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633A -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핸들링 - Google Patents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핸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633A
KR20230104633A KR1020237016690A KR20237016690A KR20230104633A KR 20230104633 A KR20230104633 A KR 20230104633A KR 1020237016690 A KR1020237016690 A KR 1020237016690A KR 20237016690 A KR20237016690 A KR 20237016690A KR 20230104633 A KR20230104633 A KR 20230104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tity
relay
ra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틴 스리니바산
바르쉬 괴크테페
로야 에브라힘 레자가
토마스 페렌바흐
코르넬리우스 헬게
토마스 워스
토마스 쉬를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3010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가 설명된다.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베어러들을 셋업한다.

Description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핸들링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중계 디바이스들 또는 중계 엔티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핸들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들(RAN1, RAN2, ...RANN)을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 예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1b는 개개의 셀들(1061 내지 1065)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기지국을 둘러싸는 특정 영역을 각각 서빙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gNB1 내지 gNB5)을 포함할 수 있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n)의 일 예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기지국들은 셀 내에서 사용자들을 서빙하도록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은 면허 및/또는 비면허 대역들에서 사용자들을 서빙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BS)은 5G 네트워크들의 gNB, UMTS/LTE/LTE-A/LTE-A Pro의 eNB, 또는 단순히 다른 모바일 통신 표준들의 BS를 지칭한다. 사용자는 정지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 또는 사용자에 연결되는 모바일 또는 정지형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IoT 디바이스들은 물리적 디바이스들, 지상 기반 차량들, 예컨대 로봇들 또는 자동차들, 비행체들, 예컨대 유인 또는 무인 비행체(UAV, unmanned aerial vehicle)들 - 후자는 또한 드론들로 지칭됨 -, 내부에 전자기기들, 소프트웨어,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등이 임베딩되어 있는 빌딩들 및 다른 아이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들이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및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5개의 셀들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하지만, RANn은 더 많거나 더 적은 그러한 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RANn은 또한 단지 하나의 기지국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셀(1062) 내에 있고 기지국(gNB2)에 의해 서빙되며, 사용자 장비(UE)로 또한 지칭되는 2개의 사용자들(UE1 및 UE2)을 도시한다. 다른 사용자(UE3)는 기지국(gNB4)에 의해 서빙되는 셀(1064)에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들(1081, 1082, 및 1083)은 사용자(UE1, UE2 및 UE3)로부터 기지국들(gNB2, gNB4)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들(gNB2, gNB4)로부터 사용자들(UE1, UE2, UE3)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연결들을 개략적으로 표현한다. 이는 면허 대역들 또는 비면허 대역들 상에서 실현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b는 정지형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일 수 있는 셀(1064) 내의 2개의 IoT 디바이스들(1101 및 1102)을 도시한다. IoT 디바이스(1101)는 화살표(1121)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기지국(gNB4)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IoT 디바이스(1102)는 화살표(112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사용자(UE3)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개개의 기지국(gNB1 내지 gNB5)은,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백홀 링크들(1141 내지 114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1b에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 또는 사설 네트워크, 예컨대 인트라넷 또는 다른 유형의 캠퍼스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사설 WiFi 또는 4G 또는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로, 개개의 기지국(gNB1 내지 gNB5)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S1 또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NR의 X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개의 백홀 링크들(1161 내지 1165)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gNB들"을 가리키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1b에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사이드링크 채널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으로 또한 지칭되는 UE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허용한다. 3GPP의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는 PC5로 명명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이 맵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들은,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로 또한 지칭되는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들(PDSCH, PUSCH, PSSCH),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 중 하나 이상, 지원된다면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제어 블록(SLIB)들을 반송하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업링크 제어 정보(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반송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들(PDCCH, PUCCH, PSSCH), 및 PC5 피드백 응답들을 반송하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들(PSFCH)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가 2-스테이지 SCI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이것은 SCI의 일부 부분들을 포함하는 제1 제어 구역, 및 선택적으로는 제어 정보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제어 구역을 지칭한다.
업링크의 경우, 물리적 채널들은, 일단 UE가 동기화했고 MIB 및 SIB를 획득했다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들은 기준 신호들 또는 심볼들(RS), 동기화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시간 도메인에서는 특정한 지속기간을 갖고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주어진 대역폭을 갖는 프레임 또는 라디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의 특정한 수의 서브프레임들, 예를 들어 1ms 서브프레임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P) 길이에 의존하여 12개 또는 14개의 OFDM 심볼들의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또한, 예를 들어, 단축된 송신 시간 간격들(sTTI) 또는 단지 몇몇 OFDM 심볼들만을 포함하는 미니-슬롯/비-슬롯-기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할 때 더 적은 수의 OFDM 심볼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 또는 CP, 예를 들어 DFT-s-OFDM이 있거나 없는 임의의 다른 IFFT-기반 신호와 같은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는 임의의 단일-톤 또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 예를 들어 필터-뱅크 멀티캐리어(FBMC, filter-bank multicarrier), 일반화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GFDM,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유니버셜 필터링 멀티 캐리어(UFMC, universal filtered multi carrier)를 위한 비-직교 파형들과 같은 다른 파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New Radio) 표준, 또는 NR-U(New Radio Unlicensed)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묘사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별개의 오버레이된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각각의 매크로 셀이 기지국(gNB1 내지 gNB5)과 같은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들의 네트워크, 및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들과 같은 소형 셀 기지국들의 네트워크(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부가하여, 또한, 위성들과 같은 지구궤도(spaceborne) 트랜시버들 및/또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들과 같은 공중(airborne)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는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NTN)이 존재한다. 비-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new radio) 표준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예를 들어 LTE 또는 5G/NR과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PC5/PC3 인터페이스 또는 WiFi direct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SL) 채널들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이 존재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은 다른 차량들과 직접 통신(V2V 통신)하는 차량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들, 예를 들어 노변 유닛(RSU)들, 신호등들, 교통 표지판들, 또는 보행자들과 같은 노변 엔티티들과 통신(V2X 통신)하는 차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RSU들은 특정 네트워크 구성에 의존하여 BS 또는 UE들의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UE들은 차량 관련 UE들이 아닐 수 있고, 위에서-언급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또한 SL 채널들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D2D 통신)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2개의 UE들을 고려할 때, UE들 둘 모두는 동일한 기지국에 의해 서빙될 수 있어서, 기지국은 UE들에 대한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 둘 모두는 도 1에 묘사된 기지국들 중 하나와 같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커버리지-내(in-coverage)" 시나리오로 지칭된다. 다른 시나리오는 "커버리지-외(out-of-coverage)" 시나리오로 지칭된다. "커버리지-외"는 2개의 UE들이 도 1에 묘사된 셀들 중 하나 내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UE들이,
-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UE들이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아서, UE들이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도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 및/또는
-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이유들로, 기지국이 UE들에 대한 사이드링크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및/또는
- NR V2X 서비스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는 기지국, 예를 들어 GSM, UMTS, LTE 기지국들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PC5/PC3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2개의 UE들을 고려할 때, UE들 중 하나는 또한 BS와 연결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BS로부터 다른 UE로 정보를 중계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중계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대역-내-중계)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주파수 대역(대역-외-중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경우에서, Uu 상의 그리고 사이드링크 상의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들에서와 같이 상이한 시간 슬롯들을 사용하여 디커플링될 수 있다.
도 2a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2개의 UE들이 둘 모두 기지국에 연결되는 커버리지-내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기지국 gNB는, 도 1에 개략적으로 표현된 셀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원(15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다.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은 제1 UE(152) 및 제2 UE(154)를 포함하며, UE들 둘 모두는 기지국 gNB의 커버리지 영역(150)에 있다. UE들(152, 154) 둘 모두는 기지국 gNB에 연결되며, 부가적으로, 그들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된다. UE들이 개개의 차량들인 경우 V2V 트래픽과 같은 트래픽의 스케줄링 및/또는 간섭 관리는, 기지국과 UE들 사이의 라디오 인터페이스인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gNB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 gNB는 UE들에 대한 SL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를 제공하고, gNB는 사이드링크를 통한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될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차량 통신의 경우, 이러한 구성은 또한, NR V2X에서 모드 1 구성으로 또는 LTE V2X에서 모드 3 구성으로 지칭된다.
도 2b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 중 어느 하나가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지만, 그들이 물리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셀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UE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기지국에 대한 것이지만 기지국이 SL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를 제공하지 않는 커버리지-외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예를 들어,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하는 3개의 UE들(156, 158 및 160)이 도시되어 있다. 트래픽의 스케줄링 및/또는 간섭 관리는 UE들 사이에 구현된 알고리즘들에 기초한다. 차량 통신의 경우, 이러한 구성은 또한, NR V2X에서 모드 2 구성으로 또는 LTE V2X에서 모드 4 구성으로 지칭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버리지-외 시나리오인 도 2b의 시나리오는, 개개의 UE들이 반드시 기지국의 커버리지(150) 외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시나리오는, 개개의 모드 UE들이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지 않거나,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기지국에 연결되지만 기지국으로부터 어떠한 SL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보조도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커버리지 영역(150) 내에서, NR 모드 1 또는 LTE 모드 3 UE들과 같은 UE들(152, 154)에 부가하여, 또한, NR 모드 2 또는 LTE 모드 4 UE들과 같은 UE들(156, 158, 160)이 존재하는 상황들이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a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중계 UE를 사용하는 커버리지-내 UE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gNB와의 직접 통신 대신, UE(152)는 중계 UE(162)와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UE(162)는 gNB와 UE(162) 사이에서 정보를 중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b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중계 UE를 사용하는 커버리지-외 UE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를 들어, UE(160)는 중계 UE(164)와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UE(164)는 gNB와 UE(160) 사이에서 정보를 중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가 차량용 UE들을 예시하지만, 설명된 커버리지-내 및 커버리지-외 시나리오들이 또한 비-차량용 UE에 적용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다시 말하면, SL 채널들을 사용하여 다른 UE와 직접 통신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UE는 커버리지-내 및 커버리지-외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중계 디바이스들 또는 중계 노드들은, 기지국의 셀의 라디오 커버리지 에지들 상에서 발생할 때,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 더 약한 신호 및 더 높은 간섭과 같은 성능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잡음 보정을 적용하고, 새로운 신호를 자체적으로 재송신할 수 있다. 단지 신호를 반복하기보다는, 중계 노드는 또한 신호 품질을 증가시킨다. 4G에 대한 3GPP 규격들에서, UE-네트워크 중계가 특정되었다.
위의 섹션의 정보가 단지 본 발명의 배경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 정보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을 형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위의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송신들을 중계하는 개선들 또는 향상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지상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의 개략적인 표현이며, 여기서 도 1a는 코어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예시하고, 도 1b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일 예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2는 커버리지-내 및 커버리지-외 시나리오들을 개략적인으로 표현하며, 여기서 도 2a는 서로 직접 통신하는 2개의 UE들이 둘 모두 기지국에 연결되는 커버리지-내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표현이고, 도 2b는 UE들이 서로 직접 통신하는 커버리지-외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3은 여러가지 중계 시나리오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며, 여기서 도 3a는 중계 UE가 UE-네트워크 중계부로 동작하는 시나리오를 예시하고, 도 3b는 중계부가 UE-네트워크 중계부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4는 특정한 UE-네트워크 중계 시나리오들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들을 예시하며, 여기서 도 4a는 L2 중계를 위한 프로토콜 스톡을 예시하고, 도 4b는 L3 중계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한다.
도 5는 Uu 인터페이스에 대한 MAC-계층 절차들을 예시한다.
도 6은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때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BSR 포맷들에 대한 일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짧은 포맷은 도 6a에 도시되고, 긴 포맷은 도 6b에 도시된다.
도 7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부에 의해 전송된 정상 또는 정규 BSR 대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조기(early) BSR 개념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 사용자 디바이스들(UE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 및 하나 이상의 중계 UE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예시한다.
도 10은, 종래의 중계 UE가 유사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채널들에 기초하여 종래의 논리 채널 그룹화를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그룹화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그룹화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그룹화를 예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에 대한 RRC 구성을 예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예시한다.
도 16은 다른 종래의 중계 UE가 라디오 베어러들을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및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둘 모두와 연관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RRC 구성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베어러들의 연관을 예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베어러들의 연관을 예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베어러들의 연관을 예시한다.
도 21은 경로 스위칭 동안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BSR에 대한 트리거 기준의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라 설명된 유닛들 또는 모듈들 뿐만 아니라 방법의 단계들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할당받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중계 디바이스들 또는 중계 노드들은, 기지국의 셀의 라디오 커버리지 에지들 상에서 발생할 때, 무선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 더 약한 신호 및 더 높은 간섭과 같은 성능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수신된 신호 또는 송신을 단순히 반복하고 포워딩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중계 노드는 수신된 신호 또는 송신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잡음 정정을 적용하고, 새로운 신호 또는 새로운 송신을 자체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지 신호를 반복하기보다는, 중계 노드는 또한 신호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a는 중계 UE가 UE-네트워크 중계부로서 동작하는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위에서 언급된 중계 디바이스 또는 중계 노드는 사용자 장비(UE)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계 UE로 지칭된다. 도 3a는 목적지(202), 예를 들어 gNB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202a)의 엔티티, 또는 코어 네트워크(202b)의 엔티티,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2c)에 연결될 UE(200)를 예시한다. 송신 엔티티, 소스 또는 원격 UE로 또한 지칭되는 UE(200)와 수신 엔티티로 또한 지칭되는 목적지(202) 사이의 엔드-투-엔드(end-to-end) 통신은 원격 UE에 대한 목적지(202)로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 UE(204)를 사용한다. 원격 UE(200) 및 중계 UE(204)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중계 UE(204) 및 액세스 네트워크(202a)는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R 또는 5G에서, UE-네트워크 중계부에 부가하여, UE-UE 중계부가 지원된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목적지(202)는 다른 UE이다. 도 3b는 중계부가 UE-UE 중계부(204)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원격 UE(200)는 다른 UE(202)에 연결될 것이고, 중계 UE(204)는 목적지 UE(202)로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원격 UE(200) 및 중계 UE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중계 UE 및 다른 UE(202)는 PC5 인터페이스를 또한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중계부일 UE를 예시하지만, 중계부는, 네트워크 연결을 갖고, 원격 UE(200)가 코어 네트워크 또는 다른 UE와 같은 목적지(202)에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중계 엔티티는 그룹 리더 UE, 노변 유닛(RSU), 또는 임의의 모바일 또는 정지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한 중계 엔티티는 리소스들의 스케줄링 등과 같은 일부 기지국 기능을 갖는 중계 노드일 수 있다. 더욱이, 중계부는 또한 전통적인 의미에서 중계 노드, 예를 들어 증폭 및 포워딩(AF) 중계부에서와 같이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 인프라구조 디바이스,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레벨 상에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계층-2(L2) 또는 심지어 계층-3(L3) 상에서 동작하는 디코드-및-포워드 중계부(DF)일 수 있다.
도 4는 개개의 프로토콜 스택들을 예시하며, 여기서 도 4a는 L3 중계를 위한 프로토콜 스톡을 예시하고, 도 4b 및 도 4c는 L2 중계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한다. 도 4에서, 목적지 또는 수신 엔티티가 네트워크 엔티티(202b)인 UE-네트워크 시나리오들이 예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200)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L2 또는 L3 중계부(204)에 연결되며, 이는 결국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a)에 연결된다. L3 중계에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a)는 N3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202b)에 연결되고(도 4a 참조), 원격 UE(200)의 모든 계층들은 중계 UE(204)의 각각의 홉에서 종결(terminate)되며, 그에 의해 시스템의 홉-홉 관리를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L2 중계에서,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202a)는 GPRS 터널 프로토콜(GPT-U)(도 4b 참조)을 통해 또는 N3 네트워크(도 4c 참조)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202b)에 연결되고, 원격 UE(200)의 상위 계층들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202a)에서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CN)(202b)에서 종결되며, 그에 의해 시스템의 엔드-투-엔드 관리를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4의 프로토콜 스택들을 사용하는 UE-2-네트워크-중계를 고려할 때,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관점으로부터, L2 및 L3 중계 사이에는 동작에 원칙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L2 중계에서, 원격 UE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들, 즉 패킷 데이터 제어 프로토콜(PDCP) 계층 및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계층(도 4b 참조) 또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계층(도 4c 참조)이 RAN(202a)에서 종결되기 때문에, 원격 UE(200)는 RAN(202a)에 가시적이다. 그 결과, PDCP-계층에서와 같이 상위 계층들에서, RAN(202b)은 원격 UE(200)에서 발신되는 데이터와 중계부(204)에서 발신되는 데이터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반면에, L3 중계를 적용할 때, 원격 UE(200)는,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들이 홉마다 종결되기 때문에 RAN(202b)에 가시적이지 않다. 그 결과, RAN(202a)의 프로토콜 스택의 상위 계층들조차도 원격 UE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와 중계 UE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사이를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5CG)의 사용자 평면 기능(UPF)에서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202b)에서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서버(202c)에 포워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원격 UE(200)의 식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L2 중계 및 L3 중계 둘 모두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이 각각의 홉에서 종결되므로, MAC-계층 스케줄링의 관점으로부터, RAN(202a)은, 데이터가 원격 UE(200)에 속하는지 또는 그에 발신되는지, 또는 데이터가 중계부(204)에 속하는지 또는 그에서 발신되는지를 알 필요 없이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신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있다. 원격 UE(200)가 PC5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중계 UE(204)에 연결된다고 가정할 때, RAN(202a)은, 예를 들어 중계 UE(204)에서 발신되는 데이터와 원격 UE(200)에서 발신되는 데이터 사이에서 스케줄링 또는 로드 밸런싱에 관한 임의의 최적화를 적용할 수 없다.
Uu 인터페이스에 대한 MAC-계층 절차들은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도 5는 페이징 채널(PCH),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 업링크 공유 채널(UL-SCH),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포함하는 하위 계층들을 예시한다. 상위 계층들은 페이징 제어 채널(P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공통 제어 채널(CCCH),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 뿐만 아니라 MAC-제어를 포함한다. MAC-계층은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들 및 랜덤 액세스를 핸들링한다.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UL) 사용자 평면(UP)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PS) 셋업의 일부로서, UE는 MAC 계층에서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논리 채널들 각각은 구성과 연관된다. 그러한 구성의 파라미터들 중 일부는 파라미터들 priority, prioritizedBitRate 및 bucketsize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가 논리 채널들 중 하나에서 이용가능할 때, UE는 논리 채널마다 트리거링될 수 있는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그러나, 모든 논리 채널에 대해 BSR을 트리거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생성하며, 그 바람직하지 않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UE가 논리 채널마다 요청을 전송할 필요가 없지만 대신에 UE가 논리 채널들의 그룹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논리 채널들을 그룹화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도 6은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때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BSR 포맷들에 대한 일 예를 예시한다. BSR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짧은 포맷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 포맷을 가질 수 있다. BSR 짧은 포맷은 시작부에서, 논리 채널 그룹(LCG) 및 연관된 버퍼 사이즈의 식별을 표시하는 하나의 옥텟을 포함한다. 반면에, BSR 긴 포맷은 복수의 LCG들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다. BSR이 관련되는 개개의 LCG들은 제1 옥텟에서 표시되는 한편, 복수의 추가적인 옥텟들이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제1 옥텟에서 표시된 개개의 LCG들과 연관된 특정한 버퍼 사이즈와 연관된다.
논리 채널들의 그룹화는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RAN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즉 유사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논리 채널들은 위에서 언급된 논리 채널 그룹(LCG)들로 함께 그룹화될 수 있고, 논리 채널 구성은 logicalChannelGroup으로 불리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LCP)는 RAN으로부터 수신된 그랜트(grant)를 위해 업링크에서 상이한 논리 채널들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LCP는 특정한 규칙들에 기초하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다른 종래의 개념은 소위 조기 버퍼 상태 리포트, 즉 조기 BSR이다. 도 7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BSR 대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조기 BSR의 개념을 예시한다. 정상 BSR에서, 원격 UE와 같은 소스는 패킷들 1 내지 4를 중계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중계부는 일단 송신들 1 내지 4가 중계부에서 수신되면, 송신들 1 내지 4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BSR을 목적지에 전송한다. 조기 버퍼 상태 리포트의 개념을 구현할 때, 중계부는, 이미 수신된 송신들 3 및 4에 부가하여, 부가적인 송신들 1 및 2가 소스에서 전송될 예정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중계부는 송신들 3 및 4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송신들 1 및 2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하는 조기 BSR을 트리거링한다. 종래에, 통합 액세스 백홀(IAB)의 맥락에서, 다음의 홉으로부터 또는 기지국과 같은 목적지로부터 중계 노드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때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기 BSR 리포팅이 표준화되고, 조기 BSR은 데이터가 소스로부터 중계 노드에 도달하기 전에도 트리거링되고, 중계부가 소스로부터 수신할 것으로 가정하는 데이터의 예상되는 양에 기초한다.
위의 논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2 및 L3 중계 둘 모두에서, MAC-계층은 각각의 홉에서 종결되어서, MAC-계층 스케줄링의 관점으로부터, RAN(202a)은, 리소스들이 요청되는 데이터가 중계 UE(204) 자체에 속하는지 여부, 즉 중계부에서 발신된 데이터인지 여부, 또는 데이터가 원격 UE(200)에 속하는 실제로 중계된 데이터인지, 즉 원격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어떠한 지식도 갖지 않는다. RAN이 데이터를 중계부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인 것으로 또는 원격 UE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인 것으로 구분할 수 없으므로, RAN(202a)는 또한,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최적화들도 적용할 수 없거나 또는 중계부로부터 비롯된 데이터와 원격 UE로부터 비롯된 데이터 사이에 로드 밸런싱을 적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중계 UE에서 발신된 임의의 데이터는 원격 UE로부터의 데이터보다 덜 중요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출처의 지식이 없다면, RAN은 원격 UE로부터의 또는 중계 UE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어떠한 특정 속성들도 고려하지 않아서, 원격 UE에서 발신된 데이터는 원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핸들링될 수 없다. RAN에서의 가시성 부족의 다른 결점은, 네트워크가 보안 또는 서비스 거부 공격들, 즉 하나 이상의 소위 로그(rogue) 원격 UE로부터의 스퓨리어스(spurious) 송신들에 취약하다는 것일 수 있다. 로그 원격 UE는 중계 UE의 서비스들을 편입(enlist)시키도록 인가받지 않지만,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인가받는다. 프로세스에서, 로그 원격 UE는 또한 중계 UE 데이터가 스케줄링되는 것을 방지하며, 즉 중계 UE가 요구되는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AN이 데이터의 출처를 인식하지 못하면, 그것은 항상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을 스케줄링할 것이다. 그러나, RAN이 원격 UE들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면 그리고 셀 내의 인가된 원격 UE 리스트와 같은 특정 정보가,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주어지면, RAN은 그러한 공격들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위에서 논의된 결점들을 해결하며, 예를 들어, RAN이, 데이터가 원격 UE에서 발신되는지 여부 또는 데이터가 중계 UE에서 발신되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데이터를 핸들링할 수 있도록 중계 U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개선된 핸들링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근법을 제공하며, 그 접근법에 따르면, 중계 UE는 우선순위와 같은 데이터 또는 송신과 연관된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논리 채널들을 더 이상 셋업하지 않고, 오히려 중계 UE는, 예를 들어 중계 UE에서의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이 송신 엔티티들로 또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로부터 중계 UE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반면, 중계 UE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논리 채널들이 중계 UE 자체로부터의 데이터, 즉 중계부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논리 채널들과 연관된 데이터의 출처에 따라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따라서, 그러한 논리 채널들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때, RAN은 리소스들이 중계 UE를 통해 원격 UE로부터 중계될 데이터에 대해 또는 원격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해 요청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된 채널 그룹화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 즉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된 논리 제어 채널들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LCG)들로 그룹화될 수 있어서, 그러한 논리 채널 그룹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때, RAN은 리소스들이 중계 UE를 통해 원격 UE로부터 중계될 데이터에 대해 요청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라디오 베어러들은 원격 UE와 같은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데이터 베어러들은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될 수 있어서, RAN은, 예를 들어 L3 중계의 경우 PDCP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의 특정한 타입 또는 출처와 연관된 개개의 라디오 베어러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들, 및 모바일 단말들 또는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도 1에 묘사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gNB와 같은 송신기(300),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UE)들(302, 304) 및 중계 UE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계 엔티티들(306, 308 및 310)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송신기(300) 및 수신기들(302, 304)은 개개의 라디오 링크들과 같은 개개의 무선 통신 링크들 또는 채널들(310a, 310b, 312a, 312b 및 314a, 314b)을 사용하여 개개의 중계 엔티티들(306, 308, 31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300)는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ANTT) 또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300a) 및 트랜시버(3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커플링된다. 수신기들(302, 304)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ANTUE) 또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302a, 304a), 및 트랜시버(302b, 304b)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커플링된다. 중계 엔티티들(306, 308, 310)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ANT) 또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T)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커플링된다. 기지국(300) 및 UE(302)는 기지국(300)과 중계 엔티티(310) 사이에서 Uu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3GPP 또는 비-3GPP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4b)를 사용하여, 그리고 UE(302)와 중계 엔티티(310) 사이에서 PC5/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4a)를 사용하여 중계 엔티티(3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300) 및 UE(304)는 기지국(300)과 중계 엔티티(308) 사이에서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2b)를 사용하여, 그리고 UE(304)와 중계 엔티티(308) 사이에서 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2a)를 사용하여 중계 엔티티(308)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UE들(302, 304)은 UE(302)와 중계 엔티티(306) 사이에서 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0a)를 사용하여, 그리고 UE(304)와 중계 엔티티(310) 사이에서 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라디오 링크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310b)를 사용하여 중계 엔티티(306)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하나 이상의 UE들(302, 304), 하나 이상의 중계 엔티티들(306 내지 310) 및/또는 기지국(300) 중 임의의 하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교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중계 엔티티는 중계 UE로 지칭된다.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는 중계 U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제공하며,
UE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하고,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논리 채널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LCG)들로 그룹화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을 셋업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된 복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복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들을 논리 채널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LCG)들로 그룹화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 UE는 복수의 논리 채널들 중 특정한 논리 채널들을 이용하여 그리고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과 연관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 중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된다.
● UE는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특정한 논리 채널들에 그리고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에 맵핑한다.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중계 U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제공하며,
UE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하고,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라디오 베어러들이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신호 베어러들은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와 같은 제1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분류된 트래픽을 서빙하고,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베어러들은 비보장 비트 레이트(non-GBR)와 같은 제2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분류된 트래픽을 서빙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은 UE가, 예를 들어 PDCP 계층에서 전달 상태를 제공하게 허용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달 상태 요청에 응답하여, UE는 다음을 획득하기 위해 중계와 연관된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송신 엔티티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링(poll)한다: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의 데이터의 임박한 업링크 송신에 관한 정보,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양의 확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RAN 엔티티와 같은 수신 엔티티를 통해 수신된 식별을 사용하여 특정 UE와 또는 UE들의 결합된 세트와 라디오 베어러를 연관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별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지원되는 특정한 PDU 세션을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 대한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또는 링크 ID 또는 서비스 타입과 연관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엔티티가 UE로부터 다른 중계 UE로 RAN 엔티티에 대한 경로를 스위칭할 때, UE는 UE가 서빙하는 송신 엔티티의 식별과 함께 PDCP 시퀀스 번호(SN)와 같은 PDCP 정보를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며, PDCP 정보는 RAN 엔티티가 다른 중계 UE를 통해 어느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 또는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RAN 엔티티에게 표시한다.
논리 채널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중계 UE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 송신 엔티티들 중 하나에서 발신된 데이터, 또는
● 복수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은 커버리지-내 또는 커버리지-외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 예를 들어,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RRC 구성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과 데이터의 출처의 연관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 예를 들어, UE에서 중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과 데이터의 출처의 연관을 이용하여 미리 구성되며, 예를 들어 표준들에서 특정되거나 UE에 임베딩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LCG 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시그널링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논리 채널로 그리고/또는 LCG로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로 번들링(bundle)된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을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가 논리 채널들 중 하나 이상에서 이용가능할 때, UE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마다 또는 LCG마다 트리거링될 수 있는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사용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의 양이 UE의 송신 버퍼의 사이즈 또는 사이즈의 특정한 백분율과 같은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BSR을 트리거링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 미만일 때, 예를 들어 RLC-계층/PDCP-계층 또는 적응-계층의 송신 버퍼에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논리 채널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 및/또는 LCG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가 조기 BSR 메커니즘과 연관되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며, 여기서 UE는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LCG로 그룹화된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과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들과 연관될 때 조기 BSR을 트리거링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되고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신뢰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요건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특수 요건들과 연관된 논리 채널에 그리고/또는 LCG에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맵핑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다음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된다:
● 논리 채널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 및
●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LCP) 절차와 같은 우선순위화 절차로서, 우선순위화 절차는 UE로 하여금,
o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o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 데이터는 사용자-평면(UP) 데이터를 포함하고, 셋업된 논리 채널들은 전용 트래픽 채널(DTCH)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 데이터는 제어-평면(CP) 데이터를 포함하고, 셋업된 논리 채널들은 전용 제어 채널(DCCH)들, 공통 제어 채널(CCCH)들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엔티티 및 수신 엔티티는 사용자 디바이스(UE), 중계 엔티티,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 또는 정지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그룹 리더(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워치, 또는 운동 추적기,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비행체,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노변 유닛(RSU), 또는 빌딩,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이드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RAN 엔티티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를 제공하며,
RAN 엔티티는 RAN 엔티티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UE)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 엔티티를 통해 하나 이상의 UE들과 통신하고,
중계 엔티티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RAN 엔티티는, 예를 들어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중계 엔티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중계 엔티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RRC 구성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데이터의 출처와 연관되도록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중계 엔티티로서 구성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엔티티는 복수의 논리 채널들 중 특정한 논리 채널들을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중계 엔티티로부터 RAN 엔티티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과 연관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 중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고,
RAN 엔티티는 전달 상태 요청을 중계 엔티티에 전송하고, 전달 상태 요청은 다음을 획득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 하여금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UE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링하게 한다: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의 데이터의 임박한 업링크 송신에 관한 정보,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양의 확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RAN 엔티티는,
● 중계 엔티티에 의해 서빙된 개개의 UE ID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의 식별을 수신하고,
● 수신된 식별들을 사용하여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를 특정 UE와 또는 UE들의 결합된 세트와 연관시킨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RAN 엔티티는,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어느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어느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표시하는 시그널링을,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중계 엔티티로부터 수신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그널링은 논리 채널로 그리고/또는 LCG로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로 번들링된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을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 RAN 엔티티는 수신된 식별들을 사용하여 리소스 할당 또는 관리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 식별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RAN 엔티티는 중계 엔티티를 통해 특정한 PDU 세션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및 UE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또는 링크 ID 또는 서비스 타입을 인식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RAN 엔티티는 중계 엔티티에서 논리 채널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각각을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RAN 엔티티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LCP) 절차와 같은 우선순위화 절차를 구성하여,
●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거나, 또는
●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RAN 엔티티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노변 유닛(RSU), 원격 라디오 헤드, 또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P) -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됨 -.
네트워크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엔티티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RAN 엔티티들, 및
하나 이상의 원격 사용자 디바이스(UE)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은 중계 엔티티를 통해 RAN 엔티티와 통신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UE가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제2 중계 엔티티로 RAN 엔티티에 대한 경로를 스위칭할 때, 제1 중계 엔티티는, 제1 중계 엔티티가 서빙하는 원격 UE ID와 함께 PDCP 시퀀스 번호(SN)와 같은 PDCP 정보를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며, PDCP 정보는 RAN 엔티티가 제2 중계 엔티티를 통해 어느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 또는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RAN 엔티티에게 표시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중계 엔티티 및 제2 중계 엔티티는 동일한 RAN 엔티티에 연결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중계 엔티티는 제1 RAN 엔티티에 연결되고, 제2 중계 엔티티는 제1 RAN 엔티티와 상이한 제2 RAN 엔티티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1 중계 엔티티는 PDCP 정보를 제1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고, 제1 RAN 엔티티는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PDCP 정보를 제2 RAN 엔티티에 포워딩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중계 엔티티가 연결된 RAN 엔티티는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제2 중계 엔티티로 PDCP 정보를 포워딩한다.
방법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UE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UE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RAN 엔티티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UE)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 엔티티를 통해 하나 이상의 UE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중계 엔티티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제 더 상세히 설명되며, 다음의 설명에서, 원격 UE에서 발신되고, 중계 UE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되도록 대기하는 데이터 또는 트래픽을 의미하는 용어들 원격 UE 데이터 또는 원격 UE 트래픽이 사용된다. 또한, UE에서 발신된 데이터 또는 트래픽을 의미하는, 즉 RAN에 송신되도록 대기하고 있는 중계 UE 자신의 데이터 또는 트래픽을 의미하는 용어 중계 UE 트래픽 또는 중계 UE 데이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격 UE 데이터와 중계 UE 데이터 사이의 Uu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케줄링에서 최적화들을 허용한다. 따라서, 원격 UE에서 그리고/또는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RAN에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UL)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예들이 이제 설명된다. 당연히, 송신 엔티티 및/또는 수신 엔티티는 또한 다른 중계부일 수 있다. 또한, 후속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RAN에서 또는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원격 UE에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DL) 시나리오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즉 송신 엔티티는 또한, gNB 또는 다른 중계부와 같은 RAN 엔티티일 수 있고, 수신 엔티티는 원격 UE 또는 다른 U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은, 예를 들어 중계 UE가 BSR을 개시할 때 RAN이 원격 UE 데이터와 중계 UE 데이터 사이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별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중계 UE에서 구성 또는 셋업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논리 채널들은 데이터 또는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하여 셋업될 수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UE)(400)를 예시한다. 사용자 디바이스(UE)(4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40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또는 gNB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404)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한다. 중계 UE(4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404)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중계 UE(400)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도 9에 묘사된 실시예에서, 중계 UE(400)는 원격 UE(402)로부터 데이터(406)를 수신하며, 그 데이터는 아래에서, 원격 UE(402)에서 발신된 데이터 또는 원격 UE 데이터 또는 원격 UE 트래픽으로 또한 지칭된다. 원격 UE 데이터(406)는 중계 UE(400)를 통해 수신 엔티티(404)에 포워딩된다. 부가적으로, 중계 UE는 또한, 수신 엔티티(404)에 송신될 필요가 있는 그 자신의 데이터(408)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데이터는 아래에서, 또한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 또는 중계 UE 데이터 또는 중계 UE 트래픽으로 또한 지칭된다. 410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400)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이 원격 UE 데이터(406)와 연관되는 반면, 실시예들에 따라, 다른 논리 채널들이 중계 UE 데이터(408)와 연관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중계 UE(400)에 의해 수행될 송신을 위해, 중계 UE는 스케줄링 요청, 예를 들어 수신 엔티티(404)에 송신되는 버퍼 상태 리포트(412)를 발행한다. gNB(404)는 중계 UE(400)로부터 gNB(404)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BSR(412)이 원격 UE 데이터(406)와 연관된 특정한 논리 채널들을 표시하므로, gNB(404)는 이제,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원격 UE 데이터(406)와 중계 UE 데이터(408)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400)가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할 때, 그것은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LCG)들로 그룹화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논리 채널들의 그룹화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한다. 411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400)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이 원격 UE 데이터(406)와 연관된 LCG로 그룹화되는 반면, 실시예들에 따라, 원한다면, 다른 논리 채널들이 중계 UE 데이터(408)와 연관된 LCG들로 그룹화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중계 UE(400)에 의해 수행될 송신을 위해, 중계 UE는 스케줄링 요청, 예를 들어 수신 엔티티(404)에 송신되는 버퍼 상태 리포트(412)를 발행한다. gNB(4040)는 중계 UE(400)로부터 gNB(404)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BSR(412)이 원격 UE 데이터와 연관된 특정한 논리 채널 그룹들을 표시하므로, gNB(404)는 이제,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원격 UE 데이터(406)와 중계 UE 데이터(408)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다음에서,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을 셋업, 설정 또는 구성하는 실시예들이 계층 2(L2) 중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래픽의 출처, 즉 트래픽 또는 데이터가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인지 또는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인지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을 설정하는 것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로부터의, 예를 들어, gNB(404)로부터의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RAN은 어느 논리 채널들이 중계와 연관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룹화가 유사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채널들에 의존하는 종래의 접근법들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논리 채널들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도록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한다. 이는 RAN이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및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을 별개로 해결하게 허용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논리 채널은 오직 하나의 원격 UE로부터의 원격 데이터 또는 트래픽과 연관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논리 채널은 UE 그룹과 같은 하나 초과의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트래픽과 연관되거나 그들을 반송할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중계 UE가 특정한 우선순위와 연관된 논리 채널들을 전통적으로 셋업하고, 유사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셋업된 채널들에 기초하여 종래의 논리 채널 그룹화를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0에서, 라디오 링크 제어(RLC) 채널들 및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2개의 채널들을 갖는 중계 UE가 가정된다. RLC 채널들은 RLC 비확인응답 모드 채널(RLC UM 1) 및 RLC 확인응답 모드 채널(RLC AM 2)을 포함한다. 논리 채널들은 전용 트래픽 채널(DTCH 1)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 2)을 포함한다. 도 10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RLC 채널들(RLC UM 1 및 RLC AM 2)은 둘 모두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및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과 연관되며, 즉 중계 UE에서 이용가능한 임의의 데이터는 데이터 또는 트래픽의 출처에 관한 어떠한 구별 없이 RLC 채널들과 연관된다. 종래의 접근법에 따르면,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은 개개의 RLC 채널들에 포함된 데이터 또는 트래픽의 유사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 그룹(LCGx)으로 그룹화된다.
도 10의 종래의 중계 UE는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버퍼 상태 리포트(BSR)와 같은 BSR을 전송함으로써 중계 및 원격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다. BSR을 수신할 때,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gNB와 같은 수신 엔티티는 중계 UE 트래픽과 원격 UE 트래픽 사이의 트래픽을 구별하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으며, 오히려 gNB(404)는 중계 UE로부터 오는 트래픽만을 본다.
본 발명은 그러한 종래의 접근법과 연관된 임의의 문제들 또는 결점들을 회피한다.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개개의 채널들을 셋업하기보다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는 트래픽의 출처, 즉 트래픽이 원격 UE의 출처들로부터 오는지 또는 중계 UE의 출처들로부터 오는지에 의존하여 채널들을 셋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채널 셋업을 예시하며, 더 구체적으로, 도 11a는 발신 트래픽이 원격 UE로부터의 것인지 또는 중계 UE(400)로부터의 것인지에 기초하여 중계 UE(400)가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거나 설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도 11b는 중계 UE(400)로부터 gNB와 같은 수신 엔티티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중계 UE(4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짧은 포맷 BSR을 도시하고, 도 11c는 긴 포맷 BSR을 예시한다. 도 11에서, 중계 UE(400)는 RLC 채널들(RLC UM 1, RLC AM 2, RLC UM 3, RLC AM 4)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 1, DTCH 2, DTCH 3, DTCH 4)을 포함하는 4개의 채널들로 구성된다고 가정된다.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르면, UE(400)는 논리 채널들 각각이 단일 원격 UE에서 발신된 트래픽 또는 중계 UE(400)에서 발신된 트래픽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되도록 논리 채널들을 셋업한다. 더 구체적으로,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은 각각 단일 원격 UE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되는 반면, 논리 채널들(DTCH 3 및 DTCH 4)은 중계 UE(400)에서 발신된 트래픽과 연관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UE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트래픽과 연관된 논리 채널들, 즉 DTCH 1 및 DTCH 2는 논리 채널 그룹(LCG4)으로 그룹화되는 반면, 다른 논리 채널들(DTCH 3 및 DTCH 4)은 그룹화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또한, 중계 UE 트래픽과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3 및 DTCH 4)은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 그룹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BSR을 예시하며, 이는 각각의 포맷의 제1 옥텟에서, 원격 UE 트래픽과 연관된 LCG가 되도록 RAN에 의해 구성되었던 논리 채널 그룹(LCG4)을 표시한다. LCG4의 표시를 BSR에 포함함으로써, RAN은 요청된 리소스들이 원격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즉 RAN은 LCG4가 원격 UE 트래픽과 연관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논리 채널은 하나 초과의 원격 UE에 대한 트래픽과 연관될 수 있고, 도 12는 다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트래픽을 하나의 논리 채널로 결합하는 논리 채널 그룹화에 대한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2a는 중계 UE(4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12b 및 도 12c는 gNB로부터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중계 UE(400)에 의해 사용되는 짧은 포맷 및 긴 포맷 BSR들을 예시한다. 도 12는, RLC 채널들(RLC UM 1 및 RLC AM 2) 각각이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406)으로 도면에서 지칭되는 하나 초과의 원격 UE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과 유사하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과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1)은 RAN 구성에 의해 논리 채널 그룹(LCG4)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c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LCG4를 BSR에서 표시함으로써, RAN은 LCG4가 원격 UE 트래픽과 연관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도 13은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한 셋업된 메커니즘의 상이한 조합들을 예시하는 본 발명의 접근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3은 6개의 RLC 채널들(RLC UM 1, RLC AM 2, RLC UM 3, RLC AM 4, RLC UM/AM 5 및 RLC UM/AM 6) 및 논리 채널들(DTCH 1 내지 DTCH 6)을 이용하여 구성된 중계 UE(400)를 예시한다. RLC 채널들 모두는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어, 논리 채널들(DTCH 1 내지 DTCH 6) 각각이 또한 원격 UE 데이터와 연관된다. 묘사된 실시예에 따르면, RLC 채널들(RLC UM 1 및 RLC AM 2)은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으로 도면에서 지칭되는 하나 초과의 원격 UE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되고,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은 논리 채널 그룹(LCGi)으로 결합 또는 그룹화될 수 있다. RLC 채널들(RLC UM 3 및 RLC AM 4)은 둘 모두 오직 단일 원격 UE만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고,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3 및 DTCH 4)은 논리 채널 그룹(LCGj)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RLC 채널(RLC UM/AM 5)은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되고, RLC 채널(RLC UM/AM 6)은 단일 원격 UE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5 및 DTCH 6)은 논리 채널 그룹(LCGk)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논리 채널 그룹화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명확하게, 2개 초과의 논리 채널들은 채널 그룹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논리 채널은 단일 원격 UE로부터의 데이터와 또는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논리 채널을 셋업하거나 논리 채널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종래의 절차들은 RLC 계층, 및 MAC 계층 내의 대응하는 논리 채널들이 중계 UE로부터의 트래픽과 원격 UE로부터의 트래픽 사이를 구별하게 허용하지 않아서, 중계 UE가 BSR을 트리거링할 때, RAN은 또한 중계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와 원격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 사이를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트래픽 또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을 셋업할 때, 중계 UE(400) 및 gNB와 같은 RAN 둘 모두의 프로토콜 스택은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과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와 연관된 논리 채널들에는 특정한 식별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이 BSR에 포함될 때, RAN은 리소스들에 대한 요청이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는, 예를 들어 RRC 구성에 의해 논리 채널들 및 논리 채널 그룹들의 연관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RRC 구성에 대한 실시예는, 논리 채널이 원격 UE 트래픽을 반송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밑줄친 정보 엘리먼트(IE)를 포함하는 논리 채널에 대한 RRC 구성을 예시하는 도 14에 예시된다. 다시 말하면, 도 14에 예시된 IE에 의해, 논리 채널 구성은 중계 UE 트래픽과 연관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이들 논리 채널들에서 반송되는 데이터가 원격 UE 트래픽이라는 것을 중계 UE 및 RAN의 MAC 계층이 인식하게 하고, 그에 의해 RAN이,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절차에서 최적화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와 연관된 논리 채널들 또는 논리 채널 그룹들의 리스트가 다른 RRC 정보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UE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제, 도 9와 유사하고,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gNB(404)와 같은 RAN 엔티티가 프로토콜 스택에서 이용되는 라디오 베어러들에 기초하여 중계 UE(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원격 UE 데이터(406) 및 중계 데이터(408)로 분류하게 허용하는 중계 UE를 예시하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UE(400)는 원격 UE(402)와 gNB(404)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 또는 중계 UE로서 작동하고 있으며, 그것은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셋업되는 라디오 베어러들을 사용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UE 트래픽(406)은, 적응 계층이 SDAP 계층 위에 있기 때문에 중계 기능과 연관된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DRB) 또는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SRB)와 같은 라디오 베어러에 맵핑될 수 있다. 그러한 맵핑의 결과, 원격 UE 트래픽(406)은 또한 RAN, 예를 들어 gNB(404)의 PDCP 계층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및 제2 실시예들은 결합될 수 있으며, 즉 중계 UE(400)는 블록(410)에 의해 도 15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논리 채널(LC)들 둘 모두를 이용하고, 데이터의 출처에 대해 셋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오 베어러들은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셋업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는 것은 MAC 계층에서 원격 UE 트래픽(406)과 중계 UE 트래픽(408) 사이를 구별하는 것을 지원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LC들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LCG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6은 SDAP 채널들(SDAP 1 및 SDAP 2), PDCP 채널들(PDCP 1 및 PDCP 2), RLC 채널들(RLC UM 1 및 RLC AM 2) 및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을 포함하는 2개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종래의 중계 UE를 예시한다. 라디오 베어러들은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및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둘 모두와 연관된다. 서비스 품질(QoS) 흐름은 중계부(400)에서 또는 원격 UE(402)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신된 개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들을 포함하고, 중계 UE(400)의 SDAP-계층에서 수신된다. PDCP-계층 내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수신된 트래픽의 출처와 독립적으로 상이한 채널들에 대해 셋업되며, 개개의 RLC 채널들은 개개의 논리 채널들(DCTH 1 및 DTCH 2)에 맵핑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여 L2 중계에 대해 설명된 종래의 접근법과 유사하게, 또한 L3 중계에서, BS(404)와 같은 RAN 엔티티는 원격 UE 데이터(406)와 중계 UE 데이터(408) 사이의 트래픽을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추가적인 종래의 접근법들에 따르면, PDCP-계층에서 데이터 베어러들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사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RAN에 의해 논리 채널 그룹(LCGx)으로 그룹화될 수 있고, 논리 채널 그룹에 대해, 리소스들은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짧은 포맷 또는 긴 포맷 중 어느 하나로 BSR을 전송함으로써 송신을 위해 RAN으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의 접근법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셋업되어, 예를 들어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은 원격 UE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중계 UE로부터 발신된 데이터에 대해 셋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래픽의 출처에 의존하여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것에 부가하여,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한 논리 채널 그룹화 접근법이 또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400)는, 예를 들어 RAN으로부터 수신된 RRC 구성에 의해 데이터의 출처에 의존하여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계 UE(400)에서 라디오 베어러들을 구성하기 위한 RRC 구성의 일 예는 라디오 베어러 아이덴티티를, 예를 들어 원격 UE 트래픽(406)과 연관시키기 위해 밑줄친 정보 엘리먼트(IE)들을 사용하는 RLC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구성을 예시하는 도 17에 예시된다. 파라미터 remoteUEIDsAssociated는 L3 중계의 경우에만 적용가능할 수 있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은 RRC 구성에 의해, 라디오 베어러는 중계 트래픽과 연관된다. 이는 gNB(404)와 같은 RAN 엔티티가 그것이 중계 UE로부터 수신하는 트래픽을 구별하게 허용하며, 이는 결국, 스케줄링 절차에서 최적화들을 수행하게 허용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400)가 또한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 그룹화를 구현할 때, 도 17에 예시된 RRC 구성은 도 14 및 도 17의 정보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 및 논리 채널 구성을 중계 트래픽과 연관시키기 위해 도 1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RRC 구성과 함께 이용된다.
도 18은 일 실시예를 예시하며, 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개개의 단일 원격 UE들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다. 도 16에 예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접근법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410)이 PDCP-계층에서 셋업되어, 제1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는 제1 UE로부터 발신된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4061)과 연관되는 반면, 다른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개개의 다른 단일 UE들로부터의 원격 UE 데이터(406n)와 연관되며, 즉 각각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는 하나의 원격 UE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다. gNB(404)와 같은 RAN 엔티티가 라디오 베어러 구성을 인식하므로, gNB(404)는 중계부에서 발신된 트래픽과 원격 UE들에서 발신된 트래픽 사이의 트래픽을 구별할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중계 UE 트래픽(408)과 연관된다. 트래픽은 도 1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개개의 논리 채널들(DTCH 1 내지 DTCH 4)과 연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계 UE는 논리 채널 단위 기반으로 논리 채널과 연관된 트래픽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으며, 즉 BSR이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해 송신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논리 채널 그룹화가 또한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논리 채널들은 데이터의 출처에 의존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은 원격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된 논리 채널 그룹(LCG4)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중계 UE(400)는 그것이 제1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논리 채널 그룹 기반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UE는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BSR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며, 그 실시예에 따라, PDCP-계층 내의 개개의 라디오 베어러들(410)은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406)과 연관되고, 이는 각각의 라디오 베어러가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는 도 18과 같이 4개의 채널들을 예시하며, 데이터는 중계부로부터 또는 원격 UE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다. 제1 수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이 PDCP-계층에서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결합된 원격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으로 또한 지칭되는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원격 UE 데이터(406)와 연관되는 반면, 복수의 다른 데이터 베어러들은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408)과 연관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400)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 단위 기반으로 BSR을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논리 채널(DTCH 1 내지 DTCH 4)에 대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고, RAN 엔티티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의 알려진 구성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한 논리 채널 그룹화가 이용될 수 있고, 중계 UE(400)는 그것이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1 및 DTCH 2)을 BSR에서 표시될 수 있는 논리 채널 그룹(LCG4)으로 결합 또는 그룹화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3과 유사하게 트래픽의 출처에 기초한 그룹화 메커니즘의 상이한 조합들의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르면,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410)은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 및/또는 원격 UE 트래픽과 연관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논리 채널 그룹화를 부가적으로 적용할 때,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 수신된 트래픽과 연관되는 데이터 채널들(DTCH 1 및 DTCH 2)을 결합하는 논리 채널 그룹(LCGi)과 같은 상이한 논리 그룹들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채널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다른 방식은 개개의 단일 원격 UE들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3 및 DTCH 4)을 논리 채널 그룹(LCGj)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된 논리 채널들(DTCH 5)과 하나의 UE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된 논리 채널(DTCH 6)을 논리 채널 그룹(LCGk)으로 그룹화함으로써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UE로부터 그리고 복수의 UE들로부터의 트래픽을 채널 그룹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은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구성되거나 셋업되며, 중계 UE(400)의 PDCP-계층에서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를 하나의 UE 또는 UE들의 하나의 그룹과 연관시킬 때, 트래픽이 원격 UE 트래픽이라는 것이 알려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트래픽이 어느 원격 UE 또는 어느 원격 UE들의 그룹에 속하는지가 알려진다.
따라서, gNB(404)와 같은 RAN은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 또는 데이터, 즉 L3-중계를 위해 PDCP-계층에서도 원격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와 중계 UE 데이터 또는 트래픽 사이를 구별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RAN이 방해 데이터 또는 트래픽, 즉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 또는 트래픽에 대해 발견하기 위해 전달 상태 리포트를 시그널링하게 허용한다. 그러한 전달 상태 리포트를 수신할 때, 중계 UE(400)는 방해 트래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중계 UE(400)에서 셋업된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폴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업링크 상황과 유사하게, 또한 다운링크 통신의 경우, 즉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원격 UE들을 향한 데이터 또는 트래픽이 존재할 때, 전달 상태는 특정한 양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확인을 개개의 원격 UE들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의 다운링크 송신에 후속하여, gNB(400)는 전달 상태 요청을 중계 UE(4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중계 UE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피드백이 gNB(404)에 제공될 수 있도록 특정한 양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개개의 원격 UE들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UE들 각각을 폴링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 UE(402)에 대한 UE ID와 같은 알려진 식별은 데이터의 출처에 의존하여 개개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로 원격 UE를 구성할 때 이용될 수 있어서, UE ID를 사용하여, L3 중계의 경우, RAN은 또한 어느 원격 UE가 PDCP에서 이용가능한지를 알게 되며, 즉 gNB(404)와 같은 RAN은 원격 UE 트래픽과 중계 UE 트래픽 사이를 구별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트래픽을 제공하는 실제 원격 UE가 식별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원격 UE 트래픽을 구별한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RAN은, 위에서 언급된 전달 상태 요청을 전송할 때, 리포트가, 예를 들어 UE ID를 사용하여 요청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원격 UE들과 연관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UE ID를 사용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따르면, PDU 세션은 원격 UE(402)에 대해 중계 UE(400)에서 설정될 수 있고, 중계 UE(400)는 원격 UE 리포트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PDU 세션을 위한 세션 관리 기능(SMF)에 전송한다. 원격 UE 리포트는 원격 사용자 ID 및 원격 U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ID는 중계 UE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원격 UE 사용자의 아이덴티티이며, 원격 UE 정보는 5GC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원격 UE를 식별하는 것을 보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PDU 세션 타입의 경우, 원격 UE 정보는 원격 UE IP 정보이다. 반면에, 이더넷 PDU 세션 타입의 경우, 원격 UE 정보는 UE-네트워크 중계부(400)에 의해 검출된 원격 UE MAC 어드레스이다. 구조화되지 않은 PDU 세션 타입의 경우, 원격 UE 정보는 PDU 세션 ID를 포함한다. SMF는, 예를 들어 중계부와 연관된 이러한 PDU 세션에 대한 ProSe 5G UE-네트워크 중계 맥락으로 원격 UE ID들 및 이용가능하다면, 원격 UE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SMF는 저장된 UE ID 및 이용가능하다면, 저장된 UE 정보를 gNB(404)와 같은 RAN에 전송할 수 있어서, RAN은 어느 원격 UE들이 특정한 PDU 세션에 의해 서빙되는지를 인식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UE ID는 중계 UE(400)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고, UE 중계부(400)는 UE ID 및 이용가능하면, UE 정보를 gNB(404)와 같은 RAN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RAN은 UE ID/UE 정보와 QoS 프로파일/링크 ID/서비스 타입의 조합을 인식한다.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RAN에 제공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RAN은 DRB를 특정 UE와 또는 원격 UE들의 결합된 세트 또는 원격 UE들의 그룹과 연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RAN은 PDCP-계층에서의 원격 UE 트래픽을 인식한다. 다시 말하면, RAN의 PDCP-계층에서의 원격 UE 트래픽에 대한 인식은 하나 이상의 특정 원격 UE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 또는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 즉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의 트래픽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DRB들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정보는 여분의 층 레벨 상에서의 서비스 연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경로 스위칭 절차 동안 사용된다. 도 21은 경로 스위칭 동안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도 21a 및 도 21b는 RAN-내(Intra-RAN) 경로 스위칭을 예시하는 반면, 도 14c 및 도 14d는 RAN-간(Inter-RAN) 경로 스위칭을 예시한다.
도 21a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과 같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202b)에 연결될 원격 UE(402)를 예시한다. 가능하다면 직접 Uu 연결이 설정되지만, 그러한 직접 Uu 연결이 가능하지 않을 때, UE-네트워크 중계부(400)를 통한 간접 Uu 연결이 설정되어, 원격 UE는 PCF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계 UE에 연결되는 반면, 중계 UE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404)에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202b)에 연결된다. 중계 UE(400)와 원격 UE(402) 및/또는 RAN(404) 사이의 연결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없거나 또는 다른 이유들 때문에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원격 UE(402)를 상이한 중계 UE(404')를 통해 RAN(404)에 연결시키기 위해 RAN-내 경로 스위칭이 개시될 수 있다. 도 2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400) 대신에, 예를 들어 원격 UE(402)를 RAN(404)을 통해 UPF(202b)에 연결시키기 위한 더 양호한 채널 상태들을 갖는 새로운 중계 UE(400')가 선택될 수 있다.
도 21c는 시나리오를 예시하며, 그 시나리오에 따라, 원격 UE(402)는 UPF(202b)에 연결되고, 제1 RAN(404a)을 통한 직접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직접 연결은 원격 UE(402)와 UPF(202b) 사이의 통신을 위한 특정한 요건들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서, 중계 UE(400)를 통한 간접 연결이 이용된다. 도 21c의 시나리오에서, 중계 UE(400)는 상이한 RAN(404b)을 통해 UPF(202b)에 연결된다. 중계 UE(400)를 통한 원격 UE(402)와 UPF(202b) 사이의 링크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2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중계 UE(400')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새로운 중계 UE(400)는 제1 RAN(404a)을 통해 UPF(202b)에 연결되어, 중계 UE(400)로부터 중계 UE(400')로 변경될 때 RAN-내 경로 스위칭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격 UE(402)가 사용될, 즉 하나의 UE로부터 네트워크 중계부(400)로 변경할 중계 UE를 다른 중계부(400')로 재선택할 때, 제1 중계 UE(400)는 중계 UE(400)가 서빙했던 원격 UE ID와 함께 PDCP 정보, 예를 들어 PDCP 시퀀스 번호(SN), 또는 SN Status transfer 및 End marker와 같은 다른 정보를 RAN(404)에 포워딩하여, RAN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단 없이 서비스를 끊김없이 계속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부(400)로부터의 PDCP 정보는 RAN이 새로운 중계부(400')를 통해 어느 패킷들을 수신하거나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RAN에게 표시할 수 있다.
RAN-내 경로 스위치의 경우, 다음의 2개의 시나리오들이 존재한다:
(a) 원격 UE(402)는 중계부(400)를 통하여 간접 Uu 경로를 통해 RAN(404)에 연결되고(도 21a 참조), 이어서, 동일한 RAN(404)에 대한 직접 Uu 경로로 재선택하기로 결정하거나, 그 반대를 결정하며, 즉 원격 UE(402)는 직접 Uu 경로로부터 간접 Uu 경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b) 원격 UE(402)는 중계부(400)를 통하여 간접 Uu 경로를 통해 RAN(404)에 연결되고(도 21b 참조), 이어서, 동일한 RAN(404)에 대한 중계부(400')를 통한 다른 간접 경로로 재선택하기로 결정하거나, 그 반대를 결정하며, 즉 원격 UE(402)는 중계부(400')를 통한 간접 Uu로부터 중계부(400)를 통한 간접 Uu로 스위칭할 수 있다.
위의 (a) 및 (b) 시나리오들 둘 모두에서, RAN-내 경로 스위치의 경우, 중계부(400)는 PDCP 정보를 RAN(404)에 포워딩한다. 이어서, RAN(404)은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즉 액세스 층(AS) 계층에서 패킷 손실이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수정들을 수행한다.
RAN-간 경로 스위치의 경우, 다음의 2개의 시나리오들이 또한 존재한다:
(a) 원격 UE(402)는 중계부(400)를 통하여 간접 Uu 경로를 통해 RAN(404)에 연결되고(도 21c 참조), 이어서, 상이한 RAN(404')에 대한 직접 Uu 경로로 재선택하기로 결정한다.
(b) 원격 UE(402)는 중계부(400)를 통하여 간접 Uu 경로를 통해 RAN(404)에 연결되고(도 21d 참조), 이어서, 상이한 RAN(404')에 대한 중계부(400')를 통한 다른 간접 Uu 경로로 재선택하기로 결정하거나, 그 반대를 결정하며, 즉 원격 UE(402)는 400'를 통한 간접 Uu로부터 중계부(400)를 통한 간접 Uu 경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위의 시나리오들 (a) 및 (b) 둘 모두에서, RAN-간 경로 스위치의 경우, 중계 UE(400)는 대응하는 PDCP 정보를 RAN(404)에 포워딩하며, 이어서 RAN(400)은 이러한 정보를, 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RAN(404')에 포워딩한다. 이어서, RAN(404')은 AS 계층에서 패킷 손실이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수정들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동적 트래픽 핸들링을 허용한다.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RAN은, 리소스들을 논리 채널에 할당하기 위해, 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리소스들을 상이한 논리 채널들에 할당하기 위해 LCP 절차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논리 채널들 각각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우선순위는 우선순위의 레벨을 표시하는 특정한 수와 연관되며, 더 높은 수들은 더 낮은 우선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접근법들은 또한 논리 채널들의 그룹화가 우선순위 값들에 기초하도록 제안하며, 즉 유사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채널들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근법을 고려할 때, 논리 채널들을 원격 UE 트래픽에 대한 그리고 중계 UE 트래픽에 대한 그룹들로 그룹화할 때, 논리 채널들의 각각의 그룹은 상이한 우선순위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UE 트래픽 그룹은 우선순위들(1, 4)과 연관된 트래픽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원격 UE 트래픽 그룹은 우선순위들(1, 2 및 5)과 연관된 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LCP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들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즉 초기에 LCP는 우선순위 1로 채널들을 스케줄링하고, 이어서 우선순위들 2, 4 및 5로 채널들을 스케줄링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르면, RAN은 이제, 로드 밸런싱 또는 최적화의 목적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원격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와 중계 UE 트래픽 또는 데이터 사이를 구별하는 관점들에서 부가적인 자유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RAN은, 초기에 원격 UE 트래픽이 스케줄링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LCP 절차를 구성할 수 있어서, LCP 절차는, 초기에, 연관된 우선순위들(1, 4)을 갖는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고, 뒤이어 연관된 우선순위들(1, 2, 5)을 갖는 중계 UE 트래픽에 대해 스케줄링함으로써 원격 UE 트래픽에 대해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수정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LCP 절차는 반대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즉 초기에, 중계 UE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고, 뒤이어 원격 UE 트래픽을 스케줄링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격 UE(400)는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사용하여 RAN으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할 수 있다. BSR에 대한 새로운 트리거 메커니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제 설명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BSR에 대한 트리거 기준의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BSR에 대한 트리거 기준에 대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500에서, RLC 계층의 원격 UE 데이터는 MAC 계층 또는 MAC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하게 된다. 원격 UE 데이터는 단일 원격 UE로부터의 원격 UE 데이터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결합된 원격 UE 데이터, 즉 복수의 원격 UE들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또는 트래픽일 수 있다. 502에서, MAC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특정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그에 도달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데이터 양이 이러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데이터는 RLC-계층 또는 PDCP-계층 또는 적응 계층에 위치될 수 있는 송신 버퍼에 버퍼링된다. 일단 MAC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원격 UE(400)는 506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BSR을 트리거링한다. 따라서, 도 22a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RLC 채널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RA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특정한 임계치를 초과할 때 BSR이 트리거링된다(506). 이는, 특정한 시나리오에서, 예를 들어 결합된 원격 UE 트래픽의 경우, 원격 UE 트래픽의 전부가 이용가능할 때만 또는 원격 UE들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의 트래픽이 송신 버퍼의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 중계 UE(400)가 RAN으로의 송신을 개시한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의미한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BSR에 대한 트리거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22a와 유사하게, 500에서, RLC-계층의 원격 데이터가 MAC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하게 된다. 508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조기 BSR과 연관된 논리 채널에 맵핑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것이 참(true)이 아닌 경우, 510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정규 BSR 절차가 트리거링되고, 그렇지 않고 데이터가 조기 BSR과 연관된 논리 채널에 맵핑된 경우, 51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조기 BSR이 트리거링된다. 도 22b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 요건들을 갖는 원격 UE들의 데이터 패킷들이 특정한 논리 채널에 맵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낮은 지연 요건들을 갖는 데이터 또는 트래픽은 특정한 논리 채널에 맵핑될 수 있는 반면, 높은 견고성 제약들과 연관된 데이터는 또는 트래픽은 상이한 논리 채널에 맵핑된다. 따라서, 중계 UE(400)는, 예를 들어 위에서-언급된 특수 요건들과 연관되는 논리 채널을 연관시키는 것이 조기 BSR 메커니즘과 항상 연관되게 함으로써 개개의 데이터 또는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어서, 데이터가 이들 논리 채널에서 이용가능한 경우, 조기 BSR 메커니즘이 트리거링된다. RAN은 조기 BSR 메커니즘과 연관된 그러한 논리 채널을 이용하여 중계 UE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2c는 도 22a 및 도 22b의 실시예들을 결합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초기에, RLC-계층의 원격 UE 데이터는 500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MAC 엔티티에서 이용가능하게 되고, 502에서,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임계치가 초과되지 않는 경우, 50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버퍼링된다.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508에서, 데이터가 조기 BSR과 연관된 논리 채널 그룹에 맵핑되는지 여부가 결정되어, 결과에 의존하여, 정규 BSR(510) 또는 조기 BSR(512)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일반
본 발명의 접근법의 개개의 양상들 및 실시예들이 별개로 설명되었지만, 양상들/실시예들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양상들/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개념은 원격 UE에서 또는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RAN에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UL)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며, 즉 송신 엔티티는 원격 UE이고, 수신 엔티티는 gNB와 같은 RAN 엔티티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UL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는 원격 UE보다는 추가적인 중계 UE에서 발신될 수 있어서, 송신 엔티티는 또한 추가적인 중계 UE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은 RAN 엔티티보다는 추가적인 중계 UE를 향할 수 있어서, 수신 엔티티는 또한 중계 UE가 된다.
본 발명은 위의 UL 시나리오로 제한되지 않지만, RAN에서 또는 중계 UE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원격 UE에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DL) 시나리오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즉 송신 엔티티는 gNB와 같은 RAN 엔티티이고, 수신 엔티티는 원격 UE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DL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는 RAN보다는 추가적인 중계 UE에서 발신될 수 있어서, 송신 엔티티는 또한 추가적인 중계 UE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은 원격 UE보다는 추가적인 중계 UE를 향할 수 있어서, 수신 엔티티는 또한 중계 UE가 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또는 비-지상 네트워크, 또는 공중 차량 또는 지구궤도 차량을 수신기로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세그먼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전력-제한 UE, 또는 보행자에 의해 사용되고, 취약한 도로 사용자(Vulnerable Road User: VRU) 또는 보행자 UE(P-UE)로 지칭되는 UE와 같은 핸드-헬드 UE, 또는 공공 안전 요원에 의해 사용되고 공공 안전 UE(PS-UE)로 지칭되는 온-바디(on-body) 또는 핸드-헬드 UE, 또는 IoT UE, 예를 들어 반복적인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캠퍼스 네트워크에서 제공되고 주기적인 간격으로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입력을 요구하는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UE, 모바일 단말, 또는 정지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차량 그룹 리더(GL) UE, 또는 사이드링크 중계부,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워치, 또는 운동 추적기,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비행체,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노변 유닛(RSU), 또는 빌딩,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이드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엔티티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노변 유닛(RSU), 또는 원격 라디오 헤드, 또는 AMF, 또는 MME,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엔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콘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P) -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됨 -.
설명된 개념의 일부 양상들이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들 양상들이 또한 대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표현한다는 것은 명확하며, 여기서, 블록 또는 디바이스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부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양상들은 또한, 대응하는 장치의 대응하는 블록 또는 항목 또는 특징부의 설명을 표현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들을 사용하는 하드웨어로,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에 의한 명령들의 실행을 통해 소프트웨어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3은 컴퓨터 시스템(6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유닛들 또는 모듈들 뿐만 아니라 이들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6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602)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구조(6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메인 메모리(606), 예를 들어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및 2차 메모리(608),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착탈형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2차 메모리(608)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다른 명령들이 컴퓨터 시스템(600)에 로딩되게 허용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600)과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달되게 허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는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다른 신호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 광섬유들, 폰 라인, 셀룰러 폰 링크, RF 링크 및 다른 통신 채널들(612)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착탈형 저장 유닛들과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은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시스템(60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으로 또한 지칭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메인 메모리(606) 및/또는 2차 메모리(6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600)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602)가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600)의 제어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착탈형 저장 드라이브, 통신 인터페이스(6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컴퓨터 시스템(600)에 로딩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의 구현은, 개개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제어 신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클라우드 저장소,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제어 신호들을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동작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들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상부에 기록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 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적응되는 프로세싱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바람직하게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대해 예시적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배열들 및 세부사항들의 수정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는 것을 이해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설명 및 해설에 의해 제시된 특정 세부사항들이 아니라 임박한 특허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4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로서,
    상기 UE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하고,
    상기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상기 복수의 논리 채널들을 논리 채널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LCG)들로 그룹화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시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을 셋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을 상기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시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된 복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논리 채널들을 논리 채널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LCG)들로 그룹화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UE는 상기 복수의 논리 채널들 중 특정한 논리 채널들을 이용하여 그리고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과 연관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 중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고,
    ● 상기 UE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상기 특정한 논리 채널들에 그리고 상기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에 맵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로서,
    상기 UE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 엔티티로서 작동하고,
    상기 UE는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상기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로부터의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라디오 베어러들이 상기 UE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상기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신호 베어러들은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와 같은 제1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분류된 트래픽을 서빙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베어러들은 비보장 비트 레이트(non-GBR)와 같은 제2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분류된 트래픽을 서빙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와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은 상기 UE가, 예를 들어 PDCP 계층에서 전달 상태를 제공하게 허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전달 상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의 데이터의 임박한 업링크 송신에 관한 정보, 및/또는
    ●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양의 확인
    을 획득하기 위해 중계와 연관된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상기 송신 엔티티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링(poll)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RAN 엔티티와 같은 수신 엔티티를 통해 수신된 식별을 사용하여 특정 UE와 또는 UE들의 결합된 세트와 라디오 베어러를 연관시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식별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지원되는 특정한 PDU 세션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 대한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또는 링크 ID 또는 서비스 타입과 연관시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엔티티가 상기 UE로부터 다른 중계 UE로 RAN 엔티티에 대한 경로를 스위칭할 때, 상기 UE는 상기 UE가 서빙하는 상기 송신 엔티티의 식별과 함께 PDCP 시퀀스 번호(SN)와 같은 PDCP 정보를 상기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며, 상기 PDCP 정보는 상기 RAN 엔티티가 상기 다른 중계 UE를 통해 어느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 또는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상기 RAN 엔티티에게 표시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는,
    ● 상기 송신 엔티티들 중 하나에서 발신된 데이터, 또는
    ● 복수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은 커버리지-내(in-coverage) 또는 커버리지-외(out-of-coverage)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 예를 들어,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RRC 구성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과 데이터의 출처의 연관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 예를 들어, 상기 UE에서 중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들과 상기 데이터의 출처의 연관을 이용하여 미리 구성되며, 예를 들어 표준들에서 특정되거나 상기 UE에 임베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LCG 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시그널링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논리 채널로 그리고/또는 LCG로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로 번들링(bundle)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상기 논리 채널들 중 하나 이상에서 이용가능할 때, 상기 UE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마다 또는 LCG마다 트리거링될 수 있는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사용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요청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UE의 송신 버퍼의 사이즈 또는 상기 사이즈의 특정한 백분율과 같은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BSR을 트리거링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일 때, 예를 들어 RLC-계층/PDCP-계층 또는 적응-계층의 송신 버퍼에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논리 채널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 및/또는 LCG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가 조기(early) BSR 메커니즘과 연관되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며, 상기 UE는 데이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LCG로 그룹화된 상기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과 그리고/또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들과 연관될 때 조기 BSR을 트리거링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송신 엔티티들에서 발신되고 낮은 레이턴시 및/또는 높은 신뢰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요건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특수 요건들과 연관된 논리 채널에 그리고/또는 LCG에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맵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 논리 채널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 및
    ●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LCP) 절차와 같은 우선순위화 절차
    를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며, 상기 우선순위화 절차는 상기 UE로 하여금,
    o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o 상기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게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데이터는 사용자-평면(UP) 데이터를 포함하고, 셋업된 논리 채널들은 전용 트래픽 채널(DTCH)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 데이터는 제어-평면(CP) 데이터를 포함하고, 셋업된 논리 채널들은 전용 제어 채널(DCCH)들, 공통 제어 채널(CCCH)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엔티티 및 수신 엔티티는 사용자 디바이스(UE), 중계 엔티티,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또는 정지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그룹 리더(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워치, 또는 운동 추적기,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비행체,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노변 유닛(RSU), 또는 빌딩,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이드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 그 임의의 다른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가능 네트워크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
  3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로서,
    상기 RAN 엔티티는 상기 RAN 엔티티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UE)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 엔티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UE들과 통신하고,
    상기 중계 엔티티는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RAN 엔티티는, 예를 들어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중계 엔티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상기 중계 엔티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RRC 구성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LCG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베어러들이 데이터의 출처와 연관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상기 중계 엔티티로서 구성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엔티티는 복수의 논리 채널들 중 특정한 논리 채널들을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상기 중계 엔티티로부터 상기 RAN 엔티티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과 연관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 중 SRB들 및/또는 DRB들과 같은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들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되고,
    상기 RAN 엔티티는 전달 상태 요청을 상기 중계 엔티티에 전송하며,
    상기 전달 상태 요청은,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의 데이터의 임박한 업링크 송신에 관한 정보,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양의 확인
    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중계 엔티티로 하여금 특정한 라디오 베어러와 연관된 상기 UE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링하게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AN 엔티티는,
    ● 상기 중계 엔티티에 의해 서빙된 개개의 UE ID들과 같은 상기 하나 이상의 UE들의 식별을 수신하고,
    ● 상기 수신된 식별들을 사용하여 논리 채널 및/또는 LCG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를 특정 UE와 또는 UE들의 결합된 세트와 연관시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AN 엔티티는,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어느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는지, 및 어느 논리 채널 및/또는 어느 LCG 및/또는 어느 라디오 베어러가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와 연관되지 않는지를 표시하는 시그널링을,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중계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논리 채널로 그리고/또는 LCG로 그리고/또는 라디오 베어러로 번들링된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RAN 엔티티는 상기 수신된 식별들을 사용하여 리소스 할당 또는 관리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식별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RAN 엔티티는 상기 중계 엔티티를 통해 특정한 PDU 세션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및 상기 UE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또는 링크 ID 또는 서비스 타입을 인식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7. 제30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AN 엔티티는 상기 중계 엔티티에서 논리 채널들 및/또는 라디오 베어러들 각각을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RAN 엔티티는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LCP) 절차와 같은 우선순위화 절차를 구성하여,
    ●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상기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거나, 또는
    ● 상기 중계 엔티티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 뒤이어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UE들에서 발신된 데이터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초기에 수행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8. 제3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AN 엔티티는,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노변 유닛(RSU), 원격 라디오 헤드, 또는 아이템 또는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송신/수신 포인트(TR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
  39.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서,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엔티티들,
    제30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나 이상의 RAN 엔티티들, 및
    하나 이상의 원격 사용자 디바이스(UE)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원격 UE들은 중계 엔티티를 통해 RAN 엔티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40. 제39항에 있어서,
    원격 UE가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제2 중계 엔티티로 RAN 엔티티에 대한 경로를 스위칭할 때, 상기 제1 중계 엔티티는, 상기 제1 중계 엔티티가 서빙하는 원격 UE ID와 함께 PDCP 시퀀스 번호(SN)와 같은 PDCP 정보를 상기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며, 상기 PDCP 정보는 상기 RAN 엔티티가 상기 제2 중계 엔티티를 통해 어느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 또는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상기 RAN 엔티티에게 표시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엔티티 및 상기 제2 중계 엔티티는 동일한 RAN 엔티티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엔티티는 제1 RAN 엔티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중계 엔티티는 상기 제1 RAN 엔티티와 상이한 제2 RAN 엔티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중계 엔티티는 상기 PDCP 정보를 상기 제1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고, 상기 제1 RAN 엔티티는 상기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상기 PDCP 정보를 상기 제2 RAN 엔티티에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엔티티가 연결된 RAN 엔티티는 상기 제1 중계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2 중계 엔티티로 상기 PDCP 정보를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UE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송신 엔티티들과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데이터의 출처에 기초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엔티티들로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RAN 엔티티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UE)들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 엔티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UE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엔티티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디바이스(U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엔티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7. 비일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16690A 2020-10-20 2021-10-01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핸들링 KR20230104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2840.3 2020-10-20
EP20202840 2020-10-20
PCT/EP2021/077145 WO2022084006A1 (en) 2020-10-20 2021-10-01 Handling user plane data in a relaying scenar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633A true KR20230104633A (ko) 2023-07-10

Family

ID=7296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690A KR20230104633A (ko) 2020-10-20 2021-10-01 중계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핸들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45564A1 (ko)
KR (1) KR20230104633A (ko)
WO (1) WO20220840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6656B2 (en) * 2015-04-07 2019-07-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uffer status reporting procedure for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323777A1 (en) * 2015-04-28 2016-11-0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e-to-network relay based on device to devic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25643B1 (en) * 2015-07-31 2019-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mechanism for prose relays serving remote ues
WO2018063082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stablishment
EP3319393B1 (en) * 2016-11-07 2019-08-07 Koninklijke KPN N.V.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remote user equipment, ue, and a telecommunication network via a relay capable 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4006A1 (en) 2022-04-28
US20230345564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599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777258B1 (en) Enhanced quality of service for v2x
US2018032461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750512B2 (en) Method for transreceiving V2X signal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JP2018536347A (ja) D2d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バッファ状態報告をトリガー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940735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834785B2 (en) Radio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radio terminals
US11937157B2 (en) V2X operation method implement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863553B2 (en) V2X operat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KR20230019875A (ko) Ue rach 자원 구성 선택 기능 및 슬라이싱 지원을 위한 자원 우선순위의 지정
US20230171826A1 (en) Feedback and traffic differentiation in sidelink relays
US20230171036A1 (en) Feedback and traffic differentiation in sidelink relays
KR20230027102A (ko) 사용자 장치 랜덤 액세스 채널 리소스 구성 선택 기능 및 슬라이싱 지원을 위한 리소스 우선순위 지정
US20230180317A1 (en) NR Sidelink Relaying Discovery
US20230345564A1 (en) Handling user plane data in a relaying scenario
KR20170112773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무선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22024022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pecific sidelink frame structure
EP4349042A1 (en) Hybrid quality of service flow
RU2719633C1 (ru) Улучшенное полупостоянное распределение ресурсов для трафика v2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