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036A -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 Google Patents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036A
KR20230105036A KR1020220000127A KR20220000127A KR20230105036A KR 20230105036 A KR20230105036 A KR 20230105036A KR 1020220000127 A KR1020220000127 A KR 1020220000127A KR 20220000127 A KR20220000127 A KR 20220000127A KR 20230105036 A KR20230105036 A KR 2023010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over part
body pillow
cushion member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에스더
Original Assignee
신에스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스더 filed Critical 신에스더
Priority to KR102022000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036A/ko
Publication of KR2023010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의 상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쿠션의 형태와 높이를 제한하는 지지수단을 통해 영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영아가 섭취한 음식물이 역류되는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ANTI REFLUX CUSHION THAT DOUBLES AS A BODY PILLOW}
본 발명은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의 상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쿠션의 형태와 높이를 제한하는 지지수단을 통해 영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영아가 섭취한 음식물이 역류되는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영아 내지는 유아란 젖을 먹는 어린아이를 칭하는 것으로, 사람은 태어난 뒤로 소정의 개월 동안 모유 혹은 분유를 섭취하여 성장한다. 다만, 영유아의 위는 성인과 같이 소정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모유 혹은 분유를 섭취한 영유아를 곧바로 눕힐 경우, 영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이 역류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유자가 영유아에게 모유 수유를 할 경우 영유아를 양팔로 안은 상태로 모유 수유를 하거나 영유아를 비스듬하게 눕힌 상태로 수유를 하게 된다. 이때, 수유자가 유아를 양팔로 안은 상태로 모유 수유를 할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를 취할 시 팔에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공지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678호의 수유쿠션은 유아의 품에 안기는 쿠션부재와, 유아의 안면 위치에 젖병을 지지하는 젖병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유아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수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유쿠션은 영유아의 자세를 비스듬하게 눕힐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여전히 음식물을 섭취한 영유아에게 역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816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쿠션의 상면을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쿠션의 형태와 높이를 제한하여 지지함으로써, 영아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영아가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쿠션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끼워져 영아의 엉덩이를 지지해주는 제2쿠션부재로 구성되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씌워지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윗면과 아랫면을 연결하여 상기 쿠션부의 형태와 높이가 제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쿠션부재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부린 모양이 유지된 상태로 자립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을 서로 결합해주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제1쿠션부재와 제2쿠션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수용공간 중심으로부터 양쪽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수단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가 접하는 면과 면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쿠션부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후면 또는 후면과 전면 부분에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경사진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친 상태로 재봉하는 하나 이상의 다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수단의 하단이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수단의 하단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 일부분에는, 서로가 탈부착 되어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안착면에는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한 안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패드의 내표면에 방수성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은 커버부의 윗면과 아랫면의 높이를 제한하는 지지수단이 쿠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쿠션의 높이는 물론 쿠션의 형태를 제한하고, 쿠션의 상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안착면에 안착되는 영아를 안적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에 방수패드가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커버부가 일부 절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커버부를 예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 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부(112)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영아(미도시)가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쿠션부재(110)와, 상기 공간부(112)에 끼워져 영아의 엉덩이를 지지해주는 제2쿠션부재(120)로 구성되는 쿠션부(100), 상기 쿠션부(100)에 씌워지도록 내부에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커버부(200) 및 상기 커버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00)의 윗면과 아랫면을 연결하여 상기 쿠션부(100)의 형태와 높이가 제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23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쿠션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쿠션부재(1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에 수용되지 않을 경우, 본래의 형태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쿠션부재(110)의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에 수용되지 않은 제1쿠션부재(110)는 바디 필로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쿠션부재(110)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부린 상태의 모양을 유지하여 자립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을 서로 결합해주는 결합수단(1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결합수단(113)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추나 벨크로 테이프 또는 끈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쿠션부재(110)가 커버부(200)에 수용되면 그 상면 역시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영아를 눕힌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유 시 모유나 분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아의 머리를 지탱하는 부분이 다리를 지탱하는 부분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측과 타측의 높이는 상기 일측의 상면과 타측의 상면이 서로 이루는 각이 15° 내지는 20°사이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영아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15° 미만 또는 20° 초과의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쿠션부재(11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구부(111)가 마련되고, 내측 중심으로는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대략 "∩"자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112)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 없이 원형, 타원형 또는 아치형이나 물방울 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쿠션부재(120)는,
제1쿠션부재(110)의 내측 중심에 형성된 공간부(112)에 끼워져 영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탱해줄 수 있다. 이때, 제2쿠션부재(120)의 높이 및 경사 각도는 상기 제1쿠션부재(110)의 높이 및 경사 각도와 유사 내지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쿠션부재(120)의 형상 또한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 없이 상기 공간부(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아치형이나 물방울 모양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로 구성되는 쿠션부(100)는 그 재질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탄력이 풍부하고 흡습성, 보온성이 있는 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장시간 동안 누워있는 영아를 보다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있는 성질의 폼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latex) 및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앞서 설명한 쿠션부(100)에 씌워지도록 내부에 수용공간(S)이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상기 쿠션부(100)에 밀착하여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0)의 상면은 영아가 눕거나 기댈 수 있는 소정의 안착면(210)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면(2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아가 안정감 있게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영아의 몸체를 상기 안착면(210) 중심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안착면(210)의 내측 부위가 외측 부위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는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경사진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친 상태로 재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트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재질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커버부(200)의 원단은 신축성, 통풍성, 항균 및 탈취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접촉 시 쾌적함을 주는 신축성 소재의 변형 가능한 원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200)의 후면 또는 후면과 전면에는 상기 쿠션부(100)를 선택적으로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지퍼 형태의 개폐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커버부(200)의 후면에 형성된 개폐부(220)는 전면에 형성된 개폐부(220)보다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의 후면에 형성된 개폐부(220)의 경우 제1쿠션부재(110) 또는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결합된 상태로 넣거나 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커버부(200)의 전면에 형성된 개폐부(220)는 제2쿠션부재(120)와 상응하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200)의 수용공간(S)에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전면에 형성된 개폐부(220)를 개방하여 제1쿠션부재(110)의 간섭 없이도 제2쿠션부재(120)만을 용이하게 넣거나 뺄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200)의 안착면(210)에는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안착패드(25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패드(250)는 다회성 또는 일회성으로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패드(250)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커버부(200)의 안착면(210) 전체가 덮어지도록 부착하거나 엉덩이 부분만이 덮어지도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패드(250)의 저면에는 벨크로 등을 이용한 접착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패드(250)의 내표면은 방수성물질이 코팅되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이나 분비물 등에 오염이 되더라도 안착패드(250)만을 떼내어 손쉽게 세탁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를, 도 6은 도 4의 B-B'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지지수단(230)은,
앞서 설명한 커버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커버부(200)의 윗면과 아랫면을 연결하여 쿠션부(100)의 형태와 높이가 제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수단(230)의 상단은 상기 커버부(200)의 윗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커버부(200)의 아랫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지수단(230)은 봉재 또는 융착을 통해 커버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후술하게 될 다른 실시 예의 지지수단(230)과 같이, 지지수단(230)의 하단이 커버부(200)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41)을 통해 커버부(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커버부(200)의 아랫면(240) 외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지수단(230)은 커버부(20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도록 얇은 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200)의 수용공간(S) 중심으로부터 양쪽에 대향 배치되되, 커버부(200)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는 지지수단(230)에 의해 수용공간(S) 내에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00)는 그 두께가 지지수단(230)에 의해 높이가 제한되게 수용되므로, 높이가 상이한 또 다른 쿠션부(100)로 교체되더라도 항시 일정한 높이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쿠션부(100)의 탄성력 또한 제한해줌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의 커버부가 일부 절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수단(230)의 양측면에는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접하는 면과 면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부착 가능한 부착부재(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부착부재(231)는 벨크로 등과 같은 탈부착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커버부를 예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230)의 하단이 커버부(200)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41)을 통해 커버부(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커버부(200)의 아랫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부(200)의 아랫면에는 지지수단(230)의 하단이 위치하는 부분 즉 수용공간(S)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에 대향 배치되면서, 지지수단(230)과 대응하도록 장공 형태의 관통공(241)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수단(230)의 하단 길이를 보다 길게 연장하여 쿠션부(100)의 높이 제한 폭(d1)을 보다 넓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230)의 하단 일측면과 그러한 일측면에 접촉되는 커버부(200)의 아랫면 일부 면적에는, 서로가 탈부착 되어 고정이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2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공(241)으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수단(2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쿠션부(100)의 형태와 높이를 선택적으로 변형하여 제한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100 : 쿠션부 110 : 제1쿠션부재
111 : 개구부 112 : 공간부
113 : 결합수단 20 : 제2쿠션부재
200 : 커버부 S : 수용공간
210 : 안착면 211 : 다트부
220 : 개폐부 230 : 지지수단
231 : 부착부재 40 : 아랫면
241 : 관통공 242 : 고정수단
250 : 안착패드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영아가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쿠션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끼워져 영아의 엉덩이를 지지해주는 제2쿠션부재로 구성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씌워지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윗면과 아랫면을 연결하여 상기 쿠션부의 형태와 높이가 제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바디 필로우 겸용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재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부린 모양이 유지된 상태로 자립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을 서로 결합해주는 결합수단;이 더 포함된 것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제1쿠션부재와 제2쿠션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수용공간 중심으로부터 양쪽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가 접하는 면과 면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쿠션부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후면 또는 후면과 전면 부분에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경사진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친 상태로 재봉하는 하나 이상의 다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수단의 하단이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하단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의 아랫면 일부분에는, 서로가 탈부착 되어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안착면에는,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한 안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패드의 내표면에 방수성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KR1020220000127A 2022-01-03 2022-01-03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KR20230105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7A KR20230105036A (ko) 2022-01-03 2022-01-03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7A KR20230105036A (ko) 2022-01-03 2022-01-03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36A true KR20230105036A (ko) 2023-07-11

Family

ID=8715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127A KR20230105036A (ko) 2022-01-03 2022-01-03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678Y1 (ko) 2002-04-08 2002-07-13 이성아 수유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678Y1 (ko) 2002-04-08 2002-07-13 이성아 수유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638B1 (en) Reconfigurable pillow with dual infant support pillows
US8321977B1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US9113719B2 (en) Feeding pillow with protective surface
US4447922A (en) Pillow apparatus
EP1750556B1 (en) Infant support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20070209115A1 (en) Multipurpose support pillow
US20060179574A1 (en) Adjustable pillow for supporting an infant
US20060075563A1 (en) Nursing aid
US5707031A (en) Arm support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KR20230105036A (ko) 바디 필로우 겸용 역류 방지 쿠션
KR101196868B1 (ko) 휴대용 유아침대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KR102134330B1 (ko) 머리 보호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쿠션
KR102109107B1 (ko) 역류 방지 쿠션
KR20130034100A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20100002801U (ko) 수유쿠션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KR102278113B1 (ko) 유아용 쿠션
KR102109106B1 (ko) 역류 방지 쿠션
KR102612662B1 (ko) 힙시트와 수유시트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아기용품
CN215126539U (zh) 一种新型仿生体位调节枕
KR20220000673U (ko) 역류방지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