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733A - 졸업앨범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졸업앨범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733A
KR20230102733A KR1020210193093A KR20210193093A KR20230102733A KR 20230102733 A KR20230102733 A KR 20230102733A KR 1020210193093 A KR1020210193093 A KR 1020210193093A KR 20210193093 A KR20210193093 A KR 20210193093A KR 20230102733 A KR20230102733 A KR 2023010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graduation
school
graduation album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교안
최상규
Original Assignee
금교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교안 filed Critical 금교안
Priority to KR102021019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733A/ko
Publication of KR2023010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업앨범 제작방법에 관련되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졸업앨범 제작방법은 졸업앨범에 사용되는 사진,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편집,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학교, 학부모, 졸업생, 제작 스튜디오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졸업앨범을 제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업로드하는 단계(S100); 관리서버(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200);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가 매칭되는 단계 (S300); 및 졸업앨범을 제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졸업앨범 제작방법{Production Method Of Graduation Album}
본 발명은 졸업앨범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졸업앨범에 사용되는 사진,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편집,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학교, 학부모, 졸업생, 제작 스튜디오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졸업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졸업앨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졸업앨범은 졸업생들에게는 학창시절의 추억을 남기고 회상하기 위한 소중한 기록물이다. 각 나라 마다 콘텐츠와 제작방식은 상이한데, 미국은 ‘Year Book’이라 하여 졸업생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있고, 우리나라 및 중국, 일본은 졸업 연도에 해당하는 졸업생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매년 제작된는 형식이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수의 감소 추세와 함께 제작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졸업앨범이 지니는 가치도 획일성에 의해 쇠락하고 있어, 이러한 추세를 방치한다면 이제 졸업앨범 자체가 과거 추억이 될 수 있는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본 발명자들이 다방면으로 심층 조사를 수행한 결과 각 이해당사자 간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먼저, 수요자의 입장인 학교에서는 졸업앨범 편집 및 결과물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대단한 업무부담을 가잔다는 것이다. 졸업앨범 제작에 총괄책임을 담당한 교사의 경우, 좀 더 새롭고 신선한 내용으로 졸업앨범을 제안하고 싶어도 편집의 한계에 부딪치고 편집과정에서 확인해야 할 업무들이 대단히 많아서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이름에 오자가 있거나 사진과 이름이 불일치 되는 문제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책임소재 문제도 발생하여 애로사항이 여간이 아니다.
또 다른 수요자인 학부모 입장에서는, 천편일률적인 졸업앨범의 가격이 비싸고(40.9%), 보관이 어려우며(27.3%), 부피와 무게감이 부담스럽다(22.7%)고 불평을 토한다. 학부모들은 졸업앨범에 자녀 사진이 너무 적어서 볼 것이 없다고 투덜된다. 졸업앨범에서 보다 많은 자녀의 사진이 담겨 있거나, 살아있는 생생한 영상이 담겨 자녀들의 학교생활 등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도 9의 학부모 의견조사 분석 결과 참조)
한편, 사진관, 스튜디오와 같은 졸업앨범제작업체들의 경우 제작원가는 매년 높아져가나 졸업앨범 가격은 20년 전과 여전하여 수익성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사진앨범의 가격이 2000년대초 3만원 수준에서 현재 4~5만원 수준으로 거의 변화가 없다. 기존의 정형화된 졸업앨범을 만들려면 앨범물가, 인건비, 재료비를 고려하면 5만원 이상은 되어야만 하는데, 수요자들은 지불할 의사가 희박한 실정이다. 특히 도서, 산간벽지에 있는 학교뿐 아니라 최근에는 도시지역이라고 할지라도 나날이 학생수가 적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기본 비용의 상승으로 졸업앨범 제작 자체의 경제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더우기 사진관, 스튜디오 등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다수의 학교와 거래 관계를 맺고 특정 시즌에 제작되는 졸업앨범 제작과정에서, 사진 촬영 이외에도 편집 및 교정, 재인쇄 등의 후편집 업무량이 과도하고, 수요자가 최종 인쇄물에 불만족이 야기될 경우 해결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발명들이 제안되어져 왔다. 예들 들어 한국 특허공개 10-2002-0010425는 졸업앨범 동영상화 제작 발명을 통해, 사진첩 앨범제작에서 CD-ROM 제작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0-54681은, 인터넷을 통한 졸업앨범 동영상 제공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를 통하여 학교의 각종 행사나 각 학과의 행사를 촬영하고 이를 데이터화 한 후, 인터넷에 동영상으로 제공하여 재학생 및 졸업생 모두가 졸업연도에 따른 활동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10-0627076은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졸업앨범 정보 이외에도 학교장 등의 축사, 졸업장 또는 친구들이 기록한 추억록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개인별 사진 및 학번, 생년월일 등이 담긴 축사와 추억록이 편집, 교정되어 제작되도록 하여 자신만의 졸업앨범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 공개특허 10-2012-0101229는 과거의 추억에서 머물지 않고 졸업자들의 현재 소식이나 근황을 알 수 있도록, 졸업반별마다의 각 페이지에 QR코드를 생성하고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QR코드와 연동되는 웹페이지로 접속한 후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글이나 사진 등을 올리고 이를 자신의 졸업반들 구성원들과 공유함으로써, 졸업자 간의 현재 소식이나 근황을 알 수 있는 졸업앨범을 이용한 졸업생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졸업앨범의 효용성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상기한 발명들은 상기한 문제점 내지 졸업앨범 제작시 발생하는 문제와 요구들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지만, 졸업 앨범에 참여하는 상기 주체들을 모두 만족시킬만한 현실적인 대안은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현실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풍부한 컨텐츠의 졸업앨범을 제공하는 동시에, 앨범 제작자가 사진, 영상 등의 촬영,편집,교정 등의 업무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제작하여 코스트 경쟁력이 있도록 모든 주체들이 만족할 수 있는 졸업앨범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졸업앨범에 사용되는 사진,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편집, 관리하는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정보와 졸업앨범 컨텐츠를 자동 매칭하여 졸업앨범 편집 및 결과물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사용자(졸업생 등)의 다양하고 개성있는 사진과 영상들이 담겨져 학교, 학부모, 졸업생, 제작 스튜디오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졸업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졸업앨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관리서버(100), 앨범제작장치(200),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졸업앨범제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졸업앨범을 제작함에 있어서, 앨범제작장치(200)는 졸업앨범 제작을 위해 학교명, 학반, 번호,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업로드하는 단계(S100); 상기 앨범제작장치(200)는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 내지 획득하여 관리서버(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200); 상기 업로드된 사용자 정보와 컨텐츠 정보는 오픈 API 서비스부(130)의 자동분류 과정을 통해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가 매칭되는 단계 (S300); 상기 정보가 매칭된 이후 확정된 컨텐츠로 관리서버(100)는 지면앨범 또는 앱으로 졸업앨범을 제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이나 앨범제작장치(200)는 사전에 등록된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접속 권한을 확인받은 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인증방식은 인증키, 인증 링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매칭된 사용자별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보기로 제공되어,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 사항을 관리서버의 편집 및 관리부(120)에서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앨범제작장치(200)에서 관리서버(100)에 업로드 된 원본 파일들은 최적화 이미지를 생성시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의 매칭은 머그샷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앨범제작장치(200)가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 내지 획득하여 관리서버(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해당학교가 선정되어 졸업앨범관리 페이지 항목이 앨범, 학교관리, 학생관리로 구분된 카테고리 상에서 제작,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학생관리 카테고리는 하위 클래스에서 우리학교, 선생님, 친구들 항목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친구들’카테고리는 학급소개, 친구들 사진, 조별사진, 갤러리 항목이 포함된 학급별 앨범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친구들 사진 항목에는 프로필 사진, 영상, 증명사진, 인터뷰 영상이 포함된 각 학생 개인별 앨범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졸업앨범 편집 및 결과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후편집의 부담이 경감되어, 학교와 졸업앨범 제작자의 부담이 크게 경감하고 분쟁 소지가 없어진다. 또 졸업앨범을 새롭게 편집해야 하는 어려움이 없어지는 대신 앨범 사진과 영상의 콘텐츠가 풍부해짐으로서 수요자의 불만도 적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수요자인 학부모 입장에서는 보다 많은 자녀의 사진이 담겨 있거나, 살아있는 생생한 영상이 담겨 자녀들의 학교생활 등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졸업생도 자신과 친구와의 추억들이 더욱 다양하게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지면 앨범이 그 보관이 불편하고 부피와 무게감이 부담스러운 점을 해결하고, 앱 형태로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에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시 지면앨범의 제작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사진관, 스튜디오와 같은 졸업앨범제작업체들의 경우 제작원가의 부담, 인쇄의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으며, 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에 졸업앨범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졸업앨범 제작시스템의 간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졸업앨범 제작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도 4는 본 발명의 졸업앨범 제작을 위한 콘텐츠 업로드 및 매칭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머그샷을 이용한 분류방법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졸업앨범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졸업앨범제작장치가 구현하는 기능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하는 기능들
도 9는 본 발명자의 학부모 의견조사 분석자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간단히 블록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관리서버(100), 앨범제작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관리서버(100)는 졸업앨범에 사용되는 정보를 입력, 편집,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편집 및 관리부(110), 오픈API 서비스부(120),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앨범제작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유무선으로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받도록 구비된다.
상기 관리서버(100)의 편집 및 관리부(110)는 상기 앨범제작장치(200)가 접속하여 각종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컨텐츠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졸업앨범을 제작하기 위한 툴이다. 상기 오픈 API 서비스부(120)은 상용화된 포털사이트나 웹사이트에서 공개된 오픈소스에 해당하여 그 활용성이 제한이 없으므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서버(100)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검색, 편집, 교정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 오픈 API 서비스부(130)은 제작된 콘텐츠와, 그 제작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CRUD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RUD는 Create(생성), Read(판독), Update(업데이트), Delete(삭제) 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오픈 API 서비스부(120)와 상호 연계되어 분류된 사진을 저장하고, 편집 및 관리부(11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졸업앨범제작장치(200)로부터 업로드된 정보 내지 콘텐츠를 저장한다.
앨범제작장치(200)는 현실적으로 사진스튜디오 등이 졸업앨범을 위해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 편집 등을 업무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장치들로서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컴퓨터, P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들을 통해 학생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그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을 PC나 인터넷 등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관리자서버의 편집 및 관리부(120)로부터 영상 제작정보를 전달받아 영상 제작정보에 따라 영상을 제작하고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관리자서버(100)와 유무선으로 접근이 가능한 장치들로서,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PC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사용자는 본 발명의 졸업앨범을 구매하거나 사용하는 수요자로서 해당학교의 교사, 졸업생, 학부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계정이 필요하다. 이에 사용자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만이 관리서버(100)에 접근하여 졸업앨범을 열람할 수 있으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들의 열람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졸업앨범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관리서버(100), 앨범제작장치(200),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사용자(학교,학생 등), 제작자(사진스튜디오, 영상기획업체 등) 및 서버관리자를 포함한 각 주체들이 담당한 고유 기능과 유기적 협력관계 속에서 시스템적으로 진행되며,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온/오프라인상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업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졸업앨범 제작의 첫 단계는, 앨범제작 주체와 앨범제작을 희망하는 사용자(학교)간 계약에서 출발한다. 계약시 앨범 구입신청서, 개인정보 동의서 등의 문서들을 받게 되는데, 이들 문서에 기재된 학교명, 학반, 번호,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정보들은 관리서버에 업로드된다.(S100)
상기 입력부(110)에 업로드된 단계가 완료되면, 앨범제작장치(200)는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때 콘텐츠는 사진, 영상, 소리, 텍스트 등 졸업앨범에 수록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앨범제작장치(200)를 보유한 자가 학교 등지를 방문하여 앨범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사진, 동영상 등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또는 학교가 자체 제작한 영상, 학생 또는 선생님이 직접 자유롭게 찍은 영상 파일 등을 획득하여 시스템에 업로드할 수 있다.(S200)
상기 단계 (S100 및 S200)에서 업로드된 사용자 정보와 컨텐츠 정보는 오픈 API 서비스부 (130)의 자동분류 과정을 통해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가 서로 매칭되도록 한다.(S300)
상기 매칭된 사용자별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학교)에 ‘미리보기’로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 사항은 편집 및 관리부(120)에서 교정될 수 있다. 이후 확정된 컨텐츠는 지면앨범 내지 앱으로 제작되어 졸업앨범 제작이 수행된다. (S400)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증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300)이나 앨범제작장치(200)는 사전에 등록된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접속 권한을 확인받은 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인증방식은 2가지로서 인증키, 인증 링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인증 키 방식의 경우는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서버(100)에서 권한을 확인받고, 서버에서 '인증 키' 를 이메일 또는 문자로 발송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단말과 앨범제작장치는 이메일 또는 문자를 확인하여 '인증 키' 입력하고, 서버에서 인증 처리된 후 사용한다. 인증 링크 방식일 경우는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 입력하여, 서버에서 권한 확인을 받고, 서버에서 '인증 링크 (url)' 를 이메일 또는 문자로 발송 받아서, 이메일 또는 문자를 확인하여 '인증 링크' 클릭서버에서 인증 처리하는 방식이다.
도 4 또는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졸업앨범 제작을 위한 콘텐츠 업로드 및 매칭 프로세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진, 영상 인물, 텍스트 분석을 위한 기술은, 인터넷을 사용한 Open API, 프로그램 내부에 내장한 Open Source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의 오픈 API 서비스부(120)에서 수행된다.
앨범제작장치(200)에서 촬영,저장되었거나 사용자단말(학교 등)로부터 획득한 각종 정보 내지 파일들은 관리서버에 업로드되어(S310), 원본으로 저장되고(S320) 이후 원본 파일들은 최적화 이미지를 생성(S321)시켜 저장된다.(S322)
최적화 이미지 생성 기법으로는 파일의 이미지를 소형화한 썸네일(작은 크기의 미리 보기 이미지), 파일 해상도 조절 앱, 포샵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생성된 최적화 이미지는 이후 서비스용으로 졸업앨범에 사용될 수 있도록 낮은 퀄리티의 사진, 영상 파일들은 최적화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S320 단계의 원본 정보는 사용자(학생)의 머그샷을 기준으로 자동 분류된다(S330). 도 5에는 본 발명의 머그샷을 이용한 분류방법이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나있다.
앨범제작장치의 로컬PC 등에 사용자(학생)의 머그샷 사진정보(원본)이 전송되어 관리서버에 업로드되면, 파일에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Open API'에 파일을 전송하고 'Open API'를 통해 추출된 고유 'Face ID'를 받아온다. 'Open API'에서‘얼굴분류’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얼굴분석파일이 생성되어, 고유‘Face ID’와 해당 파일명이 저장된다. (S331)
동일인물 분석을 위해서, 파일의 'Face ID'를 'Open API' 에 전달하여 그 결과로 'Face ID' 의 목록과 'Person ID' 를 받아 온다. 반환된 'Face ID' 목록의 각 'Face ID' 는 이전 '얼굴 분석 Open API' 호출에서 반환되었던 'Face ID' 의 집합이다.
이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얼굴분석파일은‘동일인물분류’프로세스를 통해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사용자(학생) 인물이 구분되어 'Person ID’와 ‘Face ID’가 저장된다. (S332)
이후 각 이미지에서 반 번호를 추출하기 위해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을 사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분석한다. 사진 내부의 텍스트의 추출은 'OCR Open API' 를 사용하고 여기서 추출된 text들은 정규식 패턴분석을 통해 반, 번호로 분류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Person ID'와 'Face ID'를 통해 ‘반, 번호추출’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머그샷 사진의 해당 사용자(학생)의‘반,번호’가 추출, 분류된다. (S333)
상기 반, 번호가 추출되면 해당 사용자(학생)의 반, 번호가 DB에 저장되고, 업데이트 과정은 사진, 영상 등을 분석하기 위해 업로드된 사진의 수 만큼 반복 진행된다(S334).
도 6, 도 7 및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샘플초등학교)로 앨범제작방법을 설명한다.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된 앨범제작 툴 (관리자용 툴)을 사용하여, 앨범제작장치(200)는 관리 서버에 접근하여 아래의 단계를 통해 졸업앨범을 제작한다. 제일 먼저 메인화면 생성단계로서, 앨범제작장치(200)는 도 7(a)에 나타난 화면과 같이 관리서버(100)의 관리자용 툴에 로그인하여 메인화면을 생성하고, 이메일로 로그인 하거나 메일함에 전송된 링크를 확인하여 졸업앨범 관리자용 메인 화면을 열어서 졸업앨범을 제작할 소정의 학교를 선정한다.
메인 화면에 구성된 좌측 하단 ‘돋보기 (Search)’ 창에 학교명 혹은 관련 단어를 검색하면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학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으로 항목이 구분되어 있어, 이 중 하나를 선택한다.
도 7(b)와 같이 제목과 학교명을 입력한 후, ‘ADD’ 키를 클릭하면 선정된 학교의 졸업앨범관리 화면이 생성된다.‘목록’창을 구비하여 한 페이지당 보이는 목록 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해당학교가 선정되면 졸업앨범관리 페이지 항목이 생성되어 앨범제작장치는 각종 컨텐츠 정보들을 업로드하게 된다.
도 7(c)는 앨범제작장치가 (1)앨범, (2)학교관리, (3)학생관리 로 구분된 카테고리 상에서 제작, 편집, 관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1) 앨범 카테고리는‘앨범이름’,‘학교이름’,‘학교 구분’,‘졸업 년도’,‘졸업 일자’항목을 포함한다. (2) 학교관리 카테고리는‘교사’,‘학반’,‘행사’,‘교가’,‘상징’,‘연혁’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3) 학생관리 카테고리는‘6학년 1반’,‘2반’,‘3반’등 각 반별 항목이 포함한다.
상기 앨범 카테고리에서 상기‘앨범이름’은‘100회 샘플초등학교 졸업앨범’또는‘2022년 샘플초등학교 졸업앨범’등 학교의 역사나 졸업년도 등을 입력하여 해당 학교의 앨범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는 학교관리 항목에서‘교사’컨텐츠를 등록하고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교사'는 교장, 교감, 담임, 비담임, 행정, 보건, 특수, 기타로 구분한다. 또 교사별 업무모습, 프로필 사진, 영상, 증명사진, 인터뷰 영상 등 5종류의 사진, 영상 콘텐츠로 구성하여, 각각 확대 기능을 구비한다.
교사의 등록방법은 ① 교장, 교감, 담임, 비담임, 행정, 보건, 특수, 기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름과 직무/직책을 입력한 후 ‘ADD’를 클릭하고, ② 사진 및 영상을 올릴 수 있는 창이 뜨고 사진이나 영상을 업로드 하고자 하는 교사의‘EDIT’을 클릭하고, ③ 카메라 아이콘을 로컬 PC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과 영상 파일을 업로드하고, ④ 완료 시,‘SAVE’를 클릭하여 저장한다. 그밖에‘DELETE’는 생성한 목록을 삭제하는 기능이고, ‘CLOSE’는 창 닫기로 완료한다.
도 7(e)는 학교관리 항목에서 학반을 등록하고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졸업앨범관리 페이지-학교관리-학반 화면 바에 반이름, 급훈을 입력한 후‘ADD’클릭하여 학반을 생성한다. 학반에 업로드할 컨텐츠는 단체사진, 조별사진, 갤러리(학급행사, 활동사진 및 영상)를 포함한다.
상기 단체, 조별, 갤러리 컨텐츠는 업로드 하고자 하는 파일의‘UPLOAD’박스를 클릭하여 저장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 파일명을 클릭하면 확대하여 보기가 가능하고, 화살표 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자리를 재배치 할 수 있다.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면 업로드된 사진 삭제 가능하다.
도 7(f)는 학교관리 항목에서 행사를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행사명을 입력한 후 생성박스를 클릭하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박스 안의 생성된 파일에 ‘+’를 눌러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업로드한다.
도 7(g)는 학교관리 항목에서 교가를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가 카테고리에는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3가지 형태의 파일이 구분되어 있다. 이중 파일의 형태에 맞게 하나를 선택하여,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업로드 한다. 완료 후 ‘ADD’를 클릭하면 교가 파일이 생성된다.
도 7(h)는 학교관리 항목에서 상징을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면 아래에‘NEW’를 클릭하여 학교상징등록 창이 뜨면, 교기, 교훈 중 하나를 선택하고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면 파일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제목이나 추가적인 내용을 입력하고,'SAVE'를 클릭하여 저장한다. 수정을 원하는 경우 'EDIT'를 클릭하면 뜨는 창에 내용을 수정 완료 후 저장한다.
도 7(i)는 학교관리 항목에서 연혁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혁의 상단 바에 일자와 내용을 입력하여 생성한다. 오른쪽 상단의 ‘NEW’를 클릭한다. 일자와 내용을 입력한 후‘SAVE’저장한다.
도 8은‘학생관리’카테고리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 8(a)는 사용자 단말이 로그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사용자 이메일이 취합되어 관리서버에서 계정이 생성되면, 상기 취합한 이메일로 로그인 후 인증코드 전송을 누른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은 후 메일함에 들어가 인증코드 확인 후 코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한다.
사용자 단말이 로그인 되면 도 8(b)와 같은 소정학교 (샘플초등학교)의 홈 화면이 생성된다. 홈 화면 중앙부에는‘영상 재생’아이콘이 구비되어 클릭하면 PIP (Picture in picture)모드가 재생되어 그 졸업년도의 주요 이벤트 등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전체화면’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체 화면 영상으로 재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학생관리’카테고리는 하위 클래스에서‘우리학교, 선생님, 친구들’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단말기 하단 창에‘홈, 우리학교, 선생님, 친구들’아이콘이 구비되어, ‘우리학교, 선생님, 친구들’ 각 아이콘을 클릭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우리학교’카테고리는 교가, 상징, 연혁, 학교 행사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8(c)와 같이‘교가, 상징, 연혁, 학교 행사’등의 콘텐츠가 사진, 이미지, 영상, 소리 정보 형태로 구현된다.
‘교가’의 경우는 악보 이미지와 오디오 재생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학교행사’는 주제별, 행사별로 파일이 분류되고, 학생들이 만든 UCC영상, 교내활동 영상, 전경사진 파일이 구비되어, 화면을 터치하면 목록을 볼 수 있고 영상재생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선생님’카테고리는 교장, 교감, 담임, 비담임, 행정, 보건, 특수직무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해당 아이콘을 클릭 시, 도 8(d)와 같이 교장, 교감, 담임, 비담임, 행정, 보건, 특수직무/직책별로 구분되어 선생님의 사진이 구현된다.
상기‘친구들’카테고리는 학급소개, 친구들 사진, 조별사진, 갤러리 등이 포함된 학급별 앨범이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8(e)은 상기 학급별 앨범이 생성되어 학급단체 사진들이 나타나고, 상기 각 반의 앨범은‘학급소개, 친구들 사진, 조별사진, 갤러리’항목이 생성되어 컨텐츠를 편집, 관리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학반 앨범 생성 및 관리 기능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고 개성적인 내용으로서 신선함을 더할 수 있다. 도 8(f) 내지 8(i)를 통해 본 발명의 졸업앨범이 사용자 자신의 사진, 영상 등의 풍부한 컨텐츠가 구현되는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f)와 같이 학반 앨범 내에는‘학급소개’항목이 구비되어, 급훈과 담임선생님의 인터뷰 영상, 프로필사진, 증명사진이 구비되고, 졸업생에게 하고 싶은 말을 영상으로 남길 수 있다.
도 8(g)에서는‘친구들 사진’항목에 각 학생 개인별 앨범 파일이 구현된 것을 보여준다. 사용자 단말에는 사용자 자신의 프로필 사진들이 하나의 폴더로 구비되어 프로필 사진, 영상, 증명사진, 인터뷰 영상이 구현된다. 종래의 증명사진 이외에, 본 발명의 프로필 영상은 프로필 사진 이외에 개인의 개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학생 본인의 목소리, 동작, 에피소드 등을 영상으로 담을 수도 있고, 준비과정을 남길 수도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인터뷰 영상은 친구들과 선생님께 하지 못했던 말, 감사 인사, 잊지 못하는 순간, 장래희망, 소망 등을 영상으로 담아 함께 추억 할 수 있도록 하고, 반 친구들과 함께 질문을 만들어 인터뷰하듯이 진행할 수도 있다.
프로필 사진은 학생 개인의 개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사진으로서 각자 컨셉을 설정하여 증명사진과 다르게 제약 없이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8(h)와 같이 상기 ‘조별사진’아이콘을 클릭하고 스크롤을 내리면 조별 사진들을 볼 수 있고, 각 사진을 클릭하여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8(i)는 학반 앨범의‘갤러리’로서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학급행사, 활동모습들을 찍은 사진, 영상들을 볼 수 있다.
100 : 관리서버 200 : 앨범제작장치
3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9)

  1. 관리서버(100), 앨범제작장치(200),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졸업앨범제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졸업앨범을 제작함에 있어서,
    앨범제작장치(200)는 졸업앨범 제작을 위해 학교명, 학반, 번호,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업로드하는 단계(S100);
    상기 앨범제작장치(200)는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 내지 획득하여 관리서버(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200);
    상기 업로드된 사용자 정보와 컨텐츠 정보는 오픈 API 서비스부(130)의 자동분류 과정을 통해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가 매칭되는 단계 (S300);
    상기 정보가 매칭된 이후 확정된 컨텐츠로 관리서버(100)는 지면앨범 또는 앱으로 졸업앨범을 제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300)이나 앨범제작장치(200)는 사전에 등록된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접속 권한을 확인받은 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인증방식은 인증키, 인증 링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사용자별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보기로 제공되어,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 사항을 관리서버의 편집 및 관리부(120)에서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제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제작장치(200)에서 관리서버(100)에 업로드 된 원본 파일들은 최적화 이미지를 생성시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정보와 콘텐츠정보의 매칭은 머그샷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제작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제작장치(200)가 졸업앨범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 내지 획득하여 관리서버(10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에서,
    해당학교가 선정되어 졸업앨범관리 페이지 항목이 앨범, 학교관리, 학생관리로 구분된 카테고리 상에서 제작,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제작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학생관리 카테고리는 하위 클래스에서 우리학교, 선생님, 친구들 항목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제작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친구들’카테고리는 학급소개, 친구들 사진, 조별사진, 갤러리 항목이 포함된 학급별 앨범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제작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친구들 사진 항목에는 프로필 사진, 영상, 증명사진, 인터뷰 영상이 포함된 각 학생 개인별 앨범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앨범 제작방법
KR1020210193093A 2021-12-30 2021-12-30 졸업앨범 제작방법 KR20230102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93A KR20230102733A (ko) 2021-12-30 2021-12-30 졸업앨범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93A KR20230102733A (ko) 2021-12-30 2021-12-30 졸업앨범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733A true KR20230102733A (ko) 2023-07-07

Family

ID=8715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093A KR20230102733A (ko) 2021-12-30 2021-12-30 졸업앨범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7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4815B2 (ja) サービスサーバおよび音声メッセージ収集方法
EP254939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110200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140025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elivering a personal legacy to a beneficiary
DE202010018551U1 (de) Automatische Bereitstellung von Inhalten, die mit erfassten Informationen, wie etwa in Echtzeit erfassten Informationen, verknüpft sind
CN101131702A (zh) 用于生成电子照相簿的装置和程序
CN102369724A (zh) 自动捕获信息,例如使用文档感知设备捕获信息
KR20010083203A (ko) 화상 데이터의 송신방법 및 화상처리단말과 휴대단말
CN109416839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CN107704519A (zh) 基于云计算技术的用户端相册管理系统及其交互方法
TW200925898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hared records web page file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KR20180046784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체험학습 플랫폼 관리시스템
JP201309757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77051A (zh) 相片管理系统
JP20051966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Aubert et al. Citizen photojournalists and their professionalizing logics: The case of contributors to the Citizenside agency
KR20230102733A (ko) 졸업앨범 제작방법
TWM564225U (zh) 影像資訊分享系統
KR20000049833A (ko)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JP6337916B2 (ja) 情報処理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966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11615096B2 (en) Event and/or location based media capture and upload platform based on a URL or a link associated with a machine-readable optical label
JP20051966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9038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