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054A -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054A
KR20230101054A KR1020210190822A KR20210190822A KR20230101054A KR 20230101054 A KR20230101054 A KR 20230101054A KR 1020210190822 A KR1020210190822 A KR 1020210190822A KR 20210190822 A KR20210190822 A KR 20210190822A KR 20230101054 A KR20230101054 A KR 2023010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g
duct housing
coanda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묵
김무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054A/en
Publication of KR202301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0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안다 윙;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 및 상기 풍향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안다 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로의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중간부의 단면적은 동일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includes a duct housing; a pair of Coanda wings accommodated in the duct housing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anda wings in the duct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and a drive unit for controlling the Coanda w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wherein cross-sectional areas of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flow path formed by the Coanda wing and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the same. provide the device.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Air vent device for vehicles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에어벤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vertical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n air vent by using the Coanda effect.

자동차 운전석(cockpit)에는 풍향 조절 에어벤트(air ventilation)가 있는데, 풍향 조절을 위해 대쉬보드로 노출된 풍향조절 윙 및 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또는 기계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풍향 변경 및 토출구를 개폐하고 있다.There is an air ventilation in the driver's seat (cockpit) of the car. For wind direction control, 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and knob exposed on the dashboard are used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and discharge port by the user manually or by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are opening and closing

이러한 풍향조절 윙은, 공기의 좌우방향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 방향조절 윙과, 공기의 상하방향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방향조절 윙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se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include left and right direction control wings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air, and up and down direction control wings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flow of air.

에어벤트는 차내 공기의 순환에 관련된 본연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콕피트(cockpit)의 디자인적 미감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에어벤트를 슬림하게 하는 콕피트의 디자인 동향에 따라 토출구의 높이(상하폭)를 20mm 이하로 하는 초슬림형 에어벤트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Air vents not only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 related to the circulation of air inside the vehicle, but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sign aesthetics of the cockpit itself.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ultra-slim air vents with a discharge port height (top and bottom width) of 20 mm or less.

그러나 이러한 초슬림형 에어벤트 구조에서는, 토출구 상하 폭이 초슬림해 지면서 1개의 상하 방향조절 윙 만으로 풍향을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원하는 각도의 상하 풍향각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ultra-slim type air vent structure, as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discharge port become ultra-slim, the need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with only one vertical direction control wing emerges, so that a desired vertical wind direction angle cannot be obtained.

실시예는 에어벤트 덕트 전단의 유효 단면적과 에어벤트 덕트 후단의 토출구측 유효단면적 사이에 전체 풍량의 감소없이 원하는 풍향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a desired wind direction without reducing the total air volume between the effective sectional area at the front end of the air vent duct and the effective sectional area at the discharge port at the rear end of the air vent duct.

실시예는 또한 초슬림형 에어벤트 할당 공간 내에서 상하 풍향제어시 풍량의 감소가 적으면서도,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ir vent device for vehicles capable of maximizing the Coanda effect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air volume when controlling up and down wind directions within an ultra-slim air vent allocated space.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described below or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안다 윙;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 및 상기 풍향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안다 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로의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중간부의 단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housing; a pair of Coanda wings accommodated in the duct housing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anda wings in the duct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anda w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wherein cross-sectional areas of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flow path formed by the Coanda wing and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the same. .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입구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유로의 출구와 연통하는 공기 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 및 토출구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The duct housing includes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f the passage, an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passage, and a hol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is the inlet and outlet. It can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각각은 꺾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Coanda wings may have a folding structure.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코안다 윙;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코안다 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Coanda wings may include a first Coanda wing disposed above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Coanda wing disposed below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상기 제 1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날개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날개부; 및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anda wing may include a first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n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a second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it may include a first link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wing and the second wing.

상기 제 2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3 날개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4 날개부; 및 상기 제 3 날개부 및 상기 제 4 날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anda wing may include a third wing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a fourth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it may include a second link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third wing and the fourth wing.

또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 1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제 2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first air guide dispos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first Coanda wing in a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second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유입구 상면에 결합된 제 1 입구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 상면에 결합된 제 1 출구부; 및 상기 제 1 입구부와 상기 제 1 출구부 사이의 제 1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구부와 상기 제 1 중간부는 상기 제 1 출구부와 상기 제 1 중간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1 입구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ir guide may include a first inl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uct housing; a first outl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uct housing; and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first inlet portion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wherein the first outlet portion and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first outlet portion and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are connected. 1 It can be arranged inclined so as to protrude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let.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유입구 하면에 결합된 제 2 입구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 하면에 결합된 제 2 출구부, 및 상기 제 2 입구부와 상기 제 2 출구부 사이의 제 2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출구부와 상기 제 2 중간부는 상기 제 2 출구부와 상기 제 2 중간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2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guide includes a second inle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uct housing, a second outle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air guide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It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rtion may be inclined so tha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rtion protrudes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inlet portion.

상기 제 1 링크부 및 상기 제 2 링크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link part and the second link part may be located on a line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풍향 조절부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풍향 조절 윙을 포함하며,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knob;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wing coupled to the knob and controll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may extend to a position more inward than the first link in the hollow part.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2 링크 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may extend to a position further inside the hollow part than the second link.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기어부; 및 상기 선형 기어부와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상기 선형 기어부에 전달하는 원형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회전력을 선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gear unit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move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lar gear unit connected to the linear gear unit and the knob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knob to the linear gear unit, wherein the linear gear unit may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shape.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링크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링크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gear uni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link at an upper side of the hollow part; And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ink at the low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상기 원형 기어부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형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동일 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3 기어부;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와 동일 축으로 연결된 제 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lar gear unit may include a first gear unit having a gea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and meshes with a gear of the linear gear unit; a second gear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rotating by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part; a third g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and a fourth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having a gear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third gear unit, a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kno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공기 유입구, 공기 토출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안다 윙;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 및 상기 풍향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안다 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적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housing including an air inlet, an air outlet, and a hollow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outlet; a pair of Coanda wings accommodated in the duct housing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anda wings in the duct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and a driving unit controlling the Coanda wing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low part may be greater than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상기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로의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중간부의 단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Cross-sectional areas of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passage formed by the Coanda wings and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the same.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코안다 윙;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코안다 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Coanda wings may include a first Coanda wing disposed above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Coanda wing disposed below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상기 제 1 및 제 2 코안다 윙은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와 하향 토출될 때 꺾이는 제 1 및 제 2 꺾임부를 각각 구비하며,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는 위로 볼록하고, 공기가 하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anda wings each hav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that are bent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and downward, and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are convex upward, , When air is discharged downward,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may be deformed into a downwardly convex shape.

또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 1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제 2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air vent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first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ir guide; and a second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second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can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코안다 윙과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 2 코안다 윙과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클 수 있다.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Coanda wing and the first air guide may be larger tha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Coanda wing and the second air guide.

공기가 하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코안다 윙과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 2 코안다 윙과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작을 수 있다.When air is discharged downwar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Coanda wing and the first air guide may be smaller tha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Coanda wing and the second air guide.

상기 풍향 조절부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풍향 조절 윙을 포함하며,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knob;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wing coupled to the knob and controlling a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is positioned further inside the hollow part than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can be extended up to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꺾임부 및 상기 제 2 꺾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꺾임부 및 상기 제 2 꺾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기어부; 및 상기 선형 기어부와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상기 선형 기어부에 전달하는 원형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회전력을 선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gear un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lar gear unit connected to the linear gear unit and the knob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knob to the linear gear unit, wherein the linear gear unit may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shape.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꺾임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꺾임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gear par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bending part at an upper side of the hollow part; And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상기 원형 기어부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형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동일 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3 기어부;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와 동일 축으로 연결된 제 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lar gear unit may include a first gear unit having a gea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and meshes with a gear of the linear gear unit; a second gear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rotating by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part; a third g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and a fourth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having a gear engaged with the gear of the third gear unit, a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knob.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코안다 윙과 하부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된 에어벤트 덕트 전단(에어 유입구)과 에어벤트 덕트 후단(토출구)사이의 바람 통로(유로)인 상하 폭이 줄어들지 않게 되므로 전체 풍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풍향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passage between the front end (air inlet) of the air vent duct formed by the upper Coanda wing and the lower Coanda wing and the rear end (outlet) of the air vent duct Since the width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w path does not decrease,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total air volume can be obtained.

또한, 상부 코안다 윙의 꺽임구조와 하부 코안다 윙의 꺾임구조를 형성하여 코안다 윙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가 유로의 중앙부를 타고 흐르는 공기를 당기는 효과(코안다 효과)를 발생시켜 전체 적인 바람의 흐름이 상부나 하부 쪽으로 더욱 치우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bent structure of the upper Coanda wing and the lower Coanda wing, the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Coanda wing pulls the air flowing along the center of the flow path (Coanda effect), resulting in an overall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ducing the wind flow to be more biased toward the upper or lower part.

또한, 상부 코안다 윙과 하부 코안다 윙의 꺾임 구조로 상하 풍향 조절 윙의 전후 길이를 길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바람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 작동 각도를 좀더 크게 조작할 수 있는 설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can be designed to be long with the bent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Coanda wings, not only can the effect of stably changing the wind direction be obtained, but also the vertical operating angle is larger. The effect of securing a design space that can be manipulated can be obtained.

또한, 원형기어인 제 2 기어부와 선형기어인 제 1 기어부가 만나는 지점의 상하의 길이 비를 조정하여 상향 풍향을 더 유리하게 하거나, 하향 풍향을 더 유리하게 세부 튜닝이 가능하게 되므로 차량에 복수의 에어 벤트 장치를 설치할 경우 각각 금형을 다르게 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vertical length ratio at the point where the second gear part, which is a circular gear, and the first gear part, which is a linear gear, meet, the upward wind direction is more advantageous, or the downward wind direction is more advantageous, so detailed tuning is possible. When installing an air vent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different molds for each mold, so cost reduction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노브 조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공기흐름을 비교 도시한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따른 코안다 효과를 보여 주는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ir flow conditions according to knob manipulation of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ir flow comparison between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Coanda effec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other forms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Even if a matter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contrary to or contradictory to the matter in another embodiment.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if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 A are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 B are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the opposite or contradictory description even if the embodiment in which components A and B are combined is not explicitly described. Unless there is, it should be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대해 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덕트 하우징(10), 에어 가이드(30, 30'), 코안다 윙(40, 40'), 풍향 조절부(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uct housing 10, air guides 30 and 30', Coanda wings 40 and 40', a wind direction controller 50 and A drive unit 60 may be included.

덕트 하우징(10)은 에어벤트 장치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덕트 하우징(10)은 또는 일단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입구와 타단부에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출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uct housing 10 is a portion to which an air vent device is mounted and may have a hollow portion having a space therein. The duct housing 10 may also be formed to have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t one end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t the other end.

에어 가이드(30, 30')는 에어덕트 하우징(1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공기의 흐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30, 30')는 에어덕트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에어 가이드(30)와 하부 에어 가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에어 가이드(30)와 하부 에어 가이드(30')는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입구와 연통되는 에어 입구와,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출구와 연통되는 에어 출구와 에어 입구와 에어 출구 사이의 에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ir guides 30 and 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air duct housing 10 to limit the air flow range. The air guides 30 and 30' may include an upper air guide 30 and a lower air guide 30'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 duct housing 10, respectively. The upper air guide 30 and the lower air guide 30' are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10, the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10, and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n air flow path of can be formed.

상부 에어 가이드(30)는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입구 상면에 고정되는 제 1 입구부(30a),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출구 상면에 고정되는 제 1 출구부(30c), 및 제 1 입구부(30a)와 제 1 출구부(30c) 사이의 제 1 중간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입구부(30a)는 차량 바닥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중간부(30b)는 상부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출구부(30c)는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에어 가이드(30)는 제 1 중간부(30b)와 제 1 출구부(30c)의 경사구조에 의해 이들이 만나는 지점이 고점에 위치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The upper air guide 30 includes a first inlet part 30a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10, a first outlet part 30c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10, and a first It may include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30b between the inlet portion 30a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30c. The first inlet portion 30a of the upper air guide 30 may be form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floor. The first middle portion 30b of the upper air guide 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30c of the upper air guide 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upper air guide 30 may protrude so that the point where they mee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first middle portion 30b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30c.

하부 에어 가이드(30')는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입구 하면에 고정되는 제 2 입구부(30a'), 덕트 하우징(10)의 에어 출구 하면에 고정되는 제 2 출구부(30c'), 및 제 2 입구부(30a')와 제 2 출구부(30c') 사이의 제 2 중간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입구부(30a')는 차량 바닥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중간부(30b')는 하부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출구부(30c')는 상부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에어 가이드(30')는 제 2 중간부(30b')와 제 2 출구부(30c')의 경사구조에 의해 이들이 만나는 지점이 저점에 위치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The lower air guide 30' includes a second inlet portion 30a'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10, a second outlet portion 30c'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10, and a second intermediate portion 30b between the second inlet portion 30a'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The second inlet portion 30a' of the lower air guide 30' may be form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floor. The second intermediate portion 30b' of the lower air guid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of the lower air guid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It can be. Accordingly, the lower air guide 30' may protrude so that the point where they meet is located at the lowest point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30b'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에어 가이드(30)와 하부 에어 가이드(30')에 의해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면적은 동일하지만,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 사이에 위치한 제 1 중간부(30b)와 제 2 중간부(30b')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흐름로의 면적과 제 1 출구부(30c)와 제 2 출구부(30c')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흐름로의 면적은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the same by the upper air guide 30 and the lower air guide 30', but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30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The area of the air flow path formed by the portion 30b' and the area of the air flow path formed by the first outlet portion 30c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air inlet and air outlet. can be formed

코안다 윙(40, 40')은 에어 가이드(30, 30')의 내측에서 양 단부가 덕트 하우징(10)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안다 윙(40, 40')은 상부 에어 가이드(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부 코안다 윙(40)과, 하부 에어 가이드(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부 코안다 윙(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코안다 윙(40)과 하부 코안다 윙(4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는 에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Coanda wings 40 and 40' inside the air guides 30 and 30' may be arranged to be fixed to the side walls of the duct housing 10. The Coanda wings 40 and 40' include an upper Coanda wing 40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air guide 30 and a lower Coanda wing 40'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air guide 30' can include The upper Coanda wing 40 and the lower Coanda wing 40' may form an air flow path when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passes therethrough.

상부 코안다 윙(40)은 제 1 날개부(40a), 제 2 날개부(40b) 및 제 1 날개부(40a)와 제 2 날개부(40b)가 연결되는 제 1 링크부(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날개부(40a)의 일단부는 덕트 하우징(10)의 측벽 상단부에 결합되고, 제 2 날개부(40b)의 일단부는 덕트 하우징(10)의 반대측 측벽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날개부(40a)의 타단부와 제 2 날개부(40a)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 1 기어부(6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날개부(40a)와 제 2 날개부(40a)는 제 1 기어부(61)에 의해 결합된 제 1 링크부(40c)가 꺾이는 방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 제 1 날개부(40a)와 제 2 날개부(40a)가 결합된 부분은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중간부(30b)와 제 1 출구부(30c)가 연결된 부분 및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중간부(30b')와 제 2 출구부(30c')가 연결된 부분을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upper Coanda wing 40 includes a first wing portion 40a, a second wing portion 40b, and a first link portion 40c to which the first wing portion 40a and the second wing portion 40b are connected. can include One end of the first wing 40a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and one end of the second wing 40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pposit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ng portion 40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ng portion 40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gear portion 61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wing portion 40a and the second wing portion 40a may move in a manner in which the first link portion 40c coupled by the first gear portion 61 is bent. The part where the first wing part 40a and the second wing part 40a are combined is the part where the first middle part 30b of the upper air guide 30 and the first outlet part 30c are connected and the lower air guide ( It may be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a portion where the second middle portion 30b' of 30'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are connected.

하부 코안다 윙(40')은 제 3 날개부(40a')와 제 4 날개부(40b')가 연결되는 제 2 링크부(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날개부(40a')의 일단부는 덕트 하우징(10)의 측벽 하단부에 결합되고, 제 3 날개부(40b')의 일단부는 덕트 하우징(10)의 반대측 측벽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3 날개부(40a')의 타단부와 제 4 날개부(40a')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 1 기어부(6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날개부(40a')와 제 4 날개부(40a')는 제 1 기어부(61)에 의해 결합된 부분이 꺾이는 방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 제 3 날개부(40a')와 제 4 날개부(40a')가 결합된 부분은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중간부(30b)와 제 1 출구부(30c)가 연결된 부분 및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중간부(30b')와 제 2 출구부(30c')가 연결된 부분을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Coanda wing 40' may include a second link part 40c' to which the third wing part 40a' and the fourth wing part 40b' are connected. One end of the third wing 40a'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and one end of the third wing 40b'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pposit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ng 40a'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wing 40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gear 61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wing portion 40a' and the fourth wing portion 40a' may move in a manner in which a portion coupled by the first gear portion 61 is bent. The part where the third wing part 40a' and the fourth wing part 40a' are combined is the part where the first middle part 30b of the upper air guide 30 and the first outlet part 30c are connected and the part where the lower air guide 30 is connected. It may be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a portion where the second middle portion 30b'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30c' of the guide 30' are connected.

풍향 조절부(50)는 노브(50a) 및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may include a knob 50a and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노브(50a)는 사용자가 풍향 변경 및 토출구를 개폐 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노브(50a)는 에어 출구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knob 50a is a control unit for the user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and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The knob 50a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ir outlet.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은 노브(50a)에 결합되어 상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1 입구부(30a)와 하부 에어 가이드(30')의 제 2 입구부(30a')에 의해 정의되는 에어 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노브(50a)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은 단부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므로 에어 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에어 출구의 상부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노브(50a)를 위 방향으로 올리면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은 단부가 하부를 향해 이동하므로 에어 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에어 출구의 하부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are coupled to the knob 50a and are defined by the first inlet 30a of the upper air guide 30 and the second inlet 30a' of the lower air guide 30'.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can be adjusted. When the knob 50a is pressed downward, the ends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move upward,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can be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air outlet. Conversely, when the knob 50a is raised upward, the end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 50b moves downward,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can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air outlet.

구동부(60)는 제 1 기어부(61), 제 2 기어부(62), 제 3 기어부(63), 제 4 기어부(64) 및 제 5 기어부(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first gear unit 61 , a second gear unit 62 , a third gear unit 63 , a fourth gear unit 64 , and a fifth gear unit 65 .

제 1 기어부(61)는 덕트 하우징(10) 측벽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기어부(61)는 상부 측의 제 1 위치에서 상부 코안다 윙(40)의 제 1 링크부(40c)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하부 측의 제 2 위치에서 하부 코안다 윙(40')의 제 2 링크부(40c')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부(61)는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선형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ear unit 61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 The first gear part 61 has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link part 40c of the upper Coanda wing 40 at a first position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Coanda wing at a second position on the lower side. (4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ink portion (40c'). The first gear part 61 may further include a linear gear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제 2 기어부(62)는 덕트 하우징(10) 측벽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기어부(62)는 제 1 기어부(61)의 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어부(62)는 원형 기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ear unit 6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 The second gear unit 62 may include a gear coupled to the gear of the first gear unit 61 . The second gear unit 62 may be formed as a circular gear unit.

제 3 기어부(63)는 덕트 하우징(10)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3 기어부(63)는 덕트 하우징(10)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제 2 기어부(62)와 마주 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기어부(62)와 제 3 기어부(63)는 동일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기어부(63)는 원형 기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gear unit 6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10 . The third gear unit 6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gear unit 62 with the side wall of the duct housing 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gear unit 62 and the third gear unit 63 may be coaxially connected. The third gear unit 63 may be formed as a circular gear unit.

제 4 기어부(64)는 제 3 기어부(63) 보다 낮은 위치에서 덕트 하우징(10)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4 기어부(64)와 노브(50a)는 동일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4 기어부(64)는 노브(50a)와 연결되는 회전축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이다. 제 4 기어부(64)는 원형 기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gear unit 6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10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hird gear unit 63 . The fourth gear unit 64 and the knob 50a may be coaxially connected. The fourth gear unit 64 may be disposed such that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knob 50a is eccentric. The fourth gear unit 64 may be formed as a circular gear unit.

제 5 기어부(65)는 덕트 하우징(10)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5 기어부(65)는 제 2 기어부(62)와 제 4 기어부(64) 사이에서 제 2 기어부(62)의 기어 및 제 4 기어부(64)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기어부(65)는 원형 기어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fth gear unit 65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10 . The fifth gear unit 65 include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gear of the second gear unit 62 and the gear of the fourth gear unit 64 between the second gear unit 62 and the fourth gear unit 64. can do. The fifth gear unit 65 may be formed as a circular gear unit.

상술한 풍향 조절부(50)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50a)가 동작하게 되면, 노브(50a)에 연결된 축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그 회전력에 의해 제 4 기어부(64), 제 5 기어부(65), 제 3 기어부(64) 및 제 2 기어부(62)의 순으로 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제 1 기어부(61)는 선형 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기어부(61)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 1 기어부(61)에 의해 선형 운동으로 변환되므로, 어 노브(50a)의 조작 방향에 따라 제 1 기어부(6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부 코안다 윙(40)의 제 1 및 제 2 날개부(40a, 40b)의 단부가 덕트 하우징의 양 측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링크부(40c)가 제 1 기어부(6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코안다 윙(40)은 전체적으로 꺾임구조를 갖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50 described above, when the knob 50a is operated by a user's manipulation,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knob 50a, and the fourth gear unit 64 is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 the fifth gear unit 65, the third gear unit 64, and the second gear unit 62 rotate in that order. Since the first gear unit 61 is composed of a linear gear,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unit 61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by the first gear unit 61, and thus, in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knob 50a. Accordingly, the first gear unit 6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portions 40a and 40b of the upper Coanda wing 40 ar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duct housing, the first link portion 40c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61 Since it is coupled to, the upper Coanda wing 40 has a folding structure as a whole.

하부 코안다 윙(40')의 제 3 및 제 4 날개부(40a', 40b')의 단부 또한 덕트 하우징의 양 측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링크부(40c')가 제 1 기어부(6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코안다 윙(40') 또한 상부 코안다 윙(40)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전체적으로 꺾임구조를 갖게 된다.The ends of the third and fourth wing portions 40a' and 40b' of the lower Coanda wing 40' are also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duct housing, and the second link portion 40c' is the first gear portion ( 61), the lower Coanda wing 40' also has an overall bending structure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upper Coanda wing 40.

이러한 상부 코안다 윙(40)과 하부 코안다 윙(40')의 꺾임 구조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구, 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토출구, 및 에어 유입구와 에어 토출구 사이에서 공기가 흐르는 에어 유로의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By the bent structure of the upper Coanda wing 40 and the lower Coanda wing 40', the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th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The area may remain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코안다 윙(40)과 하부 코안다 윙(40')에 의해 형성된 에어벤트 덕트 전단(에어 유입구)과 에어벤트 덕트 후단(토출구)사이의 바람 통로(유로)인 상하 폭이 줄어들지 않게 되므로 전체 풍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풍향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passage (flow path) between the front end (air inlet) and the rear end (outlet) of the air vent duct formed by the upper Coanda wing 40 and the lower Coanda wing 40' ),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total air volume.

또한, 상부 코안다 윙(40) 또는 하부 코안다 윙(40')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가 유로의 중앙부를 타고 흐르는 공기를 당기는 효과(코안다 효과)를 발생시켜 전체 적인 바람의 흐름이 상부나 하부 쪽으로 더욱 치우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upper Coanda wing 40 or the lower Coanda wing 40' generates an effect (Coanda effect) that pulls the air flowing along the center of the flow path, so that the overall wind flow You can get the effect of inducing it to be more biased towards the lower part.

또한, 상부 코안다 윙(40)과 하부 코안다 윙(40')의 삼각형돔 형태의 구조로 인해 동일한 상하 풍향 조절 윙(50b) 및 노브(50a)의 작동 각도를 기준으로 볼 때,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의 전후 길이의 폭을 좀더 길게 설계가 가능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바람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전후 폭을 가진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의 경우시에도, 상하 작동 각도를 좀더 크게 조작할 수 있는 설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triangular dome-shaped structures of the upper Coanda wing 40 and the lower Coanda wing 40', when viewed based on the same vertical wind direction control wing 50b and the operating angle of the knob 50a, the vertical wind direction Since the width of the front and back length of the control wing (50b) can be designed to be longer, not only can the effect of stab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be obtained, but also in the case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 (50b) having the same front and rear width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cure a design space capable of manipulating a larger vertical operating angle.

또한, 콕피트 모듈 전면에 통상 배치되는 4개의 에어벤트 장치 각각의 풍향 제어를 위해 상하풍향 각도 튜닝의 필요가 있을 때,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기어부의 설계를 각각 달리할 필요가 없이 원형기어인 제 2 기어부(62)와 선형기어인 제 1 기어부(61)가 만나는 지점의 상하의 길이 비를 조정하여 상향 풍향을 더 유리하게 하거나, 하향 풍향을 더 유리하게 세부 튜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각각 금형을 다르게 할 필요가 줄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une the angle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each of the four air vent devices normally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ockpit module, the design of the entire gear unit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may be different.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ratio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point where the second gear part 62, which is a circular gear, and the first gear part 61, which is a linear gear meet, to make the upward wind direction more advantageous or the downward wind direction more advantageous. this becomes possi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cost reduction by reducing the need for different molds.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c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노브 조작 위치에 따른 공기의 흐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3A to 3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air flow state according to a knob manipulation position of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풍향 조절부(50)의 노브(50a)를 상향으로 올려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에어벤트 장치의 토출구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경우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3a shows the air flow when the knob 50a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is raised upward and the ends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are moved downward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of the air vent device. is a drawing showing

도 3a를 참조하면, 에어벤트 장치 공기 유입구, 중간 영역의 유로 및 공기 토출구의 폭이 각각 h로 동일하다. 따라서, 풍향 조절부(50)의 조작에 따른 풍량 감소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air inlet of the air vent device, the passage in the middle region, and the air outlet have the same width as h. Accordingly, the air volume reduction effect caus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can be minimized.

또한, 상부 코안다 윙(40)의 제 1 날개부(40a)와 제 2 날개부(40b)의 꺾임구조에 의해 상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코안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anda effect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can be obtained by the bent structure of the first wing part 40a and the second wing part 40b of the upper Coanda wing 40.

도 3b는 풍향 조절부(50)의 노브(50a)를 중간 위치에 수평하게 위치시켜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벤트 장치의 토출구 정면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경우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3b is the air in the case wher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vent device by positioning the knob 50a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horizontally at an intermediate posi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are kept horizontally It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도 3b를 참조하면, 에어벤트 장치 공기 유입구, 중간 영역의 유로 및 공기 토출구의 폭이 각각 h로 동일하다. 따라서, 풍향 조절부(50)의 조작에 따른 풍량 감소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the air inlet of the air vent device, the passage in the middle region, and the air outlet have the same width as h. Accordingly, the air volume reduction effect caus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can be minimized.

도 3c는 풍향 조절부(50)의 노브(50a)를 아래 쪽으로 눌러 상하 풍향 조절 윙(50b)의 단부가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에어벤트 장치의 토출구 하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 경우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3C shows the air flow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of the air vent device by pressing the knob 50a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50 downward to move the ends of the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s 50b upward. It is an illustrated drawing.

도 3c를 참조하면, 에어벤트 장치 공기 유입구, 중간 영역의 유로 및 공기 토출구의 폭이 각각 h로 동일하다. 따라서, 풍향 조절부(50)의 조작에 따른 풍량 감소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 the air inlet of the air vent device, the passage in the middle region, and the air outlet have the same width as h. Accordingly, the air volume reduction effect caus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 can be minimized.

또한, 하부 코안다 윙(40')의 제 3 날개부(40a') 및 제 4 날개부(40b')의 꺾임구조에 의해 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코안다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nda effec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can be obtained by the bent structure of the third wing portion 40a' and the fourth wing portion 40b' of the lower Coanda wing 40'.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따른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ir flow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공기흐름을 비교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따른 코안다 효과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ir flow comparison between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convention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Coanda effect according to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덕트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코안다 윙이 공기 흐름 경로인 유로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코안다 효과의 상승을 위한 상하 각도가 작고, 상하 풍향 조절 윙의 길이가 짧으며, 공기가 흐르는 폭 또한 작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코안다 윙에 의해 공기 흐름 경로인 유로의 폭과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의 높이가 동일하다. 4 and 5, since the conventional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protrudes into a passage that is an air flow path, the Coanda wing disposed in the duct housing has a small vertical angle for the rise of the Coanda effect, and adjusts the vertical wind direction The length of the wing is short, and the width of the air flow is also small. In contrast, in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the width of the passage, which is the air flow path, and the height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the same due to the Coanda w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의하면, 코안다 효과의 상승을 위한 상하 각도가 크고, 상하 풍향 조절 윙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 공기가 흐르는 폭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상향 토출시킬 때 종래에 비해 10mm (d1) 정도 높이고, 공기를 하향 토출시킬 때 종래에 비해 120mm (d2) 정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angle for the increase of the Coanda effect is large, and the width of the air flow can be maintained while the length of the vertical wind direction control wing is lengthened, as shown in FIGS. 5A and 5A. As shown in FIG. 5b, when the air is discharged upwar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ir by about 10 mm (d1)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when discharging the air downward by about 120 mm (d2)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덕트 하우징 11: 공기 주입구
30, 30': 에어 가이드 30a: 제 1 입구부
30b: 제 1 출구부 30c: 제 1 중간부
30a': 제 2 입구부 30b': 제 2 출구부
30c': 제 2 중간부 40, 40': 코안다 윙
40a: 제 1 날개부 40b: 제 2 날개부
40c: 제 1 링크부 40a': 제 3 날개부
40b': 제 4 날개부 40c': 제 2 링크부
50: 풍향 조절부 50a: 노브
50b: 상하 풍향 조절 윙 60: 구동부
61: 제 1 기어부 62: 제 2 기어부
63: 제 3 기어부 64: 제 4 기어부
65: 제 5 기어부
10: duct housing 11: air inlet
30, 30': air guide 30a: first inlet
30b: first outlet part 30c: first middle part
30a': second inlet 30b': second outlet
30c': second middle part 40, 40': Coanda wing
40a: first wing 40b: second wing
40c: first link portion 40a': third wing portion
40b': 4th wing part 40c': 2nd link part
50: wind direction control unit 50a: knob
50b: up and down wind direction control wing 60: driving unit
61: first gear unit 62: second gear unit
63: third gear unit 64: fourth gear unit
65: fifth gear unit

Claims (26)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안다 윙;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 및
상기 풍향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안다 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로의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중간부의 단면적은 동일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duct housing;
a pair of Coanda wings accommodated in the duct housing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anda wings in the duct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anda w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low path formed by the Coanda wing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입구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유로의 출구와 연통하는 공기 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 및 토출구의 단면적 보다 큰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housing includes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f the passage, an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passage, and a hol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low part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각각은 꺾임 구조를 갖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air of Coanda wings has a folding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코안다 윙;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코안다 윙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air of Coanda wings,
a first Coanda wing disposed above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Coanda wing disposed below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날개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날개부; 및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anda wing,
a first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a second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link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3 날개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4 날개부; 및
상기 제 3 날개부 및 상기 제 4 날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Coanda wing,
a third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of the duct housing;
a fourth w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link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third wing part and the fourth w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 1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제 2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first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second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유입구 상면에 결합된 제 1 입구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 상면에 결합된 제 1 출구부; 및
상기 제 1 입구부와 상기 제 1 출구부 사이의 제 1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구부와 상기 제 1 중간부는 상기 제 1 출구부와 상기 제 1 중간부가 연결된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1 입구부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air guide,
a first inl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uct housing;
a first outle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uct housing; and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The first outlet part and the first middle part are inclined so that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art and the first middle part protrudes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inlet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유입구 하면에 결합된 제 2 입구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 하면에 결합된 제 2 출구부, 및 상기 제 2 입구부와 상기 제 2 출구부 사이의 제 2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출구부와 상기 제 2 중간부는 상기 제 2 출구부와 상기 제 2 중간부가 연결된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2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air guide includes a second inle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uct housing, a second outle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air guide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including the middle
The second outlet part and the second middle part are inclined so that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art and the second middle part protrudes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inlet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부 및 상기 제 2 링크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를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link part and the second link part are positioned on a line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부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풍향 조절 윙을 포함하며,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knob; and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wing coupled to the knob to control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extends to a position further inside the first link in the hollow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2 링크 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extends to a position further inside the second link in the hollow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기어부; 및
상기 선형 기어부와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상기 선형 기어부에 전달하는 원형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회전력을 선형으로 변환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riving unit,
a linear gear unit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vertically move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nd
A circular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linear gear portion and the knob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knob to the linear gear portion,
The linear gear uni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링크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링크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linear gear part,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link at an upper side of the hollow part;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ink at a low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기어부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형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동일 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3 기어부;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와 동일 축으로 연결된 제 4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circular gear part,
a first gear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linear gear unit;
a second gear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rotating by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part;
a third g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ourth gear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a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third gear unit, a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knob.
공기 유입구, 공기 토출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코안다 윙;
상기 덕트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 및
상기 풍향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코안다 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적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큰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 duct housing including an air inlet, an air outlet, and a hollow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outlet;
a pair of Coanda wings accommodated in the duct housing and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 wind direction controll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anda wings in the duct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anda w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A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low part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윙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로의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의 중간부의 단면적은 동일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low path formed by the Coanda wing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the sam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코안다 윙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코안다 윙;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코안다 윙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pair of Coanda wings,
a first Coanda wing disposed above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Coanda wing disposed below the hollow part of the duct hous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안다 윙은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와 하향 토출될 때 꺾이는 제 1 및 제 2 꺾임부를 각각 구비하며,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는 위로 볼록하고, 공기가 하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first and second Coanda wings each hav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that are bent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and downward,
The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are convex upward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are deformed into downward convex shapes when air is discharged downwar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제 1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중공부에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제 2 코안다 윙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덕트 하우징의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토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9,
a first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first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and
A second air guid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housing and the second Coanda wing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uct housing and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duct housing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ir vent device.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코안다 윙과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 2 코안다 윙과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큰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When air is discharged upwar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Coanda wing and the first air guide is larger tha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Coanda wing and the second air guide.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가 하향 토출될 때 상기 제 1 코안다 윙과 상기 제 1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제 2 코안다 윙과 상기 제 2 에어 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작은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When air is discharged downwar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Coanda wing and the first air guide is smaller tha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Coanda wing and the second air gu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부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풍향 조절 윙을 포함하며,
상기 풍향 조절 윙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꺾임부보다 더 안쪽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knob; and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wing coupled to the knob to control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nd direction control wing extends to a position further inside the hollow por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꺾임부 및 상기 제 2 꺾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꺾임부 및 상기 제 2 꺾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기어부; 및
상기 선형 기어부와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상기 선형 기어부에 전달하는 원형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회전력을 선형으로 변환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23,
the driving unit,
a linear gear un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bent par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lar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linear gear portion and the knob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knob to the linear gear portion,
The linear gear uni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기어부는,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꺾임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꺾임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24,
The linear gear part,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ent portion at an upp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bent part at the lower side of the hollow part.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기어부는,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형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동일 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제 3 기어부; 및
상기 덕트 하우징의 측벽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와 동일 축으로 연결된 제 4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25,
The circular gear part,
a first gear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linear gear unit;
a second gear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rotating by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part;
a third gea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and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and
An air v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ourth gear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ide of a sidewall of the duct housing, having a gear engaged with a gear of the third gear unit, a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knob.
KR1020210190822A 2021-12-29 2021-12-29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1010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22A KR20230101054A (en) 2021-12-29 2021-12-29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22A KR20230101054A (en) 2021-12-29 2021-12-29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54A true KR20230101054A (en) 2023-07-06

Family

ID=8718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822A KR20230101054A (en) 2021-12-29 2021-12-29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0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563B2 (en) Air-guiding appliance
CN108556596B (en) Air outlet assembly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US20190168583A1 (en) Outlet device
CN111559226B (en) Automobile air outlet structure
KR102429172B1 (en) Device for adjusting air flow direction of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WO2007136076A1 (en) Air outlet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CN104024756A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20190131251A (en) Motor driven air vent device for vehicle
CN210390690U (en) Air conditioner air outlet with hidden blades
KR20210108594A (en) Air vent device for vehicle
US6896610B2 (en) Air-guiding appliance
KR102495610B1 (en) Air vent for vehicle
KR20200017069A (en) Motor driven air vent device for vehicle
KR101763671B1 (en) car air vent capable of compact composition
KR200452765Y1 (en) Air vent for vehicle
KR20230101054A (en)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7217185B2 (en) Ventilating system
KR10143183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728731B1 (en) Wing knob structure for air vent in a car
KR20210107370A (en) Air vent device for vehicle
EP3883798B1 (en) Air vent for a vehicle
KR102498833B1 (en) Slim air vents in cars
JP2005153775A (en) Air-conditioning equipment for vehicle
KR102432863B1 (en) Automotive slim air vent
CN220809076U (en) Air outlet structure, vehicle air conditioner air outlet assembly an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