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321A -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321A
KR20230102321A KR1020210192355A KR20210192355A KR20230102321A KR 20230102321 A KR20230102321 A KR 20230102321A KR 1020210192355 A KR1020210192355 A KR 1020210192355A KR 20210192355 A KR20210192355 A KR 20210192355A KR 20230102321 A KR20230102321 A KR 2023010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cpp
composition
poultry
feed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기
문승규
이우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321A/ko
Publication of KR2023010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6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LCPP)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로서, 가금류에 유해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가금류 사료 첨가제로 급여하였을시, 혈액의 안정성을 검사하여 안전성이 입증되었고, 초기 성장 및 장내 미생물 총균이 안정화 됨과 동시에 향상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산란 능력 및 소화 기능 개선에 도움되는 것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로서, 이와 관련 사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growth promotion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containing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LCPP)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LCPP)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 한다.
항생제의 경우 사료첨가제로서 양계산업에서 성장 촉진용으로 사용해 오고 있었으나,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으로 많은 나라가 성장 촉진용 첨가제로서 사용을 금지해오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 미네랄 제재, 식물 천연물, 등 다양한 항생제 대체제를 전세계적으로 연구 및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성장 촉진제로서의 전통적인 항생제는 업계에 막대한 경제적 이점이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가축 및 가금류 제품에서 동물 내인성 감염 및 중복 감염, 약물 내성 생성, 면역 기능 감소 및 잔류물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제한이 증가하고 있다.
닭의 영양에 대한 수요가 높고, 육계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닭의 성장 효율과 품질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는데, 종래의 비육용 닭 사료는 일상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수사료의 육용계병 저항성 및 소화기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급하다.
Polyphosphate는 열개~수천개의 orthophosphate가 고에너지 phosphate 결합으로 연결된 복합체로서, 미생물부터 포유동물 조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기체에 존재하는 물질로서, Polyphosphate는 조직 내에서 에너지 대사, 생존,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기능과 육 조직 내에서는 완충력, 보수력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일부 부패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 및 생장 저해 능이 보고되어 있어 식품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다.
병원성 세균은 생물막(biofilm) 형태로 생활하며 플랑크톤 세포보다 항균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천연물질들이 병원성 세균의 생물막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은 가금류의 세포 및 막 기능,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 산-염기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연구에서 인산나트륨, 인산칼슘, 폴리인산암모늄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인 미네랄을 육용계 사료용 식이 인의 공급원으로 사용되었다. 또 다른 연구는 육용계의 유일한 보충 인 공급원으로서 음용수에서 폴리인산암모늄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상업용 가금류 사료에는 인산이칼슘(DCP), 인산일칼슘(MCP), 인산일칼슘(MDP), 탈불소인산(DFP), 인산일나트륨(Ca:P)과 같은 여러 무기 인산염이 포함된다. 이러한 무기 인산염은 초기 육용계의 성장, 경골 광물화, Ca 및 P 소화율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특정 무기 인산염의 소화 가능한 무기물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축의 성장 촉진 첨가제로서 장쇄 폴리인산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특히 포유류의 조직 내 혹은 골성장에 대해서 생리활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일부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보고되어 있는 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산업 동물을 대상으로 사료 첨가제로서 연구 개발이 시도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LCPP)의 양계용 사료 첨가제의 개발에 대한 것이며,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산란계 및 육용계에 대한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생산성, 내부 장기 특성, 미생물 균총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료첨가제로서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1. Famuyide IM, Aro AO, Fasina FO, Eloff JN, McGaw LJ.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y of acetone leaf extracts of nine under-investigated south African Eugenia and Syzygium (Myrtaceae) species and their selectivity indice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9;19(1):1-13. https://doi.org/10.1186/s12906-019-2547-z. 2. Lamp A, Mereu A, Ruiz-Ascacibar I, Moritz J. Inorganic feed phosphate type determines mineral digestibility, broiler performance, and bone miner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20;29(3):559-72. https://doi.org/10.1016/j.japr.2020.03.003. 3. Damron B, Flunker L. Supplementation of broiler drinking water with liquid ammonium polyphosphate. British Poultry Science. 1991;32(2):377-82. https://doi.org/10.1080/00071669108417362. 4. Jensen L, Edwards Jr H. Availability of phosphorus from ammonium polyphosphate for growing chickens. Poultry Science. 1980;59(6):1280-3. https://doi.org/10.3382/ps.0591280. 5. Selim S, Abdel-Megeid NS, Abou-Elnaga MK, Mahmoud SF. Early Nutrition with Different Diets Composition versus Fasting on Immunity-Related Gene Expression and Histomorphology of Digestive and Lymphoid Organs of Layer-Type Chicks. Animals. 2021;11(6):1568. https://doi.org/10.3390/ani11061568. 6. Takahashi K, Mashiko T, Akiba Y. Effect of dietary concentration of xylitol on growth in male broiler chicks during immunological stress. Poultry Science. 2000;79(5):743-7. https://doi.org/10.1093/ps/79.5.743. 7. Hevener W, Routh PA, Almond GW. Effects of immune challenge on concentrations o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growth performance in pigs. The Canadian Veterinary Journal. 1999;40(11):782. 8. Wu G, Bazer FW, Dai Z, Li D, Wang J, Wu Z. Amino acid nutrition in animals: protein synthesis and beyond. Annu Rev Anim Biosci. 2014;2(1):387-417. https://doi.org/10.1146/annurev-animal-022513-114113
Figure pat00001
9. Fang J, Martnez Y, Deng C, Zhu D, Peng H, Jiang H, et al. Effects of dietary enzymolysis products of wheat gluten on the growth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immune, and antioxidant status of broilers. Food and Agricultural Immunology. 2017;28(6):1155-67. https://doi.org/10.1080/09540105.2017.1332009. 10. Proszkowiec-Weglarz M, Angel R.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broilers: effect of homeostatic mechanism on calcium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13;22(3):609-27. https://doi.org/10.3382/japr.2012-00743. 11. Kawazoe Y, Shiba T, Nakamura R, Mizuno A, Tsutsumi K, Uematsu T, et al. Induction of calcification in MC3T3-E1 cells by inorganic polyphosphate. Journal of Dental Research. 2004;83(8):613-8. https://doi.org/10.1177/154405910408300806.
본 발명의 목적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CL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성장 촉진 및 면역력 증진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소화기능 개선 및 산란율 증가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SCL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병원체인 E.coli 속, Listeria 속, Salmonella 속, klebsiella 속, Pseudomonas 속의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CL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성장 촉진 및 면역력 증진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소화기능 개선 및 산란율 증가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SCL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병원체인 E.coli 속, Listeria 속, Salmonella 속, klebsiella 속, Pseudomonas 속의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가금류에 유해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가금류 사료 첨가제로 급여하였을시, 혈액의 안정성을 검사하여 안전성이 입증되었고, 초기 성장 및 장내 미생물 총균이 안정화 됨과 동시에 향상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산란 능력 및 소화 기능 향상에 도움되는 것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는 가금류 사료 첨가제로서, 이와 관련 사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이 5가지 가금류 병원체에 대해 나타내는 생물막 저해 효과를 농도 별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계란 품질 자동검사기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산란계에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급여 하였을 시, 현미경 상에서 융모의 길이 및 음와의 길이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성장 촉진 및 면역력 증진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고 유해한 가축 병원성의 생장을 억제하는 바, 동물체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가축의 증체량과 생산성을 개선시키며, 산유량 및 면역력을 비롯한 건강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사료, 펠렛 형태 및 사일레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 이외의 여러 가지 미생물군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서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사료와 본 발명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배합사료 등을 펠렛기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일레지는 청예 사료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습식발효사료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물을 수집 및 운반하여 살균과정과 수분조절을 위한 부형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에 적당한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발효하여, 수분함량이 약 70%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건조사료는 습식 발효 사료를 건조과정을 추가로 거쳐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정도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의 일예로서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쌀가루, 밀가루, 보리가루, 및 옥수수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기분말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및 타조고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화한 고기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두류는 대두, 강낭콩, 완두콩, 및 검정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사료에 첨가되는 성분인 곡류분말, 고기분말, 및 두류 이외에도 사료의 영양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및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사료 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항응고제, 유화제, 및 결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금류는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칠면조, 메추리 및 게사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육계 닭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0.1중량(%)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장내 총균을 안정화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S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소화촉진 및 산란율 증가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칠면조, 메추리 및 게사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산란계 닭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병원체인 E.coli 속, Listeria 속, Salmonella 속, klebsiella 속, Pseudomonas 속의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금류 병원체는 E.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almonella enterica ser. Pullorum, Shigella sonnei, Klebsiella pneumoniae 및 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준비예]
준비예 1.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 준비
평균 사슬 길이가 130 Pi인 폴리인산나트륨(Nan+2PnO3n+1)은 RegeneTiss(Kunitachi, Japan)에서 제공받았다.
[실시예]
실시예 1. 세포수준(in vitro)에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항균 효과 확인
실시예 1-1. 박테리아 균주 및 배양 조건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총 7개의 병원성 박테리아 균주가 사용되었다. 대장균 O157:H7 ATCC 35150,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ATCC 9184, S. enterica ser. Pullorum SP4, Pseudomonas aeruginosa PA01 및 Shigella sonnei KCTC 2518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충청북도)에서 제공하였고, Klebsiella pneumoniae는 경기도 환경연구원(경기도 수원시)에서 제공하였다. E. coli O157:H7, S. enterica ser. Gallinarum, S. enterica ser. Pullorum SP4, K. pneumoniae 및 S. sonnei는 Luria-Bertani(LB; Difco, USA) 브로쓰에서 재배되었다. L. monocytogenes와 P. aeruginosa는 각각 뇌심장주입액(BHI; Difco, USA)과 영양액(Difco, USA)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진탕 조건(100 rpm)에서 16시간 동안 37℃에서 호기적으로 성장시켰다.
Strain Inhibition zone (mm) 1)
10mg/ml 50 mg/mL 100 mg/mL
E.coli O157:H7 8.33±1.16 9.00±1.00 12.33±0.58
Listeria monocytogenes ND ND 8.50±0.50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ND ND ND
Salmonella enterica ser. Pullorum 10.67±0.58 12.67±0.58 14.17±0.29
Shigella sonnei 9.33±0.58 13.83±0.76 16.33±0.58
Klebsiella pneumoniae ND 8.33±0.58 10.67±0.58
Pseudomonas aeruginosa ND 15.17±0.76 17.33±0.58
ND: Not detected
1) Means ± standard deviation
가금류 박테리아 병원체에 대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항균 활성은 표 1과 같다. S. enterica ser, Gallinarum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균주는 각각의 농도에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처리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 하였다. 구체적으로, 10mg/mL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처리시 E. coli O157:H7, S. enterica ser. Pullorum, S. sonnei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항균활성 가능성은 P. aeruginosa > S. sonnei > S. enterica ser > Pullorum > E. coli O157:H7 > K. pneumoniae > L. monocytogenes순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표 1과 같이,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가금류 병원체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1-2. 아가로스 월 확산 평가(Agar well diffusion assay, 항균 실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10 mg/ml, 50 mg/ml 및 100 mg/ml의 세가지 다른 농도로 맞추었다. 그런 다음 pH 7로 조정하고 필터를 멸균했다. 새로 준비된 모든 박테리아 배양물(~1 x 108-9 CFU/ml)을 멸균된 면봉을 사용하여 각각 한천 플레이트를 면봉으로 닦은 후, 세 가지 다른 농도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 분취량(100μl)을 한천 플레이트의 웰(직경 6mm)에 넣었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37℃에서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넣어 억제 영역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3.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항생물막 활성
가금류의 병원성 세균은 생물막(biofilm) 형태로 생활하며 플랑크톤 세포보다 항균 내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개의 병원성 박테리아 균주는 아가로스 월 확산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항-생물막 활성 평가 하였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시험용액은 LB, BHI, nutrient broths에 준비되었고, 1,250, 625, 250 mg/L(최종농도: 625, 312.5, 125 mg/L) 농도의 세균주(E.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almonella enterica ser. Pullorum, Shigella sonne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에 해당하는 영양배지에서 항균 활성과 필터를 0.2 μm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를 살균하였다. 박테리아 배양 현탁액을 600 nm(OD600)에서 광학 밀도 0.1로 조정하고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이 포함되어 있거나 포함되지 않는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100μl)에 분배하였다. 37°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사용한 배지를 제거하고 웰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pH 7.2)로 두 번 세척하였고, 플레이트 표면에 남아있는 생물막은 0.1%(w/v)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사용하여 10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 후, 웰을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키고, 결합된 염료를 30%(v/v) 에탄올 200㎕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Synergy™ 2, BioTek,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OD600을 기록했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각 농도에 대한 생물막 형성 억제 백분율은 아래 계산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Figure pat00002
그 결과, 생물막 억제에 대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효과는 5가지 가금류 병원체에 대해 대한 억제효과는 12% 내지 64% 범위에서 생물막 형성 방지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시험한 5개 균주 중 K. pneumoniae와 P. aeruginosa만이 50% 이상의 억제를 나타내어 선택적으로 우수한 항생물막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생물막 형성 억제에 대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효과는 농도 의존적임을 확인 하였다.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숙주 조직에 대한 가금류 병원체의 부착 및 집락화를 감소시킴을 시사한다.
실시예 2. 육계에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성장 및 증진 장내 총균 효과
실시예 2-1.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를 사료 첨가제로 육계의 급여한 육계를 대상으로 한 in vivo 사양연구
시험 동물, 사료 및 실험 설계
480수의 1일령 수컷 Ross 308종을 실험동물로 공시하였다. 첨가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기초사료를 급여한 대조군(NC), 종래 육계에 처리되는 ENRACIN-10 (WooGene B&G, Yeongdeungpo-gu, Seoul, Republic of Korea)을 기초사료 내에 0.01% 첨가 급여한 양성 대조군(PC), 그리고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를 기초사료 내에 0.1% 첨가 급여한 실험군(SLCPP)로 개체들을 배치하였으며, 처리구 당 4개의 반복구(pen)를 구성하였고, 기본 식단의 성분 및 영양 성분은 표 2와 같다.
육계 사양연구에서의 기초사료 배합비 및 영양성분 조성
Item Grower phase
(day 1 to 21)
Finisher phase
(day 21 to 35)
Ingredient composition, %
corn 57.2 52.53
soybean meal(crude protein,45%) 27.09 26.48
Rice bran - 3
corn gluten meal 3.38 3
corn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DDGS) 3 3
Tallow 3 5
Rapeseed meal 2 2
Wheat bran - 1.25
Limestone 1.69 1.79
Monocalcium phosphate(MCP) 1.16 0.91
L-lysine HCl 78% 0.38 0.19
DL-methionine 98% 0.36 0.17
Salt 0.25 0.25
Choline-Cl 50% 0.09 0.04
Mineral premix1) 0.15 0.15
Vitamin premix2 0.12 0.11
Phytase optis 0.05 0.05
NaHCO3 0.08 0.08
Calculated analysis
Crude protein, % 20.5 20.0
Crude fat, % 5.84 8.23
Crude fiber, % 2.8 2.92
Ash, % 4.74 4.97
Ca, % 0.80 0.90
Available P, % 0.62 0.61
Met+Cys, % 1.03 0.83
AMEn (kcal/kg) 3,100 3,150
1)Mineral premix provided the following per kg of diet: Fe, 80 mg; Zn, 50 mg; Mn, 60 mg; Co, 0.3 mg; Cu, 10 mg; Se, 0.2 mg.
2)Vitamin premix provided the following per kg of diet: vitamin A, 80,000 IU; vitamin D3, 1,600 IU; vitamin E, 20 IU; vitamin K3, 8 mg; vitamin B1, 8 mg; vitamin B2, 24 mg; vitamin B6, 12 mg; vitamin B12, 0.040 mg; pantothenic acid, 40 mg; folic acid, 4 mg; nicotinic acid, 120 mg-.
실험 시작 후 7일간의 기초사료 적응기간 후 4주간 실험을 수행하였고, 반복구 당 40마리 개체 무작위로 배치하였으며 상세한 조건은 다음 표 3과 같다.
육계 연구에서의 사양 조건
사육 공간의 너비 가로 180cm, 세로 180cm
사양 온도 및 습도 7일간 33± 2℃를 유지하고, 매주 2℃ 낮춰 최종온도 26℃
맞춤
사료 및 음수 급이 방법 무제한 사료 급여 및 무제한 음수 공급
점등 관리 24시간 동안 점등
실시예 2-2. 사료에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첨가에 따른 육계의 성장 및 장내총균에 미치는 영향 확인.
실시예 2-2-1.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사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첨가하였을시, 육계의 성장 및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 4와 같이 NC(basal diet), PC(basal diet + 0.01% enramycin) 및 SPP(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나누어서 체중(body weight, BW), 체중증가량(Body weight gain, BWG), 일당증체량(average daily gain, ADG), 사료섭취량(feed intake, FI) 및 사료효율(Feed conversion ratio, FCR) 알아 보았다.
체중(BW)의 경우에는, 한 pen의 모든 개체 체중을 마리 수로 나눠서 계산하였으며, 평균 일당증체량 (ADG)은 주차 별 체중과 초기체중 차이로 계산하였다.
사료섭취량(FI)은 총 사료 급여량에서 남은 사료의 양을 제외한 후 급여 일수로 나누었으며, 사료요구율(FCR)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각 단계에 대한 BW, BWG, FI 및 FCR은 21일째에 BW는 PC 및 SPP 그룹이 NC 그룹보다 높았다(p < 0.05). 성장단계의 육계(grower phase)의 BWG, ADG, FCR은 NC군보다 PC군과 SPP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이에,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 급여는 NC에 비해 육계의 초기 성장을 촉진을 확인 할 수 있었다(표 4).
따라서, 상기 성장 촉진 효과는 항생제 치료와 유사하며, 실시예 1의 시험관 내 실험에서 관찰된 SLCPP의 항균 및 항생물막 활성에 의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SLCPP는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시켜 초기 성장 단계에서 육계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면역이 향상되었을 수 있으므로 초기 성장이 촉진된 것임을 시사한다.
SLCPP 보충이 육계의 성장 성능에 미치는 영향
Item Treatment SEM 2) p -value
NC PC SPP
BW (g)
Day 7
(initial weight)
134.45 134.38 134.43 0.32 0.74
Day 21 644.75b 677.92a 683.92a 4.59 0.02
Day 35 1488.25 1565.33 1583.75 7.69 0.09
BWG (g)
Grower phase 510.30b 543.54a 549.49a 4.60 0.02
Finisher phase 843.50 887.42 899.83 6.91 0.36
Total phase 1353.80 1430.96 1449.33 7.69 0.09
ADG (g/day)
Grower phase 36.45b 38.82a 39.25a 1.23 0.02
Finisher phase 60.25 63.39 64.27 1.85 0.36
Total phase 48.35 51.11 51.76 1.45 0.09
FI (g/day/bird)
Grower phase 63.93 60.48 62.02 1.68 0.37
Finisher phase 111.58 114.70 115.26 2.16 0.64
Total phase 87.75 87.59 88.64 1.69 0.91
FCR
Grower phase 1.75a 1.56b 1.58b 0.33 0.02
Finisher phase 1.86 1.81 1.79 0.34 0.81
Total phase 1.82 1.71 1.71 0.32 0.38
a,bMeans within the same row having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at
p≤ 0.05.
Treatment1): NC, basal diet; PC, basal diet + 0.01% enramycin; SPP, 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EM2): Standard error of mean.
실시예 2-2-2. 육계의 장내 균총 변화 확인.
장내 미생물총의 균형은 가금류의 건강, 성장 및 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종래 장내 미생균총의 불균형을 야기시키는 항생제와 달리 본 발명의 SLCPP 첨가 사료는 육계의 장내 LAB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LAB는 그 중에서도 유기산, 박테리오신 등 다양한 항균 물질을 생산하여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바, 육계의 장내 일부 유산균의 존재는 장내 미생물의 구성을 조절하고 장의 면역을 발달시키며 육계의 건강을 증진시킴을 시사한다.
실험 종료 시 반복 당 2마리를 평균 체중에 가까운 개체들로 선택하여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질식사 하여 희생 시켰다. 해당 개체들에 대하여 공장, 회장 및 맹장의 내용물들을 수집하였으며 장내 균총의 조성 변화를 비교하였고, 공장, 회장 및 맹장 생균수는 MRS (Man-Rogosa-Sharpe, Difco, USA), Nutrient, MacConkey (Difco, USA), ST (Streptococcus thermophilus) 한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계수하였다. 대장균, 유당 음성 장내 세균은 MacConkey 한천에서 계수, 호기성 박테리아는 Nutrient 한천에서 계수, 젖산균(LAB)은 MRS에서 계수, 연쇄상구균은 ST 한천에서 계수하였다.
처리구 당 수집된 장의 모든 내용물을 표본으로 추출하였으며, 그 후 시료 1g을 멸균 증류수로 연속 희석하고, 현탁액을 각 배지에 분주하여 37℃에서 24-48시간 배양하였고, 콜로니 계수 후, log CFU/g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육계의 장 부분에 따른 미생물총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대장균군과 유당 음성 장내세균, Streptococcus spp. SPP군은 NC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 < 0.05), LAB 및 총 호기성 미생물은 SPP군이 NC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항생제 처리는 NC군에 비해 LAB 및 총 호기성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대장균군 및 유당 음성 장내세균은 증가시켰다(p < 0.05). 회장과 맹장에서 식이 SLCPP는 식이 치료 중 세균 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PC군의 LAB 수는 맹장의 NC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그 결과, 표 5와 같이 총균이 안전화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육계의 장내 미생물 조성에 대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LCPP) 보충 효과
Intestinal microflora Treatment 1) (log CFU/g) SEM 2) p -value
NC PC SPP
Jejunum
Coliforms and lactose
negative enterobacteria
6.51b 7.36a 7.49a 0.20 0.01
Lactic acid bacteria (LAB) 8.41a 7.60b 8.24ab 0.21 0.04
Total aerobes 8.05a 6.87b 7.68a 0.18 < 0.01
Streptococcus spp. 7.03b 6.81b 8.39a 0.22 < 0.01
Ileum
Coliforms and lactose negative enterobacteria 6.70 7.58 7.84 0.39 0.13
LAB 8.95 8.66 8.62 0.17 0.34
Total aerobes 7.51 8.32 7.99 0.33 0.25
Streptococcus spp. 7.88 8.26 8.72 0.25 0.09
Cecum
Coliforms and lactose negative enterobacteria 7.60 7.56 7.92 0.25 0.54
LAB 9.26a 8.50b 9.11ab 0.20 0.03
Total aerobes 7.80 8.16 8.12 0.24 0.55
Streptococcus spp. 8.99 8.57 8.73 0.24 0.47
a,bMeans within the same row having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at p≤ 0.05.
Treatment1): NC, basal diet; PC, basal diet + 0.01% enramycin; SPP, 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EM2): Standard error of the mean.
실시예 2-3 혈액 생화학 분석을 통한 안전성 검증.
장내 내용물 수집이 끝난 개체들에 대하여 심장을 통하여 혈액을 채혈하였고, 4℃에서 1,500 rpm으로 약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본 혈청에 대하여 생화학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혈청내에 조사 항목은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amma glutamyl transferase, GGT),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요산(uric acid, UA), 글루코스(glucose), 총 단백질(total protein, TP), 알부민(albumin), 크레아틴(creatinine), 칼슘(calcium), 인(phosphorus)에 대하여 진행하였고. 모든 조사 항목에 대하여 처리구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안전성을 입증하였다(표 6).
육계의 혈액 대사 산물에 대한 SLCPP 보충의 효과.
Item Treatment SEM 2) p -value
NC PC SPP
Aspartate aminotransferase, U/L 284.00 268.38 233.37 17.78 0.51
Alanine aminotransferase, U/L 6.25 5.75 5.75 0.28 0.72
Gamma glutamyl transferase, U/L 39.50 38.38 32.38 2.28 0.41
Triglyceride, mg/dL 107.13 93.38 116.38 5.95 0.30
Total cholesterol, mg/dL 99.25 108.88 99.625 3.12 0.38
Uric acid, mg/dL 6.95 6.90 6.94 0.32 1.00
Glucose, mg/dL 347.88 359.63 337.00 13.12 0.80
Total protein, g/dL 2.93 2.84 2.72 0.07 0.45
Albumin, g/dL 1.24 1.19 1.10 0.04 0.33
Creatinine, mg/dL 0.99 0.85 1.08 0.04 0.07
Blood urea nitrogen, mg/dL 2.63a 2.51ab 2.29b 0.05 0.04
Calcium, mg/dL 5.26 4.94 5.41 0.21 0.68
Inorganic phosphorus, mg/dL 12.17 12.13 11.53 0.29 0.63
a,bMeans within the same row having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at p≤ 0.05.
Treatment1): NC, basal diet; PC, basal diet + 0.01% enramycin; SPP, 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EM2): Standard error of the mean.
실시예 2-4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 급여에 따른 육계의 기관의 특성.
사료 조성물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첨가제로 첨가하여 구성하였을 시, Fabricius의 간, 비장 및 윤활낭의 무게의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표 7과 같이 Fabricius의 간, 비장 및 윤활낭의 상대적 무게를 기재하고 있으며,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간의 상대적 무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를 공급해도 독성을 발생 시키지 않음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Fabricius의 점액낭의 상대 중량은 처리군 간에 영향을 받지 않은 채로 유지되었다(p > 0.05). 그러나, 식이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엔라마이신(enramycin)을 먹인 육계와 비교하여 비장의 상대 중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 < 0.05). 또한, 표 7에 나와 있듯이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식이 보충제가 NC 그룹과 비교하여 면역 기관의 활성 또는 기능에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장의 증가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SLCPP를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급여하였을시, 면역력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면역 활동에 필요한 항체와 면역 기관의 발달을 위해 영양소가 잘 분포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LCPP) 첨가제가 육계에서 Fabricius의 간, 비장 및 윤활낭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
Item Treatment SEM p -value
NC PC SPP
g/100 g body weight
Liver 2.20 2.26 2.35 0.08 0.40
Spleen 0.12ab 0.09b 0.13a 0.01 0.04
Brusa of Fabricius 0.19 0.21 0.22 0.02 0.53
a,bMeans within the same row having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at p≤ 0.05.
Treatment1): NC, basal diet; PC, basal diet + 0.01% enramycin; SPP, 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EM2): Standard error of the mean.
표 8은 육계의 장 분절의 상대적인 무게와 길이에 대한 급여 하였을 시,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의 효과 확인 할 수 있었다.
십이지장의 상대 중량은 식이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그 길이는 NC 그룹에 비해 SPP 및 PC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공장의 경우 SPP군이 다른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C군이 NC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마찬가지로 회장의 무게는 SPP군이 NC군이나 PC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PC군이 NC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그러나 맹장의 무게나 길이는 처리군 간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었다(p > 0.05). 또한, 각 장 분절의 길이에 대한 무게의 비는 처리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은 SPP 그룹에서 장 크기를 어느 정도 감소시킴을 확인 하였다. 이는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이 육계의 장 기관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증가시켜 장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대신 초기 성장 성능을 개선하고 체중 증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 보충이 육계의 장 무게와 길이에 미치는 영향.
Item Treatment SEM 2) p -value
NC PC SPP
Relative weight, g/100g BW
Duodenum 0.58 0.45 0.62 0.05 0.06
Jejunum 0.95a 0.71b 0.89ab 0.14 0.03
Ileum 0.92a 0.70b 0.80ab 0.16 0.03
Cecum 0.19 0.17 0.15 0.09 0.43
Relative length, cm/100g BW
Duodenum 2.10a 1.78b 1.81b 0.03 0.02
Jejunum 5.03a 4.13b 4.56ab 0.04 0.02
Ileum 5.57a 4.55b 4.63b 0.04 0.01
Cecum 1.13 1.37 0.95 0.01 0.18
Weight:length, g/cm
Duodenum 0.29 0.25 0.35 0.02 0.12
Jejunum 0.19 0.17 0.2 0.01 0.39
Ileum 0.17 0.16 0.18 0.01 0.53
Cecum 0.17 0.14 0.15 0.01 0.56
a,bMeans within the same row having different letters differ significantly at
p≤ 0.05.
Treatment1): NC, basal diet; PC, basal diet + 0.01% enramycin; SPP, basal diet + 0.1% 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EM2): Standard error of the mean.
실시예 3.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SLCPP)을 사료 첨가제로 산란계의 급여한 산란계를 대상으로 한 in vivo 사양연구
실시예 3-1. 실험 동물, 사료 및 실험 설계
총 108마리의 68주령 Hy-line brown 실용계를 실험 동물로 공시하였으며, 첨가 수준 별 3개(SLCPP의 전체 사료 내 첨가 수준: 0 ppm, 500 ppm, 1000 ppm)의 식이 급여 처리구로 처리구 당 6개 반복, 반복 당 6마리를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사료로는 일반 산란 후기 시판사료를 이용하였으며, 사료에 0 mg/kg, 500 mg/kg, 1000 mg/kg의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가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에 해당하는 양을 각각 1L의 증류수에 녹였고, 이후 액상 형태의 첨가 원료를 기초사료와 약 10분간 완전 배합하였다.
산란계 사양연구에서의 기초사료 배합비 및 영양성분 조성표
Items Amount, %
Corn imp. 61.439
SBM imp. 16.099
Canola meal 6.500
Corn gluten meal 3.146
Tallow 1.050
Salt 0.280
Syn-Lysine, 25% (liquid) 0.264
MDCP (Monodicalcium phosphate) 0.667
L-Methionine, 100% 0.066
Limestone 10.114
Choline-Cl 50% 0.009
Phytase 0.050
NaHCO3 0.051
Vitamin mix1) 0.105
Mineral mix2) 0.160
Total 100.00
Chemical analysis on dry matter basis
Crude protein 15.00
Ether extract 3.70
Crude fiber 2.80
Ca 4.00
Phosphorus 0.49
Available phosphorus 0.22
Cys+Met3) 0.67
Ash 12.40
AMEn (kcal/g) 2,780
약 5주간 실험 사료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LCPP)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사양 조건은 다음 아래 표 10과 같다.
산란계를 대상으로 사양조건
개시 산란율 66.11 ± 1.42 %
개시 체중 2.08 ± 0.004 kg
사육 공간 가로 43 cm, 세로 45 cm, 높이 42 cm
사양 온도 및 습도 전 사양기간 동안 온도 22 ± 3℃, 습도 50 ± 10% 유지
사료 및 음수 급이 방법 무제한 사료 급여 및 무제한 음수 공급
점등 관리 16시간 점등 이후 8시간 소등
실시예 3-2. 난 생산성 확인
전체 실험기간 동안 매일 오전 10시에 정상란, 기형란, 파란의 개수를 모두 집계하며 정상란은 모두 무게를 측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산란율 (%), 파란율 (%)를 산출하였다 (표 11).
전 기간 동안의 평균 난중을 산출하였다. 또한 산란율과 난중을 곱하여 산란량을 산출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매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고 이를 산란량으로 나누어 사료 요구율을 산출하였고, 이를 통해 처리구 간 사료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는 첨가 수준에 따라 산란율, 산란량, 및 사료 섭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SLCPP의 첨가 수준별 급여가 산란 노계의 난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tems SLCPP (mg/kg) SEM P-value
0 500 1,000 Linear Quadratic
Egg production, % 74.60 79.52 83.18 2.59 0.198 0.910
Egg weight, g 63.81 64.44 63.25 0.517 0.681 0.440
Egg mass, g/hen/d 47.58 51.13 52.59 1.57 0.215 0.758
Feed intake, g/hen/d 124.03 125.54 131.73 1.64 0.165 0.339
FCR, g feed/ g egg 2.75 2.46 2.52 0.089 0.321 0.387
Broken eggs, % 4.45 5.38 8.57 1.89 0.404 0.790
실시예 3-3. 난질 특성
매주 반복 당 4개의 계란을 수집하여 수집 다음날에 일반 난질에 대해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과 방법은 다음 표 12과 같다.
일반 난질 측정 항목 및 방법
NO 항목 방법
1 난중 -선별된 모든 계란의 개별 무게를 측정
2 파란강도 -계란을 수평으로 고정하고 Pulse motor로 둔단부에 압력을 가해 파각 되는 순간의 압력을 측정
3 Haugh units
(계란의 신선도 평가 방법)
-계란의 내용물을 유리판 위에 붇고 난황과 난백고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된 값을 계산식 100log(H+7.57-1.7W0.37)에 넣어 계산.

*H는 난백고(mm)를, W는 계란의 무게(g)를 의미.
4 난백고 -계란의 내용물을 유리판 위에 붇고 유리판을 기준, 난백고를 측정
-계란분석기 내 Parallel laser beam을 통하여 난백고의 값을 측정함
5 난황색 -YolkFan™을 기초로 하여 색을 비교하였으며 White LED, RGB sensor을 통하여 값을 측정
6 난각색 -Eggshell color fan (Eggshell color fan, Samyang, Korea)의 색과 비교하여 측정
7 난각두께 -난막을 제거한 후 파편의 중앙부를 난각두께 측정기 (Digital caliper, NABEL Co., Mitutoy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
8 난백,
난황 pH
-할란 및 Haugh unit를 분석한 후, 난백과 난황을 분리
-분리된 난황, 난백은 pH meter를 이용하여 각 샘플당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
9 난각밀도 -난각밀도(mg/cm2)는 QCM Eggware software(TSS Ltd. York, England)를 이용하여 계산
실시예 3-4. 혈액 생화학 분석 (안전성 평가)
실험 종료 마지막 날 반복 당 2마리의 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이산화탄소로 질식사 시켰다. 이후 즉시 심장을 통하여 약 10 ml의 혈액을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그 즉시 1,500 rpm에서 약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 20도에 저장하면서 추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분석 항목은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glucose, total cholesterol, total protein, triglyceride, inorganic phosphorus, calcium, lactate dehydrogenase (LDH),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에 해당하며, 각 처리구간에 모든 항목에 대해서 통계적 차이가 없음을 표 13를 통해 확인하여 생화학적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SLCPP의 첨가급여가 산란 노계의 혈중 생화학 지표에 미치는 영향
Items SLCPP (mg/kg) SEM P-value
0 500 1,000 Linear Quadratic
GOT, U/L 165.9 153.3 160.3 6.13 0.718 0.465
GPT, U/L 3.25 3.25 2.67 0.229 0.309 0.555
BUN, mg/dl 1.38 1.45 1.52 0.027 0.034 0.941
Creatine, mg/dl 0.191 0.140 0.160 0.023 0.592 0.486
Glucose, mg/dl 262.3 240.0 265.6 11.04 0.905 0.315
Total cholesterol, mg/dl 102.0 128.6 108.3 8.66 0.771 0.212
Total protein, g/dl 5.43 5.80 5.78 0.162 0.396 0.581
Triglyceride, mg/dl 1274.4 1325.2 935.3 97.50 0.164 0.280
Inorganic phosphorus, mg/dl 3.57 3.64 4.07 0.131 0.125 0.529
Calcium, mg/dl 24.32 25.31 23.51 0.879 0.715 0.468
LDH, mg/dl 1390.3 1466.3 1681.2 141.1 0.418 0.824
HDL-cholesterol, mg/dl 35.92 39.08 41.00 1.25 0.103 0.814
HDL-cholesterol, % 36.28 35.97 40.65 1.74 0.316 0.507
LDL+VLDL, mg/dl 62.73 54.78 56.09 3.05 0.373 0.502
실시예 3-5. 소화장관 내 융모 및 음와의 형태학적 지표 측정
SLCPP 급여에 의해 소화면적 및 장내 소화 환경이 개선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종료 후 이산화탄소로 안락사 된 반복 당 2마리의 개체에 대해서 해부를 실시하였다.
소화장관 중 공장과 회장의 접합부분을 기준으로 위로 5 cm 및 아래로 5 cm를 각각 채취하고 이를 10% formalin에 고정시켰다. 이후 즉시 실험실로 이동하여 일련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paraffin block으로 제작한 후, 5 um의 얇기로 썰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현미경 상에서 융모의 길이 및 음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SLCPP의 첨가 수준 급여에 따라 두 소화기관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융모의 길이는 길어졌으며, 음와의 길이는 짧아졌다. 또한 융모 대비 음와의 비율도 첨가 급여에 의해 감소하여 소화면적 및 장내 소화 환경이 SLCPP 급여에 의해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표 14).
SLCPP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소화 장관의 융모 및 음와의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tems SLCPP (mg/kg) SEM P -value
0 500 1,000 Linear Quadratic
Jejunum
Villus height (VH), um, 804.3 1080.1 841.8 50.40 0.747 0.031
Crypt depth (CD), um 413.2 264.0 239.3 20.98 < 0.001 0.023
VH/CD 1.66b 4.20a 3.67a 0.357 0.007 0.017
Ileum
Villus height (VH), um, 469.8b 860.1a 729.2ab 58.11 0.054 0.032
Crypt depth (CD), um 262.8 220.5 200.8 13.14 0.055 0.676
VH/CD 1.83b 4.31a 3.77ab 0.421 0.036 0.069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Sodium long chain polyphosphate,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성장 촉진 및 면역력 증진용 사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칠면조, 메추리 및 게사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육계 닭인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0.1중량(%)를 첨가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장내 총균을 안정화 시키는 것인, 조성물.
  6.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소화기능 개선 및 산란율 증가용 사료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칠면조, 메추리 및 게사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산란계 닭인 것인, 사료용 조성물.
  9. SLCP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병원체인 E.coli 속, Listeria 속, Salmonella 속, klebsiella 속, Pseudomonas 속의 항균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 병원체는 E.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er. Gallinarum, almonella enterica ser. Pullorum, Shigella sonnei, Klebsiella pneumoniae 및 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인 항균용 조성물.
KR1020210192355A 2021-12-30 2021-12-30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KR20230102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55A KR20230102321A (ko) 2021-12-30 2021-12-30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55A KR20230102321A (ko) 2021-12-30 2021-12-30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321A true KR20230102321A (ko) 2023-07-07

Family

ID=8715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355A KR20230102321A (ko) 2021-12-30 2021-12-30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321A (ko)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Famuyide IM, Aro AO, Fasina FO, Eloff JN, McGaw LJ.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y of acetone leaf extracts of nine under-investigated south African Eugenia and Syzygium (Myrtaceae) species and their selectivity indice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9;19(1):1-13. https://doi.org/10.1186/s12906-019-2547-z.
10. Proszkowiec-Weglarz M, Angel R.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broilers: effect of homeostatic mechanism on calcium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13;22(3):609-27. https://doi.org/10.3382/japr.2012-00743.
11. Kawazoe Y, Shiba T, Nakamura R, Mizuno A, Tsutsumi K, Uematsu T, et al. Induction of calcification in MC3T3-E1 cells by inorganic polyphosphate. Journal of Dental Research. 2004;83(8):613-8. https://doi.org/10.1177/154405910408300806.
2. Lamp A, Mereu A, Ruiz-Ascacibar I, Moritz J. Inorganic feed phosphate type determines mineral digestibility, broiler performance, and bone miner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20;29(3):559-72. https://doi.org/10.1016/j.japr.2020.03.003.
3. Damron B, Flunker L. Supplementation of broiler drinking water with liquid ammonium polyphosphate. British Poultry Science. 1991;32(2):377-82. https://doi.org/10.1080/00071669108417362.
4. Jensen L, Edwards Jr H. Availability of phosphorus from ammonium polyphosphate for growing chickens. Poultry Science. 1980;59(6):1280-3. https://doi.org/10.3382/ps.0591280.
5. Selim S, Abdel-Megeid NS, Abou-Elnaga MK, Mahmoud SF. Early Nutrition with Different Diets Composition versus Fasting on Immunity-Related Gene Expression and Histomorphology of Digestive and Lymphoid Organs of Layer-Type Chicks. Animals. 2021;11(6):1568. https://doi.org/10.3390/ani11061568.
6. Takahashi K, Mashiko T, Akiba Y. Effect of dietary concentration of xylitol on growth in male broiler chicks during immunological stress. Poultry Science. 2000;79(5):743-7. https://doi.org/10.1093/ps/79.5.743.
7. Hevener W, Routh PA, Almond GW. Effects of immune challenge on concentrations o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growth performance in pigs. The Canadian Veterinary Journal. 1999;40(11):782.
8. Wu G, Bazer FW, Dai Z, Li D, Wang J, Wu Z. Amino acid nutrition in animals: protein synthesis and beyond. Annu Rev Anim Biosci. 2014;2(1):387-417. https://doi.org/10.1146/annurev-animal-022513-114113
9. Fang J, Martnez Y, Deng C, Zhu D, Peng H, Jiang H, et al. Effects of dietary enzymolysis products of wheat gluten on the growth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immune, and antioxidant status of broilers. Food and Agricultural Immunology. 2017;28(6):1155-67. https://doi.org/10.1080/09540105.2017.1332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giharto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Rhizopus oryzae or Chrysonilia crassa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and carcass traits in broilers exposed to heat stress
Kang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chlorella by‐product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intestinal microflora and intestinal mucosal morphology in broiler chickens
Fallah et al. Effect of Bioplus 2B and protoxin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mall intestinal morpholog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Hamidifard et al. Use of condensed fermented corn extractives (liquid steep liquor) as a potential alternative for organic acids and probiotics in broiler ration
Onder Ustundag et al. Effects of bacteriocin and organ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small intestine histomorphology, and microbiology in Japanese quails (Coturnix coturnix japonica)
Rokade et al. Effect of mannan-oligosaccharides (MOS)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immunity and HSP70 gene expression in broiler chicken during hot-dry summer
Sugiharto et al. Effect of a Fermented Mixture of Papaya Leaf and Seed Meal on Production Traits and Intestinal Ecology of the Indonesian Indigenous Crossbred Chickens.
Dehsahraee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single cell protein and probiotic microorganisms on performance, immunological responses, and intestinal histology in laying hens
Pourreza et al. The effect of dietary organic acid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immunity, blood constitutes and ile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ens.
Yadav et al. Probiotic attributes of Lactobacillus fermentum NKN51 isolated from yak cottage cheese and the impact of its feeding on growth, immunity, caecal microbiology and jejunal histology in the starter phase of broiler birds
Sugiharto et al.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dietary administration of zinc bacitracin and Bacillus mixture on low-weight day-old chicks
EP3503738B1 (en) Animal feed additive and animal feed comprising it
Mahmoud Doski et al. The Influence of Different Levels of Postbiotic and Phytobiotic Combinations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Gut Morphology, and Faecal Bacteria In Broiler Chickens.
KR20230102321A (ko) 장쇄 다중 인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 및 생산성 증진용 사료 조성물
Fallah Productive performance, carcass trait and blood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fed different levels of dried whey and protexin probiotic
Dablool et al. Could Paenibacillus xylanexedens MS58 be an Ecofriendly Antibiotic in Poultry Production? Impacts on Performance, Blood Biochemistry, Gut Microbiota and Meat Quality
Fazilat et al. Effects of using commercial GLOBACID® acidifier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some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Japanese quail (Coturnix japonica)
Khan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 on the performance of F1 crossbred (Rhode Island red male× Fayoumi female) cockerels
Wahyuni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platens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egg quality, physiological condition and ammonia emission of hens at the late laying period.
Coskun et al. Effects of combined in ovo injection of dried whey and Enterococcus faecium on performance, ileal histomorphology, erythrocyte morphology and ileal microbiota of broiler chickens
Sardar et al. Dietary effects of multi-strain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blood profiling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https://doi. org/10.12982/VIS. 2025.059
Doski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Postbiotic and Phytobiotic Combination as on Growth Performance, Economic Production,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Rewatkar et al.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oregano oil and probiotic on blood biochemicals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en
Kirana et al. Efficacy of Probiotics on Nutrient Intake and Egg Weight in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El-Ratel et al. Lysozyme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mproves growth, antioxidants status, immunity, and intestinal bacteria in broiler chickens during the fattening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