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040A -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040A
KR20230108040A KR1020220003352A KR20220003352A KR20230108040A KR 20230108040 A KR20230108040 A KR 20230108040A KR 1020220003352 A KR1020220003352 A KR 1020220003352A KR 20220003352 A KR20220003352 A KR 20220003352A KR 20230108040 A KR20230108040 A KR 2023010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ty
online
people
offline
univer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일
박서윤
조정윤
정윤아
Original Assignee
박세일
박서윤
조정윤
정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일, 박서윤, 조정윤, 정윤아 filed Critical 박세일
Priority to KR102022000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040A/ko
Publication of KR2023010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대학교 중심으로 학생들 상호 간 관심사를 기초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교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학교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진행하고, 해당 가입된 커뮤니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학생 단말기; 및 상기 학생 단말기에 의해 가입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기준으로 학생을 매칭하고, 해당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상호 간을 연결하여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를 운용하기 위한 커뮤니티 운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UNIVERSITY-BASED ONLINE AND OFFLINE COMMUNITY PLATFORM SYSTEM THAT CONNECTS PEOPLE}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대학교 중심으로 학생들 상호 간 관심사를 기초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교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되었으며, 그와 더불어 종래에 익명성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뿐만 아니라, 동문회나, 종교집단, 동호회 또는 이익단체 등을 중심으로 커뮤니티(community)가 온라인 네트워크라는 사이버 공간상에서도 조직되어 그 구성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의사의 소통을 행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티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해당 커뮤니티의 게시판 서비스, 정보 교류 서비스 또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당 커뮤니티에 속하는 구성원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실생활의 커뮤니티 활동을 보면, 대부분 가족, 친구, 직장 등과 같은 관계 중심으로 어떤 목적을 가진 소규모의 실시간 커뮤니티가 요구되지만, 기존 웹 기반 혹은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커뮤니티는 많은 가입자를 기반으로 게시판 형식의 획일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가 현실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또한, 현재 국내 모바일 커뮤니티 플랫폼 시장은 전 세계적인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 시행의 영향으로 인해 큰 성장세를 보이는 시장이며, 물리적 연결의 어려움으로 비슷한 관심사 혹은 집단을 기반으로 소통하는 커뮤니티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주목받고 있는 기능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주요 애플리케이션인 당근마켓, 에브리타임 등은 각기 다른 서비스에서 출발하였지만, 커뮤니티 서비스를 추가하며 사용자 간 소통과 연결 기능을 활성화하였고, 특히 당근마켓의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 도입 이후, 21년 9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 1,000만 명을 돌파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심리적 고립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고, 대학생들은 동기, 선배 등의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소통 공간의 부재에 직면해 있고, 이에 따른 학교 행사의 부재 및 정보 교류의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공간으로서 오늘날 대학생들의 목적에 따라 명확하게 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을 벗어나,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학교 내부에서 정서적 고립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 온오프라인 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직접 기획하여 이벤트를 생성 혹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친목 목적의 일상적인 활동 공유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모임을 직접 기획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27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2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공간으로서 오늘날 대학생들의 목적에 따라 명확하게 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을 벗어나,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학교 내부에서 정서적 고립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 온오프라인 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직접 기획하여 이벤트를 생성 혹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친목 목적의 일상적인 활동 공유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모임을 직접 기획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학교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진행하고, 해당 가입된 커뮤니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학생 단말기; 및 상기 학생 단말기에 의해 가입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기준으로 학생을 매칭하고, 해당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상호 간을 연결하여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를 운용하기 위한 커뮤니티 운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지원하고, 가입된 정보를 기초로 대학교 및 학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인증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교 및 학과에 따른 가입 승인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 인증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 진행 시, 학생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하기 위한 관심사 매칭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심사 매칭모듈은, 특정된 관심사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학생이 복수일 경우, 해당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에 의해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소규모 단체 모임 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생성된 모임에 대한 오프라인 모임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모임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및 대학교 경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교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교류 지원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 이력을 수신하여 해당 활동 이력에 대응된 디지털 포인트 적립을 지원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커뮤니티 운영 서버로 업체정보 및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판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의뢰하기 위한 업체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업체 단말기를 통해 의뢰된 업체 정보와 대응되는 업체의 이벤트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업체 이벤트 안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체 이벤트 안내모듈은, 학생 단말기에 업체마다 별도로 운영되는 이벤트를 안내하면서, 이벤트 안내 시 해당 업체의 위치, 연락처, 새로운 판매목록, 적용되는 할인율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은,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학교 내부에서 정서적 고립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 온오프라인 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직접 기획하여 이벤트를 생성 혹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친목 목적의 일상적인 활동 공유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모임을 직접 기획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학교 기반 커뮤니티라는 특성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연령대가 비슷하게 분포되며 같은 학교라는 소속감을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하여 매칭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능을 통하여 이용자들끼리 높은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함에 따라, 커뮤니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정서적, 사회적 동기를 자극하여 몰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애착으로 이어지게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주기적인 학교 인증 시스템을 갖춰 위험성을 보다 낮추고, 매너 평가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같은 유저끼리 상호평가가 이뤄져 이용자들이 시스템 이용 상에서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예방하도록 하고, 안전과 관련한 다양한 내부적 규율 및 시스템을 구축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커뮤니티 환경을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편안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뢰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내부적인 공식 이벤트를 기획하여 이용자에게 기획에 대한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다양한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교내에서 운영되는 다양한 동아리, 학회와의 협업하여 확실한 유인점을 갖춰 이용자의 진입장벽을 보다 더 낮추도록 함에 따라 공간적인 한계를 넘어 다양한 만남을 실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게시물이나 간단한 쪽지 형태로만 소통이 가능했다면,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형태의 소모임을 주선하여 더 다양한 교류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게시물을 통한 일방향 소통이 아닌 유저가 원하는 관심사 키워드를 통해 조건에 맞는 사람과 1:1 연결을 하는 쌍방향 소통으로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의 게시판은 익명이라는 닉네임으로 모든 사용자가 통일되어 있다면, 본 시스템에서의 게시판은 익명이 아닌 게시물을 작성한 순서에 따라 해당 게시물의 번호가 매겨져 보다 건강한 커뮤니티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소모임 이벤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매칭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정보 교류 지원에 대한 게시판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학생 단말기 및 커뮤니티 운용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학교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진행하고, 해당 가입된 커뮤니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학생 단말기 및 상기 학생 단말기에 의해 가입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기준으로 학생을 매칭하고, 해당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상호 간을 연결하여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를 운용하기 위한 커뮤니티 운용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커뮤니티 운영 서버로 업체정보 및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판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의뢰하기 위한 업체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접속하여 커뮤니티 서비스의 활동을 수행하도록 통신되고, 이러한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는 데스크탑,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서버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 교환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버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들의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나, RAM, 메모리 칩,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나, CD, DVD, 자기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적/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입력 모듈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는 문자입력 방식, 터치입력 방식 및 음성입력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을 통해 커뮤니티 활동 등에 대응되는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커뮤니티 운용 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콘텐츠의 색상, 투명도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다.
* 단말기 제어모듈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의 전송받고자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학생/업체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 및 학생 단말기 및 업체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커뮤니티 운용 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가입 인증관리
학생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지원하고, 가입된 정보를 기초로 대학교 및 학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인증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교 및 학과에 따른 가입 승인을 수행한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에 의해 학생증 이미지가 업로드되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업로드된 학생증은 광학식 문자판독장치(OCR: 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을 통해 이미지 정보가 데이터로 관리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광학식 문자판독장치는 자명하게 공지된 기술 내용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에 의해 학생증 이미지 정보가 데이터로 관리되고, 이미지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에 기재된 내용을 형태소별로 분리하여 해당 형태소에 따른 학생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에 의해 외부 서버(예: 학교 정보 관리 서버 등)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에 따라, 외부 서버로부터 바로 정보를 확보할 수도 있으나, 다만, 상기 외부 서버는, 외부 서버와의 접속이 허가된 정보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일례로, 형태소는 언어의 형태론적 수준에서 의미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학생 정보를 자립성의 유무에 따른 형태소인 자립 형태소(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형태소) 및 의존 형태소(자립형태소와는 반대로 혼자서는 쓰일 수 없는 형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소로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정보를 의미와 기능에 따른 형태소인 실질 형태소(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로서 실제 의미를 담고 있는 형태소), 형식 형태소(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및 유일 형태소(단어의 구성에서 한 형태소가 그 경계는 분명하나 그 형태소가 결합한 다른 예를 찾을 수 없는 형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소로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자립 형태소는 체언/수식언/독립언 등이 속할 수도 있고, 의존 형태소는 어간/어미/접사/조사 등이 속할 수도 있고, 형식 형태소는 어간/어미/접사/조사 등이 속할 수도 있고, 유일 형태소의 일례로, '안간힘'은 '안간-힘'으로 분석된다면, '힘'은 무엇인지 알 수 있어도 '안간'은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 정확한 의미를 알기 어려워 '안간'은 유일 형태소로 분리되는 예가 되지만, '안-간힘'으로 분석된다면, 명사'안'과 명사 '간힘'이 결합된 합성어로 보아 명사'안'과 명사 '간힘'모두 분석하기에 유일 형태소가 아닐 수도 있다.
* 관심사 매칭모듈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 진행 시, 학생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한다.
또한, 일례로, 상기 관심사는, 게임, 가수, 운동, 노래, 공부, 진로, 학업,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심리유형검사)에 따른 유형, 봉사활동 등과 같은 사전에 미리 준비된 리스트로 구성되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관심사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또한, 일례로, 특정된 관심사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학생이 복수일 경우, 해당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일례로, 상기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되면, 매칭된 상대방과 채팅을 통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예로, 영화에 관심 있는 학생(사용자)이 영화라는 관심사를 선택하여 매칭을 하면 커뮤니티 가입 시 영화를 관심사로 선택한 또 다른 학생(사용자)과 연결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상기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되면, 매칭 연결 요청을 받은 학생(사용자)은 상대방과의 채팅을 통한 대화를 수락 혹은 거부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채팅을 통한 대화 중, 악질적인 메시지를 보내거나 비매너적인 행동을 하는 상대방을 대상으로 차단 및 신고 기능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 모임 관리모듈
학생 단말기에 의해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소규모 단체 모임 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생성된 모임에 대한 오프라인 모임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스스로 원하는 주제의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참여할 수 있고 이벤트의 성격에 따른 소규모 단체 모임 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소규모 단체 모임의 이벤트는 성격 혹은 관심사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예로, "우리 만나요", "우리 스터디해요", "우리 게임해요" 및 "우리 이야기해요" 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일례로, "우리 만나요"는, 오프라인 만남이 주 목적인 카테고리로써, 상시 모집 불가. 최대 수용인원 4명(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달라짐) 등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하나의 예로, 오늘 학교 앞 카페 갈 사람? / 보정동에 보드게임하러 가자 등과 같은 성격의 소규모 단체 모임이 생성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일례로, "우리 스터디해요"는, 학술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카테고리로써, 상시 모집 불가 등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하나의 예로, 자바 스터디 할 사람 구해요 / 오픽 꿀팁 공유할 사람? 등과 같은 성격의 소규모 단체 모임이 생성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일례로, "우리 게임해요"는, 같이 게임할 사람을 구하는 카테고리로써, 상시 모집 가능 등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하나의 예로, 롤 5인큐 구해요/ 배그 스쿼드 할 사람? /스팀 게임 친구해요 등과 같은 성격의 소규모 단체 모임이 생성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일례로, "우리 이야기해요"는, 상기 세 카테고리처럼 목적이 확실하지 않은 그 외 모든 이벤트를 올리는 공간에 대한 카테고리로써, 하나의 예로, 고양이 키우는 사람들 같이 이야기해요! / 기숙사 사는 사람 중에 같이 휴지 살 사람? 등과 같은 성격의 소규모 단체 모임이 생성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이벤트 카테고리의 성격에 따라 최대 인원 설정 수와 모집 기간이 달라지도록 지원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예로, 오프라인 만남이 주가 되는 "우리 만나요"는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인원 제한이 존재하고, 상시 모집이 불가능하며, 즉, 정해진 기한에만 이벤트 참여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우리 게임해요" 카테고리는 최대 인원 설정이 10명까지 가능하며 언제든지 사람들이 이벤트에 참여했다 나갔다 할 수 있는 상시 모집이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검색창을 통해 원하는 이벤트를 찾아볼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고, 키워드 알림 기능을 통해 학생(사용자)이 설정한 단어가 포함된 이벤트가 생성될 때마다 알림이 오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 정보 교류 지원모듈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및 대학교 경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교류를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게시판은 같은 학교 사람들과 라이프스타일 및 경험을 공유하며 유대감을 형성하는 공간 등을 지원하고, 게시판은 익명 형태로 글을 쓴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지며, 하나의 예로, 132번째 자몽 소식, 133번째 자몽 소식 등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게시물 작성자(커뮤니티에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의 닉네임을 알 수 없도록 지원되고, 게시물 안에서 댓글을 쓰는 사람 또한 닉네임으로 표기되는 것이 아닌 자몽1, 자몽2 등과 같은 형태로 표현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게시글은 인기순/최신순으로 정렬해서 볼 수 있으며 북마크 기능을 통하여 필요한 내용의 게시물을 저장해둘 수 있고, 모든 게시물에는 댓글을 달 수 있고, 이에 따른 하트를 눌러 공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활동 탭에서 본인이 쓴 모든 글에 하트 수를 확인할 수도 있고, 최근 많이 사용하는 피드 형태의 게시물을 제공하여, 게시판 기능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여주고, 더 나아가, 신고 기능을 통해 악성 게시물 또는 악성 댓글을 방지토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와 컨설턴트 단말기가 학교 생활, 진로 및 취업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해 상호 간에 소통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으며, 취업 및 학과 생활 관련 지식 및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람, 취업, 어학, 진로 관련 자격증을 보유한 자 등을 컨설턴트(예: 심리 상담, 대학원 진학, 취업 관련 상담사 등)로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영상, 음성 등을 통해 학생(사용자)과 컨설턴트가 실시간 통신 가능하도록 하여 학교 생활, 진로 및 취업 등과 같은 주제에 대해 실시간으로 질의응답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 업체 이벤트 안내모듈
업체 단말기를 통해 의뢰된 업체 정보와 대응되는 업체의 이벤트 설정을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에 업체마다 별도로 운영되는 이벤트를 안내하면서, 이벤트 안내 시 해당 업체의 위치, 연락처, 새로운 판매목록, 적용되는 할인율 및 가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체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일례로, 서대문구, 은평구, 마포구, 용산구, 종로구, 남대문 시장, 동대문 시장, 광장시장 등이나 임의적으로 규정한 존(Zone)(예: 강남존, 역삼존, 선릉존 등) 혹은 대학별로 이벤트를 진행할 지역을 설정하거나, 시간, 요일, 월 등과 같이 이벤트를 진행할 기간을 설정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지역, 기간, 매장(업체) 설정을 통해 세부적으로 한정된 이벤트를 진행하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학생이 이벤트에 관심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업체 리뷰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각 온라인상에서 소개되거나 제시되는 서비스에 대한 리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여 학생의 선호도 도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 구축 자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크롤링은 각 검색 사이트, 서비스 소개 사이트, SNS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예: 각종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카페, 뉴스, 블로그, 지식 게시판, 뷰티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 콘텐츠를 수집하는 작업으로,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내용 부분을 수집하고, 브라우저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여기서 웹페이지 크롤링은 자명하게 공지된 기술 내용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 포인트 관리모듈
학생 단말기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 이력을 수신하여 해당 활동 이력에 대응된 디지털 포인트 적립을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소규모 모임 생성 수, 특정 주제를 통한 오프라인 모임 제안 수, 게시판 댓글 수 등과 같은 활동 이력 횟수를 기초로, 해당 활동에 대응되는 디지털 포인트 적립을 지원하여, 해당 포인트를 토대로 업체 이벤트 안내모듈에 의해 소개되는 업체를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포인트를 복수의 업체 상호 간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영세한 업체 상호 간 포인트를 공유하여 학생(사용자)들이 제한 없는 포인트 사용을 독려하고 상호 공유된 업체 전체의 매출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누적된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한 학생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해당 학생 또는 사용자의 포인트를 현금 및 모바일 쿠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적립된 포인트를 다양하게 활용토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 요청하게 되면, 학생 단말기로부터 은행계좌를 수신한 다음으로 학생(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 현금을 학생(사용자) 은행계좌로 송금하고 현금 전환 대비 누적 포인트를 차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누적된 포인트를 학생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학생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를 기부 요청하면 포인트 자체를 특정 기부단체 명의로 적립하였다가 해당 기부단체가 업체에서 상품 혹은 서비스를 구매할 때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전처리(데이터 전처리 모듈)하여,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처리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마이닝 분석을 수행하는 마이닝 분석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 중 마이닝 분석모듈이 수행하는 마이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단기 관점의 분석, 즉 실시간성 데이터 분석 개념은 물론, 관리되는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데이터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닝 분석모듈이 마이닝 분석의 사전단계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전처리란,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에 더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끌어내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향성 및 변화 추이 반영, 주기함수의 결합 변환을 통한 연속적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 등이 포함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처리 모듈이 수행하는 데이터 전처리는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화(Smoothing), 해당 데이터를 더 작은 범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다듬는 정규화(Normalization), 해당 데이터 값을 다른 범위나 상위 레벨의 개념으로 대체하는 이산화(Discretization)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 분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입된 학생의 선택된 관심사, 활동 지역, 성별 및 연령 등과 같은 개인의 객관적 요소로 분류된 학생정보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전처리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가입된 학생의 선택된 관심사, 활동 지역,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가입된 학생 대상으로 맞춤형 업체 소개를 타겟팅 하기 위한 타겟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하거나 데이터에서 평가나 감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의견 분포를 군집화 하거나 평가 등을 수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한 다음, 상이한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병렬로 배치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의 결합/조합 형태인 부스팅(Boosting) 기법을 활용하여, 부스티드 트리(Boosted Tree) 형태로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더욱이, 단일 분석 알고리즘 중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이 반복되어 발생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 형태로 분석 모델 업데이트 시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제외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을 살펴보면, 커뮤니티 운용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은 일반적으로 텍스트(text)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고,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자동화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형화(전처리)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텍스트에서 의미뿐만 아니라 기록화된 텍스트(text)에 대한 감정 정보를 알아내는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과정이 있고, 오피니언 마이닝은 어떠한 대상에 대해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에서 평가나 감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의견 분포를 군집화 하거나 평가 등을 수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전처리된 데이터 및 마이닝 분석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근거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가입된 학생의 선택된 관심사, 활동 지역,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가입된 학생 대상으로 맞춤형 업체 소개를 타겟팅 하기 위한 타겟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생 맞춤형 타겟팅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학생 맞춤형 타겟팅 모듈은 마이닝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전처리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 중 하나인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하여 "가입된 학생의 선택된 관심사, 활동 지역, 성별 및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가입된 학생 대상으로 맞춤형 업체 소개를 타겟팅 하기 위한 타겟팅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머신러닝은 기본적으로 에이전트가 어떤 행위를 선택하여 얻게 되는 시행착오를 통해 주어진 환경(state)을 학습하고, 정해진 정책에 따라 행동(action)을 결정하고 실행하여 행동에 따라 얻게 되는 보상(reward)을 기초로 행동정책을 수정해가면서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경사 하강법에 대해 살펴보면 경사 하강법은 우선적으로 머신러닝 회귀 분석은 주어진 데이터가 어떤 함수로부터 생성되었는가를 알아보는 '함수 관계'를 추측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데이터 세트(x, y)로부터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설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설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예측 값 데이터를 얻고, 이러한 가설에 해당하는 식이 어떤 방정식인지, 계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회귀 분석에서 방정식의 계수가 선형인 경우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고, 방정식의 계수가 여러 개이면 다중 선형 회귀 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며, 테스트 데이터는 y=x 그래프에 약간의 오차를 섞어 만든 데이터로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가중치 값(w)과 편향 값(b)을 찾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어 y = wx + b 과 같은 정의에 따라 결과값과의 오차를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통해 알맞은 함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가설을 학습할 때 그려진 선과 각 데이터의 분포의 차이를 계산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이 이 모델에 적합한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비용함수(Cost Function)라 하며,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실제 세운 가설과 나타내는 값이 얼마나 다른 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용함수(오차함수)는 두 개의 매개변수(w, b) 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2차원 공간에 표현할 수 있음에 따라, 각 점에서 오차함수의 높이는 직선에 대한 오차이고, 어떤 직선들은 다른 직선들보다 더 작은 오차를 가지게 되며, 가령 텐서 플로우에서 경사 하강법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이 평면의 한 지점에서 시작하여 더 작은 오차를 갖는 직선을 찾아 이동해 나간다.
또한, 오차함수의 기울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오차함수를 미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직선을 찾아가는 과정의 반복이 있을 때마다 움직일 방향을 알아가기 위해 w와 b에 대한 편미분 방정식 계산이 필요하다.
다중 회귀 분석은 단일 회귀 분석에서 쓰였던 입력 데이터 x가 2개 이상이 되고, 일례로 두 개의 변수(x1, x2)를 갖는 다중 회귀 분석의 경우 y = w1*x1 + x2*x2 + b 와 같이 정의하고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평면을 찾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일,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데이터가 존재하면 그 데이터를 표현하는 함수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사 하강법은 cost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란 여러 가지 허용되는 값들 중에서 주어진 기준을 가장 잘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고, 해당 함수의 최소값 위치를 찾기 위해 비용함수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 스텝 사이즈(Step Size)를 가지고 조금씩 움직이면서 최적의 파라미터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간략하게는 기울기로 함수의 최소값을 찾는 방법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전처리된 데이터, 마이닝 분석된 데이터 및 학생 맞춤형 타겟팅 모듈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근거한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업체별 새롭게 출시되는 상품에 대해 가입된 학생의 선호도를 예측하기 위한 선호도 예측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딥 러닝 방식의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면, 딥러닝 알고리즘 중 일부는 컨벌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컨벌루션 신경망 알고리즘은 하나 이상의 컨벌루션 레이어, 하나 이상의 활성 함수, 및 하나 이상의 풀링(pooling) 레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각각의 컨벌루션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컨벌루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벌루션 신경망의 구조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운용 방법은 기본적으로 커뮤니티 가입단계, 가입 인증단계, 관심사 매칭단계, 모임 관리단계 및 정보 교류 지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생 단말기가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 가입을 진행하는 커뮤니티 가입단계,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가 학생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지원하고, 가입된 정보를 기초로 대학교 및 학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인증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교 및 학과에 따른 가입 승인을 수행하는 가입 인증단계,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가 학생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하는 관심사 매칭단계,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가 학생 단말기에 의해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소규모 단체 모임 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모임 관리단계 및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가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및 대학교 경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교류를 지원하는 정보 교류 지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소모임 이벤트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생성된 소규모 단체 모임에 대응된 관심사 확인이 가능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성된 모임의 이벤트(성질/목적)에 대한 인기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생성된 소규모 단체 모임에 해당되는 이벤트(성질/목적)의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이벤트 참여에 따른 단체 채팅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고, 이벤트 참여 취소 시에는 자동으로 채팅방에서 퇴장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매칭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학과 및 관심사 선택이 가능하고, 관심사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서, 즉 복수개의 관심사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관심사를 기초로 일대일로 매칭되고, 본 발명은, 매칭된 상호 간 채팅이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의 정보 교류 지원에 대한 게시판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사용자) 상호 간은, 라이프 스타일 및 대학교 경험 외에도, 본인의 관심사에 대한 정보가 교류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게시판은 같은 학교 사람들과 라이프스타일 및 경험을 공유하며 유대감을 형성하는 공간 등을 지원하고, 게시판은 익명 형태로 글을 쓴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지며, 하나의 예로, 132번째 자몽 소식, 133번째 자몽 소식 등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게시물 작성자(커뮤니티에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의 닉네임을 알 수 없도록 지원되고, 게시물 안에서 댓글을 쓰는 사람 또한 닉네임으로 표기되는 것이 아닌 자몽1, 자몽2 등과 같은 형태로 표현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피드 형태의 게시물을 통해 관심사에 대한 사진 게시가 가능하고, 게시글은 인기순/최신순으로 정렬해서 볼 수 있으며 북마크 기능을 통하여 필요한 내용의 게시물을 저장해둘 수 있고, 모든 게시물에는 댓글을 달 수 있고, 이에 따른 하트를 눌러 공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학생 단말기를 통해 학생(사용자)은, 활동 탭에서 본인이 쓴 모든 글에 하트 수를 확인할 수도 있고, 최근 많이 사용하는 피드 형태의 게시물을 제공하여, 게시판 기능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여주고, 더 나아가, 신고 기능을 통해 악성 게시물 또는 악성 댓글을 방지토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다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듈의 명칭에 의해 행위의 내용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인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대학교 기반의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진행하고, 해당 가입된 커뮤니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학생 단말기; 및
    상기 학생 단말기에 의해 가입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기준으로 학생을 매칭하고, 해당 매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상호 간을 연결하여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를 운용하기 위한 커뮤니티 운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을 지원하고, 가입된 정보를 기초로 대학교 및 학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인증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교 및 학과에 따른 가입 승인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 인증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 진행 시, 학생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선택된 관심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을 일대일로 매칭하기 위한 관심사 매칭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심사 매칭모듈은,
    특정된 관심사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학생이 복수일 경우, 해당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에 대한 그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에 의해 특정된 관심사에 대응되는 소규모 단체 모임 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생성된 모임에 대한 오프라인 모임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모임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가입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및 대학교 경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 교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교류 지원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학생 단말기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 이력을 수신하여 해당 활동 이력에 대응된 디지털 포인트 적립을 지원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KR1020220003352A 2022-01-10 2022-01-10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KR20230108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352A KR20230108040A (ko) 2022-01-10 2022-01-10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352A KR20230108040A (ko) 2022-01-10 2022-01-10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040A true KR20230108040A (ko) 2023-07-18

Family

ID=8742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352A KR20230108040A (ko) 2022-01-10 2022-01-10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0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288A (ko)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210012750A (ko) 2019-07-26 2021-02-03 이웅재 온라인 교류동아리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288A (ko)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210012750A (ko) 2019-07-26 2021-02-03 이웅재 온라인 교류동아리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rangajavana Kaosiri et al. User-generated content sources in social media: A new approach to explore tourist satisfaction
Kim et al. Building Web 2.0 enterprises: A stud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United States
Gerlitz et al. The like economy: Social buttons and the data-intensive web
US201800753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validating soci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Brenner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the Internet Usage Survey
Shin et al. Customer nontransactional value cocreation in an online hotel brand community: Driving motivation, engagement behavior, and value beneficiary
Given et al. Social media and community knowledge: An ideal partnership for non‐profit organizations
Cavill et al. Increasing strategic accountability: a framework for international NGOs
Nah et al. Civic technology and community buildi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tegrated connectedness to a storytelling network (ICSN) and Internet and mobile uses on civic participation
Zhao An empirical study of cultural dimensions and e-government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trategies
US20100179916A1 (en) Career management system
Bail Taming big data: Using app technology to study organizational behavior on social media
Panek et al. Defining social networking sites and measuring their use: How narcissists differ in their use of Facebook and Twitter.
Young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media use among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 exploratory study
Müller et al. User involvement in social work innovation: A systematic and narrative review
Park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user knowledge-driven innovation in services
Whitesell Interest groups and social media in the age of the Twitter president
Whitelaw et al. Libraries as ‘everyday’settings: the Glasgow MCISS project
Christensen Doing digital discipline: how Airbnb hosts engage with the digital platform
Olga Lo et al. Evolution of social media and consumer behaviour changes in tourism destination promotion
Hughes Entrepreneurship in a Web 2.0 World: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s to Adopt Web 2.0 Social Media in US Entrepreneurial Activities
KR20230108040A (ko) 대학교 기반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Trembath et al. The experiences of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ho volunteer
Riel The digitally literate citizen: How digital literacy empowers mass participation in the United States
Fierro et al. Political disaffection in the digital age: the use of social media and the gap in internal and external effic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