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943A -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 Google Patents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943A
KR20230107943A KR1020220003136A KR20220003136A KR20230107943A KR 20230107943 A KR20230107943 A KR 20230107943A KR 1020220003136 A KR1020220003136 A KR 1020220003136A KR 20220003136 A KR20220003136 A KR 20220003136A KR 20230107943 A KR20230107943 A KR 2023010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ata
comment
area
ann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호
송지원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리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리디
Priority to KR102022000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943A/en
Publication of KR2023010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디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사용자 디바이스로 디자인 데이터를 송신하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Specif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controlled by the processor and storing design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transmitting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nd receiving interface data from the user device. .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user devices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본 발명은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server-based design feedb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server-based design feedback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컴퓨터상의 이미지 디자인 작업을 디자이너가 작업하는 경우에는, 작업 대상이 되는 이미지 상에 텍스트 혹은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이미지로 캡쳐하여 한 장의 이미지 파일을 만든 뒤 포토샵과 같은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해당 이미지 위에 덧칠하는 형태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다.When a designer performs image design work on a computer, he or she inserts text or images on the image to be worked on or captures it as an image to create a single image file and then paints over the image using design software such as Photoshop. opinions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디자인에 대하여 작업을 하고 피드백을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작성한 주석 및 코멘트를 관리하는 것뿐 만이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 간에 피드백을 공유하거나, 대상이 되는 편집 디자인을 확인하는 것을 관리하는 것에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multiple users work on a specific design and give feedback, not only do they manage annotations and comments made by multiple users, but also share feedback among multiple users or check the target editing design. I had a problem managing what I was doing.

이에, 등록특허 KR 1484599 B1(2015.01.14)에서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 매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사진의 등록과 코멘트를 입력받는 프로세스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편집 디자인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면서, 이와 관련되어 코멘트 및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하여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Accordingly, registered patent KR 1484599 B1 (January 14, 2015) discloses a comment method using a message in a photo sharing community and a computer recording medium on which it is recorded, but only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photo and receiving a comment is disclosed, As the editorial design was updated, there was no specific mention of the comment and feedback process in this regard.

또한, 등록특허 KR 1136725 B1(2012.04.07)에서도 콘텐츠 서비스에 댓글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액션에 기초한 노출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었을 뿐,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에 관련되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In addition, the registered patent KR 1136725 B1 (2012.04.07) also discloses a service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an exposure condition based on a user action by providing comment content to a content service, and a server-based server-based There was no specific mention regarding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을 관리하고자 한다.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hereinafter, server-based design feedback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will be manag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디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디자인 영역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 데이터, 상기 디자인 영역의 특정 영역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설정된 주석(annotation) 영역에 대응되는 주석 데이터, 피드백 영역에 대응되는 코멘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controlled by the processor and storing design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transmitting the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nd receiving interface data from the user device, wherein the design data corresponds to a design area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edit design data, annotation data corresponding to an annotation area set to be overlaid on a specific area of the design area, and comment data corresponding to a feedback area.

나아가, 상기 편집 디자인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각각이 업데이트(update)된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석 데이터는, 상기 주석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디자인 영역 상의 특정 기준 포인트, 상기 주석 영역의 사이즈 정보 및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 데이터는, 상기 피드백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가 포함된 코멘트 리스트, 코멘트 작성자 식별자, 사용자 태그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각각이 생성된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dit design data includes at least one edit design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and first time information when each of the at least one edit design is updated, and the annotation data is included in the annotation area and includes a specific reference point on the design area, size information of the annotation area, and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wherein the comment data is displayed on the feedback area and includes at least one comment related to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ist of posted comments, a comment creator identifier, user tag data, and second time information when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ent was created.

나아가, 상기 디자인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중에서,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에 기반한, 특정 디자인이 상기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sign area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specific design based on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or the at least one comment among the at least one edited design is set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나아가, 상기 주석 넘버링 데이터는, 상기 주석 영역이 설정된 시점의 편집 디자인과 연관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is set to be associated with an editing design at the time when the annotation area is set, and the specific design is based on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It may be characterized as an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comment.

나아가,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와 연관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가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코멘트와 관련된 제 2 시간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 상에서 상기 선택된 제 2 시간 정보보다 먼저 업데이트된 편집 디자인 중 업데이트 시간이 가장 늦은 편집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pecific design may be set as an edited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t least one comment. Furthermore, in the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when a specific comment is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comment, second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ent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second time information is selected on the first time information. Among the edited designs updated prior to the time inform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as an edited design having the latest update time.

나아가,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와 연관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시간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pecific design is set as at least one editing design includ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range from the second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mment among the at least one comment. can be done with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태그 데이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상기 코멘트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추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상기 코멘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추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ocessor controls to additionall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related to the comment to at least one user associated with the user ta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 request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notific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ent data related to the message is additionally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데이터 중 관리자에게 확인된 승인 디자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memory to store approved design data confirmed by a manager among the at least one edit data in the memory.

나아가,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편집 모드 혹은 피드백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기능 요소들에 의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terface data may be set by function element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device is in an edit mode or a feedback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that efficiently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 유저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디자인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user 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through a user device by an apparatus for managing design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design data provided to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display on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This is to clearly expla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s un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피드백 제공 장치(100), 네트워크 (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1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feedback providing device 100, a network 200, and a user device 300,

피드백 제공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 모듈(130)을 포함한다. The feedback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

프로세서(110)은, 피드백 제공 장치를 구성하는 메모리, 통신 모듈 등의 다양한 모듈들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processor 110 controls various modules, such as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stituting the feedback providing apparatus,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메모리(120)는, 디자인 데이터 및 피드백 제공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디자인 데이터는 편집 디자인 데이터, 주석 데이터, 코멘트 데이터를 포함하며, 관리자에 의하여 확인된 승인 디자인 데이터는 별도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편집 디자인 데이터, 주석 데이터, 및 코멘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자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나, 승인 디자인 데이터는 피드백 제공 장치 내에서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하여 저장된다.The memory 120 stores design data and various data used in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design data includes editorial design data, annotation data, and comment data, and approved design data confirmed by a manager may be separately stored in a memory. For example,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esign data including edit design data, annotation data, and comment data to a user device, but approved design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user identifier in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do.

편집 디자인 데이터는, 피드백 제공 장치로부터 디자인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디자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및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각각이 업데이트(update)된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서버 상에 저장된 편집 디자인이 수정되는 경우, 이미 저장되어 있었던 수정 전의 편집 디자인은 유지한 채, 수정된 편집 디자인 및 이와 관련된 수정한 사용자, 업데이트 된 시간 정보(예, 날짜, 시간 등)이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Edit design data is data to be displayed in a design area on a user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design data from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edited design displayed in a design area on a user device and each of the at least one edited design may include updated first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edited design stored on the server is modified by the user, etc., the edited design before the modification that was already stored is maintained, the modified edited design, the user who modified it, and the updated time information (e.g., date) , time, etc.) may be additionally stored.

주석 데이터는, 피드백 제공 장치로부터 디자인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주석 영역에 표시되는 데이터이다. 주석 영역은 디자인 영역상에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설정된 영역으로, 주석 데이터는 주석 영역을 디자인 영역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자인 영역 상의 특정 기준 포인트, 주석 영역의 사이즈 정보, 주석 영역이 몇 번째로 생성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석 넘버링 데이터는 주석의 생성 순서뿐만이 아니라, 주석 영역이 설정된 시점의 편집 디자인에 대한 인덱스, 시간 정보 혹은 편집 디자인에 대하여 링크가 설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편집 디자인과 연관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Annotation data is data displayed in an annotation area on a user device that has received design data from a feedback providing device. The annotation area is an area set to be overlaid on the design area, and the annotation data includes data necessary to display the annotation area on the design area.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specific reference point on the design area, size information of the annotation area, and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indicating the number of annotation areas created. Here,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may be set to be related to the editing design in various ways, such as setting an index for the editing design at the time the annotation area is set, time information, or a link to the editing design, as well as the order of creation of the annotation. .

코멘트 데이터는, 피드백 제공 장치로부터 디자인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피드백 영역에 표시되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주 영역 넘버링 데이터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가 포함된 코멘트 리스트, 코멘트 작성자 식별자, 사용자 태그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각각이 생성된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와 관련하여 주석 영역에 대한 코멘트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코멘트들은 하나의 코멘트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코멘트 리스트를 구성하는 경우, 코멘트를 작성한 식별자를 구별할 수 있는 코멘트 작성자 식별자(예를 들어, ID, 닉네임), 코멘트 작성자가 코멘트와 함께 태그한 사용자의 식별자인 사용자 태그 데이터 및 코멘트 리스트에 포함된 다수의 코멘트 각각이 생성된 시간 정보인 제 2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mment data is displayed in a feedback area on the user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design data from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and includes data representing at least one comment associated with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commen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comment associated with the main region numbering data, a comment author identifier, user tag data, and second time information when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ent was generated. Regarding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comments on the annotation area may be written by a plurality of users, and comments written by a plurality of users may constitute one comment list.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comment list, a comment author identifier (eg ID, nickname) that can distinguish the identifier who wrote a comment, user tag data that is an identifier of a user tagged with a comment by the comment author, and included in the comment list Second time information, which is time information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ents was created, may be included.

통신 모듈(130)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디자인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ntrolled by a processor, transmits design data and notification messages to the user device 300, and may receive requests related to interface data and notification messages from the user device.

통신 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모드에 기반하여 설정된 기능 요소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로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편집 모드인 경우에는 편집 디자인의 구성 요소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데이터로 구성된다. 반면에, 피드백 모드인 경우에는 편집 디자인의 구성 요소는 변경되지 않으며, 주석 영역의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주석 영역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가 포함된 코멘트 리스트 등이 구성되며, 피드백 관리 장치는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자인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interface data input by a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terface data i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functional elements set based on the mode of a user device, and when the user device is in an edit mode, components of an edit design may be changed and are composed of related dat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eedback mode, the editing design components are not changed, and data related to the creation of an annotation area,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a commen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comment related to the annotation area, etc. are configured. The management device may generate or manage design data based on the interface data.

만약,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사용자 태그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피드백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서버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태그 데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확인하고, 통신 모듈을 통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태그 데이터와 연관된 코멘트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If user tag data is included in the interface data,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identifies at least one user associated with the user tag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erver through a processor, and assigns a user tag to the identified at least one user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Notification messages related to comments related to data may be sent.

이에 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3 자가 사용자 태그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를 태그함으로써 생성된 알림 메시지와 대응되거나 연관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코멘트 데이터를 확인하고, 통신 모듈은 확인된 코멘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피드백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a request corresponding to or associated with a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by a third party tagging a user through user tag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the processor checks comment data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hecks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comme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to be displayed in a feedback area on the user device.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a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provides feedback through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하여, 편집 모드 혹은 피드백 모드인지에 기반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즉,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편집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편집 데이터를, 피드백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석 데이터와 코멘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01).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stores the interfac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in a memory based on whether the interface data is in an edit mode or a feedback mode. That is, when the user device is set to the edit mode,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generates editing data based on the interface data generated by the user device, and when the user device is set to the feedback mode, annotation data and annotation data based on the interface data generated by the user device. The commen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S201).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혹은 별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로 디자인 영역과 피드백 영역과 관련된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S203).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may provide the design area and design data related to the feedback area to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interfac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r a separate request (S203).

디자인 영역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업데이트된 편집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도록 설정되는데, 사용자로부터 특정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면, 피드백 제공장치는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혹은 코멘트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에 기반하여 특정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design area is set to basically provide the last updated editing design among at least one editing design stored in memory. If a specific design is set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from the user,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includes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Alternatively, a specific desig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based on at least one comment included in the comment data.

또한,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피드백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코멘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만약,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가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코멘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피드백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코멘트 데이터를 확인하고, 통신 모듈을 통하여 확인된 코멘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하여 최종 승인되었는 지 여부에 기반하여 필터링된 코멘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provides comment data displayed in the feedback area of the user device. If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a request associated with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design feedback management apparatus returns the comment data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eedback on the user device.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n an area. That is, when receiving a request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the processor checks comment data associated with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s the checked comment data to the user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s the display on the user device. . In addition, the comment data filtered based on whether or not it has been finally approved by the manager may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and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만약,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디자인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승인된 편집 디자인을 승인 디자인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적어도 다수의 코멘트 중 관리자에 의하여 최종 승인된 코멘트 리스트는 완료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S205).If the design data provided to the user device is approved by a manager having management authority, the approved edited design is stored in the memory as an approved design, and the list of comments finally approved by the manager among at least a plurality of comments is It can be stored in a completed state (S205).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디자인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design data provided to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자인 영역은, 서버 상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중에서 특정 디자인이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디자인 데이터에 기반해 표시된다. 도3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디자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편집 디자인이 A', A'' 및 A'''가 존재하며,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된 디자인이라고 가정한다.In the design area on the user device, a specific design among at least one edited design stored on the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and displayed based on desig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As shown in FIG. 3, it is assumed that edit designs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on the user device include A', A'', and A''', and are sequentially updated designs.

사용자에 의해 편집 디자인에 대하여 특별한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라면, 최종 업데이트된 디자인인 A'''가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If a special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for the edited design by the user, A''', which is the last updated design, is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다만, 도3 에서 개시된 실시예 (A), (B), (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특정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된다.However, as in the embodiments (A), (B), and (C) disclosed in FIG. 3, when a condition set in advance by a user is satisfied, a specific desig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예를 들어, 실시예(A)를 살펴보면, 특정 디자인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디자인 데이터 상에서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과 연관된 디자인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주석 넘버링 데이터는 주석 영역이 설정된 시점의 편집 디자인에 대한 인덱스, 시간 정보 혹은 편집 디자인에 대하여 링크가 설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편집 디자인과 연관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For example, looking at the embodiment (A), a specific design may be set as a design associated with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on design data received from a user device, and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may be set as a design related to the editing design at the time when the annotation area is set. It may be set to be associated with the editorial design in various ways, such as setting a link to index, time information, or editorial design.

피드백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와 관련되어, 주석 영역 넘버링 ①이 연관되었다고 가정하면, ①과 관련된 적어도 주석 넘버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석 넘버링 데이터에 연관된 편집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주석 넘버링 데이터 ①이 A''에서 생성되었다면, 디자인 A''가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① i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mment provided by the feedback providing device, based on at least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related to ①, the editing design associated with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is set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Possibly, if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① is generated in A″, design A″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다른 예로, 실시예(B)를 살펴보면, 특정 디자인은,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와 연관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은,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가 선택된 경우, 특정 코멘트와 관련된 제 2 시간 정보가 선택되고, 제 1 시간 정보 상에서 선택된 제 2 시간 정보보다 먼저 업데이트된 편집 디자인 중 업데이트 시간이 가장 늦은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embodiment (B), a specific design may be set as an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mment. For example, in the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when a specific comment is selected from among at least one comment, the second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ent is selected, and the second time information selected on the first time information is selected first. Among the updated edit designs, an edit design having the latest update time may be set.

실시예(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편집 디자인 A', A'', A'''가 생성된 제 1 시간 정보가 각각 12:00, 12:05, 12:17이라고 가정하고, 코멘트 ⓐ, ⓑ, ⓒ가 생성된 제 2 시간 정보가 각각 12:11, 12:13, 12:20이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코멘트 ⓑ라는 특정 코멘트가 선택된 경우, 코멘트 ⓑ와 연관된 12:13 보다 먼저 생성된 A' 와 A'' 중에서 업데이트 시간이 가장 늦은 A''가 특정 디자인으로 설정되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사용자에 의하여 코멘트 ⓒ가 선택된 경우, 코멘트 ⓒ와 연관된 12:20 보다 먼저 생성된 A', A'' 와 A''' 중에서 업데이트 시간이 가장 늦은 A'''가 특정 디자인으로 설정되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 shown in Example (B), assuming that the first time information at which editing designs A', A'', and A''' were created are 12:00, 12:05, and 12:17, respectively, comment ⓐ,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t which ⓑ and ⓒ were generated is 12:11, 12:13, and 12:20, respective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mment called comment ⓑ, A'' with the latest update time among A' and A'' created before 12:13 related to comment ⓑ is set as a specific design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It can be. In another case, when comment ⓒ is selected by the user, A''' with the latest update time among A', A'' and A''' created before 12:20 related to comment ⓒ is set as a specific design. and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a user device.

또 다른 실시예(C)를 살펴보면, 특정 디자인은,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와 연관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시간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이 동일한 디자인이라면 하나의 디자인 만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이 서로 상이한 디자인이라면 각각의 디자인들을 스플릿 뷰 혹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의 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Looking at another embodiment (C), the specific design is converted from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o at least one editing design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range,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comment among the at least one comment. can be set. If the set at least one edited design is the same design, only one design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but if the set at least one edited design is a different design, each design can be displayed in a split view or a method previously set by the user.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o the user using the view of .

예를 들어, 편집 디자인 A', A'', A'''가 생성된 제 1 시간 정보가 각각 12:00, 12:05, 12:17이라고 가정하고, 코멘트 ⓐ, ⓑ, ⓒ가 생성된 제 2 시간 정보가 각각 12:11, 12:13, 12:20이라고 가정한 후. 사용자가 코멘트 ⓐ라는 특정 코멘트를 선택한 경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범위가 “코멘트 작성 시간 전 10분”이라면, 12:05분에 생성된 편집 디자인 A''가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범위가 “코멘트 작성 시간 전 15분”인 경우에는 12:05분에 생성된 편집 디자인 A''와 12:00분에 생성된 편집 디자인 A' 가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time information at which edit designs A', A'', and A''' were created is 12:00, 12:05, and 12:17, respectively, comments ⓐ, ⓑ, and ⓒ are created. After assuming that the second time information is 12:11, 12:13, and 12:20, respective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mment called comment ⓐ, if the preset threshold time range is “10 minutes before the comment writing time”, the edited design A'' created at 12:05 can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If the preset threshold time range is “15 minutes before the comment writing time”, the editorial design A'' created at 12:05 and the editorial design A' created at 12:00 can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user's device. there is.

종래 기술에 따르면, 편집 디자인과 코멘트들을 연관시키는 경우에는 상당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장 공간을 차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로 구성된 코멘트를 각각의 편집 디자인과 연관시키거나, 단순한 코멘트인 경우에도 편집 디자인과 링크됨으로써 이를 처리함에 있어 상당한 컴퓨팅 자원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편집 디자인과 코멘트간의 관계를 분리함과 동시에 편집 디자인과 코멘트 각각에 기본적으로 포함될 수 밖에 없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연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associating editorial design and comments, not only does significant data and storage space be occupied, but also associating comments made up of a large number of users with each editorial design, or in the case of simple comments, editorial design There was a problem of consuming considerable computing resources in processing this by linking with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edit designs and comments is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computing resources are saved by checking the relationship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using information that is basically included in each edit design and com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번호 401과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편집 디자인 상에 주석 영역을 생성하면, 주석 넘버링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는 피드백 제어 장치에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nnotation area is created on an edit design on a user device as shown by reference number 401, annotation numbering data is generated, which is received by a feedback control device and stored in a memory.

이에 따라, 참조번호 403과 같이 피드백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요청 등에 대응하여 피드백 영역에 코멘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편집 디자인은 주석 넘버링 데이터, 혹은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된다.Accordingly, as shown by reference number 403, the feedback control device controls to display comment data in the feedback area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and the editing design is displayed based on the comment numbering data or a specific comment among at least one comment.

또한, 참조번호 405와 같이 특정 코멘트가 포함된 코멘트 리스트에 대하여 관리자가 승인하는 경우, 코멘트 리스트에 대하여 완료 상태로 설정되며, 해결된 댓글 혹은 미확인 댓글 등의 미리 설정된 필터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코멘트만 디스플레이될 수 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r approves the comment list including a specific comment, as shown in reference number 405, the comment list is set to a complete state, and only specific comm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preset filtering such as resolved comments or unconfirmed comments. may also be display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10)

사용자 디바이스에 디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기반의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디자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디자인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디자인 영역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 데이터, 상기 디자인 영역의 특정 영역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설정된 주석(annotation) 영역에 대응되는 주석 데이터, 피드백 영역에 대응되는 코멘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processor;
a memory controlled by the processor and storing design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transmitting the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nd receiving interface data from the user device;
The design data,
Includes edit design data corresponding to a design area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annotation data corresponding to an annotation area set to be overlaid on a specific area of the design area, and comment data corresponding to a feedback area. characterized in that,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디자인 데이터는,
상기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각각이 업데이트(update)된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석 데이터는,
상기 주석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디자인 영역 상의 특정 기준 포인트, 상기 주석 영역의 사이즈 정보 및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 데이터는,
상기 피드백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가 포함된 코멘트 리스트, 코멘트 작성자 식별자, 사용자 태그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각각이 생성된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diting design data,
At least one edit design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and each of the at least one edit design includes updated first time information;
The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annotation area, including a specific reference point on the design area, size information of the annotation area, and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The comment data,
It is displayed in the feedback area and includes a comment list including at least one comment related to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a comment author identifier, user tag data, and second time information when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ent was generated. doing,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 중에서,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 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에 기반한, 특정 디자인이 상기 디자인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esign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at least one editing design, a specific design based on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or the at least one commen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design area.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넘버링 데이터는,
상기 주석 영역이 설정된 시점의 편집 디자인과 연관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주석 영역 넘버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nnotation numbering data,
It is set to be associated with the editing design at the time when the annotation area is set,
The specific design,
Based on the annotation area numbering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comment,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와 연관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pecific design,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t least one comment, an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is set.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편집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가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코멘트와 관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 상에서 상기 특정 코멘트와 관련된 제 2 시간 정보보다 먼저 업데이트된 편집 디자인 중 업데이트 시간이 가장 늦은 편집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editing desig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When a specific comment is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comment, an update time among edit designs updated prior to second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ent on the first time information based on second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com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latest editing design,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자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중 특정 코멘트와 연관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시간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디자인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pecific design,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comment among the at least one comment, at least one editing design includ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range from the second time information is set.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태그 데이터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상기 코멘트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추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알림 메시지와 연관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상기 코멘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추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to additionall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related to the comment to at least one user associated with the user tag data;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ceiving a request associated with the notification message, additionally transmitting the comment data relate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devic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데이터 중 관리자에게 확인된 승인 디자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ntrols the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store approved design data confirmed by a manager among the at least one edit data in the memory.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편집 모드 혹은 피드백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기능 요소들에 의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피드백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y functional element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device is in an edit mode or a feedback mode,
Design feedback management device.
KR1020220003136A 2022-01-10 2022-01-10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KR202301079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36A KR20230107943A (en) 2022-01-10 2022-01-10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36A KR20230107943A (en) 2022-01-10 2022-01-10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43A true KR20230107943A (en) 2023-07-18

Family

ID=8742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136A KR20230107943A (en) 2022-01-10 2022-01-10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9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02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262620B (en) Document cooperation method
JP5344460B2 (en) EDITING DEVICE, EDITING PROGRAM, AND EDITING METHOD
CN102388377B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conversation in a hosted conversation system
US20160048486A1 (en) Multi-user stream collaborative document editing tool
US20110010635A1 (en) Unified editable inbox
US10354080B2 (en) Facilitating offline or other contemporaneous editing of tabular data
CN10128152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1196896A (en) Docum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080045698A (en) Digital signing policy
CN110334398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BIM model
CN112632919A (en) Document edi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763511A (en) Figure layer composi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in the page
CN111881209A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heterogeneous databas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CN114841127A (en) Layer superposi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treaming electronic collaboration document
US1049695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30107943A (en) A server-based design feedback managinig device that provides design data to a user device
JP202110131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150470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298669A (en) Medical image processing server and managing method for medical image processing server
US7730105B2 (en) Time sharing managing apparatus, document creating apparatus, document reading apparatus, time sharing managing method, document creating method, and document reading method
JP5397591B2 (en) Document management program and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CN104796570A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system
JP7081251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document usage system, update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6796392B (en) Prototype preview method, prototype preview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