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120A -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120A
KR20230103120A KR1020210193744A KR20210193744A KR20230103120A KR 20230103120 A KR20230103120 A KR 20230103120A KR 1020210193744 A KR1020210193744 A KR 1020210193744A KR 20210193744 A KR20210193744 A KR 20210193744A KR 20230103120 A KR20230103120 A KR 2023010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s
purchase
store
stor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랩투마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랩투마켓 filed Critical (주)랩투마켓
Priority to KR102021019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120A/en
Publication of KR2023010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은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Identifier)가 부여된 각종 상품을 진열하는 전시 장비; 상기 진열된 상품을 적재하여 보관하는 재고창고; 상기 전시 장비에 진열된 상품의 ID를 인식하고 구매 정보를 입력 받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에 따라 구매가 확정된 상품의 ID와 개수를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제공받아 상기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전송하는 매장 서버; 및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전송된 피킹 명령에 따라 상기 전시 장비 또는 상기 재고창고로부터 해당 상품을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상품을 픽업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 장비를 포함한다.A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A sho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 equipment disposed in a store and displaying various products to which IDs (Identifiers) are assigned; a stock warehouse for loading and storing the displayed products; a portable terminal that recognizes an ID of a product displayed on the display equipment and receives purchase information; a store server receiving a purchase list including IDs and numbers of products for which purchase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icking command for products included in the received purchase list; and a transfer device that collects corresponding products from the exhibition equipment or the stock warehouse according to the picking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tore server and transports the collected products to a pick-up location.

Description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에 진열된 상품을 쇼핑 카트에 담아 들고 다닐 필요없이 단말기의 앱 등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카트에 입력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자동 포장하여 픽업 또는 배송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a smart showcase, and more particularly, without the need to carry products displayed in a store in a shopping cart, enter them into a virtual cart provided by an app on a terminal, and automatically pack them when payment is completed. It relates to a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that picks up or delivers.

일반적으로, 대형상품매장이나 쇼핑센터 등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할 때, 고객은 구입한 상품을 바구니 또는 쇼핑 카트 등의 상품수납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매장을 들고 다닌다. 그리고 고객은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상품수납 이동수단에 담아 상품을 선택하고, 계산대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직접 계산대 등에 구입한 상품을 나열하여 값을 계산하거나, 매장 직원이 고객이 구입한 상품을 계산대 등에 구비된 포스(POS: Point of Sale) 단말기를 통해 상품에 붙은 상품의 명칭과 재화가치를 분류하는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로 읽어 들여 다시 이를 연산하여 상기 상품의 계산을 완료한다. 그 후, 사용자는 계산 완료된 상품을 차량으로 이동시켜 적재하고 상품이 소용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general, when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a product at a large-scale product store or shopping center, the customer carries the purchased product to the store using a product storage moving means such as a basket or a shopping cart. Then, the customer puts the products they want to purchase into the product storage vehicle, selects the product, moves to the checkout counter, and calculates the value by listing the purchased products directly at the checkout counter, or the store employee puts the purchased product at the checkout counter. Through the provided POS (Point of Sale) terminal, barcode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name and value of the product attached to the product is read as data and calculated again to complete the calculation of the product. After that, the user moves the calculated product to the vehicle, loads it, and moves it to a place where the product is used.

이와 같은 이유로 모든 고객들이 쇼핑 카트를 직접 끌고 쇼핑을 해야 하므로 매장이 매우 혼잡하고, 이동 중 충돌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에 따라 쇼핑 카트의 이동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매장의 면적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For this reason, all customers have to carry shopping carts by themselves, so the store is very crowded,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occur while mov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ea of the store increases in order to secure a passage for the shopping cart.

또한 쇼핑 카트 회수 등 관리 인력이 요구되며, 변심으로 인한 구매 취소시 상품을 원래 전시되어 있던 곳으로 가져다 놔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management personnel such as retrieval of shopping carts are required, and when a purchase is canceled due to a change of he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product must be returned to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displayed.

그리고 고객이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기 위해 구매한 상품을 쇼핑 카트에서 일일이 꺼냈다가 계산이 끝난 다음에는 다시 쇼핑 카트에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customers had to take out the purchased products from the shopping cart one by one to pay at the checkout counter and then put them back into the shopping cart after the checkout was finished.

또한, 매장 직원이 계산대에서는 일일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서 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계산을 하기 위해 계산대에서 고객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계산대 주변이 항상 복잡하여 고객의 불만이 날로 증가하였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calculation time was consumed because the store employee had to read the barcodes attached to the products one by one at the checkout counter and make calculations. As a result, customers wait in line at the checkout counter for a long time, and customer dissatisfaction increases day by day due to the fact that the area around the counter is always complicated.

계산대 수와 계산원을 더 늘려도 일일이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서 계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계산원의 수가 늘어나면 계산원의 인건비가 상품판매가 격에 부가되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더 비싼 값에 물건을 구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Even if the number of cashiers and cashiers are increased, it is cumbersome because they have to read the barcodes of each product and make a calculation. there wa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35922호에는 카트 내의 복수의 바코드 인식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품을 인식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매장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받아 계산하고, 계산된 상품에 대해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매장 서버와 결제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결제함으로써, 매장에서 계산 및 결제를 위하여 시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산원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여전히 카트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다.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Registration No. 10-1635922 recognizes products in real time using a plurality of barcode recognition units in the cart,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tor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lculates, and calculates By paying for products through linkage between the store server and the pay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no need to spend time for calculation and payment at the store, and costs can be reduced by reducing cashiers, but still using a cart There is discomfort caused by

등록특허공보 제10-1635922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3592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ID를 인식하여 가상 쇼핑 카트에 담아 구매를 완료하면, 재고창고에 저장된 상품을 포장하여 픽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배송해주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mobile terminal to recognize the ID of a product displayed on a shelf, put it in a virtual shopping cart, and complete a purcha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packs and picks up or deliv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류나 생선 등 신선 식품이나 반찬제품과 같이 동종상품 중에서도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요구되는 상품은 매대에 준비된 실제 상품을 모두 진열을 하고, 소비자가 이 중에서 선택한 상품을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하여 픽업할 수 있게 하거나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역시 쇼핑 카트를 끌고 다닐 필요가 없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ll the actual products prepared on the shelf for products tha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consumers among the same kind of products, such as fresh food such as meat or fish or side dish products, and to display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onsumer to a transport mea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not require carrying a shopping cart by being transported and picked up or deliver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쇼핑 시스템은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Identifier)가 부여된 제1상품(동종상품들은 품질과 규격이 동일하여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필요없는 상품)의 샘플을 진열하는 제1전시대;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1상품의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구매가 확정된 제1상품의 구매 리스트를 제공받아 상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전송하는 매장 서버; 및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전송된 피킹 명령에 따라 재고창고로부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제1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hopping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product to which an ID (Identifier) is assigned in a store (products of the same kind do no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consumers because they have the same quality and specifications) A first exhibition stand displaying samples of; a mobile terminal for inputting purchase information of a first product that the customer wants to purchase; a store server receiving a purchase list of a first product whose purchase is confirm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icking command for products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and a first transfer means for transporting a first product included in a purchase list from a stock warehouse to a pick-up location or a cash register according to a picking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tore server.

또한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Identifier)가 부여된 제2상품을 진열하는 제2전시대; 및 상기 제2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동종상품들도 품질과 규격이 상이하여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필요한 상품) 중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econd display stand disposed in the store and displaying a second product to which an ID (Identifier) is assigned; and a second transfer means for transport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mong the second products displayed o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products of the same kind tha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the consumer because the quality and specifications are different). It is desirable to do

또한 상기 제1전시대는 동종 상품간에 외관 및 품질이 동일한 제1상품의 샘플을 진열하고, 상기 제2전시대는 동종 상품이라도 외관 또는 품질이 상이한 제2상품의 실제 제품을 진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stand preferably displays samples of the first product having the same appearance and quality among products of the same kind,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preferably displays actual products of the second product having different appearance or quality even though they are of the same kind.

또한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상품과, 제2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2상품을 취합하여 포장하는 포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ckaging machine for collecting and packaging the first product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ans and the second product transported by the second transport means.

또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매장 서버를 통해 전송된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그 처리한 결과로 상기 결제완료 정보를 상기 매장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ayment server that receives a payment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tore server, processes paymen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and transmits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store server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more.

본 발명에 의한 쇼핑 방법은 제1전시대에 진열된 제1상품의 샘플을 보고 휴대 단말을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에 따라 구매가 확정된 제1상품을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매장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이송수단이 상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제1상품을 적재창고에서 픽업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hopp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viewing a sample of a first product displayed in a first exhibition stand and inputting purchas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purchase list including a first product whose purchase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a store server; and transferring, by a first transfer means, the first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from the storage warehouse to a pick-up location or cash register.

또한 제2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 중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fer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from among the second products displayed o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to a pick-up location or a checkout counter.

또한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상품과, 제2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2상품을 취합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ckaging step of collecting and packaging the first product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ans and the second product transported by the second transport means.

이처럼,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진열대에 진열된 샘플 상품의 ID를 인식하여 가상 쇼핑 카트에 담아 구매를 완료하면, 재고창고에 저장된 실제 상품이 자동 포장되어 픽업할 수 있게 하거나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쇼핑 카트를 끌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ID of a sample product displayed on a shelf using a mobile terminal and puts it in a virtual shopping cart to complete purchase, and the actual product stored in the inventory is automatically packed and picked up or delivered. No need to lug around the shopping cart.

그에 따라 매장의 면적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쇼핑 카트 관리 인력이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area of the store is drastically reduce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manpower or space for managing the shopping cart is unnecessary.

또한 매장 안에 설치된 진열대에는 샘플 상품만을 최소한으로 진열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진열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더 많은 종류의 상품을 전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sufficient to display only sample products on the shelves installed in the store, the display space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more types of products can be displayed.

또한 진열대에는 하나 또는 최소한의 샘플만을 진열하기 때문에 진열대의 재고관리와 재고창고의 재고관리를 이중으로 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since only one or a minimum number of samples are displayed on the shelf, there is no need to double inventory management on the shelf and inventory in the warehous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통해 구매 및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품 계산대의 혼잡을 줄일 수 있고, 계산대에서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urchase and payment are made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ongestion at the product checkout counter and reduce waiting time at the checkout counter.

또한, 본 발명은 구매 선택된 상품을 고객의 변심으로 인한 반품 처리 시 상품 저장창고에서 선택된 상품을 원래의 보관 장소로 자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move the selected product from the product storage warehouse to the original storage location when processing a return of the product selected for purchase due to a customer's change of mind.

한편, 육류나 생선 등 신선 식품이나 반찬 등 동종상품 중에서도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요구되는 상품(제2상품)은 매대에 준비된 실제 상품을 모두 진열을 하고, 소비자가 이 중에서 선택한 상품을 이송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 및 포장되어 픽업할 수 있게 하거나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역시 쇼핑 카트를 끌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for products tha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consumers (second product) among products of the same kind, such as fresh food such as meat or fish or side dishes, all actual products prepared on the shelf are displayed, and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onsumer is transport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By being automatically transported and packaged for pick-up or delivery, again, there is no need to lug around a shopping c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시 장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의 쇼핑 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매장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ho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exhibition equipment shown in FIG. 1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
5 is a diagram showing a virtual shopping cart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6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server shown in FIG. 1;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hop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despite different drawings. However, even in this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Judgment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s.

특히,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의 ID를 인식하여 가상 쇼핑 카트에 담아 구매를 완료하면, 상품 저장창고에 저장된 상품이 실제 쇼핑 카트에 담겨 출고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포장하여 픽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원하는 주소지로 배송하는 것도 가능한 새로운 쇼핑 시스템을 제안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bile terminal is used to recognize the ID of a product displayed on a shelf and put it in a virtual shopping cart to complete a purchase, the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warehouse is shipped in the actual shopping cart or automatically packed and picked up. can make it possible Furthermore, we propose a new shopping system that enables delivery to the desired addr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ho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은 휴대 단말(110), 제1전시대(121), 제2전시대(122), 매장 서버(130), 결제 서버(140), 재고창고(150), 제1이송수단(160), 제2이송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hop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a first exhibition stand 121, a second exhibition stand 122, a store server 130, a payment server 140, inventory It may include a warehouse 150, a first transport means 160, and a second transport means 170.

휴대 단말(110)은 매장에서 상품의 ID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고유한 ID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110)은 고객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이거나 매장에 배치되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인식 장비일 수 있다. 휴대 단말(110)은 고객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일 경우, 매장내에서 이용하는 스마트폰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사용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10 is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ID of a product in a store and may be assigned a unique ID. The portable terminal 110 may be a smart phone used by a customer or a separate recognition device disposed in a store to recognize a product to be purchased. If the mobile terminal 110 is a smart phone used by a customer, it is used after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a smart phone used in the store.

휴대 단말(110)은 제1전시대(121), 제2전시대(122)에 진열된 상품의 ID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여기서, 구매 정보는 예를들어, 상품의 ID, 상품의 개수, 쇼핑완료 예정시간, 결제완료 여부, 배송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10 may recognize IDs of products displayed on the first exhibition stand 121 and the second exhibition stand 122 and directly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for the recognized product from the customer. For example, it may include the ID of the product, the number of products, the expected shopping completion time, payment completion, and delivery.

휴대 단말(110)은 상품의 구매가 확정되면, 매장 서버(130)에 출고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urchase of the product is confirmed, the mobile terminal 110 may transmit a release command to the store server 130 .

휴대 단말(110)로부터 출고 명령이 전송되면, 매장서버(130)는 제1 이송수단(160)과 제2 이송수단(171)로부터 전달받은 상품들을 포장하여 사용자가 픽업할 장소 또는 포장하는 장소로 이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주소지로 배송을 준비한다. When a release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the store server 130 packs the products delivered from 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60 and the second transportation means 171 to a place where the user picks up or packs them. Transfer or arrange delivery to the address specified by the user.

제1전시대(121)는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가 부여된 제1상품의 샘플을 진열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시대(122)는 제2상품의 실제상품을 진열한다. The first display stand 121 may be disposed in a store and display a sample of a first product to which an ID is assigned.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stand 122 displays actual products of the second product.

상기 제1전시대(121)는 동종 상품간에 외관, 품질 및 규격이 동일한 제1상품의 샘플을 진열하고, 상기 제2전시대(122)는 동종 상품이라도 외관 또는 품질이 상이한 제2상품의 실제 제품을 진열하는 것이다. The first display stand 121 displays a sample of a first product having the same appearance, quality, and standard among products of the same kind, and the second display stand 122 displays an actual product of a second product having a different appearance or quality even though it is the same product. is to list.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시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hibition stand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시대(121)는 외관, 품질 및 규격이 동일한 상품군인 제1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데, 외관이나 포장 등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샘플 상품이 진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샘플 상품으로는 치약(211), 통조림(212), 라면(213) 및 과자(214)등의 공산품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display stand 121 may display a first product, which is a product group having the same appearance, quality, and standard. Sample products may be displayed because they have the same appearance or packaging. These sample products may include industrial products such as toothpaste 211, canned food 212, instant noodles 213, and sweets 214.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전시대(122)는 동종상품이라도 각각 외관, 품질 및 규격 등이 다른 상품군의 제2상품의 실제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데, 외관 등이 각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실제 상품이 진열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display stand 122 may display actual products of a second product of a product group having different appearances, quality, specifications, etc. even if they are products of the same type. Actual products must be on display.

이러한 제2상품(200B)은 예를 들어, 육류(221), 수산물(222), 야채(223), 반찬(224), 생선(225) 등의 신선 식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들은 소비자마다 선택기준이 상이하다. The second product 200B may include, for example, fresh foods such as meat 221, marine products 222, vegetables 223, side dishes 224, and fish 225. These products have different selection criteria for each consumer.

이렇게 제1상품과 제2상품을 구분하여 진열하는 이유는 제2상품은 고객이 상품의 상태를 직접 육안 등으로 확인한 후에 선택하기 때문에 샘플 상품이 아닌 실제 상품을 전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고기를 구매할 때 어떤 소비자는 상품의 색상이나 마블링의 형태 등을 보고 자신만의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first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are displayed separately is that the customer selects the second product after directly checking the state of the product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actual product, not the sample product, should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purchasing beef, some consumers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by looking at the color or marbling of the produc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매장 서버(130)는 휴대 단말(110)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110)로부터 구매가 확정된 상품의 ID와 개수를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제공받아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picking) 명령을 제1이송수단(160)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tore server 130 interworks with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receives a purchase list including IDs and numbers of products for which purchase is confirm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displays the provided purchase list. A picking command for the included produc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port means 160 .

이때, 매장 서버(130)는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이송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e server 130 may transmit a picking command for the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to the conveying equipment when payment for the product included in the provided purchase list is completed.

매장 서버(130)는 결제 서버(140)와 연동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를 결제 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완료 정보를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store server 130 interworks with the payment server 140, receives a payment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payment server to process payment for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and sends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ayment server in response. can be received from

결제 서버(140)는 매장 서버(130)와 연동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매장 서버(130)를 통해 전송된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그 처리한 결과로 결제완료 정보를 매장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yment server 140 interlocks with the store server 130, receives a payment request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tore server 130, processes paymen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and pays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tore server 130 .

재고창고(150)는 매장 지하 등 매장과 별도의 장소에 위치한다. The stock warehouse 150 is located in a place separate from the store, such as a store basement.

제1이송수단(160)은 매장 서버(130)와 연동하여, 매장 서버(130)로부터 피킹 명령을 받으면, 피킹 요청 받은 상품을 재고창고(150)로부터 수집하여 쇼핑 카트로 이송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160 may interwork with the store server 130 and, upon receiving a picking command from the store server 130, collect products requested for picking from the stock warehouse 150 and transfer them to the shopping cart.

제1이송수단(160)은 또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고객의 변심으로 반품 요청이 있는 경우 수집된 상품 중 반품 요청 받은 상품을 다시 재고창고(150)에 적재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60 may also load the returned goods requested in the stock warehouse 150 among the collected goods when there is a return request due to a change of mind of the customer regarding the purchased goods.

이때, 이송수단은 제1 이송수단(160)과 제2 이송수단(171)으로 구분되며, 제1 이송수단(160)은 휴대 단말을 통해 상품의 ID를 인식하게 되는 경우, 매장 밖이나 매장 지하에 위치하여 상품을 자동으로 입-출고 할 수 있는 재고창고(150)에 적재된 상품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쇼핑카트로 이송하고, 제2 이송수단(171)은 매장 내 제2 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을 고객이 직접 선택하는 경우 해당 실제 상품을 수집하여 매장 계산대로 이송하고, 이렇게 제1 이송수단(160)을 통해 이송된 상품과 제2 이송수단(171)을 통해 이송된 상품이 실제 쇼핑 카드에 담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ortation means is divided into 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60 and the second transportation means 171, and 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60 recognizes the ID of the produc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utside the store or underground Collects the products loaded in the stock warehouse 150, which is located in the store and transports the products to the user's shopping cart, and the second transport means 171 is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tand in the store. 2 When the customer directly selects the product, the corresponding actual product is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the store checkout, and the product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transport means 160 and the transported product through the second transport means 171 are used for actual shopping. can be put on a card.

또는 제1 이송수단(160)과 제2 이송수단(170)에 의해 이송된 상품들은 포장기를 이용하여 제1상품 및 제2상품을 박스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 상기 포장기는 공지의 수단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lternatively, the products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unit 160 and the second transport unit 170 may be automatically packaged in a box using a packaging machine. Since the packaging machine is a well-known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이송수단(171)은 제2전시대(122) 근처에 구비되는 토트(tote,171)와, 상기 토트(171)를 픽업장소 또는 포장기가 있는 장소로 이송하는 셔틀(172)과, 상기 셔틀(172)이 이동하는 이동경로(173)을 포함한다. 상기 토트(171)는 사용자가 구매선택한 제2상품을 담는 일종의 플라스틱 박스이고, 고객은 제2상품(200B)을 선택하여 토트(171)에 올려 놓으면 상기 토트(171)를 실은 셔틀(172)이 이동경로를 따라 픽업장소나 포장하는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을 하게 되고, 구매 리스트에 있는 제1상품과 함께 취합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ransport means 171 includes a tote 171 provided near the second exhibition stand 122 and transports the tote 171 to a pick-up place or a packaging machine. It includes a shuttle 172 that transports to a place where there is a shuttle 172 and a movement path 173 along which the shuttle 172 moves. The tote 171 is a kind of plastic box containing the second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and when the customer selects the second product 200B and puts it on the tote 171, the shuttle 172 carrying the tote 171 It is transported to a pick-up place, a packing place, or a cash register along the moving route, and i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first product on the purchase list.

예컨대, 고객이 선택한 실제 상품의 ID를 인식하고 고객이 직접 해당 상품의 토트(171)를 셔틀(172)에 태워서 보관랙으로 이송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서 쇼핑완료 버튼을 누르면 계산대나 상품을 포장하는 장소 또는 고객이 쇼핑 후 물품을 찾아가는 픽업장소로 상품을 이송하게 된다. 제2상품들이 이송되어 보관되는 보관랙은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장시설이 구비된다. For example, after recognizing the ID of the actu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the customer directly rides the tote 171 of the product on the shuttle 172 and transfers it to the storage rack,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hopping completion button on the mobile terminal, the checkout counter or product is packed. The product is transported to the place where the product is delivered or to the pickup location where the customer picks up the product after shopping. The storage rack in which the second products are transported and stored is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facility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products.

상기 토트(171)에도 고유한 ID가 부여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고객의 휴대 단말의 ID, 선택된 실제 상품의 ID, 토트(171)의 ID가 매칭되어 관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상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제2상품은 제2전시대에서 탈락하여 사용자의 고유한 ID가 부여된 토트(171)에 수납되고, 셔틀(172)을 타고 사용자를 따라 다니므로 사용자는 쇼핑 카트를 들거나 밀고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Since a unique ID is assigned to the tote 171 and managed, the ID of the customer's portable terminal, the ID of the selected actual product, and the ID of the tote 171 are matched and managed.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product, the selected second product is removed from the second exhibition stand, stored in the tote 171 to which the user's unique ID is assigned, and follows the user on the shuttle 172, so that the user There is no need to carry or push a shopping cart.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와 달리 토트(171)가 구비되지 않고, 여러 사용자가 선택한 제2상품들을 사용자의 구분없이 선택된 순서대로 상시 통행하는 셔틀(172)이나 컨베이어를 통해 보관랙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은 동종상품이라도 각 상품마다 고유 ID를 부여하고, 휴대 단말을 통해 전성된 구매 정보에 따라 보관랙에서는 제2상품들을 매장 서버에서 각 사용자마다 부여된 별도의 쇼핑 카트 또는 포장박스에 분류하여 수납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tote 171 is not provided, and the second products selected by several users can be transported to the storage rack through the always-passing shuttle 172 or conveyor in the selected order without discrimination by the user. there is. In this case, a unique ID is given to each second product displayed o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even if it is the same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s are assigned to each user in the store server in the storage rack according to the purchas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work of classifying and storing in a separate shopping cart or packing box is requir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휴대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의 쇼핑 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virtual shopping car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10)은 통신부(111), 입력부(112), 인식부(113), 제어부(114), 표시부(115),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portabl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 an input unit 112, a recognition unit 113, a control unit 114, a display unit 115, and a storage unit 116. ) may be included.

통신부(111)는 매장 서버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부(111)는 매장 서버에 구매 상품에 대한 출고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1 may transmit or 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store serv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1 may transmit a release command for purchased products to the store server.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부(112)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12 may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enu or key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2 may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on a purchased product.

인식부(113)는 상품의 ID 예를들어, 바코드(bar code),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을 인식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13 may recognize an ID of a product, for example, a bar co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RFID) tag, or a quick response code (QR code).

제어부(114)는 휴대 단말 내 각종 장치와 연동하여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each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various devices in the portable terminal.

표시부(115)는 ID를 인식한 상품의 구매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15)에는 가상의 쇼핑 카트(115a)에 담긴 상품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상 쇼핑 상태를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5 may display a purchase list of products for which the ID has been recognized on the screen. Referring to FIG. 5 , products contained in a virtual shopping cart 115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5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4 may turn on or off the virtual shopping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또한 표시부(115)에는 가상의 쇼핑 카트(115a)에 담긴 상품들을 구매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이 상품마다 표시되고, 총 구매금액과, 쇼핑완료를 선택하는 완료버튼이 표시된다. In addition, on the display unit 115, a cancel button for canceling the purchase of products in the virtual shopping cart 115a is displayed for each product, the total purchase amount, and a completion button for selecting shopping completion are displayed.

저장부(116)는 ID를 인식한 상품을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6 may store a purchase list including products whose IDs are recogniz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매장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server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서버(130)는 제1 통신부(131), 제2 통신부(132), 제3 통신부(133), 제어부(134), 데이터베이스(database)(1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tore serv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31,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32, a third communication unit 133, a control unit 134, and a database. (135) may be included.

제1 통신부(131)는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통신부(131)는 휴대 단말로부터 구매 정보에 따라 구매가 확정된 상품의 ID와 개수를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제공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1 may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1 may receive a purchase list including IDs and numbers of products for which purchase is confirmed according to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제2 통신부(132)는 이송 장치와 연동하여, 이송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통신부(132)는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이송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32 may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port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port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32 may transmit a picking command of a product included in the provided purchase list to the transfer equipment.

제3 통신부(133)는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 서버와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통신부(133)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서버에 전달하고, 그 전달된 결제요청 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 결과로 결제완료 정보를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133 may interwork with the payment server and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payment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133 transmits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ayment server, and as a result of processing paymen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s sent from the payment server. can receive

제어부(134)는 매장 서버 내 각종 장치와 연동하여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4 may control each function by interworking with various devices in the store server.

데이터베이스(135)는 휴대 단말의 ID, 이송 장치의 ID, 상품의 ID와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결제완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35 may store an ID of a mobile terminal, an ID of a transfer device, an ID of a product, a purchase list provid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ayment serv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hop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휴대 단말(110)은 사용자가 매장을 돌아다니면서 전시 장비에 진열된 상품 중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ID를 인식하고(S610), 구매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S611).As shown in FIG. 7 , the portable terminal 110 first recognizes the ID of a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equipment while walking around the store (S610), and can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S611). ).

다음으로, 휴대 단말(110)은 상품의 구매가 확정되면, 구매가 확정된 상품의 ID와 개수 등을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생성하고(S612) 생성된 구매 리스트를 포함하는 출고 명령을 매장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S613).Next, when the purchase of the product is confirmed, the mobile terminal 110 generates a purchase list including the ID and number of the product for which the purchase is confirmed (S612), and sends a release command including the generated purchase list to the store server ( 130) (S613).

다음으로, 매장 서버(130)는 휴대 단말(110)로부터 구매가 확정된 상품의 ID와 개수를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구매 리스트에 대한 결제를 처리를 결제 서버(140)에 요청할 수 있다(S614).Next, the store server 130 receives a purchase list including IDs and numbers of products for which purchase is confirm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and requests the payment server 140 to process payment for the provided purchase list. It can (S614).

다음으로, 결제 서버(140)는 그 결제 요청에 따라 구매 리스트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S615) 그 처리한 결과로 결제완료 정보를 매장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616).Next, the payment server 140 may process payment for the purchase lis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S615) and transmit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store server 130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S616).

다음으로, 매장 서버(130)는 제공 받은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S617),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제1이송수단(160)에 전송할 수 있다(S618).Next, when the payment for the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is completed (S617), the store server 130 may transmit a picking command for the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to the first transportation means 160 (S618). ).

다음으로, 제1이송수단(160)는 매장 서버(130)로부터 피킹 명령을 받으면, 피킹 요청 받은 상품을 재고창고(150)로부터 수집하여(S619) 쇼핑 카트로 이송할 수 있다(S620).Next, when receiving a picking command from the store server 130, the first transport means 160 may collect the products requested for picking from the stock warehouse 150 (S619) and transfer them to the shopping cart (S620).

이렇게 쇼핑 카트로 이송된 상품은 포장되어 고객에게 전달되거나 배송될 수 있다.The products transferred to the shopping cart may be packaged and delivered or shipped to customers.

또한 고객이 선택한 제2상품은 제2이송수단(170)을 통해 픽업장소나 계산대 또는 포장기이 있는 장소로 이송하여 고객에게 전달되거나 배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may be delivered or delivered to the customer by transferring it to a pick-up place, a cash register, or a place with a packaging machine through the second transport means 170 .

한편,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통해 배송지와 배송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소지를 입력하고, 배송시간을 입력하는 것이다. Meanwhile, the user may reserve a delivery destination and a delivery time through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entering a specific address and entering a delivery time.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통해 출고 시간도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매장에 입장시 또는 매장 입장 후 특정 시간에 출고 시간을 예약하게 되면 매장서버는 예약된 출고 시간으로부터 역으로 이송시간 및 포장시간 등을 계산하여 예약된 출고 시간에 맞게 구매 상품에 대해 결제를 완료하고 포장한 다음 픽업장소로 이송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ser can reserve the delivery tim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f a user reserves a delivery time at a specific time when entering a store or after entering the store, the store server calculates the transfer time and packing time in reverse from the reserved delivery time and stores the purchased product according to the reserved delivery time. The payment is completed, packed, and transported to the pick-up location.

또는 매장 서버는 사용자가 출고 시간을 예약하지 않은 경우, 평균적인 쇼핑시간을 토대로 입장시간에 따라 미리 출고 준비를 할 수 있다. 평균적인 쇼핑시간은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지역 및 쇼핑 시간(요일 포함)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Alternatively, when the user has not reserved the delivery time, the store server may prepare delivery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ntrance time based on the average shopping time. The average shopping time can be set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ge, gender, region, and shopping time (including the day of the week).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piece of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can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A storage medium of a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휴대 단말
121: 제1 전시대
122: 제2 전시대
130: 매장서버
140: 결제서버
150: 재고창고
160: 제1 이송수단
170: 제2 이송수단
171: 토트
172: 셔틀
110: mobile terminal
121: first exhibition stand
122: second exhibition stand
130: store server
140: payment server
150: warehouse
160: first transfer means
170: second transfer means
171: tote
172: shuttle

Claims (7)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Identifier)가 부여된 제1상품(동종상품들은 외관, 품질 및 규격이 동일하여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필요없는 상품)의 샘플을 진열하는 제1전시대;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1상품의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구매가 확정된 제1상품의 구매 리스트를 제공받아 상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의 피킹 명령을 전송하는 매장 서버; 및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전송된 피킹 명령에 따라 재고창고로부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제1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 first display stand for displaying samples of a first product (products of the same type having the same appearance, quality, and specifications that do no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consumers) disposed in the store and assigned an ID (identifier);
a mobile terminal for inputting purchase information of a first product that the customer wants to purchase;
a store server receiving a purchase list of a first product whose purchase is confirm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icking command for products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and
A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comprising: a first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a first product included in a purchase list from a stock warehouse to a pick-up location or a cash register according to a picking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tor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매장 내에 배치되어 ID(Identifier)가 부여된 제2상품(동종상품들도 외관, 품질 및 규격이 상이하여 소비자의 직접 선택이 필요한 상품)의 실제 상품을 진열하는 제2전시대; 및
상기 제2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 중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display stand arranged in the store and displaying actual products of the second products (products of the same type that require direct selection by consumers because the appearance, quality, and specifications of products of the same type are different) to which an ID (Identifier) has been assigned; and
A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comprising: a second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a product selected by a customer from among the second products displayed o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to a pick-up place or a cash regis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상품과, 제2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2상품을 취합하여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2,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ckag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packaging by collecting the first product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ans and the second product transported by the second transport mea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매장 서버를 통해 전송된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그 처리한 결과로 상기 결제완료 정보를 상기 매장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ayment server that receives a payment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tore server, processes paymen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ccording to the payment request, and transmits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store server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including.
제1전시대에 진열된 제1상품의 샘플을 보고 휴대 단말을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에 따라 구매가 확정된 제1상품을 포함하는 구매 리스트를 매장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1이송수단이 상기 구매 리스트에 포함된 제1상품을 적재창고에서 픽업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viewing a sample of a first product displayed in a first exhibition stand and inputting purchas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purchase list including a first product whose purchase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a store server; and
A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first transport means transferring the first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list from the storage warehouse to the pick-up location or checkout counter.
제5항에 있어서,
제2전시대에 진열된 제2상품 중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픽업 장소 또는 계산대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im 5,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from among the second products displayed in the second exhibition stand to a pick-up location or a cash register.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상품과, 제2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2상품을 취합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케이스 제어 및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im 5 or 6,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ckaging step of collecting and packaging the first product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ans and the second product transported by the second transport means.
KR1020210193744A 2021-12-31 2021-12-31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KR202301031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4A KR20230103120A (en) 2021-12-31 2021-12-31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4A KR20230103120A (en) 2021-12-31 2021-12-31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20A true KR20230103120A (en) 2023-07-07

Family

ID=8715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44A KR20230103120A (en) 2021-12-31 2021-12-31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12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22B1 (en) 2010-05-20 2016-07-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 using mobile smart c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22B1 (en) 2010-05-20 2016-07-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 using mobile smart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7562B2 (en) Automated service retail system and method
US559526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hopping
JP5876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tem receptacle in cargo handling equipment, and medium with program for controlling cargo handling equipment
KR101783586B1 (en) Consolidated physical distribution/delivery platform system of open market and method thereof
US11475503B1 (en) Materials handling facility to present predicted items to a user
EP2381409A2 (en) System for self-service shopping and trolley thereof
CN110892428A (en) Full-automatic self-service store
US7558743B2 (en) System for purchase check-out arrangement in retail system
US20220234831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logistics system, server device,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KR20190041957A (en) System for shopp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11369734A (en) Unmanned vending system,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158836A (en) Product conveyance system
JPH0969129A (en) Shopping system
RU2684490C2 (en) Method and system of retail sale of goods
KR20230103120A (en) Smart showcas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KR100482265B1 (en) System and method buying goods at a large size store
Tebaldi et al. RFID technology in Retail 4.0: state-of-the-art in the Fast-Moving Consumer Goods field
EP3267407A1 (en) Shopping container, shopping infrastructure and related method
KR20060109228A (en) Way of selling commodity and system
JPS628294A (en) Goods selling system for store
JP7363474B2 (en) Accounting machines, account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KR20210059878A (en) Smart shopping mall where you can get your purchases at the time you want and without cashiers and shopping carts
CN113409526A (en) Intelligent shopping cart for intelligent business surpassing
CA2198221C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hopping
CN113409103A (en) Intelligent quotient and excess system and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