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882A - 화분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882A
KR20230099882A KR1020210189297A KR20210189297A KR20230099882A KR 20230099882 A KR20230099882 A KR 20230099882A KR 1020210189297 A KR1020210189297 A KR 1020210189297A KR 20210189297 A KR20210189297 A KR 20210189297A KR 20230099882 A KR20230099882 A KR 20230099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ring
fitting part
hold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형
Original Assignee
정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형 filed Critical 정문형
Priority to KR102021018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882A/ko
Publication of KR2023009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조명부, 지주부 및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를 포함하는 화분용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며, 그것의 각 지주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상기 조명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타단에서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조명부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는 그것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무게가 가볍다.

Description

화분용 조명장치{Illumination Equipment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 또는 실내 분위기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 화분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직장 등의 실내에서 화분 등에 관목이 식재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관목이 식재된 화분에는 관목의 생장을 위하여 또는 실내 분위기를 위하여 조명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식물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탠드 타입 조명장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탠드 타입 조명장치의 예는 특허등록 제10-1176434호(2012. 08. 17. 등록), 특허등록 제10-1053062호(2011. 07. 26. 등록), 특허등록 제10-1277301호(2013. 06. 14. 등록), 특허등록 제10-1402757호(2014. 05. 27. 등록), 특허공개 제10-2018-0058334호(2018. 06. 01. 공개), 특허공개 제10-2018-0095310호(2018. 08. 27. 공개), 특허등록 제10-2052395호(2019. 11. 29.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247078호(2001. 09. 05. 등록),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1094호(2011. 02. 01. 공개), 실용신안등록 제20-0469361호(2013. 09. 30.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86196호(2018. 04. 06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스탠드 타입 식물 조명장치는 학생들의 공부 또는 사무원의 업무를 위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조명 스탠드와 그 형태가 유사하며, 단지 차이점은 스탠드 상에 화분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에 스탠드 타입 식물 조명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식물 조명용으로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명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1255256호(2013. 04. 10. 등록)는 식물재배용 엘이디 패널 상하 이동장치를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1224217호(2013. 01. 14. 등록)는 식물 생장 장치를 개시하며, 특허등록 제10-1650057호(2016. 08. 16. 등록)는 어항과 LED 조명을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를 개시하고, 특허공개 제10-2016-0065236호(2016. 06. 09. 공개)는 실내용 LED 재배장치 및 트레이를 개시한다.
상기한 장치들은 조명등과 화분에 식재된 식물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촉진하거나 조절한다는 점에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내지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무게가 가벼운 화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화분용 조명장치는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 또는 실내 분위기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주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면서도 지주부가 상당히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어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에 설치되는 경량의 조명부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고 그래서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화분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는 조명부, 지주부 및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부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며, 그것의 각 지주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상기 조명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타단에서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조명부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는 그것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부는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조명부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에 결합하는 지주 파이프, 상기 조명부에 결합하는 높이조절 파이프, 고무링 및 높이조절체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경은 상기 지주 파이프의 내경과 일치하여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 끼워진다. 상기 높이조절체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지주 파이프 끼움부,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 및 고무링 끼움부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지주 파이프 끼움부의 내경은 상기 지주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고,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의 내경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며, 그래서 상기 지주 파이프 끼움부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의 경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링 끼움부는 상기 높이조절파이프 끼움부의 상부에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둘러싼 상기 고무링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지는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서 바닥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고무링 끼움부의 상기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의 경사 각도는 수직선에 대하여 0.1 ~ 15도의 범위이다.
상기 높이조절체를 상기 지주 파이프에 끼워서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기 걸림턱에 상기 지주 파이프가 걸리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에 상기 고무링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지주 파이프에 끼운다. 이때,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어 상기 조명부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상기 지주파이프 속으로 밀려들어 감이 없이 상기 조명부를 지탱한다.
상기 조명부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진 상기 고무링을 상기 고무링 끼움부로부터 빼낸 후 상기 고무링을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고무링을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삽입시켜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조명부의 높이가 조절되게 한다.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고무링만으로 상기 지주파이프에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아래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고무링 이외에 다른 고정수단은 적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 끼워지는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고무링 끼움부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서 상부로 올라가려는 힘보다 더욱 큰 힘으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서는 아래로 갈수록 상기 고무링의 압축변형력이 커져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조명부의 무게는 10 k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무게가 가볍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에서 지주부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면서도 상당히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어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에 설치되는 경량의 조명부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는 경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분용 조명장치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분용 조명장치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각 화분에 설치된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각 받침대에 설치된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조명등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조명장치에 대한 측면 절단도 및 조명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체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체에 고무링이 삽입되는 원리 및 그에 의하여 높이조절 파이프가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공기순환을 위해 조명부에 팬이 설치된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 지주부(200) 및 화분(300)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 지주부(200) 및 화분받침대(400)를 포함한다. 화분(300) 및 화분받침대(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에서 지주부(200)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며, 그것의 각 지주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조명부(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타단에서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지주부(200)는 경량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조명등, 조명등이 설치되는 프레임(110) 및 프레임(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지주부(200)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는 그것의 둘레에 설치되어 지주부(200)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320 또는 42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명부(100)의 프레임(110)은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다면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사각형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00)에 형성되는 조명등은 예를 들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되는 LED 램프(122)일 수 있다. 조명부(100)에 형성되는 조명등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소켓(124)에 끼워지는 소켓 조명등(126)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소켓 조명등(12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고, 그러한 소켓 조명등(126)의 일부 또는 전부는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화분(300)에 식재되는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놓이는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에 조명이 골고루 비춰지게 할 수 있다. 소켓 조명등(126)은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소켓(124)에 끼워지는 부분과 소켓(124)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관, 소위 자바라 연결관(128)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배선(140) 및 배선 클립(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140)은 인쇄회로기판(122)에 장착되는 LED 램프 또는 소켓 조명등(12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122) 또는 소켓(124)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선(140)은 외부 전원이 있는 곳까지 인출된다. 이때, 배선(140)이 외부 전원이 있는 곳까지 인출될 때 가지런하게 정리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선 클립(150)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배선(140)은 배선 클립(150)에 의하여 지주부(200)에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외부 전원까지 인출된다.
조명부(100) 및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설치되는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조명부(100)의 프레임(110)의 둘레 그리고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의 갯수는 통상적으로 3개 이상이며, 필요에 따라 4개 또는 5개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그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결합홈(132 및 322 또는 422)을 가질 수 있다. 지주부(200)는 그러한 결합홈(132 및 322 또는 422)에 끼워져서 조명부(100) 및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지주부(200)는 결합홈(132 및 322 또는 422)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한편, 결합홈(132 및 322 또는 422)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지주부(200)와 조명부(100) 간의 결합 그리고 지주부(200)와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지주부(200)가 결합홈(132)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200)의 외면이 결합홈(132)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지주부(200)의 외경이 결합홈(132)의 내경과 일치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원기둥 형상의 결합돌기(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30)가 결합돌기를 가지는 경우, 결합돌기는 지주부(200)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지주부(200)의 내면이 결합돌기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지주부(200)의 내경이 결합돌기의 외경과 일치하게 된다.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의 둘레 및 화분(300)의 둘레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둘레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둘레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30)는 결합홈(132) 및 나사결합부(134)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러한 결합부(130)는 나사(136)에 의하여 조명부(100)의 프레임(110)에 결합한다.
한편, 도 5,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가 설치되는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둘레를 전방에서 바라보는 시각의 관점에서 전방부와 후방부로 나눌 때 결합부(130 및 320 또는 420)는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후방부에 설치됨으로써 전방에서 바라볼 때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놓이는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이 지주부(20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후방부라 함은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대한 평면도에서 조명부(100) 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전체 면적 중에서 후방부에 위치하는 절반의 영역을 의미한다.
지주부(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주부(200)는 일단에서 조명부(100)의 결합부(130)와 결합하는 한편, 타단에서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결합부(320 또는 420)와 결합한다. 지주부(200)는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되어 조명부(100)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200)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결합하는 지주파이프(210), 조명부(100)의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높이조절 파이프(220), 고무링(230) 및 높이조절체(2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경은 지주 파이프(210)의 내경과 일치하여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지주 파이프(210)에 삽입된다. 이때, 높이조절 파이프(220)는 지주 파이프(210)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주 파이프(2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둘레에 끼워진다.
높이조절체(240)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지주 파이프 끼움부(242),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 및 고무링 끼움부(246)로 구분된다. 이때 지주 파이프 끼움부(242)의 내경은 지주 파이프(210)의 외경과 일치하고,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의 내경은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경과 일치하며, 그래서 지주 파이프 끼움부(242)와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의 경계에는 걸림턱(248)이 형성된다. 고무링 끼움부(246)는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의 상부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둘러싼 고무링(230)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부분이다. 즉, 고무링 끼움부(246)는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 상부에 그것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높이조절체(240)의 한 말단부에 지주 파이프 끼움부(242)가 형성되고 다른 말단부에 고무링 끼움부(246)가 형성되며,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244)는 그것들 사이에 형성된다.
고무링 끼움부(2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A) 및 측벽(B)을 포함한다. 걸림턱(A)은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지는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둘레에서 바닥을 형성한다. 걸림턱(A)과 측벽(B)이 연결되는 부분은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측벽(B)의 경사 각도(θ)는 수직선에 대하여 대략 0.1 ~ 15도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도의 범위이다. 측벽(B)의 상단 부분은 고무링(230)이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주 파이프(210), 높이조절 파이프(220), 고무링(230) 및 높이조절체(240)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지주부(20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체(240)를 지주 파이프(210)에 끼워서 높이조절체(240)의 걸림턱(248)에 지주 파이프(210)가 걸리게 한다. 이때, 높이조절체(240)는 지주 파이프(210)와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통상적인 힘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자의 예로는 억지끼워맞춤으로 높이조절체(240)가 지주 파이프(210)에 결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억지끼워맞춤을 유도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체(240)의 말단부에는 지주 파이프(210)의 끼움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guide)가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안내부에 연이어 끼움부가 형성된다. 끼움부는 끼움맞춤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고무링의 내경보다 2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고무링(230)을 끼운다. 그런 다음에,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높이조절체(240) 및 지주 파이프(210)에 끼운다. 이때, 고무링(230)은 높이조절체(240)의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짐으로써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지주 파이프(210)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하고, 그래서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조명부(100)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지주 파이프(210) 속으로 밀려들어 감이 없이 조명부(100)를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상부로 잡아당겨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진 고무링(230)을 고무링 끼움부(246)로부터 빼낸 후 고무링(230)을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고무링(230)을 고무링 끼움부(246)에 삽입시켜서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지주 파이프(210)에 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조명부(10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한다.
상기한 구조의 지주부(200)는 높이조절체(240) 및 고무링(230)만으로 지주파이프(210)에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한다. 이때, 지주파이프(210)에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체(240) 및 고무링(230) 이외에 다른 고정수단은 지주부(200)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는다.
지주파이프(210)에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이 상기와 같은 경사 각도(θ)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요건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둘레에 끼워지는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질 때,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걸려서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에서 상부로 올라가려는 힘보다 더욱 큰 힘으로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그러할 때 고무링(230)은 고무링 끼움부(24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무링(230)이 끼워진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르면, 고무링(230)의 외측부는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고무링(230)의 내측부는 높이조절 파이프(220)와 밀착한 상태에 있다. 한편,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은 고무링(230)이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지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둘레에 끼워지는 고무링(230)이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르면, 고무링(230)의 외측부에는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하여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고무링(230)이 걸려서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부로 올라가려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고무링(230)의 내측부에는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은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에 기인한다.
상기의 상황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이 고무링(230)의 외측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힘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즉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계속 머무르게 된다. 반면에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이 고무링(230)의 외측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힘보다 큰 경우에는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즉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은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둘레에 끼워지는 고무링(230)이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를 때 발생하는 고무링(230)의 외측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힘보다 커야 한다. 이때,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이 너무 큰 경우에는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에서 고무링(230)의 이동이 어려우므로, 상기 조건을 충분히 만족하는 정도에서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형상태의 고무링(230)의 내경은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경보다 작아야 한다. 평형상태의 고무링(230)의 내경과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경 간의 차이는 고무링(230)의 탄성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무링(230)의 두께는 높이조절 파이프(220)의 외표면에서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 최상단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거리보다 약간 작더라도 무방하다. 전자의 경우에는 고무링(230)은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면에 접촉한 후 상면과 측면을 잇는 라운드 형상을 따라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로 삽입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고무링(230)은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면에는 접촉하지 않고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에서 측벽(B)의 상단과 접촉한 후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로 더욱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고무링 끼움부(246)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측벽(B)의 경사 각도(θ)는 수직선에 대하여 대략 0.1 ~ 15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 10도의 범위이기 때문에, 고무링 끼움부(246)에서는 아래로 갈수록 고무링(230)의 압축 변형력이 커지게 된다. 즉,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르면 고무링 끼움부(246)에 끼워진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 및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 사이에 존재하는 더욱 좁아진 간격으로 인하여 높이조절 파이프(220) 및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압박되고, 그럼으로써 고무링(230)과 높이조절 파이프(220) 간의 접촉면적 및 고무링(230)과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 간의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높이조절 파이프(220) 및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때, 측벽(B)의 경사 각도(θ)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무링 끼움부(246)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조절 파이프(220) 및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의 더욱 커지는 효과, 즉 압축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적절한 압축효과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고무링 끼움부(246)의 상하방향 길이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길이조절 범위가 좁아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한편, 측벽(B)의 경사 각도(θ)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고무링(230)이 고무링 끼움부(246) 내부에서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 상단에 처음으로 접촉할 때 높이조절 파이프(220)에 대한 고무링(230)의 밀착력이 고무링(230)의 외측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힘보다 작기 때문에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고, 그래서 상기한 압축효과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무링(230)은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아래로 누름에 따라 고무링 끼움부(246)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아래로 갈수록 조절 파이프(220) 및 고무링 끼움부(246)의 측벽(B)에 대하여 압축변형력, 즉 밀착력이 커져서 높이조절 파이프(220)가 지주 파이프(210)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높이조절 파이프(220)를 위쪽 방향으로 잡아올리면, 위쪽 방향에 대해서는 상기한 압축변형력이 없으므로 고무링(230)은 고무링 끼움부(246)로부터 쉽게 이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지주부(200)를 조명부(100)의 결합부(130) 및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결합부(320 또는 420)에 끼우기만 하면 설치가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지주부(200) 및 조명부(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를 이동하기 불편할 때에는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로부터 지주부(200)를 뽑기만 하면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조명부(100), 지주부(200) 및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가 분해된 상태에서 유통되거나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유통 및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또한 지주부(200)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조명부(1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맞게 조명을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복수개, 특히 3개 이상의 지주부(200)로 분산하여 조명부(100)를 지탱하기 때문에 지주부(200)를 가벼운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된 직경 및 두께가 작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을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주부(200)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지주부(200)가 상당히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어 화분(300) 또는 화분받침대(400)에 설치되는 경량의 조명부(100)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지주부(200)를 기준으로 말하면, 그러한 지주부들(200)은 20 kg 이상의 조명부(100)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명부(100)의 무게를 10 kg 이하의 경량으로 설정한다면 그러한 지주부들(200)은 조명부(100)를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분용 조명장치(1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부(100)의 프레임(110)에 팬(160)이 설치될 수 있다. 팬(160)은 공기를 순환시켜 식물성장에 도움을 주고 화분에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10: 화분용 조명장치 100: 조명부
110: 프레임 122: LED 램프
124: 소켓 126: 소켓 조명등
130: 결합부 132: 결합홈
133: 결합돌기 134: 나사결합부
140: 배선 150: 배선 클립
160: 팬 200: 지주부
210: 지주 파이프 220: 높이조절 파이프
230: 고무링 240: 높이조절체
242: 지주 파이프 끼움부 244: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
246: 고무링 끼움부 248: 걸림턱
250: 상부 지주파이프 260: 하부 지주파이프
270: 연결구 272: 상부 지주파이프 끼움부
274: 하부 지주파이프 끼움부 276: 지주파이프 걸림부
300: 화분 310: 둘레부
320: 결합부 322: 결합홈
324: 나사결합부 400: 화분받침대
410: 둘레부 420: 결합부
422: 결합홈 424: 나사결합부

Claims (5)

  1. 조명부, 지주부 및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를 포함하는 화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며, 그것의 각 지주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서 상기 조명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타단에서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조명부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이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는 그것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그 자체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조명부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분 또는 화분받침대에 결합하는 지주 파이프, 상기 조명부에 결합하는 높이조절 파이프, 고무링 및 높이조절체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경은 상기 지주 파이프의 내경과 일치하여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삽입되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체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지주 파이프 끼움부,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 및 고무링 끼움부로 구분되고, 이때 상기 지주 파이프 끼움부의 내경은 상기 지주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고,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의 내경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며, 그래서 상기 지주 파이프 끼움부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 끼움부의 경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링 끼움부는 상기 높이조절파이프 끼움부의 상부에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둘러싼 상기 고무링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지는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서 바닥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링 끼움부의 상기 측벽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의 경사 각도는 수직선에 대하여 0.1 ~ 15도의 범위이며,
    상기 높이조절체를 상기 지주 파이프에 끼워서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기 걸림턱에 상기 지주 파이프가 걸리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에 상기 고무링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지주 파이프에 끼우며, 이때,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어 상기 조명부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상기 지주파이프 속으로 밀려들어 감이 없이 상기 조명부를 지탱하고,
    상기 조명부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진 상기 고무링을 상기 고무링 끼움부로부터 빼낸 후 상기 고무링을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고무링을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삽입시켜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조명부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고무링만으로 상기 지주파이프에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아래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체 및 상기 고무링 이외에 다른 고정수단은 적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조명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둘레에 끼워지는 상기 고무링은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고무링 끼움부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서 상부로 올라가려는 힘보다 더욱 큰 힘으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무링 끼움부에서는 아래로 갈수록 상기 고무링의 압축변형력이 커져서 상기 높이조절 파이프가 상기 지주 파이프에 대하여 아래 방향에 대해서만 고정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조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무게는 10 k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조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조명장치.
KR1020210189297A 2021-12-28 2021-12-28 화분용 조명장치 KR20230099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97A KR20230099882A (ko) 2021-12-28 2021-12-28 화분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97A KR20230099882A (ko) 2021-12-28 2021-12-28 화분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82A true KR20230099882A (ko) 2023-07-05

Family

ID=8715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297A KR20230099882A (ko) 2021-12-28 2021-12-28 화분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8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7489A1 (en) Adjustable plant stand
US4594646A (en) Light-reflective device for illuminating centripetally viewed three-dimensional objects
US20220346327A1 (en) Plant enclosure with vertically distributed light sources
KR20230099882A (ko) 화분용 조명장치
CN206044184U (zh) 塔形旋转花架
KR200166815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분받침대
CN2937781Y (zh) 一种带植物盘景的台灯
CN216018141U (zh) 可调节高度及光源植物培养架
KR101811261B1 (ko) 식물류 및 버섯류 재배용 led 전등의 광량 조절장치
US6042067A (en) Clamping holder for a lamp for a flowerpot
KR200369913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화분용 식물지지대
US6217198B1 (en) Plant lamp fixture
CN208204633U (zh) 一种带加湿器的植物补光灯
CN216567242U (zh) 悬挂式植物栽培装置
CN215636685U (zh) 一种植物补光灯
KR102500974B1 (ko) 무드등
CN217184062U (zh) 一种可模拟光照的新品菊花育苗装置
US1079290A (en) Pedestal indirect-electric-lighting fixture.
KR200496579Y1 (ko) 꽃화분 엘이디 장치
CN219536926U (zh) 一种高度可调节的幼苗培育灯
CN209995804U (zh) 一种可调节的壁挂花盆支架
CN219069042U (zh) 一种绿化支架
CN207750806U (zh) 植物台灯
KR960002765Y1 (ko) 종횡 신축 화분대
CN2357485Y (zh) 多用途支撑托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