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252A -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52A
KR20230099252A KR1020210188453A KR20210188453A KR20230099252A KR 20230099252 A KR20230099252 A KR 20230099252A KR 1020210188453 A KR1020210188453 A KR 1020210188453A KR 20210188453 A KR20210188453 A KR 20210188453A KR 20230099252 A KR20230099252 A KR 2023009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ehicle
flange
side structur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기
천정종
김영재
오희대
박준탁
김석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252A/ko
Priority to US17/886,758 priority patent/US20230202571A1/en
Priority to DE102022209267.8A priority patent/DE102022209267A1/de
Priority to CN202211258908.3A priority patent/CN116353706A/zh
Publication of KR2023009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i)외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아웃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터 필러와, ii)아웃터 플랜지부에 고정되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SIDE BODY STRUTUR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용 차체의 사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업계에서는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중의 하나가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서의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이다.
PBV 차량은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탑승객에게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기반(EV)의 친환경 차량이다.
PBV 차량의 차체는 넓은 실내 공간을 지닌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PBV 차량의 차체는 언더 바디(당 업계에서는 롤링 샤시 또는 스케이트 보드 라고도 한다)와, 언더 바디에 조립되는 어퍼 바디로 구성된다.
PBV 차량의 차체는 하나의 예에서, 어퍼 바디의 한쪽 사이드 구조체에 장착되는 프론트 스윙 도어와, 다른 한쪽 사이드 구조체에 장착되는 리어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양쪽의 사이드 구조체에서 도어의 미 적용 부위(예, 도어리스 부위)에는 픽스드 글래스(fixed glass)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BV 차량의 차체는 사이드 구조체에 픽스드 글래스(fixed glass)를 적용하는데 따른 멤버들의 연결 강건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이드 구조체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픽스드 글래스를 적용하는 PBV 차량의 차체에서 멤버들의 연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i)외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아웃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터 필러와, ii)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에 고정되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는 상기 센터 필러의 외측 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터 필러의 차폭 방향에 따른 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i)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아웃터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센터 필러와, ii)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상기 사이드 실에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조인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은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이격된 실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상기 실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에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면과 접합되는 제3 조인트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조인트 부재의 상부와 접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와 연결되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필러 보강 면에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면과 접합되는 제3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상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4 조인트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상기 조인트 부재와 접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에 연결되는 임펙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과 접합되며,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 플랜지부 및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 및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임펙트 부재는 차폭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이드 아웃터 판넬에 결합되는 포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는, 상기 리어 필러에 결합되며,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익스텐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글래스의 지지 강성 및 센터 필러의 구조적 강성, 그리고 센터 필러와 사이드 실의 연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센터 필러와 조인트 부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센터 필러와 조인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글래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조인트 부재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조인트 부재와 사이드 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임펙트 부재와 익스텐션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임펙트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 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용접, SPR(Self Piercing Rivet), FDS(Flow Drill Screw), 구조용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passenger automobiles)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차 기반의 PBV 차량(Purpose Built Vehicle), 수소 동력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다른 리소스로부터 유도된 연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하나의 예에서,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 차량'이라고 한다.)의 차체(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PBV 차량은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탑승객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 차 기반의 친환경 이동 차량이다. 더 나아가, 상기 PBV 차량은 넓은 실내 공간을 지닌 박스형 디자인 차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PBV 차량의 차체(1)는 스케이트 보드 타입의 언더 바디(도시하지 않음)(당 업자는 통상적으로'롤링 샤시'라고도 한다.)와, 언더 바디에 조립되는 어퍼 바디(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어퍼 바디(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을 포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상부에 배치되는 루프 사이드(7), 하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실(10), 그리고 루프 사이드(7)와 사이드 실(10) 사이에 배치되는 도어 장착부(8)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기준 방향은 차체 전후 방향(예, 차체 길이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멤버들의 연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센터 필러와 조인트 부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센터 필러와 조인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기본적으로, 센터 필러(20), 글래스(40), 그리고 조인트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센터 필러(20)는 루프 사이드(7)와 사이드 실(1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실(10)은 서로 접합된 실 아웃터 멤버(11)와 실 인너 멤버(13)를 포함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사이드 실(10)은 실 아웃터 멤버(11)와 실 인너 멤버(13)을 접합하도록 되어 있는 실 플랜지(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 플랜지(15)는 사이드 실(10)에서 차폭 방향에 따른 인너 측에 형성된다.
상기 센터 필러(20)는 서로 접합된 필러 아웃터 멤버(21)와 필러 인너 멤버(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필러 아웃터 멤버(21)와 필러 인너 멤버(23)는 상부를 통해 루프 사이드(7)에 결합되며, 하부를 통해 사이드 실(10)에 결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센터 필러(20)는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25)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필러 보강 면(25)은 필러 인너 멤버(23)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터 필러(20)는 필러 아웃터 멤버(21)와 필러 인너 멤버(23)를 접합하도록 되어 있는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인너 플랜지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필러 아웃터 멤버(21)의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과 및 필러 인너 멤버(23)의 일단에서 연장된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센터 필러(20)에서 차폭 방향에 따른 아웃터 측에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센터 필러(20)의 외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필러 아웃터 멤버(21)와 단차 없이 센터 필러(20)의 외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필러 아웃터 멤버(21)의 아웃터 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며, 센터 필러(20)의 차폭 방향에 따른 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플랜지부(33)는 센터 필러(20)에서 차폭 방향에 따른 인너 측에 형성된다. 상기 인너 플랜지부(33)는 센터 필러(20)의 내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인너 플랜지부(33)는 아웃터 플랜지부(31)의 연장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인너 플랜지부(33)는 차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차폭 방향을 따라 실 플랜지(15)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는 상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아웃터 플랜지 면(35)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글래스(40)는 윈드 쉴드 글래스로서,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에서 도어 미 적용 부위에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글래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글래스(40)는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에 고정된다.
상기 글래스(40)는 아웃터 플랜지부(3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센터 필러(20)의 강성을 보강하며,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사이드 실(1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사이드 실(10)에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수평 단면에서 차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실 플랜지(15)에 결합(예,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조인트 부재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조인트 접합 면(51), 제1 조인트 플랜지(53), 제2 조인트 플랜지(55), 그리고 제3 조인트 플랜지(5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인트 접합 면(51)은 센터 필러(20)의 필러 보강 면(25)에 접합된다.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53)는 조인트 접합 면(5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53)는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접합된다.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55)는 조인트 접합 면(51)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55)는 사이드 실(10)의 실 플랜지(15)와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조인트 플랜지(5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접합 면(51)의 하부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조인트 플랜지(53)의 하부와 제2 조인트 플랜지(55)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조인트 플랜지(57)는 사이드 실(10)의 상면과 접합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에 고정된 글래스(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센터 필러(20)의 필러 보강 면(25) 및 아웃터 플랜지부(31), 그리고 조인트 부재(50)의 상부와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65)와 연결된다.
이러한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하나의 예에서, L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접합 플랜지(61), 제2 접합 플랜지(62), 그리고 제3 접합 플랜지(6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접합 플랜지(61)는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접합된다. 상기 제2 접합 플랜지(62)는 센터 필러(20)의 필러 보강 면(25)과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접합 플랜지(63)는 조인트 부재(50)의 상부와 접합된다.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는 다른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4 접합 플랜지(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4 접합 플랜지(64)는 리어 필러(65)에 형성된 필러 플랜지(67)에 차폭 방향에 따른 인너 면 및 아웃터 면, 그리고 상하 방향에 따른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60)의 일측 단부를 접합하도록 되어 있는 제4 조인트 플랜지(59)(도 5 참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4 조인트 플랜지(59)는 조인트 접합 면(51)의 상부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조인트 플랜지(53)의 상부와 제2 조인트 플랜지(55)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4 조인트 플랜지(59)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60)의 제2 접합 플랜지(62) 측의 하부 면과 접합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임펙트 부재와 익스텐션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에 적용되는 임펙트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임펙트 부재(70)와 익스텐션 부재(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에 조립되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9)의 강성을 보강하며, 측면 충돌에 대한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조인트 부재(50)와 접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65)에 연결된다.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하나의 예에서, L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5 접합 플랜지(71), 제6 접합 플랜지(72), 그리고 제7 접합 플랜지(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5 접합 플랜지(71)는 조인트 부재(50)의 조인트 접합 면(51)과 접합된다. 상기 제6 접합 플랜지(72)는 조인트 부재(50)의 제1 조인트 플랜지(53)와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7 접합 플랜지(73)는 조인트 부재(50)의 제2 조인트 플랜지(55)와 접합된다.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8 접합 플랜지(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8 접합 플랜지(74)는 임펙트 부재(70)를 익스텐션 부재(80)를 통해 리어 필러(65)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임펙트 부재(70)는 차폭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돌출된 포밍부(7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밍부(77)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9)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밍부(77)는 접합 실러(79)에 의해 사이드 아웃터 패널(9)과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익스텐션 부재(80)는 임펙트 부재(70)의 다른 일측 단부를 리어 필러(65)에 연결하며, 센터 필러(20)와 리어 필러(65)에 전후 방향에 따른 로드 패스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익스텐션 부재(80)는 폐 단면으로 형성된 리어 필러(65)에 우선 결합되며, 임펙트 부재(70)의 제8 접합 플랜지(74)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에 의하면,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에 글래스(40)를 고정하므로, 글래스(40)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에서, 아웃터 플랜지부(31)는 필러 아웃터 멤버(21)와 단차 없이 센터 필러(20)의 차폭 방향에 따른 최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글래스(40)의 스킨, 센터 필러(20)의 스킨, 도어 장착부(8)에 장착된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스킨, 그리고 사이드 실(10)의 스킨이 단차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서로 이격된 센터 필러(20)의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사이드 실(10)의 실 플랜지(15)에 결합되는 조인트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센터 필러(20)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센터 필러(20)와 사이드 실(10)의 연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센터 필러(20)의 차폭 방향에 따른 최 외측에 구비된 아웃터 플랜지부(31)에 글래스(40)를 장착하는 경우, 사이드 실(10)의 실 플랜지(15)는 도어와의 연결성(예, 실링성)을 위해 내측에 구성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실 플랜지(15)가 서로 이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조인트 부재(50)를 통해 아웃터 플랜지부(31)와 실 플랜지(15)를 연결(예, 결합)하며, 센터 필러(20)와 사이드 실(10)의 결합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센터 필러(20), 조인트 부재(50), 그리고 리어 필러(65)를 연결하며, 글래스(40)를 지지하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60)를 포함함에 따라, 글래스(40)의 지지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센터 필러(20), 조인트 부재(50), 그리고 리어 필러(65)를 연결하는 임펙트 부재(70)와 익스텐션 부재(8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100)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9)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차체 5: 어퍼 바디
7: 루프 사이드 8: 도어 장착부
9: 사이드 아웃터 패널10: 사이드 실
11: 실 아웃터 멤버 13: 실 인너 멤버
15: 실 플랜지 20: 센터 필러
21: 필러 아웃터 멤버 23: 필러 인너 멤버
25: 필러 보강 면 31: 아웃터 플랜지부
33: 인너 플랜지부 35: 아웃터 플랜지 면
40: 글래스 50: 조인트 부재
51: 조인트 접합 면 53: 제1 조인트 플랜지
55: 제2 조인트 플랜지 57: 제3 조인트 플랜지
59: 제4 조인트 플랜지 60: 글래스 서포트 부재
61: 제1 접합 플랜지 62: 제2 접합 플랜지
63: 제3 접합 플랜지 64: 제4 접합 플랜지
65: 리어 필러 67: 필러 플랜지
70: 임펙트 부재 71: 제5 접합 플랜지
72: 제6 접합 플랜지 73: 제7 접합 플랜지
74: 제7 접합 플랜지 77: 포밍부
79: 접합 실러 80: 익스텐션 부재
100: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Claims (12)

  1. 외측 면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아웃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터 필러; 및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에 고정되는 글래스;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는,
    상기 센터 필러의 외측 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터 필러의 차폭 방향에 따른 최 외측에 구비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3.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아웃터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센터 필러; 및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상기 사이드 실에 상하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조인트 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은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이격된 실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상기 실 플랜지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에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면과 접합되는 제3 조인트 플랜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조인트 부재의 상부와 접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와 연결되는 글래스 서포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필러 보강 면에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터 플랜지부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면과 접합되는 제3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제1 조인트 플랜지의 상부와 상기 제2 조인트 플랜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글래스 서포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4 조인트 플랜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와 접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어 필러에 연결되는 임펙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센터 필러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필러 보강 면과 접합되며,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조인트 접합 면과,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 플랜지부 및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1 조인트 플랜지와,
    상기 조인트 접합 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된 실 플랜지 및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제2 조인트 플랜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펙트 부재는,
    차폭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이드 아웃터 판넬에 결합되는 포밍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필러에 결합되며, 상기 임펙트 부재와 접합되는 익스텐션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KR1020210188453A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KR20230099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53A KR20230099252A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US17/886,758 US20230202571A1 (en) 2021-12-27 2022-08-12 Side Body Structure for Vehicle
DE102022209267.8A DE102022209267A1 (de) 2021-12-27 2022-09-06 Seitliche karosseriestruktur für ein fahrzeug
CN202211258908.3A CN116353706A (zh) 2021-12-27 2022-10-14 用于车辆的车身侧部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53A KR20230099252A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52A true KR20230099252A (ko) 2023-07-04

Family

ID=8669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53A KR20230099252A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2571A1 (ko)
KR (1) KR20230099252A (ko)
CN (1) CN116353706A (ko)
DE (1) DE102022209267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9267A1 (de) 2023-06-29
CN116353706A (zh) 2023-06-30
US20230202571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21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body reinforcement behind the second row of seats
WO2011074527A1 (ja) 車体フロア構造
JP5387323B2 (ja) 車両の車体構造
KR20220086891A (ko) 차체 결합 구조
US20230211831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20230202576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099252A (ko) 차량용 사이드 구조체
KR101855754B1 (ko) 차량용 센터필러 조립체
US20240140536A1 (en) Roof reinforcement structure for vehicle
US20230331310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CN111038594B (zh) 一种d柱加强结构
KR20230097848A (ko) 차체의 어퍼 바디 구조
US20230202583A1 (en) Vehicle Body Joint Structure
US20240124065A1 (en) Roof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20230202577A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20230382467A1 (en) Vehicle Body Joint Structure
KR20230168867A (ko) 튜블러 타입의 필러 연결 구조
US20230356783A1 (en) Roof Body Structure For Vehicle
US20230382464A1 (en) Vehicle Roof Structure
KR20230097847A (ko) 아웃터 패널 및 그의 성형 방법
KR20240051483A (ko) 차량용 스윙 도어 장착 구조체
KR20220082546A (ko) 차량의 프런트 도어리스 구조
KR20240075396A (ko) 차체 멤버 연결 구조
KR20240046973A (ko) 차체용 벌크헤드 결합 구조체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220059625A (ko) 후방 차체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