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409A -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Google Patents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4409A KR20230104409A KR1020210193809A KR20210193809A KR20230104409A KR 20230104409 A KR20230104409 A KR 20230104409A KR 1020210193809 A KR1020210193809 A KR 1020210193809A KR 20210193809 A KR20210193809 A KR 20210193809A KR 20230104409 A KR20230104409 A KR 202301044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stibular
- user
- vestibular rehabilitation
- unit
- rehabilitation trai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720 vestibular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0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12043 vestibular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462 vestibulo-ocular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47 compens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057 hereditary mucoepithelial dys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4—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8—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정재활 훈련장치 및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정재활 훈련을 가상현실에 적용하여 전정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전정재활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정재활 훈련장치 및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in detail,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applied to virtual reality to induce interest in a user with a reduced vestibular sense, thereby efficiently perform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It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어지럼증은 매우 흔한 증상이며, 전정기관 자체의 이상이나 중추신경계의 이상 등으로 발생한다. 특히, 노인층에서 질병 발생률이 높으며 어지럼증에 의한 낙상 같은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항상 주의가 필요하다.Dizziness is a very common symptom and is caused by abnormalities in the vestibular organ itself o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particular, the incidence of diseases is high in the elderly, and secondary accidents such as falls due to dizziness may occur, so care is always required.
어지럼증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가 있다. 어지럼증 약물은 말초 전정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를 차단시켜 어지럼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약물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에는 전정기관의 기능이 만성적으로 약화되고, 약물을 중단했을 때는 다시 증상이 재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의 약물 치료는 어지럼증 이후 나타나는 중추보상 작용을 억제하여 장기적으로 어지럼증의 근본적인 치료를 어렵게 한다.Drug treatment is a way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dizziness. Dizziness drugs act to prevent the feeling of dizziness by block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vestibular organ to the brain. There are downsides to recurrence. In addition, long-term drug treatment inhibits the central compensatory action that appears after dizziness, making it difficult to fundamentally treat dizziness in the long term.
이러한 이유로, 어지럼증 환자에게 약물 치료와 병행하여 전정기관을 자극해 중추보상 작용을 강화시키는 전정재활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For this reason,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to strengthen central compensation by stimulating the vestibular organ in parallel with dru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izziness.
전정재활 훈련이란 전정감각 강화를 위해 어지럼증이 생기는 동작이나 자세 혹은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는 훈련이다.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is training that repeatedly exposes a person to a motion, posture, or environment that causes dizziness to strengthen the vestibular sense.
전정재활 훈련은 눈, 머리, 균형 운동 등이 있으며, 어지럼증의 증상에 대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반복 운동을 수행하는 형태이고, 훈련의 난이도에 따라 어지럼증 환자가 혼자 수행하거나 전문가의 지도 하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includes eye, head, balance exercises, etc., and is a form of performing repetitive exercises to adapt to the symptoms of dizziness.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training, dizziness patients can perform it alone or under the guidance of experts. .
대체로 환자에게 전정재활 훈련을 교육한 뒤 자가로 시행하도록 독려하지만, 환자의 순응도가 떨어지며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환자의 재활훈련 집중도에 따라 회복 정도가 결정되는데, 종래의 전정재활 훈련은 환자가 흥미를 느끼지 못해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patients are taugh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n encouraged to perform it on their own, but the patient's compliance is poor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y performed it correctly, and the degree of recovery is determined by the patient's concentration in rehabilitation trai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 does not feel interest and concentration is reduc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가상현실이 적용된 전정재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정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전정재활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정재활 훈련장치 및 전정재활 훈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to which virtual reality is applie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It is to provid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자극 동작을 제공하여, 전정안반사 및 자세 균형 등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전정재활 훈련장치 및 전정재활 훈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that can effectively strengthen the vestibular sense of the user, such as vestibular reflex and postural balance, by providing not only the user's eye movements but also the user's various types of stimulation operations. is in provid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며, 가상현실을 포함한 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구감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하는 머리감지부를 가지는 헤드마운트유닛;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올라선 발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발판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mounted on a user's head, and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d provid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including virtual reality to the user, and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head mounted unit having an eyeball sensor for detecting eye movement of a user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and a head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head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scaffolding unit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caffold on which the user stands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s vestibular sense is satisfied based 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ing uni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의 기립 상태를 보조하기 위한 기립보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기립보조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발판유닛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중앙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가 자연스레 좌우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tanding assistance unit for assisting the standing state of the user standing on the footrest; may further include, wherein the standing assistance unit has a lower end coupled to the foothold unit. a support frame, a hanger having a centr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harnes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ger and provided to be worn by a user, and the user's head standing on the scaffold is When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user's upper body wearing the harness can be naturally interloc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상기 발판본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와, 상기 발판은 올라선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전도되도록 상기 이동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affolding unit includes a scaffolding body, a moving tabl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from the scaffolding body so that a user standing on the scaffolding is horizontally mov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footrest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ootrest and rotatably coupled from the moving table so that the user who is standing on the platform is inve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하부발판과, 상기 하부발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상부발판과, 상기 하부발판 및 상기 상부발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발판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ootrest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footrest, the upper footres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ootrest and the user's foot, and the lower footrest and the upper footrest, and the upper footres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ad sensors for measuring the user's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는 전후구동모터와, 상기 전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재와, 상기 발판본체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부재와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includes a front and rear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mobile table, a pinion gear member rotated by the front and rear drive motor, and a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body. It is provided extending to and may include a rack gear member gear-engaged with the pinion gear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전후방향의 중간부가 상기 이동대에 회전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대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부재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단부는 상기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록과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발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ddle part of the footre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table by a rotating shaft, and at this time, the rotary driving unit includes a rotary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moving table and the moving table. A screw member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 and rotated by the rotary driving motor, a moving block coupled to the screw member and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screw member when the screw member rotates, and an upper end portion I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affold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and may include a lever member for rotating the scaffold forward or backward about the rotation axis while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movable block.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판단하는 전정감각 판단부와, 상기 전정감각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의 동작 난이도를 결정하는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vestibular sens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s vestibular sensation based 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footrest unit corresponding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 It may include a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difficulty of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based on the user's vestibular sense determined by the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uni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은 전술한 전정재활 훈련장치를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도되는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전정감각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erformed using the aforementione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detects eye movement of the user moving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step; a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head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applying the user's horizontal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conduction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nd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 while going through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s vestibular sense is satisfied.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는 각각 상기 발판유닛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re climbed on the scaffolding unit, respectively. The load distribution of line users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정감각 판단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단계에서 수행되는 운동 난이도를 결정하는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ccording to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previously set based on the determined vestibular sense of the user, which may be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exercise difficulty performed in at least one exercise step of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새롭게 결정된 운동 난이도에 따른 제1전정재활 훈련단계, 제2전정재활 훈련단계, 제3전정재활 훈련단계 및 제4전정재활 훈련단계를 거치면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강화하는 전정재활 훈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and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according to the newly determined exercise difficulty may be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ing step.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of strengthening the user's vestibular sense through the steps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마운트유닛을 이용한 가상현실이 적용된 전정재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정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전정재활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to which virtual reality is applied using a head mounted un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by arousing interest in a user with a reduced vestibular sense.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마운트유닛을 이용한 사용자의 안구 및 머리 움직임 뿐만 아니라 발판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자극 동작을 부여하여, 전정안반사 및 자세 균형 등 사용자의 전정감각의 회복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recovery speed of the user's vestibular senses, such as the vestibular eye reflex and postural balance, by applying not only the user's eyeball and head movements using the head mounted unit, but also various stimulation actions of the user using the footrest unit. there i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의 발판본체 및 이동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의 이동대 및 발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a) 및 평면(b)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보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ead mounte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oupled state of the scaffolding body and the moving table of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moving table and the scaffolding unit of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a) and plane (b)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caf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ing auxilia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may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d mounte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는 헤드마운트유닛(100), 발판유닛(2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d mounted
헤드마운트유닛(100)은 가상현실을 포함한 전정재활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고글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눈을 감쌀 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HMD는 다른 디스플레이와 달리 사용자가 실제 가상현실에 존재하는 듯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The head mounted
헤드마운트유닛(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안구감지부(120), 머리감지부(130) 및 제1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mounted
디스플레이부(110)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안구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안구감지부(120)로는 아이트랙커(Eye Tracker)와 같이 홍채나 동공의 위치를 추적하는 공지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안구감지부(12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 안구의 움직임 정보는 제1통신부를 통해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머리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머리감지부(130)는 사용자의 머리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머리감지부(13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자기센서 등과 같이 관성을 측정하여 사용자 머리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머리감지부(13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 정보는 제1통신부를 통해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제1통신부는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제어부(400)를 유무선 연결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에 저장된 전정재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안구감지부(120) 및 머리감지부(13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안구 및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connect the head moun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의 발판본체 및 이동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의 이동대 및 발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들이다.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scaffolding unit and the moving table of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moving platform and the scaffolding of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판유닛(200)은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240)을 포함하며, 헤드마운트유닛(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발판(240)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사용자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1, 3 to 5, the
구체적으로, 발판유닛(200)은 발판본체(210), 이동대(220), 전후구동부(230), 발판(240) 및 회전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발판본체(210)는 발판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본체(210)는 상부에 발판(240)이 배치되는 개방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이동대(220)는 발판(240)에 올라선 사용자가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발판본체(21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oving
구체적으로, 이동대(220)는 발판본체(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내부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대(2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지지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대(220)는 하면이 발판본체(210)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고, 연장지지부(223)는 발판본체(210)의 천장부 내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대(220)는 좌우방향으로 양측에는 제1브래킷(222)이 구비될 수 있고, 제1브래킷(222)은 핀을 매개로 제2브래킷(242)과 회전축(241)으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ing table 22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전후구동부(230)는 이동대(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구체적으로, 전후구동부(230)는 전후구동모터(231), 피니언기어부재(232) 및 랙기어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구동모터(231)는 이동대(22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부재(232)는 전후구동모터(231)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전후구동모터(231)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랙기어부재(233)는 발판본체(210)의 바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랙기어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부재(232)의 정방향 회전시 이동대(220)는 전방(FW)으로 이동될 수 있고, 피니언기어부재(232)의 역방향 회전시 이동대(220)는 후방(BW)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후구동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발판(240)의 전후방향 이동 정보는 제2통신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ont and
또한, 전후구동부(230)는 가이드레일(235) 및 가이드블록(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235)은 발판본체(210)의 바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가이드블록(236)은 이동대(220)의 하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35)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발판본체(210)에 대한 이동대(220)의 안정적인 전후방향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35) 및 가이드블록(236)은 공지의 LM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발판(240)은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부분으로, 이동대(22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240)에 올라선 사용자는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도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발판(240)은 박스 형상을 가지는 이동대(220)의 개방된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양측에 제2브래킷(2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래킷(242)은 핀을 매개로 이동대(220)의 제1브래킷(222)과 회전축(24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240)은 이동대(220)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동대(220)로부터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회전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회전구동부(250)는 이동대(220)로부터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발판(240)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회전구동부(250)는 회전구동모터(251), 스크류부재(252), 이동블록(253) 및 레버부재(25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모터(251)는 이동대(22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류부재(252)는 이동대(220)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일단부가 회전구동모터(251)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모터(251)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동블록(253)은 스크류홀더부(254) 및 레버홀더부(255)를 가질 수 있다. 스크류홀더부(254)는 이동블록(253)의 하단부를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스크류부재(252)와 기어 결합되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부재(252)의 회전 시 스크류부재(252)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홀더부(255)는 이동블록(253)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레버부재(256)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류부재(252)의 회전 시 스크류부재(252)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버부재(256)를 전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레버부재(256)는 상단부가 발판(24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레버홀더부(255)에 결합된다. 이처럼 레버홀더부(255)로부터 레버부재(256)가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가압되면 발판(240)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혹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발판(240)의 기울기 정보는 제2통신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a) 및 평면(b) 예시도이다.Figure 6 is a side (a) and plane (b)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caf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추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200)은 하중센서(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발판유닛(200)은 발판(24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6 , the
구체적으로, 발판(240)은 하부발판(241)과, 하부발판(241)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상부발판(242)과, 하부발판(241) 및 상부발판(242)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발판(242)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측정하는 하중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243)로는 로드셀(Load Cell)이 사용될 수 있으며, 로드셀은 발판(240)의 평면도 상에서 가장자리 코너 영역에 4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센서(243)는 발판(24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하중센서(243)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하중 정보는 제2통신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발판유닛(200)은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통신부는 발판유닛(200) 및 제어부(400)를 유무선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통신부는 제어부(400)로부터 전정재활 훈련을 위한 작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전후구동부(230), 회전구동부(250) 및 하중센서(243)로부터 측정 및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ay connect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립보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nding auxilia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장치는 기립보조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anding
기립보조유닛(300)은 발판(240)에 올라선 사용자의 기립 상태를 보조할 수 있다.The standing
구체적으로, 기립보조유닛(300)은 지지프레임(310), 행거(320), 핀연결부(330) 및 하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은 하단부가 발판유닛(200)에 결합되고, 중간 상단부에는 제1회전지지부(311)가 구비된다. 행거(3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제1회전지지부(311)에 대향하는 중간 상면에는 제2회전지지부(321)가 구비된다. 또한, 행거(320)의 양단부에는 하네스가 연결되는 걸게(322)가 구비된다. 핀연결부(330)는 제1회전지지부(311) 및 제2회전지지부(3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축을 형성할 수 있다. 하네스는 걸게(322)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는 발판(240) 상에서 기립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anding
그리고, 지지프레임(310)으로부터 행거(320)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전정재활 훈련 과정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시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가 자연스레 좌우방향으로 연동하여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정재활 훈련 중인 사용자의 보다 자연스럽고 정확한 전정재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제어부(400)는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전정재활 콘텐츠 저장부, 전정감각 판단부,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전정재활 콘텐츠 저장부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다양한 전정재활 콘텐츠가 저장되며,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선택되는 전정재활 콘텐츠를 헤드마운트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storage unit stores various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including virtual reality, and may provid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a 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to the head mounted
전정재활 콘텐츠는 사용자의 전정감각 평가 및 회복을 위하여 어지럼증이 생기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일 수 있으며, 헤드마운트유닛(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 재생시 가상현실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일련의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정재활 콘텐츠는 사용자의 전정감각 평가 및 강화를 위하여, 헤드마운트유닛(100)을 이용하여 안구 및 머리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발판유닛(2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수평 이동 및 전후방 전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may be various contents for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dizziness occurs in order to evaluate and recover the user's vestibular sense, and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when output is reproduced through the
전정감각 판단부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정감각 판단부는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전정감각의 심화 정도를 판별해낼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정상인의 전정감각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The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user's vestibular sense based on us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부는 전정감각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의 동작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은 전정감각 정도에 따른 다양한 레벨의 훈련프로그램이 미리 설정되고, 각 레벨별 훈련프로그램마다 서로 다른 전정재활 콘텐츠가 활당될 수 있다. 결국 평가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에 따라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의 동작 난이도를 조절 및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operation difficulty of the head mounted
이와 같이, 전정재활 훈련 시,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가지는 전정감각의 심화 정도를 판단하고, 이후 사용자가 가지는 전정감각의 심화 정도에 따라 전정재활 훈련 레벨을 재설정한 다음 실질적인 전정재활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In this way, dur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the user's vestibular sense is first meas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epening of the vestibular sense that the user has, and the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is re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epening of the vestibular sense that the user has, and then the practical vestibular sense is determined. By performing rehabilitation training,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trengthen the user's vestibular sen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8 is a flow chart of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추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은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 및 전정감각 판단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a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a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40) and a vestibular sensation determination step (S150) may be included.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제1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 S110 ) may be a step of detecting eye movement of the user moving in response to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ncluding virtual reality provided from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1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유도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측정하여,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1차로 정량화할 수 있다. (도 9의 (a) 도면 참조)That is, the user's eye movement is induced by outputting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수행 중 하중센서(243)를 통해 발판유닛(200)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처럼 전정재활 운동수행 중인 사용자의 하중 정보는 전정감각 정량화 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정재활 운동 중에 더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정보로부터 전정감각 정량화의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standing on the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제2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 S120 ) may be a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head movement in response to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ncluding virtual reality provided from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2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머리 및 안구 움직임을 동시에 유도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머리 및 안구 움직임을 측정 및 상대 비교하여, 전정안반사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2차로 정량화할 수 있다. (도 9의 (b) 도면 참조)That is,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수행 중에도 하중센서(243)를 통해 발판유닛(200)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는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standing on the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제3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 S130 ) may be a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ball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movem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ncluding virtual reality provided from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3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고, 발판유닛(200)을 통해 사용자를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자세(여기서 자세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의 위치 및 이동속도 변화에 해당될 수 있다.) 및 안구 움직임을 동시에 유도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자세 및 안구 움직임을 측정 및 상대 비교하여, 전정안반사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3차로 정량화할 수 있다. (도 9의 (c) 도면 참조)That is, while outputting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수행 중에도 하중센서(243)를 통해 발판유닛(200)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는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standing on the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포함한 제4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도되는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 S140 ) may be a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conduction movement in response to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including virtual reality provided from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4전정재활 콘텐츠를 출력하고, 발판유닛(200)을 통해 사용자를 전방(FW) 혹은 후방(BW)으로 전도시키면서 사용자의 자세(여기서 자세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의 위치 및 이동속도 변화에 해당될 수 있다.) 및 안구 움직임을 동시에 유도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자세 및 안구 움직임을 측정 및 상대 비교하여, 전정안반사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4차로 정량화할 수 있다. (도 9의 (d) 및 (e) 도면 참조)That is, while outputting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 수행 중에도 하중센서(243)를 통해 발판유닛(200)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는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standing o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및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는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설정된 횟수 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및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운동단계는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복합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40) are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s. It can be repeated sequentially as many times as set according to the program. 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exercise steps among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40) are Depending 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 complex manner.
전정감각 판단단계(S150)는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및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를 거치면서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전정안반사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vestibular sensation judgment step (S150) is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ccording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S14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s vestibular senses are satisfied, including the vestibular reflex,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즉, 헤드마운트유닛(100) 및 발판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정상인의 전정감각 정보에 해당하는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전정감각의 심화 정도를 판별해낼 수 있다.That is, by comparing the us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은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ing step (S160).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S160)는 전정감각 판단단계(S15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앞서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및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단계에서 수행되는 운동 난이도를 조절 및 결정할 수 있다.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ation step (S160) may be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sensation determination step (S150), and based on the previously determined vestibular sensation of the user,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40) can adjust and determine the exercise difficulty performed in at least one exercise step.
즉, 전정감각 판단단계(S150)를 통해 판별된 사용자 전정감각의 심화 정도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 및 발판유닛(200)의 작동 신호를 변경하여 전정재활 훈련의 레벨을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degree of intensification of the user's vestibular sense determined through the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step (S150),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provided to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정재활 훈련방법은 전정재활 훈련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0).
전정재활 훈련단계(S170)는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S16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앞서 결정된 운동 난이도에 따른 제1전정재활 훈련단계(S171), 제2전정재활 훈련단계(S172), 제3전정재활 훈련단계(S173) 및 제4전정재활 훈련단계(S174)를 거치면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강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0) may be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determining step (S160), and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1),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2), and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2)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termined exercise difficulty are performed. It may be a step of strengthening the vestibular sense of the user while going through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3)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4).
즉, 사용자의 전정감각 기능에 최적화된 전정재활 콘텐츠 및 발판유닛(200)을 이용한 사용자의 자극 동작을 제공하면서, 실질적인 전정감각 강화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ile provid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optimized for the user's vestibular sensory function and the user's stimulation operation using the
제1전정재활 훈련단계(S171), 제2전정재활 훈련단계(S172), 제3전정재활 훈련단계(S173) 및 제4전정재활 훈련단계(S174)는 각각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S110),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S120),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S130) 및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S140)에 상응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1),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2),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3),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S174) are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10), respectively. , It may be a step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20),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30)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S14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마운트유닛(100)을 이용한 가상현실이 적용된 전정재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정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전정재활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to which virtual reality is applied using the head mount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헤드마운트유닛(100)을 이용한 사용자의 안구 및 머리 움직임 뿐만 아니라 발판유닛(2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자극 동작을 부여하여, 전정안반사 및 자세 균형 등 사용자의 전정감각의 회복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eyeball and head movements of the user using the head mou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may be modified or changed.
100: 헤드마운트유닛
200: 발판유닛
300: 기립보조유닛
400: 제어부100: head mounted unit
200: scaffolding unit
300: Standing auxiliary unit
400: control unit
Claims (11)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올라선 발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발판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 display unit mounted on a user's head to output and provid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including virtual reality to the user, and an eye sensor unit to detect eye movements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head mounted unit having a head sensor for sensing head movement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scaffolding unit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caffold on which the user stands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nd
It controls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vestibular sense is satisfied based 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scaffolding uni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to.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의 기립 상태를 보조하기 위한 기립보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립보조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발판유닛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중앙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가 자연스레 좌우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standing assistance unit for assisting the standing state of the user standing on the scaffolding;
The standing auxiliary unit,
A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scaffolding unit;
A hanger having a centr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It includes a harnes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ger and provided to be worn by a user,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s head on the footrest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upper body of the user wearing the harness can be naturally lin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발판유닛은,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상기 발판본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와,
상기 발판은 올라선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전도되도록, 상기 이동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caffolding unit,
foot body,
A mobile platform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rom the scaffold body so that the user standing on the scaffold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t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scaffold is rotatably coupled from the mobile platform so that the user who has climbed on it is inver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drive for rotating the scaffold.
상기 발판은,
하부발판과,
상기 하부발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상부발판과,
상기 하부발판 및 상기 상부발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발판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scaffolding is
lower plate,
An upper footres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ootrest and on which the user's feet are place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load sensors disposed between the lower footrest and the upper footrest and measuring the user's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upper footrest.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는 전후구동모터와,
상기 전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재와,
상기 발판본체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부재와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Front and rear driving motors installed on the moving table;
A pinion gear member rotated by the front and rear driving motor;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rack gear member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body and gear-coupled with the pinion gear member.
상기 발판은 전후방향의 중간부가 상기 이동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대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부재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과,
상단부는 상기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록과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발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scaffold has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oupled to the moving table by a rotating shaft,
The rotary drive unit,
A rotation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moving table;
a screw member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table and rotated by the rotary driving motor;
A moving block coupled to the screw member and mov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screw member when the screw member rotates;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affold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r member for rotating the scaffold forward or backward around the rotation axis while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block.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판단하는 전정감각 판단부와,
상기 전정감각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의 동작 난이도를 결정하는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stibular sens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s vestibular sense based 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footrest uni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
and a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level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operation difficulties of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footrest unit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based on the user's vestibular sense determined by the vestibular sensation determination un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정재활 콘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도되는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헤드마운트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전정감각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전정감각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방법.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4,
a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eye movement of a user moving in respons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a display unit;
a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head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applying the user's horizontal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of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while giving the user's conduction movement in response to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and
The head mounted unit and the footrest unit pass through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stibular sense judgmen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vestibular sense is satis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는 각각 상기 발판유닛에 올라선 사용자의 하중 분포를 실시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방법.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include measuring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standing on the scaffolding unit in real time, respectively.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전정감각 판단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판단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전정재활 훈련 레벨에 따른 상기 제1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2전정재활 운동단계, 상기 제3전정재활 운동단계 및 상기 제4전정재활 운동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단계에서 수행되는 운동 난이도를 결정하는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방법.According to claim 8,
It is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sensation determination step,
Based on the vestibular sense of the determined user, among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step according to a prese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level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determining step for determining the exercise difficulty carried out in at least one exercise step.
상기 전정재활 난이도결정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새롭게 결정된 운동 난이도에 따른 제1전정재활 훈련단계, 제2전정재활 훈련단계, 제3전정재활 훈련단계 및 제4전정재활 훈련단계를 거치면서 사용자의 전정감각을 강화하는 전정재활 훈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활 훈련방법.According to claim 10,
It is performed after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difficulty determination step,
A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of strengthening the vestibular sense of the user through the firs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the seco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the thir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and the fourth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step according to the newly determined exercise difficulty;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3809A KR20230104409A (en) | 2021-12-31 | 2021-12-31 |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CN202211716355.1A CN116392697A (en) | 2021-12-31 | 2022-12-29 | Vestibul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vestibule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3809A KR20230104409A (en) | 2021-12-31 | 2021-12-31 |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4409A true KR20230104409A (en) | 2023-07-10 |
Family
ID=8701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3809A KR20230104409A (en) | 2021-12-31 | 2021-12-31 |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4409A (en) |
CN (1) | CN116392697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3915B1 (en) | 2016-10-14 | 2018-09-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with subject specific real time feedback |
-
2021
- 2021-12-31 KR KR1020210193809A patent/KR2023010440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12-29 CN CN202211716355.1A patent/CN116392697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3915B1 (en) | 2016-10-14 | 2018-09-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with subject specific real time feedb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392697A (en) | 2023-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19119B2 (en) | Walking support machine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syndrome | |
US8911328B2 (en) | Apparatus for the assisted performance of a fitness exercise | |
WO2012039467A1 (en) | Exercise assistance system | |
JP5400077B2 (en) | Exercise support system | |
JP5633779B2 (en) | Self-supporting walking support device | |
CN103118745B (en) | Center of gravity shifting training system | |
JP5624625B2 (en) | Exercise support system | |
JPH09120464A (en) |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 |
KR101433284B1 (en) | Walk Supporting Device for Motion Balancing training Having Motion Adjusting Unit | |
KR20170141490A (en) | Exercise therapy rehabilitation system for treating ADHD | |
US11857331B1 (en) | Force measurement system | |
US20230120124A1 (en) | Balance trainer simulator system and method | |
KR20210019883A (en) |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training ocular motor ability using image | |
KR102289804B1 (en) | Rehabilitation analysis system using 3D sensor | |
KR101731302B1 (en) | Swing type rehabilitation therapy apparatus for sitting posture rising action training | |
KR101621683B1 (en) | Rehabilitation therapy apparatus for sitting posture rising action training | |
JP2015024160A (en) | Self-supporting type walking support device | |
KR20230104409A (en) |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 |
KR101368637B1 (en) | Balance training system for rehabilitation patient based active control base of support and method for balance training using the same | |
JP2004248794A (en) | Footprint analyzer | |
CN111686417B (en) | Balance train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JP5789738B2 (en) | Center of gravity movement training system | |
WO2020095244A1 (en) | Robotized proprioceptive postural system with integrated three-dimensional camera | |
JP5597079B2 (en) | Center of gravity movement training system | |
KR20170045420A (en) | Pressure responding type balance train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