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285A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285A
KR20230102285A KR1020210192281A KR20210192281A KR20230102285A KR 20230102285 A KR20230102285 A KR 20230102285A KR 1020210192281 A KR1020210192281 A KR 1020210192281A KR 20210192281 A KR20210192281 A KR 20210192281A KR 20230102285 A KR20230102285 A KR 2023010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mporary storage
storage module
tag
transpor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285A/ko
Publication of KR2023010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모듈과, 입출금 모듈을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모듈과,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도록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는 감별 모듈과, 감별 모듈에서 감별된 매체를 임시 수납하는 임시 저장 모듈과, 입출금 모듈, 반송로 모듈, 감별 모듈 및 임시 저장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와, 반송로 모듈 및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취득하기 위한 모듈 정보 취득장치를 포함하고, 모듈 정보 취득장치는 반송로 모듈 및 임시 저장 모듈에 부착되고, 반송로 모듈 및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상세 내용이 인식된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태그와, RFID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반송로 모듈 및 임시 저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에 구비되는 리더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잇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이다.
상기와 같은 금융 자동화 기기는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모듈은 매체가 출입하는 입출금부와,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와, 매체를 감별하는 감별부 및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포함하고, 하부모듈은 금고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금고도어와, 금고에 탈착할 수 있는 카세트 하우징과, 카세트 하우징의 각 슬롯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카세트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금융 자동화 기기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현장에 출동하고 나서야 금융 자동화 기기 안에 어떠한 모듈이 있는지를 파악하게 됨에 따라, 모듈에 대한 즉각적인 유지 보수 작업이 현장에서 어려울 수 있고, 1차 출동시 모듈에 대한 부품 부족 등으로 인해, 2차 출동을 하게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특허문헌 : 국내 공개특허 10-2002-0064454호 (2002. 08. 09.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현장으로 출동하기 전, 기기 내 모듈에 대한 정보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출금 모듈; 상기 입출금 모듈을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모듈; 상기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도록 상기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는 감별 모듈; 상기 감별 모듈에서 감별된 매체를 임시 수납하는 임시 저장 모듈; 상기 입출금 모듈, 상기 반송로 모듈, 상기 감별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취득하기 위한 모듈 정보 취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정보 취득장치는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부착되고,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상세 내용이 인식된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에 구비되는 리더기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모델 번호, 제조년월일, 업데이트 버전에 대한 상세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라벨이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라벨의 이면과 상기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설치되는 임시 저장 모듈 태그; 및 상기 반송로 모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반송로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 모듈은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임시 저장 모듈 태그 및 상기 복수 개의 반송로 태그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기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현장 출동하기 전, 작업자는 모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통해 모듈에 대한 상세 내용을 미리 인지할 수 있으므로, 금융 자동화 기기의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정보 취득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정보 취득장치의 RFID 태그가 라벨에 의해 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후 방향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모듈 정보 취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정보 취득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정보 취득장치의 RFID 태그가 라벨에 의해 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금고(100), 입출금 모듈(200), 반송로 모듈(300), 감별 모듈(400), 임시 저장 모듈(500), 메인 보드(600) 및 모듈 정보 취득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고(100)는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금고(100)는 매체(지폐, 수표 등)의 저장 공간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금고(100)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프레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금고(100)의 하부에는 카세트(110)가 구비될 수 있다. 카세트(110)는 권종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카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의 입금시, 카세트(110)는 매체의 저장이 가능할 수 있는 스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매체의 출금시, 카세트(110)는 스택 공간 내 저장된 매체를 배출할 수 있다.
입출금 모듈(200)은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입출금 모듈(200)에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롤러, 모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벨트, 롤러, 모터 등의 구성은, 매체의 반송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사항들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반송로 모듈(300)은 매체의 반송 경로를 금고(100)의 내부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 반송로 모듈(300)은 입출금 모듈(200)을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송로 모듈(300)은 감별 모듈(400)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프론트 반송로 모듈(310)과, 감별 모듈(400)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리어 반송로 모듈(320)과, 입출금 모듈(200) 및 임시 저장 모듈(500) 사이에 연결되는 미들 반송로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프론트 반송로 모듈(310), 리어 반송로 모듈(320) 및 미들 반송로 모듈(330)은, 입출금 모듈(200)을 통해 입금된 매체를 반송로를 통해 감별 모듈(400), 임시 저장 모듈(500) 및 카세트로 안내하거나, 카세트에서 배출된 매체를 반송로를 통해 감별 모듈(400) 및 입출금 모듈(200)로 안내할 수 있다.
감별 모듈(400)은 반송로 모듈(300)의 반송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감별 모듈(400)은 반송로 모듈(300)을 통과하는 매체의 권종 및 이상 유무 등을 감별할 수 있다. 매체의 입금 계수시, 감별 모듈(400)에 의해 이상이 없는 매체로 감별된 정상 매체는, 임시 저장 모듈(500)에 임시 수납될 수 있고, 감별 모듈(400)에 의해 이상이 있는 매체로 감별된 의심 매체는, 입출금 모듈(200)을 통해 반송되어 고객에게 반환될 수 있다.
임시 저장 모듈(500)은 감별 모듈(400)에서 감별된 매체를 임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임시 저장 모듈(500)은 감별 모듈(400)을 통해 감별된 매체를 반송로 모듈(300)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모듈 정보 취득장치(700)는 반송로 모듈(300) 및 임시 저장 모듈(500)에 대한 정보가 외부의 작업자에 의해 취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 정보 취득장치(700)는 RFID 태그(710) 및 리더기 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RFID 태그(710)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설치된 모듈에 부착될 수 있다. RFID 태그(710)는 모듈의 상세 내용이 인식된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RFID 태그(710)에는 모듈의 모델 번호, 제조년월일, 업데이트 버전에 대한 상세 내용 등이 태그 정보로서 인식될 수 있다. 물론, 모델 번호, 제조년월일, 업데이트 버전 이외에도, RFID 태그(710)에는 모듈의 유지 보수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인식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RFID 태그(710)는 모듈의 시리얼 넘버 등이 표시된 라벨(L)에 의해 모듈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라벨(L)이 모듈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RFID 태그(710)는 라벨(L)의 이면과 모듈의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FID 태그(710)는 메모리가 구비되지 아니한 금융 자동화 기기(10)의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가 구비된 모듈은 매인보드의 CPU 사이의 통신을 통해, 모듈에 대한 상세 정보를 CPU에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메모리가 구비되지 아니한 모듈은 별도의 RFID 태그(710)를 통해, 모듈에 대한 상세 정보를 CPU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메모리가 구비되지 아니한 모듈은, 임시 저장 모듈(500) 및 반송로 모듈(300)일 수 있고, 메모리가 구비된 모듈은, 입출금 모듈(200) 및 감별 모듈(400)일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710)는 임시 저장 모듈(500)에 설치되는 임시 저장 모듈 태그(711)과, 반송로 모듈(300)에 설치되는 반송로 태그(7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로 태그(712)는 프론트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반송로 태그(712a)와, 리어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반송로 태그(712b)와, 미들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 반송로 태그(712c)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가 구비되지 아니한 모듈이, 임시 저장 모듈(500) 및 반송로 모듈(300)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금융 자동화 기기(10)의 설계 환경에 따라, 메모리가 구비되지 아니한 모듈과 메모리가 구비된 모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리더기 모듈(720)은 안테나(721) 및 RFID 리더기(7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리더기 모듈(720)은 금융 자동화 기기(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RFID 태그(710), 예컨대, 임시 저장 모듈 태그(711), 제1 반송로 태그(712a), 제2 반송로 태그(712b) 및 제3 반송로 태그(712c)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RFID 리더기(722)는 안테나(721)에 의해 인식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구성으로서, RFID 리더기(722) 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태그 정보를 기억장치인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RFID 태그(710)로부터 인식된 태그 신호를 변환시키거나, 그 데이터의 신호를 검증할 수 있다.
이 RFID 리더기(722)는 안테나(721)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태그 정보를 판독한 후, 그 판독된 태그 정보를 매인보드의 CPU에 제공할 수 있다. CPU는 RFID 리더기(722)를 통해 판단된 모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무선 통신/네트워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단말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현장 출동하기 전, 작업자는 모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통해 모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미리 인지할 수 있으므로, 모듈에 대한 유지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금융 자동화 기기
100: 금고 110: 카세트
200: 입출금 모듈
300: 반송로 모듈
400: 감별 모듈
500: 임시 저장 모듈
600: 메인 보드
700: 모듈 정보 취득장치
710: RFID 태그 720: 리더기 모듈
721: 안테나 722: RFID 리더기

Claims (4)

  1. 입출금 모듈;
    상기 입출금 모듈을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모듈;
    상기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도록 상기 반송로 모듈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는 감별 모듈;
    상기 감별 모듈에서 감별된 매체를 임시 수납하는 임시 저장 모듈;
    상기 입출금 모듈, 상기 반송로 모듈, 상기 감별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취득하기 위한 모듈 정보 취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정보 취득장치는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부착되고,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대한 상세 내용이 인식된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에 구비되는 리더기 모듈을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모델 번호, 제조년월일, 업데이트 버전에 대한 상세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라벨이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라벨의 이면과 상기 반송로 모듈 및 상기 임시 저장 모듈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임시 저장 모듈에 설치되는 임시 저장 모듈 태그; 및
    상기 반송로 모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반송로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 모듈은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임시 저장 모듈 태그 및 상기 복수 개의 반송로 태그를 연결하는 가상의 다각형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210192281A 2021-12-30 2021-12-30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30102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81A KR20230102285A (ko) 2021-12-30 2021-12-30 금융 자동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81A KR20230102285A (ko) 2021-12-30 2021-12-30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85A true KR20230102285A (ko) 2023-07-07

Family

ID=8715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81A KR20230102285A (ko) 2021-12-30 2021-12-30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2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54A (ko) 2001-02-01 2002-08-09 주식회사 씨큐어테크 알에프 아이씨를 이용한 비접촉식 스마트 태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54A (ko) 2001-02-01 2002-08-09 주식회사 씨큐어테크 알에프 아이씨를 이용한 비접촉식 스마트 태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911B2 (en) Bill handling machine
US7090121B2 (en) Sheet handling machine
US6824047B2 (en) Bill handling machine
WO2013145600A1 (ja) 貨幣処理装置
JPWO2014064775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JP5650317B2 (ja) 紙幣処理装置
US10059531B2 (en) Sheet processing system and sheet processing method
KR101844994B1 (ko) 경로 전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매체 보관 장치 및 금융기기
US8311665B2 (en) Method for handling paper sheets
KR101729389B1 (ko) 금융기기
CN115188126B (zh) 信息终端
KR20230102285A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471754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5040909A1 (ja) 紙幣処理装置
KR101609070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26321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수납고
JP2016139383A (ja) 両替機および両替システム
KR101940733B1 (ko) 매체 저장함 및 금융기기
KR101979282B1 (ko) 금융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976822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68138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카세트
JP2018106536A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KR102002950B1 (ko)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20220091221A (ko) 매체 저장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16203876A1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