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181A -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181A
KR20230101181A KR1020210191076A KR20210191076A KR20230101181A KR 20230101181 A KR20230101181 A KR 20230101181A KR 1020210191076 A KR1020210191076 A KR 1020210191076A KR 20210191076 A KR20210191076 A KR 20210191076A KR 20230101181 A KR20230101181 A KR 2023010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color
fermented
fermented product
body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590B1 (ko
Inventor
김재주
박종혁
최혜란
이수정
류태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청맥 주식회사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청맥 주식회사,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청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5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 및 완충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시트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충시트를 이용하여 단열성과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공되는 건축용 시트와; 이러한 건축용 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COLOR BARLEY FERMENTED PRODUCT, AND THE BODY FAT REDUCTION COMPOSITION CONTAINING ACTIVE ONGREDIENTS THE FERMENTED PRODUCT}
본 발명은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18년 식품산업분야별 원료 소비 실태조사의 곡물 가공 식품원료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 35.7%, 쌀 22.8%, 소맥 7.1%, 보리 2.5% 순으로 나타났다. 곡물가공식품에서 사용되는 옥수수, 보리 등은 국내 생산량은 소량이며 제한적인 재배지역으로 인해 대부분 수입산으로 사용되고 있고, 건강기능이 있는 곡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식, 과자, 빵 등 다양한 품목에서 건강기능이 있는 곡물을 사용하는 제품의 증가하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기존 3~4인용 제품 포장에서 1~2인분으로 포장된 제품이 인기가 있으며, 휴대성이 높고 한 끼 정량으로 소포장하여 간편 섭취가 가능한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가장 자주 먹는 곡류가공품으로는 시리얼, 미숫가루, 시리얼바, 선식, 볶은통곡물, 기타 순으로 나타났고, 섭취 목적은 평소 건강관리 및 다이어트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리의 국산 원료비중은 28.9%(2018년)으로 국산보리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원산지, 조달용이, 신선도, 프리미엄제품생산 등을 꼽았으며, 주로 건강보조식품, 생식, 이유식과 같은 웰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리의 성인병 예방, 항산화, 다이어트 등의 효능을 내세우면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성분의 함량이나 효능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국내 보리가공제품은 밥에 같이 넣어서 먹는 혼밥용, 식혜, 블랙보리음료, 보리떡, 보리빵 제품 등이 있다.
한편, 발효는 식품원료가 갖고있는 영양분인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이 미생물 또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저장성 및 기호성이 증가 되며, 다양한 식품원료를 발효하여 건강 증진을 위한 소재 탐색 응용기술로 활용되고 있으며, 미생물 균주 및 미생물의 대사물질 등을 이용하여 식품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발효기술을 이용한 건강기능 식품에 대하여, 국내 발효산업 시장은 건강기능식품 분야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5.4조에서 12.3조원으로 약 18.4% 증가하였다.
또한, 식품분야 중 발효식품은 8.2조원으로 51%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장품 소재 분야도 12조원으로 46%을 차지하고 있다.
베이커리 제품에서 중요한 성분인 글루텐은 제빵 시 반죽의 점탄성을 갖게 하고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보유하여 잘 부풀리게 하며 또한 수분을 보존하여 빵의 조직과 식감을 좋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지만 밀가루 중 글리아딘이라는 물질이 셀리악병이나 글루텐 민감성에 의한 장질환 등 인체에 해롭다는 여러 건의 보고가 있어 식품회사들이 다양한 글루텐프리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편, 소비자 Needs의 진화와 다양화로 건강 유지 및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기능성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국내의 경우 ‘웰빙’, ‘힐링’등의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글루텐프리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보리의 소비 경향을 살펴보면 보리는 한국을 포함하여 동양에서 주식량으로 섭취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맥주, 보리차, 된장, 고추장, 엿기름 등을 제조 시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 식생활의 변화와 농산물 수입개방화에 따른 유가공 및 육가공품 등의 소비 증가로 인해 보리와 같은 곡류의 소비량이 감소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리뿐만 아니라 다른 곡류들의 유용성분들을 언급함으로써 곡류를 기능성 소재 또는 다양한 곡류 가공제품(차 음료, 국수, 빵 등)으로 개발할 필요가 대두 되고 있다.
한국 소비생활연구원에 따르면 보리를 이용한 주요 제품들은 보리를 고온에서 볶은 후 물에 우려먹는 액상 보리차와 같은 가공형태도 많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고,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에 의하면 다류를 생산하는 국내 업체는 2010년 1,976개에서 2016년 3,982개로 2배 가량 증가하였고 국내 생산량 또한 2010년 231,877톤에서 2016년 390,412톤으로 증가하면서 다류 시장은 성장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는 볶음과정 중에서 조건과 방법에 따라 관능적 요소들뿐만 아니라 유용성분이 달라질 수 있어 보리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시 좋은 원료를 쓰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한 볶음공정 조건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보리가공식품 보리의 가공제품으로는 주로 침출차, 고형차 및 액상차 형태로 섭취하고 있다. 또한, 보리가루를 활용하여 빵, 떡, 과자로 제조하여 먹거나 면류 제조에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식혜를 만드는 엿기름 형태로 사용되고도 있으며, 보리 자체를 분말로 가공하거나 추출하여 가공한 제품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으며, 보리를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가공한 제품은 아직까진 출시되지 않았다.
보리를 발효하는 기술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278호에는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대표적인 식품의 원재료인 콩 및 보리를 기능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증가된 콩 효모발효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 의 함량이 증가된 보리 효모발효물을 포함하는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증진 등 전반적인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278호(2017.02.27.)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은, 컬러보리 중 검정보리를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검정보리를 200~220℃에서 20~40분간 로스팅 한 다음 분쇄하고, 무게비를 기준으로 분쇄된 분쇄물 5중량%, 유산균주 1중량%, 정제수 89중량% 및 포도당 5중량%를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37~42℃에서 24~48시간 발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컬러보리 발효물은 발효되지 않은 컬러보리 대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컬러보리 발효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이란, 식품, 의약, 영양제 등 체지방 감소나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사용처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각 사용처의 사용 형태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정도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의하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조절로 인해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컬러보리 발효물의 사용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컬러보리 발효물
본 발명에 따른 컬러보리 발효물은, 검정보리를 200~220℃에서 20~40분간 로스팅 한 다음 분쇄하고, 무게비를 기준으로 분쇄된 분쇄물 5중량%, 유산균주 1중량%, 정제수 89중량% 및 포도당 5중량%를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37~42℃에서 24~48시간 발효하여 컬러보리 발효물을 획득하였다.
이때, 유산균주는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균주로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reutei 각각의 것 혹은 2개 이상의 것을 혼합한 혼합균주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컬러보리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층정
컬러보리 발효물의 생리활성 평가는 상술된 과정으로 획득된 컬러보리 발효물을 시료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12)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증류수에 녹인 다음 0.2 mL를 시험관에 취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2 mL로 만든 후, 여기에 0.2 mL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후, 정확히 3분 후 Na2CO3 포화용액 0.4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4 mL로 만든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tann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Zhishen 등(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증류수 3.2ml과 메밀 추출물 0.5ml에 5% NaNO₂0.15ml과 10% AlCl3 0.15ml, 1M NaOH 1ml을 가한 후, spectrophotometer (Scinco S-4100, Korea) 350nm에서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을 표준 당량으로 하여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발효전 발효후
총폴리페놀함량
(PPM)
총플라보노이드함량
(PPM)
총폴리페놀함량
(PPM)
총플라보노이드함량
(PPM)
39.9 46.3 73.6 132.3
[표 1]에 따르면,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컬러보리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은 39.9에서 73.6으로 증진되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6.3에서 132.3으로 증진되었다.
실시예 2.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및 분화 유도
실험에 사용된 3T3-L1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massas, VA, US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4 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DMEM (10% BCS, 1% penicillin/streptomycin)에 2일 간 배양한 후 100% confluence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2일 후 10% FBS와 10 μg/ml insulin, 0.5 μM IBMX, 0.25 μM dexamethasone이 포함된 분화배지로 교환하여 2일 간 배양하였으며, 그 후 매일 2일마다 10 μg/ml insulin이 포함된 배지로 교환해주었다.
시료(컬러보리 및 컬러보리 발효물)의 처리는 분화유도 배지 첨가 시점부터 같이 처리하였다.
Figure pat00001
※ Flowchart of 3T3-L1 differentiation protocol using differentiation medium
실시예 3. 컬러보리 및 컬러보리 발효물을 이용한 3T3-L1 지방전구세포 생존율의 측정
배양이 끝난 세포의 생존율은 MTT [3-(4, 5-dimethylthiazole-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환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uccinic dehydrogenase에 의해 MTT tetrazolium이 formazan으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하여, formazan의 농도를 흡광도 450nm에서 측정함으로써, 생존한 세포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 well plate에 1X105/well로 분주하여, 16-18시간 배양 한 후 농도별로 희석한 컬러보리 및 컬러보리 발효물을 24시간 처리하였다.
MTT assay는 cell viability assat kit (EZ-Cytox, Gogen, Seoul, Korea)를 이용하였고, 모든 well에 MTT용액 10μL를 가해주고 다시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여, 흡광도 측정을 위해 1분 정도 부드럽게 shaking을 한 뒤 microplate reader (Synergy HT,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4. Oil-Red-O 염색
컬러보리 및 컬러보리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Oil-Red-O staining은 중성지방을 염색하는 방법으로 지방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정도를 시각화 할 수 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8일 동안 분화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고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고 10% formaldehyde 용액으로 세포를 고정시켰다. 다시 PBS로 세척 후, Oil red O 용액을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서 염색하고, Oil red O 용액을 제거한 후 증류슈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흡광도 측정을 위하여 100% isopropyl alcohol로 염색된 지방구를 용출시켜 microplate reader (Synergy HT,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지방세포 분화 관련 cytokines 농도 측정
지방조직에서 발현되며, 지방세포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tumor necrosis factor(TNF)-α, resistin,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PPAR-γ)와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leptin과 adiponectin 농도는 3T3-L1 세포 지방분화 종료 후 수집한 상등액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eptin(Leptin Mouse Elisa kit. abcam). Adiponectin(Mouse Adiponectin Elisa kit, R&D systems)를 사용하였으며, Elisa법으로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6. 평가결과
위 실시예들을 기반으로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컬러보리 발효물은 체지방 감소에 효과를 가진다.
검정보리 발효물의 lipid droplet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배양조건의 screening을 통해 본 실험에서는 검정보리를 5% 함유하고, 4번균주로 24시간 배양 한 샘플을 선택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3T3-L1 전지방세포에 MDI와 검정보리 발효물을 처리하여 10일 간 분화를 유도하고 시험물질을 반응 시킨 결과, 검정보리 발효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유도 물질(MDI)만 처리된 세포는 세포질 내 지방구(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도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표 3]).
하지만, 분화유도 물질(MDI)과 검정보리 발효군이 함께 처리된 세포의 경우, 첨가된 검정보리 발효군에서 붉은색으로 염색이된 지방구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로, 지방구의 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처리된 검정보리 발효물에 의해 지방구의 크기가 감소 된다고 판단 할 수 있었다. Isopropyl alcohol을 이용해 염색도를 정량화 한 결과에서도 MDI만 처리된 실험군에 비해 검정보리 배양전, 후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배양 전보다는 검정보리 발효군에서 20%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검정보리 발효물은 세포 생존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지방 세포 분화만을 억제하며, 검정보리 발효물이 3T3-L1 전지방세포구의 지방구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2
※ 검정보리 발효물의 지방축적능 억제 확인
또한, 검정보리 발효물의 leptin 및 adiponectin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3T3-L1 세포를 지방분화 시킨 후 수집한 상등액 중 leptin 및 adiponectin 농도에 대한 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다.
Leptin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생성, 분비되는 단백질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여러 가지 대사활동으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비만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량이 높을수록 leptin의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중 leptin 농도는 체지방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비만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vitro에서도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에 비례하여 leptin의 분비가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표 4]를 참조한 본 결과, MDI군이 정상군에 비해 leptin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검정보리 샘플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검정보리 배양 전보다는 배양 후 MDI군에 비해 약 2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diponectin은 지방세포에서만 생성 및 분비되는 특이적인 호르몬으로, 비만한 사람에게서 발현양이 감소하며, adiponectin 농도 감소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표 4]를 참조한 본 결과, MDI군이 정상군에 비해 adiponectin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검정보리 샘플을 처리한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배양 전과 배양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Figure pat00003
※ 검정보리 발효물의 leptin 및 adiponectin 발현 확인
컬러보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상술된 바와 같이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지는 컬러보리 발효물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의 정의는 식품, 의약, 영양제 등 체지방 감소나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사용처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각 사용처의 사용 형태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정도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4)

  1. 컬러보리 중 검정보리를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컬러보리 발효물.
  2. 검정보리를 200~220℃에서 20~40분간 로스팅 한 다음 분쇄하고, 무게비를 기준으로 분쇄된 분쇄물 5중량%, 유산균주 1중량%, 정제수 89중량% 및 포도당 5중량%를 함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37~42℃에서 24~48시간 발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보리 발효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러보리 발효물은 발효되지 않은 컬러보리 대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보리 발효물.
  4. 청구항 1에 기재된 컬러보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20210191076A 2021-12-29 2021-12-29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266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076A KR102660590B1 (ko) 2021-12-29 2021-12-29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076A KR102660590B1 (ko) 2021-12-29 2021-12-29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181A true KR20230101181A (ko) 2023-07-06
KR102660590B1 KR102660590B1 (ko) 2024-04-24

Family

ID=871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076A KR102660590B1 (ko) 2021-12-29 2021-12-29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5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39A (ko) * 2004-03-18 2005-09-23 한경희 발효보리 혼합물을 이용한 보리죽 제조방법
KR20110084012A (ko) * 2010-01-15 2011-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류 분말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1278A (ko) 2017-02-17 2017-02-27 샘표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39A (ko) * 2004-03-18 2005-09-23 한경희 발효보리 혼합물을 이용한 보리죽 제조방법
KR20110084012A (ko) * 2010-01-15 2011-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류 분말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1278A (ko) 2017-02-17 2017-02-27 샘표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an Qi, et al., Food & Function, 2021, Vol. 12, p.6526-6539 (2021.05.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590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ylor et al. Effects of processing sorghum and millets on their phenolic phytochemical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to the health‐enhancing properties of sorghum and millet food and beverage products
Das et al. Cereal based functional food of Indian subcontinent: a review
Saleh et al. Millet grains: nutritional quality, processing,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Rathore et al. Review on finger millet: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Taylor Millets: Their unique nutritional and health-promoting attributes
Baniwal et al. Cereals: Functional constituents and its health benefits
Ravindran Probiotic oats milk drink with microencapsulated Lactobacillus plantarum–an alternative to dairy products
Karimi et al. Effect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rotein hydrolysates (SPH)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on sourdough and bread quality
CN112493399A (zh) 一种降血糖功能性五谷伴侣
KR20220025679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사과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Stodolak et al. Solid‐state fermented flaxseed oil cake of improved antioxidant capacity as potential food additive
Duliński et al. Impact of two commercial enzymes on the release of inositols, fermentable sugars, and peptides in the technology of buckwheat beer
KR101286214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포함하는 쌀발효음료
Umeta et al. The effect of fermentation on the carbohydrates in tef (Eragrostis tef)
Anyiam et al.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Nigeria and Covid-19: a possible approach for boosting immune system
Hu et al. Effects of sweet potato leaf powder on sensory, texture, nutrition, and digestive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KR101458556B1 (ko) 프로바이오틱 혼합균주의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및 의약조성물
Santos et al. Improving chestnu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rough fermentation–Development of chestnut Amazake
Cante et al. Optimization of mixing conditions for improving Lactobacillus paracasei CBA L74’S growth during lactic fermentation of cooked navy beans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fermented products
KR102660590B1 (ko) 컬러보리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20200126878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204578 균주를 이용한 식혜 유산균 떡의 제조방법
KR101429828B1 (ko) 미나리 발효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CN109527553A (zh) 一种食药林果功能酵素及其制备方法
KR20170010925A (ko) 보리가루발효물을 이용한 선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9502A (ko) 당귀, 지황, 홍삼이 함유된 한방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청국장 분말·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