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049A -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049A
KR20230099049A KR1020210188091A KR20210188091A KR20230099049A KR 20230099049 A KR20230099049 A KR 20230099049A KR 1020210188091 A KR1020210188091 A KR 1020210188091A KR 20210188091 A KR20210188091 A KR 20210188091A KR 20230099049 A KR20230099049 A KR 2023009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rty
wallet
counterparty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현
이태일
정일진
신희준
장형석
손민재
백상헌
박서빈
권효상
김미주
송정훈
딜쇼드
김동희
김정진
Original Assignee
(주)이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톰 filed Critical (주)이스톰
Priority to KR102021018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049A/ko
Publication of KR2023009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49A/ko
Priority to KR1020240024046A priority patent/KR20240026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사용자측 DID(Distributed Identity) 월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인증 또는 거래의 상대방이 되는 상대방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대방의 VP(Verifiable Presentation)가 획득된 경우, 상대방의 VP를 검증하고,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표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에 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BLOCKCHAIN BASED AUTHENT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거래, 전자서명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와 온라인에서 연결된 상대방(또는 인증 요청)이 정당한 상대방인지를 사용자가 먼저 확인한 후 자신의 인증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온라인 상호인증 DID(Distributed Identity) 기술을 개발하고, 오프라인에서도 밀접 접촉 없이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오프라인 상호인증이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온/오프라인 상호인증 및 거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부주도의 전자인증서 제도의 폐지와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환경이 맞물리면서 그 어느 때 보다 보안성과 편리성을 겸비한 새로운 인증 및 전자서명 기술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보안적 측면에서는 1세대 중앙집중식 인증(Centeral Identity), 2세대 통합식 인증(Federated Identity) 시스템을 넘어, 공격자가 함부로 변조하거나 공격하기 어려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기반의 3세대 분산 신원 인증(Distributed Identity : DID) 시스템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DID 인증 시스템은 온라인 거래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QR 코드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DID 인증 시스템이 사용자의 공개키를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에서 보증하는 안전한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최초 접속한 시스템 또는 인증 요청값(QR 코드, 리턴 URL 등)이 가짜라면 사용자 인증 정보는 언제든 공격자에게 도용될 수 있다. 기존의 DID 인증 기술은 사용자가 누구에게 신원정보를 제공하고 무엇에 전자서명을 하는지에 대한 사전 확인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자신의 신원증명 또는 전자서명만을 상대방에게 제공하게 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즉, 기존의 DID 인증 기술 역시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인증기술(즉, OTP, PKI, 생체인증, 행위기반인증, 블록체인 인증 등을 포함함)과 마찬가지로, 특정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아닌지 만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고, 그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진위 여부까지는 검증하지 않아왔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정당한 서비스 제공자인 것처럼 위장한 악성 공격자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이나 전자서명에 대응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신원 및 전자서명은 도용당할 수 밖에 없다.
악성 공격자는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QR 코드 인증을 예로 들면, 공격자가 사전에 생성한 악성 인증 또는 전자서명 QR 코드를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스마트폰에 배포하고, 정당 사용자가 이를 자신의 스마트폰 앱으로 인식하여 승인하게 되면, 사용자는 어떤 내용을 승인한 것인지 알지 못한 채로 승인하기 때문에 자신의 신원정보를 탈취 당하거나, 전자서명을 빼앗길 수 있다. 이러한 QR 코드 대체에 의한 사기 거래(QRishing)는 오프라인 모바일 인증에서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인증 시스템의 뒷단이 아무리 강력한 블록체인으로 보장되더라도 사용자가 처음 접속한 시스템 또는 인증요청값(QR 코드, 리턴 URL 등)이 가짜라면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전자서명이 언제든지 도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상에서 2M 이상 거리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대면 거래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대두되고 있는데, 1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만 인증되는 QR이나 NFC 인증 방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2M 이상의 방역 거리에서 안전하게 거래 상대방을 확인한 후 사용자 자신의 인증값 또는 전자서명 값을 전달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서비스가 정당한 서비스인지를 먼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해당 서비스로 전달하는 DID 기반의 온라인 상호인증과 거래 기술과, 오프라인에서 2M 이상 안전 방역 거리에서도 거래 상대방(또는 IoT 기기)이 정상 상대방인지 먼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전달하는 오프라인 상호인증 및 거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사용자측 DID(Distributed Identity) 월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인증 또는 거래의 상대방이 되는 상대방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대방의 VP(Verifiable Presentation)가 획득된 경우, 상대방의 VP를 검증하고,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표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에 관한 진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의 VP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상기 상대방의 VP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대방의 전자서명을 검증하며,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VC를 발급한 발급자(Issuer)의 전자서명을 획득하고, 상기 발급자의 공개키로 상기 발급자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이후,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표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방의 VP는, 사전 생성된 고정된 값의 정적 VP이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 측 DID 월렛이 사전 발급된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를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또는 거래 시점에 동적으로 생성한 동적 V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상대방측 DID 월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대방측 DID 월렛은, QR(Quick Response) 코드에 상기 상대방의 VP를 탑재하거나 또는 QR 코드에 상기 상대방의 VP에 접근할 수 있는 보관소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탑재한 후, 상기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서 상기 상대방 VP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화면 표출된 상기 상대방 확인 정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을 인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의 VP를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에서 지정한 제출처로 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과 연동되는 연동기기로부터 송출된 근거리 무선 신호로부터 터미널 식별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터미널 식별값을 터미널 정보 시스템(Terminal Information Server)에 전송하여 상기 터미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터미널 식별값에 대응되는 상기 상대방의 VP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한 터미널 식별값과 상기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의 터미널 식별값이 일치하는지에 관한 검증을 추가 수행하고, 상기 검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의 VP를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에서 지정한 제출처로 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래가 블록체인 기반의 송금 트랜잭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 확인 정보로서 상기 화면에 표출된 수금자 정보에 따른 입금 주소로만 송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송금액을 입력한 경우 해당 입금 주소로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서비스가 정당한 서비스인지를 먼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해당 서비스로 전달하는 DID 기반의 온라인 상호인증 기술을 제공하여 더욱 안전한 신원 인증과 거래가 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도 안전 방역 거리를 유지하면서 안전한 신원 인증 및 거래가 가능한 오프라인 상호인증 및 거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라, 표준 DID 기반한 온라인 사용자 인증으로 웹사이트 로그인 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방식에 따라, 표준 DID 기반한 온라인 사용자 인증으로 전자서명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SVC 검증을 포함하는 표준 DID로 온라인 사용자를 인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SVC 검증을 포함하는 표준 DID로 온라인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수신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증 BLE를 통한 사용자와 사용자간 오프라인 상호인증을 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증 BLE를 통한 사용자와 기기간 오프라인 상호인증을 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월렛으로 서비스 제공자를 검증한 이후 서비스 역시 사용자를 검증한 이후 로그인을 허용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서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QR코드로 계약 상대방을 블록체인에서 확인한 후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제출하는 과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QR 코드로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확인한 이후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M 이상 거리를 둔 오프라인 환경에서 인증BLE로 거래 상대방을 확인한 후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출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금 상대방의 VP 확인 후 송금 거래를 하는 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서비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케이스에서의 서비스 화면 예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금 상대방의 VP 확인 후 송금 거래를 하는 방법에 관한 제2 실시예의 서비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케이스에서의 서비스 화면 예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폐 출금 거래를 하는 방법에 관한 서비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케이스에서의 서비스 화면 예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 일반적인 DID 기술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라, 표준 DID 기반한 온라인 사용자 인증으로 웹사이트 로그인 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방식에 따라, 표준 DID 기반한 온라인 사용자 인증으로 전자서명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DID 월렛앱으로 PC에 표출된 QR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QR코드에 탑재된 리턴 URL로 사용자 인증값인 VP값을 제출하는 경우의 서비스 처리 흐름을 보여주고 있고, 도 2에서는 QR코드에 담기 너무 큰 내용의 전자서명을 진행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의 리턴URL에 거래 메시지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해당 메시지에 대해 전자서명한 VP를 제출하는 서비스 처리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사용자 인증 또는 전자서명 흐름은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사용자 월렛으로 사용자 VP를 제출 받는 주소를 탑재한 QR 또는 Link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URL주소 또는 링크로 VP를 제출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또는 전자서명이 이루어 진다. 즉, 종래 방식에 따른 표준 DID에 기반한 인증 과정은 사용자 인증만이 수행될 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서명을 요구하는 상대방에 관한 진위 여부에 관한 검증은 진행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서비스가 정당한 서비스인지를 먼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해당 서비스로 전달하는 DID 기반의 온라인 상호인증과 전자서명 기술을 제공하며, 또한 오프라인 상에서도 거래 상대방(또는 IoT 기기)이 정상 상대방인지 먼저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전달하는 오프라인 상호인증 및 전자서명 기술을 제공한다. 이에 관하여 이하 도 3 ~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 도 6에서, Holder(DID 월렛)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측 DID 월렛을 지칭하고, PC(Personal computer)는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를 지칭하고, Verifier는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인증 또는 거래의 상대방이 되는 상대방 시스템(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경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시스템, 도 5 및 도 6의 경우 오프라인 트랜잭션의 상대방 시스템)을 지칭한다.
또한, 도 3 ~ 도 6에서, SVC(Service Verifiable Credential)는 소정의 발급 기관(Issuer)로부터 발급된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를 지칭하고, SVP(Service Verifiable Presentation)는 상기 SVC로부터 생성된 상대방의 VP(Verifiable Presentation)를 지칭한다.
[DID 기반의 온라인 상호 인증 - SVP로 서비스 제공자 확인 이후, 사용자 인증 정보 전송 방식]
도 3은 SVC 검증을 포함하는 표준 DID 기반한 온라인 사용자 인증으로 전자서명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PC로 소정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함에 따라[도 3의 도면부호 1 참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상대방 시스템은 사용자의 PC 화면에 QR 코드가 표출될 수 있도록 QR 코드를 리턴한다[도 3의 도면부호 3 참조]. 이때, QR 코드에는 사용자의 VP를 요구하는 리턴 URL 이외에도 그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 자신의 VP(즉, SVP)도 포함된다.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DID 월렛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도 3의 도면부호 4 참조], 사용자측 DID 월렛은 QR 코드 인식을 통해 획득된 SVP를 이용하여 상대방인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진위 여부에 관한 검증을 수행한다[도 3의 도면부호 5 참조].
이때, 사용자측 DID 월렛을 통한 상대방의 진위 여부 검증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측 DID 월렛은, QR 코드 인식을 통해 획득된 SVP에 포함된 DID 정보(Distribu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이는 일종의 공개키 주소일 수 있음)를 참조하여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에 공개키를 조회하고, 조회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SVP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이때, 복호화된 SVP에는 상대방의 VC(즉, SVC), 상대방의 전자서명값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된 SVP에 포함된 SVC에는 해당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이하, 이를 상대방 확인 정보라 간략 명명함)는 물론, 그 SVC를 발급한 발급자(Issuer)의 전자서명값 및 공개키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SVP에 대응되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의 전자서명값을 검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측 DID 월렛은, SVP에 대응되는 공개키와 소정의 해쉬 함수(이는 상대방이 해당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한 해쉬 함수임)를 이용하여 생성한 전자서명값과 복호화된 SVP에 포함된 상대방의 전자서명값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대방의 전자서명값의 진위를 검증(즉, SVP의 진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발급자의 전자서명값을 검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측 DID 월렛은, 먼저, SVC에 포함된 발급자의 공개키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발급자의 공개키를 획득하고, 획득된 발급자의 공개키와 소정의 해쉬 함수(이는 발급자가 해당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한 해쉬 함수임)를 이용하여 생성한 전자서명값과 SVC에 포함된 발급자의 전자서명값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발급자의 전자서명값의 진위를 검증(즉, SVC 그 자체의 진위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VP 및 SVC의 진위 검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측 DID 월렛은, 복호화된 SVP에 포함된 상대방 확인 정보(즉, 검증 완료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월렛 앱 화면 상에 표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월렛 앱 화면을 통해서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확인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상대방에 관한 진위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대방 진위 확인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월렛 앱 화면을 통해 확인 처리(예를 들어, 확인 버튼 클릭)를 하면, 사용자측 DID 월렛은 사용자의 VP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VP가 Verifier(즉,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SVC에서 지정한 제출처(즉, 리턴 URL 등)로 제출되도록 한다[도 3의 도면부호 6 및 7 참조]. 이때, 사용자의 VP 제출 과정 및 이후의 사용자 인증에 따른 서비스 처리 과정[도 3의 도면부호 8 ~ 10 참조]은 앞선 도 1 및 도 2에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대방측 시스템인 서비스 제공자(도 3에서 Verifier)는 정적으로 생성된 SVP를 제공할 수도 있고, 동적으로 생성된 SVP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적으로 SVP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서비스측 DID 월렛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서비스측 DID 월렛은, QR 코드에 SVP를 탑재하거나 또는 QR 코드에 SVP에 접근할 수 있는 보관소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탑재한 후, 상기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의 온라인 상호인증 케이스에 관한 서비스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가 도 7에 도시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도 3의 온라인 서비스 상호인증 프로세스는 도 4에서의 전자계약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DID 기반의 온라인 전자서명 케이스로서, SVP로 서비스 제공자 확인 이후, 전자계약을 위한 사용자의 서명을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도 4의 온라인 상호인증 케이스에 관한 서비스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가 도 8에 도시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도 3의 온라인 서비스 상호인증 프로세스는 도 5 및 도 6의 오프라인 상호인증 케이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상호인증 케이스에서도 QR 코드가 활용될 수 있으나(도 9의 서비스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 참조), 도 5 및 도 6에서는 근거리 무선 신호인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이 활용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BLE 비콘을 이용하면 2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오프라인 상호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비스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BLE 비콘을 이용한 오프라인 상호인증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이와 연동되는 기기에는 BLE 비콘 송출 모듈이 탑재될 필요가 있다. 이때, BLE 송출 모듈이 탑재되는 기기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할 뿐 서버로서 동작하지 못하기 때문에, BLE 비콘 신호의 메시지 내에 SVP를 탑재하여 송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BLE 비콘을 이용한 오프라인 상호인증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도 5 및 도 6과 같이 TIS(Terminal Information Server)이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의할 때, TIS는 상대방측 시스템인 Verifier와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고 있지만,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Verifier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상호 인증 ?? BLE 비콘와 TIS를 이용하되, SVP로 오프라인 상대방 확인 후,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
도 5은 인증 BLE를 통한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간 오프라인 상호 인증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대방 측으로부터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도 5의 도면부호 1 참조], 이로부터 BLE 비콘 신호에 포함된 UUID(즉, 터미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구현 방식에 따라 BLE 비콘 신호 내에는 터미널 식별 정보 이외에도 터미널 인증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측 DID 월렛은, 터미널 식별 정보를 TIS로 전송하여 해당 터미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SVP를 획득할 수 있다[도 5의 도면부호 2 및 3 참조]. 이후, 사용자측 DID 월렛은 획득된 SVP를 이용하여 상대방 진위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도 5의 도면부호 4 참조]. 이때의 상대방 진위 확인 과정은 앞선 도 3의 설명에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상대방 진위 확인이 완료되면, 사용자측 DID 월렛은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월렛 앱 화면을 통해 표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대방 확인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의 VP를 생성하여 상대방측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도 5의 도면부호 5 및 6 참조]. 이때, 사용자의 VP 제출 과정 및 이후의 사용자 인증에 따른 서비스 처리 과정[도 5의 도면부호 7 ~ 9 참조]도 앞선 도 1 및 도 2에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오프라인 상호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측 DID 월렛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측 DID 월렛은, BLE 비콘을 수신된 상대방측의 고유 식별값(UUID)과 TIS로부터 수신한 SVP 내의 고유 식별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SVP 내용이 정당하다고 판단하고 월렛 앱 화면에 상대방 확인 정보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대방측의 고유 식별값과 인증값(60초마다 변경되는 가변값)으로 구성된 상대방측의 BLE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의 VP 제출시 상대방측의 인증값을 함께 사용자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상대방측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측 시스템은, 사용자의 VP를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검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측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VP에 포함된 인증값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BLE 비콘 신호 송출 영역에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였음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온라인 상호인증 케이스에 관한 서비스 처리 과정의 화면 예시가 도 10에 도시되고 있다.
[오프라인 상호 인증 - SVP로 오프라인 IoT 확인 후,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
도 6은 인증 BLE를 통한 사용자와 기기간 오프라인 상호인증을 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5의 예시와 같은 오프라인에서 사람 간의 상호 인증이외에도, 사용자와 무인화 기기(도 6의 예시의 출입문, 주류 자동판매기 등) 간의 상호 인증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은 블록체인 상의 송금, 입출금 등의 트랜잭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이를 도 11 ~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익명성이 강조되어 수금자나 수신자의 개인정보가 블록체인에 담겨져 있지 않았으나, 관련법이 개정되면서 점차 송금자 및 수금자 간의 실명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은 신원 인증 뿐만 아니라 가상화폐(코인/토큰) 거래시 송금자와 수금자 확인 과정에도 이용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누구에게 코인/토큰을 전송하는지 확인하지 못한채 공개키 주소로만 코인/토큰을 전송해야 했다. 따라서 잘못된 공개키 주소를 입력하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고, 공개키 주소가 올바르 더라도 블록체인을 잘못 선택한 후 해당 공개키 주소로 송금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을 코인/토큰 송금 거래에도 적용하게 되면, DID를 기반으로 수취인의 정보를 먼저 확인한 이후, 월렛에서 해당 DID 정보에 담겨진 상대방 확인 정보(수금자명, 블록체인, 공개키 주소 등)를 사용자에게 표출한 후 사용자가 동의하면, 해당 입금 주소인 공개키 주소로만 송금액을 입력받아 블록체인으로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안전한 트랜잭션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송금액까지도 DID 정보에 탑재하여 사용자가 송금액까지 입력하지 않고도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있는 월렛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간의 모바일 대 모바일로 거래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금 상대방의 VP 검증 후 송금 거래를 하는 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서비스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케이스에서의 서비스 화면 예시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에서 돈을 수금하고자 하는 사람이 수금자의 정보를 탑재하고 있는 VP 정보를 QR로 제시하고(또는 수취인의 VP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QR코드로 제시할 수 있음), 돈을 송금하고자 하는 사람이 수취인이 제시한 VP 정보를 습득하여 블록체인에서 검증한 후, 수취인의 정보를 화면에서 확인 한 후 송금자가 수취인 정보를 확인하면, VP내에 포함된 수취인의 블록체인과 공개키 주소로 송금 주소가 고정된 이후, 월렛에서 송금액을 입력하여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예시이다.
다른 적용예는 가상화폐 거래소 웹사이트로 자신의 모바일 월렛에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입금하는 예로서, 이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고 있다. 또 다른 적용예는 가상화폐 거래소 웹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자신의 모바일 월렛으로 출금하는 예로서, 이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상화폐 거래소 웹사이트로 자신의 모바일 월렛에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입금하려는 경우, 가상화폐 거래소가 제시하는 VP 습득 목적의 QR 코드를 입급자가 모바일 월렛에서 스캔하여 가상화폐 거래소의 VP를 블록체인에서 검증하고, 검증된 VP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한 후 사용자가 입금자 정보에 동의하면 월렛에서 VP에 포함되어 있던 정보 중에서 일부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수금자 주소 등을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입력하려는 금액만 입력 한 후, 모바일 앱에서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가상화폐 거래소 웹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을 자신의 모바일 월렛으로 출금하려는 경우, 거래소가 제시하는 VP 제출용 QR코드를 모바일 월렛에서 먼저 스캔하고, 모바일 월렛에서 QR코드에 탑재된 주소로 월렛에 보관중인 사용자 자신(즉, 출금자)의 VP를 제출하면, 가상화폐 거래소 웹사이트가 제출받은 사용자의 VP를 블록체인에서 검증하고, 사용자가 웹 화면에서 출금 정보에 동의하면 VP에 포함되어 있던 정보 중에서 일부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수금자 주소 등을 고정한 후, 사용자가 출금 금액을 입력하면 거래소가 블록체인으로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사용자측 DID(Distributed Identity) 월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인증 또는 거래의 상대방이 되는 상대방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대방의 VP(Verifiable Presentation)가 획득된 경우, 상대방의 VP를 검증하고,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표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의 VP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상기 상대방의 VP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대방의 전자서명을 검증하며,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VC를 발급한 발급자(Issuer)의 전자서명을 획득하고, 상기 발급자의 공개키로 상기 발급자의 전자서명을 검증한 이후,
    검증된 상대방 확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표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상대방측 DID 월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대방의 VP는, 사전 생성된 고정된 값의 정적 VP이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 측 DID 월렛이 사전 발급된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를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 또는 거래 시점에 동적으로 생성한 동적 VP이며,
    상기 상대방측 DID 월렛은, QR(Quick Response) 코드에 상기 상대방의 VP를 탑재하거나 또는 QR 코드에 상기 상대방의 VP에 접근할 수 있는 보관소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탑재한 후, 상기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서 상기 상대방 VP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화면 표출된 상기 상대방 확인 정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을 인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의 VP를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에서 지정한 제출처로 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과 연동되는 연동기기로부터 송출된 근거리 무선 신호로부터 터미널 식별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터미널 식별값을 터미널 정보 시스템(Terminal Information Server)에 전송하여 상기 터미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터미널 식별값에 대응되는 상기 상대방의 VP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근거리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한 터미널 식별값과 상기 복호화된 VP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의 터미널 식별값이 일치하는지에 관한 검증을 추가 수행하고, 상기 검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의 VP를 상기 상대방측 시스템 또는 상기 상대방의 VC(Verifiable Credential)에서 지정한 제출처로 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가 블록체인 기반의 송금 트랜잭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측 DID 월렛은,
    상기 상대방 확인 정보로서 상기 화면에 표출된 수금자 정보에 따른 입금 주소로만 송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송금액을 입력한 경우 해당 입금 주소로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KR1020210188091A 2021-12-27 2021-12-27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KR20230099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91A KR20230099049A (ko) 2021-12-27 2021-12-27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KR1020240024046A KR20240026478A (ko) 2021-12-27 2024-02-20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91A KR20230099049A (ko) 2021-12-27 2021-12-27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046A Division KR20240026478A (ko) 2021-12-27 2024-02-20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49A true KR20230099049A (ko) 2023-07-04

Family

ID=871561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091A KR20230099049A (ko) 2021-12-27 2021-12-27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KR1020240024046A KR20240026478A (ko) 2021-12-27 2024-02-20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4046A KR20240026478A (ko) 2021-12-27 2024-02-20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9904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478A (ko)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0931B2 (en) Method for reading an attribute from an ID token
US9813236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a smartcard
US8132243B2 (en) Extended one-time password method and apparatus
US9398004B2 (en) Method for reading attributes from an ID token
US924099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oft token
US8627437B2 (en) Method for reading attributes from an ID token
US8132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a smartcard and a smartcard reader
US7552333B2 (en) Trusted authentication digital signature (tads) system
US20110238573A1 (en) Cardless atm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US20130219481A1 (en) Cyberspace Trusted Identity (CTI) Module
AU2001283128A1 (en) Trusted authentication digital signature (TADS) system
KR20050083594A (ko) 바이오메트릭 개인키 인프라스트럭처
JP2017537421A (ja) 支払いトークンのセキュリティを確保する方法
WO2009101549A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gistering and authenticating a user at a service provider
KR20130107188A (ko) 사운드 코드를 이용한 인증 서버 및 인증방법
US10867326B2 (en) Reputation system and method
KR20230099049A (ko)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US20240046265A1 (en) Blockchain based authent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
US20240129139A1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two independent security elements
KR20170099339A (ko) 보안 회원가입 및 로그인 호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76575A (ko) 고객 인증처리 방법
KR20140119450A (ko) 보안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7481A (ko) 고객 인증 중계처리 서버
KR20070077480A (ko) 고객 인증처리 서버
KR20010103061A (ko) Pki의 전자서명과 암호화 기술을 이용한 이메일금융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