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196A - 터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196A
KR20230105196A KR1020220000447A KR20220000447A KR20230105196A KR 20230105196 A KR20230105196 A KR 20230105196A KR 1020220000447 A KR1020220000447 A KR 1020220000447A KR 20220000447 A KR20220000447 A KR 20220000447A KR 20230105196 A KR20230105196 A KR 2023010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input device
printing unit
film member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196A/ko
Publication of KR2023010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를 갖는 베이스 패널과, 인쇄부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과,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TOUCH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부가되거나, 해당 표시장치 내에 내장 설계되거나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터치 버튼의 프런트 패널에 폴리카보네이트 클리어 레진(polycarbonate clear resin)을 적용할 경우, 아이콘(예: 문자 등)의 음영을 야기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패널 내부의 형상이 보이는 품질 문제가 불거졌고,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부품이 추가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필름부재(터치 필름)를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아이콘의 음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를 갖는 베이스 패널; 인쇄부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및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한다.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다.
필름부재는 표면이 프런트 패널과 맞닿는 투명한 제1 필름; 및 제1 필름의 배면과 인쇄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제2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름은 광 굴절 및 조명 확산이 가능한 엠보(embo) 형상을 갖는다.
제2 필름은 복수의 리드선이 구현된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패널은 투명한 비결정성 수지(polycarbonate clear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를 갖는 베이스 패널; 인쇄부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부재; 및 필름부재와 인쇄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름부재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패널은 필름부재가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와, 리플렉터를 갖는 베이스 패널; 인쇄부와 리플렉터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및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한다.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와, 일부 구간에 복수의 결합 홈을 갖는 베이스 패널; 인쇄부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는 베이스 패널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필름부재와 저촉되지 않는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장치는 필름부재(터치 필름)를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아이콘의 음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존의 리플렉터 및/또는 확산시트를 제거함으로써 원가 절감과 더불어 불필요한 조립 공수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터치되는 필름의 기본 재질을 불투명하게 적용하고, 리플렉터(미도시)를 삭제하고, 기존의 확산시트(미도시)를 삭제하되, 확산 재질을 필름에 구현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조립 공수를 삭제한다는 데 주된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터치 입력장치(100)는 베이스 패널(110), 프런트 패널(120) 및 필름부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10)은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111)를 갖는다. 이때, 베이스 패널(110)은 본체의 일부 구간에 복수의 결합 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패널(120)은 베이스 패널(110)의 인쇄부(111)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110)과 결합한다. 프런트 패널(120)은 투명한 비결정성 수지(polycarbonate clear resin)일 수 있다.
필름부재(130)는 인쇄부(111)와 프런트 패널(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름부재(130)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로 이루어져 인쇄부(111)의 주변에 음영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필름부재(130)는 확산 시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리플렉터(미도시) 없이 터치 입력장치(100)의 전면부 조명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면부 조명 개선을 위해 리플렉터를 사용했는데, 이는 불가피하게 인쇄부(111)의 주변에 음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인쇄부(111)의 경계면이 드러나 베이스 패널(110)의 내부 형상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시야면에서 아쉬움이 따랐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부재(130)는 이러한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필름 입력장치(100)의 전면부 조명을 개선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자체적으로 광 확산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부(111)의 주변에 음영 발생을 제한하여 기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필름부재(130)는 인쇄부(111)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필름부재(130)는 복수의 결합 홈(112)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필름부재(130)는 메인 바디(131)와, 고정단(132)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131)는 인쇄부(111)와 프런트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고,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단(132)은 메인 바디(131)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패널(110)의 결합 홈(112)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단(132)은 'ㅣ'자 형태의 메인 바디(131)로부터 'ㄴ'자 형태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필름 부재(13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단(132)은 메인 바디(131)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단(132)이 분리형일 경우, 'ㄴ'자 형상의 고정단(132)은 메인 바디(131)의 하단부와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름부재(130)의 메인 바디(131는 제1 필름(133)과, 제2 필름(13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필름(133)은 표면이 프런트 패널(120)과 맞닿는 구간이며, 투명하다.
제2 필름(134)은 제1 필름(133)의 배면과 인쇄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필름(134)은 광 굴절 및 조명 확산이 가능한 엠보(embo)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필름(134)의 두께는 0.3mmㅁ5%이고, 투과율은 70ㅁ5%이고, Haze는 97%보다 크거나 같고, 굴절율은 1.59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필름(134)은 빛 굴절 및 조명 확산이 가능하여 터치 필름이면서도 기존의 확산시트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름(134)은 복수의 리드선(미도시)이 구현된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100')는 확산시트(140)를 적용하되, 리플렉터(미도시)를 삭제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조립 공수를 삭제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장치(100')는 베이스 패널(110), 프런트 패널(120), 필름부재(130) 및 확산시트(140)를 포함한다. 위 구성 중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확산시트(140)는 필름부재(130)와 인쇄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100')는 리플렉터를 적용하되, 확산시트를 삭제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조립 공수를 삭제할 수도 있다.
해당 변형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가령, 베이스 패널(110)은 인쇄부(111) 내에 소정의 리플렉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프런트 패널(120)은 인쇄부(111)와 리플렉터를 감싼 채로 베이스 패널(110)과 결합할 수 있다.
필름부재(130)는 인쇄부(111)와 프런트 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부(111)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한다.
해당 변형 실시예에서의 리플렉터는 베이스 패널(110)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필름부재(130)와 저촉되지 않는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터치 입력장치
110: 베이스 패널
111: 인쇄부
112: 결합 홈
120: 프런트 패널
130: 필름부재
131: 메인 바디
132: 고정단
133: 제1 필름
134: 제2 필름
140: 확산시트

Claims (14)

  1.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인쇄부를 감싼 채로 상기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및
    상기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표면이 상기 프런트 패널과 맞닿는 투명한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의 배면과 상기 인쇄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제2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광 굴절 및 조명 확산이 가능한 엠보(embo) 형상을 갖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복수의 리드선이 구현된 평판 구조를 갖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은
    투명한 비결정성 수지(polycarbonate clear resin)인 터치 입력장치.
  8.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인쇄부를 감싼 채로 상기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상기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부재; 및
    상기 필름부재와 인쇄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 확산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필름부재가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복수의 결합 홈을 갖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11.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와, 리플렉터를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인쇄부와 리플렉터를 감싼 채로 상기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및
    상기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13. 각종 기능별 아이콘을 표시하는 인쇄부와, 일부 구간에 복수의 결합 홈을 갖는 베이스 패널;
    상기 인쇄부를 감싼 채로 상기 베이스 패널과 결합하는 프런트 패널;
    상기 인쇄부와 프런트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 주변의 음영 발생을 제한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재는
    광 확산이 가능한 불투명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어느 한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과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필름부재와 저촉되지 않는 주변에 배치되는 것인 터치 입력장치.
KR1020220000447A 2022-01-03 2022-01-03 터치 입력장치 KR2023010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447A KR20230105196A (ko) 2022-01-03 2022-01-03 터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447A KR20230105196A (ko) 2022-01-03 2022-01-03 터치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196A true KR20230105196A (ko) 2023-07-11

Family

ID=8715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447A KR20230105196A (ko) 2022-01-03 2022-01-03 터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509B2 (en) Display screen assembly, terminal front cover, and terminal
US8950883B2 (en) Bezel-free display device using directional backlighting
US2021040843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8427598B2 (en) Input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3534170B2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212590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874967B2 (en) Touch-panel display device
US20050012722A1 (en) Touch screen
KR20150001663U (ko)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CN105068310A (zh) 电子设备
US9519100B2 (en) Apparatus having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a display unit and for illuminating a patterned region
US11119590B2 (en) Opto-electronic module
CN10952391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5760006A (zh) 触控显示装置
KR20150126199A (ko) 창 설치용 투명 lcd 장치
WO2017128651A1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630486A (zh) 电子设备及显示屏
TW201445403A (zh) 多功能輸入裝置
US11163106B2 (en) Multilayer opto-electronic module
KR20230105196A (ko) 터치 입력장치
KR20150002970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7949147B (zh) 一种柔性电路板和触控设备
JP6452804B2 (ja) 携帯端末
JP5815347B2 (ja) 面状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10330859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