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942A -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942A
KR20230100942A KR1020210190632A KR20210190632A KR20230100942A KR 20230100942 A KR20230100942 A KR 20230100942A KR 1020210190632 A KR1020210190632 A KR 1020210190632A KR 20210190632 A KR20210190632 A KR 20210190632A KR 20230100942 A KR20230100942 A KR 2023010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ot device
home
home iot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9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942A/en
Publication of KR2023010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지 못하거나 실사용자의 ID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이 실사용자의 ID로 새로운 IoT 디바이스에 대한 개통 등록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3자가 대신 해당 IoT 디바이스를 개통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register a new IoT device with an actual user's ID, such as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not directly register a new IoT device or obtain an actual user's ID, a third party instead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that allows a corresponding IoT device to be opened and registered.

Description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홈 IoT 디바이스의 개통을 위한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gistration service for opening a new home IoT device.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이 용어는 1999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ID Center) 소장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향후 RFID(전파식별)와 기타 센서를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사물에 탑재한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시장분석 자료 등에 사용되면서 대중화되었다.In general, the Internet of Things (IoT) refers to intelligent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connect all things based on the Internet and mutually communicate information between people and things and things and things. Kevin Ashton, director of the Auto-ID Center at MIT, first predicted that the Internet of Things (IoT) would be built in the future wi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other sensors mounted on objects used in everyday life. It is known that it was used, and later became popular as it was used for market analysis data.

IoT는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 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나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통신장비와 사람과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Internet of Things (IoT) is an evolutionary step from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based internet or mobile internet, in which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exchange and process information on their own without human intervention. It is similar to the existing ubiquitous or M2M (Machine to Machine: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in that things exchange communication without relying on humans, but the concept of M2M, which focuses on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eople, is expanded to the Interne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tage that has evolved into a concept that interacts with all information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s well as objects.

최근 ICT 트렌드 중 하나로 IoT(Internet of Things)가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제조사들은 스마트 홈 서비스나 스마트 교육,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빌딩 등 스마트 공간에서 활용이 가능한 여러 종류의 IoT 디바이스들을 출시하고 있다.In a situation where IoT (Internet of Things) is popular as one of the recent ICT trends, various manufacturers are releasing various types of IoT devices that can be used in smart spaces such as smart home service, smart education, smart factory, and smart building.

한편, IoT 디바이스의 종류가 수없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플랫폼을 적용한 IoT 디바이스들을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한 셋업 및 네트워크 등록 방법도 각각 다른데,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본인이 직접 본인의 ID로 새로운 IoT 디바이스에 대한 개통 등록 과정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본인의 ID로 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어려운 경우에는 개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are countless types of IoT devices and each manufacturer releases IoT devices with different platforms, the setup and network registration methods for using them a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general technology, the user himself/herself Sinc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opening registration process for a new IoT device with one's own 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ening is delayed if it is difficult to register an IoT device with one's ID depending on the situati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492호(2017.04.13.)Publication No. 10-2017-0040492 (2017.04.1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본인이 직접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지 못하거나 실사용자의 ID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이 실사용자의 ID로 새로운 IoT 디바이스에 대한 개통 등록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3자가 대신 해당 IoT 디바이스를 개통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access a new IoT device with an actual user's ID, such as in a situation where a user cannot directly register a new IoT device or obtain an ID of an actual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activation service that enables a third party to open and register a corresponding IoT device instead,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register the activation of a home IoT device.

본 개시에서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라 함은 홈매니저(타인)가 실사용자 대신 IoT 플랫폼에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여 개통)해 주는 서비스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disclosur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refers to a service in which a home manager (other person) registers (and opens) a new IoT device on the IoT platform instead of an actual us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3 사용자가 본인(즉,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기 위한 단계; (b) 상기 발급받은 일회성 ID를 기초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를 IoT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 (c) 제1 사용자가 본인(즉,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a third user himself (ie, a third user). Step of logging in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user) and receiving a one-time ID from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 registering a new home IoT device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c) allowing the first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his or her (ie, the first user's) ID and to search for home IoT devices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d) convert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다.The ID of the third user may be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is based on the IoT platform so that another person can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can be set.

상기 단계 (a)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고객정보를 통해서만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고객정보는 가입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a), a one-time ID may be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only through one or more preset user IDs and one or more preset user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a subscription number.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ser may include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may include oth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상기 단계 (a) 및 (b)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홈IoT 앱의 타인등록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 및 (d)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홈IoT 앱의 실사용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 steps (a) and (b) can be performed in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Home IoT App load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steps (c) and (d) are the actual use mode of the Home IoT App loaded on the user terminal. can be done i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은, IoT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3 사용자가 본인(즉,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일회성 ID를 발급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발급된 일회성 ID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c) 제1 사용자가 본인(즉,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n IoT platform, wherein (a) a third user is himself (ie, a third Step for logging in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user) and issuing the requested one-time I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 performing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c) 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with his or her (ie, the first user's) ID, enabling a home IoT device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o be searched; and (d) switch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다.The ID of the third user may be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is based on the IoT platform so that another person can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can be set.

상기 단계 (a)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고객정보를 통해서만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ep (a) may enable a one-time ID to be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only through one or more preset user IDs and one or more preset user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ser may include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may include oth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상기 단계 (a) 및 (b)는 사용자 단말의 홈IoT 앱을 통해 선택된 타인등록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 및 (d)는 사용자 단말의 홈IoT 앱을 통해 선택된 실사용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 steps (a) and (b) can be performed in the third party registration mode selected through the home IoT app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teps (c) and (d) are the actual use mode selected through the home IoT app of the user terminal. can be done i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제3 사용자가 본인(즉,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기 위한 발급부; 상기 발급받은 일회성 ID를 기초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를 IoT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부; 제1 사용자가 본인(즉,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부; 및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included in a user terminal, and a third user is himself (ie, a third user). Issuing unit for logging in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and receiving a one-time ID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a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new home IoT device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A query unit allowing the first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his or her (ie, the first user) ID and to search for a home IoT device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wherein the third user's ID is used to store other people's customer information. It can be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the ID,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can be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nother person can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상기 단계 (a)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고객정보를 통해서만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이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일 수 있다.The step (a) may enable a one-time ID to be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only through one or more preset user IDs and one or more preset user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first user is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The third user may be a person other than the first us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는, IoT 플랫폼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제3 사용자가 본인(즉,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일회성 ID를 발급하기 위한 발급부; 상기 발급된 일회성 ID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등록부; 제1 사용자가 본인(즉,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부; 및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d in an IoT platform, and a third user is himself (ie, a third user). An issuing unit for logging in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and issuing a one-time ID requested from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 registration unit for performing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with his or her (ie, the first user) ID, a query unit for querying a home IoT device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될 수 있다.The ID of the third user may be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is based on the IoT platform so that another person can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can be set.

상기 단계 (a)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고객정보를 통해서만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tep (a) may enable a one-time ID to be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only through one or more preset user IDs and one or more preset user customer information.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ser may include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may include others other than the first us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 a comput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n a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본인이 직접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지 못하거나 실사용자의 ID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이 실사용자의 ID로 새로운 IoT 디바이스에 대한 개통 등록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3자가 대신 해당 IoT 디바이스를 개통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n and register a new IoT device with an actual user's ID, such as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himself or herself cannot directly register a new IoT device or cannot secure an actual user's ID. Even in difficult cases, it creates an effect that allows a third party to open and register the IoT device instea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플랫폼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4-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IoT platform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flow chart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should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IoT 플랫폼(3), 홈 IoT 디바이스(4), 및 AP(Access Point)(5)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system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the figure, a communication network 1, a user terminal 2, and an IoT platform 3 , a home IoT device 4, and an access point (AP) 5.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2), IoT 플랫폼(3), 홈 IoT 디바이스(4), 및 AP(Access Point)(5)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독 또는 복합의 통신망을 나타낸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 connects the user terminal 2, the IoT platform 3, the home IoT device 4, and the access point (AP) 5 through wired, wireless, and/or the Internet to enable communication. Indicates a single or complex communication network for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서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노트북/태블릿/개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 is a user's terminal device and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mmunication, a PDA, a smart phone, a notebook/tablet/personal PC, and the like.

사용자 단말(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IoT 디바이스(4)의 실사용자(또는, 제1 사용자라 칭함)의 단말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 단말(1a), 및 실사용자를 제외한 타인(또는, 제3 사용자라 칭함)의 단말을 나타내는 제3 사용자 단말(1b)로 구분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1a representing a terminal of an actual user (or referred to as a first user) of the home IoT device 4, and a person other than the actual user (or, It can be divided into a third user terminal 1b representing a terminal of a third user).

IoT 플랫폼(3)은 통신망(1) 및 AP(5)를 통해 홈IoT 디바이스(4) 및/또는 사용자 단말(2)과 통신하여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버 장치를 나타낸다.The IoT platform 3 is a platform server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by communicating with the home IoT device 4 and/or the user terminal 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and the AP 5. represents a device.

홈 IoT 디바이스(4)는 홈 IoT 서비스를 위한 종단 단말(Station: STA)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 AP(5)를 통해 동일 NAT의 서브넷(subnet)에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 #1~#N(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IoT device 4 represents a station (STA) device for home IoT service, and is connected to a subnet of the same NAT through the same AP 5 or one or more IoT devices for connection # 1 to #N (4) may be included.

AP(Access Point)(5)는 와이파이(Wi-Fi)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나타내는 것으로 와이파이 공유기 또는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을 한다.AP (Access Point) 5 represents a Wi-Fi access point (AP) and functions as a Wi-Fi router or gateway.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과 IoT 플랫폼(3)은 상호 통신하여 사용자 본인이 직접 새로운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지 못하거나 실사용자의 ID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 등과 같이 실사용자의 ID로 새로운 IoT 디바이스에 대한 개통 등록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제3자가 대신 자신의 ID를 사용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를 개통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 and the IoT platform 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ser himself/herself cannot directly register a new IoT device or obtain a real user ID, such as a situation where the user terminal 2 and the IoT platform 3 cannot obtain a new IoT device. Ev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open registration for an IoT device, a third party can open and registe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using their ID instead.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단말(2: 2a, 2b)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20)의 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는 발급부(21), 등록부(23), 조회부(25), 및 전환부(27)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s 2: 2a and 2b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device 20 may include an issuing unit 21 , a registration unit 23 , an inquiry unit 25 , and a conversion unit 27 .

발급부(21)는 제3 사용자가 본인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예: 가입번호)를 기초로 IoT 플랫폼(3)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3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가 포함된 1회성 ID 발급 요청 메시지를 IoT 플랫폼(3)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IoT 플랫폼(3)으로부터 발급된 일회성 ID를 수신할 수 있다.The issuing unit 21 is for a third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3 with his or her ID and to receive a one-time ID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3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eg, subscription number) of the first user.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hird user, a one-time ID issuan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transmitted to the IoT platform 3, and in response, the one-time ID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3 is transmitted. ID can be received.

일 예로,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즉, 제3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는 ID로 IoT 플랫폼(3)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는 타인(즉,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3)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D of the third user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IoT platform 3 as an ID capable of obtaining a one-time I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ie, a user other than the third user), and the first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IoT platform 3 so that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by another person (ie, a user other than the first user) is possible.

따라서, 발급부(21)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ID(예: 제3 사용자의 ID) 및 기 설정된 사용자의 고객정보(예: 제1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통해서만 IoT 플랫폼(3)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issuing unit 21 obtains a one-time ID from the IoT platform 3 only through a preset user ID (eg, third user ID) and preset user customer information (eg, first user customer information). can be issued.

등록부(23)는 발급부(21)를 통해 발급받은 일회성 ID를 기초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를 IoT 플랫폼(3)에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회성 ID와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IoT 플랫폼(3)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가 IoT 플랫폼(3)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gistration unit 23 is for registering a new home IoT device 4 to the IoT platform 3 based on the one-time ID issued through the issuing unit 21, for example, a one-time ID and a one-time I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w home IoT device 4 can be transmitted to the IoT platform 3 so that the new home IoT device 4 can be registered with the IoT platform 3.

조회부(25)는 실사용자인 제1 사용자가 본인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ex: 가입번호)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4)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실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인 및 타인에 의해 등록된 자신 소유의 모든 홈 IoT 디바이스(4) 중 타인에 의해 새로 등록된(즉,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4)가 무엇인지를 IoT 플랫폼(3)으로부터 조회(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quiry unit 25 is a home IoT device (4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ctual user's choice, among all the home IoT devices 4 registered by the user and others, newly registered by others (ie, as a one-time ID) It is possible to inquire (search) what the registered) home IoT device 4 is from the IoT platform 3 and select it.

전환부(27)는 조회부(25)를 통해 조회되어 선택된 홈IoT 디바이스(4)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조회부(25)를 통해 조회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에 대한 등록 정보가 기존에 일회성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이후 제1 사용자의 ID로 해당 홈IoT 디바이스(4)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27 is for convert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IoT device 4 that has been inquired through the inquiry unit 25 and selected,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the ID of the first user.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new home IoT device 4 inquired through the inquiry unit 25 (ei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automatically) is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one-time ID and registered, the ID of the first user By linking with and switching to a registered state, it is possible to use the home IoT device 4 as the ID of the first user thereafter.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플랫폼(3)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30)의 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0)는 발급부(31), 등록부(33), 조회부(35), 및 전환부(37)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device 30 included in the IoT platform 3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device 30 may include an issuing unit 31, a registering unit 33, an inquiry unit 35, and a conversion unit 37.

발급부(31)는 제3 사용자가 본인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예: 가입번호)를 기초로 IoT 플랫폼(3)에게 요청된 일회성 ID를 발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3 사용자의 ID로 로그인 된 제3 사용자의 단말(2, 2b)로부터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가 포함된 1회성 ID 발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일회성 ID를 발급하여 제3 사용자의 단말(2, 2b)로 전송할 수 있다.The issuing unit 31 logs in the IoT platform 3 with the third user's ID and issues the one-time ID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3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eg, subscription number) of the first user. For example, when a one-time ID issuance request message including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received from the third user's terminal 2, 2b logged in with the third user's ID, a one-time ID issuanc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in response. An ID may be issu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2 and 2b of the third user.

발급부(31)는 로그인 된 제3 사용자의 ID를 기초로 해당 제3 사용자가 타인(즉, 제3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권한자 인가의 여부를 제1 판단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해당 제1 사용자가 타인(즉,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자신 소유의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승낙자 인가의 여부를 제2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및/또는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일회성 ID의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The issuing unit 31 authorizes a preset authority so that the third user can receive a one-time ID issued by using the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ie, a user other than the third user) based on the ID of the third user logged in. It is possible to first determine whether or not, and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 can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owned by another person (ie, a user other than the first user). A second determination may be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set approver is authorized, and issuance of the one-time ID may be rejected according to the first and/or second determination results.

일 예로, 발급부(21)는 기 설정된 권한자의 ID(예: 제3 사용자의 ID) 및 기 설정된 승낙자의 고객정보(예: 제1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가 요청될 경우에만 IoT 플랫폼(3)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ssuing unit 21 uses a preset authority's ID (eg, a third user's ID) and a preset acceptor's customer information (eg, a first user's customer information) only when a one-time ID is requested. It is possible to issue a one-time ID from the IoT platform 3 and deliver it to the user's terminal.

등록부(33)는 발급부(21)를 통해 발급된 일회성 ID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2)로부터 IoT 플랫폼(3)에게 요청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회성 ID와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등록 요청 메시지가 제3 사용자 단말(2a)로부터 IoT 플랫폼(3)으로 수신되면 해당하는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를 IoT 플랫폼(3)에 등록할 수 있다.The registration unit 33 is for registering a new home IoT device 4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 to the IoT platform 3 based on the one-time ID issued through the issuing unit 21,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 one-time I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4 is received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2a to the IoT platform 3, the corresponding new home IoT device 4 is transferred to the IoT platform. (3) can be registered.

조회부(35)는 제1 사용자가 본인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면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예: 가입번호)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4)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로그인 된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본인 및 타인(즉, 제3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사용자 소유의 모든 홈 IoT 디바이스(4)를 조회하고, 그 중 타인에 의해 새로 등록된(즉,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4)가 무엇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3 with his/her own ID, the inquiry unit 35 queries the home IoT device 4 registered with the one-time ID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s customer information (eg, subscription number). For example, all home IoT devices 4 owned by the first user registered by the first user and others (ie, the third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ogged-in first user It is possible to inquire, and display which home IoT device 4 newly registered by another person (that is, registered as a one-time ID) among them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전환부(37)는 조회부(35)를 통해 조회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회부(35)를 통해 조회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에 대한 등록 정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기존에 일회성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로 전환하고, 이후 제1 사용자의 ID로 해당 홈IoT 디바이스(4)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37 conver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new home IoT device 4 inquired through the inquiry unit 35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n ID of the first user. For example,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new home IoT device 4 inquired through the inquiry unit 35 is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one-time ID (either automatically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registered with the first user's ID. It switches to a linked and registered state, and then allows the home IoT device 4 to be used as the ID of the first user.

도 4-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1-3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4-5 are flowcharts of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y are applied to the device of FIGS. 1-3,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도 4는 제3자가 실사용자 대신 실사용자의 홈IoT 디바이스를 개통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의 일 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registering a home IoT device of a real user instead of a real user by a third party.

먼저, 제3자가 제3 사용자 단말(2b)에 탑재된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를 위한 IoT 앱을 통하여 제3자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고(S401) 타인등록모드가 선택되면(S403), 제3 사용자 단말(2b)은 입력된 제1 사용자(즉, 실사용자)의 고객정보가 포함된 1회성 ID 발급 요청 메시지를 IoT 플랫폼(3)으로 전송한다(S405).First, when a third party logs in to the IoT platform 3 with the ID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IoT app for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mounted on the third user terminal 2b (S401) and the other person registration mode is selected (S403 ), the third user terminal 2b transmits a one-time ID issuan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nput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e, the actual user) to the IoT platform 3 (S405).

이어, IoT 플랫폼(3)은 단계 S405에서 제3 사용자 단말(2b)로부터 1회성 ID 발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로그인 된 제3 사용자의 ID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407). Subsequently, when the IoT platform 3 receives a one-time ID issuance request message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2b in step S405, among the ID of the logged-in third user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factors (S407).

단계 S407에서 IoT 플랫폼(3)은, 예를 들어, 로그인 된 제3 사용자의 ID를 기초로 해당 제3 사용자가 타인(즉, 제3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권한자 인가의 여부를 제1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해당 제1 사용자가 타인(즉,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사용자)에 의한 자신 소유의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승낙자 인가의 여부를 제2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판단 결과 및 제2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407, the IoT platform 3, for example, based on the ID of the third user logged in, the corresponding third user is a customer of another person (ie, a user other than the third us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ser). It is possible to first determine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authority is authorized to receive a one-time ID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e corresponding first user is a third party (ie, other than the first user). A user (a third user in this embodiment) may second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preset acceptor is authorized to register a new home IoT device owned by the us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mination results Success or failure of user authentic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one or more determination results.

이어, IoT 플랫폼(3)은 단계 S407에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1회성 ID를 발급하여 제3 사용자 단말(2b)로 전송하고(S409), 제3 사용자 단말(2b)은 단계 S409에서 수신된 일회성 ID와 등록하고자 하는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홈 IoT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IoT 플랫폼(3)으로 전송한다(S411).Subsequently,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step S407, the IoT platform 3 issues a one-time ID and transmits it to the third user terminal 2b (S409), and the third user terminal 2b receives the one-time ID received in step S409. A home IoT devic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n I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4 to be registered is transmitted to the IoT platform 3 (S411).

마지막으로, IoT 플랫폼(3)은 단계 S411를 통해 제3 사용자 단말(2b)로부터 홈 IoT 디바이스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대응하는 고객정보와 1회성 ID와 홈 IoT 디바이스(4)의 식별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해당 홈 IoT 디바이스(4)를 등록한다(S413).Finally, when the IoT platform 3 receives the home IoT devic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third user terminal 2b through step S411, the corresponding customer information, one-time I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IoT device 4 are sent. By matching with each other, the corresponding home IoT device 4 is registered (S413).

도 5는 도 4의 과정에 따라 등록된 홈 IoT 디바이스를 실사용자가 개통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의 일 예이다.5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an actual user to open and use a home IoT devic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4 .

먼저, 실사용자인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a)에 탑재된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를 위한 IoT 앱을 통하여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3)에 로그인하고(S501) 실사용모드가 선택되면(S503), 제1 사용자 단말(2a)은 IoT 플랫폼(3)에 등록된 홈 IoT 디바이스(4)를 조회한다(S505).First, a first user, who is a real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3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through the IoT app for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install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a (S501), and in the actual use mode When is selected (S503), the first user terminal (2a) queries the home IoT device (4) registered in the IoT platform (3) (S505).

단계 S505는 예를 들어 로그인 된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본인 및 타인(즉, 제3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사용자 소유의 모든 홈 IoT 디바이스(4)를 조회하고, 그 중 타인에 의해 새로 등록된(즉,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4)가 무엇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tep S505, for example, inquires all home IoT devices 4 owned by the first user registered by the first user and others (ie, the third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ogged-in first user, among which The home IoT device 4 newly registered by another person (that is, registered as a one-time ID)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이어, IoT 플랫폼(3)은 단계 S505를 통해 조회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의 등록 정보 중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는데, 예를 들어, 단계 S505를 통해 조회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4)에 대한 등록 정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기존에 일회성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의 ID와 연계되어 등록된 상태로 전환한다(S507).Subsequently, the IoT platform 3 se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amo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new home IoT device 4 inquired through step S505 to the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as the ID of the first user. In the state whe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new home IoT device 4 inquired through step S505 is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existing one-time ID (ei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automatically), the first It is linked to the user's ID and converted to a registered state (S507).

단계 S507에서 등록 정보가 전환되면, IoT 플랫폼(3)은 제1 사용자 단말(2a)로 홈 IoT 디바이스(4)의 사용을 승인하고(S509), 제1 사용자 단말(2a)은 제1 사용자의 ID로 홈IoT 디바이스(4)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511).Whe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converted in step S507, the IoT platform 3 approves the use of the home IoT device 4 to the first user terminal 2a (S509), and the first user terminal 2a is the first user terminal 2a. The home IoT device 4 can be used as an ID (S511).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rresponding method in a computer can be implemented.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method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in ord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method on a computer.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or such a recording medium. Can be implemented as a stored applicati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is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통신망
2, 2a, 2b: 사용자 단말
3: IoT 플랫폼
4: 홈 IoT 디바이스
5: AP(Access Point)
20, 30: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21, 31: 발급부
23, 33: 등록부
25, 35: 조회부
27, 37: 전환부
1: Network
2, 2a, 2b: user terminal
3: IoT platform
4: Home IoT devices
5: AP(Access Point)
20, 30: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device
21, 31: issuance department
23, 33: register
25, 35: inquiry unit
27, 37: conversion part

Claims (19)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3 사용자가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으로부터 일회성 ID를 발급받기 위한 단계;
(b) 상기 발급받은 일회성 ID를 기초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를 IoT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
(c)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고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a) a step for a third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third user's ID and to receive a one-time ID issued from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 registering a new home IoT device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c) allowing the first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and to search for home IoT devices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d) convert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 of the third user is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tomer information is previously set in the IoT platform to enable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by another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includes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includes a person other than the first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b)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홈IoT 앱의 타인등록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s (a) and (b) are performed in a third party registration mode of a home IoT app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및 (d)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홈IoT 앱의 실사용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s (c) and (d) are performed in the actual use mode of the home IoT app loaded on the user terminal.
IoT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제3 사용자가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일회성 ID를 발급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발급된 일회성 ID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c)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erformed on an IoT platform,
(a) a step for a third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third user's ID and issue a one-time ID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 performing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c) 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allowing the home IoT device registered with the one-time ID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o be searched; and
(d) convert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 of the third user is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method of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tomer information is previously set in the IoT platform to enable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by another pers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user includes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includes a person other than the first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b)는 사용자 단말의 홈IoT 앱을 통해 선택된 타인등록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s (a) and (b) are performed in a third party registration mode selected through the home IoT app of the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및 (d)는 사용자 단말의 홈IoT 앱을 통해 선택된 실사용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s (c) and (d) are performed in the actual use mode selected through the home IoT app of the user terminal.
IoT 플랫폼에 포함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제3 사용자가 제3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여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일회성 ID를 발급하기 위한 발급부;
상기 발급된 일회성 ID를 기초로 IoT 플랫폼에게 요청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등록부;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ID로 IoT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제1 사용자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일회성 ID로 등록된 홈IoT 디바이스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부; 및
상기 조회된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 정보를 일회성 ID로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제1 사용자의 ID로 등록된 디바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included in an IoT platform,
An issuing unit for a third user to log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third user's ID and issue a one-time ID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 registration unit for performing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requested to the IoT platform based on the issued one-time ID;
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IoT platform with the ID of the first user, a query unit for querying a home IoT device registered with a one-time ID corresponding to custom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gistered information of the inquired home IoT device from a device registered as a one-time ID to a device registered as a first user's ID;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의 ID는 타인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ID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ID of the third user is preset in the IoT platform so that a one-time ID can be issued using customer information of another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는 타인에 의한 새로운 홈IoT 디바이스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IoT 플랫폼에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ustomer information is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eviously set in the IoT platform to enable registration of a new home IoT device by another pers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홈IoT 디바이스의 실제 사용자이고,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user is an actual user of the home IoT device, and the third user is a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ther than the first user.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n a computer.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홈 IoT 디바이스 개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n a computer.
KR1020210190632A 2021-12-29 2021-12-29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009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32A KR20230100942A (en) 2021-12-29 2021-12-29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32A KR20230100942A (en) 2021-12-29 2021-12-29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42A true KR20230100942A (en) 2023-07-06

Family

ID=8718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632A KR20230100942A (en) 2021-12-29 2021-12-29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94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492A (en) 2015-10-05 2017-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for smart service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492A (en) 2015-10-05 2017-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for smart service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1629B2 (en) Server for providing a token
US9391985B2 (en) Environment-based two-factor authentication without geo-location
US7054648B2 (en) Location privacy proxy server and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9197639B2 (en) Method for sharing data of device in M2M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for
CN108337677B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328779B1 (en) Mobile terminal,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162777B (en) A kind of wireless network login method and device
JP200851531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ly starting a mobile terminal synchronization service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KR10226941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based on an application supporting a home networking by multi users
KR201200649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access using phone numbers, and system thereof
CN104837136B (en) Wireless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6686752B (en) It is a kind of that the method and apparatus being wirelessly connected is established by the first application on user equipment
US20150103678A1 (en) Identification of user home system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10951616B2 (en) Proximity-based device authentication
CN102984646A (e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of mobile phone client-side location services
CN109769249A (en) A kind of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and its apparatus
CN105792166B (en) Neighbouring requesting method, neighbouring requests verification method, server and network entity
KR20210130414A (en) Logi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JP650342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contro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30100942A (en) Home IoT device ope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38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P in Wi-Fi IoT device
KR101941770B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portable device
CN110784447A (en) Method for realizing non-perception authentication across protocols
Chen et al. Secondary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mobile devices location
KR102315348B1 (en) Smart do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