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282A - 코털깎이 - Google Patents

코털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282A
KR20230102282A KR1020210192277A KR20210192277A KR20230102282A KR 20230102282 A KR20230102282 A KR 20230102282A KR 1020210192277 A KR1020210192277 A KR 1020210192277A KR 20210192277 A KR20210192277 A KR 20210192277A KR 20230102282 A KR20230102282 A KR 2023010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lit
cutting edge
cutting part
nos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수
양찬종
Original Assignee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282A/ko
Publication of KR2023010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8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hair from inaccessible places, e.g. nostr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털깎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부재의 결합홈에 결속된 작동축이 고정 외통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홈부의 걸림턱면과 접면하도록 배치되고 외측 커팅부의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의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이웃하여 일치된 상태의 위치까지만 회전하도록 작동축의 회전반경이 제한됨으로, 누름부재의 과도한 누름에 의한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의 위치 이탈과 사용자의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코털깎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털깎이{Nose hair cutter}
본 발명은 코털깎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부재의 결합홈에 결속된 작동축이 고정 외통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홈부의 걸림턱면과 접면하도록 배치되고 외측 커팅부의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의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이웃하여 일치된 상태의 위치까지만 회전하도록 작동축의 회전반경이 제한됨으로, 누름부재의 과도한 누름에 의한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의 위치 이탈과 사용자의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코털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자라나는 코털은 이·미용실을 이용하지 않는 한 자신이 직접 다듬어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대부분의 경우 작은 가위를 이용하고 있지만 상당한 불안감을 주게 됨은 물론 비공 내에 상처를 유발시켜 세균에 의한 감염 원인이 될 여지가 크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이와 같은 코털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모터 구동에 의해 절삭날을 회전시켜 코털을 깎아주는 장치가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잦은 고장과 배터리의 교체 문제로 인해 사용이 매우 번거로우며, 코털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자라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절삭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절삭날의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진동으로 인해 기침 및 콧물을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코털깎기의 장치 내로 부산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코털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게 됨은 물론 자주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냄새가 나고 세균이 서식하여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0001)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4257호에 개시된 기술은 지지통의 내부에 고정통과 회전통을 끼우되 톱날형날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통의 밑쪽에 손잡이를 유착한 것이나 코털깍기 또한 회전통의 중공부로 코털이 배치될 경우 코털이 전혀 깎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3661호에 개시된 기술은 외측날의 내부에서 내측날이 회전하여 코털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내측날의 회전축을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회전시켜야 하고 또 나머지 세 손가락으로는 몸체의 뒷부분을 고정하거나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은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626호와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4772호를 통해, 코털깎이의 커팅부에 대한 구조를 최적으로 설계하여 커팅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킨 코털깎이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코털깎이는, 도 1 내지 도 3(a)(b)를 참조하면, 외측 커팅부(10)가 형성된 고정 외통(1)의 내부에 내측 커팅부(20)가 형성된 회전 내통(2)이 끼워져 각각의 커팅부(10,20)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외측 커팅부(10)가 복수개의 제1절삭날(110)과 제1슬릿(120)으로 이루어져 고정 외통(1)의 상단 둘레에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커팅부(20)가 복수개의 제2절삭날(210)과 제2슬릿(220)으로 이루어져 회전 내통(2)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며,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코털이 제1절삭날(110)과 제2절삭날(210)에 의해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고정 외통(1)에 대하여 회전 내통(2)의 회전이 발생하도록, 고정 외통(1)에 중간 부분에 볼트(11)가 체결되어 선단이 회전 내통(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환형 요홈(21)에 걸리게 되고, 고정 외통(1)의 연결축핀(12,13)에 한 쌍의 누름부재(3,4)가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며, 연결축핀(12,13)에 끼워진 비틀림 스프링(탄성부재,5)의 다리(51,52)가 누름부재(3,4)를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누름부재(3,4)의 하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 내통(2)의 축구멍(22)에 작동축(6)이 끼워져 양 단부가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41)에 각각 결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 3(a)와 같은 시작상태에서, 누름부재(3,4)를 손가락으로 눌러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축(6)이 가이드홈부(130)가 허락하는 각도 내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회전 내통(2)이 고정 외통(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3(b)와 같은 완료상태가 되며, 코털은 고정 외통(1)의 외측 커팅부(10)와 회전 내통(2)의 내측 커팅부(20)에 의해 커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털깎이는, 작동축(6)의 회전 반경(α)을 제한하는 구조로 고정 외통(1)의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홈부(130)를 형성하고, 가이드홈부(130)의 간격(t1)은 하방으로 연장한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로 제한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코털깎이는 제작의 용이를 위해 가이드홈부(130)를 형성하는 걸림날개(131,132)의 간격(t1)이 넓고 걸림턱(131a,131b,132a,132b)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의 11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3(a)의 시작상태와 같이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재(3,4)를 누름에 따라 누름부재(3,4)는 상호 d1의 간격에서 d2의 간격으로 좁혀지면서 회전 내통(2)이 고정 외통(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홈부(130)를 형성하는 걸림날개(131,132)의 간격(t1)이 넓고 걸림턱(131a,131b,132a,132b)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의 11자 형상을 가짐에 따라, 회전 내통(2)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도 3(b)의 완료상태에서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일치하지 않은 상태가 될 경우가 많다(도 3b 참조 O≠O').
다시 말해,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의 위치 이탈 즉,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이 제1절삭날(110)을 지나쳐 어긋나고 제1슬릿(12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도 3b 참조 O≠O').
이에 따라, 사용 중 코털이 어긋난 외측 커팅부(10)와 내측 커팅부(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3,4)는 도 3(a)의 상태로 돌아가려 할 때, 내측 커팅부(20)가 역회전하면서 코털이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 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끼인 코털에 의해 아픔을 느끼거나 코털이 뽑힘으로 인해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종래의 코털깎이 사용시 항상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누름부재(3,4)가 시작 상태(도 3a)에서 완료 상태(도 3b)로 변화 시 사용자는 통상 누름부재(3, 4)가 눌러지는 한계 지점까지 누르게 되는데, 이는 누름부재(3,4)의 과도한 눌림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누름부재의 과도한 눌림에 의해 누름부재의 단부끼리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누름부재(3,4) 끼리의 부딪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누름부재(3,4)가 과도한 누름에 의해 상호 부딪칠 때 작동축(6)의 양 단부가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41)에서 흔들려 위치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축(6)은 가이드홈부(130)의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가 형성하는 간격 안에서 회전 반경(α)을 가지는데,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가 11자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작동축(6)과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의 걸림턱들은 선접촉하면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코털깎이의 사용 중 작동축(6)이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4257호 (1989.04.1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3661호 (2002.12.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8626호 (2017.11.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4772호 (2021.08.03.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누름부재의 결합홈에 결속된 작동축이 고정 외통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따라 걸림턱면과 접면하도록 배치되고 외측 커팅부의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의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이웃하여 일치된 상태의 위치까지만 회전하도록 작동축의 회전반경이 제한됨으로 누름부재의 과도한 누름에 의한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의 위치 이탈과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코털깎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는, 외측 커팅부를 갖는 고정 외통의 내부에 내측 커팅부를 갖는 회전 내통이 끼워지게 배치되고, 고정 외통에 마주보게 장착된 누름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벌어지도록 탄성 지지되며, 누름부재의 누름에 따라 외측 커팅부를 구성하는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를 구성하는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코털이 제1절삭날과 제2절삭날에 의해 커팅되는 코털깎이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내통의 하단부에 형성한 축구멍을 관통하도록 작동축이 끼워져 양 단부가 누름부재의 결합홈에 각각 결속되되,
상기 축구멍과 결합홈 사이에 위치한 작동축 부분은 고정 외통의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걸림날개와 제2걸림날개가 형성하는 가이드홈부 사이 간격의 회전반경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회전반경은, 상기 외측 커팅부의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의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시작해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에 따라 제1절삭날 및 제1슬릿이 재차 이웃하는 제2절삭날 및 제2슬릿과 일치된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작동축은, 시작 상태일 때 상기 제1걸림날개의 제2걸림턱면과 제2걸림날개의 제1걸림턱면에 동시 면접촉하고, 완료 상태일 때 상기 제1걸림날개의 제1걸림턱면과 제2걸림날개의 제2걸림턱면에 동시 면접촉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1걸림날개의 제2걸림턱면과 제2걸림날개의 제2걸림턱면은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회전 반경을 가지며, 제1걸림날개의 제1걸림턱면과 제2걸림날개의 제1걸림턱면은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는, 누름부재의 결합홈에 결속된 작동축이 고정 외통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따라 걸림턱면과 접면하도록 배치되고 외측 커팅부의 제1절삭날 및 제1슬릿과 내측 커팅부의 제2절삭날 및 제2슬릿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이웃하여 일치된 상태의 위치까지만 회전하도록 작동축의 회전반경이 제한됨으로 누름부재의 과도한 누름에 의한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의 위치 이탈과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털깎이를 보여주는 사시도면과 분해사시도면이다.
도 3(a)(b)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털깎이의 사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3(a)는 사용의 시작 상태를 보여주고 도 3(b)는 사용의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털깎이에 적용한 고정 외통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털깎이의 사용에 따른 작동축의 회전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의 사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7(a)는 사용의 시작 상태를 보여주고 도 7(b)는 사용의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코털깎이의 커팅부가 형성된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부 또는 내측은 해당 구성요소의 중심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외부 또는 외측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는, 사용 중 코털을 직접적으로 자르는 외측 커팅부(10)와 내측 커팅부(20)의 위치 이탈과 코털이 끼일지 모른다는 불안감 및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는, 외측 커팅부(10)를 갖는 고정 외통(1)의 내부에 내측 커팅부(20)를 갖는 회전 내통(2)이 끼워지게 배치되어, 작동 구조에 따라 회전 내통(2)이 고정 외통의 내부에서 설정의 회전 반경(β) 까지만 회전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회전 반경(β)은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시작해 상기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이 재차 이웃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과 일치된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로 설정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를 살펴본다.
먼저, 고정 외통(1)은 중공의 원통기둥 형상으로 상부에 외측 커팅부(10)를 형성하는데, 외측 커팅부(10)는 복수개의 제1절삭날(110)과 제1슬릿(120)으로 구성되고, 제1절삭날(110)과 제1슬릿(120)이 고정 외통(1)의 상단 둘레에 교번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 내통(2)의 원기둥 형상으로 상부에 내측 커팅부(20)를 형성하는데, 내측 커팅부(20)는 복수개의 제2절삭날(210)과 제2슬릿(220)으로 구성되고, 제2절삭날(210)과 제2슬릿(220)이 오목홈이 형성된 내통(2)의 상단 둘레에 교번되게 형성된다.
한편, 고정 외통(1)에는 한쌍의 누름부재(3, 4)가 도면상 좌측과 우측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연결축핀(12,13)에 의해 설치되며 탄성부재(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회전 내통(2)의 하단에 위치한 축구멍(22)에 작동축(6)이 끼워져 엇각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고정 외통(1)의 외측으로 마주보게 장착된 누름부재(3, 4)가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에 의해 벌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누름부재(3, 4)의 누름에 따라 외측 커팅부(10)를 구성하는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를 구성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코털이 제1절삭날(110)과 제2절삭날(210)에 의해 커팅된다.
그리고, 누름부재(3,4)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5)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3,4)가 원위치로 복원된다.
다시 말해, 도 6을 참조하면,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이 일치되고, 외측 커팅부(10)의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슬릿(220)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 외통(1)에 대해 회전 내통(2)이 상대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코털이 제1절삭날(110)과 제2절삭날(210)에 의해 커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털깎이는, 외측 커팅부(10)를 갖는 고정 외통(1), 내측 커팅부(20)를 갖는 회전 내통(2), 고정 외통(1)의 외측에 구비된 한 쌍의 누름부재(3, 4), 누름부재(3, 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 41)에 양 단부가 결속된 작동축(6)을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코털깎이의 사용을 위한 작동 구조는, 종래 본원 출원인이 이미 공지하고 등록하여 권리를 가지고 있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95626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2284772호를 통해 이미 알려져 있는 바,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코털깎이는 종래의 공지된 코털깎이가 사용 중 누름부재(3, 4)가 과도하게 눌려져 외측 커팅부(10)와 내측 커팅부(20)의 위치 이탈 즉,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이 제1절삭날(110)을 지나쳐 어긋남으로 코털이 외측 커팅부와 내측 커팅부 사이에 끼이는 불편함과 불안감을 없애고, 작동축(6)의 양 단부가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 41)에서 흔들려 위치 이탈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이는, 회전 내통(2)의 축구멍(22)을 관통하도록 작동축(6)이 끼워져 양 단부가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41)에 각각 결속하는데, 축구멍(22)과 결합홈(31, 41) 사이에 위치한 작동축(6) 부분은 고정 외통(1)의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 사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30') 사이 간격에 따라 회전반경(β)을 가지며 회전하게 한다.
이때, 상술의 회전반경(β)은,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시작해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이 재차 이웃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과 일치된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로 제한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작동축(6)은 사용 중 흔들림을 없애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시작 상태일 때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에 동시 면접촉하고, 완료 상태일 때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에 동시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재차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외통(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는 이웃하게 대향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홈부(13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는 고정 외통(1)의 내측 중심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걸림턱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은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 또한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 7(a)에서와 같이 시작 상태일 때 작동축(6)은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에 동시 면접촉하고, 도 7(b)에서와 같이 완료 상태일 때 작동축(6)은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에 동시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이 형성하는 회전 반경(β)과,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이 형성하는 회전 반경(β)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회전하는 작동축은 시작 상태와 완료 상태일 때, 항상 양측이 걸림턱면들과 면접촉을 이루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며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의 회전 반경(β)은, 도 7(a)와 같이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시작해, 도 7(b)와 같이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이 재차 이웃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과 일치된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로 제한되는 각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3,4)는 d1의 간격을 갖는 최초 시점에서 외력(F)이 가해져 완전히 눌린 완료 상태일 때도, 그 단부가 a'에서 b'까지만 이동해 단부끼의 부딪침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과도한 누름부재(3,4)의 눌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축(6)이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 41)에서 흔들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고정 외통
2 : 회전 내통
3, 4 : 누름부재
6 : 작동축
130' : 가이드홈부
131' : 제1걸림날개
132' : 제2걸림날개
131'a, 132'a : 제1걸림턱면
131'b, 132'b : 제2걸림턱면
β : 회전반경

Claims (3)

  1. 외측 커팅부(10)를 갖는 고정 외통(1)의 내부에 내측 커팅부(20)를 갖는 회전 내통(2)이 끼워지게 배치되고, 고정 외통(1)에 마주보게 장착된 누름부재(3,4)가 탄성부재(5)에 의해 벌어지도록 탄성 지지되며,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외측 커팅부(10)를 구성하는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를 구성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코털이 제1절삭날(110)과 제2절삭날(210)에 의해 커팅되는 코털깎이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내통(2)의 하단부에 형성한 축구멍(22)을 관통하도록 작동축(6)이 끼워져 양 단부가 누름부재(3,4)의 결합홈(31,41)에 각각 결속되되,
    상기 축구멍(22)과 결합홈(31, 41) 사이에 위치한 작동축(6) 부분은 고정 외통(1)의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걸림날개(131')와 제2걸림날개(132') 이 형성하는 가이드홈부(130') 사이 간격의 회전반경(β)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회전반경(β)은,
    상기 외측 커팅부(10)의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과 내측 커팅부(20)의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이 일치된 시작 상태에서 시작해 상기 누름부재(3,4)의 누름에 따라 제1절삭날(110) 및 제1슬릿(120)이 재차 이웃하는 제2절삭날(210) 및 제2슬릿(220)과 일치된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깎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6)은,
    시작 상태일 때, 상기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에 동시 면접촉하고,
    완료 상태일 때, 상기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에 동시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깎이.
  3. 제 2항에 있어서,
    제1걸림날개(131')의 제2걸림턱면(131'b)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2걸림턱면(132'b)은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회전 반경(β)을 가지며,
    제1걸림날개(131')의 제1걸림턱면(131'a)과 제2걸림날개(132')의 제1걸림턱면(132'a)은 마주보되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β)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깎이.


KR1020210192277A 2021-12-30 2021-12-30 코털깎이 KR2023010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77A KR20230102282A (ko) 2021-12-30 2021-12-30 코털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77A KR20230102282A (ko) 2021-12-30 2021-12-30 코털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82A true KR20230102282A (ko) 2023-07-07

Family

ID=871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77A KR20230102282A (ko) 2021-12-30 2021-12-30 코털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28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257Y1 (ko) 1983-05-12 1989-06-26 도시오 미기야 전자왕복운동기의 왕복운동간 보지장치
KR20020093661A (ko) 2002-09-17 2002-12-16 주성찬 수동 회전식 코털깍기
KR102284772B1 (ko) 2019-10-14 2021-08-03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코털깎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257Y1 (ko) 1983-05-12 1989-06-26 도시오 미기야 전자왕복운동기의 왕복운동간 보지장치
KR20020093661A (ko) 2002-09-17 2002-12-16 주성찬 수동 회전식 코털깍기
KR102284772B1 (ko) 2019-10-14 2021-08-03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코털깎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036593U (zh) 毛发切割系统和附件
JP6770182B2 (ja) ひげ用トリマー
US20060156880A1 (en) Hair trimmer for use in self-cutting or on others
JP6889250B2 (ja) ひげ用トリマー
US10005192B2 (en) Electric hair clipper
US11247352B2 (en) Nose hair cutter
EP3030386B1 (en) Electric hair clipper
US20090025234A1 (en) Form fitting electric shaver with multiple cutting assemblies
KR20230102282A (ko) 코털깎이
KR102284772B1 (ko) 코털깎이
CN100357072C (zh) 剃刀头
US7628161B1 (en) Hair-cutting and styling device and method of use
EP3411201B1 (en) Electric hair clipper
KR200456498Y1 (ko) 길이 가변 미용가위
JP2005160915A (ja)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JP3593714B2 (ja) 眉用かみそり
US20220183439A1 (en) Beard and Hair Comb in Shape of Axe
KR200273672Y1 (ko) 유아용 손톱 및 콧털 겸용 가위
WO2024048563A1 (ja) 除毛装置の刃および除毛装置の刃を備える除毛装置
KR200382077Y1 (ko) 삽출식 비산방지판이 구비된 전기 바리깡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KR101663749B1 (ko)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US20140317938A1 (en) Hair Bang Clipper
KR20220170206A (ko) 손톱깎이
EP1795317A2 (en) Razor for hair cut and replacement razor for hair c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