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831A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831A
KR20230106831A KR1020220002454A KR20220002454A KR20230106831A KR 20230106831 A KR20230106831 A KR 20230106831A KR 1020220002454 A KR1020220002454 A KR 1020220002454A KR 20220002454 A KR20220002454 A KR 20220002454A KR 20230106831 A KR20230106831 A KR 2023010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radiation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831A/en
Publication of KR2023010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제2영역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안테나부 및 상기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 상기 제1방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는 이격되어 배치된다.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first area of a substrate and connected to a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of the board; a first 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adia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grou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antenna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무선 통신 모듈{Wireless Communication Module}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의 안테나 배치를 통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mproves communication performance through antenna arrang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u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installed at charging stations to charge batteries. .

전기 자동차와 EVSE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여러 규약들이 활발하게 재정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에 관한 규약은 크게 충전 시스템, 충전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Several protocols are being actively rewritten for the interaction between electric vehicles and EVSE. Regulations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charging systems, charging interface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he like.

다만, 국가 별 또는 자동차 회사 별로 서로 다른 규약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배터리팩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등은 규약 별로 개발되고 설계되어야 한다. However, since each country or automobile company adopts different regulation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battery pack,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must be developed and designed according to regulations.

차량 충전 시스템 설계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완속 충전, 급속 충전, 통신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통신 진행을 위한 통신선까지 포함하는 경우 전선이 굵어지고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해 주차 공간 주변에 키오스크를 설치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키오스크가 설치된 위치에서만 충전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키오스크 설치시 정해진 충전 속도만 제공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In designing a vehicle charging system,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hen a power line for slow charging, rapid charging, communication supply, and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progress are inclu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e becomes thick and the cost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installing a kiosk around a parking space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blem of charging only at the location where the kiosk is install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nly a predetermined charging rate can be provided when the kiosk is install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의 안테나 배치를 통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mproves communication performance through antenna arrange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제2영역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안테나부 및 상기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 상기 제1방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는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first area of a board and connected to a second area of the board,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wherein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Wi-Fi module, and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adia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grou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antenna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상기 제1안테나부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일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a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unit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상기 제1방사부는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패턴 및 상기 제1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제3방사패턴 및 상기 제3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4방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adiation part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rt includes a third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A fourth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diation pattern may be included.

상기 제1안테나부의 상기 제1방사패턴과 상기 제1안테나부의 간격은 2.7mm이상 5.4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first antenna unit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2.7 mm and less than or equal to 5.4 mm.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은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가 배치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제어 장치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배치되는 EVCC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상기 제2안테나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the first area of the substrate; and an EVCC disposed in a second area of the board,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and a second antenna unit,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Wi-Fi module, and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 a Wi-Fi modul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ntenna units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a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unit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상기 제1안테나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 상기 제1방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adia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grou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상기 제1방사부는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패턴 및 상기 제1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제3방사패턴 및 상기 제3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4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의 상기 제1방사패턴과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2.7mm이상 5.4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adiation part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rt includes a third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A fourth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diation pattern may be includ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formed to be 2.7 mm or more and 5.4 mm or l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선과 통신선의 분리로 인한 직/간접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력 이용시 통신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indirect effects due to separation of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can be minimized, and communication failure can be prevented when high power is used.

또한,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ireless environment can be created through a high-performance antenna, and location restrictions can be minimized through coverage expansion.

또한, 와이파이 모듈과 EVCC 모듈에 영향을 최소화한 위치를 선정하여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패시브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안테나를 개발할 수 있다.In addition, a high-performance antenna with excellent passive performance can be developed by selecting and arranging the antenna at a location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n the Wi-Fi module and the EVCC module.

또한, 차량 충전 키오스크가 설치된 장소에 제약 없이 EVSE의 와이파이 존 또는 개인 이동 단말 또는 차량으로 충전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and pay with EVSE's Wi-Fi zone or personal mobile terminal or vehicle without restrictions on the place where the vehicle charging kiosk is installed.

또한, 별도의 키오스크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존 차량 충전소를 추가하고 충전 시설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kiosk installation is not required, it may be possible to add an existing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expand charging facilitie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기존의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1 to 3 are block diagrams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show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return loss according to frequency of an existing antenna unit.
11 is a graph showing return loss according to frequency of an antenn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in combination or substitu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embodiment have meanings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B, and C are combin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is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case, it may include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upper (above)" or "lower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below)" means that two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above)" or "lower (down)",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may be included based on one componen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1 to 3 are block diagrams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다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은 차량(1),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로서, EVSE(30)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차량(1)은 EVSE(30)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EVSE(30)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은 차량(1)의 주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charging syste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hicle 1 and a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30. The vehicle 1 is an electric vehicle (EV), and may be charged from the EVSE 30 . In order for the vehicle 1 to receive charging power from the EVSE 30,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EVSE 30 may be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vehicle 1.

EVSE(30)는 AC 또는 DC를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EVSE(30)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EVSE(3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DC 충전소(DC supply), 소켓-아웃렛(Socket-Outlet) 등과 혼용될 수 있다. EVSE 30 is a facility that supplies AC or DC, and may be placed in a charging station or in a home. The EVSE 30 is not limited to a lo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portable. In this specification, the EVSE 30 may be mixed with a charging station (Supply), an AC charging station (AC supply), a DC charging station (DC supply), a socket-outlet, and the like.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20)는 차량(1)에 포함된 구성으로, 차량(1)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50)와 연결될 수 있다. EVCC(20)는 차량 내 충전 신호 및 충전 전력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20 i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1 and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50 in the vehicle 1 . The EVCC 20 may control an in-vehicle charging signal and charging power amoun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무선 통신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and a control module 12.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에 포함된 구성으로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무선 통신 충전 제어 모듈로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의 MCU(Micro Control Unit)의 제어를 받지 않고 별도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EVCC 20,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i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EVCC 20 and includes the EVCC 20,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40).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charging control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separate control module without being controlled by a micro control unit (MCU) of the EVCC 20.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EVCC(20)와 별도로 구성된 제어 모듈(12)을 통해 EVCC(20)의 MCU을 동작시키기 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EVCC(20)와 EVSE(30)로부터 차량 충전 및 결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4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40)을 통해 차량 충전에 대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may issue instructions for operating the MCU of the EVCC 20 through the control module 12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EVCC 20 throug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receives signals for vehicle charging and payment from the EVCC 20 and the EVSE 30 and transmits them to the mobile terminal 40, so that the user charges the vehicl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40. We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monitor the situation for

무선 통신 모듈(11)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 모듈(12)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1)은 제어 모듈(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and transmit the received signals to the control module 12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transmi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12 to at least one of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

무선 통신 모듈(11)은 와이파이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등을 포함할 수 있다. W-PAN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W-LAN은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무선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이외에 유선 통신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includ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the like. W-PAN may include ZigBee,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and the like, and W-LAN may include WIFI and the like. Alth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wired communication besides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EVSE(30) 및 EVCC(2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 may generate control signals to the EVSE 30 and the EVCC 20 usi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 . The control module 12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harging u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

제어 모듈(12)은 EVCC(20)의 MCU(Micro Control Unit)의 제어를 받지 않고 별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의 제어 모듈(12)은 EVCC(20)의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이동 단말(40)로부터 수신하여 EVCC(20), EVSE(30)에 충전 및 과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2 may generate a separate control signal without being controlled by a Micro Control Unit (MCU) of the EVCC 20 . The control module 12 of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EVCC 20. The control module 12 may receive a signal input by a user from the mobile terminal 40 and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charging and billing in the EVCC 20 and the EVSE 30 .

제어 모듈(12)은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요청된 신호에 따라 다양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 may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vehicle charging states according to signals requested from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예를 들어, 충전 상태 정보는 충전 모드, 배터리 충전 예약, 배터리 충전 개시/종료, 충전 에러, 충전 제어, 충전 전류, 전압 및 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충전율, 배터리 온도(셀 내부/외부 온도), 전압/전류 충전 상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차량 ID, 사용자 ID, EVSE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과금 정보는 전력 요금, 충전 시간, 부하 정보, 미터 데이터, 과금 데이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arg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charging mode, battery charging reservation, battery charging start/end, charging error, charging control, charging current, voltage, and power. The battery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attery charging rate, battery temperature (cell internal/external temperature), voltage/current charging constant, and the lik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vehicle ID, a user ID, an EVSE ID, and the like. Charg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power rates, charging time, load information, meter data, and charging data.

제어 모듈(12)은 충전 단계에 따라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모듈(12)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 모듈(12)에서 생성된 신호는 무선 통신 모듈(11)을 통해 각 구성에 송수신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 may generate control signals transmitted to the EVCC 20 ,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charging phase. Hereinafter, the control module 12 has been described as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but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2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compone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차량(1)이 EVSE(30)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12)은 EVSE(30)의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EVCC(20)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준비 모드(Ready Mode)로 전환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EVSE(30)의 충전건이 차량(1)에 장착되면,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이 되는 EVSE(30)의 충전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 enters the area of the EVSE 30, the control module 12 receives the entry signal of the EVSE 30, and the EVCC 20 switch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ready mode. ) can be transmitted. When the charging gun of the EVSE 30 is mounted on the vehicle 1, the control module 12 may transmit a vehicl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40. Alternatively, when entering a charging area of the EVSE 30 wher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the control module 12 may transmit a vehicle recogni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40 .

이후,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로부터 차량 충전 개시 요청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EVSE(30) 및 EVCC(20)에 충전 개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충전 중 이동 단말(40)의 요청 신호 또는 EVSE(30)의 요청 신호에 따라 EVCC(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중 차량, 배터리, EVSE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각 구성으로부터 문제 발생 신호를 수신한 제어 모듈(12)은 이동 단말(40)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12 may transmit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EVSE 30 and the EVCC 20 when receiving a signal for a vehicle charging start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40 . The control module 12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EVCC 20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40 or a request signal of the EVSE 30 during charging.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battery, or EVSE during charging, the control module 12 receiving the problem occurrence signal from each component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at a problem has occurred to the mobile terminal 40 and takes action therefor. can guide you

제어 모듈(12)은 EVCC(20)로부터 차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EVSE(30)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과금 정보 및 결제 신호를 이동 단말(4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40)을 통해 차량 충전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이후, EVSE(30)의 충전건이 차량(1)으로부터 탈착되어 차량 충전은 완료된다. When receiving a vehicle charg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EVCC 20, the control module 12 may transmit vehicle charging charging information and payment signals received from the EVSE 30 to the mobile terminal 40. A user may pay a vehicle charging fe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40 . Thereafter, the charging gun of the EVSE 30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1, and vehicle charging is completed.

도 5를 참조하면, EVSE(30)는 무선 통신 모듈(31)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40)과 직접 차량 충전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EVSE(30)는 차량(1)에 포함된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이동 단말(40)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EVSE 3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 to directly transmit/receiv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vehicle charging 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40 . Through this, the EVSE 3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directly to the mobile terminal 40 without going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included in the vehicle 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선과 통신선의 분리로 인한 직/간접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력 이용시 통신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충전 키오스크가 설치된 장소에 제약 없이 EVSE의 와이파이 존 또는 개인 이동 단말 또는 차량으로 충전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별도의 키오스크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존 차량 충전소를 추가하고 충전 시설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indirect effects due to separation of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can be minimized, communication failure can be prevented when using high power, and a wireless environment can be created through a high-performance antenna. Location restrictions can be minimized through coverage expans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and pay with EVSE's Wi-Fi zone or personal mobile terminal or vehicle regardless of where the vehicle charging kiosk is installed, and it is possible to add an existing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expand charging facilities as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kiosk installation. ca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다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장치(10)는 제1통신 모듈(13), 제2통신 모듈(14), 제3통신 모듈(15) 및 제어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4,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and a control module ( 12) may be included.

제1통신 모듈(13)은 EVSE(3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듈(13)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14)은 EVCC(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 모듈(14)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EVSE 30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3 may be performed by a protocol support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4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EVCC 20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4 may be performed by a protocol supporti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제3통신 모듈(15)은 이동 단말(4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와이파이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등을 포함할 수 있다. W-PAN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W-LAN은 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 모듈(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11)과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mobile terminal 40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may includ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the like. W-PAN may include ZigBee,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and the like, and W-LAN may include WIFI and the like.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may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 모듈(12)은 제1 내지 제3통신 모듈(13, 14, 15)과 연결되고 제3통신 모듈(1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EVCC(20) 및 EVSE(30)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는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로부터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 제어 신호는 EVCC(20), EVSE(30) 및 이동 단말(40)와 각각 연결된 제1 내지 제3통신 모듈(13, 14, 15)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는 EVCC(20)의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2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communication modules 13, 14, and 15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EVCC 20 and the EVSE 30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5. can creat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2 generates a charging control signal using signals from the EVCC 20, the EVSE 30, and the mobile terminal 40, and the generated charging control signal is the EVCC 20, the EVSE ( 30) and the first to third communication modules 13, 14 and 15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40. The control module 12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module of the EVCC 2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의 무선 충전 제어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6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of FIG. 6 correspond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of FIGS. 1 to 5,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EVSE, EVCC 및 이동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S11 단계에서 EVSE로부터 차량 진입 신호를 수신하면 EVCC가 슬립 모드에서 준비 모드로 전환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S12 단계에서 EVSE의 충전건이 차량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에 차량 인식 신호를 송신하고 EVCC가 준비 모드에서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고, S13 단계에서 EVCC로부터 수신된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신호를 EVSE 및 이동 단말에 송신하고, S14 단계에서 EVCC로부터 차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EVSE 및 이동 단말에 차량 충전 결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신호는 충전 속도, 충전 과금, 충전량, 충전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harging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EVSE, EVCC, and mobile terminal, when a vehicle entry signal is received from EVSE in step S11, EVCC transmits a signal to switch from sleep mode to ready mode, S12 In step S13, when the EVSE charging gun is mounted on the vehicle, a vehicle recogni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the EVCC switches from the ready mode to the charging mode. When the vehicle charging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VCC in step S14, the vehicle charging pay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VSE and the mobile terminal. The signal for the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rging speed, a charging charge, a charging amount, and a remaining charging time.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기존의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7 to 9 show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performance graph according to frequency of an existing antenna unit, and FIG. 11 is an antenn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performance graph according to frequ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11)은 기판(1000)에 배치되는 제1안테나부(100) 및 제2안테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ntenna unit 100 and a second antenna unit 200 disposed on a board 1000 .

기판(1000)의 제1영역(1100)에는 무선 통신 모듈(11)이 배치되고, 기판(1000)의 제2영역(1200)에는 EVCC(20)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은 기판(1000)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EMC의 최소화 영역인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1100 of the substrate 1000, and the EVCC 2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1200 of the substrate 10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be disposed at an edge, which is an area to minimize EMC generated from circuits of the board 1000 .

무선 통신 모듈(11)은 제1안테나부(100) 및 제2안테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 may include a first antenna unit 100 and a second antenna unit 200 .

제1안테나부(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테나부(200)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안테나부(200)는 상단에 쉴드캔(Shield)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안테나부(200)는 상단에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unit 10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antenna unit 100 may include a Bluetooth antenna. The second antenna unit 200 may include a WiFi module. A shield can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econd antenna unit 200 . A cover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econd antenna unit 200 .

제1안테나부(100)는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제2안테나부(200)의 쉴드캔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안테나부(20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소형 모듈인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가 인접하더라도 서로 간에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블루투스와 동시 동작시 무선 와이파이 전송율을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ntenna uni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inimize the effect of parasitic capacitance caused by the shield can of the second antenna unit 200 that affects antenna performance. Through this, even if the Wi-Fi and Bluetooth antennas, which are subminiature modul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signal interference between them can be minimized, and a wireless Wi-Fi transmission rate can be secured when operating simultaneously with Bluetooth.

제1안테나부(100)는 다양한 통신을 위해서 하나의 안테나 모듈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방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블루투스, GPS, NFC 용 방사부가 필요할 수 있다.In the first antenna unit 100, a plurality of radiation units having various frequency bands may be formed in one antenna module for various communications. In particular,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 radiator for Wi-Fi, Bluetooth, GPS, and NFC may be required.

제1안테나부(100)는 기판(1000)의 제2영역(1200)과 연결되는 급전부(110), 급전부(110)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130), 제1방사부(1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140) 및 제2방사부(140)와 기판(1000)의 제2영역(1200)과 연결되는 접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는 급전부(110)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며, 급전부(110)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제1방사부(130) 및 제2방사부(140)는 각각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외부로 방사한다. 이때, 제1방사부(130) 및 제2방사부(140)를 이루는 각각의 방사패턴을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위상이 상이하도록 구현된다. The first antenna unit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1200 of the substrate 1000, a first radiation unit 13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a first radiation unit 130. ) and a ground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1200 of the substrate 1000 and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140 extending from the substrate 1000.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antenna unit 10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according to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10, the first radi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140 are respectively predetermined. A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of is radia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phases of signals emitted through respective radiation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radi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unit 140 are different.

제1안테나부(100)는 PIFA 안테나일 수 있다.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는 평판 역 에프 안테나로, 에프(F)를 뒤집어 높은 것처럼 평판의 접지면 위에 보다 작은 면적의 사각 패치판을 얹은 평판 안테나를 의미한다. 접지면, 방사패치, 급전부, 단락부(단락핀 또는 단락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PIFA 안테나는 전류 급전에 의해 패치가 접지면과 공진되면서 방사 소자로서 역할을 하며, 패치의 길이, 폭, 높이와 급전선의 위치와 단락핀의 위치 등에 따라 대역폭, 이득, 공진 주파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100 may be a PIFA antenna. 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 is a planar inverted F antenna, which means a planar antenna in which a square patch plate with a smaller area is placed on the ground plane of the flat surface as if F is turned upside down. It can be composed of a ground plane, a radiation patch, a power supply part, and a shorting part (shorting pin or shorting strip). The PIFA antenna serves as a radiating element as the patch resonates with the ground plane by current supply, and the bandwidth, gain, resonance frequency, etc. .

제1방사부(130)는 급전부(110)와 연결되는 제1방사패턴(130-1) 및 제1방사패턴(130-1)와 수직을 이루는 제2방사패턴(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사부(140)는 접지부(120)와 연결되는 제3방사패턴(140-1) 및 제3방사패턴(140-1)와 수직을 이루는 제4방사패턴(140-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방사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사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radiation part 130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110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130-2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can do. The second radiation part 140 includes a third radiation pattern 140-1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120 and a fourth radiation pattern 140-2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diation pattern 140-1. can do. Each radiation un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radiation unit.

제1방사부(130) 및 제2방사부(140)는 와이파이용 방사부 또는 블루투스용 방사부일 수 있다. 또는, NFC용 방사부 등 다른 통신을 위한 방사일 수도 있다. 제1방사부(130)와 제2방사부(140)는 각각 다른 용도의 방사부일 수 있고, 동일한 용도의 방사부일 수 있다. 제1방사부(130)의 폭은 제2방사부(1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방사부(130)는 주파수 대역이 5.0 내지 5.2GHz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제2방사부(140)는 주파수 대역이 2.4 내지 2.5GHz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The first radiating unit 130 and the second radiating unit 140 may be a radiating unit for Wi-Fi or a radiating unit for Bluetooth. Alternatively, it may be radiation for other communication, such as a radiator for NFC. The first radiation part 130 and the second radiation part 140 may be radiation parts for different purposes or may be radiation parts for the same purpose. The width of the first radiation part 13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radiation part 140 . The first radiation unit 130 may cause resonance in a frequency band of 5.0 to 5.2 GHz. The second radiation unit 140 may cause resonance in a frequency band of 2.4 to 2.5 GHz.

제1안테나부(100)와 제2안테나부(200)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와 제2안테나부(200)의 간격은 제1안테나부(10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가 5.5GHz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 파장의 1/2 값은 약 2.7mm 일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와 제2안테나부(200)의 간격은 2.7 mm 이상 5.4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00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a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When the first antenna unit 100 uses a frequency of 5.5 GHz, a value of 1/2 of the wavelength may be about 2.7 mm.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00 may be formed to be 2.7 mm or more and 5.4 mm or less.

제1안테나부(100)의 제1방사패턴(130-1)와 제2안테나부(200)의 간격은 제1안테나부(10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가 5.5GHz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 파장의 1/2 값은 약 2.7 mm 일 수 있다. 제1안테나부(100)의 제1방사패턴(130-1)와 제2안테나부(200)의 간격(G)은 2.7 mm 이상 5.4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of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the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can be formed as When the first antenna unit 100 uses a frequency of 5.5 GHz, a value of 1/2 of the wavelength may be about 2.7 mm. The distance G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of the first antenna unit 1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200 may be formed to be 2.7 mm or more and 5.4 mm or less.

도 9를 참조하면, 제1안테나부(100)의 제1방사패턴(130-1)의 길이(B)는 11 mm 이상 12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11.5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방사패턴(130-2)의 길이(A)는 7.5 mm 이상 8.5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8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방사패턴(140-1)의 길이(F)는 4 mm 이상 5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4.5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4방사패턴(140-2)의 길이(D)는 7 mm 이상 8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7.5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방사패턴(130-1)와 제3방사패턴(140-1)의 간격(E)은 2.5 mm 이상 3.5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3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방사패턴(140-1)와 기판(1000)의 제2영역(1200) 사이의 간격(C)은 6 mm 이상 7.5 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약 6.8 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따른 제1안테나부(100)의 형상, 각 방사부의 길이 및 간격은 안테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9 , the length B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of the first antenna unit 100 may be between 11 mm and 12 mm or about 11.5 mm. The length A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130-2 may be formed to be 7.5 mm or more and 8.5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to about 8 mm. The length F of the third radiation pattern 140-1 may be formed to be 4 mm or more and 5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to be about 4.5 mm. The length D of the fourth radiation pattern 140-2 may be formed to be 7 mm or more and 8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to be about 7.5 mm. The distance 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30-1 and the third radiation pattern 140-1 may be formed to be 2.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to be about 3 mm. The distance C between the third radiation pattern 140 - 1 and the second area 1200 of the substrate 1000 may be formed to be 6 mm or more and 7.5 mm or less, and may be formed to be about 6.8 m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first antenna unit 100 shown in FIG. 9 and the length and spacing of each radiating un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도 10은 기존의 제1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안테나부는 기존 안테나 대비 제2안테나부의 간격만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FIG. 10 is a graph showing return loss according to frequency of the conventional first antenna unit, and FIG. 11 is a graph showing return loss according to frequency of the first antenna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the interval.

도 10과 도 11을 비교하면, 기존의 제1안테나부는 주파수 2.4~2.48GHz 영역에서 반사계수가 약 -26dB이고, 주파수 5.15~5.83GHz 영역에서 반사계수가 약 -10dB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안테나부는 주파수 2.4~2.48GHz 영역에서 반사계수가 약 -29dB이고, 주파수 5.15~5.83GHz 영역에서 반사계수가 약 -13dB이다. 즉, 도 10 및 도 11을 통해 기존의 제1안테나부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안테나부는 제2안테나부인 와이파이 모듈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안테나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mparing FIG. 10 with FIG. 11, the conventional first antenna unit has a reflection coefficient of about -26dB in a frequency range of 2.4 to 2.48GHz and a reflection coefficient of about -10dB in a frequency range of 5.15 to 5.83GHz. The second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flection coefficient of about -29 dB in a frequency range of 2.4 to 2.48 GHz and a reflection coefficient of about -13 dB in a frequency range of 5.15 to 5.83 GHz. That is, through FIGS. 10 and 11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Wi-Fi module, which is the second antenna uni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ompared to the existing first antenna unit, so that the antenna performance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에 포함된 고성능 안테나를 통해 무선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장소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과 EVCC 모듈에 영향을 최소화한 위치를 선정하여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패시브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안테나를 개발할 수 있다.A wireless environment can be created through a high-performance antenna inclu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ocation restrictions can be minimized through coverage expansion. In addition, a high-performance antenna with excellent passive performance can be developed by selecting and arranging the antenna at a location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n the Wi-Fi module and the EVCC module.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제2영역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안테나부 및 상기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
상기 제1방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in a first area of a substrate and connected to a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Wi-Fi module,
The first antenna part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adia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grou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상기 제1안테나부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인 무선 통신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claim 1 ,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a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unit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는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패턴 및 상기 제1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제3방사패턴 및 상기 제3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4방사패턴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adiation part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diation pattern,
The second radiation unit includes a third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ground unit and a fourth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diation patte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부의 상기 제1방사패턴과 상기 제1안테나부의 간격은 2.7mm이상 5.4mm이하로 형성되는 무선 통신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claim 1 ,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first antenna unit is 2.7 mm or more and 5.4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은 EVCC(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가 배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which an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is disposed.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영역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배치되는 EVCC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와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상기 제2안테나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파장의 1/2 값 이상 1 값 이하인 무선 통신 제어 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the first area of the substrate; and
An EVCC disposed in a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antenna unit and a second antenna unit,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Wi-Fi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2 and equal to or less than 1 value of a wavel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부;
상기 제1방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영역과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tenna part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a first 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adia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grou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부는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방사패턴 및 상기 제1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제3방사패턴 및 상기 제3방사패턴과 수직을 이루는 제4방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부의 상기 제1방사패턴과 상기 제2안테나부의 간격은 2.7mm이상 5.4mm이하로 형성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radiation part includes a first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diation pattern,
The second radiation part includes a third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ground part and a fourth radiation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diation pattern,
The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is formed to be 2.7 mm or more and 5.4 mm or less.
KR1020220002454A 2022-01-07 2022-01-07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2301068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54A KR20230106831A (en) 2022-01-07 2022-01-07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54A KR20230106831A (en) 2022-01-07 2022-01-07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31A true KR20230106831A (en) 2023-07-14

Family

ID=8715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454A KR20230106831A (en) 2022-01-07 2022-01-07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8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226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of positions
EP3159204B1 (en)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ower transfer system
CN111114348B (en) Position alignment method, magnetic field detection device, and position alignment device
KR1018031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field alignment in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and primary pad used therein
CN10685377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PD of EVSE and method for operating SECC
US11198370B2 (en) 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0110067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5525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vehicle position based on low frequency signals
US20220043101A1 (en) Positioning system
KR201800954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position using low frequency antenna in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200049534A (en) Position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20230106831A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230106015A (en) Wireless Charge Control System
El-Shair et al. Review and evalua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for control of stationary electric-vehicle inductive charging systems
JP2004128940A (en) Combined antenna assembly for vehicl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156996A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230151825A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240009293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09295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09294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09292A (en)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09296A (en) Communication Device
CN211701624U (en) Power supply equipment for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US11444390B2 (en) Near-field communication and ultra high frequency device
DE102016222983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