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218A -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218A
KR20230107218A KR1020237014887A KR20237014887A KR20230107218A KR 20230107218 A KR20230107218 A KR 20230107218A KR 1020237014887 A KR1020237014887 A KR 1020237014887A KR 20237014887 A KR20237014887 A KR 20237014887A KR 20230107218 A KR20230107218 A KR 2023010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acoustic wave
signal
localization signal
tim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송 리우
웨이천 시앙
Original Assignee
쑤저우 토우체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토우체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토우체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5/10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 G01S15/10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using transmission of pulses having some particular characteristics
    • G01S15/10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using transmission of pulses having some particular characteristics wherein the transmitted pulses use a frequency- or phase-modulated carrier wa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IFF,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설비에 응용하고,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101;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02;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인 단계 103;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04;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105;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단계 106;를 포함한다. 설비 사이의 시계 타임 스탬프가 동기화인지 여부 및 소프트웨어 처리 반응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막론하고 모두 높은 위치확인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거리 측량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에서부터 모든 사물이 상호 연결되는 데까지 이동 인터넷은 인간과 시나리오 사이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확실히 실행하고, 의, 식, 주, 행에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도입하여 사람들에게 편리를 가져왔다. 하지만, 종래의 위치 확인기술은 스마트 하위웨어에 응용할 때 대부분 스마트 하드웨어가 자리잡고 있는 절대 위치를 획득하도록 시도하고, 그 다음, 다지털 맵과 대조하여 스마트 하드웨어의 위치를 확정한다. 하지만, 실제 응용에 있어서, 인간과 인간 사이 상대적 위치의 위치 확인은 절대 위치에 비해 가치와 실용 의미를 더 갖고 있다. 절대 위치가 인간과 사물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획득하는 어려움과 속도도 상대적으로 조금 느리다. 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절대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스마트 홈과 같은 분야에서 상대 위치의 인터랙션은 이미 업무 수요를 만족시켰으며,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소리의 크기와 방향을 스마트하게 조절하고, 사용자와 스마트 스피커의 상대적 위치 확인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었고, 이 점이 하나의 큰 계기가 되는 것은 틀림없다.
현재 스마트설비 사이의 상대적 위치확인에 관해, 실외는 통상적으로 GNSS 글로벌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을 이용하고, 실내는 UWB기술, 적외선기술, WiFi기술, 블루투스기술 등이 있다.
하지만, GNSS 글로벌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은 위치확인 정밀도가 낮고, 특히, 실내에서 거의 사용할 수 없다. WiFi기술과 블루투스기술은 스마트설비의 상대 위치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지 않고, 이에 더불어, 반복적으로 실험하고 실제 거리와 대조해 블루투스 설비와 1미터 간격을 둘 경우의 신호 강도와 환경 감쇠 안자를 획득해야 하므로, 신뢰도가 없다. 적외선기술과 레이저기술은 쉽게 환경 광의 간섭을 받으므로, 마찬가지로 신뢰도가 없다. UWB기술은 스마트설비가 반드시 UWB의 위치확인 칩 부품을 탑재할 것을 요구하므로, 보편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방식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설비에 응용하고,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단계;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설비와 상기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발송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미리 설정한 시점에 발송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거리 D를 확정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01
이고, 여기에서, T1은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인 단계;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설비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는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발송모듈;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수신모듈;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는 확정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발송모듈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하는 데도 사용하고; 및/또는,
확정모듈은 상기 거리 D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02
이고, 여기에서, T1는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이다.
거리 측정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제1 설비;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제1 설비에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제2 설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설비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도 사용한다.
스마트설비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중에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기술방안에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다음과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며;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이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며;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설비 사이의 정적 거리 측정 방법을 창출하여, 비행 시간을 기반으로 한 양방향 거리 측정기술이 시간 동기화를 면제해 거리 측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전체 위치 확인과정에서 각 설비 사이의 시계에 대해 동기화를 실시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계가 정확한지 여부, 설비의 반응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 등을 막론하고 모두 차이값으로 인해 필터링되므로, 동기화 과정을 구비한 위치 확인방식에 비해 위치 확인 정밀도가 더 정확하다.
또한, 스마트설비가 통상적으로 음파 수신장치(예를 들어 마이크)와 음파 발사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구비하는 점을 감안하여, 별도로 소자를 첨가할 필요가 없이 두 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방법의 시범성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과정의 시범성 인터랙션(interaction)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설비에 있어서 스마트설비가 신호를 수신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장치에 대한 시범성 구조도이고;
도 5는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시스템의 시범성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과 장점이 더 명료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과 결합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간결 및 직관을 위하여 대표적인 복수의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방안을 기재한다. 실시방식에서 대량의 세부적 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방안을 이해하도록 도우는 데 사용할 뿐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구현할 때 이런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매우 뚜렷하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이 불필요하게 애매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부 실시방식은 세부적으로 기재하지 않고 틀만 제공하였다. 이하 문장에서, “포함”은 “포함하지만, 한정되지는 않는” 경우를 가리키고, “……에 근거해”는 “적어도……에 근거하지만, ……에 근거하는 데만 한정되지 않는” 경우를 가리킨다. 중문의 언어 습관으로 인하여 이하 문장에서 한 성분의 수량을 특별히 지적하지 않을 경우, 해당 성분이 하나일 수 있고, 복수일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서,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을 기반으로 한 양방향 거리 측정 기술을 구현할 경우, 시간 동기화를 면제하고, 스마트설비가 통상적으로 구비한 음파 수신장치(예를 들어 마이크)와 음파 발사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응용하여, 별도로 소자를 추가할 필요가 없이 2개가 상대적으로 정지된(또는 상대적인 운동 속도가 5m/s미만인)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방식은 스마트설비의 마이크 녹음시스템을 이용해 설비의 응답 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설비의 응답 매커니즘을 증가하고, 블루투스, 적외선 또는 WiFi,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음파 변조 방식으로 위치 확인설비에 의해 신호 처리 시간을 위치 확인설비에 발송하므로, 위치 확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위치 확인 결과가 정확하고 믿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전체 위치 확인과정에서 각 설비 사이의 시계에 대해 동기화를 실시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 개의 설비의 시계 표시(타임 스탬프)가 정확하게 동기화 되었는지 여부, 설비의 소프트웨어 처리 반응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 등을 막론하고 모두 본 발명이 제출한 계산방법에 의해 제거되므로, 동기화 시계 시스템(또는 송수신 일체형 시스템)이 획득할 수 있는 위치 확인 정밀도에 도달할 수 있다.
먼저, 스마트설비(intelligent device)는 계산 처리능력을 구비한 모든 설비, 기계 또는 기기를 가리킨다. 상세하게, 스마트설비는 음파 발사모듈, 음파 수신모듈 및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으로 실시되는 것과 같이 모두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 및 수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한 시범성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설비에 응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101;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02;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인 단계 103;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04;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105;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설비와 상기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단계 10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초음파 신호로 실시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단계 101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설비의 샘플링 빈도와 제2 설비의 샘플링 빈도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발송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미리 설정한 시점에 발송한 것이다.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발송한 것일 경우, 제1 시간차는 양값이다.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한 미리 설정한 시점이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기 전일 경우, 제1 시간차는 음값이다. 유사하게,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기 전일 경우, 이미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제2 시간차는 양값이고;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야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제2 시간차는 음값이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아래와 같이,
상기 거리 D를 확정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03
이고, 여기에서, T1은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인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시범성 설명을 진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과정의 시범성 인터랙션(interaction)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설비와 제2 설비는 각각 음파 발사모듈, 음파 수신모듈 및 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설비와 제2 설비는 모두 스마트설비이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음파 발사모듈은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하는데 사용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호는 스마트설비의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MAC 주소 등)를 포함하고, CDMA 다중 분할 코드 접속 기술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신호이다. 바람직하게, 제1 설비와 제2 설비는 각각 주파수가 상이한 반송파의 코드펄스를 발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주파수는 20kHz이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주파수는 22kHz로서, 시스템의 간섭 저지능력을 향상한다. 음파 수신모듈은 마이크, 녹음유닛을 포함해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도달 타임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제1 단계: 녹음 시간 길이
Figure pct00004
(예를 들어, 5초)를 설정한다.
제2 단계: 제1 설비는 무선 전신, 블루투스, Wifi, 이동 통신 네트워크, 음파(음파 코드화 데이터 인터랙션 통신) 등 통신방식을 통해 제2 설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고, 발송 타임은
Figure pct00005
타임으로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설비는 자체의 음파 수신모듈(대표적인 것으로는 제1 설비에 내장된 마이크일 수 있음)을 작동시킨다.
Figure pct00006
타임에서부터 시작해 녹음 시간 길이에 도달하여 감청/녹음을 종료하기 전까지 제1 설비의 마이크는 계속 감청, 녹음 상태에 놓여진다.
제3 단계: 제2 설비는 제1 설비가 발송한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Figure pct00007
타임으로 기록한다. 이 경우, 제2 설비는 자체의 음파 수신모듈(대표적인 것으로는 제2 설비에 내장된 마이크일 수 있음)을 작동시킨다. 제2 설비의 마이크는
Figure pct00008
타임에서부터 시작해 녹음 시간 길이에 도달하여 감청/녹음을 종료하기 전까지 계속 감청, 녹음 상태에 놓여진다.
제4 단계: 제1 설비는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하고,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1 설비의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MAC 주소 등)를 포함한다.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신호 타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특징 펄스 피크(통상적으로 100us이하의 펄스 폭)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1 설비의 음파 수신모듈에 의해 녹음되고, 제1 설비의 신호 처리모듈은 대응되는 관련 펄스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09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5 단계: 제2 설비는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유일한 식별자 및 관련된 특징 펄스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10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6 단계: 제2 설비는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하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의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MAC 주소 등)을 포함한다.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신호 타임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특징 펄스 피크(통상적으로 100us 이하의 펄스 폭)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의 음파 수신모듈에 의해 녹음된다. 제2 설비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관련된 특징 펄스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11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2 설비는 무선 전신, 블루투스, Wifi, 이동 통신 네트워크 모드 또는 음파(음파 코드화 데이터 인터랙션 통신) 등 통신방식을 통해 신호 송수신 시간차
Figure pct00012
를 제1 설비에 발송한다.
제7 단계: 제1 설비는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및, 제2 설비의 신호 송수신 시간차 값
Figure pct00013
을 수신하며; 제1 설비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 중에서 유일한 식별자 및 관련된 특징 펄스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14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8 단계: 제1 설비와 제2 설비의 미리 설정한 녹음 시간 길이가 종료되고, 종료 타임은 각각
Figure pct00015
,
Figure pct00016
로 기록한다. 미리 설정한 녹음 시간 길이는
Figure pct00017
이다.
제9 단계: 제1 설비는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 D를 계산한다. 상세하게, 먼저 신호 비행 시간
Figure pct00018
을 계산하고; 다시, 두 설비 간 거리
Figure pct00019
를 계산하고, 여기에서, c는 음속인 단계를 포함한다.
전체 위치 확인 과정에서, 가능한 변수
Figure pct00020
,
Figure pct00021
, 즉, 설비 마이크 및 스피커의 작동 시간이 존재한다. 하지만, 각 설비 사이의 시계에 대해 동기화를 실시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계가 정확한지 여부, 설비의 반응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 등을 막론하고 모두 차이값으로 인해 필터링된다.
무엇보다도,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하는
Figure pct00022
타임은 제2 설비의 신호 처리모듈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분석해 산출한 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사하는
Figure pct00023
타임은 미리 설정한 녹음 시간 길이
Figure pct00024
가 시작할 때의 설정 시간
Figure pct00025
(예를 들어, 1 또는 2초) 후이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발사 시간은 계속
Figure pct00026
로 표기하고, 미리 설정한 발사 노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비에 있어서 스마트설비가 신호를 수신하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비와 제2 설비의 각자의 신호 처리모듈은 신호를 분석해 계산할 경우, 모두 검측된 첫 번째 피크 값(해당 피크 값은 직접 위치 확인 신호)의 타임을 선택해 음파 신호를 검측한 타임으로 삼고, 상기 관련 피크 위치에 대응되는 타임은 각각
Figure pct00027
(도 1 중 제4 타임에 대응),
Figure pct00028
(도 1 중 제2 타임에 대응),
Figure pct00029
(도 1 중 제1 타임에 대응),
Figure pct00030
(도 1 중 제3 타임에 대응)이다. 여기에서,
Figure pct00031
타임에 제1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검측하고;
Figure pct00032
타임에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검측하고;
Figure pct00033
타임에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검측하고;
Figure pct00034
타임에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검측한다.
제2 설비의 녹음 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해 산출한 샘플링 지점의 수치 차는 제2 설비 지점의 신호 송수신 시간차를 산출한다. 상기 수치 차는
Figure pct00035
로 기록하고, 즉,
Figure pct00036
이고,
Figure pct00037
는 제2 설비의 샘플링 빈도이다. 예를 들어, 제2 설비는 자체 녹음 파일의 녹음 시간 길이 내의 세 번째 샘플링 지점에서 제1 음파 신호가 검측되고, 상기 녹음 시간 길이 내의 500 번째 샘플링 지점에서 제2 음파 신호가 검측되었을 경우, 수치 차
Figure pct00038
는 500-3=497이다.
제1 설비의 녹음 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해 산출한 샘플링 지점의 수치 차는 제1 설비 지점의 신호 송수신 시간차를 산출한다. 상기 수치 차는
Figure pct00039
로 기록하고, 즉,
Figure pct00040
이고,
Figure pct00041
는 제1 설비의 샘플링 빈도이다. 예를 들어, 제1 설비는 자체 녹음 파일의 녹음 시간 길이 내의 여섯 번째 샘플링 지점에서 제1 음파 신호가 검측되고, 상기 녹음 시간 길이 내의 200 번째 샘플링 지점에서 제2 음파 신호가 검측되었을 경우, 수치 차
Figure pct00042
는 200-6=194이다.
제1 설비와 제2 설비의 샘플링 빈도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신호 비행 시간 TOF:
Figure pct00043
이고,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 D:
Figure pct00044
이다.
이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설비(즉, 위치 확인 설비)가 휴대폰 A이고 제2 설비(즉, 위치 확인된 설비)가 휴대폰 B라고 가정할 경우, 샘플링 빈도는 모두
Figure pct00045
이다.
제1 단계: 녹음 시간
Figure pct00046
(해당 값은 조정가능)을 설정한다.
제2 단계: 휴대폰 A가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통해 휴대폰 B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고, 이 타임은
Figure pct00047
이다. 휴대폰 A는 마이크를 작동하고, 휴대폰 A의 마이크는 계속 감청, 녹음 상태에 놓는다.
제3 단계: 휴대폰 B는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Figure pct00048
로 기록한다. 휴대폰 B는 마이크를 작동하고, 휴대폰 B의 마이크는 계속 감청, 녹음 상태에 놓는다.
제4 단계: 휴대폰 A는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주파수: 20kHz)를 발사하고,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휴대폰 A의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MAC 주소 등)를 포함한다.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휴대폰 A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되고, 휴대폰 A의 신호 처리모듈은 대응되는 관련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49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5 단계: 휴대폰 B는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휴대폰 B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유일한 식별자 및 관련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50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6 단계: 휴대폰 B는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주파수: 22kHz)를 발사하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휴대폰 B의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MAC 주소 등)를 포함한다.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휴대폰 B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다. 휴대폰 B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관련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51
타임으로 표기한다. 휴대폰 B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신호 송수신 시간차
Figure pct00052
를 제1 설비에 발송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53
,
Figure pct00054
이다.
제7 단계: 휴대폰 A는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와 휴대폰 B의 신호 송수신 시간차 값(0.945s)을 수신한다. 휴대폰 A의 신호 처리모듈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의 유일한 식별자 및 관련 피크 위치를 분석해 산출하여
Figure pct00055
타임으로 표기한다.
제8 단계: 휴대폰 A와 휴대폰 B는 미리 설정한 녹음 시간이 종료되고,
Figure pct00056
,
Figure pct00057
이다.
제9 단계: 휴대폰 A는 휴대폰 A와 위치 확인된 설비 B 사이의 거리 D를 계산한다.
Figure pct00058
이고;
Figure pct00059
이고;
Figure pct00060
이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장치를 더 공개한다.
도 4는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장치에 대한 시범성 구조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발송모듈(401);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수신모듈(402);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는 확정모듈(403);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발송모듈(401)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하는 데도 사용한다.
하나의 실시방식에서, 확정모듈(403)은 상기 거리 D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61
이고, 여기에서, T1는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이다.
하나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발송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미리 설정한 시점에 발송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방식은 거리 측정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도 5는 스마트설비 사이의 거리 측정 시스템의 시범성 구조도이다. 거리 측정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제1 설비;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제1 설비에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제2 설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설비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방식은 스마트설비를 더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설비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중에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느 한 항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여기에서, 스마트설비는 스마트폰, 스마트 스피커,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고 동등한 기술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해 기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해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라는 것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이거나 종래기술에 기여를 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에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한 대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이 도면을 결합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한정이 아닌 시범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제시하에 본 발명의 취지와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이탈하지 않은 상황에서 더 많은 형식을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0)

  1.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설비에 응용하고,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단계;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상기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설비와 상기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과,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이 생성한 녹음 파일 중에서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샘플링 지점의 포인트 수치 차 및 미리 설정한 샘플링 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시간차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에 발송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제2 설비가 미리 설정한 시점에 발송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거리 D를 확정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62
    이고, 여기에서, T1은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방법.
  6. 거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설비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는 아래와 같이,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발송모듈;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는 상기 제2 설비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수신모듈;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는 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발송모듈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기 전에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발송하여 제1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비가 상기 거리 측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2 설비의 음파 녹음 기능을 작동하는 데도 사용하고; 및/또는,
    확정모듈은 상기 거리 D를 확정하는 데 사용하고, 여기에서,
    Figure pct00063
    이고, 여기에서, T1는 제2 시간차이고, T2는 제1 시간차이고, C는 음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장치.
  8. 거리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제1 설비;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설비가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타임 및 제2 설비가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2 타임 사이의 제1 시간차를 포함한 통지 메시지를 제1 설비에 발송하는 데 사용하는 제2 설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설비는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설비가 상기 제2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3 타임 및 제1 설비가 상기 제1 음파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4 타임 사이의 제2 시간차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설비와 제2 설비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데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시스템.
  9. 스마트설비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중에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설비.
  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14887A 2020-11-24 2020-12-18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30107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329162.1 2020-11-24
CN202011329162.1A CN112698311A (zh) 2020-11-24 2020-11-24 测距方法、装置、系统、智能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20/137437 WO2022110385A1 (zh) 2020-11-24 2020-12-18 测距方法、装置、系统、智能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218A true KR20230107218A (ko) 2023-07-14

Family

ID=7550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887A KR20230107218A (ko) 2020-11-24 2020-12-18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51373A1 (ko)
KR (1) KR20230107218A (ko)
CN (1) CN112698311A (ko)
WO (1) WO2022110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7930B (zh) * 2022-08-18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音频测距方法、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2034B1 (en) * 1999-01-27 2001-03-13 Delphi Technologies, Inc. Ultrasonic rang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thereof
CN100429479C (zh) * 2005-12-01 2008-10-29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利用声波进行距离测量的手机装置及其距离测量方法
TWI452322B (zh) * 2012-08-17 2014-09-11 Au Optronics Corp 使用聲波測量物體空間位置的方法及系統
CN104113380B (zh) * 2013-04-17 2018-03-09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音频发送和接收终端的通讯方法及通讯系统
CN104422922A (zh) * 2013-08-19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实现声源定位的方法及装置
CN105652265A (zh) * 2014-11-17 2016-06-08 胡乐乐 一种移动测距方法、设备及系统
KR102314272B1 (ko) * 2015-04-30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공유 장치 및 방법
CN108169752B (zh) * 2016-12-07 2020-01-17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通信的超声波测距方法及系统
CN110045379B (zh) * 2019-04-11 2023-03-31 花瓣云科技有限公司 一种距离测量方法、相关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98311A (zh) 2021-04-23
US20230251373A1 (en) 2023-08-10
WO2022110385A1 (zh)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475B2 (e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transmitter device
US8203910B2 (en) Autonomous ultrasonic indoor lo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6896356B (zh) 确定距离变化的方法、位置提示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204166124U (zh) 室内定位系统
WO2013061268A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urate location determination in a specified area
WO2018000968A1 (zh) 终端定位方法及装置,和终端
WO2014192893A1 (ja) 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および測位プログラム
CN104101863A (zh) 基于智能移动设备的定位系统和定位方法
WO2018129838A1 (zh) 一种定位方法、终端及服务器
KR101581619B1 (ko) 소리 수집 단말, 소리 제공 단말, 소리 데이터 처리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소리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20230107218A (ko) 거리 측정 방법, 장치, 시스템, 스마트설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N105277936A (zh) 一种基于手机的测距系统和方法
Comuniello et al. Ultrasound time of flight based positioning using the bluetooth low energy protocol
EP2850451A1 (en) Handheld-device-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039932A1 (en) Likelihood-based acoustic positioning
KR101673812B1 (ko) 소리 수집 단말, 소리 제공 단말, 소리 데이터 처리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소리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13075619A (zh) 一种智能设备的定位方法、装置、智能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13264A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정밀 위치 측위 시스마트 기기의 정밀 위치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102265743B1 (ko) 위치 측정 시스템, 음향신호 발생장치 및 위치측정 단말장치
US20240015432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acilitating efficiency of a group whose members are on the move
CN113075618A (zh) 智能设备的定位方法、装置、系统、智能设备和存储介质
Moosavi-Dezfooli et al. Simultaneous acoustic localization of multiple smartphones with euclidean distance matrices
KR101595706B1 (ko) 소리 수집 단말, 소리 제공 단말, 소리 데이터 처리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소리 데이터 처리 시스템
Lazik Ultrasonic Ranging and Indoor Localization for Mobile Devices
IL279076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group whose members are in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