수의 제1연결단자(140)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that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o the pattern portion 130 and transfer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the pattern portion 130 to the processing device 200 at an end of the pattern portion 130 . ) can be formed.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를 착탈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1연결단자(140)가 마련된다. 상기 제1연결단자(140)는 짝수개로 2개, 4개, 6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가 2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through which the processing device 20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re provide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may be formed in an even number of two, four, or six. In FIG. 1 , two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may be formed.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후술할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제2연결단자(2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거나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can receive or transmit electrical signals.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상기 제2연결단자(210)는 착탈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may be detachable.

상기 제1연결단자(140)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210)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돌출부가 맞춰지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돌출부가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에서 상기 제2연결단자(210)가 탈락된다.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상기 제2연결단자(210)의 수는 동일하며,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가 맞춰지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and a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so that the protrusion fits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cave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210 is removed from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140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0 have the same number, and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so that the protrusions and the concave parts are aligned.

반대로, 제2연결단자(210)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단자(140)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돌출부가 맞춰지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돌출부가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에서 상기 제2연결단자(210)가 탈락된다.Conversely,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and a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so that the protrusion fits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cave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210 is removed from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140 .

또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상기 제2연결단자(210)는 자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상기 제2연결단자(210)는 자기력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magnetism,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interact with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may be connected.

<프로세싱 디바이스(200)><Processing device 200>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상기 요실금 팬티(100)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제2연결단자(210), 배터리(220), 판단부(230), 제1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continence panty 100 . The proces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 a battery 220 , a determination unit 230 ,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250 .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배꼽 아래 또는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의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배꼽 아래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The proces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below or above the belly button of the user. Preferably, it can be mounted below the navel to prevent wearing discomfort.

1. 제2연결단자(210)1.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단자(210)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단자(210)는 상기 제1연결단자(14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 제1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부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0 are formed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transmit a firs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40 Receives a second electrical signal from

2. 배터리(220)2. Battery (220)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요실금 관리를 위한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20)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20)는 일회용이거나 충전방식 모두 이용될 수 있다.The processing device 200 may contain a battery 220 providing driving power for managing urinary incontinence. The battery 220 may be disposable or used in both charging methods.

3. 판단부(230)3. Judging unit 230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패턴부(130)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터리(2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20)는 상기 전기발생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패턴부(130)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n electricity generation signal for su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attern unit 130 and transmit it to the battery 220 . When the battery 220 receives the electricity generation signal, it can generate a preset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pattern part 130 .

상기 제1전기신호는 상기 제2연결단자(210)를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 전달된다.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 전달된 제1전기신호는 제1패턴부(131)로 전달된다. The first electrical signal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attern part 131 .

상기 소변 수집부(120)에 소변이 묻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패턴부(131)와 상기 제2패턴부(132) 사이에 저항값이 크고 유전율이 작아, 상기 제1패턴부(131)로 전달된 제1전기신호는 제2패턴부(132)까지 전달되지 못 한다. When the urine collection part 120 is not stained with urine, the resistance value is high and the permittivity is small between the first pattern part 131 and the second pattern part 132, so that the first pattern part 131 The transmitted first electrical signal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2 .

반대로, 상기 소변 수집부(120)에 소변이 묻은 경우에는 상기 제1패턴부(131)와 상기 제2패턴부(132) 사이의 저항값이 하강되고 유전율이 높아지며, 상기 제1패턴부(131)로 전달된 제1전기신호가 제2패턴부(132)까지 전달된다. Conversely, when the urine collecting part 120 is stained with urine,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pattern part 131 and the second pattern part 132 decreases and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s, and the first pattern part 131 )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2 is transmitted.

상기 제2패턴부(132)는 상기 제1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제2전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 전달한다. 상기 제1연결단자(140)로 전달된 제2전기신호는 상기 제2연결단자(210)를 거쳐 판단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pattern unit 132 outputs a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30 via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10 .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소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at urine has occurred whe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또한,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소변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변발생신호와 상기 제2전기신호를 상기 통신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urine genera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the urine gen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50 .

4. 센서부(240)4. Sensor unit 240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가 위치하는 곳의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is built into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can sense an environment where the processing device 200 is located.

상기 센서부(240)는 가속도 센서와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복압 변화에 따른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위치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센싱데이터가 미리 설정한 범위 이상인 경우에 제1센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may sense a positional chang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 change in abdominal pressure of the user. The acceleration sensor may generate first sensing data and transmit the first sensing data to the communication unit 250 when the sensing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ange.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온도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하의를 탈의할 때 하강되어 센싱되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제2센싱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may sense a temperature chang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 When the user takes off his/her bottoms to defecate, and the sensed data falls outside of a preset range, second sensing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50 .

5. 통신부(250)5. Communication unit 250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판단부(230)로부터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소변발생신호와 상기 제2전기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urine generation signal from the determination unit 230,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the urine gen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server 400.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된 센싱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sens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the sensing data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server 400 .

<휴대용 단말기(300)><Portable terminal 300>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원거리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에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고가이며 배터리(220) 소모가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서버(400)와 직접 통신하기 어렵다. The processing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a server 400 . Since the server 400 is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ust be installed in the processing device 200 . However,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expensive and consumes a lot of battery 220.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processing device 200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400 .

따라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500)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surrounding access point 500 through Wi-Fi or Bluetooth.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300)는 서버(400)의 액세스 포인트로 이용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ccess point of the server 400 .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는 요실금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pplication for managing urinary incontinence may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1사용자 정보부(310), 제2사용자 정보부(320),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 제1배뇨일지 작성부(340), 제1배뇨훈련부(350), 제1치매관리부(360),표시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user information unit 310, a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a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a first urination diary writing unit 340, a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a first dementia A management unit 360 and a display unit 370 may be included.

1. 제1사용자 정보부(310)1. First user information unit 310

상기 제1사용자 정보부(310)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user information unit 310 may store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

2. 제2사용자 정보부(320)2.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와 제1배뇨일지 작성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stores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uses the sto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first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nit 330 and the first voiding diary writing unit 340.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제1사용자 정보부(3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요실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information unit 310, a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and a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electrical signals,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3.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3.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제1사용자 정보부(3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includes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information unit 310, a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and a second electrical signal.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by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1) 복압성 요실금 판단(1) Determination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면서, 나이가 48세 이상이거나 골반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거나, 조기폐경 이력이 있고, 상기 제1센싱데이터를 전달받은 이후 소정시간 범위 이내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 복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age is 48 years or older,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or a history of early menopause, and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receiving the first sensing data.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여기서, 제1센싱데이터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복압의 차이에 의해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소변량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여성이면서, 자연폐경, 조기폐경, 또는 방사선치료에 따른 강제 폐경이면서, 복압차이가 발생하고 소변이 발생하면서, 소변량이 적은 경우에 복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Here, the first sensing data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means that the loca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is changed by a difference in the user's back pressure.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it means that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That i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when the user is a woman, undergoes natural menopause, early menopause, or forced menopause due to radiation therapy, and a difference in abdominal pressure occurs, urine is generated, and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2) 절박성 요실금 판단(2) Determination of urge incontinence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거나, 병력데이터에 자궁암 또는 직장암 수술이력, 골반 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고, 상기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기 이전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 절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transmits a urine generation signal prior to receiving the second sensing data when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history data includes a history of uterine cancer or rectal cancer surgery, and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and,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as urge incontinence.

여기서, 제2센싱데이터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배뇨를 느껴 하의를 탈의하면서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소변량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여성거나, 방광에 가까운 자궁 또는 직장의 외과적 수술에 따라 방광 기능에 손상이 있거나, 골반 방사선 치료에 따라 방광 기능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 요의를 느끼고 하의를 탈의하기 이전에 소변이 발생하면서 소변량이 적은 경우 절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Here, the second sensing data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mean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decreases while the user feels urination and takes off the lower garment.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it means that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That is, if the user is female, has damage to the bladder function due to surgical operation of the uterus or rectum close to the bladder, or damage to the bladder function due to pelvic radiation therapy, before feeling the urge to urinate and removing the lower garment, Urinary incontinence is diagnosed when urine output is low.

(3) 혼합성 요실금 판단(3) Determination of mixed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면서, 나이가 48세 이상이거나 골반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거나, 조기폐경 이력이 있고, 상기 제1센싱데이터를 전달받은 이후 소정시간 범위 이내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와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거나, 병력데이터에 자궁암 또는 직장암 수술이력, 골반 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고, 상기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기 이전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가 혼재된 경우에 혼합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age is 48 years or older,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or a history of early menopause, and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receiving the first sensing data.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the range, and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gender of the user is female, or the medical history data includes a history of uterine cancer or rectal cancer surgery and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and the second Mixed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before sensing data is received, and cases in which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re mixed.

즉, 혼합성 요실금은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혼재된 것을 의미한다.That is, mixed urinary incontinence means a mixture of urge urinary incontinence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4) 일류성 요실금 및 진성 요실금 판단(4) Determination of first-class urinary incontinence and true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가 지속적이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이면서,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지 못 한 경우에 비뇨기가 정상적이 못한 일류성 요실금 또는 진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is continuous,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If the sensing data is not received, it is judged as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or true urinary incontinence in which the urinary system is not normal.

(5) 심인성 요실금 판단(5) Determination of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가 미리정한 주기를 벗어나고,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상이면서,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지 못 한 경우에 비뇨기 기능은 정상이지만 사용자가 치매 노인에 해당하는 심인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is out of a predetermined cycle,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rst sensing data and when the second sensing data is not received, the urinary function is normal, but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corresponding to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판단 결과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 결과를 제1배뇨일지 작성부(340)와 제1배뇨훈련부(350)로 전달한다.When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irst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340 and the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determine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is forwarded to

또한,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사용자가 일류성 요실금 및 진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결과를 표시부(370)로 전달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first-class urinary incontinence or true urinary incontinen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70 .

또한,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는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결과를 제1치매관리부(360)로 전달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

4. 제1배뇨일지 작성부(340)4. First urination diary writing unit 340

상기 제1배뇨일지 작성부(340)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한다.The first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340 automatically sets a urination diary when receiv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write with

상기 배뇨일지는 하루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3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와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하루동안 사용자의 소변횟수, 소변시 배뇨량, 요실금 횟수, 요실금 시 배뇨량이 시간순서대로 작성된다. The urination diary is based on the urine gen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320 in predetermined time units for a day, based on the user's urination frequency, urination volume during urination, urinary incontinence frequency, and urination volume during urinary incontinence. written in this chronological order.

5. 제1배뇨훈련부(350)5.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상기 배뇨훈련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표시부(370)를 통해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한다.The urination training is performed by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when the user receives a result of determination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guide the training

상기 제1배뇨훈련부(350)는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케겔 훈련을 진행하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케겔 운동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한다.When the user h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guides the user through Kegel exercise through a display unit 370 with videos, texts, pictures, etc.,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Kegel training.

상기 제1배뇨훈련부(350)는 상기 사용자가 절박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요의를 느낀 후 소정시간동안 참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소변참기 훈련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한다.The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guides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urinary retention training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hold back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feeling the urge to urinate in the case of urge incontinence.

상기 제1배뇨훈련부(350)는 상기 사용자가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케겔 훈련을 진행하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케겔 운동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하고, 요의를 느낀 후 소정시간동안 참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소변참기 훈련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한다.When the user has mixed urinary incontinence, the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guides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Kegel exercise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Kegel training, and controls urinary incontinence. After feeling it,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urinary retention training are gu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to endure for a predetermined time.

6. 제1치매관리부(360)6.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상기 제1치매관리부(360)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370)로 상기 사용자의 치매가 의심됨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informs the user that dementia is suspected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1치매관리부(360)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함을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330, the server 400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can be forwarded to

7. 표시부(370)7. Display unit 370

상기 표시부(370)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330)의 판단결과, 상기 제1 배뇨일지 작성부에서 형성된 배뇨일지, 제1배뇨훈련부(350)에서 안내한 동영상, 텍스트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7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330, the urination diary formed by the first urination diary preparation unit, and video, text, and pictures guided by the first urination training unit 350. can be displayed.

또한, 후술할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의 판단결과, 상기 제2 배뇨일지 작성부에서 형성된 배뇨일지, 제2배뇨훈련부(450)에서 안내한 동영상, 텍스트 및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transmitted from the ser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urination diary formed by the second urination diary writing unit, video and text guided by 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And at least one of photos may be display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요실금 팬티(100)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를 내장할 수 있는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incontinence pant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capable of containing the processing device 200.

<서버(400)><Server 400>

상기 서버(400)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 근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와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일 수 있다. The server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processing device 200 via an access point near the processing device 200 . The access point may be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Wi-Fi or Bluetooth.

상기 서버(400)는 제3사용자 정보부(410), 제4사용자 정보부(420),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 제2배뇨일지 작성부(440), 제2배뇨훈련부(450), 제2치매관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400 includes a third user information unit 410, a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a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430, a second urination diary writing unit 440, a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A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460 may be included.

1. 제3사용자 정보부(410)1. Third user information unit 410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410)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410 may store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430 .

2. 제4사용자 정보부(420)2.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420)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2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와 제2배뇨일지 작성부(4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stores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uses the sto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nit 430 and the second voiding diary writing unit 440.

3.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3.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4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4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430 includes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410, a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and a second electrical signal.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ype of urinary incontinence by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1) 복압성 요실금 판단(1) Determination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면서, 나이가 48세 이상이거나 골반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거나, 조기폐경 이력이 있고, 상기 제1센싱데이터를 전달받은 이후 소정시간 범위 이내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 복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age is 48 years or older, the user has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or a history of early menopause, and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receiving the first sensing data.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여기서, 제1센싱데이터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복압의 차이에 의해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소변량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여성이면서, 자연폐경, 조기폐경, 또는 방사선치료에 따른 강제 폐경이면서, 복압차이가 발생하고 소변이 발생하면서, 소변량이 적은 경우에 복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Here, the first sensing data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means that the loca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is changed by a difference in the user's back pressure.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it means that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That i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when the user is a woman, undergoes natural menopause, early menopause, or forced menopause due to radiation therapy, and a difference in abdominal pressure occurs, urine is generated, and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2) 절박성 요실금 판단(2) Determination of urge incontinence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거나, 병력데이터에 자궁암 또는 직장암 수술이력, 골반 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고, 상기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기 이전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 절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430 transmits a urine generation signal prior to receiving the second sensing data when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history data includes a history of surgery for uterine cancer or rectal cancer, and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and,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as urge incontinence.

여기서, 제2센싱데이터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배뇨를 느껴 하의를 탈의하면서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소변량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여성거나, 방광에 가까운 자궁 또는 직장의 외과적 수술에 따라 방광 기능에 손상이 있거나, 골반 방사선 치료에 따라 방광 기능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 요의를 느끼고 하의를 탈의하기 이전에 소변이 발생하면서 소변량이 적은 경우 절박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 Here, the second sensing data indicates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and mean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device 200 decreases while the user feels urination and takes off the lower garment.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it means that the amount of urine is small. That is, if the user is female, has damage to the bladder function due to surgical operation of the uterus or rectum close to the bladder, or damage to the bladder function due to pelvic radiation therapy, before feeling the urge to urinate and removing the lower garment, Urinary incontinence is diagnosed when urine output is low.

(3) 혼합성 요실금 판단(3) Determination of mixed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면서, 나이가 48세 이상이거나 골반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거나, 조기폐경 이력이 있고, 상기 제1센싱데이터를 전달받은 이후 소정시간 범위 이내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와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자이거나, 병력데이터에 자궁암 또는 직장암 수술이력, 골반 방사선 치료이력이 있고, 상기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기 이전에 소변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가 혼재된 경우에 혼합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gender is female, the age is 48 years or older, the user has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or a history of early menopause, and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receiving the first sensing data.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within the range, and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gender of the user is female, or the medical history data includes a history of uterine cancer or rectal cancer surgery and a history of pelvic radiation treatment, and the second Mixed urinary incontinence is determined when a urin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before sensing data is received, and cases in which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re mixed.

즉, 혼합성 요실금은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혼재된 것을 의미한다.That is, mixed urinary incontinence means a mixture of urge urinary incontinence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4) 일류성 요실금 및 진성 요실금 판단(4) Determination of first-class urinary incontinence and true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4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가 지속적이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하이면서,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지 못 한 경우에 비뇨기가 정상적이 못한 일류성 요실금 또는 진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is continuous,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If the sensing data is not received, it is judged as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or true urinary incontinence in which the urinary system is not normal.

(5) 심인성 요실금 판단(5) Determination of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4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가 미리정한 주기를 벗어나고, 제2전기신호에 기반한 전류값이 소정 범위 이상이면서,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를 전달받지 못 한 경우에 비뇨기 기능은 정상이지만 사용자가 치매 노인에 해당하는 심인성 요실금으로 판단한다.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is out of a predetermined period, the current value based on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rst sensing data and when the second sensing data is not received, the urinary function is normal, but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corresponding to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판단 결과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 결과를 제2배뇨일지 작성부(440)와 제2배뇨훈련부(450)로 전달한다.Whe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430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econd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440 and 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determine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is forwarded to

또한,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사용자가 일류성 요실금 및 진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결과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판단결과를 표시부(370)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first-class urinary incontinence and true urinary incontinen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on the display unit 370 .

또한, 상기 판단결과를 서버(40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

또한,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는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판단결과를 제2치매관리부(460)로 전달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460 .

4. 제2배뇨일지 작성부(440)4. Second urination diary writing unit 440

상기 제2배뇨일지 작성부(440)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한다.The second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440 automatically sets a urination diary when receiv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write with

상기 배뇨일지는 하루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420)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와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하루동안 사용자의 소변횟수, 소변시 배뇨량, 요실금 횟수, 요실금 시 배뇨량이 시간순서대로 작성된다. The urination diary is based on the urine gen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420 in predetermined time units for a day, based on the user's urination frequency, urination volume during urination, urinary incontinence frequency, and urination volume during urinary incontinence. written in this chronological order.

이렇게 작성되 배뇨일지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어 상기 표시부(370)에 표시될 수 있다. The urination diary information prepar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70 .

또는 서버(40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t may be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5. 제2배뇨훈련부(450)5.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상기 제2배뇨훈련부(450)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한다.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performs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when receiv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guide the training

상기 제2배뇨훈련부(450)는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케겔 훈련을 진행하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케겔 운동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한다.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guides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Kegel exercise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Kegel training when the user h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제2배뇨훈련부(450)는 상기 사용자가 절박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요의를 느낀 후 소정시간동안 참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소변참기 훈련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서버(40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recalls information such as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urinary retention training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hold back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feeling the urge to urinate in the case of urge incontinence. It can be delive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상기 제2배뇨훈련부(450)는 상기 사용자가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케겔 훈련을 진행하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케겔 운동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을 안내하고, 요의를 느낀 후 소정시간동안 참도록 표시부(370)를 통해 소변참기 훈련에 관한 동영상, 텍스트, 사진 등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거나, 서버(40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450 guides videos, texts, pictures, etc. related to Kegel exercises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o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Kegel training when the user has mixed urinary incontinence, and controls urinary incontinence. After feeling, information such as videos, texts, photos, etc. related to urinary retention training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to endur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o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can be displayed

6. 제2치매관리부(460)6.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460)

상기 제2치매관리부(460)는 상기 제1치매관리부(360)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전달받거나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430)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서버(400)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460 receives notific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360 or determines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430, When the delivery is received,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the portable terminal 300 possessed by the user's guardian, or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400 may indicate that the user is suffering from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there is.

또는 치매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의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치매가 의심됨을 전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transmit that the dementia is suspected to a server of a national institution that professionally manages dementia.

Claims (5)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 수집부 내면 또는 외면에 패턴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의 배뇨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요실금 팬티.
Panty part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a urine collec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panty unit to collect user's urine;
a pattern unit made of conductive fiber and forming a pattern on an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ion unit to generate a first electrical signal when the user urinates; and
A smart incontinence panty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attern unit and receiv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는 팬티부, 상기 팬티부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소변 수집부,
전도성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소변 수집부 내면 또는 외면에 패턴을 이루어 상기 사용자의 배뇨시 제1전기신호를 생성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요실금 팬티;
상기 제1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로부터 상기 제2전기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1연결단자로 제1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단자, 상기 제2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소변발생신호를 발생하는 판단부, 제1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와 제2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서버 또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
A panty portion filled between the user's legs, a urine collect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panty portion to collect user's urine,
It is made of conductive fibers and forms a pattern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urine collection unit to generate a first electrical signal when the user urinates, and a first connection connected to the pattern unit to receive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Smart incontinence panties including terminals;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receive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including a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a generated signal, an acceleration sensor that generates first sensing data, and a temperature sensor that generates second sensing data;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erv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rocess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요실금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하는 제1사용자 정보부;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와 제1배뇨일지 작성부로 전달하는 제2사용자 정보부;
상기 제1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2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진성 요실금 및 심인성 요실금으로 분류하여 판단하는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제1배뇨일지 작성부;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하는 제1배뇨훈련부; 및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치매가 의심됨을 표시하는 제1치매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ortable terminal has an application for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installed,
The application
a first user information unit that stores age, sex,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A second unit for storing the urine generation signal, second electrical signal,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the first urination diary preparation unit. user information department;
Urinary incontinence by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information unit and the urine generation signal, second electrical signal,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information unit. Types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mixed urinary incontinence,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true urinary incontinence and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classify and determine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 first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creates a voiding diary when the user receives a result of determin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 first urinary incontinence training unit for guiding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training when a result of determin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is received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and a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displaying that the user's dementia is suspected when receiving a result of determin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3사용자 정보부, 제4사용자 정보부,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 제2배뇨일지 작성부, 제2배뇨훈련부, 제2치매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병력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는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2센싱데이터, 제2센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와 제2배뇨일지 작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는 상기 제3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병력정보와 상기 제4사용자 정보부로부터 전달된 소변발생신호, 제2전기신호, 제1센싱데이터 및 제2센싱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요실금의 종류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진성 요실금 및 심인성 요실금으로 분류하여 판단하고,
상기 제2배뇨일지 작성부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배뇨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상기 제2배뇨훈련부는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압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케겔 운동 또는 소변참기 훈련을 안내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server includes a third user information unit, a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a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 second urination diary preparation unit, a second urination training unit, and a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stores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stores the urine generation signal,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cessing device, and stores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cond urination diary. forwarded to the drafting department,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includes the user's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user information unit, and the urine generation signal, second electrical signal, first sensing data, and second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ourth user information unit. By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urinary incontinence, it is determined by classifying it in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mixed urinary incontinence, 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true urinary incontinence and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The second voiding diary preparation unit automatically creates a urination diary when the user receiv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voiding training unit manages urinary incontinence by guiding Kegel exercise or urinary retention training when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ing unit receives a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rge urinary incontinence, or mixed urinary incontinenc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2치매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치매관리부는 상기 제1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함을 상기 제2치매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치매관리부는 상기 제1치매관리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전달받거나 상기 제2요실금 종류 판단부로부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결과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심인성 요실금에 해당됨을 표시하거나,
치매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의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치매가 의심됨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server further includes a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transmits to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when receiving a result of determination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dementia management unit receives a message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first dementia management unit or receives a determination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corresponds to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from the second urinary incontinence type determination unit, the user's mobile phone Display that the user is suffering from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with a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the user's guardian, or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ransmits a suspicion of dementia to a server of a national institution that specializes in managing dementia.
KR1020220003507A 2022-01-10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673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07A KR102673400B1 (en) 2022-01-10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07A KR102673400B1 (en) 2022-01-10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14A true KR20230108114A (en) 2023-07-18
KR102673400B1 KR102673400B1 (en)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056A (en) 2019-03-04 2021-11-16 드리크 헬스 인크.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s for Incontinence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056A (en) 2019-03-04 2021-11-16 드리크 헬스 인크.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s for Incontinence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385B2 (en) Seating apparatu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gnosing and curing urinary incontinence, erectile dysfunction and defecation disorders
KR101325581B1 (en) Integrated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through connection to smart phone
CN107049342B (en) Female pelvic floor function detection and treatment probe
CN101415463B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stimulating different bodyparts
KR101713934B1 (en) Diagnosis and treatment equipment of fully automatic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US20170055874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travesical urodynamic analysis
CN108367189A (en) Pelvic muscle exercises device
US7147606B1 (en) Urinary diagnostic system having a retrievable sensing device
US10828488B2 (en) Probing device for managing stress urinary incontinence
US2021035319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bladder function
KR101713933B1 (en) Diagnosis and treatment equipment of semi automatic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KR101202018B1 (en) Seating apparatu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gnosing and curing urinary incontinence, erectile dysfunction and defecation disorders
Donnelly et al. Sports medicine and the pelvic floor
KR20230108114A (en)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673400B1 (en) A smart panty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8542739B (en) Remote interactive Kaiger muscle rehabilitation device
US20230201660A1 (en) Medical devic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40116596A (en) Wireless treatment device using EMG
KR102624931B1 (en) Machine learning-based urinary disorder diagnosis and diaper dermatitis diagnosis system
KR101816005B1 (en) A apparatus for examining and for training urinary incontinence
CN108355320A (en) Kai Geer muscular recuperation devices
KR102464054B1 (en) Diagnostic treatment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with non-face-to-face telemedicine
CN209187908U (en) A kind of Kai Geer muscular recuperation device
KR102121222B1 (en) System for measuring woman vagina muscular strength and providing exercise guide
Attari Design and Testing Novel Wearable Instrumentation for Assessing Pelvic Floor Function and Exploring Continence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