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897A - Conduit sealing device - Google Patents

Conduit sea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897A
KR20230106897A KR1020220002605A KR20220002605A KR20230106897A KR 20230106897 A KR20230106897 A KR 20230106897A KR 1020220002605 A KR1020220002605 A KR 1020220002605A KR 20220002605 A KR20220002605 A KR 20220002605A KR 20230106897 A KR20230106897 A KR 2023010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ealing device
epoxy
conduit sealing
view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6453B1 (en
Inventor
구자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엑스
Priority to KR102022000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53B1/en
Publication of KR2023010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선관 밀봉장치의 일 실시예는, 장치 외함으로부터 인입,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관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소켓; 상기 전선의 기밀 고정을 위해 상기 전선이 관통한 상기 소켓의 중공부에 주입되는 에폭시;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시 통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에폭시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을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includes a socket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so that one or more wires drawn in and out from the device enclosure pass through; Epox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socket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penetrates to secure the wire airtightly; and a see-through window installed on a see-through passag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ocket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Description

전선관 밀봉장치{Conduit sealing device}Conduit sealing device {Conduit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폭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방폭전기기기(박스류, 등기구류 등)의 케이블 엔트리 혹은 방폭 위험지역과 비방폭지역의 경계 부분으로 인입, 인출되는 한가닥 혹은 여러가닥의 전선(Wire)을 컴팩트하게 기밀 고정하기 위한 전선관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it sea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cable entries of explosion-proof electrical devices (boxes, lamps, etc.) It relates to a conduit sealing device for compactly and airtightly fixing one or several wires.

방폭 위험지역은 가연성가스 혹은 분진이 화재 및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각종 인화성 물질을 생산, 취급, 제조하는 공장 등이 이에 해당한다.Explosion-proof hazardous areas are places where combustible gas or dust exists or is likely to exist in the atmosphere at concentrations that can cause fires and explosions, such as factories that produce, handle, and manufacture various inflammable materials.

이와 같이 방폭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방폭전기기기(박스류, 등기구류 등)의 케이블 엔트리에는 전선의 기밀성, 방폭, 방진 및 방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선관 밀봉장치를 사용하게 된다.In this way, the cable entry of explosion-proof electrical equipment (boxes, lighting fixtures, etc.) installed in an explosion-proof hazardous area uses a conduit sealing device to provide airtightness, explosion-proof, dustproof and waterproof structure of wires.

또한, 방폭 위험지역에서 비방폭지역으로 가스 또는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관이 폭발위험장소로 진입하는 또는 나오는 부분에는 전선관 밀봉장치를 설치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gas or liquid from flowing into a non-explosive area from an explosion-proof hazardous area, a conduit sealing device should be installed at the part where the conduit enters or exits the explosion-hazardous area.

상기 전선관 밀봉장치는 그 내부로 전선이 관통되고, 전선관 밀봉장치의 내부에는 에폭시를 주입하여 전선 둘레를 밀봉 처리하게 된다.Wires are penetrated into the conduit sealing device, and epoxy is injected into the conduit sealing device to seal around the wire.

그러나, 종래의 전선관 밀봉장치는 장치의 부품수가 과다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에폭시의 주입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여 전선의 완전 밀봉을 위해 요구되는 에폭시의 적정 주입량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에폭시가 적정 주입량 미만으로 주입되는 경우에는 전선이 제대로 밀봉 처리되지 않아 폭발 등의 안전 사고가 초래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전선관 밀봉장치를 장치 외함에 완전히 조립하지 않아 기밀 및 방폭 성능이 저하되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duit sealing device is not easy to install due to the excessive number of parts of the device, and also lacks a means for the operator to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epoxy during work, so that the proper injection amount of epoxy required for complete sealing of the wi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atch the amount of epoxy, and if the epoxy is injected below the proper injection amount, the wires are not properly sealed, which can lead to safety accidents such as explosi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irtightness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are deteriorated.

종래 전선관 밀봉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8450호에 공개되어 있다.Prior art related to a conventional conduit seal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8450.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설치 작업 도중에 에폭시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설치를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설치 후 장치 외함과 나사결합되는 소켓 수나사부를 유색처리하여 완전체결이 안됐을 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선관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epoxy in real time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enabling safe installation, and after installation, the socket male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device enclos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duit sealing device that can check when it is not completely fastened by color treatmen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관 밀봉장치는, 장치 외함으로부터 인입,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관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소켓; 상기 전선의 기밀 고정을 위해 상기 전선이 관통한 상기 소켓의 중공부에 주입되는 에폭시;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시 통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에폭시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을 포함한다.Conduit sea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ocket formed with a hollow inside so that one or more wires drawn in and out from the device enclosure pass through; Epox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socket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penetrates to secure the wire airtightly; and a see-through window installed on a see-through passag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ocket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는 상기 투시창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투시창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은 에폭시에 의해 상기 투시창 안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A viewing window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viewing window is seated and fix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ocket, and the viewing window may be adhered to the viewing window seating portion by epoxy.

상기 투시 통로에 연통되는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는 투시창 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 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A sight window assembly may be inserted and mounted to one side of the socket communicating with the sight passage, and the sight window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sight window assembly.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는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에폭시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소켓의 일측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assembl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ocket,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one side of the socket when the injection of the epoxy is completed.

상기 소켓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폭시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socket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and injecting the epoxy, and may include an injection hol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는 상기 장치 외함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결합될 수 있다.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may have a male threaded portion that penetrates and is screwed into the device enclosure, and an O-ring may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evice enclosure.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될 수 있다.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may be painted in a color in order to check whether it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device enclosure.

상기 소켓의 중공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중공부 내부에 주입되는 에폭시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전선관이 관통하는 에폭시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An epoxy cover through which the electrical conduit passes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low part of the socket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the epox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상기 에폭시 커버를 상기 소켓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냅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nap ring for fixing the epoxy cover to the inside of the socke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장치 외함에 나사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상기 소켓을 결합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ody screwed to the enclosure and a nut for coupling the body and the socket.

상기 장치 외함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될 수 있다.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crewed with the device enclosure may be painted in a color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evice enclosure is completely connected.

상기 너트는 상기 소켓을 상기 바디 측으로 밀착시키며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nut may be screw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while bringing the sock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상기 너트는 상기 바디를 상기 소켓 측을 밀착시키며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nut may be screw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while bringing th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ocket.

상기 바디와 상기 소켓의 연결부와, 상기 바디와 상기 장치 외함의 연결부에는, 각각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결합될 수 있다.O-rings for airtightness may be coupl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ocket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device enclosure.

상기 투시창은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may be made of a tempered glass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에 의하면, 소켓의 일측부에 투시창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전선관 밀봉장치의 설치 작업 도중에 에폭시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전선의 완전 밀봉을 위한 적정량의 에폭시 주입이 가능하여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iewing window on one side of the socket,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epoxy in real time during installation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epoxy can be injected for complete sealing of the wire. This enables safe installation.

또한, 장치 외함으로부터 인입, 인출되는 다수 가닥의 전선을 기밀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 및 소형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and miniaturize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airtightly fixing a plurality of wires drawn in and out of a device enclosure.

또한, 필요에 따라 비교적 직경이 굵은 전선은 물론, 무수한 가닥으로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의 밀봉 시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그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the sealing of a communication cable composed of countless strands as well as a wire having a relatively thick diameter as needed, so that the range of its use can be expanded.

또한, 소켓에 착탈 가능한 투시창 어셈블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에폭시의 주입 완료 후에 소켓으로부터 투시창 어셈블리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투시창 어셈블리를 다른 전선의 밀봉 작업에 재사용할 수 있어 전선관 밀봉장치의 제조 비용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ying a detachable sight glass assembly to the socket, since the sight glass assembly can be separated from the socket after the injection of epoxy is completed, the sight glass assembly can be reused for sealing other wire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there is.

또한, 에폭시 커버와 스냅링을 적용함으로써 에폭시의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에폭시가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게 되므로, 기밀성, 방폭, 방진 및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n epoxy cover and a snap ring, since the epoxy can be firmly fixed in place while preventing external leakage of the epoxy, airtightness, explosion-proof, dust-proof and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장치 외함에 나사결합되는 전선관 밀봉장치의 소켓 또는 바디의 일측부 외주면에 유색으로 도장 처리함으로써, 장치 외함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ain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or body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screwed into the device enclo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device enclosure is completely fas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전선관 밀봉장치가 장치 케이싱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duit sea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device casin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00-1)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00-1)는, 배전반이나 통신함, 등기구 등의 장치 외함(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10)이 관통되는 소켓(110-1), 상기 소켓(110-1)의 일측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시 통로(112) 상에 장착되는 투시창(120), 상기 소켓(110-1)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장치 외함(20)에 결합되는 바디(130), 상기 소켓(110-1)을 바디(130)에 결합시키는 너트(140), 상기 소켓(110-1)의 내부에 주입되어 전선(10)을 밀봉하는 에폭시(160), 상기 소켓(110-1)의 내부 일측단에 결합되어 에폭시(160)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에폭시 커버(170), 및 상기 에폭시 커버(170)를 소켓(110-1)의 내부에 고정하는 스냅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duit sealing device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cket through which one or more wires 10 led out from the inside of a device enclosure 20 such as a switchboard, a communication box, a light fixture, etc. pass through ( 110-1), a viewing window 120 mounted on a viewing passage 112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ocket 110-1, coupled to one side of the socket 110-1, and a device enclosure 20 The body 130 coupled to the body 130, the nut 140 coupling the socket 110-1 to the body 130, and the epoxy injected into the socket 110-1 to seal the wire 10 ( 160), an epoxy cover 170 coupled to one end of the inside of the socket 110-1 to prevent leakage of the epoxy 160 to the outside, and the epoxy cover 170 to the inside of the socket 110-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nap ring 180 for fixing.

상기 전선(10)은 하나 이상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직경이 굵은 전력선은 물론, 무수한 가닥으로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일 수도 있다.The wire 10 may be made of one or more strands, and may be a power line having a relatively thick diameter as well as a communication cable composed of countless strands.

상기 소켓(110-1)의 내부에는 전선(10)이 관통하고 에폭시(160)가 충진되는 중공부(S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110-1)의 일측부에는 투시창(12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투시창 안착부(111)와, 상기 중공부(S1)와 투시창 안착부(111)가 연통되는 투시 통로(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110-1)의 외주면에는 너트(140)의 일측단이 걸림되는 플랜지부(1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socket 110-1, a hollow part S1 through which the wire 10 passes and the epoxy 160 is filled is formed, and a viewing window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110-1. A sight window seating portion 111, which is seated and fixed, and a viewing passage 112 communicating between the hollow portion S1 and the sight window seating portion 111 are formed, and a nut ( 140) has a protruding flange portion 113 on which one side end is engaged.

상기 투시창(120)은 소켓(110-1) 내부에 충진되는 에폭시(160)의 주입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투명한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투시창(120)은 투시 가능하며 투시 통로(112)를 밀폐 가능한 것이라면 강화유리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변경 및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120 is configured to allow a worker to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160 filled in the socket 110-1 in real tim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material. However, as long as the sight window 120 is capable of seeing through and can seal the sight passage 112, it may be changed or modified into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empered glass.

작업자는 에폭시(160) 충진 작업 도중에 투시창(120)과 투시 통로(112)를 통하여 소켓(110-1) 내부에 충진되는 에폭시(160)의 주입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선(10)의 완전 밀봉을 위한 에폭시(160)의 적정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During the epoxy 160 filling operation, the operator can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160 filled in the socket 110-1 in real time through the viewing window 120 and the viewing passage 112, and the wire 10 is completely seal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160 for.

상기 바디(130)의 내부에는 중공부(S2)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S2)에 소켓(110-1)의 일측부가 수용되며, 바디(130)의 외주면 일측부에는 수나사부(130a)가 형성되어 너트(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0a)에 나사결합된다. A hollow part S2 is formed inside the body 130, one side of the socket 110-1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S2, and a male screw part 13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0. Is formed and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140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140.

상기 바디(130)의 외주면 타측부에는 수나사부(130b)가 형성되어 장치 외함(20)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된다.A male screw portion 130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0 and penetrates the device enclosure 20 and is screwed.

상기 장치 외함(20)과 나사결합되는 바디(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30b)에는 상기 장치 외함(20)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바디(130)의 수나사부(130b)가 장치 외함(20)에 완전 체결된 경우에는 상기 유색으로 도장 처리된 부분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완전 체결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바디(130)의 수나사부(130b)가 장치 외함(20)에 완전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유색으로 도장 처리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게 되므로 완전 체결 상태가 아님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색의 도장 처리는 적색 크로메이트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색의 도장 처리는 적색 이외에도 형광색 등 다양한 색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male screw portion 130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0 screwed with the device enclosure 20 may be painted in a color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it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device enclosure 20 . When the male threaded portion 130b of the body 130 is completely fastened to the device enclosure 20, the colored painted portion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so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fully fastened, and the body 130 When the male screw portion 130b of the device is not fully fastened to the enclosure 20, it is easy to confirm that it is not fully fastened because the colored paint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the colored painting treatment may be implemented by red chromate or anodizing treatment. However, the colored painting proces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colors such as fluorescent colors in addition to red.

상기 에폭시(160)는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110-1)과 바디(1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S1,S2)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다.The epoxy 160 may be injected through the hollow parts S1 and S2 formed inside the socket 110-1 and the body 130,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4 .

상기 바디(130)와 상기 소켓(110-1)의 연결부와, 상기 바디(130)와 상기 장치 외함(20)의 연결부에는, 각각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151,152)이 결합된다.O-rings 151 and 152 for airtightness are coupled to a connection between the body 130 and the socket 110-1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body 130 and the device enclosure 20, respectively.

상기 너트(140)는 소켓(110-1)을 바디(130) 측으로 밀착시키며 바디(1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다.The nut 140 adheres the socket 110-1 to the body 130 and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0.

상기 에폭시(160)는 전선(10)의 외측면과 소켓(110-1)의 내측면 사이의 중공부(S1)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반죽형 뿐만 아니라 액상형의 컴파운드일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투시창(120)을 통하여 에폭시(160)가 주입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선(10)의 완전 밀봉을 위하여 엑폭시(160)의 적정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epoxy 160 is for sealing the hollow part S1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110-1, and may be a paste type or liquid type compound. A worker can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epoxy 160 through the viewing window 120, and can determine an appropriat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160 to completely seal the wire 10.

상기 에폭시 커버(170)는 소켓(110-1)의 중공부(S2)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에폭시(160)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 역할을 하며, 에폭시 커버(170)에는 전선(10)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폭시 커버(170)를 구비함에 따라 점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액상형 에폭시를 주입하더라도 외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에폭시(160)가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The epoxy cover 170 is fixed to one end of the hollow part S2 of the socket 110-1, serves as a blocking plate to prevent the epoxy 16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epoxy cover 170 includes wires. A hole through which (10) passes is formed. As the epoxy cover 170 is provided, external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even when liquid epoxy having relatively low viscosity is injected, so that the epoxy 160 can be firmly fixed in place.

상기 스냅링(180)은 에폭시 커버(170)를 소켓(110-1)의 내부에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소켓(110-1)의 내측면에는 스냅링(18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냅링 삽입홈(114)이 형성되어 있다.The snap ring 180 is configured to prevent separation by fixing the epoxy cover 170 inside the socket 110-1, and the snap ring 18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110-1. A snap ring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00-2)의 구성을 설명하되, 전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figurations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00-2)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소켓(110-2)과 바디(130) 및 너트(14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The conduit sealing device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ocket 110-2, the body 130, and the nut 140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2실시예에서는 소켓(100-2)의 외주면 일측부에 수나사부(110a)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110a)에는 너트(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0a)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30)의 외주면에는 너트(140)의 일측단이 걸림되는 플랜지부(1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140)는 바디(130)를 소켓(100-2) 측을 밀착시키며 소켓(100-2)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 male screw part 11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100-2, and the female screw part 140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140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part 110a. do. A flange portion 131 to which one end of the nut 140 is engaged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30 . Accordingly, the nut 140 adheres the body 130 to the side of the socket 100-2 and is screw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100-2.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구비된 스냅링(180)의 구성을 생략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켓(100-2)의 내측면에 에폭시 커버(170)를 외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5)이 형성되어 있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nap ring 18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s omitted, and an epoxy cover 17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100-2 as a replacement for this configuration. A locking jaw 115 for supporting is formed.

제2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10-3)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보다 간소화 된 구조의 전선관 밀봉장치(110-3)를 제공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110-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third embodiment provides a conduit sealing device 110-3 having a more simplified structure by omitting som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제3실시예의 전선관 밀봉장치(110-3)는, 장치 외함(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10)이 관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S1-1)가 형성된 소켓(110-3), 상기 전선(10)의 기밀 고정을 위해 상기 전선(10)이 관통한 소켓(110-3)의 중공부(S1)에 주입되는 에폭시(160), 및 상기 중공부(S1)와 연통되도록 소켓(110-3)의 일측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시 통로(112) 상에 장착되어 에폭시(160)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120)을 포함한다.The conduit sealing device 110-3 of the third embodiment is a socket 110-3 having a hollow part S1-1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ectric wire 10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enclosure 20 to the outside passes through. , Epoxy 160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S1 of the socket 110-3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10 passes for airtight fixation of the electric wire 10, and the socket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art S1 It includes a viewing window 120 installed on the viewing passage 112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110-3 to visually check the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160.

상기 소켓(110-3)의 일측부에는 상기 투시창(12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투시창 안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120)은 에폭시(160)에 의해 상기 투시창 안착부(111)에 접착된다.A viewing window mounting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110-3 to which the viewing window 120 is seated and fixed. adhered to

상기 소켓(110-3)의 일측부 외주면는 장치 외함(20)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10b)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110-3)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치 외함(20)과의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151)이 결합될 수 있다.The external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110-3 is formed with a male screw portion 110b that penetrates the device enclosure 20 and is screwed,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110-3. An O-ring 151 for confidentiality may be coupled between.

상기 소켓(110-3)의 일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10b)에는 상기 장치 외함(20)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될 수 있다.The male screw portion 110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110-3 may be painted in a color to check whether it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device enclosure 20.

상기 소켓(110-3)에는 중공부(S1)와 연통되어 에폭시(160)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114)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4)를 개폐하는 주입구 마개(115)가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injection hole 11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S1 and injecting the epoxy 160 is formed in the socket 110-3, and an injection hole stopper 115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114 is provided. can

이와 같이 에폭시(160)가 중공부(S1)의 일측을 통하여 주입되는 구성에 더하여 상기 주입구(114)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에폭시(160)가 중공부(S1)에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주입구(114)를 통한 에폭시(160)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구 마개(115)를 이용하여 주입구(114)를 밀폐함으로써 에폭시(160)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In this way, by additionally forming the injection hole 114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poxy 160 is injected through one side of the hollow part S1, the epoxy 160 can be more smoothly and quickl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S1. There are advantages to When the injection of the epoxy 16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4 is completed, the injection hole 114 is sealed using the injection hole stopper 115 to prevent the epoxy 16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바디(130)와 너트(140)의 구성을 생략하고, 소켓(110-3)이 장치 외함(2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장치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 및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body 130 and the nut 14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omitted, and the socket 110-3 is directly coupled to the device enclosure 20. 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and miniatur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밀봉장치(100-4)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conduit sealing device 100-4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제4실시예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투시 통로(112)에 연통되는 소켓(110-4)의 일측부에는 투시창 어셈블리(190)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투시창(120)은 투시창 어셈블리(190)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투시창(120)은 에폭시(160)에 의해 몸체(191) 내부에 접착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a viewing window assembly 190 is inserted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socket 110-4 communicating with the viewing passage 112, and the viewing window ( 120) is different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eated and fixed in the viewing window assembly 190. The viewing window 120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91 by epoxy 160 .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190)는 상기 소켓(110-4)의 일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에폭시(160)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소켓(110-4)의 일측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viewing window assembly 19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ocket 110-4, and can be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socket 110-4 when the injection of the epoxy 160 is completed. Consists of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190)는 내부에 투시창(120)이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몸체(191)와, 상기 몸체(191)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투시 통로(112)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돌출부(192), 및 상기 투시창(120)을 몸체(191) 내부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부재(1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assembly 190 includes a body 191 having a space in which the viewing window 120 is seate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9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viewing passage 112. 192, and a fixing member 193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viewing window 120 inside the body 191.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소켓(100-4)에 착탈 가능한 투시창 어셈블리(190)를 구비함으로써, 에폭시(160)의 주입 완료 후에 소켓(110-4)으로부터 투시창 어셈블리(19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투시창 어셈블리(190)를 다른 전선관의 밀봉 작업에 재사용할 수 있어 전선관 밀봉장치(100-4)의 제조 비용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see-through window assembly 190 is detachable from the socket 100-4, the see-through window assembly 190 can be separated from the socket 110-4 after the injection of the epoxy 160 is completed.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duit sealing device 100-4 can be reduced because the sight glass assembly 190 can be reused for sealing other condui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선 20 : 장치 외함
100-1,100-2,100-3,100-4 : 전선관 밀봉장치
110a : 수나사부 110-1,110-2,110-3,110-4 : 소켓
111 : 투시창 안착부 112 : 투시 통로
113 : 플랜지부 114 : 스냅링 삽입홈
115 : 걸림턱 120 : 투시창
130 : 바디 130a,130b : 수나사부
130a : 수나사부 131 : 플랜지부
140 : 너트 140a : 암나사부
151,152 : 오링 160 : 에폭시
170 : 에폭시 커버 180 : 스냅링
190 : 투시창 어셈블리 191 : 몸체
192 : 돌출부 193 : 고정부재
S1,S2 : 중공부
10: wire 20: device enclosure
100-1,100-2,100-3,100-4 : Conduit sealing device
110a: Male thread 110-1,110-2,110-3,110-4: Socket
111: sight window seating part 112: sight passage
113: flange portion 114: snap ring insertion groove
115: locking jaw 120: viewing window
130: body 130a, 130b: male thread
130a: male threaded portion 131: flange portion
140: nut 140a: female thread
151,152: O-ring 160: Epoxy
170: epoxy cover 180: snap ring
190: sight window assembly 191: body
192: protrusion 193: fixing member
S1,S2: hollow part

Claims (15)

장치 외함으로부터 인입,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관통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소켓;
상기 전선의 기밀 고정을 위해 상기 전선이 관통한 상기 소켓의 중공부에 주입되는 에폭시;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시 통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에폭시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
을 포함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 socket formed with a hollow inside so that one or more wires drawn in and out of the device enclosure pass through;
Epox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socket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penetrates to secure the wire airtightly; and
a viewing window mounted on a viewing passag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ocke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visually confirming an injection amount of the epoxy;
Conduit seal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는 상기 투시창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투시창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은 에폭시에 의해 상기 투시창 안착부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iewing window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viewing window is seated and fix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and the viewing window is bonded to the viewing window seating portion by epox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통로에 연통되는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는 투시창 어셈블리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 내에 안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viewing window assembly is inserted and mounted to one side of the socket communicating with the viewing passage,
The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window is seated and fixed in the viewing window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 어셈블리는 상기 소켓의 일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에폭시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소켓의 일측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e-through window assembly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ocket,
When the injection of the epoxy is completed, the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s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폭시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it sea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ocket is formed with at least on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and injecting the epoxy, and an inlet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는 상기 장치 외함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is formed with a male screw portion that penetrates the device enclosure and is screwed together,
A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O-ring for airtightness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between the device enclosure and th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6,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ocket is painted in a color to check whether it is completely fastened with the device enclo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중공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중공부 내부에 주입되는 에폭시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며 상기 전선관이 관통하는 에폭시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poxy cov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low part of the socket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the epoxy injected into the hollow part and through which the conduit pas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커버를 상기 소켓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8,
Conduit sea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nap ring for fixing the epoxy cover to the inside of the s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외함에 나사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상기 소켓을 결합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ody screwed to the device enclosure;
Conduit sea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nut for coupling the body and the sock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외함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는 상기 장치 외함과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색으로 도장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0,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crewed with the device enclosure is colored in order to check whether it is completely fastened with the device enclos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소켓을 상기 바디 측으로 밀착시키며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while bringing the sock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바디를 상기 소켓 측을 밀착시키며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while bringing th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ock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소켓의 연결부와, 상기 바디와 상기 장치 외함의 연결부에는, 각각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0,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rings for airtightness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dy and the socke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dy and the device enclosur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밀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it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window is made of a tempered glass material.
KR1020220002605A 2022-01-07 2022-01-07 Conduit sealing device KR102646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05A KR102646453B1 (en) 2022-01-07 2022-01-07 Conduit sea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05A KR102646453B1 (en) 2022-01-07 2022-01-07 Conduit sea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97A true KR20230106897A (en) 2023-07-14
KR102646453B1 KR102646453B1 (en) 2024-03-12

Family

ID=8715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605A KR102646453B1 (en) 2022-01-07 2022-01-07 Conduit sea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087A (en) * 1994-03-10 1995-09-26 Sekisui Chem Co Ltd Fitting
KR101065497B1 (en) * 2010-08-20 2011-09-19 삼화기전 주식회사 Flameproof sealing device for flameproof electric wire piping
CN106058788A (en) * 2016-06-06 2016-10-26 济南轩天机电科技有限公司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structure installed on cable intermediate head, and use method thereof
KR102332438B1 (en) * 2021-05-03 2021-12-01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Compound type cable gl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087A (en) * 1994-03-10 1995-09-26 Sekisui Chem Co Ltd Fitting
KR101065497B1 (en) * 2010-08-20 2011-09-19 삼화기전 주식회사 Flameproof sealing device for flameproof electric wire piping
CN106058788A (en) * 2016-06-06 2016-10-26 济南轩天机电科技有限公司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structure installed on cable intermediate head, and use method thereof
KR102332438B1 (en) * 2021-05-03 2021-12-01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Compound type cable gl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453B1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74B1 (en) Explosion proof LED light
US11828448B2 (en) Harsh and hazardous location light-emitting diode module, luminaire assembly, and method
CA3027361C (en) Explosion-proof enclosures including light transmissive portions
KR101864138B1 (en) Explosion proof LED light
CA2996358C (en) Visual indicator modules for use with control panels and related methods
CA3016912C (en) Explosion-proof enclosure with flame path maintenance and protection means
US7905621B1 (en) In-grade lighting fixture
KR20230106897A (en) Conduit sealing device
CN104214599A (en) Explosion-proof and fire protection emergency mark lamp
CN210831504U (en) Combined lamp with explosion-proof structure
RU2251050C1 (en) Illumination explosion-proof device on base of light emitting diodes
KR102086759B1 (en) Emergency explosion-proof lighting
CN208846297U (en) A kind of emergency lighting and the compound lamps and lanterns of exit signs
CN207906877U (en) A kind of explosion-proof lamp of favorable sealing property
JP2013020857A (en) Explosion-proof lighting device
JP2008507089A (en) Lighting device
KR200314350Y1 (en) An illuminator having a preventive apparatus of explosion
US2050839A (en) Explosion resisting lighting unit
CN111963923B (en) Lighting device and offshore lighthouse
CN220648058U (en) Explosion-proof lamp
KR100477194B1 (en) An illuminator having a preventive apparatus of explosion and a billboard using it
KR101154798B1 (en) Assembly for an explosion protected luminaire
CN216281261U (en) Explosion-proof intelligent lighting controller
KR200314349Y1 (en) A billboard using an illuminator having a preventive apparatus of explosion
CN104776378B (en) A kind of explosion-proof indicat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