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849A -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849A
KR20230100849A KR1020210190478A KR20210190478A KR20230100849A KR 20230100849 A KR20230100849 A KR 20230100849A KR 1020210190478 A KR1020210190478 A KR 1020210190478A KR 20210190478 A KR20210190478 A KR 20210190478A KR 20230100849 A KR20230100849 A KR 20230100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gation
liquid manure
pump
suppl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7411B1 (ko
Inventor
이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렌드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렌드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렌드팜
Priority to KR102021019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41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04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741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01C23/005Nozzles, valves, spl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관수 탱크 내의 관수를 배관을 통하여 복수의 관수지로 공급하는 관수 펌프; 액비 탱크 내의 액비를 상기 배관으로 공급하는 액비 펌프; 및 상기 관수 펌프 및 상기 액비 펌프에 의하여 상기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공급량 및 액비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Smart System for Irrigation Control Capable Of Self-generation}
본 발명은 관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물 재배시 관리자는 작물에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비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작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관수와 비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수 제어 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 관수 제어 시스템은 관리자가 설정한 관수와 비료 공급에 대한 설정 값에 대응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 때 관수 제어 시스템은 전력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되는데, 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 관수 및 비료 공급량 또는 공급 주기가 변동된다. 이에 따라 관수 제어 시스템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전력량 증가에 의한 전기 요금의 부담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4506호(2014.03.20.)
종래의 기술은 경작지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관수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관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수 제어 시스템은 관수조절밸브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데, 경작지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상태정보에 따라 관수조절밸브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 요금의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관수지(종래의 기술의 '경작지'와 동일함)로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되는 밸브에 자가발전이 가능한 발전원을 연결하는 것으로 밸브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을 자체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관수 탱크 내의 관수를 배관을 통하여 복수의 관수지로 공급하는 관수 펌프; 액비 탱크 내의 액비를 상기 배관으로 공급하는 액비 펌프; 및 상기 관수 펌프 및 상기 액비 펌프에 의하여 상기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공급량 및 액비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는,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상기 관수 공급량 및 상기 액비 공급량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생성된 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는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밸브가 전력을 자체 생산하여 밸브 구동시 사용하기 때문에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밸브 구동에 사용되는 전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에서의 관수지에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공급량 및 공급 시간 조절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및 액비 공급시간 조절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3을 살펴보면,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은 관수 펌프(100), 액비 펌프(200), 제어부(300) 및 밸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수 펌프(100)는 관수 탱크 내의 관수를 배관을 통하여 복수의 관수지(제 1 관수지, 제 2 관수지, ... , 제 n 관수지, 이하, 관수지로 칭함)로 공급할 수 있다.
액비 펌프(200)는 액비 탱크 내의 액비를 배관으로 공급할 수 있다. 액비 펌프(200)에 의해 배관으로 공급된 액비는 관수 펌프(100)에 의해 배관으로 공급된 관수와 혼합되어 복수의 관수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관은 복수의 관수지(예컨대, 비닐 하우스 등의 작물 재배 지역) 별로 설치된 관수 이송라인을 의미하며, 복수의 관수지 별로 설치된 개별적인 배관은 하나의 배관으로 취합된다. 이러한 취합된 하나의 배관은 관수 펌프(100)와 연결됨에 따라 관수 펌프(100)를 통해 토출되는 관수는 배관을 통해 복수의 관수지 별로 설치된 개별적인 배관을 통해 각 관수지로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관수지 별로 설치된 개별적인 배관 각각에 밸브(400)가 연결될 수 있다.
관수 펌프(100)와 액비 펌프(200)는 후술하는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독립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관수 펌프(100)가 동작되어 관수가 공급되는 중간에도 액비 펌프(200)가 오프 될 수 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액비 펌프(200)가 기 설정된 시간별로 온오프 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더욱 구체적은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밸브(400)는 후술하는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개폐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관수지 별 관수 공급량, 액비 공급량, 관수 공급 시간 및 액비 공급 시간 등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400)는 관수 펌프(100) 및 액비 펌프(200)에 의하여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관수 및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력을 이용하여 각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밸브(400)는 개폐부(410), 발전부(420) 및 측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10)는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개폐 상태가 전환될 수 있으며, 개폐 상태의 전환을 통해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공급량 및 액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발전부(420)는 관수 및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개폐부(4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부(410)는 발전부(4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밸브(400)의 개폐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발전부(420)는 터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관수 및 액비의 흐름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전부(420)는 태양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터빈과 태양광 모듈이 동시에 설치되어 호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측정부(430)는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관수 펌프(100) 및 액비 펌프(200) 각각을 통해 각각의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공급량과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측정부(430)로부터 전송받은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밸브(400)의 개폐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관수 제어부(310), 액비 제어부(320), 밸브 제어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수 제어부(310)는 관수 펌프(100)와 연결되며, 관수 펌프(100)를 통해 토출되는 관수 공급량 및 관수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관수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되는 각 관수지 별 필요한 관수 제어 신호에 따라 관수 공급량 및 관수 공급시간을 조절하게 되는데, 관수 제어 신호는 다음과 같다.
관수 제어 신호는 각 관수지 별로 필요한 관수 공급날짜, 관수 공급시간, 관수 공급량을 의미하며, 관수 제어부(310)에서는 이러한 관수 제어 신호에 맞추어 관수 펌프(100)를 통해 노출되는 관수 공급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관수 펌프(100)를 통해 토출되는 관수 공급량은 각 관수지 별로 설치된 개별적인 배관의 제어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데, 관수 제어부(310)에서 각 관수지 별 필요로 하는 관수 공급량에 따라 관수 펌프(100)를 작동시키며, 관수 펌프(100)를 통해 노출되는 관수는 각 관수지 별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각 관수지 별로 공급된다.
액비 제어부(320)는 액비 펌프(200)와 연결되며, 액비 펌프(200)를 통해 토출되는 액비 공급량 및 액비 공급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액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되는 각 관수지 별 필요한 액비 제어 신호에 따라 액비 공급량 및 액비 공급시간을 조절하게 되는데, 액비 제어 신호는 다음과 같다.
액비 제어 신호는 각 관수지 별로 필요한 액비 공급날짜, 액비 공급시간, 액비 공급량, 액비 펌프 온오프 상태 등을 의미하며, 액비 제어부(320)에서는 이러한 액비 제어 신호에 맞추어 액비 펌프(200)를 통해 노출되는 액비 공급량을 제어함은 물론 액비 펌프(200)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관수 제어부(310) 및 액비 제어부(320)는 실시간 관수 공급량, 실시간 액비 공급량, 일별 누적 관수 공급량, 일별 누적 액비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이를 후술되는 통신부(3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관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 관수 공급량, 실시간 액비 공급량, 일별 누적 관수 공급량, 일별 누적 액비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맞추어 관수 펌프(100), 액비 펌프(200) 및 제어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통신부(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밸브 제어부(330)는 각 관수지 별로 설치된 배관에 각각 마련된 밸브(400)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부(430)로부터 전송받은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밸브(400)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제어부(330)는 측정부(430)로부터 전송받은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통신부(3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로 전송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각 관수지에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사용자 단말(1)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관수 제어부(310) 및 액비 제어부(320) 각각의 제어 상태를 사용자 단말(1)로 전송하는 역할과,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관수 제어부(310) 및 액비 제어부(3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40)에서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 신호라 함은 앞서 살펴본 관수 제어 신호, 액비 제어 신호를 포함하면서도 자동 관수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 관수제어 신호라 함은, 관수 제어부(310), 액비 제어부(320), 밸브 제어부(330)가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반복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40)는 밸브 제어부(330)로부터 입력받은 관수 및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에서의 관수지에 공급되는 관수 및 액비의 공급량 및 공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 및 통신부(340)가 서로 연결 및 접속되며, 제어부(30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S401).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제어 신호를 토대로 한 관수 펌프(100) 및 액비 펌프(200)를 통해 토출되는 관수 및 액비의 공급량, 공급 시간 조절을 위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S402). 이때, 설정되는 조건은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입력 되는 입력 신호일 수도 있고, 제어부(300)에 마련되는 제어패널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액비 펌프(200)를 통해 액비 탱크 내 액비를 배관으로 공급하며, 또한 설정된 조건에 따라 관수 펌프(100)로부터 관수를 토출하여 이를 배관을 통해 각각의 관수지로 공급할 수 있다(S403).
관수 제어부(310)는 관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각 관수지 별 필요로 하는 관수 공급량에 따라 관수 펌프(100)를 작동시키며, 관수 펌프(100)를 통해 노출되는 관수는 각 관수지 별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각 관수지 별로 공급된다. 이 때, 동시에 다수의 관수지에 관수를 공급하는 경우, 관수 공급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관수지별 관수 공급 시간을 분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관수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입력받은 관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관수지로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 공급시간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S501). 자세하게는 관수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관수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관수 제어 신호는 각 관수지 별 관수 공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관수 제어부(310)는 관수 제어 신호에 포함된 관수 공급시간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관수 제어부(310)는 정렬한 관수 공급시간 중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2). 관수 공급시간은 관수 제어부(310)에 의해 관수 펌프(100)가 동작하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수 제어부(310)는 관수가 관수 탱크로부터 제 1 관수지로 공급되도록 관수 펌프(100)가 동작하는 시간(이하, "제 1 관수 공급시간"이라 칭함)이 가장 먼저 도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관수가 관수 탱크로부터 제 2 관수지로 공급되도록 관수 펌프(100)가 동작하는 시간(이하, "제 2 관수 공급시간"이라 칭함)이 사용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경우, 관수 제어부(310)는 제 1 관수 공급시간이 제 2 관수 공급시간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관수 제어부(310)는 제 1 관수 공급시간이 제 2 관수 공급시간과 중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관수 제어부(310)는 S502에서 정렬한 관수 공급시간 중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에 대응하는 관수지 별로 우선순위를 배정할 수 있다(S503).
이때, 관수지 별로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먼저, 관수지 각각에는 토양 수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관수 제어부(310)는 관수지 각각에 설치된 센서에서 토양 수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관수 제어부(310)는 수집한 토양 수분 정보를 기반으로 토양 수분량이 가장 적은 관수지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인 제 1 우선순위를 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수 제어부(310)는 토양 수분량이 가장 적은 관수지 다음으로 토양 수분량이 적은 관수지에 제 2 우선순위를 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양 수분량이 가장 많은 관수지에 가장 낮은 우선순위가 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수 제어부(310)는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에 대응하는 관수지 에 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관수지 별 관수 공급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S504). 자세하게는, 관수 제어부(310)는 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 제 1 우선순위부터 제 n 우선순위까지의 순서로 관수 공급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우선순위가 배정된 관수지에 대응하는 관수 공급시간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한 관수 제어 신호에 포함된 관수 공급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우선순위가 배정된 관수지에 대응하는 관수 공급시간은 제 1 우선순위가 배정된 관수지에 대응하는 관수 공급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의 시간일 수 있다. 이 때,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써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수지가 필요로 하는 관수가 공급된 직후, 관수 펌프(100)의 동작이 중지되지 않고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수지가 필요로 하는 관수가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관수 제어부(310)는 S502에서 정렬한 관수 공급시간 중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S501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관수 제어부(310)에서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관수 공급시간을 사용자 단말(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에 표시되는 관수 공급시간 중 중복되는 관수 공급시간은 우선순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관수지 전체에 대하여 관수 공급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100 : 관수 펌프
200 : 액비 펌프
300 : 제어부
310 : 관수 제어부 320 : 액비 제어부
330 : 밸브 제어부 340 : 통신부
400 : 밸브
410 : 개폐부 420 : 발전부
430 : 측정부
1 : 사용자 단말

Claims (5)

  1. 관수 탱크 내의 관수를 배관을 통하여 복수의 관수지로 공급하는 관수 펌프;
    액비 탱크 내의 액비를 상기 배관으로 공급하는 액비 펌프; 및
    상기 관수 펌프 및 상기 액비 펌프에 의하여 상기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관수 공급량 및 액비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상기 관수 공급량 및 상기 액비 공급량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생성된 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관수지로 공급되는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관수 및 상기 액비의 실시간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KR1020210190478A 2021-12-29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KR10267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8A KR102677411B1 (ko) 2021-12-29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8A KR102677411B1 (ko) 2021-12-29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49A true KR20230100849A (ko) 2023-07-06
KR102677411B1 KR102677411B1 (ko) 2024-06-2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06A (ko) 2012-09-12 2014-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06A (ko) 2012-09-12 2014-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1923B2 (en) Irrigation systems and methods
US7711454B2 (en) Water savings system
US8457799B2 (en) Automatic gated pipe actuator
CN205865419U (zh) 一种农业物联网自动灌溉系统
US20110191504A1 (en) Satellite Irrigation Controller
CN108029515A (zh) 一种现代农业智能节水灌溉系统
US20100324744A1 (en) Automatic gated pipe actuator
JP2021185896A (ja) 給配水管理システム、圃場水管理装置及び灌漑用水管理装置
EP3354128A1 (en) Irrigation system
CN103004560A (zh) 一种灌溉控制系统
CN102662423A (zh) 植物墙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6804384A (zh) 一种农业田间智能感应灌溉系统
CN102662379B (zh) 植物墙智能控制系统
KR102677411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KR20230100849A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관수 제어 시스템
KR102003507B1 (ko) 스마트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42775B2 (en) Groundwater control system with purity sensor and method
CN205667114U (zh) 一种日光温室精准灌溉施肥系统
JP7018093B2 (ja) 圃場水管理装置
CN205427509U (zh) 一种液体施肥的可控定位定量装置
GB2193623A (en) Automatic watering system
KR102572765B1 (ko) 데이터 기반 스마트 관수제어 시스템 및 관수제어 방법
JP7288722B1 (ja) 圃場群へ供給される水の圧力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580924A (zh) 一种一体化水肥箱及使用方法
CN220000030U (zh) 一种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