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878A -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 Google Patents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878A
KR20230106878A KR1020220002562A KR20220002562A KR20230106878A KR 20230106878 A KR20230106878 A KR 20230106878A KR 1020220002562 A KR1020220002562 A KR 1020220002562A KR 20220002562 A KR20220002562 A KR 20220002562A KR 20230106878 A KR20230106878 A KR 2023010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derly
walking aid
inclination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현기
Original Assignee
남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기 filed Critical 남현기
Priority to KR102022000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878A/en
Publication of KR2023010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하단에 바퀴가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팔이 거치되고, 상기 바퀴가 놓여진 지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팔이 거치되는 패드부가 장착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도 센서와,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스로의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의지한 채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로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며, 사용자의 한번의 버튼 클릭으로 접철가능한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가 제공된다.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is disclosed.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unit to which wheels are mounted at a lower end; A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part, on which the user grips the arm, and whose incl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wheel is placed, wherein the holder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part Doedo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portion, the mounting frame to which the pad portion to which the arm is mounted is mounted; a handl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frame; An inclin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e end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installed in the mounting frame, a cylinder whose leng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inclination sens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It includes; a tilt control unit that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alking aid that helps an elderly person or patient who has difficulty walking on their own to walk while relying on their body, the angle of the holder on which the user's arm is supported chang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and the user's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that can be folded with a single click of a button is provided.

Description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Walking aid for the elderly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본 발명은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스로의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의지한 채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로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며, 쉽게 접을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aid that helps an elderly person or patient who has difficulty walking on their own to walk while relying on their own body, wherein the user's arms are mov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that can change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can be easily folded.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기구는 하체 근육 및 관절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경우, 다리 부분에 골절상을 입은 경우 등 혼자서는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의 재활치료 또는 노약자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walking aids are used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patients who cannot walk normally by themselves, such as when lower body muscles and joints are weakened or damaged, when a leg is fractured, or to assist the behavior of the elderly.

보행 보조기구의 종류로는, 지팡이나 목발과 같이 손잡이를 잡고 보행시 체중을 일시적으로 버티며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그립형,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거나 팔과 어깨를 지탱시켜 이동하는 보행형 보조기구 등 다양한 형태의 기구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Types of walking aids include a grip type designed to move while holding a handle, such as a cane or crutches, while temporarily supporting body weight while walking, and a walking aid that has wheels installed at the bottom to move while holding the handle or supporting the arms and shoulders.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mold assistive devices are widely used.

현대 사회의 인구 구성은 65세 이상의 고연령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연령자는 무릎 관절의 약화로 인하여 보행 보조기구의 사용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행형 보조기구는 보행자가 체중을 의탁한 채 밀면서 보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행자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어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elderly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walking aids due to the weakening of the knee joint. In particular, the walking assist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edestrian walks while pushing while relying on his or her weight, so that it can more easily assist the movement of a pedestrian, and thus the demand for it is gradually increasing.

이에 따라 보행형 보조기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 walking assist device does not stop at simply assisting the user's walking, and technology capable of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safety is continuously being researched.

다만 종래의 보행형 보조기는 사용자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과 같은 경사로를 걸을 때, 고정된 팔걸이 위치부에 의해 지면의 경사 변화와는 달리 사용자는 동일한 자세가 유지된다. 이로 인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보행 보조가 원활하지 않으며 노약자인 사용자의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lking aid, when the user walks on a slope such as uphill or downhill, the user maintains the same posture, unlike the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ground, by the fixed armrest positioning unit. As a result, walking assistance is not smooth on uphill and downhill roads, and it may cause safety problems for users who are elderly or weak.

한편, 종래의 보행형 보조기는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유모차나 휠체어의 경우에는 접철이 가능하여 차량에 실을 수 있으나, 보행형 보조기의 경우 고정된 프레임으로 인해 보행형 보조기를 사용하다가 차량 등에 탑승을 해야하는 경우 차량에 넣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lking aid is manufactured in a simple structure and provided to maintain a fixed state. In the case of a stroller or wheelchair, it is foldable and can be loaded into a vehicle. However, in the case of a walking aid,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put it in a vehicle when a walking aid needs to be boarded in a vehicle while using the walking aid due to a fixed fram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815호(2013.01.14.등록) "접철보행기"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4815 (2013.01.14. Registration) "folding walk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5427호(2019.11.11.등록)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45427 (2019.11.11. registration) "Foldable walking a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스스로의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의지한 채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로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id that helps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who has difficulty walking on their own to walk while relying on their own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in which an angle of a holding portion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사용자의 한번의 버튼 클릭으로 접철가능한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that can be folded with a user's one-click butt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하단에 바퀴가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 시 팔이 거치되고, 상기 바퀴가 놓여진 지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팔이 거치되는 패드부가 장착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도 센서와,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한다.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unit to which wheels are mounted at a lower end; A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on which the user holds the arm, and whose inclin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ground on which the wheel is placed, wherein the holder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Doedo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portion, the mounting frame to which the pad portion to which the arm is mounted is mounted; a handl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frame; An inclin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e end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installed in the mounting frame, a cylinder whose leng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inclination sens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It includes; a tilt control unit that includes.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거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ylinder part may include a cylind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part and a piston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여기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패드 고정부와, 상기 패드 고정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될 수 있다.Here, the pad part is fixed to a pad fixing part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and the pad fixing part, and a user's arm can be supported thereon.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전륜 프레임; 후륜 프레임; 및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호 각도 변위를 위해 서로 연결하는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조인트는,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이 접혀지도록 상호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 위치와,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frame unit, the front wheel frame; rear wheel frame; and a hinge joint connecting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mutual angular displacement, wherein the hinge joint mutually rotates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be folded. A locking member may be movable between an unlocking position that permits unlocking and a locking position in which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are maintained in unfolded states.

여기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에 대한 소정각도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member may allow a predetermined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and the rear wheel frame of the mounting frame in the locke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편안한 자세로 보행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holder on which the user's arm is supported chang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there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 and allowing the user to walk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또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보다 증가된다.In addition, the angle of the holder on which the user's arm is plac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so that the user's safety is further increased.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can be changed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또한, 지면의 경사에 따라 거치부의 각도가 자동으로 변화되어 보다 안정적이며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walk more stably and comfortably.

또한,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 접거나 펼치는 작업을 보행자 스스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or not using the walking aid and storing it,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performed by the pedestrian himself.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거치부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기울기 조절부의 개략적인 장치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거치부의 작동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접철과정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메인 프레임부의 변형예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views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evice diagram of a tilt control unit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unit of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olding process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modified example of a main frame part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are presen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는, 스스로의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의지한 채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로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며, 사용자의 한번의 버튼 클릭으로 접철가능한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id that helps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who has difficulty walking on their own to walk while relying on their ow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that is foldable with a single click of a button by a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exploded views of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1000)는, 메인 프레임부(100)와, 거치부(200) 및 기울기 조절부(300)를 포함한다.A walking aid 1000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part 100, a holding part 200, and a tilt adjusting part 300.

메인 프레임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100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힌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부(100)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main frame unit 100 forms the overall frame of the walking aid 1000 for the elderly and infir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frame unit 100 includes a front wheel frame 110, a rear wheel frame 120, and a hinge joint 130. Details of the main frame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거치부의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거치부(200)는 사용자가 보행의 보조를 위해, 파지하여 체중을 의탁하여 분산한 상태에서 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거치부(200)는 거치 프레임(210)과, 손잡이(220)와 패드부(230)를 포함한다.The holding unit 20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while pushing in a dispersed state by holding the user's weight for assistance in walking. The holding part 200 includes a holding frame 210, a handle 220, and a pad part 230.

거치 프레임(210)은 메인 프레임부(10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 프레임(210)과 메인 프레임부(100)의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210)은, 일단이 메인 프레임부(100)에 결합된 실린더부(3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지된다.The mounting frame 210 extends forward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unit 1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unit 100 .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frame 210 and the main frame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mounting frame 210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part 320,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part 100.

거치 프레임(210)의 전방에는 손잡이(220)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거치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영역에는 패드부(230)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파지하면 자연스럽게 팔 부분이 패드부(230)에 안착되어 편안함을 느끼면서도 용이하게 체중이 분산될 수 있다. 패드부(230)는 패드 고정부(231)와 패드(232)를 포함하며, 여기서 패드 고정부(231)는 거치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패드(232)는 패드 고정부(231)에 고정된다. 패드 고정부(231)가 거치 프레임(2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 handle 220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210 so that a user can grip it, and a pad unit 230 is mounted in one are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210 . Therefore,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220, the arm part is naturally seated on the pad part 230, and the user's weight can be easily distributed while feeling comfortable. The pad part 230 includes a pad fixing part 231 and a pad 232, wherein the pad fixing part 231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210, and the pad 232 is fixed to the pad fixing part 231. The pad fixing part 231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mounting frame 210, and the position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기울기 조절부의 개략적인 장치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거치부의 작동 설명도이다.5 is a schematic device diagram of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infi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

기울기 조절부(300)는 메인 프레임부(100)가 놓여진 지면의 경사에 따라 거치부(20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기울기 조절부(300)는 경사도 센서(310)와 실린더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300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main frame unit 100 is placed. The tilt adjusting unit 300 includes a tilt sensor 310, a cylinder unit 320, and a control unit 330.

실린더부(320)는 메인 프레임부(100), 구체적으로 전륜 프레임(110) 또는 후륜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321)와, 일단이 거치 프레임(210)에 힌지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실린더(321)에 삽입되는 피스톤(3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321)는 일단인 전륜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 한다.The cylinder unit 320 includes a cylinder 321 rotatably installed in either the main frame unit 100, specifically, the front wheel frame 110 or the rear wheel frame 120 through a hinge or the like, and one end of the mounting frame ( 210)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a hinge or the like and includes a piston 322 whos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321. In this embodiment, the cylinder 32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ront wheel frame 110 as an example.

피스톤(322)의 삽입/인출은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도 센서(310)의 센싱값은 제어부(330)에 전송되며, 제어부(330)는 수신한 센싱값에 따라 피스톤(322)의 삽입/인출 정도를 제어한다. 예시로, 메인 프레임부(100)가 오르막길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오르막길의 경사도가 제어부(330)에 전송되며, 제어부(330)는 메인 프레임부(100)와의 연결위치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기울도록 함으로써, 즉, 피스톤(322)이 보다 많이 삽입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부(100)가 내리막길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내리막길의 경사도가 제어부(330)에 전송되며, 제어부(330)는 메인 프레임부(100)와의 연결위치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기울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제어부(330)가 피스톤(322)이 보다 많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30)에는 경사도에 대응되는 피스톤(322)의 삽입/인출 값이 미리 저장되어, 수신하는 센싱값에 따라 기 설정된 값으로 피스톤(322)의 삽입/인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Insertion/retraction of the piston 322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30 . Specifically, the sensed value of the inclination sensor 3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30, and the controller 330 controls the degree of insertion/extraction of the piston 322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ed value. For example, when the main frame unit 100 moves along an uphill road, the gradient of the uphill roa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30, and the controller 330 tilts downward based on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main frame unit 100. By doing so, that is, by allowing more pistons 322 to be inserted, it is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walk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when the main frame unit 100 moves along a downhill road, the gradient of the downhill roa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30, and the controller 330 tilts upward based on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main frame unit 100. By doing so,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walk more comfortably. That i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30 may allow the piston 322 to be drawn out mor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30 stores the insertion/withdrawal value of the piston 322 corresponding to the gradient in advance, and controls the insertion/withdrawal degree of the piston 322 to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ensing value. .

따라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200)의 각도가 변화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보다 증가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거치부(200)의 각도가 변화되되 자동으로 변화되어 보다 안정적이며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gle of the holder 200 on which the user's arm is plac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afety. and can walk comfortabl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부(100)는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힌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unit 100 includes a front wheel frame 110, a rear wheel frame 120, and a hinge joint 130.

전륜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앞바퀴(111)가 장착되며 후륜 프레임(120)에는 뒷바퀴(121)가 장착되고, 앞바퀴(111)와 뒷바퀴(121)는 각각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wheel 111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121 is mounted on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front wheel 111 and the rear wheel 121 are respectively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 may be provided to be foldab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접철과정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olding process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전륜 프레임(110)의 상단과 후륜 프레임(120)의 상단 및 거치 프레임(210)의 후단은 힌지 조인트(13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각도 변위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upper end of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frame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joint 130. Accordingly,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angular displacement is possible.

힌지 조인트(130)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잠금 부재는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의 상호 회전을 제한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잠금 부재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이 접혀지도록 상호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잠금 부재의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은 사용자가 잠금 부재를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잠금 부재는 돌출된 버튼 타입이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눌러 선택적으로 잠금과 잠금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The hinge joint 130 includes a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n unlocked position and a locked position. Specifically,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locking position, mutual rotation of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is restricted, so that they are fixed in a folded or unfolded state.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unlock position, mutual rotation is allowed so that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are folded. At this time, movement between the unlock position and the lock position of the lock member can be achieved by the user pressing the lock member. As an example, the locking member is a protruding button type,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change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s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한편, 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거치 프레임(210)에 대해서는 소정각도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지만, 거치 프레임(210)은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에 대해 소정각도 변화를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locking position,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frame 210 . That is,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are fixed and do not move, but the mounting frame 210 may be provided to allow a predetermined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기 조절부(300)에 의해 거치 프레임(210)의 경사가 조절된다.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은 전개되어 펼쳐진 상태이며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위치되어 상호 회전이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거치부(200)의 경사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더라도 거치부(200)의 경사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메인 프레임부(100)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 놓여진 경우에도 거치부(200)의 경사가 큰 각도로 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허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frame 210 is adjusted by the inclination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When a user uses a walking aid,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are in a unfolded state, and the locking member is positioned in a locked position so that mutual rotation is not allow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holding portion 200 is not changed, even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inclination of the holding portion 200 is adju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Even when the main frame unit 100 is placed on an uphill or downhill road,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unit 200 does not change at a large angle, this can be tolerated.

또는 변형예로서, 잠금 부재는 2개로 마련되어,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간의 상호 회전을 가능하게하는 제1잠금 부재와, 메인 프레임부(100)와 거치 프레임(210) 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잠금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잠금 부재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간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제2잠금 부재는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거치 프레임(210)의 메인 프레임부(100)에 대한 소정 각도 변화를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a modified example, two locking members are provided, a first locking member enabling mutual rotation between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rotation between the main frame unit 100 and the mounting frame 210.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locking member that enables. Therefore,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is in the locked position, rotation between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is not allowed, and when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main frame portion 100 of the mounting frame 210 ) may be provided to allow a predetermined angle change for

즉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이 서로 회전가능하여 접철되도록 마련되고, 사용시 거치 프레임(210)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면,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및 거치 프레임(210)의 결합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That is, if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are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be folded, and the angle of the mounting frame 210 can be changed during use,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120 and the mounting frame 210 is not limi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의 메인 프레임부의 변형예이다.10 is a modified example of a main frame part of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륜 프레임(110)은 후륜 프레임(120)보다 길게 마련되어, 접었을 때 앞바퀴(111)와 뒷바퀴(121)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바퀴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마련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후륜 프레임(120)이 전륜프레임보다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후륜 프레임(120)과 전륜 프레임(110)의 길이와 관계 없이 앞바퀴(111)와 뒷바퀴(121)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wheel frame 110 is provided longer than the rear wheel frame 120, so that the front wheel 111 and the rear wheel 121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when folded to prevent wheel damage and minimize the volum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may be provided longer than the front wheel frame. Alternatively, regardless of the lengths of the rear wheel frame 120 and the front wheel frame 110, the front wheel 111 and the rear wheel 121 may be coup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이 도면 상에서 전/후로 접철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이 상/하로 접철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사이에 링크 구조가 설치되어 접철 가능하면서도 보다 견고한 프레임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are provided to be folded forward/backward on the drawing.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may be provided to be folded up/down. In addition, a link structur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frame 120 to make the frame more robust while being foldable.

한편, 전륜 프레임(110)과 후륜 프레임(120) 중 하나에는 경사도 센서(310) 등이 내장된 케이스(1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140)가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20 may be equipped with a case 130 having an inclination sensor 310, etc., and also equipped with a chair 140 on which the user can sit and take a break. It can b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스로의 보행이 어려운 노약자 또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의지한 채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로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거치부의 각도가 변화되며, 사용자의 한번의 버튼 클릭으로 접철가능한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alking aid that helps the elderly 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walking on their own to walk while relying on their own bodies, the angle of the holder on which the user's arms are supported chang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Provided is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that can be folded with a user's single button click.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is not limited unless it i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se claim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be considered to be in the category.

1000 :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100 : 메인 프레임부 110 : 전륜 프레임
111 : 앞바퀴 120 : 후륜 프레임
121 : 뒷바퀴 130 : 케이스
140 : 의자 200 : 거치부
210 : 거치 프레임 220 : 손잡이
230 : 패드부 231 : 패드 고정부
232 : 패드 300 : 기울기 조절부
310 : 경사도 센서 320 : 실린더부
321 : 실린더 322 : 피스톤
330 : 제어부
1000: walking aid for the elderly
100: main frame part 110: front wheel frame
111: front wheel 120: rear wheel frame
121: rear wheel 130: case
140: chair 200: mounting unit
210: mounting frame 220: handle
230: pad part 231: pad fixing part
232: pad 300: tilt control unit
310: inclination sensor 320: cylinder part
321: cylinder 322: piston
330: control unit

Claims (5)

하단에 바퀴가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 시 팔이 거치되고, 상기 바퀴가 놓여진 지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팔이 거치되는 패드부가 장착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사도 센서와,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도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울기 조절부;
를 포함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Main frame portion to which wheels are mounted at the bottom;
A hold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part, on which an arm is placed when the user grips it, and whose incl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wheel is placed;
The holding part,
a mounting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top of the main frame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unit, and having a pad unit on which an arm is mounted;
a handl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frame;
An inclin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one end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installed in the mounting frame, a cylinder whose leng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inclination sens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A tilt control unit comprising;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거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ylinder part,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part and a piston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패드 고정부와, 상기 패드 고정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According to claim 2,
The pad part,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comprising: a pad fixing part that is slidab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frame; and a pad fixed to the pad fixing part and on which a user's arm is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전륜 프레임;
후륜 프레임; 및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호 각도 변위를 위해 서로 연결하는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조인트는,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이 접혀지도록 상호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해제 위치와,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part,
front wheel frame;
rear wheel frame; and
A hinge joint connecting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each other for mutual angular displacement,
The hinge joint is between an unlock position allowing mutual rotation of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be folded, and a locked position maintain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front wheel frame,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comprising a movable lock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거치 프레임의 상기 전륜 프레임과 상기 후륜 프레임에 대한 소정각도 변화를 허용하는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According to claim 4,
the locking member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and weak that permits a predetermined ang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and the rear wheel frame of the mounting frame in the locked position.
KR1020220002562A 2022-01-07 2022-01-07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202301068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562A KR20230106878A (en) 2022-01-07 2022-01-07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562A KR20230106878A (en) 2022-01-07 2022-01-07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78A true KR20230106878A (en) 2023-07-14

Family

ID=8715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562A KR20230106878A (en) 2022-01-07 2022-01-07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87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15Y1 (en)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A foldaway walker
KR102045427B1 (en) 2018-06-28 2019-11-15 박상수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15Y1 (en) 2011-02-21 2013-01-21 미키코리아(주) A foldaway walker
KR102045427B1 (en) 2018-06-28 2019-11-15 박상수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226B2 (en) Collapsible upright wheeled walker apparatus
US7377285B2 (en) Walker
US9016297B2 (en) Wheeled support cane
US7743779B2 (en) Crutch stroller
JP5036369B2 (en) Nursing care device
KR102045427B1 (en)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NL2014343B1 (en) Rollator-trolley.
US5605169A (en) Collapsible walker with a retractable seat
US20070182116A1 (en) Mobility scooter
WO2006118756A2 (en) Assistive walking device
US5499856A (en) Foldable front-entry walker having resistance to backward motion
US20140209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culating walking aid
US7703465B2 (en) Lock release mechanism for foldable walkers and rollators
GB2547109A (en) A walker
KR20230106879A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101966342B1 (en)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2541389B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US20020070533A1 (en) Foldable rollator with transport feature
KR20230106878A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20230011647A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weak
KR101662013B1 (en) Electric walking adds device
JP2001017491A (en) Walker
JP2003284751A (en) Stretching crutch and upright equipment for movement using the crutch
KR102112697B1 (en) Walking help devices for the walking disabled
US20150014964A1 (en) Ambulatory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