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770A -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770A
KR20230100770A KR1020210189268A KR20210189268A KR20230100770A KR 20230100770 A KR20230100770 A KR 20230100770A KR 1020210189268 A KR1020210189268 A KR 1020210189268A KR 20210189268 A KR20210189268 A KR 20210189268A KR 20230100770 A KR20230100770 A KR 2023010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olution
health management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다윈그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윈그룹(주) filed Critical 다윈그룹(주)
Priority to KR102021018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770A/ko
Publication of KR2023010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biostatistics; ICT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related machine learning or data mining, e.g. knowledge discovery or pattern fin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50/00ICT programming tools or databas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eth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생활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에 발생 가능한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 및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보처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olutions based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건강 관리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식단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잘못된 식생활 관리는 영양성분의 과잉 섭취 혹은 영양성분의 결핍으로 인한 각종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과식과 운동부족에 의한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등의 각종 성인병을 초래하고, 임부에게 있어서는 특정 영양성분의 결핍은 임부 자신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생활에 의한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식생활에 의한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식단 추천 방법 내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식단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섭취 음식에 대한 단순 적합도를 산정하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서 단순한 추천 기능이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체중 감량 식단의 경우, 몇 Kcal를 섭취하였는지와 영양소가 골고루 배분되었는지, 단백질 위주의 구성인지 등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편적인 매칭으로 식단을 구성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여러 가지 건강을 위한 식품 또는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러한 정보들은 일반적인 정보에 불과할 뿐, 사용자 개개인에 맞추어진 정보에 해당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자별 음식 추천 및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사용자마다 식단에 대한 목적이 다르고, 질병 이력에 대한 반영의 필요성과 특히 유전적인 배경을 반영한 식단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면서 식단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으나, 전문가라는 고비용과 시간적 부담으로 소수의 사용자들에게만 그 혜택이 부여되고 있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보급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020-0128986호. 2020.11.1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생활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에 발생 가능한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 및 상기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보처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스마트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 서버는, 의료 기관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 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의료 빅데이터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획득부, 의료 빅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 및 판단된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유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환을 예측하는 질환발생 예측부 및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하고, 예측된 질환정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식습관,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약 복용 알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질환발생 예측부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섭취한 음식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유의 식습관 및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 계산 또는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여 일일 운동량을 계산하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집단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하는 건강상태 설정부, 설정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권장되는 음식, 사용자에 권장되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에 권장되는 약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솔루션을 생성하는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 및 생성한 건강관리 솔루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솔루션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 필요 섭취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식을 추천하는 식습관 관리부 및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운동을 추천하는 신체활동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습관 관리부는, 추천한 음식은 미리 수신한 사용자의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한 음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 서버는, 전송한 건강관리 솔루션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전송받은 피드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식습관 및 신체활동량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 서버는,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와 개인 의료정보가 유사한 사용자 또는 유사한 질환을 가지는 사용자간에 정보를 공유 시키는 온라인 공유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예측되는 질환을 바탕으로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의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의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건강정보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밴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 및 정보처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밴드, 사용자 단말(100), 의료기관 서버 및 정보처리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방식의 무선통신 즉,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RFID, WiFi,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상기 복수개의 의료기관 서버들은 사용자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요청을 받아, 정보처리 서버로 의료 빅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의료기관은 국민건강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청, 국립암센터 및 족보편찬위원회 등 개인의 질병을 파악할 수 있는 의료정보가 포함된 모든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생활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을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식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처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유전정보 및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예측된 질환에 대한 정보 및 예측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밴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처리 서버(300)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에 발생 가능한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 및 상기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처리 서버(2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의 블록도(Block diagram)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의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보처리 서버(300)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에 발생 가능한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 서버(300)는 정보 획득부(310), 질환발생 예측부(330),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350), 데이터베이스(370) 및 온라인 공유 서비스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획득부(310)는 의료 기관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의료 빅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는 체질량 지수,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흡연, 염증, 키, 체중, 음주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관된 유전자 정보와 의료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질환발생 예측부(330)는 수신받은 의료 빅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유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환발생 예측부(330)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예측의료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은 예컨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제한 볼츠만 머신(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 DBN) 및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와 같은 알고리즘을 지칭하거나, 예시되지 않은 다른 딥러닝 알고리즘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350)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는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하고, 예측된 질환정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식습관,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약 복용 알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350)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351), 건강상태 설정부(353),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355) 및 솔루션 전송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35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섭취한 음식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유의 식습관 및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 계산할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여 일일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상태 설정부(353)는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집단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355)는 건강상태 설정부(353)를 통해 설정한 사용자에 맞는 사용자가 목표하는 적정한 건강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권장되는 음식, 사용자에 권장되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에 권장되는 약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355)는 사용자 건강상태에 맞는 음식을 추천하는 식습관 관리부 및 사용자 건강상태에 맞는 신체활동을 추천하는 신체활동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습관 관리부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351)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평소 식습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 필요 섭취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식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식습관 관리부는 추천한 음식은 미리 수신한 사용자의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 관리부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351)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평소 신체활동량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운동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 관리부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 방식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운동 방법 및 운동량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솔루션 전송부(357)는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355)를 통해 생성한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370)는 정보처리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건강관리 솔루션에 대한 대응한 사용자의 음식 섭취, 사용자의 신체활동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피드백을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식습관 및 신체활동량의 이력을 누적적으로 추적하면서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의료 빅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 정보 및 판단된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유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환을 예측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섭취한 음식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유의 식습관을 파악 및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 계산한 정보 및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여 일일 운동량을 계산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집단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설정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권장되는 음식, 사용자에 권장되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에 권장되는 약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솔루션을 생성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레이어들, 레이어들에 포함된 노드들 및 레이어들의 연결 강도에 관한 가중치들에 대한 정보와 가중치 정규화 함수, 양자화 함수, 식별된 가중치의 타입 및 식별된 가중치의 타입에 따라 부호화된 가중치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370)는 인공 신경망 내 가중치들이 수정 및 갱신될 경우, 수정 및 갱신된 가중치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공유 서비스부(390)는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와 개인 의료정보가 유사한 사용자 또는 유사한 질환을 가지는 사용자간에 정보를 공유 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네트워크
300: 정보처리 서버
310: 정보 획득부
330: 질환발생 예측부
350: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
351: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
353: 건강상태 설정부
355: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
357: 솔루션 전송부
370: 데이터베이스
390: 온라인 공유 서비스부

Claims (9)

  1.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생활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장래에 발생 가능한 질환을 예측하고, 예측된 질환 및 상기 수신한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보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스마트밴드를 더 포함하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의료 기관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 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가 포함된 의료 빅데이터 정보를 전송받는 정보 획득부;
    상기 의료 빅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 및 판단된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유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환을 예측하는 질환발생 예측부; 및
    상기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예측된 질환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생활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식습관,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약 복용 알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발생 예측부는,
    상기 사용자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판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섭취한 음식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유의 식습관 및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 계산 또는 스마트 밴드로부터 수신한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여 일일 운동량을 계산하는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및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집단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를 설정하는 건강상태 설정부;
    상기 설정한 사용자의 적정 건강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권장되는 음식, 사용자에 권장되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에 권장되는 약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솔루션을 생성하는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 및
    상기 생성한 건강관리 솔루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솔루션 전송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솔루션 생성부는,
    상기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 필요 섭취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식을 추천하는 식습관 관리부; 및
    상기 생활정보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량을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운동을 추천하는 신체활동 관리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습관 관리부는,
    상기 추천한 음식은 미리 수신한 사용자의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한 음식인,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전송한 건강관리 솔루션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받은 피드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식습관 및 신체활동량의 이력을 추적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와 개인 의료정보가 유사한 사용자 또는 유사한 질환을 가지는 사용자간에 정보를 공유 시키는 온라인 공유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0210189268A 2021-12-28 2021-12-28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230100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68A KR20230100770A (ko) 2021-12-28 2021-12-28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68A KR20230100770A (ko) 2021-12-28 2021-12-28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770A true KR20230100770A (ko) 2023-07-06

Family

ID=8718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268A KR20230100770A (ko) 2021-12-28 2021-12-28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56B1 (ko) * 2023-07-31 2024-02-16 주식회사 장호 인공지능에 기반한 닭갈비 메뉴 추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86A (ko)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개인 건강정보(phr) 수집 및 정보의 선별적 제공을 통한 업무 환경 개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86A (ko)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개인 건강정보(phr) 수집 및 정보의 선별적 제공을 통한 업무 환경 개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56B1 (ko) * 2023-07-31 2024-02-16 주식회사 장호 인공지능에 기반한 닭갈비 메뉴 추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423B2 (en) Adapted digital therapeutic plans based on biomarkers
KR102321737B1 (ko)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10391081A1 (en) Predictive guidance systems for personalized health and self-care, and associated methods
US96724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ehavior change applications for mobile users
KR20190008770A (ko) 건강 컨설팅의 성공 예측 방법
US20160034663A1 (en)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coverage, and quality of direct primary care
CN108141714B (zh) 移动健康应用的个性化、同伴衍生消息的自动构建的装置和方法
CN109416820A (zh) 对用户满意度进行自动确定和响应
RU2712395C1 (ru) Способ выдачи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поддержанию здорового образа жизни на основе параметров ежеднев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отслеживаемых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KR102321577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279362A (zh) 个人健康监视系统
KR102338964B1 (ko) 학습 기반의 증상 및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63954A (ko) 인공지능 클라우드 영양소 변화 예측 방법과 인공지능 클라우드 영양소 대사량 측정 방법 및 그를 사용하는 질병관리 방법
KR20210052122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74577A1 (en) Digital companion for healthcare
WO20121494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event correlated message delivery
KR102657384B1 (ko) 개인 선호 기반의 식이 구성 및 추천 방법
US20220005580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basing on daily activity parameters of user, automatically tracked in real time, and corresponding system
KR20230100770A (ko) 개인건강정보(phr)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564996B1 (ko)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8676B1 (ko) 병원 진료 애프터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WO2016171542A1 (en) Lifestyle tracking system
EP4113535A1 (en) Remote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al inflammatory diseases
CN114388089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个人健康管理方法及系统
Zavyalova et al. Designing a mobile recommender system for treatment adherence improvement among hypertens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