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544A - Bead case - Google Patents

Bead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544A
KR20230104544A KR1020230065082A KR20230065082A KR20230104544A KR 20230104544 A KR20230104544 A KR 20230104544A KR 1020230065082 A KR1020230065082 A KR 1020230065082A KR 20230065082 A KR20230065082 A KR 20230065082A KR 20230104544 A KR20230104544 A KR 20230104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bead
housing
bead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8185B1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3010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6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formed in a band or a blisterweb, inserted in a dispensing device or container
    • B65D83/047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formed in a band or a blisterweb, inserted in a dispensing device or container the band being wound in flat spiral, folded in accordio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8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articles passing through a small opening or passage, without additional dispensing devices and without retaining means for the following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구슬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itiate the bead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ccommodate and withdraw beads, and when withdrawing beads, the beads drawn out remain attached to the bead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tch the beads and prevent the lost beads. There are advantages to avoiding it.

Description

구슬 용기{BEAD CASE}Bead container {BEAD CASE}

본 발명은 구슬 용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슬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d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and withdraw beads, and when the beads are withdrawn, the beads drawn out remain attached to the bead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beads. It relates to a bead container capable of holding and preventing the lost of the drawn-out marbles.

어린이들의 놀이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완구를 이용한 놀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children's play, and among them, play using toys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이러한 완구를 이용한 놀이중에서 슈팅을 이용한 놀이는 주로 일정 위치에 거치된 표적을 향해 구슬, 메달, 원반 등의 발사체를 발사하고, 발사된 발사체가 표적에 명중되면 넘어가는 놀이를 한다.Among the games using these toys, the play using shooting mainly fires projectiles such as beads, medals, and discs toward a target mounted at a certain position, and plays a game of passing over when the projectiles hit the target.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5462호(발명의 명칭: 탄환 발사 완구)에는 완구 본체와, 상기 완구 본체에 설치된 발사편과, 상기 완구 본체 상에 놓인 탄환을 상기 발사편의 선단을 향해 이동시키는 압추 부재와, 상기 완구 본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발사편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구 본체에 장전된 탄환은 상기 발사편에 작용하는 구속력을 이용하여 완구 본체로부터 튕겨나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462 (title of invention: bullet firing toy) discloses a toy body, a launching piece installed on the toy body, and a bullet placed on the toy body toward the front end of the launching piece. A pressure member for moving and a constraining member installed in the toy body to be displaceable and constraining the launching member by being manipulated by a user, wherein the bullet loaded in the toy body uses the restraining force acting on the launching unit. Thus,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the object bounces off the toy body.

일반적으로 완구에 사용되는 탄환이나 발사체는 구(球)형상의 구슬(또는 볼)로 구성된다.In general, bullets or projectiles used in toys are composed of spherical beads (or balls).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구슬 보관 용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상 또는 원통형상 등의 수납함에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를 개방한 다음,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나씩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구슬을 꺼내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As is known in the prior art, in a bea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cover is install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 a storage box having a hexahedron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nd after opening the cover for use, the user uses his or her fingers one by one or randomly. It was configured to take out and use as many beads as the number.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구슬 보관 용기는 덮개를 여는 과정에 수납된 구슬이 쏟아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의 구슬을 정확하게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eads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beads stored in the cover are poured out or the number of beads desired by the user cannot be accurately withdrawn during the process of opening the cover.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5462호(발명의 명칭: 탄환 발사 완구)1.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462 (Title of Invention: Bullet Launching Toy) 2.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97893호(발명의 명칭: 구슬 조립체)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97893 (Title of Invention: Bead Assemb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tore and withdraw the beads, and when the beads are withdrawn, the beads drawn to the outside remain attached to the bead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tch the bea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ad contai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drawn-out beads from being lo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구슬 용기로서, 내측에 구슬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슬이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슬이 배출되는 인출구;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구슬과 부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되, 일측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접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접착부가 상기 인출구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가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d container,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having a storage space for bead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ove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possibly coupled housing; An insertion hol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into which beads are inserted; an outle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ertion port, and through which the beads are discharged; and an adhesive portion attached to the bead inserted into the housing;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hous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so that the adhesive portion is directed to th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support that operates to move.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은 내측면에 가변 지지부와 치합하여 상기 가변 지지부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ressurizing part engaged with the variable support part on the inner surface to press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to move in the up/down direction.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지지부는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lastic body to maintain a certain position.

본 발명은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store and withdraw beads.

또한, 본 발명은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atch the beads and preventing the drawn-out beads from being lost by maintaining the beads pulled out to the outsid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bead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구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수납 공간을 증가시켜 더욱 많은 구슬을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ommodate more beads by increasing the storage space by chang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ad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6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14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15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8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9는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회동부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20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도1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3은 도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5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9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4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6;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6;
Figure 1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portion of the bead container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6;
2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6;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1;
Figure 23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2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Prior to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configuration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within the scope of not disturbing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he concept of appropriate terms to best describe his/her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refer to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classifi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would be self-evid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is a structure of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ure 5 is another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am.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는, 하우징(110)과, 삽입구(120)와, 인출구(130)와, 접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the bea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n insertion hole 120, an outlet 130, and an adhesive part 140, It consists of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110a and a lower housing 110b forming a storage space for beads 200 therein.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housing 110a and the lower housing 110b are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구슬(200)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구(120)와,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130)가 설치된다.The upper housing 110a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120 into which beads 200 are inserted, and an outlet 130 through which beads 200 inserted into the insid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면이 인출구(130)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111a)을 형성하여, 배출된 구슬(200)이 구슬 용기(100)의 상면에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forms an inclined surface 111a that is concavely inclined toward the outlet 130 to prevent the discharged beads 20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ead container 100. make it possible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110b)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10a)의 저면에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110a forms a storage space therein, and has a cylindrical upper housing side wall portion 112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lower housing 110b in the up/down direction. ) is install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의 하부에 구슬(200)이 수납되도록 받침부(113a)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110a may have a supporting portion 113a installed below the side wall portion 112a of the upper housing so that the bead 200 is accommodated therein.

상기 받침부(113a)는 상부 하우징(110a)에 수납된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110a)의 중앙부 또는 하부 하우징(110b)의 중앙부에 쉽게 모일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13a may be configur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lope so that the marbles 200 stored in the upper housing 110a can easily gath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10a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10b.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의 말단부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110a may have an upper housing locking jaw 114a installed radially outside the distal end of the upper housing sidewall portion 112a.

상기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은 하부 하우징(110b)과 치합하여 상부 하우징(110a)이 하부 하우징(110b)의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upper housing locking jaw 114a engages with the lower housing 110b to prevent the upper housing 110a from moving upward of the lower housing 110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의 중앙부에는 하부 하우징(110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부(111b)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110b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10a, and a support portion 111b extending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0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110b. can be installed

이때, 상기 지지부(111b)는 상부 하우징(110a)에 형성된 인출구(130)까지 연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111b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outlet 130 formed in the upper housing 110a.

또한, 상기 지지부(111b)는 하부 하우징(110b)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지름의 크기가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여 구슬(200)이 더욱 많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11b is configured in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lower housing 110b, so that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110a and the lower housing 110b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more marbles 200 can be accommodated.

한편, 도6은 지지부(111b)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슬 용기(100')의 지지부(111b)는 말단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접착부(140)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portion (111b), the support portion (111b) of the bead container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adhesive portion 140 by forming a receiving groove at the distal end.

또한, 상기 접착부(140)가 지지부(111b)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부(140)의 상측에는 박막의 덮개부(113b)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11b)는 덮개부(113b)와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n film cover part 113b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hesive part 140 so that the adhesive part 140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111b, and the support part 111b is a cover part 113b It can be fused and fixed.

다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측벽의 말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5 , the lower housing 110b may have a lower housing locking jaw 112b protruding radially inward at a distal end of the side wall.

상기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은 상부 하우징(110a)에 설치된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과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wer housing locking jaw 112b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upper housing locking jaw 114a installed on the upper housing 110a, and prevents the upper housing 110a from mov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upper housing 110a slides upward. .

또한, 도7 내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에서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to 9, in the bead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10" has an upper housing 110a" and a lower housing 110b" upper/lower. The upper housing 110a" and the lower housing 110b" may be rotatably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상부 하우징(110a")은 내측면에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가 설치될 수 있고, 하부 하우징(110b")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upper housing locking part 115a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and a lower housing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upper housing locking part 115a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0b". A locking part 115b may be installed.

상기 상부 하우징 잠금부(115a)와 하부 하우징 잠금부(115b)는 서로 체결되면,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upper housing locking part 115a and the lower housing locking part 115b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upper housing 110a″ and the lower housing 110b″ may be fixed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이 하부 하우징(110b")과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고,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걸림돌기(116b")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110b"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while the upper housing 110a" is fastened to the lower housing 110b"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116b" for fixing to prevent movement. can be installed

다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구(120)는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1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5 , the insertion hole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to guide the bead 200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10a.

또한, 상기 삽입구(1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12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ades 121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installed radially inside the insertion hole 120 .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121)는 상부 하우징(1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hole blade 121 prevents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110a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1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1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blade 12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eads 200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ertion hole 120 is covered with beads ( 20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cover to prevent the discharge.

상기 인출구(130)는 구슬(200)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삽입구(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한다.The outlet 130 guides the beads 2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또한, 상기 인출구(130)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130)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130 may be installed in the outlet 130 by adding a cover (not shown).

또한, 본 발명은 구슬(200)의 삽입을 위해 인출구(130)와 구분하여 삽입구(120)를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구(120)와 인출구(1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인출구(130)만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the insertion port 120 separately from the outlet 130 for the insertion of the beads 20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unctions of the insertion port 120 and the outlet 130 can be performed toge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only the outlet 130 so as to be.

즉, 인출구(130)로 구슬(200)의 삽입하고, 상기 인출구(130)를 통해 삽입된 구슬(2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bead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let 130 and the bead 200 inserted through the outlet 130 may be withdrawn.

상기 접착부(140)는 하부 하우징(110b)의 지지부(111b) 말단에 설치되고, 수납된 구슬(200)과 부착한다.The adhesive part 14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11b of the lower housing 110b and attached to the stored beads 200.

또한, 상기 접착부(140)는 부착된 구슬(200)이 인출구(1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고정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140 fixes the attached bead 200 to be disposed under the outlet 130.

또한, 상기 접착부(140)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140 may be composed of a magnet member so that it can be attached through attraction by the bead 200 and the magnetic field.

상기 구슬(200)은 구형상의 부재로서, 접착부(1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슬(200)의 몸체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슬(200) 전체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ad 200 is a spherical memb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bead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tal material so as to form an attraction by the adhesive portion 140 and the magnetic field, preferably the bead ( 200) may be entirely made of metal.

또한, 상기 구슬(200)은 외부면에 박막의 필름재 또는 코팅층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름재 또는 코팅층에는 임의의 정보, 예를 들면 문자, 숫자, 도형, 그림, 임의의 캐릭터 형상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되는 정보는 양각 또는 음각 등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ad 200 may be configured with a thin film material or coating layer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ilm material or coating layer may have arbitrary information, such as letters, numbers, figures, pictures, arbitrary character shapes, etc. It may be displayed,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embossing or engraving.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ar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이 도3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이 삽입구(120)를 통해 수납되도록 한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upper housing 110a and the lower housing 110b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3 , the user allows at least one bead 200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0 .

상기 구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110a)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이 이동함에 따라 도4와 같이 받침부(113a)도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insertion of the bead 200 is completed,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110a upward, and as the upper housing 110a moves, the support portion 113a also moves upward as shown in FIG. do.

상기 받침부(113a)의 이동을 통해 수납된 구슬(200)은 접착부(140)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증가하여 상기 구슬(200)은 접착부(140)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ds 200 accommoda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13a gets closer to the adhesive portion 140, the attraction by the magnetic field increases, and the beads 200 ar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140 keep

한편, 상부 하우징(1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접착부(140)와 상기 접착부(140)에 부착된 구슬(200)의 지름을 합한 값보다 크면, 상기 구슬(200)은 접착부(140)의 상면, 즉 인출구(1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that the upper housing 110a moves upward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diameters of the adhesive portion 140 and the beads 200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140, the beads 200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140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130.

계속해서, 상부 하우징(110a)은 상부 하우징 걸림턱(114a)과 하부 하우징 걸림턱(112b)를 통해 더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1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도5와 같이 위치되면, 하나의 구슬(200)이 인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Subsequently, when the upper housing 110a no longer moves through the upper housing locking jaw 114a and the lower housing locking jaw 112b,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110a downward to a position as shown in FIG. 5. When done, one bead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0.

이때, 배출된 구슬(200)은 접착부(1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떨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ejected beads 200 are fixed without falling by forming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part 140 and the magnetic field, and are maintained until removed by the user.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of al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12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14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고, 도15는 도10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2 is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Figure 13 is an exemplary view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Figure 14 is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0 Another exemplary view, and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300)는 하우징(310)과, 삽입구(320)와, 인출구와, 접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0 to 15, the bead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310, an insertion hole 320, a withdrawal hole, and an adhesive part 340. .

상기 하우징(3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310a and a lower housing 310b forming a storage space for beads 200 therein.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이 서로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lso, in the housing 310, the upper housing 310a and the lower housing 310b face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coupled.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상부에 삽입구(320)가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hole 320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310a.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310a has a cylindrical upper housing side wall 112a installed therein to form a storage space therein.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상부 하우징 측벽부(112a)에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도록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310a may have an upper housing outlet 312a so that the beads 200 accommodated in the upper housing sidewall 112a are discharg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은 하부 하우징(310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축(313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13a)의 말단에는 쐐기 형상의 걸림턱(314a)이 설치되어 하부 하우징(310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310a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313a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lower housing 310b, and a wedge-shaped locking jaw 314a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313a to It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housing 310b.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이 회전축(31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하우징(310a)의 내부면과 하부 하우징(310b)의 외부면에 서로 치합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변경 실시 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310a and the lower housing 310b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313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310a and the lower housing 310b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It may be rotatably changed by forming coupling grooves and coupling protrusions that mesh with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상부 하우징(310a)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하우징(31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10a)이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e lower housing 310b has a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310a, and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housing 310a to support the upper housing 310a to rotate in an arbitrary direction. do.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하부 하우징(310b)의 측부에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형성될 수 있다.Also, in the lower housing 310b, a lower housing outlet 311b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lower housing 310b.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by adding a cover (not shown).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상부 하우징(310a)이 회전축(313a)을 통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결합홈(312b)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310b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coupling groove 312b for supporting the upper housing 310a to rotate through the rotating shaft 313a.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후술되는 접착부(340)에 부착된 구슬(200)이 상기 접착부(340)와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구슬 분리부(313b)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310b may be configured with a bead separator 313b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beads 200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34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adhesive portion 340.

상기 구슬 분리부(313b)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310a)의 저면에 부착된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310a)의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도달하면, 상기 구슬(200)과 접촉하여 접촉부(340)로부터 구슬(200)이 분리되도록 한다.The bead separator 313b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and the beads 20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310a rotate through the upper housing 310a to the lower housing outlet ( When reaching 311b), it contacts the bead 200 and separates the bead 200 from the contact portion 340 .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접착부(340)에서 분리된 구슬(200)을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로 이동시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314b)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310b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with a guide part 314b for guiding the bead 200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340 to be discharged by moving it to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상기 가이드부(314b)는 접착부(340)와 분리된 구슬(200)이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314b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bead 200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ortion 340 can move to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310b)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에 설치되어 분리된 구슬(200)이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접착부(315b)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310b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so that the separated beads 200 can be fixed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0, so that the beads 200 and the attraction by the magnetic field are applied. An adhesive portion 315b that operates to be attached through may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접착부(315b)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에 설치될 수도 있다.Also, the adhesive part 315b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outlet 312a.

상기 삽입구(320)는 상부 하우징(3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3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The insertion hole 3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310a to guide the bead 200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310a.

또한, 상기 삽입구(3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32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ades 321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installed radially inside the insertion hole 320 .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321)는 상부 하우징(3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hole blade 321 prevents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310a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3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3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blade 32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ead 200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ertion hole 320 is covered with beads ( 20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cover to prevent the discharge.

상기 인출구(330)는 상부 하우징(310a)과 하부 하우징(310b)의 회전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매칭되면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구슬(20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3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310 when the upper housing outlet 312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are matched through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310a and the lower housing 310b, and the bead 200 ) to be released.

상기 접착부(340)는 상부 하우징(310a)에 설치되어 수납된 구슬(200)이 상기 상부 하우징(310a)에 부착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adhesive part 340 is installed on the upper housing 310a and operates to attach the stored beads 200 to the upper housing 310a,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outlet 312a.

또한, 상기 접착부(340)는 부착된 구슬(200)을 상부 하우징(310a)의 회전을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340 allows the attached bead 200 to be moved to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310a.

또한, 상기 접착부(340)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340 may be composed of a magnet member so that it can be attached through attraction by the bead 200 and the magnetic field.

다음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ar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삽입구(32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을 구슬 용기(300)에 삽입한다.First, at least one bead 200 is inserted into the bead container 3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0 .

상기 구슬 용기(300)에 구슬(200)이 수납되면, 수납된 상기 구슬(200)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접착부(340)에 부착된다.When the bead 200 is stored in the bead container 300, the stored bead 20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art 340 through attraction by the magnetic field.

상기 구슬(200)이 접착부(340)에 부착되면 상부 하우징(310a)을 회전 이동시키되,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서로 매칭되어 인출구(330)를 형성할 때까지 회전 이동시킨다.When the bead 20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art 340, the upper housing 310a is rotated and rotated until the upper housing outlet 312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match each other to form the outlet 330. move

계속해서, 회전 이동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312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311b)가 서로 매칭되면, 구슬 분리부(313b)는 구슬(200)과 접착부(3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슬(200)이 접착부(340)와 분리되도록 한다.Subsequently, when the upper housing outlet 312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311b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rough rotational movement, the bead separator 313b is positioned between the bead 200 and the adhesive portion 340, and the bead 200 It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340.

접착부(340)와 분리된 구슬(200)은 가이드부(314b)를 따라 이동하고, 이때 배출된 구슬(200)은 접착부(315b)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구슬(200)이 구슬 용기(3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bead 200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340 moves along the guide part 314b, and at this time, the discharged bead 200 forms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adhesive part 315b by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bead 200 moves along the bead containe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300 and fixed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until removed by the user.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of al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7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18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19는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회동부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20은 도16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6, Figure 18 is a b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6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FIG. 1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part of the bead container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6, and FIG. 20 i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n to explain.

도16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400)는 하우징(410)과, 삽입구(420)와, 회전부(430)와, 접착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6 to 20, the bead container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410, an insertion hole 420, a rotating part 430, and an adhesive part 440. do.

상기 하우징(4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4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410a and a lower housing 410b forming a storage space for beads 200 therein.

또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410a and the lower housing 410b may be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측부에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410a is a cylindrical member, and may have an upper housing outlet 411a through which beads 200 stored in the side are discharg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내측면에 회전부(430)와 치합하여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430)가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412a)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410a has a pressurizing part 412a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430 to press the rotating part 430 to move according to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410a. It can be.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은 상부 하우징의 측부 말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410a may have an upper housing locking jaw 413a installed radially inward at a side end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상부 하우징(410a)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의 측부에는 수납된 구슬(200)이 배출되는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410b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housing 410a, and a lower housing outlet 411b through which the stored beads 200 are discharged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lower housing 410b.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원통 형상의 측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410a)의 가압부(412a)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412b)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410b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guide unit 412b guiding a path to move the pressing unit 412a of the upper housing 410a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410b)은 하부 하우징 걸림턱(413b)을 구비하여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과의 치합을 통해 상부 하우징(410a)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410b has a lower housing locking jaw 413b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stopper to prevent the upper housing 410a from moving any further through engagement with the upper housing locking jaw 413a.

상기 삽입구(420)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4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The insertion hole 4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410a and guides the bead 200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410a.

또한, 상기 삽입구(4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42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ades 421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installed radially inside the insertion hole 420 .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421)는 상부 하우징(4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4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hole blade 421 prevents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410a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4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4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4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4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blade 42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eads 200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4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ertion hole 420 is covered with beads ( 20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cover to prevent the discharge.

한편,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을 통해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되면 하우징(4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구슬(200)이 배출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are matched through the up/down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410a, the out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beads 200 are discharged. .

즉, 상기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되면 형성된다.That is, the outlet is formed when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are match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housing 410a and the lower housing 410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인출구는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매칭딘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구슬(200)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형성하지 못해 내부의 구슬(200)이 하우징(51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do not match, the outlet is not large enough to allow the beads 200 to pass through, so that the beads 200 inside the housing (510)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인출구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may be installed in the outlet by adding a cover (not shown).

상기 회전부(430)는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경사면(431)과, 회전축(432)과, 탄성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43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rota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410a, and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431, a rotating shaft 432, and an elastic part 433. there is.

상기 경사면(431)은 회전부(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4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부(4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inclined surface 43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430 so that the rotating part 430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410a.

상기 회전축(432)은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워쳐 편심된 곳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410a)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431)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하도록 지지한다.The rotating shaft 43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r at an eccentric location away from the center, so that the rotating part 430 responds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inclined surface 431 as the upper housing 410a moves in the up/down direction. support to rotate

상기 탄성부(433)는 회전축(432)에 설치되어 회전부(43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4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elastic part 433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432 to provide elastic force so that the rotating part 430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As the upper housing 410a moves upward, the rotating part 430 rotates. It provides elasticity to move.

상기 접착부(440)는 회전부(430)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슬(200)과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4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art 430 to be attached to the bead 20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gnet so that it can be attached through attraction by the bead 200 and a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접착부(440)는 말단에 기울기를 갖는 접착부 경사면(441)을 형성하여 편심 회전부(4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접착부 경사면(441)에 접착된 구슬(200)이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440 forms an inclined surface 441 of the bonding part having an inclination at the end so that the bead 200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441 of the bonding part 44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ng part 430. can do.

또한, 상기 접착부(440)는 회전부(4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이동함에 따라 인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440 allows the outlet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s the rotating part 430 rotates forward or backward.

다음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ar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First, the upper housing 410a and the lower housing 410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회전부(430)와 접착부(440)는 일정 위치 즉, 하우징(410)의 인출구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outlet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ng part 430 and the adhesive portion 440 are located at a certain position, that is, inside the outlet of the housing 410. So that the outlet is closed.

계속해서, 삽입구(420)를 통해 하우징(410)의 내측에 구슬(200)이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410)에 삽입된 구슬(200)은 삽입구 블레이드(421)에 의해 하우징(4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Subsequently, the bead 2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4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420, and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4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410 by the insertion hole blade 421. It is not withdrawn externally.

이후,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410a)을 하부 하우징(410b)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부 하우징 걸림턱(413a)과 하부 하우징 걸림턱(413b)이 서로 치합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까지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410a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410b until the upper housing locking jaw 413a and the lower housing locking jaw 413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can no longer move. .

이때,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는 서로 어긋나게 되어 구슬(200)이 인출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ead 200 cannot be withdrawn.

또한, 상부 하우징(410a)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412a)와 치합된 회전부(430)의 경사면(431)에 의해 상기 회전부(430)는 탄성부(433)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 상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upper housing 410a moves upward, the rotating part 430 is moved on the draw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33 by the inclined surface 431 of the rotating part 430 engaged with the pressing part 412a. will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회전부(430)가 회전함에 따라 접착부(440)는 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된 임의의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된다.As the rotary part 430 rotates, the adhesive part 440 is attached to a certain bead 2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10 through attraction by a magnetic field.

계속해서,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4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부(412a)는 경사면(4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410a downward, the pressing portion 412a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431 .

이때, 회전부(43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접착부(440)에 부착된 구슬(200)도 상기 회전부(43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43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ead 200 attached to the adhesive unit 440 also moves along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unit 430.

상기 상부 하우징(410a)이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접착부(440)의 말단에 부착된 구슬(200)은 원통 형상의 하부 하우징(410b) 내측면을 따라 회전부(43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the upper housing 410a continues to move downward, the bead 200 attached to the end of the adhesive part 440 mo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43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lower housing 410b. do.

이때, 구슬(200)은 접착부 경사면(441)에 의해 인출구 방향으로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At this time, the bead 200 is guided so that it can move more easily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by the inclined surface 441 of the adhesive part.

계속해서, 상부 하우징(410a)과 하부 하우징(410b)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상부 하우징 인출구(411a)와, 하부 하우징 인출구(411b)가 서로 매칭되어 인출구가 형성되고, 회전부(430)의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구슬(200)은 상기 인출구를 통해 하우징(4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접착부(440)는 상기 인출구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when the upper housing 410a and the lower housing 410b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housing outlet 411a and the lower housing outlet 411b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outlet, and the rotating part 430 The bead 200 moving through rot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0 through the outlet, and the adhesive part 440 is located inside the outlet so that the outlet can remain closed.

(제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of al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titiv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2는 도1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23은 도21의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이다.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21, Figure 23 is a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21 Another cross-sec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도21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500)는 하우징(510)과, 삽입구(520)와, 인출구(530)와, 접착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1 to 23, the bead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510, an insertion hole 520, an outlet 530, and an adhesive part 540. It can be.

상기 하우징(510)은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5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510a and a lower housing 510b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beads 200 is formed.

또한, 상기 하우징(510)은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510 may be coupled so that the upper housing 510a and the lower housing 510b can move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구슬(200)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520)와,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5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510a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520 through which beads 200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an outlet 530 through which the beads 200 inserted into the insid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상면이 인출구(530) 방향으로 오목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concavely inclined toward the outlet 530 .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510b)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510a)의 저면에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 측벽부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510a forms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cylindrical upper housing sidewall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so as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lower housing 510b. .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측벽부의 내측면에 하부 하우징(510b)의 일부 구성과 치합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의 일부 구성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511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510a is engaged with some components of the lower housing 510b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so that some components of the lower housing 510b ar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510a. / One or more pressing parts 511a for pressing to move in a downward direction may be formed.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은 상부 하우징(510a)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510b)의 중앙부에는 하부 하우징(510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지지부(511b)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510b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510a, and a variable support 511b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housing 510b to be movabl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510b. can be installed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일측이 상부 하우징(510a)의 가압부(511a)와 접촉하고, 타측은 접착부(54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하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접착부(540)가 인출구(5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One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511a of the upper housing 510a, and the other side has an adhesive part 540 installed thereon, interlocking with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510a, so that the adhesive part 540 is operat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530.

즉,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지렛대와 같이 가압부(511a)가 가변 지지부(511b)의 양측 말단을 가압하면,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양측 말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에 대응하여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pressing part 511a presses both ends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like a lever, the both ends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 downward and respond to the movement. Thus,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511b moves upward.

또한,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의 가압력이 사라지면 원위치되어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art 511a disappears, and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s downward.

상기 삽입구(520)는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상부 하우징(5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The insertion hole 5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and guides the bead 200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510a.

또한, 상기 삽입구(520)는 반경방향 내측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삽입구 블레이드(52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ades 521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installed radially inside the insertion hole 520 .

상기 삽입구 블레이드(521)는 상부 하우징(510a)의 내측에 삽입된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hole blade 521 prevents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upper housing 510a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 블레이드(521)를 구성하여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삽입구(520)를 덮어 구슬(20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blade 52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eads 200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ertion hole 520 is covered with beads ( 20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cover to prevent the discharge.

상기 인출구(530)는 삽입구(5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에 설치되고, 구슬(200)이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The outlet 5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ertion port 520, and guides the beads 200 to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51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인출구(530)는 덮개부(미도시)를 부가하여 상기 인출구(530)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530 may be installed in the outlet 530 by adding a cover (not shown).

상기 접착부(540)는 하우징(510)에 삽입된 구슬(200)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변 지지부(511b)의 이동에 따라 인출구(530)로 이동하거나 또는 인출구(53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우징(510)에 수납된 구슬(200)이 부착되도록 한다.The adhesive part 540 is a component attached through attraction by a bead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510 and a magnetic field, preferably made of a magnet,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the outlet 530 ) or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530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beads 200 stored in the housing 510 are attached.

다음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슬 용기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e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이 도18과 같이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200)이 삽입구(520)를 통해 수납되도록 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using 510a and the lower housing 510b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8, the user allows at least one bead 200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0.

이때, 상부 하우징(510a)의 가압부(511a)는 하부 하우징(51b)의 가변 지지부(511b) 말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이 인출구(5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511a of the upper housing 510a presses the distal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of the lower housing 51b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530.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이 인출구(530) 방향, 즉 도면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부(540)는 상부 하우징(510a)에 설치된 인출구(53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530, that is, upward in the drawing, the adhesive part 540 maintains the outlet 530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510a in a closed state.

계속해서, 상기 구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510a)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이 이동함에 따라 도20과 같이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와 분리되어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과 접착부(54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insertion of the bead 200 is completed,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510a upward, and as the upper housing 510a moves, the variable support 511b is a pressing part as shown in FIG. Separated from 511a,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and the adhesive part 540 move downward.

즉,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가압부(511a)와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일정 형상으로 복원되어 가변 지지부(511b)의 말단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That is, when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is separated from the pressing part 511a, it is restored to a predetermined shape by elastic force, and the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s downward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한편, 하우징(510)에 수용된 구슬(200)은 접착부(54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접착부(540)의 상부에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ead 2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51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540 through attraction by the adhesive portion 540 and the magnetic field.

이후,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510a)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19와 같이, 가압부(511a)는 가변 지지부(511b)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 말단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착부(540)에 부착된 구슬(200)은 상기 접착부(540)에 부착된 상태에서 인출구(530)로 이동하여 하나의 구슬(200)이 인출구(530)를 배출된다.Then, when the user moves the upper housing 510a downward, as shown in FIG. 19, the pressing part 511a presses one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moves upward. By moving to, the bead 200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540 moves to the outlet 530 while being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540, and one bead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30.

따라서, 구슬의 수납과 인출을 쉽게 할 수 있고, 구슬의 인출시 외부로 인출된 구슬이 구슬 용기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슬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인출된 구슬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수납 공간을 증가시켜 더욱 많은 구슬을 수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and withdraw the beads, and when the beads are withdrawn, the beads drawn out remain attached to the bead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b the beads and prevent the drawn beads from being lost. And, by chang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rble container, the storage space can be increased to accommodate more marbl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 number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describ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chan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viously, it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0, 100', 100", 300, 400, 500 : 구슬 용기
110, 110", 310, 410, 510 : 하우징
110a, 110a", 310a, 410a, 510a: 상부 하우징
110b, 110b", 310b, 410b, 510b : 하부 하우징
111a : 경사면 111b : 지지부
112a : 상부 하우징 측벽부 112b : 하부 하우징 걸림턱
113a : 받침부 113b : 덮개부
114a : 상부 하우징 걸림턱 115a : 상부 하우징 잠금부
115b : 하부 하우징 잠금부 116b : 걸림돌기
120, 320, 420, 520 : 삽입구 121, 421, 521 : 삽입구 블레이드
130, 130", 330, 530 : 인출구 131 : 인출구 덧살부
140, 340, 440, 540 : 접착부 200 : 구슬
311a : 상부 하우징 측부 311b : 하부 하우징 인출구
312a : 상부 하우징 인출구 312b : 회전축 결합홈
313a : 회전축 313b : 구슬 분리부
314a : 걸림턱 314b : 가이드부
315b : 접착부 321 : 삽입구 블레이드
411a : 상부 하우징 인출구 411b : 하부 하우징 인출구
412a : 가압부 412b : 가이드부
413a : 상부 하우징 걸림턱 413b : 하부 하우징 걸림턱
421 : 삽입구 블레이드 430 : 회전부
431 : 경사면 432 : 회전축
433 : 탄성부 440 : 접착부
441 : 접착부 경사면 511a : 가압부
511b : 가변 지지부
100, 100', 100", 300, 400, 500 : Bead container
110, 110", 310, 410, 510: Housing
110a, 110a", 310a, 410a, 510a: upper housing
110b, 110b", 310b, 410b, 510b: lower housing
111a: inclined surface 111b: support
112a: upper housing side wall portion 112b: lower housing holding jaw
113a: support part 113b: cover part
114a: upper housing locking jaw 115a: upper housing locking part
115b: Lower housing locking part 116b: Protrusion
120, 320, 420, 520: insert 121, 421, 521: insert blade
130, 130 ", 330, 530: Outlet 131: Outlet overhang
140, 340, 440, 540: adhesive part 200: bead
311a: upper housing side 311b: lower housing outlet
312a: upper housing outlet 312b: rotating shaft coupling groove
313a: rotation shaft 313b: bead separator
314a: locking jaw 314b: guide unit
315b: adhesive portion 321: insertion hole blade
411a: upper housing outlet 411b: lower housing outlet
412a: pressing part 412b: guide part
413a: upper housing holding jaw 413b: lower housing holding jaw
421: insert blade 430: rotating part
431: inclined plane 432: axis of rotation
433: elastic part 440: adhesive part
441: adhesive part inclined surface 511a: pressing part
511b: variable support

Claims (3)

내측에 구슬(2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510a)과 하부 하우징(510b)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510);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에 설치되어 구슬(200)이 삽입되는 삽입구(520);
상기 삽입구(5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슬(200)이 배출되는 인출구(530); 및
상기 하우징(510)에 삽입된 구슬(200)과 부착되는 접착부(540);를 포함하되,
일측은 상기 상부 하우징(510a)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접착부(54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접착부(540)가 상기 인출구(530)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가변 지지부(51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It consists of an upper housing (510a) and a lower housing (510b) forming a storage space for beads 200 inside, and the upper housing (510a) and the lower housing (510b) are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housing 510;
An insertion hole 52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and into which beads 200 are inserted;
an outlet 530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5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a, through which the beads 200 are discharged; and
Including; an adhesive part 540 attached to the bead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510;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housing 510a, and the other side has the adhesive portion 540 installed thereon so that the adhesive portion 540 moves toward the outlet 530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housing 510a. A bea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support (511b) operated to ope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510a)은 내측면에 가변 지지부(511b)와 치합하여 상기 가변 지지부(511b)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51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housing (510a) is engaged with the variable support (511b) on the inner surface and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511b) to move in the up / down direction; cour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부(511b)는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support part (511b) is a bea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body to maintain a certain position.
KR1020230065082A 2021-03-19 2023-05-19 Bead case KR1026181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6173 2021-03-19
KR1020210036173 2021-03-19
KR1020210040799A KR102591565B1 (en) 2021-03-19 2021-03-30 Bead ca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99A Division KR102591565B1 (en) 2021-03-19 2021-03-30 Bead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544A true KR20230104544A (en) 2023-07-10
KR102618185B1 KR102618185B1 (en) 2023-12-27

Family

ID=83451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99A KR102591565B1 (en) 2021-03-19 2021-03-30 Bead case
KR1020230065082A KR102618185B1 (en) 2021-03-19 2023-05-19 Bead cas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99A KR102591565B1 (en) 2021-03-19 2021-03-30 Bead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156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42Y1 (en) * 2003-02-15 2003-06-18 동진기업 주식회사 Portable keeping case
US20070000938A1 (en) * 2005-04-26 2007-01-04 Renaud Michel C Tablet dispenser
KR20080003947U (en) * 2007-03-13 2008-09-19 티피엘 주식회사 Pump type gum dispenser
KR20130142709A (en) * 2012-06-20 2013-12-30 박충만 The flick case of solid apiece
KR20140125462A (en) 2012-01-30 2014-10-29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Bullet shooting toy
KR20170127437A (en) * 2015-03-04 2017-11-21 헬렌 오브 트로이 리미티드 Container with sealable lid
KR20180097893A (en) 2017-02-24 2018-09-03 최종일 Bead assembly
KR20190003890A (en) * 2017-06-30 2019-01-10 주식회사 태성산업 a cosmetic container for beaded crea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43Y1 (en) * 2006-02-17 2006-05-02 임효빈 Container for keeping articles
KR200424929Y1 (en) 2006-04-26 2006-08-29 김강철 Packing Container That Extraction of Contents is Easy
KR101109886B1 (en) * 2009-07-06 2012-02-14 (주)아이디플라텍 A gum case
KR101342843B1 (en) * 2012-01-30 2013-12-17 김광식 Dispenser for foods or medicines
KR102074023B1 (en) * 2012-07-30 2020-02-05 피.씨.오.에이.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A receptacle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solid medicinal pill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42Y1 (en) * 2003-02-15 2003-06-18 동진기업 주식회사 Portable keeping case
US20070000938A1 (en) * 2005-04-26 2007-01-04 Renaud Michel C Tablet dispenser
KR20080003947U (en) * 2007-03-13 2008-09-19 티피엘 주식회사 Pump type gum dispenser
KR20140125462A (en) 2012-01-30 2014-10-29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Bullet shooting toy
KR20130142709A (en) * 2012-06-20 2013-12-30 박충만 The flick case of solid apiece
KR20170127437A (en) * 2015-03-04 2017-11-21 헬렌 오브 트로이 리미티드 Container with sealable lid
KR20180097893A (en) 2017-02-24 2018-09-03 최종일 Bead assembly
KR20190003890A (en) * 2017-06-30 2019-01-10 주식회사 태성산업 a cosmetic container for beaded c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185B1 (en) 2023-12-27
KR102591565B1 (en) 2023-10-19
KR20220131122A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486B2 (en) Transformable toy
US3797828A (en) Launcher and targets having overload mechanism
JP3853229B2 (en) Game machine door structure
JP3978698B2 (en) Operation lever device for slot machines
KR20230104544A (en) Bead case
JP2001300019A (en) Pachinko game machine
JP4835982B2 (en) Pusher game device
US4266767A (en) Competitive capture game
JP2002336454A (en) Game machine
KR102632550B1 (en) Transformation toy
CA2539259C (en) A dispenser for word game letter pieces
KR200479955Y1 (en) Toy capable of shooting top
JP2002035352A (en) Ball discharge device for game machine
US4291879A (en) Ball hitting game
KR102421474B1 (en) Marble shooter
JP3235033U (en) Piece-playing game toys
JP3232978U (en) Freebie loading device and freebie acquisition game device
KR20240022966A (en) Transformable toy
JPH0325249Y2 (en)
JP5486846B2 (en) Gaming machines and game slots
JPH08280944A (en) Shooting apparatus for ball body
KR102053966B1 (en) Transformable toy with launcher
JP2002028365A (en) Prize container
JP2003144718A (en) Game machine
JPH08173643A (en) Toy of discharging sph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