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873A - Til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Til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873A
KR20230103873A KR1020220058046A KR20220058046A KR20230103873A KR 20230103873 A KR20230103873 A KR 20230103873A KR 1020220058046 A KR1020220058046 A KR 1020220058046A KR 20220058046 A KR20220058046 A KR 20220058046A KR 20230103873 A KR20230103873 A KR 2023010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trol printed
timing controll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규환
김태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1348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416924A/en
Priority to US17/977,741 priority patent/US11822850B2/en
Publication of KR2023010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8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4Sub-multiplexed active matrix panel, i.e. wherein one active driving circuit is used at pixel level for multiple image produc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2T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는 직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한 화면을 구성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모듈 영상들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모듈들, 및 상기 표시 모듈들의 연결 순서에 따른 모듈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각 표시 모듈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라 상기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각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하는 세트 보드를 포함한다.The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face circuit of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 a plurality of module images by dividing input image data constituting one screen, and Check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and set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for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display module. includes a set board that

Description

타일링 표시장치{Tiling Display Device}Tiling display device {Tiling Display Device}

이 명세서는 확장성이 가능한 타일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til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scalability.

대형 디스플레이는 옥내외 디지털 광고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확장성이 가능한 타일링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타일링 표시장치는 복수의 표시 모듈들을 연결하여 단일 화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연결되는 표시 모듈의 개수에 따라 화면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large display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oor and outdoor digital advertising. To meet the demand for a large display, a til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scalability has been proposed. A tiling display device configures a single scree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ed display modules.

입력 영상은 표시 모듈들의 연결에 의해 구현된 단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입력 영상의 해상도는 표시 모듈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해상도들의 합이 된다. 각 표시 모듈은 입력 영상 중에서 자신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영상 분량만큼을 분할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결 위치에 따른 모듈 식별 번호 및 모듈 영상 좌표값이 표시 모듈 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The input image is displayed on a single screen implemented by connecting display modules. The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becomes the sum of resolu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display modules. Each display module divides and displays an image amount corresponding to its own resolution among the input images. To this end,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an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connection positions must be set in advance for each display module.

각 표시 모듈 별로 모듈 식별 번호 및 모듈 영상 좌표값을 설정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리소스가 증가하고 사용자 편의성이 낮으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연결 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Sever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et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an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for each display module. However,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s, resources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 user convenience is low,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connection error may occur due to a worker's mistake.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듈 식별 번호 및 모듈 영상 좌표값 설정과 관련된 표시 장치의 리소스를 줄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연결 방식에 상관없이 자동 제어 가능한 타일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til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ardless of a connection method, reducing resources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setting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an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nd enhancing user convenience.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는 직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한 화면을 구성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모듈 영상들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모듈들, 및 상기 표시 모듈들의 연결 순서에 따른 모듈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각 표시 모듈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라 상기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각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하는 세트 보드를 포함한다.The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face circuit of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 a plurality of module images by dividing input image data constituting one screen, and Check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and set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for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display module. includes a set board that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is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하부 플레이트에 체결될 때,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 및 위치를 세트 보드에서 자동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의 설치 또는 교체시마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 및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메모리에 입력할 필요가 없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fastened to the lower plate,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automatically known from the set board. Accordingly, the user does not need to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to the memory whenever the display module is installed or replaced.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모듈 식별 번호 및 모듈 영상 좌표값 설정과 관련된 표시 장치의 리소스를 줄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resources of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an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setting,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prevent errors caused by user mistakes in advance.

본 실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실시예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타일링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 표시 모듈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마이크로 LED 기반의 표시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표시 패널에 구비된 일 픽셀의 개략적인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은 타일링 표시장치의 인터페이싱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타일링 표시장치에서 영상 분할을 위한 모듈 식별 번호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일 예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모듈 식별 번호의 자동 설정을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1 및 제2 옵션 핀들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타일링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표시 모듈들 간의 비정형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1a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디폴트 배치 구조에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이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매칭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b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반전 배치 구조에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이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매칭되지 않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방향 인지 핀의 논리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각각 270도, 90도,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제1 및 제2 방향 인지 핀들의 논리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표시 모듈들 간의 비정형 연결 구조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 모듈들의 모듈 영상 좌표값들이 설정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4 및 도 25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6 및 도 27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입출력 영상 매칭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2는 도 10a의 비정형 연결 구조를 갖는 표시 모듈들에 할당되는 4K 해상도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입력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제1 및 제5 표시 모듈들에 할당된 모듈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의 자동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one display module included in a tiling display device.
3 and 4 are views showing a micro LED-based display panel.
5 is a schematic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6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ing structure of a tiling display device.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in which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for image segmentation is automatically set in a tiling display device.
9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option pins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 setting of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10A to 10D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atyp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display modules for implementing a tiling display device.
11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image and an output image are identically matched to a default distribution order in a default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1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image and an output image are not identically matched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in the inverte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2A to 12C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3 and 14 are views showing that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showing logic values of direction recognition pins according to arrangement directions of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6A to 16C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7 to 20 are views showing that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a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rotated 270 degrees, 90 degrees,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in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21 is a diagram showing logic values of first and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display modules are set based o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n atyp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display modules.
24 and 25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6 and 27 are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8 to 31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put/output image match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FIG. 32 is a diagram showing input image data of 4K resolution allocated to display modules having the irregular connection structure of FIG. 10A.
FIG. 33 is a diagram showing module image data allocated to first and fifth display modules among the input image data of FIG. 32 .
34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ontrol procedure of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is specif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so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 'upon ~', '~ below', 'next to', etc., 'right'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표시 모듈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one display modu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100)는 세트 보드(SET) 및 복수의 표시 모듈들(CB)을 포함한다. 각 표시 모듈(CB)은 캐비넷(cabinet)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til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et board SET and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CB. Each display module CB may be referred to as a cabinet.

표시 모듈들(CB)은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대형 화면의 전체 해상도는 각 표시 모듈(CB)의 단위 해상도의 총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960*1080의 단위 해상도를 갖는 8개의 표시 모듈들(CB)로 한 화면이 구성된 경우, 화면의 전체 해상도는 3840*216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3840*2160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이고, 960*1080은 일 표시 모듈(CB)에서 구현되는 모듈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이다. The display modules C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face circuit to form a large screen. The total resolution of the large screen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unit resolutions of each display module (CB). For example, when one screen is composed of 8 display modules (CB) having a unit resolution of 960*1080, the total resolution of the screen may be 3840*2160. In this case, 3840*2160 is the resolution of input image data, and 960*1080 is the resolution of module image data implemented in one display module (CB).

각 표시 모듈(CB)은 전계 발광 표시형, 액정 표시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모듈(CB)이 마이크로 LED 기반의 전계 발광 표시형으로 구현된 것이 예시된다. 다만,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은 표시 모듈(CB)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Each display module CB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type, a liquid crystal display type,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module CB implemented as a micro LED-base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type will be exemplified.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display module CB.

표시 모듈들(CB)은 세트 보드(SET)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타겟 동작(예컨대, 모듈 식별 번호 생성, 서브영상 재매칭 등)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세트 보드(SET)로 피드백하기 위하여, 양 방향 직렬 통신 방식의 제1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회로는 이웃한 표시 모듈들(CB) 사이에서 피드백 루프(feed back loop) 타입의 양 방향 멀티 체인 인터페이스(multi chain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s CB execute target operations (eg,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generation, sub-image re-matching, etc.)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input from the set board SET, and feed back the results to the set board SET. In order to do this, the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interface circuit of a bi-directional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interface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a bi-directional multi-chain interface of a feedback loop type between neighboring display modules CB.

한편, 세트 보드(SET)는 입력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2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표시 모듈들(C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회로는 직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 회로이고, 고속 및 대용량의 데이터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V-by-One(Vx1)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t board SET may transmit image data for implementing an input image to the display modules CB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circuit. The second interface circuit is a serial communication type interface circuit, and may be implemented in a V-by-One (Vx1) method capable of high-speed and large-capacity data interfacing.

세트 보드(SET)는 표시 모듈들(CB)의 연결 순서에 따른 모듈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각 표시 모듈(CB)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대한 모듈 영상의 입출력 방향을 기반으로 하여,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각 표시 모듈(CB) 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각 표시 모듈(CB)은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 등을 기반으로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모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고, 모듈 영상 데이터를 서브 영상 데이터로 분할 및 재매칭할 수 있다. The set board (SET) checks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of the display modules (CB),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display module (CB)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may be set for each display module (CB) based on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the module image for (CPCB). Then, each display module CB may separate module image data from input image data based on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and divide and re-match the module image data into sub image data.

각 표시 모듈(CB)은 모듈 영상을 서브 영상들로 분할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들(PNL-A,B,C,D)과, 표시 패널들(PNL-A,B,C,D)을 구동시키기 위한 패널 구동회로들과, 패널 구동회로들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TCON)와, 타이밍 제어부(TCON)를 실장하기 위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을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은 타이밍 제어부(TCON)와 표시 패널들(PNL-A,B,C,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출력 포트들(TA,TB,TC,TD)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 포트들(TA,TB,TC,TD)은 분기 케이블(CAL)을 통해 해당 표시 모듈(CB)의 패널 구동회로들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Each display module CB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PNL-A, B, C, and D and display panels PNL-A, B, C, and D for dividing and displaying a module image into sub-images. It may include panel driving circuits for driving, a timing controller (TCON) for controlling the panel driving circuits,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for mounting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output ports (TA, TB, TC, T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iming controller (TCON) and the display panels (PNL-A, B, C, D). can include The image output ports TA, TB, TC, and TD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panel driving circuits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module CB through a branch cable CAL.

타이밍 제어부(TCON)는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회로들을 통해 이웃한 표시 모듈(CB) 또는 세트 보드(SET)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세트 보드(SET)에서 설정된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포트들(TA,TB,TC,TD)에 재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디폴트 방향과 다를 경우에 생기는 영상 뒤섞임, 영상 반전 등과 같은 영상 왜곡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디폴트 방향은 이하에서 설명될 특정 방향(예컨대, 정방향)과 같을 수도 있고 혹은 다를 수도 있다. 다만, 디폴트 방향과 특정 방향은 설계 스펙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The timing controller TCON may be connected to a neighboring display module CB or set board SET through first and second interface circuits. The timing controller (TCON) re-matches the image data of sub-images to the image output ports (TA, TB, TC, TD) based on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set in the set board (SET) can do. Through this, image distortion phenomena such as image mixing and image inversion, which occur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default direc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default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 specific direction (eg, forward direction) described below. However, the default direction and the specific directio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패널 구동회로들은 복수의 표시 패널들(PNL-A,B,C,D)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널 구동회로들은, 분기 케이블(CAL)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 연결된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에 실장된 메모리 회로(MEM),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과 표시 패널(PN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필름(COF), 도전성 필름(COF) 상에 접합된 데이터 드라이버(SIC),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드라이버와 전원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nel driving circuits may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panels PNL-A, B, C, and D. The panel driving circuits include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connected to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a branch cable (CAL), a memory circuit (MEM) mounted on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and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A conductive film (C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panel (PNL), a data driver (SIC) bonded on the conductive film (COF), a gate driver and pow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can include

메모리 회로(MEM)는 패널 특성을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감마 세팅을 위한 보정 값, 픽셀들 간 구동 특성 편차/컬러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과 인접한 표시 패널들(PNL-A,B,C,D) 간의 경계부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 및 각종 화질 및 구동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회로(MEM)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EEPROM일 수 있다. 대용량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저용량 데이터는 EEPROM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circuit (MEM)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stores panel characteristics, a correction value for gamma setting, a first compensation value for compensating for driving characteristic deviation/color deviation between pixels and adjacent display panels (PNL-A). , B, C, and D) may include a second compensation value for compensating for the deviation of the boundary and various image quality and driving control data. The memory circuit MEM may be a flash memory and/or an EEPROM. Large-capacity data may be stored in flash memory, and low-capacity data may be stored in EEPROM.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들(PNL) 각각에는 입력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픽셀 어레이가 형성된다. 픽셀 어레이에는 다수의 픽셀들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배선들은 데이터 전압(Vdata)을 픽셀들에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신호(GSIG)를 픽셀들에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들(GL)과, 전원 전압을 픽셀들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a pixel array for reproducing an input image is formed on each of the display panels PNL. A plurality of pixels may be disposed in the pixel array, and signal lines for driving the pixels may be disposed. These signal wires include data lines DL for supplying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pixels, gate lines GL for supplying the gate signal GSIG to the pixels, and power supply voltage to the pixels. It may include power lines for supplying.

픽셀들 각각은 마이크로 LED 칩(μLED chip)을 발광 소자(EL)로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LED 칩(μLED chip)들은 TFT 백 플레인(Thin Film Transistor Backplane) 상에 위치하는 적색 칩(μLED chip_R)들, 녹색 칩(μLED chip_G)들, 및 청색 칩(μLED chip_B)들을 포함할 수 있다. R 픽셀은 적색 칩(μLED chip_R)을 발광 소자(EL)로 포함하고, G 픽셀은 녹색 칩(μLED chip_G)을 발광 소자(EL)로 포함하고, B 픽셀은 청색 칩(μLED chip_B)을 발광 소자(EL)로 포함한다.Each of the pixels may include a micro LED chip (μLED chip) as a light emitting element EL. Micro LED chips (μLED chips) may include red chips (μLED chip_R), green chips (μLED chip_G), and blue chips (μLED chip_B) positioned on a TFT back plane (Thin Film Transistor Backplane). The R pixel includes a red chip (μLED chip_R) as a light emitting element (EL), the G pixel includes a green chip (μLED chip_G) as a light emitting element (EL), and the B pixel includes a blue chip (μLED chip_B) as a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 as (EL).

마이크로 LED 칩(μLED chip)들은 R/G/B 도너(donor)들로부터 전사됨으로써 TFT 백 플레인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적색 칩(μLED chip_R)들은 R 도너(R Donor)로부터 전사되고, 녹색 칩(μLED chip_G)들은 G 도너(G Donor)로부터 전사되며, 청색 칩(μLED chip_B)들은 B 도너(B Door)로부터 전사될 수 있다. 전사 기술은 정전기력, 레이저, 속도 의존적인 점착력, 하중 의존적인 점착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사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기력에 기반한 자기 조립을 이용할 수도 있다.Micro LED chips (μLED chips) can be mounted on a TFT back plane by being transferred from R/G/B donors. Red chips (μLED chip_R) are transferred from the R donor (R Donor), green chips (μLED chip_G) are transferred from the G donor (G Donor), and blue chips (μLED chip_B) are transferred from the B donor (B Door). can The transfer technology may use electrostatic force, laser, speed-dependent adhesive force, load-dependent adhesive force, and the like. The transfer technique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lf-assembly based on electromagnetic force may be used.

TFT 백 플레인은 효율적인 구동을 위해 액티브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FT 백 플레인 상에서,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과 전원 라인들에 의해 픽셀들이 정의될 수 있다. The TFT back plane may have an active matrix structure for efficient driving. On the TFT back plane, pixels may be defined by data lines DL, gate lines GL, and power lines.

복수의 픽셀들이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GL)의 연장 방향 또는 데이터 라인(DL)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된 R(적색), G(녹색),B(청색) 픽셀들이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pixels may constitute one unit pixel. For exampl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ate line GL or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ata line DL, R (red), G (green), and B (blue) pixels adjacently disposed constitute one unit pixel. can do.

도 5와 같이, 일 픽셀(PXL)은 발광 소자(EL), 구동 TFT(DT), 및 노드 회로(NCON)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one pixel PXL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EL, a driving TFT DT, and a node circuit NCON.

노드 회로(NCON)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될 수 있다. 노드 회로(NCON)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게이트 신호(GSIG)를 공급받는다. 노드 회로(NCON)는 게이트 신호(GSIG)에 동기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구동 전류의 생성 조건에 맞게 셋팅할 수 있다. 노드 회로(NCON)는 구동 TFT(DT)의 문턱 전압 및/또는 전자 이동도를 센싱하여 보상하는 내부 보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de circuit NCON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The node circuit NCON receives the data voltage Vdata from the data line DL and receives the gate signal GSIG from the gate line GL. The node circuit NCON applies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FT D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ate signal GSIG, so that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and source of the driving TFT DT meets the driving current generation condition. can be set appropriately. The node circuit NCON may include an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that senses and compensates for the threshold voltage and/or electron mobility of the driving TFT DT.

구동 TFT(DT)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에 대응하여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소자이다.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은 노드 회로(NCON)에 연결되고, 제1 전극(드레인 전극)은 고전위 픽셀전원(VDD)에 연결되며, 제2 전극(소스 전극)은 발광 소자(EL)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TFT (DT) is a driving element that generates a driving current in response to a gate-source voltag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FT (DT) is connected to the node circuit (NCON), the first electrode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high potential pixel power supply (VDD), and the second electrod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EL). can be connected to

발광 소자(EL)는 구동 TFT(DT)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세기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이다. 발광 소자(EL)는 무기 발광층을 포함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은 구동 TFT(DT)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저전위 픽셀전원(VSS)에 연결된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with a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urrent input from the driving TFT DT. The light emitting element EL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an 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first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FT (DT), and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low potential pixel power supply (VSS).

이러한 일 픽셀(PXL)의 연결 구성 및 동작은 일 예시일 뿐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TFT(DT)와 노드 회로(NCON)는 PMOS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고 NMOS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노드 회로(NCON)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GL)이 복수개일 수 있다. Since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ne pixel (PXL) is only an exampl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riving TFT (DT) and the node circuit (NCON) may be implemented based on PMOS or NMOS. Als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may be connected to the node circuit NCON.

도 6 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의 인터페이싱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ing structure of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세트 보드(SET)와 표시 모듈들의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을 연결하는 제1 인터페이스 회로는, 양방향 듀얼(Dual)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표시 모듈들(CB) 간에 개별적인 양 방향 직렬 통신이 가능해지므로 짧은 통신 선로가 확보될 수 있고, 짧은 통신 선로를 통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의 속도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interface circuit connecting the set board SET and the first to n 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of the display modules includes a bi-directional dual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Since individual two-way serial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display modules CB by the first interface circuit, a short communication line can be secured, and the speed and reliability of large-capacity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short communication line can be improved.

양방향 듀얼 SPI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 각각은 제1 마스트 포트, 제1 슬레이브 포트, 제2 마스트 포트, 및 제2 슬레이브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To implement bidirectional dual SPI, each of the first to n 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includes a first master port, a first slave port, a second master port, and a second slave port. can do.

제1 마스트 포트와 제1 슬레이브 포트는 정 방향 SPI(F-SPI)를 통해 이웃한 타이밍 제어부로 제어 명령 신호(예컨대, 도 7의 CMD)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마스트 포트와 제2 슬레이브 포트는 역 방향 SPI(R-SPI)를 통해 이웃한 타이밍 제어부로 제어 응답 신호(예컨대, 도 7의 ACK)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master port and the first slave port are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eg, CMD in FIG. 7 ) to a neighboring timing controller through forward SPI (F-SPI). The second master port and the second slave port are for transferring a control response signal (eg, ACK in FIG. 7 ) to a neighboring timing controller through reverse SPI (R-SPI).

도 6을 참조하면, 세트 보드(SET)와 표시 모듈들의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을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 회로는, 고속 및 대용량의 데이터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단방향 V-by-One(Vx1)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interface circuit connecting the set board SET and the first to n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of the display modules is unidirectional capable of high-speed and large-capacity data interfacing. It can be implemented as V-by-One (Vx1).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에서 영상 분할을 위한 모듈 식별 번호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일 예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in which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for image segmentation are automatically set in the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은, 제1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전송 받은 제어 명령 신호(CMD)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모듈 식별 번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 결과를 포함한 제어 응답 신호(ACK)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세트 보드(SET)로 피드백한다. 이러한 "Auto nID 셋팅 프로세스"는 파워 온 시퀀스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파워 온 시퀀스 구간은, 타일링 표시장치에서 동작 전원이 켜진 후부터 화면 출력 전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to n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sequentially generat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CMD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nterface circuit, , the control response signal (ACK) including the generation result is fed back to the set board (SET) through the first interface circuit. This “Auto nID set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power-on sequence period. The power-on sequence period may be a time from when operating power is turned on in the tiling display device to before screen output.

"Auto nID 셋팅 프로세스"를 도 8을 결부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Auto nID setting process” will be amplified with reference to FIG. 8 as follows.

세트 보드(SET)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 신호(CMD)는 정 방향 SPI를 통해 제1 내지 제8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로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전달될 수 있다. 1 데이터 전송 패킷은 헤드 영역(H)과 데이터 영역(D)과 인포메이션 영역(I)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모듈 식별 번호의 생성을 위한 제어 명령 신호(CMD)는 헤드 영역(H)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 각각은 헤드 영역(H)에 있는 자동 nID 생성 명령 신호와 nID 설정값을 확인하여 자신의 모듈 식별 번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7) 각각은 자신의 nID값에 "1"을 더하여 헤드 영역(H)의 nID 설정값을 업데이트 한 후, 새로운 nID 설정값을 후순위 타이밍 제어부로 전송한다. The control command signal CMD generated by the set board SET may be sequentially upd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to eigh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through forward SPI. 1 A data transmission packet can be divided into a head area (H), a data area (D), and an information area (I),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CMD) for generating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is located in the head area (H). can do. Each of the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generates its own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by checking the automatic nID generation command signal and the nID set value in the head region H. Then, each of the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7 updates the nID set value of the head region H by adding “1” to its own nID value, and then transmits the new nID set value to the next-order timing controller. do.

제1 내지 제8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 각각에서 생성된 제어 응답 신호(ACK)는 역 방향 SPI를 통해 세트 보드(SET)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응답 신호(ACK)는 1 데이터 전송 패킷의 헤드 영역(H)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 각각은 헤드 영역(H)에 있는 ACK 명령 신호를 확인하여 자신의 제어 응답 신호(ACK)를 생성하고, 이를 헤드 영역(H)에 업데이트 한 후에 후순위 타이밍 제어부로 전송한다. The control response signal ACK generated by each of the first to eigh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may be transmitted to the set board SET through the reverse SPI. The control response signal (ACK) may be located in the head region (H) of one data transmission packet. Each of the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checks the ACK command signal in the head area (H) to generate its own control response signal (ACK), updates it in the head area (H), and sent to the timing controller.

세트 보드(SET)는 제어 응답 신호(ACK)를 체크한 후에 이상이 없으면 "Auto nID 셋팅 프로세스"를 종료한다.After checking the control response signal (ACK), the set board (SET) terminates the "Auto nID setting process" if there is no problem.

세트 보드(SET)는 "Auto nID 셋팅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 “Auto 영상 좌표 인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Auto 영상 좌표 인식 프로세스”는 각 표시 모듈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라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각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하는 프로세스이다. “Auto 영상 좌표 인식 프로세스”도 파워 온 시퀀스 구간 내에서 이뤄질 수 있다.The set board (SET) performs the “Auto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Process” after the “Auto nID Setting Process” is finished. “Auto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process” is a process of setting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odule images for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display module. “Auto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within the power-on sequence section.

도 9는 모듈 식별 번호의 자동 설정을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1 및 제2 옵션 핀들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option pins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 setting of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도 9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은 각각 제1 내지 제n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1~CPCBn)에 실장된다. 제1 내지 제n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n) 중에서,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는 세트 보드(SET)와 연결되는 첫번째 타이밍 제어부이고,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는 마지막번째 타이밍 제어부이다. 세트 보드(SET)는 전술한 "Auto nID 셋팅 프로세스"를 위해 적어도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와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의 연결 위치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to n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are mounted on the first to nth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PCB1 to CPCBn, respectively. Among the first to nth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n,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is a first tim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t board SET, and the nth timing controller TCON#n ) is the last timing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board (SET)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connection positions of at least the first timing control unit (TCON#1) and the n-th timing control unit (TCON#n) for the aforementioned “Auto nID setting process”.

이를 위해,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는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 제1 옵션핀(S-Pin1)과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 제2 옵션핀(S-Pin2)을 포함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에 대한 제1 및 제2 옵션핀들(S-Pin1, S-Pin2)의 논리 조합, '11'을 기반으로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가 자신과 직접 연결된 첫번째 타이밍 제어부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includes a first option pin S-Pin1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and a second option pin S-Pin2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can include The set board SET is based on the logical combination of '11' of the first and second option pins S-Pin1 and S-Pin2 for the first timing control unit TCON#1, and the first timing control unit TCON#. It can be recognized that 1) is the first timing controller directly connected to itself.

또한,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는 로우 로직 전원(GND)에 연결된 제1 옵션핀(S-Pin1)과 플로팅 된 제2 옵션핀(S-Pin2)을 포함할 수 있다.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는 제2 옵션핀(S-Pin2)의 플로팅 전위를 로우 로직 전위로 인식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에 대한 제1 및 제2 옵션핀들(S-Pin1, S-Pin2)의 논리 조합, '00'을 기반으로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가 마지막번째 타이밍 제어부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Also, the nth timing controller TCON#n may include a first option pin S-Pin1 connected to the low logic power supply GND and a floating second option pin S-Pin2. The nth timing controller TCON#n may recognize the floating potential of the second option pin S-Pin2 as a low logic potential. The set board SET is based on the logical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tion pins S-Pin1 and S-Pin2 for the n-th timing control unit TCON#n, '00', and the n-th timing control unit TCON#. It can be recognized that n) is the last timing controller.

한편,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와 제n 타이밍 제어부(TCON#n)를 제외한 나머지 타이밍 제어부들(TCON#2~TCON#n-1)은 각각, 로우 로직 전원(GND)에 연결된 제1 옵션핀(S-Pin1)과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 제2 옵션핀(S-Pin2)을 포함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제2 내지 제n-1 타이밍 제어부들 (TCON#2~TCON#n-1)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옵션핀들(S-Pin1, S-Pin2)의 논리 조합, '01'을 기반으로 제2 내지 제n-1 타이밍 제어부들 (TCON#2~TCON#n-1)이 첫번째 및 마지막번째 타이밍 제어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밍 제어부들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except for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and the nth timing controller TCON#n, the remaining timing controllers TCON#2 to TCON#n-1 are each connected to the low logic power supply GND. It may include 1 option pin (S-Pin1) and a second option pin (S-Pin2) connected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3.3V). The set board SET includes a logical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option pins S-Pin1 and S-Pin2 for each of the second to n-1th timing controllers TCON#2 to TCON#n-1, Based on '01',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econd to n−1 th timing controllers (TCON#2 to TCON#n−1) are timing controller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last timing controllers.

도 10a 내지 도 10d는 타일링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표시 모듈들 간의 비정형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10A to 10D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atyp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display modules for implementing a tiling display device.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세트 보드(SET)의 연결 위치 및 시스템 제작 방법 등에 따라, 표시 모듈들 간의 연결 구조가 비정형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A to 10D ,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display modules may be irregular depending on a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t board SET and a system manufacturing method.

표시 모듈들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모듈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모듈들에 포함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은 인터페이스 케이블(CBL)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은 내부 인터페이스 회선들을 통해 패널 구동회로들에 연결된다. 표시 모듈들의 연결 상태에서 내부 인터페이스 회선들이 꼬이지 않도록,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이 고정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정방향으로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할 때, 영상 데이터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타이밍 제어부로 입력되고, 타이밍 제어부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우측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과 이웃한 타이밍 제어부들 간의 인터페이스 케이블(CBL) 길이를 고려할 때, 기수번째 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우수번째 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s display module images divided from the input imag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included in the displa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face cable (CBL). Timing control units (TCON#1 to TCON#8) mounted on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are connected to panel driving circuits through internal interface lines.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the image data may be designed to be fix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the internal interface lines are not twisted when the display modules are connected. That is, ba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image data is input to the timing controller from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to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s can be designed. Considering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length of the interface cable (CBL) between neighboring timing controllers,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arranged in odd-numbered rows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excellent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disposed in the second row may b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도 10a에서, 제1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1~TCON#4에 대응됨)은 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5~TCON#8에 대응됨)은 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타이밍 제어부에 설정된 방향 인지 핀의 논리값 정보로부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알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에 부여된 모듈 식변 번호들(nID 1~nID 8)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의 배치 방향에 따라,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1,1)~(2,4))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한다. 모듈 영상 좌표값이 "(a, b)"으로 대표될 때, "a"는 입력 영상에서 모듈 영상이 위치하는 행 좌표가 되고, "b"는 입력 영상에서 모듈 영상이 위치하는 열 좌표가 된다. 이 경우,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를 갖는 제1 표시 모듈에는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5 타이밍 제어부(TCON#5)를 갖는 제5 표시 모듈에는 (2,4)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전체 해상도가 3840*2160일 때,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은 “1~96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108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 일 모듈 영상을 나타내고, (2,4)의 모듈 영상 좌표값은 “2881~384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081~216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 일 모듈 영상을 나타낸다.For example, in FIG. 10A,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orresponding to TCON#1 to TCON#4) disposed in the first row may be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disposed in the second row (corresponding to TCON#5 to TCON#8) can be arr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t board (SET) can know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from the logic value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set in the timing controller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The set board (SET) is a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according to the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nID 1 to nID 8) assigned to the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Image coordinate values ((1,1) to (2,4))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are set for each display module. When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is represented by "(a, b)", "a" becomes the row coordinate where the module image is located in the input image, and "b" becomes the column coordinate where the module image is located in the input image. . In this case,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1) is set in the first display module having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and the fifth display module having the fifth timing controller TCON#5 (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2 and 4) may be set. When the total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is 3840*2160,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1) has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1 to 96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 to 1080” It represents one module image, an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2,4) represents one module image having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2881 to 384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081 to 2160”.

그리고, 도 10b에서, 제1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5~TCON#8에 대응됨)은 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1~TCON#4에 대응됨)은 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타이밍 제어부에 설정된 방향 인지 핀의 논리값 정보로부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를 갖는 제1 표시 모듈에는 (2,4)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5 타이밍 제어부(TCON#5)를 갖는 제5 표시 모듈에는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전체 해상도가 3840*2160일 때, (2,4)의 모듈 영상 좌표값은 “1~96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108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 일 모듈 영상을 나타내고,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은 “2881~384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081~216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 일 모듈 영상을 나타낸다.And, in FIG. 10B,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orresponding to TCON#5 to TCON#8) disposed in the first row may be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TCON) disposed in the second row Corresponding to #1 to TCON#4) can be arr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t board (SET) can know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from the logic value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set in the timing controller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cas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2,4) are set in the first display module having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and in the fifth display module having the fifth timing controller TCON#5 (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1,1) may be set. When the total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is 3840*2160,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2,4) has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1 to 96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 to 1080” It represents one module image, an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1) represents one module image having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2881 to 384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081 to 2160”.

그리고, 도 10c에서, 기수번째 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s#3,4,7,8에 대응됨)은 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우수번째 행에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TCONs#1,2,5,6에 대응됨)은 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트 보드(SET)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타이밍 제어부에 설정된 방향 인지 핀의 논리값 정보로부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를 갖는 제1 표시 모듈에는 (4,2)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5 타이밍 제어부(TCON#5)를 갖는 제5 표시 모듈에는 (2,2)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될 수 있다. 10C,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orresponding to TCONs#3, 4, 7, and 8) disposed in odd-numbered rows may be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disposed in even-numbered rows (corresponding to TCONs#1,2,5,6) can be arr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t board (SET) can know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from the logic value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set in the timing controller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case,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4,2) is set in the first display module having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and the fifth display module having the fifth timing controller TCON#5 (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2,2) may be set.

동일한 방법으로, 도 10d에서,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에 (2,2)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제어부(TCON#2)에 (2,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3 타이밍 제어부(TCON#3)에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되고, 제4 타이밍 제어부(TCON#4)에 (1,2)의 모듈 영상 좌표값이 설정될 수 있다.In the same way, in FIG. 10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2,2) is set in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and the module image of (2,1) is set in the second timing controller TCON#2. A coordinate value is set, a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1) is set in the third timing controller TCON#3, and a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2) is set in the fourth timing controller TCON#4. can be set.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일 모듈 영상은 콘트롤 인쇄회로 기판에 설치된 4개의 영상 출력 포트들로 재분배됨으로써, 4개의 표시 패널들에서 분할 표시된다. 1 모듈 영상을 4 서브 영상들로 재분배하는 동작은 모든 타이밍 제어부들에서 수행된다. 서브영상 재매칭 동작은 모듈 영상을 서브 영상들로 재분배할 때 생기는 영상 반전/뒤섞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타이밍 제어부에서만 수행된다. 즉, 서브영상 재매칭 동작은 세트 보드(SET)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며, 미리 설정된 디폴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만을 대상으로 한다. 디폴트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들 각각은, 일 모듈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4개의 영상 출력 포트들로 재분배함으로써, 영상 왜곡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FIGS. 10A to 10D , one module image is redistributed to four image output ports installed on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it is divided and displayed on four display panels. An operation of redistributing 1 module image into 4 sub-images is performed by all timing controllers. The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a specific timing control unit in order to prevent an image inversion/mixing phenomenon occurring when module images are redistributed into sub-images. That is, the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t board SET, and targets only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dispo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preset default direction. Each of the timing controller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dispo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efault direction redistributes one module image to four image output ports differently from the preset default distribution order, thereby preventing image distortion in advance. can

도 11a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디폴트 배치 구조에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이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매칭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b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반전 배치 구조에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이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매칭되지 않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image and an output image are identically matched to a default distribution order in a default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FIG. 11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image and an output image are not identically matched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in the inverte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도 11a 및 도 11b에서, 디폴트 방향은 정방향일 수 있다.11A and 11B, the default direction may be the forward direction.

도 11a를 참조하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디폴트 방향으로 배치된 일 표시 모듈에 모듈 영상(MI)이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TCON)는 모듈 영상(MI)을 4개의 서브 영상들(A,B,C,D)로 분할하고, 서브 영상들(A,B,C,D)을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라 4개의 출력 포트들로 분배한다. Referring to FIG. 11A , when a module image MI is input to one display module in which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arranged in a default direction, the timing controller TCON divides the module image MI into four sub-images ( A, B, C, D), and the sub-images A, B, C, D are distributed to four output ports according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도 11b를 참조하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디폴트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방향으로 배치된 일 표시 모듈에 모듈 영상(MI)이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TCON)는 모듈 영상(MI)을 4개의 서브 영상들(A,B,C,D)로 분할하고, 서브 영상들(A,B,C,D)을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4개의 출력 포트들로 분배한다.Referring to FIG. 11B, when a module image MI is input to one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a direction rotated by 180 degrees from the default direction, the timing controller TCON outputs the module image MI. It is divided into four sub-images (A, B, C, and D), and the sub-images (A, B, C, and D) are distributed to four output ports differently from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르면, 타이밍 제어부(TCON)는 서브 영상 A를 제1 출력 포트(TA)를 통해 제1 표시 패널(PNL-A)로 출력하고, 서브 영상 B를 제2 출력 포트(TB)를 통해 제2 표시 패널(PNL-B)로 출력하고, 서브 영상 C를 제3 출력 포트(TC)를 통해 제3 표시 패널(PNL-C)로 출력하고, 서브 영상 D를 제4 출력 포트(TD)를 통해 제4 표시 패널(PNL-D)로 출력한다. According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the timing controller TCON outputs the sub-image A to the first display panel PNL-A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 TA, and outputs the sub-image B through the second output port TB.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panel PNL-B through the third display panel PNL-B, output the sub image C to the third display panel PNL-C through the third output port TC, and output the sub image D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 through the fourth display panel PNL-D.

도 11a에 따르면, 표시 패널들에서 구현되는 출력 영상이 입력 모듈 영상(MI)과 동일하게 매칭된다. 즉, 모듈 영상(MI)이 영상 반전이나 영상 뒤섞임 없이 입력된 그대로 4개의 표시 패널들에 표시된다. 따라서, 도 11a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디폴트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모듈에서, 서브영상 재매칭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는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된다.According to FIG. 11A , an output image implemented in display panels is equally matched with an input module image MI. That is, the module image MI is displayed on the four display panels as it is input without image inversion or image mixing. Therefore, in the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default direction as shown in FIG. 11A, the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does not need to be performed. In this case, image data of sub-images is distributed to the first to fourth output ports TA, TB, TC, and TD in the same default distribution order.

이에 반해, 도 11b에 따르면, 표시 패널들에서 구현되는 출력 영상이 입력 모듈 영상(MI)과 매칭되지 않는다. 즉, 입력 모듈 영상(MI)이 반전된 상태로 4개의 표시 패널들에 표시된다. 따라서, 도 11b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디폴트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모듈에서, 영상 반전을 없애기 위해 서브영상 재매칭 동작이 요구되며,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는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된다. 다시 말해, 서브 영상 A가 제4 출력 포트(TD)에 재매칭되고, 서브 영상 B가 제3 출력 포트(TC)에 재매칭되고, 서브 영상 C가 제2 출력 포트(TB)에 재매칭되고, 서브 영상 D가 제1 출력 포트(TA)에 재매칭된다.In contrast, according to FIG. 11B , the output image implemented in the display panels does not match the input module image MI. That is, the input module image MI is displayed on the four display panels in an inverted state. Therefore, in the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a direction rotated by 180 degrees from the default direction as shown in FIG. 11B, a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is required to eliminate image reversal, and the image data of the sub-images is defaulted. Different from the distribution order, it is distributed to the first to fourth output ports TA, TB, TC, and TD. In other words, sub-image A is re-matched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sub-image B is re-matched to the third output port (TC), and sub-image C is re-match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B). , the sub image D is re-matched to the first output port TA.

도 12a 내지 도 12c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방향 인지 핀의 논리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2A to 12C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3 and 14 are views showing that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5 is a diagram showing logic values of direction recognition pi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각 표시 모듈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Lplate)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2A to 12C , each display module further includes a lower plate (L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상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배치 방향도 바뀐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2개의 배치 방향들을 나타내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는 제1 방향 인지 핀(D-Pin)이 구비된다. 제1 방향 인지 핀(D-Pin)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논리값이 다른 2개의 방향 정보들(예컨대, 정방향 배치 방향 정보와 역방향 배치 방향 정보)을 나타낼 수 있다.A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Sinc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fix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chan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order to indicate two disposition direc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is provided in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may indicate two pieces of direction information (eg, forward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and revers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log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하부 플레이트(Lplate)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서브 홀들(FH)과, 하이 로직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전원 연결홀(DH)이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홀(DH)은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홀(DH)은 제1 전원 라인(PL1)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되고,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다. A plurality of sub-holes FH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plate Lplate and a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 for connecting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are formed i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 may be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PL2. (3.3V).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바뀌는 것과 무관하게, 하부 플레이트(Lplate)는 특정 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고정된 채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체결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에는 제1 체결 소켓(DSK)이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서브 홀들(FH)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소켓들(FSK)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은 도전성 체결체(SRW)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을 체결하는 구성은 반드시 도전체일 필요가 없다.Regardless of wheth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hanged, the lower plate (Lplate) is fasten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while being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eg, forward direction). A first fastening socket DSK is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A plurality of sub sockets FSK corresponding to the sub holes FH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Lplate.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may be coupled with a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conductor.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제1 상부 위치와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 제1 전원 연결홀(DH)과 제1 체결 소켓(DSK)은 제1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체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제1 전원 연결홀(DH)과 제1 체결 소켓(DSK)이 제1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체결될 수 없다.Depending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first upper posi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may or may not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 and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 are fastened by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 and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 are fastened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can't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정방향(0도)일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이 제1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제1 체결 소켓(DSK)에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PL2)과 제1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15와 같이 논리값이 '1'인 정방향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forward direction (0 degre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source The connection hole DH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 by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5 ,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may transmit forward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 value of '1' to the set board.

반면에, 도 14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180도)일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비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과 제1 체결 소켓(DSK)에 미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되지 않는다.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은 하이 로직 전원(3.3V)로 연결되지 못하고 플로팅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15와 같이 논리값이 '0'인 역방향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everse (180 degrees) opposite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1 The power connection hole DH and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 are not connected, s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is not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and float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5 ,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may transmit revers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 value of '0' to the set board.

도 16a 내지 도 16c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각각 270도, 90도,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일 표시 모듈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제1 및 제2 방향 인지 핀들의 논리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6A to 16C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7 to 20 are views showing that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a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rotated 270 degrees, 90 degrees,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in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21 is a diagram showing logic values of first and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on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각 표시 모듈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Lplate)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6A to 16C , each display module further includes a lower plate (L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상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배치 방향도 바뀐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4개의 배치 방향들을 나타내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는 제1 방향 인지 핀(D-Pin1)과 제2 방향 인지 핀(D-Pin2)이 구비된다. 제1 방향 인지 핀(D-Pin1)과 제2 방향 인지 핀(D-Pin2)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논리값이 다른 4개의 방향 정보들(예컨대, 0도, 90도, 180도, 270도 배치 방향 정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A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Sinc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fix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chan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order to indicate the four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provided with a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and a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and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are four directions (eg, 0 degrees, 90 degrees) having different logic valu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degree, 180 degree, 27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하부 플레이트(Lplate)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서브 홀들(FH)과, 하이 로직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전원 연결홀(DH1)과 제2 전원 연결홀(DH2)이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홀(DH1)은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전원 연결홀(DH2)은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2 상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홀(DH1)은 제1 전원 라인(PL1)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1)에 연결되고,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다. 제2 전원 연결홀(DH2)은 제3 전원 라인(PL3)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2 방향 인지 핀(D-Pin2)에 연결되고, 제4 전원 라인(PL4)을 통해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다.I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 plurality of sub-holes (FH)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plate (Lplate), a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for connection with a high logic power supply. ) is forme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is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the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is mounted,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around the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is mounted. It may be formed in an upper position.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PL2. (3.3V).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third power line PL3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through the fourth power line PL4. (3.3V).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바뀌는 것과 무관하게, 하부 플레이트(Lplate)는 특정 방향(예컨대, 0도, 정방향)으로 고정된 채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체결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에는 제1 체결 소켓(DSK1)이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2 하부 위치에는 제2 체결 소켓(DSK2)이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서브 홀들(FH)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소켓들(FSK)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은 도전성 체결체(SRW)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gardless of wheth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hanged, the lower plate Lplate is fasten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while being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eg, 0 degree, forward direction). A first fastening socket DSK1 is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and a second fastening socket DSK2 is formed at a second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A plurality of sub sockets FSK corresponding to the sub holes FH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Lplate.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may be coupled with a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과 하부 플레이트(Lplate) 간의 기구적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은 동일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서브 홀들(FH) 간의 간격과 이웃한 서브 소켓들(FSK)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are identical to enable mechanical fastening betwe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the lower plate (Lplate). It can be implemented as a number. In particular,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holes FH and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sockets FSK may be design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제1 및 제2 상부 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원 연결홀들(DH1,D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 도전성 체결체들(SRW)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위치들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전원 연결홀들(DH1,DH2)과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이 제1 및 제2 도전성 체결체들(SRW)을 통해 체결될 수 없다.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posi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of the lower plate (Lplate). It may or may not overlap with either on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positions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connection holes DH1 and DH2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and DSK2 are fasten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ies SRW.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upper positions do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the first and second power connection holes DH1 and DH2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DSK2) cannot be coupl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fasteners SRW.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과 동일한 정방향(0도)일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1)이 제1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제1 체결 소켓(DSK1)에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PL2)과 제1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1)에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과 동일한 정방향(0도)일 경우, 상기 제2 상부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제2 전원 연결홀(DH2)이 제2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제2 체결 소켓(DSK2)에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3 및 제4 전원 라인들(PL3,PL4)과 제2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2 방향 인지 핀(D-Pin2)에 연결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21과 같이 논리값이 '11'인 0도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the same positive direction (0 degre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The power connection hole DH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1 by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the same forward direction (0 degre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second upper position and the second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It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socket DSK2 by the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power lines PL3 and PL4 and the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As a result,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may transmit 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 value of '11' to the set board as shown in FIG. 21 .

도 18과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9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1)이 제1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제2 체결 소켓(DSK2)에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PL2)과 제1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1)에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9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2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제2 전원 연결홀(DH2)은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과 미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2 방향 인지 핀(D-Pin2)에 미 연결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21과 같이 논리값이 '10'인 90도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9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second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It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socket DSK2 by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and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9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second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is no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and DSK2 ,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may transmit 90-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 value of '10' to the set board.

도 19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1)은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과 미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1)에 미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2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제2 전원 연결홀(DH2)은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과 미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2 방향 인지 핀(D-Pin2)에 미 연결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21과 같이 논리값이 '00'인 180도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DSK2),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second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is no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and DSK2 ,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 the timing controller TCON may transfer 180-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 value of '00' to the set board.

도 20과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27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1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제1 전원 연결홀(DH1)은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DSK1,DSK2)과 미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1 방향 인지 핀(D-Pin1)에 미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27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2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제2 전원 연결홀(DH2)이 제2 도전성 체결체(SRW)에 의해 제1 체결 소켓(DSK1)에 체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3 및 제4 전원 라인들(PL3,PL4)과 제2 도전성 체결체(SR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제2 방향 인지 핀(D-Pin2)에 연결된다. 그 결과, 타이밍 제어부(TCON)는 도 21과 같이 논리값이 '01'인 270도 배치 방향 정보를 세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27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DH1)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DSK1, DSK2),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1)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rotated by 27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the second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DH2 has a second conductivity. It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DSK1 by the fastening body SRW,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power lines PL3 and PL4 and the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2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 the timing controller TCON may transmit 270-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having a logical value of '01' to the set board.

도 22 및 도 23은 표시 모듈들 간의 비정형 연결 구조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 모듈들의 모듈 영상 좌표값들이 설정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display modules are set based o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n atyp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display modules.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다양한 비정형 연결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케이스 1,2,3,4는 각각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부터 90도, 270도, 0도, 180도 회전된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케이스 1,2,3,4는 인터페이스 케이블(CBL)의 길이가 최적으로 구현되도록 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2 and 23 , in order to correspond to various atypical connection structures, cases 1, 2, 3, and 4 have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rrangement direction of 90 degrees, 270 degrees, and 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 may correspond to being rotated by 180 degrees. Cases 1, 2, 3, and 4 may be combined so that the length of the interface cable (CBL) is optimally implemented.

비정형 연결 구조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기준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른다. 예컨대, 케이스 1에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고, 케이스 2에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고, 케이스 3에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고, 케이스 4에서 영상 데이터의 입출력 방향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한다. In the irregular connection structure,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ba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depends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For example, in case 1,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i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case 2, the input and 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i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in case 3 In case 4,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is from left to right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in case 4,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image data is from right to left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세트 보드(SET)는 표시 모듈들로부터 수신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CPCB)의 배치 방향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 표시 모듈에 대한 모듈 영상 좌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et board (SET) may determin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for each display module based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PCB) received from the display modules.

세트 보드(SET)는 이전 및 현재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CPCB)의 배치 방향 정보들과, 이전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CP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을 조합하여, 현재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CP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을 계산할 수 있다.The set board (SET) combines th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 and current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PCB) an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the previous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PCB), and the current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s (CPCB). )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can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세트 보드(SET)는 TCON#2가 실장된 제2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을 계산하는 경우, 제1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인 (1,1)에 "열 좌표 +1"을 적용하여 모듈 영상 좌표값 (1,2)를 도출한다. 이는 케이스 3에서 케이스 1로 변하는 경우에 해당된다.For example, when the set board SET calculates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the second display module CB on which TCON#2 is mounte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the first display module CB (1,1 ) to derive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1,2) by applying "column coordinate +1".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changing from case 3 to case 1.

세트 보드(SET)는 TCON#3이 실장된 제3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을 계산하는 경우, 제2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인 (1,2)에 "행 좌표 +1"을 적용하여 모듈 영상 좌표값 (2,2)를 도출한다. 이는 케이스 1에서 케이스 1로 변하는 경우에 해당된다.When the set board (SET) calculates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the third display module (CB) on which TCON#3 is mounte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1,2) of the second display module (CB) are "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2,2) is derived by applying the coordinate +1".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changing from case 1 to case 1.

세트 보드(SET)는 TCON#4가 실장된 제4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을 계산하는 경우, 제3 표시 모듈(CB)의 모듈 영상 좌표값인 (2,2)에 "열 좌표 -1"을 적용하여 모듈 영상 좌표값 (2,1)를 도출한다. 이는 케이스 1에서 케이스 4로 변하는 경우에 해당된다.When the set board (SET) calculates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of the fourth display module (CB) in which TCON#4 is mounted,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2,2) of the third display module (CB) are "column".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2,1) is derived by applying the coordinate -1".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changing from case 1 to case 4.

도 24 및 도 25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4 and 25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각 표시 모듈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Lplate)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4 and 25 , each display module further includes a lower plate (L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상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배치 방향도 바뀐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치 방향들을 나타내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인지 핀(D-Pin)이 구비된다. 방향 인지 핀(D-Pin)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논리값이 다른 2개 이상의 방향 정보들(예컨대, 0도, 180도 배치 방향 정보들 또는, 0도, 90도, 180도, 270도 배치 방향 정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A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Sinc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fix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chan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order to indicate at least two or more disposition direc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t least on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is provided in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is two or more direction information (e.g., 0 degree, 18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or 0 degree, 90 degree , 180 degree, 27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하부 플레이트(Lplate)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서브 홀들과, 하이 로직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도전 패턴쌍들(CP1,CP2)이 형성된다. 도전 패턴쌍들(CP1,CP2)은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 패턴쌍들(CP1,CP2)은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또 다른 제1 상부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b-holes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plate Lplate and conductive pattern pairs CP1 and CP2 for connecting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are formed i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conductive pattern pairs CP1 and CP2 may be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The conductive pattern pairs CP1 and CP2 may be further formed at another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도전 패턴쌍들(CP1,CP2)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도전 패턴(CP1)과 제2 도전 패턴(CP2)을 포함한다. 제1 도전 패턴(CP1)은 제1 전원 라인(PL1)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되고, 제2 도전 패턴(CP2)은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다. The conductive pattern pairs CP1 and CP2 include a first conductive pattern CP1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CP2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CP1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CP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PL2. It is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through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바뀌는 것과 무관하게, 하부 플레이트(Lplate)는 특정 방향(즉, 0도)으로 고정된 채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체결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에는 제1 도전성 가스켓(GSK)이 형성된다. 제1 도전성 가스켓(GSK)은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또 다른 제1 하부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서브 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소켓들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은 도전성 체결체(SRW)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gardless of wheth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hanged, the lower plate (Lplate) is fasten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while being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ie, 0 degrees). A first conductive gasket GSK is formed at a first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The first conductive gasket GSK may be further formed at another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A plurality of sub-sockets corresponding to sub-hole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Lplate.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may be coupled with a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과 하부 플레이트(Lplate) 간의 기구적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홀들과 상기 서브 소켓들은 동일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서브 홀들 간의 간격과 이웃한 서브 소켓들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sub-holes and the sub-sockets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number so that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the lower plate (Lplate)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particular,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holes and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sockets may be design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제1 상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posi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may overlap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lower positions of the lower plate (Lplate), Maybe not.

상기 제1 상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하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경우(예를 들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 해당 중첩 위치에서 제1 도전 패턴(CP1)과 제2 도전 패턴(CP2)이 제1 도전성 가스켓(GSK)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PL2)과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CP1,CP2)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positions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lower positions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overlapping position ,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CP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CP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gasket GSK,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 PL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CP1 and CP2 may b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이에 반해,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 제1 도전 패턴(CP1)과 제2 도전 패턴(CP2)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eg,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 CP1)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CP2 are kept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cannot b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도 24 및 도 25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Lplate)에 연결된 경우에 있어, 타이밍 제어부(TCON)에서 배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13 및 도 14에서 기 설명된 내용과 유사하다.24 and 25,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L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the timing controller (TCON) generates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is similar to that previously described in FIGS. 13 and 14 .

도 24 및 도 25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Lplate)에 연결된 경우에 있어, 타이밍 제어부(TCON)에서 배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17 내지 도 20에서 기 설명된 내용과 유사하다.24 and 25,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L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0 degrees,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the timing controller (TCON) An operation of generating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in is similar to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도 26 및 도 27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표시 모듈의 제반 연결 구조에 관한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6 and 27 are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display modul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각 표시 모듈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Lplate)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6 and 27 , each display module further includes a lower plate (L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상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배치 방향도 바뀐다.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치 방향들을 나타내기 위해, 타이밍 제어부(TCON)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인지 핀(D-Pin)이 구비된다. 방향 인지 핀(D-Pin)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논리값이 다른 2개 이상의 방향 정보들(예컨대, 0도, 180도 배치 방향 정보들 또는, 0도, 90도, 180도, 270도 배치 방향 정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A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Sinc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fix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chan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order to indicate at least two or more disposition direc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t least on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is provided in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is two or more direction information (e.g., 0 degree, 18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or 0 degree, 90 degree , 180 degree, 270 degree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하부 플레이트(Lplate)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서브 홀들과, 하이 로직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푸쉬 스위치(SW)가 형성된다. 푸쉬 스위치(SW)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푸쉬 스위치(SW)는 타이밍 제어부(TCON)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또 다른 제1 상부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b-holes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plate Lplate and a push switch SW for connecting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are formed i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The push switch SW may be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The push switch SW may be further formed at another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TCON is mounted.

푸쉬 스위치(SW)는 제1 전원 라인(PL1)을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되고,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하이 로직 전원(3.3V)에 연결된다. The push switch SW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PL2. Connected.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바뀌는 것과 무관하게, 하부 플레이트(Lplate)는 특정 방향(즉, 0도)으로 고정된 채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 체결된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에는 제1 돌출부(PP)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PP)는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또 다른 제1 하부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Lplate)에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서브 홀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소켓들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홀들(FH)과 상기 서브 소켓들(FSK)은 도전성 체결체(SRW)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gardless of wheth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hanged, the lower plate (Lplate) is fasten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while being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ie, 0 degrees). A first protrusion PP is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The first protrusion PP may be further formed at another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Lplate. A plurality of sub-sockets corresponding to sub-hole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Lplate. The sub-holes FH and the sub-sockets FSK may be coupled with a conductive fastening body SR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과 하부 플레이트(Lplate) 간의 기구적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브 홀들과 상기 서브 소켓들은 동일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웃한 서브 홀들 간의 간격과 이웃한 서브 소켓들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sub-holes and the sub-sockets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number so that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nd the lower plate (Lplate)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 particular,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holes and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ub-sockets may be design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에 따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제1 상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하부 플레이트(Lplate)의 제1 하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posi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may overlap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lower positions of the lower plate (Lplate), Maybe not.

상기 제1 상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하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경우(예를 들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 해당 중첩 위치에서 제1 돌출부(PP)와의 접촉에 의해 푸쉬 스위치(SW)가 온 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PL2)과 푸쉬 스위치(SW)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positions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lower positions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overlapping position The push switch SW is turned on by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PP, and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is tim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and the push switch SW. It may b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control unit TCON.

이에 반해,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 푸쉬 스위치(SW)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하이 로직 전원(3.3V)이 타이밍 제어부(TCON)의 방향 인지 핀(D-Pin)에 연결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push switch (SW)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3.3V) cannot b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D-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CON).

도 26 및 도 27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및 18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Lplate)에 연결된 경우에 있어, 타이밍 제어부(TCON)에서 배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13 및 도 14에서 기 설명된 내용과 유사하다.26 and 27,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L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the timing controller (TCON) generates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is similar to that previously described in FIGS. 13 and 14 .

도 26 및 도 27에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각각 특정 방향으로부터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상태로 하부 플레이트(Lplate)에 연결된 경우에 있어, 타이밍 제어부(TCON)에서 배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도 17 내지 도 20에서 기 설명된 내용과 유사하다.26 and 27, wh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Lplat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0 degrees,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from a specific direction, respectively, the timing controller (TCON) An operation of generating arrangement direction information in is similar to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도 28 내지 도 31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른 입출력 영상 매칭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8 내지 도 31에서, "EPI-1, EPI-2, EPI-3"은 타이밍 제어부(TCON)와 패널 구동회로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 회선이다.28 to 31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nput/output image match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28 to 31, "EPI-1, EPI-2, EPI-3" are internal interface line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iming control unit (TCON) and panel driving circuits.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부(TCON)는 세트 보드로부터의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에 따라 모듈 영상의 분배 순서를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서브 영상 재매칭 동작을 통해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할 수 있다.28 to 31, the timing controller TCON makes the distribution order of module images the same as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according to the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et board or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through a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can be done differently.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르는 경우, 서브 영상 1은 제1 출력 포트(TA)를 통해 제1 표시 패널(PNL-A)로 출력되고, 서브 영상 2는 제2 출력 포트(TB)를 통해 제2 표시 패널(PNL-B)로 출력되고, 서브 영상 3은 제3 출력 포트(TC)를 통해 제3 표시 패널(PNL-C)로 출력되고, 서브 영상 4는 제4 출력 포트(TD)를 통해 제4 표시 패널(PNL-D)로 출력된다. According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sub image 1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panel PNL-A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 TA, and sub image 2 is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panel through the second output port TB. (PNL-B), sub image 3 is output to the third display panel (PNL-C) through the third output port (TC), and sub image 4 is output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It is output to the display panel (PNL-D).

도 28과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디폴트 방향(예컨대, 상기 정방향으로부터 90도 회전된 방향)과 동일한 케이스 1의 경우,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른 패널 출력 영상이 입력 모듈 영상(MI)과 동일하게 매칭된다. 즉, 모듈 영상(MI)이 영상 반전이나 영상 뒤섞임 없이 입력된 그대로 4개의 표시 패널들에 표시되기 때문에, 타이밍 제어부(TCON)은 서브영상 재매칭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타이밍 제어부(TCON)는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라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한다.As shown in FIG. 28, in case 1 in whi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default direction (eg, a direction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normal direction), the panel output image according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is different from the input module image MI. are matched equally. That is, since the module image MI is displayed on the four display panels as it is input without image reversal or image mixing, the timing controller TCON does not need to perform a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The timing controller TCON distributes image data of sub-images to the first to fourth output ports TA, TB, TC, and TD according to a default distribution order.

도 29 내지 도 31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디폴트 방향과 다른 케이스 2, 3, 4의 경우, 디폴트 분배 순서에 따른 패널 출력 영상이 입력 모듈 영상(MI)과 매칭되지 않는다. 이러한 영상 미스 매칭을 없애기 위해 케이스 2, 3, 4에서 서브 영상 재매칭 동작이 수행된다.29 to 31 , in cases 2, 3, and 4 in whi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different from the default direction, the panel output image according to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does not match the input module image MI. In order to eliminate such image mismatching, a sub-image re-ma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cases 2, 3, and 4.

구체적으로, 도 29의 케이스 2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정방향으로부터 270도 회전된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모듈에서,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는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된다. 다시 말해, 서브 영상 1이 제4 출력 포트(TD)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2가 제3 출력 포트(TC)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3이 제2 출력 포트(TB)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4가 제1 출력 포트(TA)로 재분배된다.Specifically, in the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a direction rotated by 270 degrees from the normal direction as in Case 2 of FIG. are distributed to (TA, TB, TC, TD). In other words, sub-image 1 is redistributed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sub-image 2 is redistributed to the third output port (TC), sub-image 3 is re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B), and sub-image is re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B). 4 is re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port TA.

또한, 도 30의 케이스 3과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정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모듈에서,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는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된다. 다시 말해, 서브 영상 1이 제2 출력 포트(TB)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2가 제4 출력 포트(TD)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3이 제1 출력 포트(TA)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4가 제3 출력 포트(TC)로 재분배된다.Also, in the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s in case 3 of FIG. , TD). In other words, sub-image 1 is re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B), sub-image 2 is redistributed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sub-image 3 is re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port (TA), and sub-image is re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port (TA). 4 is redistributed to the third output port (TC).

또한, 도 31의 케이스 4와 같이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이 정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방향으로 배치된 표시 모듈에서,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는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제1 내지 제4 출력 포트들(TA,TB,TC,TD)로 분배된다. 다시 말해, 서브 영상 1이 제4 출력 포트(TD)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2가 제1 출력 포트(TA)로 재분배되고, 서브 영상 4가 제2 출력 포트(TC)로 재분배된다. 다만, 서브 영상 3은 원래의 제3 출력 포트(TC)로 분배된다.In addition, in a display module in which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s disposed in a direction rotated by 180 degrees from the normal direction as in case 4 of FIG. (TA, TB, TC, TD). In other words, sub image 1 is redistributed to the fourth output port TD, sub image 2 is redistributed to the first output port TA, and sub image 4 is redistribu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TC. However, sub image 3 is distributed to the original third output port (TC).

도 32는 도 10a의 비정형 연결 구조를 갖는 표시 모듈들에 할당되는 4K 해상도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입력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제1 및 제5 표시 모듈들에 할당된 모듈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2 is a diagram showing input image data of 4K resolution allocated to display modules having the irregular connection structure of FIG. 10A. FIG. 33 is a diagram showing module image data allocated to first and fifth display modules among the input image data of FIG. 32 .

도 10a와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세트 보드(SET)는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에 부여된 모듈 식별 번호들(nID 1~nID 8)과,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들의 배치 방향에 따라,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1,1)~(2,4))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S. 10A, 32, and 33, the set board (SET) includes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nID 1 to nID 8) assigned to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1,1) to (2,4)) corresponding to module images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are set for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odules.

4K 해상도는 3840*2160이다. 타이밍 제어부들(TCON#1~TCON#8)은 4K 해상도를 구성하는 8개의 모듈 영상들(A1~A8)을 분담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1 타이밍 제어부(TCON#1)는 (1,1)의 모듈 영상 좌표값에 해당되는 제1 모듈 영상(A1)을 처리하고, 제5 타이밍 제어부(TCON#5)는 (2,4)의 모듈 영상 좌표값에 해당되는 제5 모듈 영상(A5)을 처리한다.4K resolution is 3840*2160. The timing controllers TCON#1 to TCON#8 divide and process eight module images A1 to A8 constituting 4K resolution. For example, the first timing controller TCON#1 processes the first module image A1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1,1), and the fifth timing controller TCON#5 processes (2 The fifth module image A5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of ,4) is processed.

제1 모듈 영상(A1)은 “1~96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108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다. 제5 모듈 영상(A5)은 “2881~3840”의 단위 가로 해상도(X)와 1081~2160”의 단위 세로 해상도(Y)를 갖는다.The first module image A1 has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1 to 96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 to 1080”. The fifth module image A5 has a unit horizontal resolution (X) of “2881 to 3840” and a unit vertical resolution (Y) of 1081 to 2160”.

도 3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의 자동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4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ontrol procedure of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장치의 자동 제어 방법은 파워 온 시퀀스 구간에서 수행되는 Auto nID 셋팅 프로세스(S2,S3)와 Auto 영상 좌표 인식 프로세스(S4,S5,S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4,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of a til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n Auto nID setting process (S2, S3) and an Auto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process (S4, S5, S6) performed in a power-on sequence section. includes

Auto nID 셋팅 프로세스(S2,S3)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Auto nID setting processes (S2 and S3)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Auto 영상 좌표 인식 프로세스(S4,S5,S6)는 도 12a 내지 도 31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Auto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processes (S4, S5, S6)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31 .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SET : 세트 보드 TCON: 타이밍 제어부
CPCB: 콘트롤 인쇄회로기판 D-Pin: 방향 인지 핀
DH: 전원 연결홀 DSK: 체결 소켓
PL1,PL2: 전원 라인 SRW: 도전성 체결체
CP1,CP2: 도전 패턴 GSK: 도전성 가스켓
SW: 푸쉬 스위치 PP: 돌출부
S-Pin1,S-Pin2: 옵션 핀
SET: set board TCON: timing control
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D-Pin: Direction recognition pin
DH: power connection hole DSK: fastening socket
PL1,PL2: power line SRW: conductive fastener
CP1,CP2: Conductive pattern GSK: Conductive gasket
SW: Push switch PP: Protrusion
S-Pin1,S-Pin2: Optional pins

Claims (18)

직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한 화면을 구성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모듈 영상들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모듈들; 및
상기 표시 모듈들의 연결 순서에 따른 모듈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각 표시 모듈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에 따라 상기 모듈 영상에 대응되는 모듈 영상 좌표값과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각 표시 모듈 별로 설정하는 세트 보드를 포함한 타일링 표시장치.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face circuit of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module images by dividing input image data constituting one screen; and
Module identification number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nection of the display modules are checked, and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s and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ule imag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display module. A til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t board set for each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모듈은,
상기 모듈 영상을 복수의 서브 영상들로 분할하는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패널들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를 실장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표시 패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출력 포트들을 갖는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세트 보드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모듈 영상 좌표값과 상기 영상 재매칭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포트들에 재매칭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timing controller for dividing the module image into a plurality of sub-images;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displaying the plurality of sub images;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with the timing controller and having a plurality of image output por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display panels;
The timing controller,
The tiling display device for re-matching the image data of the sub-images to the image output ports based on the module image coordinate value and the image re-matching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t 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미리 설정된 디폴트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디폴트 분배 순서와 동일하게 상기 영상 출력 포트들로 분배하고,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디폴트 방향과 다른 경우에, 상기 서브 영상들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폴트 분배 순서와 다르게 상기 영상 출력 포트들로 분배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iming controller,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a preset default direction, distributing the image data of the sub-images to the image output ports in the same preset default distribution order;
Distributing the image data of the sub-images to the image output ports differently from the default distribution order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different from the default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모듈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고정된 특정 방향으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1 하부 위치에 형성된 제1 체결 소켓과,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된 제1 전원 연결홀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제1 방향 인지 핀과 상기 제1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원 라인과,
하이 로직 전원과 상기 제1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이 제1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1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lower 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xed specific direction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fastening socket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a first power connection hole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high logic power supply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by a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s. A tiling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power lines and the first conductive faste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이 제1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1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by a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s. A tiling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power lines and the first conductive faste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비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과 상기 제1 체결 소켓이 서로 미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opposite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and the first fastening socket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appli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A tiling display that is not connected t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모듈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고정된 특정 방향으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1 하부 위치에 형성된 제1 체결 소켓과 제2 하부 위치에 형성된 제2 체결 소켓과,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된 제1 전원 연결홀과 제2 상부 위치에 형성된 제2 전원 연결홀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제1 방향 인지 핀과 상기 제1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원 라인과,
하이 로직 전원과 상기 제1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원 라인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제2 방향 인지 핀과 상기 제2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3 전원 라인과,
상기 하이 로직 전원과 상기 제2 전원 연결홀 사이에 연결된 제4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한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lower 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xed specific direction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fastening socket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socket formed at a second lower position;
a first power connection hole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hole formed at a second upper position;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high logic power supply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a third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second direction detec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The tiling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fourth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the high logic power supply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이 제1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1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홀이 제2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2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3 및 제4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2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2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by a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power lines and the first conductive fastener;
The second upper position and the second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socket by a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power supply connections. A tiling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power lines and the second conductive faste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90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2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이 상기 제1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2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1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홀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과 미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2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second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socket by the first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2 power lines and the first conductive fastener;
The second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is applied to the timing controller. A tiling display device not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180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과 미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고,
상기 제2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홀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과 미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2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is applied to the timing control unit. Un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The second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is applied to the timing controller. A tiling display device not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부터 270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제2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홀이 상기 제2 도전성 체결체에 의해 상기 제1 체결 소켓에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3 및 제4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2 도전성 체결체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2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부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위치들과 비 중첩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홀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소켓들과 미 체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제1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rotated 270 degrees from the specific direction,
The second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hole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socket by the second conductive fastening body,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power supply connection holes. 4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 unit through power lines and the second conductive fastener;
The first upper posi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ositions,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hole is not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ockets,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is applied to the timing control unit. A tiling display device not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recognition p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모듈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고정된 특정 방향으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1 하부 위치에 형성된 제1 도전성 가스켓과,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분리 형성된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과,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방향 인지 핀과 상기 제1 도전 패턴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원 라인과,
하이 로직 전원과 상기 제2 도전 패턴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한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lower 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xed specific direction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conductive gasket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a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a second conductive pattern separated and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 region where the timing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e til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high logic power supply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성 가스켓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을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gasket,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A tiling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hrough second power lin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비 중첩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opposite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kept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 tiling display that is not connected t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모듈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과 무관하게 고정된 특정 방향으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1 하부 위치에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실장된 영역 주변의 제1 상부 위치에 형성된 푸쉬 스위치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방향 인지 핀과 상기 푸쉬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원 라인과,
하이 로직 전원과 상기 푸쉬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한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lower plat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n a fixed specific direction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protrusion formed at a first low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a push switch formed at a first upper position around an area where the timing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push switch;
The til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between a high logic power supply and the push switch.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푸쉬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과 상기 푸쉬 스위치를 통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방향 인지 핀에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5,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same as the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overlap each other, and the push switch is turned on by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high logi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and the push switch. A tiling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through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방향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위치와 상기 제1 하부 위치가 서로 비 중첩되고, 상기 푸쉬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하이 로직 전원이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상기 방향 인지 핀에 미 연결되는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5,
Wh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opposite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 til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upper position and the first lower posi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push switch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and the high logic power supply is not connected to the direction recognition pin of the timing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들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들의 연결 순서에 따른 첫번째 타이밍 제어부는, 하이 로직 전원에 연결된 제1 옵션핀과 상기 하이 로직 전원에 연결된 제2 옵션핀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들의 연결 순서에 따른 마지막번째 타이밍 제어부는, 로우 로직 전원에 연결된 제1 옵션핀과 플로팅된 제2 옵션핀을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및 마지막번째 타이밍 제어부들을 제외한 나머지 타이밍 제어부들은 각각, 로우 로직 전원에 연결된 제1 옵션핀과 하이 로직 전원에 연결된 제2 옵션핀을 포함한 타일링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display modules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A first timing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of the display modules includes a first option pin connected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and a second option pin connected to the high logic power supply;
The last timing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of the display modules includes a first option pin connected to a low logic power supply and a floating second option pin,
The til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remaining timing controllers excluding the first and last timing controllers each include a first option pin connected to a low logic power supply and a second option pin connected to a high logic power supply.
KR1020220058046A 2021-12-31 2022-05-11 Tiling Display Device KR2023010387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1348425.2A CN116416924A (en) 2021-12-31 2022-10-31 Tiled display device
US17/977,741 US11822850B2 (en) 2021-12-31 2022-10-31 Til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4685 2021-12-31
KR1020210194685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873A true KR20230103873A (en) 2023-07-07

Family

ID=8715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046A KR20230103873A (en) 2021-12-31 2022-05-11 Til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8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216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41255B1 (en) Display device
US1116451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initialization voltage source extended along data line
US2018013781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20051619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154320A (en) Display apparatus
US11640799B2 (en) Display apparatus
US1099793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lock line connected to compensator
US11822850B2 (en) Tiling display apparatus
KR20170052719A (en) Display device
JP2024056866A (en) Display device
KR102409704B1 (en) Flexible film,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6312102B2 (en) Gate driver IC, chip-on-film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1273337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chrominace non-uniformity phenomenon of amoled display pannel
US11935501B2 (en) Tiling display apparatus
KR20230103873A (en) Tiling Display Device
US11646303B2 (en) Display device
KR20230103685A (en) Tiling Display Device
KR20190079487A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anel built-in gate driver
US9099039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220001050A (en)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977807B2 (en) Tiling display apparatus
US20240177686A1 (en) Tiling display apparatus
GB2622162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4122042A (en) Display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