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001A -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 Google Patents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001A
KR20230100001A KR1020210189504A KR20210189504A KR20230100001A KR 20230100001 A KR20230100001 A KR 20230100001A KR 1020210189504 A KR1020210189504 A KR 1020210189504A KR 20210189504 A KR20210189504 A KR 20210189504A KR 20230100001 A KR20230100001 A KR 20230100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maintenance
information
location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성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18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001A/en
Publication of KR2023010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0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xic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촬영한 도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및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정비 및 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파손 정보에 대한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의 정비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도로의 파손 유형과 파손 상태에 따른 도로의 파손 위험도를 분석하여 우선적으로 도로를 보수할 지역을 추천함으로서 파손된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신속한 현장 파견을 지원하며, 도로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 관리, 도로 보수 진행 관리, 도로 보수 완료 관리, 민원 접수 대응 관리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 및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를 포함하고, 카메라에서 촬영하여 전송한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와 위치정보센서를 통해 획득된 도로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도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앱프로그램이며,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에 대해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한 도로의 영상과 위치를 외부로 전송하여 신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민원인신고용앱(200); 및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로의 정비보수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도로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road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photographed road, and through IoT-based devices mounted in vehicles and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possessed by civil petitioners. By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roads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 a systematic database for road damage information is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established information, the ne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is determined, and damage to roads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isk of road damage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te of damage and recommending areas to repair the road first, we support prompt dispatch to the sit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damaged road, manage the history of road conditions, manage the progress of road repair, It relates to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by computerizing road repair completion management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manageme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ate of the road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provid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requiring maintenance, and related to the state of the road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An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that collects and stores image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d acquired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road condition information; It i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 civil petitione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porting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road taken by the camera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for the road requiring maintenance. App for civil complaint reporting (200); And a road management server 300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petitioner application 200 and provides integrated information for road maintenance management to the outside. Provides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Description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본 발명은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촬영한 도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및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정비 및 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파손 정보에 대한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의 정비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도로의 파손 유형과 파손 상태에 따른 도로의 파손 위험도를 분석하여 우선적으로 도로를 보수할 지역을 추천함으로서 파손된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신속한 현장 파견을 지원하며, 도로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 관리, 도로 보수 진행 관리, 도로 보수 완료 관리, 민원 접수 대응 관리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road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photographed road, and through IoT-based devices mounted in vehicles and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possessed by civil petitioners. By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roads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 a systematic database for road damage information is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established information, the ne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is determined, and damage to roads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isk of road damage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te of damage and recommending areas to repair the road first, we support prompt dispatch to the sit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damaged road, manage the history of road conditions, manage the progress of road repair, It relates to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by computerizing road repair completion management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management.

우리나라 도로는 1970년대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이후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도로의 노후화는 부식이나 피로 누적에 따른 균열 등의 물리적 변형을 초래한다.Roads in Korea have been rapidly deteriorating since they began to be built in earnest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the 1970s.

도로의 물리적 변형은 포장 면의 요철이나 미끄러움에 의한 주행 여건 악화, 도로 시설물의 낙하, 지반 침하에 따른 싱크홀 발생, 교량 붕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Physical deformation of roads can lead to deterioration of driving conditions due to irregularities or slipperiness of pavement surfaces, falling of road facilities, occurrence of sinkholes due to ground subsidence, and collapse of bridges.

또한, 도로의 노후화는 유지 및 보수 비용과 차량 운행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노후화된 도로가 적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of roads can increas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and vehicle operating cos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oad safety accidents may occur if maintenance of aged roads is not performed in a timely and appropriate manner.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 상태를 조사할 때, 특수 차량을 운행하여 조사하거나, 지자체 도로관리 인력들이 주기적 현장을 방문하여 파악하거나, 시민들이 도로 파손, 위험 사항 등을 전화 또는 방문 민원 접수를 하여 도로의 파손 정도를 파악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도로의 정비보수 대응에 한계가 있고, 도로 민원 접수 시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에 대한 정확한 위치 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in Korea, when investigating road conditions, special vehicles are operated to investigate, local government road management personnel periodically visit the site to find out, or citizens file civil complaints on road damage and hazards by phone or visit to determine damage to the road. This method ha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out the exact location of roads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s when receiving civil complaints on roads.

특히, 도로보수에 대한 민원자료를 문서로 수기 관리함에 따라 업무의 효율성 저하, 담당 실무자의 보직 변경시 기존 담당자의 보수공사가 발생하는 지역의 도로보수 관리에 대한 노하우 단절, 관내 도로 결빙, 하수도 막힘 등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세부 지역별 도로보수 이력 관리가 되지 않는점, 도로 보수공사 관리를 담당 부서에서 별도의 관리시스템 없이 문서로 수기관리 함에 따라 타 부서 간 자료 공유, 열람 및 자료 활용에 대한 한계, 수동적 관리로 보수공사 대상선정, 진행, 완료 과정의 실시간 대응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In particular, due to the manual management of civil complaints for road maintenance, work efficiency is reduce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is changed, the existing person in charge's know-how on road maintenance management in the area where the repair work occurs is cut off, the roads in the jurisdiction are frozen, and the sewer is clogged. The fact that road repair history management by detailed region occurs repeatedly is not possible, and road repair work management is manually managed as a document without a separate management system. Due to passive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real-time response of the repair work target selection, progress, and completion process.

따라서, 차도와 인도 및 도로시설물을 포함한 도로의 파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고, 도로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 관리, 도로 보수 진행 관리, 도로 보수 완료 관리, 민원 접수 대응 관리를 포함하여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road damage, including driveways, sidewalks and road facilities, in real time, and road maintenance and repair including road condition history management, road repair progress management, road repair completion management,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managemen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manage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244629호(2021년04월26일 공개)Prior art literature: KR Patent Publication No. 10-2244629 (published on April 26, 20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촬영한 도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 및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정비 및 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파손 정보에 대한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의 정비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도로의 파손 유형과 파손 상태에 따른 도로의 파손 위험도를 분석하여 우선적으로 도로를 보수할 지역을 추천함으로서 파손된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신속한 현장 파견을 지원하며, 도로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 관리, 도로 보수 진행 관리, 도로 보수 완료 관리, 민원 접수 대응 관리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road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photographed road, and a devic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mounted in a vehicle and a civil petitioner By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f roads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 through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build a systematic database of road damage information, and repair roads based on the established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repair is necessary, analyzing the risk of road damage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dition of road damage, recommending areas to repair the road first, and supporting prompt dispatch to the sit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damaged roads, and providing road conditio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tha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by computerizing history management, road maintenance progress management, road repair completion management,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manag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은 도로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 및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를 포함하고, 카메라에서 촬영하여 전송한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와 위치정보센서를 통해 획득된 도로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도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앱프로그램이며,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에 대해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한 도로의 영상과 위치를 외부로 전송하여 신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민원인신고용앱(200); 및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로의 정비보수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도로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obtain a camera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ate of the roa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requiring maintenance I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ollects and stores image data about the state of the road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that transmits state information; It i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 civil petitione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porting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road taken by the camera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for the road requiring maintenance. App for civil complaint reporting (200); And a road management server 300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petitioner application 200 and provides integrated information for road maintenance management to the outside. do.

또한,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며, 기초지자체 내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위치정보 시각화를 통해 GIS 형태로 출력하는 위치정보시각화GIS제공기능, 시각화된 각 위치정보가 가지고 있는 위치별/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유형별데이터통계처리기능, 시각화된 각 위치정보가 가지고 있는 위치별/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유형별데이터예측분석기능을 포함하고, 기초지자체 관청에 구비되는 도시관리용웹(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linked with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GIS providing function that outputs in GIS form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reas related to road maintenance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each location / season / location that each visualized location information has Includes data statistical processing function by type that calculates statistical information on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by dong, and data prediction analysis function by type that calculates predictive information on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by location/season/dong that each visualized location information has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web 500 for city management provided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또한,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며, 기초지자체 내 도로관리원의 공사 필요 지역에 대한 정보 수신을 위해 도로 정비 필요 지역 정보를 표기하는 공사필요지역정보조회기능, 위치별 도로 정비 업무 완료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공사완료여부체크기능, 위치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및 정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비일지를 자동생성하고 조회할 수 있는 정비일지자동화기능을 포함하고, 도로관리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도로관리원용앱(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nd to receive information on areas requiring construction by road managers within the local government, a function to search for area information requiring construction to mark information on areas requiring road maintenance, and to check whether or not road maintenance tasks have been completed by location. It includes a construction completion check function that can be managed, a maintenance log automation function that can automatically create and query a maintenance log for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and maintenance completion by location, and road management installed on smart devices of road managers. The remote app 400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파손 위험도를 분석하여 우선적으로 보수를 진행해야 하는 지역의 기술적 판단을 제공하여 차도와 인도를 포함한 도로 파손 시 신속한 현장 파견 및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road and providing technical judgment of the area that needs to be repaired first,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rapid on-site dispatch and response in case of damage to roads including roads and sidewalks.

또한, 구축된 도로 정보에 관한 데이터셋은 도로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ataset on the constructed road information has the effect of being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road environment.

또한, 도로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 관리, 도로 보수 진행 관리, 도로 보수 완료 관리, 민원 접수 대응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history management on road conditions, road maintenance progress management, road repair completion management, and civil complaint respons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공지능모델이 포함된 도로관서버가 포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민원인신고용앱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민원인신고용앱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공지능학습모델의 학습에 사용되는 라벨링된 도로 객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공지능학습모델의 학습에 사용되는 라벨링된 도로 객체 이미지의 코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민원관리용웹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시관리용웹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시관리용웹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로관리원용앱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로권리원용앱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oad pipe server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application for reporting civil complaints;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for reporting civil complaints;
5 is a diagram showing labeled road object images used for learning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6 is a diagram showing a collapsed state of a labeled road object image used for lear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7 is a view showing a function screen of the civil affairs management web;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city management web;
9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 screen of the city management web;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road manager app;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screen of the road rights source ap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전자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공지능모델이 포함된 도로관서버가 포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민원인신고용앱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민원인신고용앱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공지능학습모델의 학습에 사용되는 라벨링된 도로 객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인공지능학습모델의 학습에 사용되는 라벨링된 도로 객체 이미지의 코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민원관리용웹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시관리용웹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시관리용웹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로관리원용앱의 구성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로권리원용앱의 기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nd rep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oad pipe server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for reporting civil complaints,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for reporting civil complaints,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labeled road object image used for learning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collapsing state of labeled road object images used for learning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 screen of the civil complaint management web,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city management web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screen of the city management web,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road manager app,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screen of the road rights manager app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10), 위치정보센서(20) 및 진동감지센서(30)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민원인신고용앱(200), 도로관리서버(300), 도로관리원용앱(400), 도시관리용웹(500) 및 민원관리용웹(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1 to 11, the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20 and a vibration sensor 30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complaint reporting application (200), road management server (300), road management application (400), city management web (500) and civil complaint management web (600) .

먼저, 본원발명에서 도로 또는 도로 객체라 함은 차도, 인도, 맨홀, 측구, 중앙분리대, 과속방지턱, 도로에 설치된 안전조치구조물, 적사함, 록하드를 포함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도로의 파손유형으로는 차도파임, 차도침하, 차도균열을 포함한 차도파손, 맨홀파손, 측구파손, 중앙분리대파손, 과속방지턱파손, 안전조치구조물파손, 적사함파손, 록하드, 보도블록을 포함한 인도의 파손이 포함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ad or road object is a concept including structures installed on roads, including roads, sidewalks, manholes, gutters, median strips, speed bumps, safety measures structures installed on roads, stacking boxes, and lockhards The types of road damage include roadway damage including driveway pitting, roadway subsidence, roadway cracking, manhole damage, side gutter damage, median strip damage, speed bump damage, safety measures structure damage, red box damage, lockhard, and sidewalk block. including damage to Indi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그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mponents constituting an integrated roa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nd rep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는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수집부에 해당하며, 도로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10)와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되는 GPS를 포함한 위치정보센서(2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corresponds to a data collection unit, and acquires a camera 10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ate of the roa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d requiring maintenance.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20 including a GPS provided for the purpose is included.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는 카메라(10)에서 촬영하여 전송한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와 위치정보센서(20)를 통해 획득한 카메라(10)에서 촬영한 도로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 통해 도로관리서버(300)를 포함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저장된 도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transmits image data about the state of the road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1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20. It collects and stores,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including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of the road.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운행을 할 때 도로 상태에 관한 영상을 상시 촬영하고, 도로의 정비보수가 필요한 지역을 운행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아래에 서술된 도로관리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카드를 통해 수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constantly captures images of road conditions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nd collects image data of the area when driving in an area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road. It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transmits the stored data in real time to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described below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transmits the stored data manually through a memory card.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 진동감지센서(30)가 구비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데이터를 수집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sensor 30 including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so that a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Collect vibration data that occurs.

진동감지센서(30)는 시계열 형태의 진동데이터에 대해 일시적인 데이터의 패턴 변경 감지, 데이터의 크기 변경 감지를 포함한 이상 진동 탐지 기능을 수행한다.The vibration sensor 30 performs an abnormal vibration detection function including detecting a pattern change of temporary data and a size change of data with respect to vibration data in the form of time series.

차량이 도로의 정비보수가 필요한 지역을 지나갈 경우, 정상적인 도로 상태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에 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에서 진동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도로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a vehicle passes through an area that requires road maintenance and repair, when vibration of a certain size or higher occurs compared to the size of vibration occurring in normal road conditions,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provides data on the vibration stat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stored, and the sto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민원인신고용앱(200)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테블릿PC를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앱프로그램으로서 기초지자체 내 존재하는 도로의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지역에 대해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한 도로의 영상과 위치를 외부에 위치한 도로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is an app program installed on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tablet PCs possessed by civil petitioners, in areas where maintenance of roads existing with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road taken by the camera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to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located outside so that it can be reported.

민원인신고용앱(200)에는 도 3을 참조하면, 도로정비요청사진정보수집전송기능, 도로정비요청위치정보수집기능, 도로정비요청내용정보수집기능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includes a road maintenance request photo information collection transmission function, a road maintenanc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and a road maintenance request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민원인신고용앱(200)의 도로정비요청사진정보수집전송기능은 민원인이 보수와 정비가 요구되는 도로를 발견한 경우,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수 및 정비가 필요한 도로를 촬영하여 도로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The road maintenance request photo information collection and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uses the camera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to photograph the road requiring repair and maintenance when the civil petitioner finds a road requiring repair and maintenance. It is transmitted to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민원인신고용앱(200)의 도로정비요청사진정보수집전송기능은 민원인이 발견한 도로 정비 필요 위치를 촬영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기초지자체 관내 관련 부서의 도로 정비 업무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oad maintenance request photo information collection and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enables the civil petitioner to photograph and transmit the location requiring road maintenance found by the civil petitioner,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road maintenance work of the relevant department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

민원인신고용앱(200)의 도로정비요청위치정보수집기능은 민원인이 촬영하여 전송한 도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민원인이 발견한 도로 정비가 필요한 위치를 해당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GPS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인식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The road maintenanc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of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us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oad tha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by the civil petitioner. based on which it can be recognized and transmitted.

민원인신고용앱(200)의 도로정비요청내용정보수집기능은 민원인이 도로보수를 위한 요청 내용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며, 민원인이 발견한 도로 정비 필요 위치에 대한 보수 요청내용을 민원신고 내용 입력창에서 직접 입력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oad maintenance request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of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is a function that allows the civil petitioner to directly input the request for road repair, and the repair request for the location requiring road maintenance found by the civil petitioner. Performs the function of directly inputting and transmitting in the input window.

도로관리서버(300)는 도 1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로의 객체별 파손유형에 따른 도로의 파손 여부 판단, 도로의 정비보수 필요 여부 판단, 도로의 파손 위험도 판단, 우선보수지역 추천을 포함하여 도로의 정비보수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정보를 아래에 서술된 도로관리원용앱(400), 도시관리용웹(500)을 포함한 외부로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 200, and determines the type of road damage for each object of the road.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maintenance and repair management of roads, including determining damage, determining whether road maintenance is needed, determining the risk of road damage, and recommending priority repair areas, is provided by the road manager app (400) and city management web Provided externally, including 500.

도로관리서버(30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기반의 도로상태정보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며, 도로상태정보데이터베이스는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테이블별로 적재해두고, 적재해둔 정보를 기반으로 아래에 서술된 도로관리원용앱(400), 도시관리용웹(500)과 연동되는 도로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As shown in FIG. 2,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cloud-based road condition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database is collected through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complaint application 200. The data is loaded by table according to the type, and based on the loaded information, a road condition information database that is linked with the road manager app 400 and the city management web 500 described below is built.

도로상태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 상태 이력 정보, 공사 완료 정보, 차량 촬영 정보, 민원관리용웹(600)을 통한 전화 민원신고 정보, 민원인신고용앱(200)을 통한 앱 민원신고 정보, 관리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도로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테이블로 구성된다.In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database, you can manage road condition history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letion information, vehicle photographing information, phone complaint report information through the civil petition management web (600), app complaint report information through the civil petitioner employment app (200), and manager information. It is composed of tables related to road condition information database.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관리서버(300)는 파손된 도로에 대한 객체 이미지를 학습자료로 하여 딥러닝 방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또는 머신러닝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이 포함되어 도로 파손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한 도로의 파손 상태를 기반으로도로의 파손 여부 판단, 도로의 정비보수 필요 여부 판단, 도로의 파손 위험도 판단, 파손 위험도 예측, 우선보수지역 추천천을 포함하여 도로의 정비보수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uses an object image for a damaged road as a learning material, and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by a deep learning metho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machin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damage condition of the road,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road damage, whether the road is damaged, whether the road needs maintenance or not, the risk of road damage, the risk of damage predicted, and the maintenance of the road including priority repair area recommendations It includes a function to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for maintenance management from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도로관리서버(300)에 포함된 인공지능모델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파손 유형에 따른 다수의 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이미지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을 진행한다.As shown in FIG. 5,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d in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proceeds with imag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sing a plurality of images according to road damage types as learning data.

여기서,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 및 민원관리용웹(600)을 통해 수집된 도로 상태 정보 또한 학습용 데이터로 사용되어 도로 정비 및 보수지역 판단을 위한 인공지능모델 구축에 활용된다.Here,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civil petitioner reporting application (200), and civil petition management web (600) is also used as learning data,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determining road maintenance and maintenance areas. used for building

도로관리서버(300)에 포함된 인공지능모델에 사용될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배경과 파손된 도로 객체가 포함된 다수의 이미지에서 파손된 도로 객체에 대해 경계박스를 설정하는 라벨링(labeling) 과정을 통해 배경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파손된 도로 객체만을 식별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한다.In the process of generating learning data to be us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cluded in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s shown in FIG. 5, setting a bounding box for a damaged road object in a plurality of images including a background and a damaged road object Through a labeling process, learning data capable of identifying only damaged road objects in an image containing a background is generated.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라벨링된 이미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는 크롭(Crop)과정을 수행하고, 크롭된 이미지에서 파손을 의미하는 네가티브(Negative)와 정상을 의미하는 포지티브(Positive)로 분류하여 학습을 진행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learning effect, a cropping process of cutting out the labeled image to a certain size is performed, and negative meaning damage in the cropped image and normal meaning It is classified as positive and proceeds with learning.

한편, 도로관리서버(30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유형별 파손 위험도를 산출하는 도로파손위험도분석기능과 도로 정비보수가 필요한 지역 중 파손 위험도가 높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추천우선보수지역추천기능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has a road damage risk analysis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risk of damage by road type as shown in FIG. This is included.

도로관리서버(300)의 도로파손위험도분석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으로부터 수집한 도로 파손 이미지와 시계열 형태 진동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 유형별 파손 위험도를 산출한다.The road damage risk analysis function of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nalyzes the road damage image and time-series type vibr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complaint reporting app 200 to calculate the damage risk by road type. do.

도로파손위험도분석기능은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및 민원인신고용앱(200)으로부터 수집된 도로 파손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도로 파손 객체 이미지에 대해 정상/파손 영역에 대한 포지티브/네거티브(Positive/Negative)영역 비율을 도출해 객체별 파손 위험도를 계산한다.The road damage risk analysis function is a positive/negative (Positive/ Calculate the risk of damage for each object by deriving the negative) area ratio.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및 민원인신고용앱(200)으로부터 수집된 도로 파손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도로균열, 침하를 비롯한 깊이 관련 도로 파손 객체 이미지에 대해 가우시안 필터를 통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깊이 맵 생성 작업을 진행하며, 이때 이미지의 중앙부에 가중치 부여를 통해 깊이 맵을 생성하여 도로 객체별 파손 위험도를 도출한다.Specifically, noise is removed through a Gaussian filter for depth-related road damage object images including road cracks and subsidences extracted from the road damage image data collected from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complaint reporting app 200 Then, a depth map gene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a depth map is created by weighting the central part of the image to derive the damage risk for each road object.

또한,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의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형태의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크기별 파손 위험도에 대해 단계를 나누고, 그에 따른 도로의 상태를 판단하여 도로객체 유형별 파손 위험도를 도출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vibr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time series collec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of the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the risk of damage by vibration magnitude is divided into stages, and the road condition is determined accordingly to determine the risk of damage by road object type. derive

이때, 아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객체 유형별 파손 위험도를 하(1), 중(2), 상(3) 3단계로 이루어진 파손위험 단계(점수)로 치환한 후 평균 위험도를 계산해 최종적인 도로 객체 파손 위험도를 도출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able 1 below, after substituting the damage risk by road object type into a damage risk level (score) consisting of three levels of low (1), medium (2), and high (3), the average risk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final Derive the road object damage risk.

도로 파손 위치location of road damage 수집 매체collection medium 파손
객체
break
object
파손 위험도
(진동 크기)
risk of breakage
(vibration size)
파손 위험도
(깊이)
risk of breakage
(depth)
파손 위험도
(파손 비율)
risk of breakage
(breakage rate)
최종 파손
위험도
final breakage
risk
SK 건영 주유소
앞 인도 (감전동)
SK Gunyoung Gas Station
Front sidewalk (electric shock)
앱 신고
(인도)
Report app
(India)
맨홀
파손
manhole
break
-- -- 중(2)Medium (2) 22
금호타이어
앞 차도 (감전동)
Kumho Tire
Front driveway (electromotive)
디바이스
(차도)
device
(driveway)
화살표 파손broken arrow 측정하지 못함not able to measure 하(1)lower (1) 중(2)Medium (2) 1.51.5
DGB대구은행
앞 차도 (감전동)
DGB Daegu Bank
Front driveway (electromotive)
디바이스
(차도)
device
(driveway)
도로
침하
road name
subsidence
중(2)Medium (2) 측정하지 못함not able to measure 측정하지 못함not able to measure 22
학장중학교 정문 앞 차도 (학장동)The road in front of the main gate of Hakjang Middle School (Hakjang-dong) 디바이스
(차도)
device
(driveway)
도로
균열
road name
crack
측정하지 못함not able to measure 중(2)Medium (2) 상(3)Awards (3) 2.52.5

또한, 누적된 위치별 도로 파손 위험도 정보를 바탕으로 계절별/동별 도로 파손 위험도를 산출한 뒤 위험도 예측/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road damage risk information by location, the risk of road damage by season/dong is calculated, and then risk prediction/analysis is performed.

해당 예측/분석 작업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는 해당관청의 도로보수 관련 업무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The data derived through the prediction/analysis work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ssist the relevant authorities in making road maintenance-related business decisions.

도로관리서버(300)의 우선보수지역추천기능은 도로 정비보수가 필요한 지역 중 파손 위험도가 높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추천하여 도로관리원의 도로 정비 업무 시 정비보수지역 선택에 따른 경로 계획 시간 소요를 최소화하고, 시급히 정비가 필요한 도로부터 보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보수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priority repair area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preferentially recommends areas with a high risk of damage among areas requiring road maintenance and repair,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route planning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maintenance and repair areas during road maintenance work by road managers In addi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oad maintenance work by allowing repairs to be carried out on roads that urgently require maintenance.

도로관리서버(300)의 우선보수지역추천기능은 도로파손위험도분석기능을 적용하여 각 위치별 도로 파손 위험도 측정 수행하고, 측정된 지역의 위치별 도로 파손 위험도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 보수지역을 추천하는 기능이다.The priority repair area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pplies the road damage risk analysis function to measure the road damage risk for each location, and recommends a priority repair area based on the road damage risk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of the measured area. It is a function.

구체적으로, 아래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파손 위치별 파손 위험도와 해당 도로 파손 위치 인근에 존재하는 도로 파손 밀집도를 포인트로 환산하여 파손 위험도에 따라 먼저 추천 순위를 매기고, 동 순위 위치에 대해서 도로 파손 밀집도에 따른 순위를 매긴 뒤 목록화하여 가장 높은 순위의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추천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able 2 below, the risk of damage by location of road damage and the density of road damage existing near the location of the road damage are converted into points, and the recommendation is first ranked according to the risk of damage. After ranking according to damage density, it is listed and recommended sequentially from the highest ranking position.

도로 파손 위치location of road damage 파손 객체broken object 파손 위험도risk of breakage 도로 파손 밀집도road damage density 추천 순위Recommended ranking 모라역 2번 출구 앞 인도Sidewalk in front of Exit 2 of Mora Station 보도블록 파손sidewalk block damage 중(2 point)Medium (2 points) 4곳(4 point)4 points 33 학장동 우체국 입구 앞 차도The road in front of the Hakjang-dong post office entrance 도로 침하road subsidence 상(3 point)Phase (3 points) 2곳(2 point)2 points 1One 감전119 안전센터 입구 앞 차도The road in front of the entrance to the Electric Shock 119 Safety Center 맨홀파손manhole damage 상(3 point)Phase (3 points) 1곳(1 point)1 point 22

민원관리용웹(600)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로의 정비보수가 필요한 위치를 민원인이 민원전화 상으로 신고한 내용을 입력하여 관리하기 위해 구청을 포함한 관청에 구비되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웹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이며, 민원관리용웹(600)에 저장된 정보는 도로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7, the civil petition management web 600 is installed in a terminal provided in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ward offices to manage the location where maintenance of the road is required by entering the contents reported by the civil petitioner on the civil petition phone. It is a web-based application program,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ivil petition management web 600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민원관리용웹(600)에는 기초지자체 내 도로 정비 관련 부서에서 수신하는 민원전화 내용을 웹 기반의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는 민원전화입력기능, 수신 확인된 민원전화로부터 수집된 도로보수 관련 요청정보를 관리하는 민원전화접수정보관리기능, 수집된 보수 요청 지역에 대해 정확한 파손 위치산정을 보조할 수 있는 민원전화전자지도표기기능이 포함된다.The civil complaint management web (600) has a civil complaint phone input function that allows you to input civil complaint calls received from road maintenance-related depart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into a web-based system, and manages road maintenance-related request information collected from received civil complaint calls. It includes a civil complaint telephon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a civil complaint telephone electronic map marking function that can assist in calculating the exact damage location for the collected repair request area.

민원관리용웹(600)의 민원전화입력기능은 민원전화를 수신한 관공서 담당자가 상담내역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민원전화 접수자의 전화번호, 민원 접수 시간 정보와 접수처리정보(접수 진행/대기 요청)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eb for civil affairs management (600) The civil complaint phone input function supports the function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ublic office who received the civil complaint call can enter the consultation details, including the phone number of the civil complaint call receptionist, complaint reception time information, and reception processing information (reception progress/waiting request). It consists of

민원관리용웹(600)의 민원전화접수정보관리기능은 수신된 도로보수 요청 관련 민원전화를 통해 수집되는 보수 요청 내용 및 지역, 민원접수자 전화번호, 민원등록 일자를 포함한 민원전화 접수정보를 관리한다.The civil complaint telephone reception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of the civil complaint management web 600 manages civil complaint telephone reception information including repair request contents and region, civil complaint receiver phone number, and civil complaint registration date collected through civil complaint telephone calls related to road repair requests received.

민원관리용웹(600)의 민원전화전자지도표기기능은 수신된 도로보수 요청 관련 민원전화로 수집된 보수 요청 지역의 정확한 위치산정을 위해 민원이 접수된 위치를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이며, 민원전화 접수 응대 중 민원접수자가 언급하는 보수 요청 지역에 대해, 접수 응대자는 민원 접수 전자지도를 참고하여 의사소통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산정, 접수정보로 등록해 해당 현장 출장 시 위치적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ivil petition management web (600) has a function to display the location where civil complaints are received on an electronic map in order to calculate the exact location of the repair request area collected from civil complaint calls related to road repair requests received. Regarding the repair request area mentioned by the complaint receptionist during reception, the receptionist communicates with reference to the complaint reception electronic map to calculate the exact location of the area and register it as reception information to avoid locational trial and error when traveling to the site. It provides a function to reduce

도시관리용웹(500)은 도 1을 참조하면, 구청을 포함하여 기초지자체 관청 내 도로관리담당자가 도시관리를 위해 활용하기 위해 구청을 포함한 각 기초지자체 관청에 구비되는 웹기반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여 도로 정비관련 지역의 위치,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통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ity management web 500 is a web-based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in each basic local government office, including the ward office, for use by road management personnel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including the ward office, for city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it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location of road maintenance-related areas, statistics on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and prediction information on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도시관리용웹(50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시각화GIS제공기능, 유형별데이터통계처리기능, 유형별데이터예측분석기능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city management web 5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GIS providing function, a data statistical processing function for each type, and a data predictive analysis function for each type.

도시관리용웹(500)의 위치정보시각화GIS제공기능은 기초지자체 내 존재하는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위치정보를 GIS 형태로 시각화하여 관내 안전총괄/건설 담당자의 도시관리 업무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웹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GIS provision function of the city management web (500) visuali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oad maintenance-related areas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the form of GIS,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during city management by the safety general manager/construction manager in the jurisdiction on the web. Performs the output function.

도시관리용웹(500)의 위치정보시각화GIS제공기능은 관내 구역을 GIS 형태로 출력하는 관내 구역전자지도 출력부와 출력된 전자지도 내에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마커로 구성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GIS providing function of the city management web 500 is composed of a jurisdiction area electronic map output unit outputting the jurisdiction area in GIS form and a marke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road maintenance related areas in the output electronic map.

도시관리용웹(500)의 유형별데이터통계처리기능은 기초지자체 내 존재하는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정보를 위치별/계절별/동별로 통계화해 선택한 필터 정보(년, 월, 일, 동, 계절, 파손유형)에 따라 통계 그래프를 웹상에 출력한다. The statistical processing function of data by type of the urban management web (500) statistically converts the information of road maintenance-related areas existing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by location/season/dong, and selects filter information (year, month, day, winter, season, damage type). ), the statistical graph is output on the web.

유형별데이터통계처리기능은 전자지도 내에서 선택한 위치정보에 대한 도로 파손 정보 통계를 볼 수 있는 위치별 도로 파손 정보 통계 그래프와 선택한 위치정보에 대한 년/월별 도로 파손 정보 통계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 필터, 기초지자체 내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계절별/동별 통계를 볼 수 있는 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통계 그래프,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통계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 필터로 구성된다.Data statistical processing function by type allows you to view road damage information statistics by location for viewing the road damage information statistics for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electronic map, and year/month road damage information statistics for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Month filter,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by season/dong, which can view statistics by season/dong on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within the local government, statistical graph of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by year/month/day/winter/season/damage type, can view statistics related to road maintenance by year/month/day/winter/season/damage type It consists of year/month/day/winter/season/damage type filters.

도시관리용웹(500)의 유형별데이터예측분석기능은 기초지자체 내 존재하는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정보를 위치별/계절별/동별로 예측분석화해 선택한 필터 정보(년, 월, 일, 동, 계절, 파손유형)에 따라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예측 정보를 산출하여 예측분석 그래프를 웹상에 출력한다.The data prediction analysis function by type of the urban management web (500) predict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road maintenance-related area existing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by location/season/dong, and selects filter information (year, month, day, winter, season, damage) type), predictive information on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a predictive analysis graph is output on the web.

도시관리용웹(500)의 유형별데이터예측분석기능은 전자지도 내에서 선택한 위치정보에 대한 도로 파손 정보 예측분석을 볼 수 있는 위치별 도로 파손 정보 예측분석 그래프, 선택한 위치정보에 대한 년/월별 도로 파손 정보 예측분석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 필터, 기초지자체 내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계절별/동별 예측분석을 볼 수 있는 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통계 그래프,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예측분석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 필터로 구성된다The data prediction analysis function of the city management web (500) by type is the road damage information prediction analysis graph by location that can view the road damage information prediction analysis for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electronic map, and the road damage by year/month for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Year/month filter to view information prediction analysis,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statistical graph by season/dong, year/month/day/winter/season to view forecast analysis by season/dong on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within the local government / Consists of Year/Month/Day/Winter/Season/Damage type filters that allow you to view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prediction analysis by damage type

도시관리용웹(500)은 도로 파손 정보 GIS 시각화에 따른 위치별 도로 파손 정보 통계/예측 기능과 계절별/동별 도로 파손 정보 통계/예측 기능을 통해 분석/도출된 데이터를 이용한 즉각적인 도로보수 필요 지역 파악에 따른 도시 관리업무 신속화, 도로 보수업무 밀집 구역 산출 및 유형별 파손위험 지역선정, 도로 보수지역 우선순위 설정에 따른 도로 보수계획 수립을 비롯한 도시 관리업무 수행 시의 도로보수 업무 관계자들의 의사결정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rban management web (500) is used to identify areas in need of immediate road repair using data analyzed/derived through statistical/prediction functions of road damage information by location based on GIS visualization of road damage information and statistical/prediction functions of road damage information by season/dong. It is a function to assist decision-making of people involved in road maintenance work when performing urban management tasks, including speeding up city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urban management tasks, calculating road maintenance work density areas, selecting damage risk areas by type, and establishing road repair plans according to prioritization of road repair areas. carry out

도로관리원용앱(400)은 도 1을 참조하면,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여 정비보수가 필요한 도로 현장에 파견되는 도로관리원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앱프로그램이며, 도로 정비 필요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 수신하여 표시하고, 위치별 도로 정비 업무 완료 여부를 관리하며, 위치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및 정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비일지를 자동생성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oad manager app 400 is an app program installed on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 road manager dispatched to a road site requiring maintenance in conjunction with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and a road maintenance required area. It receives and displays accurate information about road maintenance by location, manages whether road maintenance work has been completed by location, and performs functions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query maintenance logs for road maintenan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completion by location.

도로관리원용앱(400)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사필요지역정보조회기능, 공사완료여부체크기능, 정비일지자동화기능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road manager app 400 includes a construction required area information inquiry function, a construction completion check function, and a maintenance log automation function.

도로관리원용앱(400)의 공사필요지역정보조회기능은 공사 필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과 정비일지 조회 화면에 대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사 필요정보/정비일지 제공기능,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별 공사 필요정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동/계절/파손유형 필터, 공사 필요 정보를 GIS 형태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공사 필요 지역 전자지도, 공사 필요 지역을 표시해주는 마커, 표시된 공사 필요 지역의 위험도를 표기해주는 파손 위험도, 표시된 공사 필요 지역 선택 시 출력되는 공사 필요 정보 제공기능으로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required area information inquiry function of the road manager app 400 is a function to search information on the area requiring construction and a function to provide construction necessary information/maintenance log that can control the output to the maintenance log inquiry screen, year/month /day/winter/season/year/month/winter/season/damage type filter that allows you to see construction required information by damage type, electronic map of construction required area that visualizes construction required information in GIS form, displays construction required area It consists of a marker that indicates the level of risk, a damage risk level that indicates the level of risk of the marked construction area, and a function to provide construction information that is output when selecting a marked area that requires construction.

도로관리원용앱(400)의 공사완료여부체크기능은 공사 필요 지역 창 내 공사 완료 여부(완료/미완료)를 체크하고 완료 체크한 날짜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며, 공사완료여부체크기능은 각 공사 필요 지역에 대한 공사 완료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공사 필요정보 제공기능, 해당 공사를 완료 처리한 일자를 표시해주는 공사 완료 일자 제공기능으로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completion check function of the road manager app 400 is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check wheth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complete / incomplete) in the window of the area requiring construction and search the date of completion check, and the construction completion check function is for each construction It consists of a function to provide necessary construction information to manage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in the required area and a func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completion date to indicate the date when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도로관리원용앱(400)의 정비일지자동화기능은 기초지자체 내 위치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및 정비 완료 여부를 관리하여 도로관리원의 정비일지 작성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능이다.The maintenance log automation function of the road manager app 400 is a function that automates maintenance log writing tasks of road managers by managing road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and maintenance completion for each location within the local government.

정비일지자동화기능은 공사 필요 지역 정보 조회기능과 정비일지 조회화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사 필요정보/정비일지 화면 제공기능, 년/월/일/동/계절/파손유형별 정비일지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년/월/동/계절/파손유형 필터, 공사 필요 내용 및 공사 필요 위치 등 위치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와 정비 완료 여부를 표기하는 정비일지 조회기능으로 구성된다.Maintenance log automation function provides construction required information/maintenance log screen that can control construction required area information inquiry function and maintenance log inquiry screen output, year/month/day/winter/season/maintenance log by damage type It consists of a year/month/winter/season/damage type filter, information related to road maintenance by location, such as the content of construction and the location where construction is required, and a maintenance log search function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maintenance has been comple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카메라 20 - 가속도센서
30 -진동감지센서 100 -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
200 - 민원인신고용앱 300 - 도로관리서버
400 - 도로관리원용앱 500 - 도시관리용웹
600 - 민원관리용웹
10 - camera 20 - acceleration sensor
30 - Vibration sensor 100 -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200 - Application for reporting civil complaints 300 - Road management server
400 - App for road managers 500 - Web for city management
600 - Web for civil affairs management

Claims (3)

도로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카메라(10), 및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20)를 포함하고, 카메라(20)에서 촬영하여 전송한 도로의 상태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와 위치정보센서(20)를 통해 획득된 도로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도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앱프로그램이며, 정비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에 대해 민원인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한 도로의 영상과 위치를 외부로 전송하여 신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민원인신고용앱(200); 및
사물인터넷기반도로정보획득디바이스(100)와 민원인신고용앱(200)에서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로의 정비보수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도로관리서버(300)
를 포함하는,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
A road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transmitted including a camera 10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ate of the road and a location information sensor 20 provid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d requiring maintenance and repair Obtaining IoT-based road information that collects and stores image data about the state of the roa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20,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road state information device 100;
It is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 civil petitione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porting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road taken by the camera of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civil petitioner for the road requiring maintenance. App for civil complaint reporting (200); and
A road management server (300)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ternet of Things (IoT)-based roa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00) and the civil petitioner application (200) and provides integrated information for road maintenance and repair management to the outside.
Including,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of roads.
제1항에 있어서,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며, 기초지자체 내 도로 정비 관련 지역의 위치정보 시각화를 통해 GIS 형태로 출력하는 위치정보시각화GIS제공기능, 시각화된 각 위치정보가 가지고 있는 위치별/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통계정보를 산출하는 유형별데이터통계처리기능, 시각화된 각 위치정보가 가지고 있는 위치별/계절별/동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에 대한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유형별데이터예측분석기능을 포함하고, 기초지자체 관청에 구비되는 도시관리용웹(500)
을 포함하는,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Linked with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loc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GIS providing function that outputs in GIS form through visualiz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reas related to road maintenance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 roads by location/season/dong that each visualized location information has It includes a data statistical processing function by type that calculates statistical information on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and a data prediction analysis function by type that calculates predictive information on road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by location/season/dong that each visualized location information has, Urban management web (500) provided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of roads.
제1항에 있어서,
도로관리서버(300)와 연동하며, 기초지자체 내 도로관리원의 공사 필요 지역에 대한 정보 수신을 위해 도로 정비 필요 지역 정보를 표기하는 공사필요지역정보조회기능, 위치별 도로 정비 업무 완료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공사완료여부체크기능, 위치별 도로 정비 관련 정보 및 정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비일지를 자동생성하고 조회할 수 있는 정비일지자동화기능을 포함하고, 도로관리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도로관리원용앱(400)
을 포함하는,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conjunction with the road management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ompletion of road maintenance tasks by location, and to display information on areas requiring road maintenance to receive information on areas requiring construction by road managers in basic local governments. An app for road managers installed on smart devices of road managers, including a function to check whether construction has been completed, a maintenance log automation function that can automatically create and search a maintenance log for road maintenan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completion by location, and a road manager's smart device (400)
Including,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of roads.
KR1020210189504A 2021-12-28 2021-12-28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KR202301000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04A KR20230100001A (en) 2021-12-28 2021-12-28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04A KR20230100001A (en) 2021-12-28 2021-12-28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001A true KR20230100001A (en) 2023-07-05

Family

ID=871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504A KR20230100001A (en) 2021-12-28 2021-12-28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0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7122A (en) * 2024-01-11 2024-02-13 山东路科公路信息咨询有限公司 Highway maintenance decis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relation graph technolog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7122A (en) * 2024-01-11 2024-02-13 山东路科公路信息咨询有限公司 Highway maintenance decis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relation graph technology
CN117557122B (en) * 2024-01-11 2024-03-22 山东路科公路信息咨询有限公司 Highway maintenance decis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relation graph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5582B (en) Urban street garbage detection and cleanliness assessment method
US10032267B2 (en) Automating the assessment of damage to infrastructure assets
KR101691620B1 (en) System for update of road facilitie data by analysing the visual images and connecting the mms
JP7023690B2 (en) Road maintenance system, road mainten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arašūniene Research into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technologies and efficiency
JP6490003B2 (en) Roa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program, and roa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Jalayer et al.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highway inventory data collection methods
KR102191382B1 (en) Smart investigation system for supporting integrated water-environment-management
CN114238543B (en) Drainage pipe network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N112800911A (en) Pavement damage rapid detection and natural data set construction method
CN103426061A (en) Emergency maintenance and update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based on target tracking
US202201012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Road Maintenance Planning
Reshma et al. Prioritization of accident black spots using GIS
CN113868492A (en) Visual OD (origin-destin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electric police and checkpoint data and application
WO2021076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infrastructure
CN107146025A (en) A kind of road management decision system
Aydın et al. The use of smart phones to estimate road roughness: A case study in turkey
KR20230100001A (en)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Zhou et al. Investigation of methods and approaches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highway inventory data
KR101659433B1 (en) System for pollution management of river-water and method of the same
KR20230100787A (en) Active roa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oad maintenance
CN106682313A (en) Method for video layout planning based on time-space two dimensions
CN114021766A (en) Urban water safety prediction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Nasir et al. Geospatial analysis of road distresse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lope factor
CN117252316A (en) Emergency evacuation path plan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