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366A -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366A
KR20230102366A KR1020210192432A KR20210192432A KR20230102366A KR 20230102366 A KR20230102366 A KR 20230102366A KR 1020210192432 A KR1020210192432 A KR 1020210192432A KR 20210192432 A KR20210192432 A KR 20210192432A KR 20230102366 A KR20230102366 A KR 2023010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
subpixel
emitting part
vie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환
김성영
한예슬
조정옥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366A/ko
Priority to US17/977,280 priority patent/US11978398B2/en
Priority to CN202211349948.9A priority patent/CN116416943A/zh
Publication of KR2023010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4Sub-multiplexed active matrix panel, i.e. wherein one active driving circuit is used at pixel level for multiple image produc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갖는 다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의 상기 제2 발광부에 대응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부의 면적은 상기 제1 발광부의 면적보다 작다.
이에 따라,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Viewing Angle Switch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같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가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라고도 불리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여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해 여기자가 형성된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기판(flexible substrate) 위에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이므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V 내지 15V의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나, 최근 사생활의 보호 및 정보의 보호 등을 이유로 시야각의 제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태블릿 PC나 노트북 등의 휴대 가능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용 기기의 사용 시 더욱 나타나게 된다.
한편, IT용 기기는 장시간 휴대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배터리의 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는 방안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갖는 다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의 상기 제2 발광부에 대응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부의 면적은 상기 제1 발광부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에서는, 광시야 모드에서 제1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제1 휘도로 상기 제1 발광부를 구동하고, 협시야 모드에서 제2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발광부를 구동하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전압을 인가하여 제2 휘도로 상기 제1 발광부가 구동되고 상기 제1 휘도로 제2 발광부가 구동되며, 상기 제2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구동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휘도는 상기 제1 휘도보다 낮다.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화소의 면적은 상기 제1 부화소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3 부화소의 면적보다 작다.
상기 제2 발광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에 대응한다.
상기 제2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3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보다 적다.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 부화소의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의 제2 발광부는 상기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부화소의 각각은,고전위전압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1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데이터신호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제1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기준신호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제2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제4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5 트랜지스터와; 제3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6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제6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및 제2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3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가지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와 저전위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발광부에 구비되는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6 및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전위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발광부에 구비되는 제2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부는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렌즈는 반구형 렌즈이다.
본 발명의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렌즈 사이에 상기 제2 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차광패턴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광패턴은 교차하는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이다.
본 발명의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상기 렌즈 상부에 배치되고 선형편광층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가 구비되지 않은 제1 발광부와 렌즈가 구비된 제2 발광부를 포함하고, 제2 발광부의 면적을 제1 발광부보다 작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휘도 조건을 만족하면서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압을 낮추어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모두 구동하여 요구되는 휘도 조건을 만족하면서 저전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1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2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2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상대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에 사용되는 다수의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 배치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 배치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차광패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차광패턴(210), 광학 갭층(220), 렌즈(230), 평탄화막(240), 그리고 편광층(25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기판(110)과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 그리고 인캡슐레이션층(190)을 포함한다.
기판(110) 상에는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가 정의된다.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각각은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를 가지며, 제1 발광부(EA1)의 면적이 제2 발광부(EA2)의 면적보다 크다.
제1 발광부(EA1)에는 제1 발광다이오드(De1)가 구비되고, 제2 발광부(EA2)에는 제2 발광다이오드(De2)가 구비된다.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는 각각 적, 녹, 청색 부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화소(SP1)의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는 적색 광을 방출하고, 제2 부화소(SP2)의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는 녹색 광을 방출하며, 제3 부화소(SP3)의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음,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 상부에는 평탄한 상면을 가지는 인캡슐레이션층(190)이 구비되어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를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패널(100) 상부, 구체적으로, 인캡슐레이션층(190) 상부에는 차광패턴(210)이 구비된다. 차광패턴(210)은 실질적으로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제2 발광부(EA2)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1 발광부(EA1) 상부에는 차광패턴(210)이 구비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차광패턴(210)은 제2 발광부(EA2)의 주변부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차광패턴(210)은 블랙매트릭스일 수 있으며, 블랙 수지나 산화 크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차광패턴(210)은 터치전극일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터치전극은 교차하는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며,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동량으로부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차광패턴(210) 상부에는 광학 갭층(optical gap layer)(220)이 구비된다. 광학 갭층(220)은 제2 발광다이오드(De2)와 렌즈(230) 사이의 광학 갭을 확보하여 제2 발광다이오드(De2)로부터의 빛이 렌즈(230)를 통과하여 특정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렌즈(230)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광학 갭층(220)은 수 내지 수 십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광학 갭층(220)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갭층(220) 상부에는 다수의 렌즈(230)가 구비된다. 렌즈(230)는 반구형 렌즈일 수 있으며, 렌즈(230)는 차광패턴(210)과 중첩한다. 이때, 렌즈(230)는 각 부화소(SP1, SP2, SP3)의 제2 발광부(EA2)의 제2 발광다이오드(De2)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1 발광부(EA1) 상부에는 렌즈(230)가 구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각 부화소(SP1, SP2, SP3)의 제1 발광다이오드(De1)로부터 방출된 제1 광(L1)은 실질적으로 시야각의 제한 없이 출력된다. 반면, 각 부화소(SP1, SP2, SP3)의 제2 발광다이오드(De2)로부터 방출된 제2 광(L2)은 렌즈(230)에 의해 특정 각도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렌즈(230) 상부에는 평탄화막(240)이 구비되어 렌즈(230)를 보호한다. 평탄화막(240)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평탄한 상면을 가진다. 이러한 평탄화막(240)의 굴절률은 렌즈(230)의 굴절률보다 작다.
일례로, 평탄화막(240)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평탄화막(240) 상부에는 편광층(250)이 구비된다. 편광층(250)은 선형편광층과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에 입사되는 외부 광의 편광상태를 변환함으로써, 외부 광이 표시패널(10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하나의 부화소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0)은 기판(110)과, 제1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r1, Tr2),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 그리고 인캡슐레이션층(19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0) 상에 각 부화소는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발광부(EA1)의 면적이 제2 발광부(EA2)의 면적보다 크다. 기판(110)은 유리기판이나 플라스틱기판일 수 있다. 일례로, 플라스틱 기판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P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110) 상부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entire surface)에 위치한다. 버퍼층(120)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0) 상부의 제1 및 제2 발광부(EA1, EA2)에는 패터닝된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 하부에는 쉴드패턴(도시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쉴드패턴은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 각각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3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경우,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132, 134)이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30)은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132, 134)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턴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132, 13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4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4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40)은 제1 및 제2 반도체층(122, 124) 각각의 양측 상면을 노출하는 컨택홀을 가진다. 컨택홀은 게이트 절연막(130) 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40) 상부의 제1 및 제2 발광부(EA1, EA2)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2, 144)과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6, 148)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전원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2, 144)은 층간 절연막(140)의 컨택홀을 통해 제1 반도체층(122)의 양측과 접촉하고,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6, 148)은 층간 절연막(140)의 컨택홀을 통해 제2 반도체층(124)의 양측과 접촉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배선은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각 부화소에 대응하는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은 데이터 배선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한편, 제1 반도체층(122), 제1 게이트 전극(132), 그리고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2, 144)은 제1 박막트랜지스터(Tr1)를 이루고, 제2 반도체층(124), 제2 게이트 전극(134), 그리고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6, 148)은 제2 박막트랜지스터(Tr2)를 이룬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r1, Tr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가 각 부화소의 기판(110) 상에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2, 144)과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6, 148)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보호막(15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보호막(150)은 포토 아크릴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15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진다.
한편, 보호막(150) 하부, 즉, 제1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r1, Tr2)와 보호막(150) 사이에는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50)은 제1 및 제2 드레인 전극(144, 148)을 각각 노출하는 제1 및 제2 드레인 컨택홀(150a, 150b)을 가진다.
보호막(150) 상부에는 비교적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이 형성된다. 제1 애노드 전극(162)은 제1 발광부(EA1)에 위치하고, 제1 드레인 컨택홀(150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44)과 접촉한다. 제2 애노드 전극(164)은 제2 발광부(EA2)에 위치하고, 제2 드레인 컨택홀(150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48)과 접촉한다. 여기서, 제1 애노드 전극(162)의 면적이 제2 애노드 전극(164)의 면적보다 크다.
일례로,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00)은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의 빛이 기판(110)과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 type)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은 투명 도전성 물질 하부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 (aluminum-palladium-copper: APC) 합금이나 은(Ag)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은 ITO/APC/ITO나 ITO/Ag/ITO 또는 ITO/Al/ITO의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뱅크(165)가 형성된다. 뱅크(165)는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의 가장자리와 중첩하고,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뱅크(165)는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개구부(165a, 165b)를 가진다.
뱅크(165)는 적어도 상면이 소수성이며, 뱅크(165)의 측면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일 수 있다. 이러한 뱅크(165)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뱅크(165)는 친수성 특성을 갖는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소수성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뱅크(165)가 단일층 구조를 가지나, 뱅크(165)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뱅크(165)는 하부의 친수성 뱅크와 상부의 소수성 뱅크를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 뱅크(165)의 제1 및 제2 개구부(165a, 165b)를 통해 노출된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 상부에는 발광층(170)이 형성된다. 제1 애노드 전극(162) 상부의 발광층(170)과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의 발광층(170)은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애노드 전극(162) 상부의 발광층(170)과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의 발광층(170)은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광층(170)은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162, 164)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전하보조층과, 발광물질층(light-emitting material layer), 그리고 제2 전하보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물질층은 적, 녹, 청색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발광물질은 인광화합물 또는 형광화합물과 같은 유기발광물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양자 점(quantum dot)과 같은 무기발광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전하보조층은 정공보조층(hole auxiliary layer)일 수 있으며, 정공보조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과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하보조층은 전자보조층(electron auxiliary layer)일 수 있으며, 전자보조층은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170)은 증착 공정(evaporation process)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부화소 별로 발광층(170)을 패터닝하기 위해, 미세금속마스크(fine metal mask: FMM)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광층(170)은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발광층(170)은 제1 및 제2 개구부(165a, 165b) 내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뱅크(165) 근처에서 발광층(170)은 뱅크(165)에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발광층(170) 상부에는 비교적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캐소드 전극(18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캐소드 전극(180)은 알루미늄(aluminum)이나 마그네슘(magnesium), 은(silve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소드 전극(180)은 발광층(17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다.
이와 달리, 캐소드 전극(180)은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gallium-oxide: IG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발광부(EA1)의 제1 애노드 전극(162)과 발광층(170) 및 캐소드 전극(180)은 제1 발광다이오드(De1)를 이루고, 제2 발광부(EA2)의 제2 애노드 전극(164)과 발광층(170) 및 캐소드 전극(180)은 제2 발광다이오드(De2)를 이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00)은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의 발광층(170)으로부터의 빛이 기판(110)과 반대 방향, 즉, 캐소드 전극(18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 방식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 발광 방식은 동일 면적의 하부 발광 방식 대비 보다 넓은 발광영역을 가질 수 있으므로, 휘도를 향상시키고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 상부의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는, 인캡슐레이션층(encapsulation layer)(190)이 형성된다. 인캡슐레이션층(190)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인캡슐레이션층(190)은 제1 무기막(192)과 유기막(194) 그리고 제2 무기막(19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유기막(194)은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이물질을 커버하는 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각 부화소(SP1, SP2, SP3)가 제1 및 제2 발광부(EA1, EA2)를 가지며, 제2 발광부(EA2) 상부에만 렌즈(230)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발광부(EA1, EA2)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에서의 시야각 특성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1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2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230)가 구비되지 않은 제1 발광부(EA1)는 상하좌우 60도 이상의 광시야각을 가지는 반면, 렌즈(230)가 구비된 제2 발광부(EA2)는 상하좌우 30도 이하의 협시야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부(EA1)의 구동에 의해 광시야 모드를 구현하고, 제2 발광부(EA2)의 구동에 의해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T용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경우 200 ppi 정도의 해상도와 400 nit 정도의 휘도 조건이 요구된다. 이러한 휘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광시야 모드 구현 시, 렌즈(230)가 구비되지 않은 제1 발광부(EA1)는 일정 이상의 면적이 필요하다. 반면, 협시야 모드 구현 시, 제2 발광부(EA2)는 렌즈(230)에 의한 집광 효과에 의해 동일 면적 대비 휘도가 상승되므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발광부(EA2)의 휘도 효율 상승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제2 발광부의 시야각에 대한 상대 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230)가 구비된 제2 발광부(EA2)는 렌즈(230)가 구비되지 않은 동일 면적의 발광부에 비해 높은 휘도를 가지며, 약 327%의 휘도 효율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광부(EA2)의 면적을 제1 발광부(EA1)의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 모두에서 휘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때, 휘도 효율 상승을 고려하여 제2 발광부(EA2)의 구동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휘도 효율 상승이 비교적 높으므로, 구동 전압을 낮추더라도 휘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협시야 모드는 광시야 모드에 비해 저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발광부(EA1)를 통해 저전력 모드 구현 시에서도 휘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전압을 낮추어 제1 발광부(EA1)를 저휘도로 구동하면서 제2 발광부(EA2)를 함께 구동하여 필요한 휘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시야 모드에서 제1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제1 휘도로 제1 발광부(EA1)만을 구동하고, 협시야 모드에서 제2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제1 휘도로 제2 발광부(EA2)만을 구동하며, 제2 구동 전압은 제1 구동 전압보다 작다. 또한, 저전력 모드에서 제2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제2 휘도로 제1 발광부(EA1)를 구동하고 제1 휘도로 제2 발광부(EA2)를 구동하며, 제2 휘도는 제1 휘도보다 낮다. 예를 들어, 제1 휘도는 400 nit이고, 제2 휘도는 100 nit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휘도와 발열이 감소하므로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 구조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를 포함하고,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는 각각 적, 녹, 청색(R, G, B) 부화소일 수 있다.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각각은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를 가지며, 제1 발광부(EA1)의 면적이 제2 발광부(EA2)의 면적보다 크다.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제2 발광부(EA2)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EA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서브 발광부(EA2a)는 하나의 렌즈(230)에 대응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는 Y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3 부화소(SP3)는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 사이에서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에 대해 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의 제2 발광부(EA2)는 제1 부화소(SP1)의 제1 발광부(EA1)와 제2 부화소(SP2)의 제1 발광부(EA1)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3 부화소(SP3)의 제1 발광부(EA1)는 제1 부화소(SP1)의 제2 발광부(EA2)와 X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부화소(SP3)의 제2 발광부(EA2)는 제2 부화소(SP2)의 제2 발광부(EA2)와 X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면적은 각 부화소에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의 수명 및 발광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단파장의 빛일수록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동일 면적에서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이 가장 짧고, 적색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이 가장 길다. 따라서, 수명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제2 부화소(SP2)의 면적은 제1 부화소(SP1)의 면적보다 크고, 제3 부화소(SP3)의 면적보다 작다.
일례로,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면적비는 1:2:3일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제1 발광부(EA1)의 면적비도 1:2:3일 수 있고, 제1, 제2,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제2 발광부(EA2)의 면적비도 1:2: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화소(SP2)의 제2 발광부(EA2)의 서브 발광부(EA2a)의 개수는 제1 부화소(SP1)의 제2 발광부(EA2)의 서브 발광부(EA2a)의 개수보다 많고, 제3 부화소(SP3)의 제2 발광부(EA2)의 서브 발광부(EA2a)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화소(SP1)의 제2 발광부(EA2)는 하나의 서브 발광부(EA2a)를 갖고, 제2 부화소(SP2)의 제2 발광부(EA2)는 두 개의 서브 발광부(EA2a)를 가지며, 제3 부화소(SP3)의 제2 발광부(EA2)는 세 개의 서브 발광부(EA2a)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각 부화소(SP1, SP2, SP3)의 제1 및 제2 발광부(EA1, EA2)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 및 동작을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에서는, X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제3 게이트배선(GL1, GL2, GL3)와 제1, 제2, 제3 발광배선(EL1, EL2, EL3)가 연장되고, Y 방향을 따라 데이터배선(DL), 기준배선(RL), 그리고 전원배선(PL)이 연장되며, 이들은 서로 교차하여 부화소를 정의한다.
제1 게이트배선(GL1)은 제1 게이트신호(Scan1)을 전달하고, 제2 및 제3 게이트배선(GL2, GL3)은 제2 게이트신호(Scan2)를 전달한다. 제1, 제2, 제3 발광배선(EL1, EL2, EL3)은 각각 제1, 제2, 제3 발광신호(EM1, EM2, EM3)를 전달하고, 데이터배선(DL)은 데이터신호(Vdata)를 전달하며, 기준배선(RL)은 기준신호(Vref)를 전달하고, 전원배선(PL)은 고전위전압(VDD)을 전달한다.
부화소는 구동 트랜지스터(DT),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T1 내지 T7),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그리고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De1, De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T1 내지 T7)는 P타입 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의 전압에 따라 스위칭 되며, 고전위전압(VDD)에 연결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게이트신호(Scan1)에 따라 스위칭 되고, 데이터신호(Vdata)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게이트신호(Scan2)에 따라 스위칭 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연결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발광신호(EM1)에 따라 스위칭 되며, 기준신호(Vref)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2 발광신호(EM2)에 따라 스위칭 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연결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2 게이트신호(Scan2)에 따라 스위칭 되며, 기준신호(Vref) 및 제4 트랜지스터(T4)에 연결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3 발광신호(EM3)에 따라 스위칭 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연결된다. 제7 트랜지스터(T5)는 제2 게이트신호(Scan2)에 따라 스위칭 되며, 기준신호(Vref) 및 제6 트랜지스터(T6)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Vdata) 및 문턱전압(Vth)을 저장하는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2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3 트랜지스터(T3)에 연결된다.
제1 발광다이오드(De1)는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T4, T5)와 저전위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에 비례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제1 발광다이오드(De1)는 온 상태에서 광시야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를 구현하고, 오프 상태에서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발광다이오드(De2)는 제6 및 제7 트랜지스터(T6, T7)와 저전위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에 비례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제2 발광다이오드(De2)는 적어도 하나의 반구형 렌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온 상태에서 협시야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발광다이오드(De1)는 제4 트랜지스터(T4)와 제5 트랜지스터(T5) 사이의 제1 컨택부(CT1)에 연결되고, 제2 발광다이오드(De2)는 제6 트랜지스터(T6)와 제7 트랜지스터(T7) 사이의 제2 컨택부(CT2)에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부화소에 사용되는 다수의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로,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화 구간인 제1 시간구간(TP1) 동안, 제1 게이트신호(Scan1)와 제1 발광신호(EM1)는 로우레벨 전압(Vl)이 되고 제2 게이트신호(Scan2)는 하이레벨 전압(Vh)이 된다. 따라서, 제1, 제3 트랜지스터(T1, T3)가 턴-온(turn-on) 되고 제2, 제5, 제7 트랜지스터(T2, T5, T7)가 턴-오프(turn-off) 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초기화된다.
센싱구간인 제2 시간구간(TP2) 동안, 제1 게이트신호(Scan1)와 제2 게이트신호(Scan2)는 로우레벨 전압(Vl)이 되고 제1 발광신호(EM1)는 하이레벨 전압(Vh)이 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5, 제7 트랜지스터(T1, T2, T5, T7)가 턴-온 되고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오프 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문턱전압(Vth)이 저장된다.
유지구간인 제3 시간구간(TP3) 동안, 제1 게이트신호(Scan1)와 제2 게이트신호(Scan2) 및 제1 발광신호(EM1)는 하이레벨 전압(Vh)이 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제5, 제7 트랜지스터(T1, T2, T3, T5, T7)가 턴-오프 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문턱전압(Vth)이 유지된다.
발광구간인 제4 시간구간(TP4) 동안, 제1 게이트신호(Scan1)와 제2 게이트신호(Scan2)는 하이레벨 전압(Vh)이 되고 제1 발광신호(EM1)는 로우레벨 전압(Vl)이 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5, 제7, 트랜지스터(T1, T2, T5, T7)가 턴-오프 되고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에는 문턱전압(Vth)이 보상된 전류가 흐르고, 제2 및 제3 발광신호(EM2, EM3)에 따라 제4 및 제6 트랜지스터(T4, T6)가 독립적으로 온/오프(ON/OFF)됨으로써,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e1, De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부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 배치 구조에 대해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화소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각 부화소의 컨택부와 발광다이오드의 연결 관계, 즉, 컨택부와 발광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하당한다. 편의를 위해, 각 배선은 전달하는 신호를 부호로 사용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화소(SP1)와 제2 부화소(SP2)는 전원배선(VDD)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지며, 제3 부화소(SP3)는 제1 부화소(SP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제2 부화소(SP2)와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와 동일한 구조가 반복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부화소(SP1)의 제1 컨택부(CT1)는 제1 부화소(SP1)의 제1 발광부(EA1)와 연결되고, 제1 부화소(SP1)의 제2 컨택부(CT2)는 제1 부화소(SP1)의 제2 발광부(EA2)와 연결된다. 제2 부화소(SP2)의 제1 컨택부(CT1)는 제2 부화소(SP2)의 제1 발광부(EA1)와 연결되고, 제2 부화소(SP2)의 제2 컨택부(CT2)는 제2 부화소(SP2)의 제2 발광부(EA2)와 연결된다. 제3 부화소(SP3)의 제1 컨택부(CT1)는 제3 부화소(SP2)의 제1 발광부(EA1)와 연결되고, 제3 부화소(SP3)의 제2 컨택부(CT2)는 제3 부화소(SP3)의 제2 발광부(EA2)와 연결된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제1 부화소(SP1)의 제1 발광부(EA1)와 제2 부화소(SP2)의 제1 발광부(EA1) 사이에 제1 및 제2 부화소(SP1, SP2)의 제2 발광부(EA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화소(SP2)의 제1 발광부(EA1)와 제2 부화소(SP2)의 제2 발광부(EA2) 사이에 제1 부화소(S1)의 제1 및 제2 발광부(EA1, SP2)가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설계가 보다 용이하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에서 차광패턴은 터치전극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차광패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의 차광패턴은, 다수의 송신전극(TL)과 다수의 수신전극(RL)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터치블럭(TB) 내에서 다수의 송신전극(TL)과 다수의 수신전극(RL)은 제2 발광부(EA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제2 발광부(EA2)는 송신전극(TL) 및/또는 수신전극(RL)에 의해 둘러싸인다. 반면, 송신전극(TL) 및 수신전극(RL)은 제1 발광부(EA1)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인접한 제1 발광부(EA1) 사이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송신전극(TL)은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터치블럭(TB)의 송신전극(TL)과 연결되고, 수신전극(RL)은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터치블럭(TB)의 수신전극(RL)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는 터치전극을 차광패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패널 110: 기판
De1: 제1 발광다이오드 De2: 제2 발광다이오드
190: 인캡슐레이션층 210: 차광패턴
220: 광학 갭층 230: 렌즈
240: 평탄화막 250: 편광층
SP1, SP2, SP3: 제1, 제2, 제3 부화소
EA1: 제1 발광부 EA2: 제2 발광부

Claims (14)

  1.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갖는 다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의 상기 제2 발광부에 대응하는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부의 면적은 상기 제1 발광부의 면적보다 작은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광시야 모드에서 제1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제1 휘도로 상기 제1 발광부를 구동하고,
    협시야 모드에서 제2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발광부를 구동하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제2 전압을 인가하여 제2 휘도로 상기 제1 발광부가 구동되고 상기 제1 휘도로 제2 발광부가 구동되며,
    상기 제2 구동 전압은 상기 제1 구동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휘도는 상기 제1 휘도보다 낮은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화소의 면적은 상기 제1 부화소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3 부화소의 면적보다 작은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에 대응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3 부화소의 서브 발광부의 개수보다 적은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화소의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의 제2 발광부는 상기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화소의 각각은,
    고전위전압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1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데이터신호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제1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기준신호에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제2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제4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5 트랜지스터와;
    제3 발광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6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며,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제6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및 제2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3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가지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와;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와 저전위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발광부에 구비되는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6 및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전위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발광부에 구비되는 제2 발광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화소는 제1, 제2, 제3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상기 제1 및 제2 부화소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및 제2 발광부는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2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화소의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부화소의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부화소의 제1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반구형 렌즈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렌즈 사이에 상기 제2 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차광패턴을 더 포함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교차하는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전극인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상부에 배치되고 선형편광층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층 더 포함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KR1020210192432A 2021-12-30 2021-12-30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KR20230102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32A KR20230102366A (ko) 2021-12-30 2021-12-30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US17/977,280 US11978398B2 (en) 2021-12-30 2022-10-31 Viewing angle switchable display device
CN202211349948.9A CN116416943A (zh) 2021-12-30 2022-10-31 视角可切换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32A KR20230102366A (ko) 2021-12-30 2021-12-30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366A true KR20230102366A (ko) 2023-07-07

Family

ID=8699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32A KR20230102366A (ko) 2021-12-30 2021-12-30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78398B2 (ko)
KR (1) KR20230102366A (ko)
CN (1) CN116416943A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9401B (zh) * 2013-09-03 2016-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20150061558A (ko) 2013-11-26 2015-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52317B1 (ko) * 2013-11-26 2019-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8082B1 (ko) * 2018-09-06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4051B1 (ko) * 2018-10-16 2023-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75597A (ko)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52033B1 (ko) * 2019-08-07 2024-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21136207A (ja) * 2020-02-28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移動体
CN111883684B (zh) * 2020-08-07 2022-08-12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30290A (ko) * 2021-03-17 2022-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8398B2 (en) 2024-05-07
US20230215357A1 (en) 2023-07-06
CN116416943A (zh)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876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94816B1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KR10262320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370715B1 (ko)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6015598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40970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4752482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664157B1 (ko) 투명표시장치
CN109599417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JP2012003925A (ja) 表示装置
CN109728183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
US202102003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US10658623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ow-refractive members
KR10244586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11658205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30102366A (ko)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US12004411B2 (en) Viewing angle switchable display device
EP4207972A1 (en) Viewing angle switchable display device
KR102098068B1 (ko)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적용한 화이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30209886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61206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30095457A (ko) 저전위배선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230102691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40038333A (ko) 발광 표시 장치
CN116419608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