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35A -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 Google Patents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7035A KR20230107035A KR1020220002935A KR20220002935A KR20230107035A KR 20230107035 A KR20230107035 A KR 20230107035A KR 1020220002935 A KR1020220002935 A KR 1020220002935A KR 20220002935 A KR20220002935 A KR 20220002935A KR 20230107035 A KR20230107035 A KR 202301070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lame
- spread rate
- area
- target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깊이 맵(Depth Map) 등 영상분석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전력설비 또는 인근의 화재를 감지/식별하고, 화재 이격거리 추정을 통한 전력 설비를 보호하는 조치를 수행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ower facilities that more simply and accurately detects/identifies power facilities or nearby fires using image analysis such as depth maps, and takes measures to protect power facilities through fire separation distance estimation. It relates to fire response methods and systems.
대한민국은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70년대 이후 경제력이 향상되면서 삼림은 울창하게 갖춰진 반면, 휴일이면 증가된 등산객들의 부주의로 인해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등산객의 부주의뿐 아니라 농촌에서의 논두렁 태우기나 번개 등의 천재지변에 의해서도 산불이 발생되고 있다. 이외에도 산불의 발생 원인은 다양화되고 있다.More than 70% of Korea's land area is made up of forests. While economic power has improved since the 1970s, forests have become dense, while many forest fires have occurr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hikers who have increased on holidays. is happening In addition, the causes of forest fires are diverse.
최근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국적으로 화재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산악지역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산불로 인해 산림의 훼손, 물적·인적 피해, 문화재 소실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Recently, fires are increasing nationwide due to various factors. In particular, large and small forest fires in mountainous areas are causing social problems such as damage to forests, physical and human damage, and loss of cultural assets.
그에 따라 산불을 조기에 탐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영상기술 기반의 화재 조기탐지 기술의 도입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early fire detection technology based on video technology is increasing in order to detect forest fires early and minimize damage.
전력회사는 전력설비 인근에서 발생하는 산불로 인해 화재 경로에 있는 철탑과 전력선 등 송배전 설비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조기에 탐지하고 선제적 계통 차단, 대체 계통 확보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CCTV 감시시스템, 산불감시 순시원 등의 자체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Electric power companies use CCTV surveillance systems and forest fires to prepare for early detection of damage that may occur to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steel towers and power lines in the fire path due to forest fires that occur near power facilities, and to preemptively shut down the grid and secure alternative grids. We operate our own response system, such as surveillance patrols.
또한, 미국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전력회사에서 강풍 등의 악천우에 의한 전력선 단선 화재를 대비하기 위해 상시 강풍개소 등 취약 지역에 CCTV 기반의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In addition, power companies in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are operating CCTV-based monitoring systems in vulnerable areas such as strong winds at all times to prepare for power line disconnection fires caused by bad weather such as strong winds.
다만, 이러한 감시체계가 인력 기반의 상시 모니터링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므로, 화재 발생여부의 실시간 감지 및 감시대상 목적물로부터 화재의 근접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기존 CCTV 감시시스템에 지능화 기술 적용을 통해 전력설비 등 감시대상 목적물을 인식하고 산불로부터 화재 발생위치를 추정하여 화재발생 여부, 근접도를 판단하고 경보를 발송하는 기술의 도입이 시급하다.However, since this monitoring system is based on manpower-based constant monitoring, it is difficult to detect fire occurrence in real time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e is close to the object to be monitored. Therefore, it is urgent to introduce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objects to be monitored, such as electric power facilities, by applying intelligent technology to the existing CCTV surveillance system, estimates the location of a fire from a forest fire, determines whether a fire occurs, proximity, and sends an alarm.
현재 주로 활용되는 화재탐지 시스템은 CCTV 영상감시와 적외선 카메라, 센서 등을 활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적외선 등 센서 기술 기반의 화재탐지 장비는 비교적 고가의 투자비가 소요되고 유효 감지반경이 수십 미터로 한정되므로 산악지대 등 넓은 지역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Currently, the fire detection system mainly used is a method of detecting a fire using CCTV video surveillance, an infrared camera, and a sensor. Fire detection equipment based on sensor technology, such as infrared, requires relatively high investment costs and has a limited effective detection radius of several tens of meters,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wide areas such as mountainous areas.
또한, 센서 기술의 정확도 한계로 잦은 화재 오인식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In addition, due to the accuracy limit of the sensor technolog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false fire recognition alarms frequently occur, which often reduces the user's work efficiency.
현행 CCTV 감시시스템은 운영자의 육안감시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초기 화재발생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거나, 발생된 화재가 전력설비, 문화재 등의 감시대상 목적물로부터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즉시 파악하기 어려워 초동조치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Most of the current CCTV surveillance systems depend on the operator's visual monitoring,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nitial fire occurrence late or to immediately determine how close the fire is to the object to be monitored, such as power facilities or cultural assets. there is a problem
특히, 광역적으로 계통망 연계를 위해 산악/산림지역 및 인력이 상주하여 관리가 어려운 장소의 전력설비의 경우 인근 주변의 산불 및 화재 시 CCTV등을 통한 화재 발생 인지 및 감시에도 불구하고 화재 규모, 이동방향, 확산속도 등의 화재정보 파악이 어려워 설비에 대한 화재 방지를 위한 초동조치가 불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in mountainous/forest areas and places where management is difficult due to manpower resident for wide-area system network connection, despite fire recognition and monitoring through CCTV, etc. It is difficult to grasp fire information such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speed of spread, so in most cases it is impossible to take initial action to prevent fires in facilities.
그러므로 영상센서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감시대상 목적물을 학습하여 자동 인식하고, 화재 발생여부 및 그 목적물로부터 화재까지 근접도, 이격거리를 추정하여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urgent to introduce a technology capable of learning and automatically recognizing an object to be monitored using image sensor-based technology, estimating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and the proximity an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bject to the fire.
본 발명은 상주 관리가 어려운 장소의 전력설비의 경우에도 인근 주변의 산불 및 화재 시 CCTV등을 통한 화재 발생 인지/감시에 따라 화재 규모, 이동방향, 확산속도 등의 화재 정보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영상인식 기반 화재정보 추출 및 화재 이격거리 추정을 통한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ven in the case of power facilities in places where resident management is difficult, fire information such as fire size, movement direction, and spread speed can be identified and coped with by recognizing/monitoring fire occurrence through CCTV in case of nearby forest fires and fir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ire response method and system for power facilities through image recognition-based fire information extraction and fire separation distance esti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은, 영상인식 기반으로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 면적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대상 목적물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화재확산 속도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fire response method for a power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image recognition; Separately extracting a flame and smoke portion for the fire that occurs, and calculating an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ortion; estimating a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area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with time; and performing a measure according to the fire spreading speed to protect the target facility.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시간 대비 확산 면적을 통해 화재확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the fire spread rat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spread area versus tim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extra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ime monitoring.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 변의 길이 변화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 경과 이후 각 변의 길이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speed, the fire spread speed is estimat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ll the recognized flame parts, but at a specific time based on area information coll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is extracted, and the fire spread rate can be calculated from the length change of each side after the lapse of time.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4개의 각 변의 길이 변화들 중 최대값을 적용하여 화재확산 속도를 제시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the fire spread rate may be presented by applying the maximum value among length variations of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원형 프레임의 원주나 지름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the fire spread rate may be estimated from a change in the circumference or diameter of the circular frame including all of the recognized flame parts.
여기서,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기반으로 목적물 설비 위치에 관련된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목적물 설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 및 탐지 결과, 인식 결과로부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화재의 이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may include extracting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of a target facility based on a depth map of the image; Detecting flame and smoke of a fire based on the color image of the image and recognizing a target facility; and determining a degree of separation of the fire from the target facility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recognition result.
여기서, 상기 이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탐지된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재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 이상 겹치고, 상기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separation, if the detection area of the detected target facility overlaps with the fire detection area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and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of the detection area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regarded as a proximity fire for the target facility. can judge
여기서,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물 설비와 상기 화재 위치의 이격 정도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목적물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measur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target facility quick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and the speed of fire spread, take immediate action for the target facility. can instruc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인식 기반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감시 지역의 목적물 설비에 대한 화재의 이격 정도를 파악하는 화재 영상 분석 장치; 상기 영상의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화재확산 속도를 도출하는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 및 상기 화재확산 속도와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화재의 이격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대응수준으로 상기 목적물에 대한 화재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화재 조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fire response system for an image recognition-based power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image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an image taken in a fire monitoring area to determin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a fire from a target facility in the monitoring area; a fire spread rate deriving device for deriving a fire spread rat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of the image; And it may include a fire action device for performing fire response measures for the target object at a response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e spread rate and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fire from the target facility.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발생된 화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화염 부분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는 화염/연기 분류부;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해 최대 면적을 산출하는 화염 부분 추출부;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a flame / smoke classification unit for dividing a flame portion and a smoke portion in the image taken with respect to the fire occurred; a flame portion extraction unit for calculating a maximum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ortion; and a fire spread rate estimator for estimating a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over time.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일정시간별로 상기 화염 부분의 편차를 계산하는 화염 부분 편차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lame portion deviation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여기서,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 부분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 면적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dividing and extracting a flame part and a smoke part for an outbreak fire, and calculating an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art; and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area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over time.
여기서, 상기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 변의 길이 변화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 경과 이후 각 변의 길이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Here, the fire spread rate estimator estimates the fire spread rate by changing the length of four sides of a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ll of the recognized flame parts, and the rectangular frame at a specific time based on area information coll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length of each side of is extracted, and the fire spread rate can b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length of each side after the lapse of time.
여기서, 상기 화재 조치 장치는, 상기 목적물 설비와 상기 화재 위치의 이격 정도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목적물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Here, the fire action device may instruct immediate measures for the target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target facility quick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and the speed of the fire spread. can
여기서, 상기 화재 영상 분석 장치는, 상기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기반으로 목적물 설비 위치에 관련된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의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목적물 설비를 인식하고, 상기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염 또는 연기의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 이상 겹치고, 겹친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extracts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facility based on a depth map of the image, detects flames and smoke of a fire based on the color image of the image, and targets the facility Recognizes, if the detection area of the target facility and the detection area of fire or smoke overlap at a predetermined rate or more, and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overlapping detection area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proximity fire to the target facility.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영상인식 기반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및/또는 시스템을 실시하면, 상주 관리가 어려운 장소의 전력설비의 경우에도 인근 주변의 산불 및 화재 시 CCTV등을 통한 화재 발생 인지/감시에 따라 화재 규모, 이동방향, 확산속도 등의 화재 정보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ased on the ima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f a fire response method and/or system is implemented for power facilities, even in the case of power facilities in places where resident management is difficult, in case of forest fires and fires in the vicinity, fire recognition/monitoring through CCTV, etc.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al with fire information such as the speed of spread.
본 발명의 영상인식 기반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및/또는 시스템은, 산림 화재의 조기 탐지와 신속한 초동조치로 산림 소실을 예방하고 화재로 인한 문화재, 중요 구조물, 전력설비 등의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mage recognition b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response method and/or system for power facilitie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forest loss through early detection of forest fires and rapid initial action and minimizing human and material damage to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structures, and power facilities caused by fire. there is
본 발명의 영상인식 기반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및/또는 시스템은, 화재사고 예방이 필요한 목적물로부터 화재 발생지점까지 거리를 추정하여 신속한 상황판단과 초동조치가 가능하고, AI 기반으로 화재 자동탐지를 통해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Image recognition b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response method and/or system for power facilities estimate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requiring fire accident prevention to the point of fire occurrence, enabling rapid situation judgment and initial action, and efficiency in manpower operation through AI-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영상인식 기반의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안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안에 있어서, 화염 부분의 실시간 편차를 통한 화염확산 속도 추정 방법을 나타낸 구체 계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재에 대한 영상인식 정보를 활용한 화재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목적물 전력 설비로부터 화재발생 위치까지 이격거리 산정을 위한 구성의 블록도.
도 6은 전력설비 인근 화재탐지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도 5의 검출 영역 위치좌표 계산 모듈(3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화재 및 목적물 전력 설비에 대한 검출 결과의 예시도.
도 9는 도 5의 화재 발생위치 최종판단 모듈(4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재발생 위치 최종 판단로직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equip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 method for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based on image recognition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pecific calculation example showing a flame spread rate estimation method through real-time deviation of a flame part in the fire spread rate estimation scheme of FIG. 2;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e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fi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fo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a target power facility to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6 is an exemplary view of a fire detection screen near power facilities;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area posi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detection results for fire and target power facilities.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e loca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occurrence position final determination logic;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상기의 설명과 같이 기존 영상 기반의 화재감시 시스템은 영상장비 인근 주변 및 건물 내부와 같은 지협적인 장소에 대한 화재감시를 목적으로 화재 발원지와 인접한 장소에 대한 화재진압 및 대피 등과 같은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안전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기능이 제한적으로 개발된 부분이 존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video-based fire monitoring system is aimed at minimizing human damage such as fire suppression and evacuation in places adjacent to the fire source for the purpose of fire monitoring in narrow places such as the vicinity of video equipment and inside buildings. As a direc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ere is a part that has been developed with limited functions.
하지만, 인력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산악/산림 지역에 전력설비의 경우 설비 이동이 불가하고 산불과 같은 불특정 지점의 원거리 화재 발생시, 설비에 대한 화재방지가 주요하므로 전력설비화재 방지를 위한 화재확산 속도 및 화재 발원지에서 설비까지의 예상 접근 시간 등의 화재정보가 안전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효과적인 초동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능화된 화재 감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power facilities in mountainous/forest areas where manpower access is not easy, it is impossible to move the facilities, and fire prevention for facilities is important in the event of a remote fire at an unspecified point such as a forest fi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lligent fire monitoring system so that fire information, such as the expected access time from the fire source to the facility, can be linked with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o that effective first action can be take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e response method for a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은, 영상인식 기반의 분류 기법을 통하여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S20);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해 최대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S40); 화염 부분을 기반으로 화재규모를 단계적으로 나누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화재영역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S60); 및 상기 화재확산 속도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response method for the illustrated power facility includes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through an image recognition-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S20); Separately extracting a flame and a smoke part for the generated fire, and calculating a maximum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art (S40); Dividing the fire scale in stages based on the flame portion and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fire area that changes with time (S60); and performing a measure according to the fire spreading speed (S80).
상기 화재확산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S60)는, 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시간 대비 확산 면적을 통해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information (S60), the fire spread rate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spread area versus tim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extra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ime monitoring.
도 2는 상기 S60 단계에 적용될 수 있는 영상인식 기반의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안을 예시한다.2 illustrates an image recognition-based fire spread rate estim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step S60.
도 2는 화재에 대한 영상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 예시로, 영상인식 기반의 분류 기법을 통하여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과 연기 부분을 분류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해 최대 면적을 산출한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시간 대비 확산 면적을 통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2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based on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bout a fire. Through an image recognition-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flame and smoke parts are classified for an outbreak fire, and the maximum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art is calculated. yield Through real-time monitoring,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fire spread rate through the spread area versus tim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arts extra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도 3은 도 2의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안에 있어서, 화염 부분의 실시간 편차를 통한 화염확산속도 추정 방법을 나타낸다.FIG. 3 shows a flame spread rate estimation method through real-time deviation of a flame part in the fire spread rate estimation scheme of FIG. 2 .
도 3은 인식된 화염 부분에 대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화염 부분의 편차를 통하여 화염확산속도를 추정하는 방법 예시에 대한 내용으로, 화염 부분은 영상인식을 통하여 감지된 화영 영역에 대한 최대면적을 기반으로 영역을 산정할 수 있다. 3 is an example of a method for estimating the flame spread rate through the deviation of the flame part that changes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the recognized flame part, the flame part is based on the maximum area for the area can be calculated.
예컨대,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A, B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경과 C 이후의 A', B'에 대하여 각 영역 편찬 A'-A와 B'-B를 기준으로 경과시간 C를 반영하여 (A'-A)/C와 (B'-B)/C로 화염확산 속도를 계산한다. 또한, 화재위험에 대해 빠른 안전관리를 위하여 상기 두 경우의 확산속도중 최대값을 적용하여 제시 가능하다.For example, based on area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lengths of A and B are extract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each area compilation A'-A and B'- for A' and B' after time lapse C Calculate the flame spread rate with (A'-A)/C and (B'-B)/C by reflecting the elapsed time C based on B. In addition, for quick safety management of fire risk, it is possible to apply and present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usion speed in the above two cases.
도 3에서는 인식된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변의 길이 변화로 화염확산 속도를 추정하는데, 이 방식은 대부분의 이미지 센서의 픽셀들이 구성하는 X - Y 좌표계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서, 연산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In FIG. 3, the flame spread speed is estimat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our sides of a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ll recognized flame parts. This method can apply the X-Y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most image sensor pixels as it i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st.
다른 구현에서는, 인식된 화염 부분의 면적의 변화로부터 화염확산 속도를 산출하거나, 인식된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원형 프레임의 원주나 지름 변화로부터 화염확산 속도를 산출하거나, 인식된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육각형 등 다른 다각형 프레임의 변들의 길이 변화로 화염확산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In other implementations, the flame spread rate is calculated from changes in the area of recognized flame parts, or from changes in the diameter or circumference of a circular frame that includes all recognized flame parts, or includes all recognized flame parts. The flame spread rate can be estimated by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ides of other polygonal frames, such as hexagons.
구현에 따라,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S20)는, 그레이 영상 기반으로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전력 설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2 단계들의 결과들로부터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화재 발생 위치(이격 정도로서 이격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S20) may include extracting distance information based on a gray image; Detecting flames and smoke of a fire based on a color image and recognizing a power facility; and determining a fire occurrence location (separation distance as a degree of separation) for the power facility from the results of the two steps.
이 경우, 상기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S20)에서는 각 전력 설비와 화재 발생 위치(영역) 간의 이격거리를 추정하는데, 예컨대, 상기 이격거리 추정 방법으로서, 딥러닝 기반의 물체탐지 및 위치좌표, 스테레오 카메라 밝기 정보의 융합을 통하여 대략적인 거리를 추정하여 테이블화하여 계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fire (S20),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power facility and the location (region) of the fire is estimated. For example, as the separation distance estimation method,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It can be calculated by estimating an approximate distance through the fusion of stereo camera brightness information and turning it into a table.
예컨대, 상기 이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탐지된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재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80%) 이상 겹치고, 상기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10%)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separation, the detection area of the detected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detection area overlap with a predetermined ratio (80%) or more, and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of the detection are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10%), It can be judged as a proximity fire to the target facilit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80)까지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원지와 전력설비 위치 간의 이격거리를 추정하고, 화재확산 속도 및 이격 거리를 반영하여 인근 전력설비에 대한 화재 접근 순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화재 방지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하며, 해당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화재방지 우선 순위에 따라 화재진압 드론 및 소방장비 또는 인력 투입등의 다양한 대처 방안이 화재 정보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출한다.In accordance wit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bove steps are performed (S80),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e source and the location of the power facility is estim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the fire spread speed and distance By reflecting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and respond to fires according to the order of fire access to nearby power facilities. Countermeasures are derived step by step according to fire information.
예컨대,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80)에서는, 상기 전력 설비와 상기 화재 발생 위치의 거리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예: 해당 전력 설비의 운행 중단 및/또는 선로 차단)를 지시하고, 상기 전력 설비로의 화재 도달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통보 및 알람 조치만 수행하고, 직접적인 조치는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action (S8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power facility quick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facility and the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speed of fire spread, the immediate response to the power facility is determined. Actions (e.g., suspension of oper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or line blocking) are instruc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sufficient time for the fire to reach the power facility, only notification and alarm actions are performed to the manager, and direct actions are taken by the manager. Can be done according to instructions.
예컨대, 상기 화재 방지의 우선 순위는, 화재 영역이 하나인 경우, 각 전력 설비와 화재 위치(발원지)의 이격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only one fire area, the priority of fire preven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power facility and a fire location (source).
예컨대, 상기 화재 방지의 우선 순위는, 발화점이 복수이거나, 최초 발화점에서 화재가 원거리로 확산되어 화재 영역이 2 이상인 경우, 각 전력 설비와 화재 위치(발원지)의 이격 거리와 각 화재 영역의 화재확산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iority of the fire prevention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power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source) and the fire spread in each fire area when there are multiple ignition points or the fire spreads to a long distance from the first ignition point and the fire area is two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by speed.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재에 대한 영상인식 정보를 활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ire response system using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n fi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화재관리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에 영상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화재발생 여부 및 발생된 화재의 감시 대상 목적물(전력 설비)에 대한 근접 정도를 파악하는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 상기 영상의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화재확산 속도를 도출하는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20); 발생된 각 화재(영역)에 대하여 도출된 상기 화재확산 속도와 상기 감시 대상 목적물(전력 설비)에 대한 근접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대응수준으로 상기 목적물에 대한 화재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화재 조치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fire management system is a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 that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the degree of proximity to the target object (electric power facility) to be monitored by apply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o an image taken in a fire monitoring area. ; A fire spread
상기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는, 영상인식 기반의 분류 기법을 통하여 화재 발생을 인식/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의 S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 may recognize/confirm the occurrence of a fire through an image recognition-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That is, step S20 of FIG. 1 may be performed.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20)는, 도 1의 S40 단계 및 S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fire spread
도시한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20)는,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는 화염/연기 분류부(22);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해 최대 면적을 산출하는 화염 부분 추출부(24); 화염 부분을 기반으로 화재규모를 단계적으로 나누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화재영역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llustrated fire spread
상기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28)는, 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시간 대비 확산 면적을 통해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별로 화염 부분의 편차를 계산하는 화염 부분 편차 계산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spread
예컨대, 상기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2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인식 기반의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안을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spread
즉, 상기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28)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 변의 길이 변화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 경과 이후 각 변의 길이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That is, the fire spread
상기 화재 조치 장치(40)는, 도 1의 S8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각 목적물 설비와 화재 위치(발원지)의 이격 거리와 각 화재 영역의 화재확산 속도에 따라 복수개로 설정된 대응수준들에 따라 대응 조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대응수준에서 수행할 조치들을 해당 저장 영역(41 ~ 43)에 기재할 수 있다. The fire action device 40 is for performing step S80 of FIG. 1, for example, a plurality of response levels set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source) and the fire spread speed of each fire area. Response measure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d actions to be performed at each response level can be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예컨대, 상기 화재 조치 장치(40)는, 상기 목적물 설비와 상기 화재 위치의 이격 정도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목적물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action device 40 takes immediate action on the target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target facility quick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and the speed of the fire spread. can be instructed.
상기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는 다양한 공지 기술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known technologies.
도시한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는, 감시 대상 지역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인식하는 화재인식부(11);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화재의 위치를 추정하는 화재발원지 추정부(12);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보호 대상 목적물(전력 설비)의 위치를 추정하는 설비 위치 추정부(14); 및 상기 목적물과 발생된 화재 위치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이격거리 산출부(16)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 includes a
예컨대, 상기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는, 상기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기반으로 목적물 설비 위치에 관련된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의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목적물 설비를 인식하고, 상기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염 또는 연기의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 이상 겹치고, 겹친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 extracts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facility location based on a depth map for the image, detects flames and smoke of a fire based on a color image of the image, , When the target facility is recognized, the detection area of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lame or smoke detection area overlap at a predetermined rate or more, and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overlapped detection area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as a proximity fire to the target facility. can
상기 화재인식부(11)에서 판정한 화재발생 여부는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20)로 제공되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재확산 속도 도출 과정이 개시된다.Whether or not a fire is determined by the
상기 화재발원지 추정부(12), 설비 위치 추정부(14) 및 이격거리 산출부(16)는, 다양한 공지기술들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후술하는 도 5의 블록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e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은 영상의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이 추정된 화재확산 속도는 보호 대상인 전력 설비의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대응 조치(예: S80 단계)를 결정하는 근거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전력 설비의 위치 정보 중 화재발생 위치(영역)와의 이격거리를 알 수 있어야 한다.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imate the fire spread rat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art of the image, but the fire spread rate estimated in this way is combin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to be protected, and countermeasures (eg, step S80) )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know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location (region) of the fire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power facilities.
상기 이격거리는 도 4의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영상 기반 분석 방법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목적물(전력설비) - 화재 간 이격거리 추정 프로세스에 대하여 예시한다.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obtained from various image-based analysis methods performed in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0 of FIG. 4 . The following exemplifies a separation distance estimation process between a target (power facility) and a fi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전력설비(목적물)로부터 화재발생 위치까지 이격거리 산정을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fo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a power facility (object) to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도 6은 전력설비 인근 화재탐지 화면을 예시한다.6 illustrates a fire detection screen near power facilities.
도시한 블록도 구성이 지원하는 이격거리 추정 프로세스는, 전력회사에서 화재로부터 보호할 목적물을 전력설비로 지정하고, 영상인식 기술로 전주, 개폐기, 애자, 변압기 등의 기자재를 사전 학습한 후 화재 탐지 및 화재 발생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제안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인식 대상 목적물을 도 6에 도시한 전력설비들 뿐만 아니라 문화재, 기계설비, 구조물 등 화재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물체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the separation distance estimation process supported by the illustrated block diagram configuration, the electric power company designates the object to be protected from fire as a power facility, and after learning equipment such as electric poles, switches, insulators, and transformers in advance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fire detection And it can be applied in a wa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oposed technology, the object to be recognized can be variously applied to objects requiring protection from fire, such as cultural assets, mechanical facilities, and structures, as well as the power facilities shown in FIG. 6 .
도 5의 구성의 경우 Depth Map기반으로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영상을 컬러(RGB) 영상 분석 및 그레이 영상 분석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도 4의 화재 영상 분석 장치(100)와 일치하거나 포함되는 관계를 구성하지는 않으며, 다만, 부분적으로 서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FIG. 5 has a structure in which color (RGB) image analysis and gray image analysis are performed in parallel on images captured by two or more cameras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depth map. It does not constitute a relationship that matches or is included in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100, but may have corresponding components that partially perform the same role as each other.
도 5의 Depth Map기반 거리정보 추출 프로세스부(200)는, 기존의 Depth Map 추출 알고리즘 적용한 후, Depth Map의 밝기 값에 따른 거리를 정의한다.The depth map-based distance information
예컨대, 사전에 100m / 150m /200m 등 50m 단위로 해당 물체에 대한 밝기 값들을 정의하고, 물체에 대한 각 거리별 실측치에 대한 밝기값 범위에 대한 하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brightness values for a corresponding object may be defined in advance in units of 50 m, such as 100 m / 150 m / 200 m, and a table as shown in Table 1 for a range of brightness values for measured values for each distance to the object may be defined.
이때, 특정 물체의 실제 거리는 사전에 거리측정 센서(레이다, 라이다, 지도 정보 등)를 이용하여 참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tual distance of the specific object may be referenced using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radar, lidar, map information, etc.) in advance.
도 7은 도 5의 검출 영역 위치좌표 계산 모듈(3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area position coordinate
도시한 검출영역 위치 좌표 계산 모듈(300)은, 화재발생 영역 및 목적물(예 : 전력설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딥러닝 기반의 물체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재 및 목적물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검출된 영역의 위치좌표 계산하고, 검출된 영역의 거리 계산하되, 실제 측정거리와 Depth Map정보 밝기의 관계를 근사화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detection area location coordinate
도 8은 화재 및 목적물(전력설비) 검출결과를 예시한다.8 illustrates the results of detecting a fire and a target object (power facility).
구현에 따라, 도 6의 검출 영역 위치좌표 계산 모듈(300)을 구성하는 검출영역 위치좌표 계산 모듈(301), 화재발생 위치 탐지 모듈(302) 및 목적물 탐지 모듈(303)은, 학습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etection area location coordinate
예컨대, 각 모듈들(301, 302, 303)은 본 제안기술 개발을 위하여 화재 및 목적물(전력설비)에 대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 이미지를 훈련할 수 있다. 즉, AI기반의 화재 및 목적물 탐지 도 7의 최종결과를 이용하여 좌표 및 영역을 계산한 후, 하기 표 2와 같은 화재 탐지영역 좌표 테이블 및 하기 표 3과 같은 목적물(전력설비) 탐지영역 좌표를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도 9는 도 5의 화재 발생위치 최종판단 모듈(4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e location
도시한 화재 발생위치 최종판단 모듈(400)은, 목적물(전력설비) 인접 또는 원거리 발생 화재인지 판단하는 모듈로서, 화재/목적물 탐지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부분(404), AI기반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과의 Overlap확인 부분(401), Depth Map기반 화재탐지 거리와 목적물(전력설비) 탐지거리 계산 부분(402), 화재 발생위치 최종 판단부분(40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fire occurrence location
상기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 Overlap확인 모듈(401)은, 상기 표 2 및 표 3에 저장된 테이블 결과로부터 화재 및 목적물(전력설비) 탐지영역의 각 좌표를 이용하여 두 영역간의 겹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탐지된 목적물의 검출영역과 화재(연기 및 불꽃)의 검출영역이 80%이상 겹칠 경우 해당 목적물 근접화재로 인식한다.The fire and object detection area overlap checking
하기 표 4는 각 목적물 영역과 화재영역의 겹침에 대한 영역 값의 예를 보여준다. Table 4 below shows examples of area values for overlapping of each target area and fire area.
상기 표 4의 테이블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주, 변압기, 개폐기 인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지만, 검출영역이 80% 이상 겹치는 부분은 (전주, 불꽃2)와 (변압기, 연기1)이다. 즉, 전주와 인접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추정 가능하다.From the table results of Table 4 above,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predicted. For example, although a fire broke out near an electric pole, transformer, and switchgear, the areas where the detection area overlaps by more than 80% are (electric pole, flame 2) and (transformer, smoke 1).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a fire broke out adjacent to an electric pole.
상기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 Overlap확인 모듈(401)만으로는 화재가 목적물로부터 발생하였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이유는 2차원 영상에서 거리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from the target object only with the fire and object detection area overlap
상기 Depth Map기반 화재 탐지거리와 목적물 탐지거리 계산 모듈(402)은, 도 5의 Depth Map기반 거리정보 추출 프로세스부(200)를 이용하여 화재영역 및 목적물 영역에 대한 Depth Map기반 거리정보를 참조한다. 거리정보는 상기 표 4의 테이블에서와 같이 (불꽃2, 전주)와 (연기1, 변압기)의 거리만 계산한다.The Depth Map-based fire detection distance and object detection
도시한 경우 본 제안 기술은, 상기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 Overlap확인 모듈(401)에서 겹침 영역이 80%이상일 경우만 정의한다.In the illustrated case, the proposed technology defines only when the overlapping area is 80% or more in the fire and object detection area overlap
하기 표 5는 이의 거리에 대한 Depth Map 정보의 Intensity 차이를 보여주는,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에 대한 거리정보를 예시하는 테이블이다.Table 5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distance information for fire and object detection areas showing a difference in intensity of depth map information for this distance.
상기 화재 발생영역 최종 판단 모듈(403)은 각 화재발생 영역 및 각 전력설비에 대하여 화재와의 근접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정보로서, 각 화재발생 영역 및 각 전력설비 간의 연속적인 값으로서 이격 거리를 산출하거나, 이진 값으로서 각 전력설비(목적물)에 대한 근접 or 원거리 화재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가 보다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조치 순위를 부여하는데 유리하며, 후자의 경우는 연산 부담이 적고 연산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The fire area
도 10은 후자의 경우의 화재 발생영역 최종 판단 모듈(403)이 수행하는 화재발생 위치 최종 판단로직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e occurrence location final determination logic performed by the fire occurrence area
상기 화재 발생영역 최종 판단 모듈(403)은, 화재발생이 목적물에서 원거리 발화인지 또는 목적물에 근접하여 발생한 화재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e occurrence area
즉, 상기 AI기반 화재 및 목적물 탐지영역과의 Overlap확인 부분(401)과 Depth Map기반 화재탐지 거리와 목적물(전력설비) 탐지거리 계산 부분(402)에서 추출된 결과(거리 및 겹침영역)를 도 6과 같은 로직에 적용하여 목적물에 대한 근접 or 원거리 화재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results (distance and overlapping area) extracted from the AI-based fire and object detection area overlap check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화재 영상 분석 장치 20 :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
22 : 화염/연기 분류부 24 : 화염 부분 추출부
26 : 화염 부분 편차 계산부 28 :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
40 : 화재 조치 장치10: fire image analysis device 20: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22: flame / smoke classification unit 24: flame portion extraction unit
26: flame partial deviation calculation unit 28: fire spread rate estimation unit
40: fire action device
Claims (15)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 면적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및
대상 목적물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화재확산 속도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image recognition;
Separately extracting a flame and smoke portion for the fire that occurs, and calculating an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ortion;
estimating a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area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with time; and
Perform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fire spread rate to protect the target facility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facilities comprising a.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시간 대비 확산 면적을 통해 화재확산 속도를 산출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facilities that calculates the fire spread rate through the spread area versus tim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extra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ime monitoring.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 변의 길이 변화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 경과 이후 각 변의 길이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계산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Estimating the fire spread spe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ll the recognized flame parts,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facilities that extracts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at a specific time based on area information coll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calculates the fire spread rate from the change in the length of each side after the lapse of time.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4개의 각 변의 길이 변화들 중 최대값을 적용하여 화재확산 속도를 제시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 fire response method for a power facility that presents a fire spread rate by applying a maximum value among length changes of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상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원형 프레임의 원주나 지름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facilities that estimates a fire spread rate from a change in the circumference or diameter of a circular frame including all of the recognized flame parts.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기반으로 목적물 설비 위치에 관련된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목적물 설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 및 탐지 결과, 인식 결과로부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화재의 이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s,
extracting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a target facility location based on a depth map of the image;
Detecting flame and smoke of a fire based on the color image of the image and recognizing a target facility;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fire from the target facility from the distance information, detection result, and recognition result
A fire response method for power facilities comprising a.
상기 이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탐지된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재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 이상 겹치고,
상기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separation,
The detection area of the detected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detection area overlap at a predetermined rate or more,
When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of the detection are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fire response method for a power facility that determines a proximity fire to the target facility.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물 설비와 상기 화재 위치의 이격 정도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목적물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하는 전력 설비를 위한 화재 대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ep of carrying out the above measur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and the rate of fire sprea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target facility quickly, instructing immediate measures for the target facility Fire response method for a power facility.
상기 영상의 화염 부분에 대한 편차를 기반으로 화재확산 속도를 도출하는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 및
상기 화재확산 속도와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화재의 이격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대응수준으로 상기 목적물에 대한 화재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화재 조치 장치
를 포함하는 영상인식 기반 화재 대응 시스템.
A fire image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an image taken in a fire monitoring area to determin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fire from target facilities in the monitoring area;
a fire spread rate deriving device for deriving a fire spread rate based on the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of the image; and
A fire action device that performs fire response measures for the target object at a response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e spread rate and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fire from the target facility
An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that includes a.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발생된 화재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화염 부분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는 화염/연기 분류부;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해 최대 면적을 산출하는 화염 부분 추출부;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
를 포함하는 영상인식 기반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A flame/smok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a flame part and a smoke part in an image taken for a fire that has occurred;
a flame portion extraction unit for calculating a maximum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ortion; and
A fire spread rate estimator for estimating the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over time.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including a.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일정시간별로 상기 화염 부분의 편차를 계산하는 화염 부분 편차 계산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Flame part devi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deviation of the flame par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fire respons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상기 화재확산 속도 도출 장치는,
발생 화재에 대해 화염 부분과 연기 부분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화염 부분에 대한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화염 부분 면적의 편차로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화재확산 속도 추정 방법을 수행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e spread rate derivation device,
Separately extracting a flame part and a smoke part for an outbreak fire, and calculating an area for the extracted flame part; and
A fire response system for performing a fire spread rate estim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stimating a fire spread rate as a deviation of the area of the flame portion that changes over time.
상기 화재 확산 속도 추정부는,
인식된 상기 화염 부분을 모두 포함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4 변의 길이 변화로 화재확산 속도를 추정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추출하고, 시간 경과 이후 각 변의 길이 변화로부터 화재확산 속도를 계산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e spread rate estimation unit,
Estimating the fire spread spe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including all the recognized flame parts,
A fire response system that extracts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at a specific time based on area information collec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calculates the fire spread rate from the change in length of each side after the lapse of time.
상기 화재 조치 장치는,
상기 목적물 설비와 상기 화재 위치의 이격 정도와, 상기 화재확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목적물 설비로의 화재 도달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지시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e action device,
A fire response system instructing an immediate action for the target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reaches the target facility quick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fire location and the rate of fire spread.
상기 화재 영상 분석 장치는,
상기 영상에 대한 깊이 맵(Depth Map) 기반으로 목적물 설비 위치에 관련된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의 컬러 영상 기반으로 화재의 화염 및 연기를 탐지하고, 목적물 설비를 인식하고, 상기 목적물 설비의 검출영역과 화염 또는 연기의 검출영역이 소정 비율 이상 겹치고, 겹친 검출영역의 깊이 맵 Intensity 차이가 소정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적물 설비에 대한 근접 화재로 판단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fire image analysis device,
Based on the depth map of the image,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facility is extracted, fire flame and smoke are detected based on the color image of the image, the target facility is recognized, and the target facility is detected. A fire response system that determines that a fire is close to the target facility when the area and the detection area of flame or smoke overlap at a predetermined rate or more, and the depth map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overlapping detection area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2935A KR20230107035A (en) | 2022-01-07 | 2022-01-07 |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2935A KR20230107035A (en) | 2022-01-07 | 2022-01-07 |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7035A true KR20230107035A (en) | 2023-07-14 |
Family
ID=871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2935A KR20230107035A (en) | 2022-01-07 | 2022-01-07 |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703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11355A (en) * | 2023-07-27 | 2023-11-07 | 三峡大学 | Converter stati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0579A (en) | 2018-12-27 | 2020-07-07 | 이실환 | Fire detection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skada program |
-
2022
- 2022-01-07 KR KR1020220002935A patent/KR20230107035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0579A (en) | 2018-12-27 | 2020-07-07 | 이실환 | Fire detection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skada progra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11355A (en) * | 2023-07-27 | 2023-11-07 | 三峡大学 | Converter stati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CN117011355B (en) * | 2023-07-27 | 2024-01-30 | 三峡大学 | Converter stati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106766B (en) | Forest fire identification method and forest fire identification system | |
CN103726879B (en) | Utilize camera automatic capturing mine ore deposit to shake and cave in and the method for record warning in time | |
EP2357615B1 (en) | Video processing | |
CN210222962U (en) | Intelligent electronic fence system | |
KR20130101873A (en) | Monitoring apparatus for forest fire using thermal camera and method thereof | |
CN112087598B (en) | Intelligent tripod head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and tripod head camera inspection system | |
KR102507540B1 (en) | Integrated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20230107035A (en) | Image recognition-based fir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power facility | |
KR20240120705A (en) | Near fire monitoring system for power facility | |
CN115100813B (en) | Intelligent community system based on digital twins | |
US20130322690A1 (en) | Situa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energy information | |
CN109345787A (en) | A kind of anti-outer damage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of the transmission line of electricity based on intelligent image identification technology | |
CN112263803A (en) | Unmanned vehicle intelligent security system based on real-time scene inspection and automatic detection fire extinguishing and control method | |
CN103446698B (en) | A kind of method of burning things which may cause a fire disaster auto-sequencing | |
CN105869330A (en) | Security protection monitor for preventing illegal encroachment on office building | |
KR102081577B1 (en) | Intelligence Fire Detecting System Using CCTV | |
KR102630275B1 (en) | Multi-camera fire detector | |
CN116052356A (en) | Intelligent building site monitor platform | |
KR101224534B1 (en) | Fire detection device based on image processing with motion detect function | |
CN115512295A (en) | Power transmission line forest fire detection method, early warning method and early warning system | |
WO2022198507A1 (en) | Obstacle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KR20230064388A (en) | Composite image based fire detection system | |
KR20220134379A (en) | Real-time wildfir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 |
CN118486125B (en) |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19075916A1 (en) | Signal recognition and processing unit, method for recogniz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