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212A -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 Google Patents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212A
KR20230098212A KR1020237016523A KR20237016523A KR20230098212A KR 20230098212 A KR20230098212 A KR 20230098212A KR 1020237016523 A KR1020237016523 A KR 1020237016523A KR 20237016523 A KR20237016523 A KR 20237016523A KR 20230098212 A KR20230098212 A KR 2023009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hingedly connected
article
to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 엔. 체스넷
마가렛 비. 스테일리
줄리엔 메르조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9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65D71/4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태는 패키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상부 맞물림 캐리어, 및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상부 맞물림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부 맞물림 캐리어는 상부 패널과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과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부 패널은 측면 패널 사이를 가교한다.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을 따라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본 발명은 물품 캐리어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는,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상부-파지형의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포장 분야에서 여러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소비자가 소비를 위해 한 그룹의 물품을 운반, 저장 및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비용 및 환경적 고려를 위해, 그러한 카톤 또는 캐리어는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 형성되어야 하며 가능한 한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추가 고려 사항은 카톤의 강도와 큰 무게의 물품을 보관하고 운반하는 데 적합성이다. 카톤의 내용물은 카톤 안에서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의 패널에 구멍이 형성되고, 탭들이 상기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구멍 둘레에 배열되는 상부 파지형 물품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탭들은 물품이 구멍에 수용될 때 상기 패널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며, 여기서 상기 탭들은 일반적으로 물품의 플랜지 또는 가장자리 둘레에서 물품과 맞물린다.
패키지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반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판지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카톤 분야의 개선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맞물리기 위한 물품 캐리어를 제공한다. 이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top panel)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상부 패널과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과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부 패널 각각은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한다.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패널은 패키지의 맞물림 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포장되는 물품들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이 상기 상부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이 상기 상부 패널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부분적으로 연장된 절단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의 대향 단부들에서 미치지 못해 멈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 패널들 각각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면 패널들 각각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잠금 특징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패널은 적어도 2개의 경사진(bevelled), 필렛(filleted) 또는 연귀(mitred)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는 상기 경사진 모서리들 사이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선은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부 패널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식 연결부는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도록 절단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단선은 판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부 패널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식 연결부는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 결과로 절단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물품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둘러싸기 위한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는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측면 패널과, 제1 측면 패널에 힌지 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외측 단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 단부 패널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내측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가교 부분과 맞물리는 가교-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맞물림 특징부는 적어도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가교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과 면-접촉 배열로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결속 구조체는 물품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물품들의 퍼짐 또는 벌어짐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물품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둘러싸기 위한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는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측면 패널과, 제1 측면 패널에 힌지 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은 상기 단부 패널과 면-접촉 배열로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물품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둘러싸기 위한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이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는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단부 패널과, 제1 단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측면 패널을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은 면-접촉 배열로 상기 측면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부-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한다. 이 블랭크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블랭크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블랭크는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부 패널 각각은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한다.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단선은 상기 상부-맞물림 캐리어의 형성 시 파단되지 않고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물품 캐리어 및 다수의 물품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한다. 물품들은 대향하는 단부를 포함한다. 물품 캐리어는 각 물품과 맞물린다. 물품 캐리어는 다수의 물품 각각과 맞물리는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을 포함한다. 물품 캐리어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과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부 패널들 각각은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한다.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 패널은 패키지의 맞물림 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패널은 포장되는 물품들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부-맞물림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한다. 상기 캐리어는 각각의 물품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과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부 패널 각각은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한다.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운반 손잡이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절단선은 적어도 하나의 파단성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성 연결 요소는 온전하거나, 상기 운반 손잡이의 초기 사용 전에,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부 패널에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패널은 포장되는 물품들의 상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장점은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논의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선행 단락들에서, 청구범위 및/또는 하기 설명 및 도면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 실시형태, 예시, 특징 및 대안은 독립적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또는 요소는 특징의 호환성이 있는 한 모든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요소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실시형태 중 임의의 것에 통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출된 상기 특징 또는 요소는 상기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요소에 추가로 또는 대체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형태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그 실시형태의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추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일 실시형태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그 실시형태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용 중인 운반 손잡이를 도시하는, 도 2의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사용 중인 운반 손잡이를 도시하는, 도 6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사용 중인 운반 손잡이를 도시하는, 도 8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사용 중인 운반 손잡이를 도시하는, 도 10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여기에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특정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완전한 목록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시, 표본, 모델 또는 패턴으로 작용하는 실시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실제로, 여기에 설명된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은 다양하고 대안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표시한 것은 아니며 일부 기능은 특정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과장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공지된 구성요소, 재료 또는 방법은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아주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청구범위에 대한 기초로서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가르치기 위한 대표적인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병 또는 캔(이하, 물품(B)이라 함)과 같은 일군의 1차 제품을 수용하고 운반하기 위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톤 또는 캐리어(90)를 형성할 수 있는 블랭크(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10)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B)를 포장하는 2차 패키지를 형성한다.
도 4. 6, 8, 및 10에 도시되어 있는 대안적인 블랭크(110, 210; 310; 410)는 캔(이하, 물품(B)이라 함)과 같은 일군의 1차 제품을 수용하고 운반하기에 적합한, 도 5, 7, 9,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톤 또는 캐리어(190; 290; 390; 49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실시형태에서, "카톤" 및 "캐리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예시하기 위한 비 제한적인 목적을 위해, 1차 제품 용기와 같은 물품을 결합 및 운반하기 위한 용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교시는 테이퍼형 또는 원통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양한 제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용기는 병(예를 들어,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캔(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 깡통(tin), 파우치(pouches), 패킷(packets) 등을 포함한다.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적합한 기재의 시트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적합한 기재"는 판지(paperboard), 골판지, 카드보드(cardboard), 플라스틱,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모든 방식의 접을 수 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합한 경우,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블랭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포장 구조물 또는 카톤(90; 190; 290; 390; 490)은 판지와 같은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재료의 예로 웨스트락 컴퍼니(WestRock Company)에서 제조한 찢김 내성의 NATRALOCK® 판지가 있다. 찢김 내성 재료는, 패키지의 찢김 내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2개 이상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트 재료의 한 표면은 다른 표면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성된 패키지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시트 재료의 표면은 특히 매끄러울 수 있고 우수한 인쇄성을 제공하기 위해 점토 코팅 또는 기타 표면 처리와 같은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내부를 향하는 시트 재료의 표면은, 다른 한편으로, 코팅, 층, 처리가 제공되거나, 또는 찢김 내성, 우수한 접착성, 열 밀봉성 또는 기타 원하는 기능적 특성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특성을 제공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예시적인 물품(B)의 예시적인 배열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9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열은 2×3 행렬 또는 어레이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3개 물품씩 2줄이 제공되고, 물품(B)은 날씬한 형상의 330ml 음료수 캔이다.
대안적으로,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다른 유형, 개수 및 크기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및/또는 다른 배열 또는 구성으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리어(90)의 상부 벽 또는 맞물림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 패널(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12, 14, 16, 18, 20)을 포함하는 블랭크(10)가 도시되어 있다(도 2 참조).
제1 측면 패널(18)은 접힘선(17)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2)의 제1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20)은 접힘선(19)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2)의 제2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10)는 제1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절단 가능한 선(13)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2)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 패널(14)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13)은 파단성 자국(frangible nick)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cut) 또는 슬릿(slit)을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61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8)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모서리 패널(60A)을 포함한다. 제2 모서리 패널(60B)은 접힘선(61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6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모서리 패널(60A)에 힌지식 연결된 제1 고정 패널(64A)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64B)은 접힘선(6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모서리 패널(6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웹 패널(68A)은 접힘선(69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에서 제1 고정 패널(6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71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단부 패널(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구멍 형태의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1 고정 패널(64A)로부터 제1 웹 패널(68A)을 분리한다. 상기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1 웹 패널(68A)로부터 제1 모서리 패널(60A)을 분리한다. 상기 절개부는 메인 패널(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웹 패널(68B)은 접힘선(69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에서 제2 고정 패널(6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71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단부 패널(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구멍 형태의 제2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2 고정 패널(64B)로부터 제2 웹 패널(68B)을 분리한다. 제2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2 웹 패널(68B)로부터 제2 모서리 패널(60B)을 분리한다. 제2 절개부는 메인 패널(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10)는 제2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절단 가능한 선(15)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2)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 패널(16)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15)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65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8)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모서리 패널(62A)을 포함한다. 제4 모서리 패널(62B)은 접힘선(6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0)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67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3 모서리 패널(6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66A)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66B)은 접힘선(67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4 모서리 패널(6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웹 패널(70A)은 접힘선(7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에서 제3 고정 패널(6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75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단부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구멍 형태의 제3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3 고정 패널(66A)로부터 제3 웹 패널(70A)을 분리한다. 제3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3 웹 패널(70A)로부터 제3 모서리 패널(62A)을 분리한다. 제3 절개부는 메인 패널(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3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웹 패널(70B)은 접힘선(7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에서 제4 고정 패널(6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75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단부 패널(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구멍 형태의 제4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4 고정 패널(66B)로부터 제4 웹 패널(70B)을 분리한다. 제4 절개부는 메인 패널(12) 및 제4 웹 패널(70B)로부터 제4 모서리 패널(62B)을 분리한다. 제4 절개부는 메인 패널(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4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18), 제1 모서리 패널(60A), 제1 고정 패널(64A), 제3 모서리 패널(62A) 및 제3 고정 패널(66A)은 메인 패널(12)의 제1 측면을 따라 제1 스트랩(64A/60A/18/62A/66A)을 형성한다. 제2 측면 패널(20), 제2 모서리 패널(60B), 제2 고정 패널(64B), 제4 모서리 패널(62B) 및 제4 고정 패널(66B)은 메인 패널(12)의 제2 측면을 따라 제2 스트랩(64B/60B/20/62B/66B)을 형성한다.
제1 측면 패널(18), 제1 모서리 패널(60A), 제1 고정 패널(64A), 제3 모서리 패널(62A) 및 제3 고정 패널(66A)은 결속 구조체(bundling structure)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패널(60A) 및 제1 고정 패널(64A)은 제1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3 모서리 패널(62A)과 제3 고정 패널(66A)은 제1 세그먼트의 제2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1 단부 패널(14)은 상기 결속 구조체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 패널(20), 제2 모서리 패널(60B), 제2 고정 패널(64B), 제4 모서리 패널(62B) 및 제4 고정 패널(66B)은 결속 구조체의 제3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서리 패널(60B)과 제2 고정 패널(64B)은 제3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4 모서리 패널(62B) 및 제4 고정 패널(66B)은 제3 세그먼트의 제2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2 단부 패널(16)은 상기 결속 구조체의 제4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패널(12)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12)은 복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특히 2×3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6개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각각은 개구 또는 구멍(A7, A8)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물품 수용 개구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개구(A7, A8) 둘레에 환형 시리즈로 배열된 복수의 치형부 또는 탭(46, 44)의 형태를 취한다.
블랭크(10)는 제1 개구 또는 구멍(A7)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제1 또는 최말단 물품 유지 구조체(RT1)를 포함한다. 블랭크(10)는 제2 개구 또는 구멍(A8)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제2, 내측 또는 중간 물품 유지 구조체(RT2)를 포함한다.
최말단 물품 유지 구조체(RT1)는 메인 패널(12)에 한정되거나 메인 패널(12)로부터 형성되는 제1 구멍(A7)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물품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중간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메인 패널(12)에 한정되거나 메인 패널(12)로부터 형성되는 제2 구멍(A8)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물품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최말단 물품 유지 구조체(RT1) 및 중간 물품 유지 구조체(RT2) 각각은 제1 또는 제2 구멍(A7, A8) 주위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치형부 또는 탭(46, 44)을 포함한다.
복수의 치형부(46, 44)는 메인 패널(12)에 의해 제공된다. 각 치형부(46, 44)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는 복수의 절단선(42, 5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선(42, 54)은 제1 또는 제2 구멍(A1, A2) 둘레에 절단선의 환형 시리즈로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선(42, 54)은 원의 일부를 한정하거나 근사할 수 있다.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 각각은 구성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0)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 중 제1의 것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는 구멍(A1)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또는 완전 치형부(46)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치형부(46) 각각은 힌지 에지(hinged edge)에 대향하는 맞물림 에지(E1)를 포함한다. 맞물림 에지(E1)는 개구(A7)를 한정하는 절단선의 직선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각 맞물림 에지(E1)는 16각형의 일부를 한정한다. 예시된 실시형태는 16각형의 일부를 함께 한정하는 8개의 제1 치형부(46)를 포함한다. 각 치형부(46)는 한 쌍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측면 에지는 상기 16각형의 각각의 꼭짓점으로부터 즉, 제2 개구(A8)를 한정하는 절단선의 한 쌍의 인접한 직선 부분들 사이의 각각의 꼭짓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절단선(47, 48)에 의해 한정된다. 절단선(47, 48)은 서로에 대해 발산적으로 배열되고 그 사이의 각도를 한정하며, 이 각도는 약 22.5°일 수 있다.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는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하나 또는 그의 가상 연장선이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중 해당하는 하나를 이등분하도록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상기 하나와 정렬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각각을 이등분하는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해당하는 하나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인접하게 배치된 치형부(46, 44) 사이에 연결 자국 또는 가교 부분을 한정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직선일 수 있다.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는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은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중 한 쌍 사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각 치형부(46, 44)와 메인 패널(12) 사이에 한 쌍의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을 한정한다. 한 쌍의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은 각 치형부(46, 44)와 메인 패널(12) 사이에 힌지식 또는 접을 수 있는 연결부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은 직선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아치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은 물품 수용 개구의 직경의 절반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은 개구(A7) 직경의 절반보다 큰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은 아치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은 물품 수용 개구의 직경의 절반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은 구멍(A7) 직경의 절반보다 큰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54)은 직선일 때 무한 반경의 원의 일부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의 곡률 반경은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치형부(46, 44)는 제1 오목부 또는 절개부(56B)에 의해 차단된다. 제1 오목부(56B)는 제1 가상 선(y-y) 위에 놓인다. 제1 가상 선(y-y)은 개구(A7, A8)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56B)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 가상 선(y-y)은 블랭크(10)의 결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상 선(y-y)은 결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지향된다. 제1 가상 선(y-y)은 블랭크(10)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치형부(46, 44)는 제2 오목부 또는 절개부(56C)에 의해 차단된다. 제2 오목부(56C)는 제2 가상 선(x-x) 상에 있다. 제2 가상 선(x-x)은 개구(A7, A8)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56C)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2 가상 선(x-x)은 블랭크(10)의 결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상 선(x-x)은 결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지향된다. 제2 가상 선(x-x)은 블랭크(10)의 횡 방향 또는 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오목부(56B)는 제1 마이너 섹터에 의해 한정된 제1 원호를 점유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1 마이너 섹터는 부분적으로는 제1 섹터 가상 선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제2 섹터 가상 선에 의해 한정되며, 제1 섹터 가상 선은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56B)의 제1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며, 제2 섹터 가상 선은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56B)의 제2 대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한다. 제1 및 제2 섹터 가상 선은 그 사이에 각도를 한정한다. 이 각도는 35° 내지 50° 범위일 수 있고, 약 45°일 수 있다.
제2 오목부(56C)는 제2 마이너 섹터에 의해 한정된 제2 원호를 점유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2 마이너 섹터는 부분적으로는 제3 섹터 가상 선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제4 섹터 가상 선에 의해 한정되며, 제3 섹터 가상 선은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56C)의 제1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3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며, 제4 섹터 가상 선은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56C)의 제2 대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4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한다. 제3 및 제4 섹터 가상 선은 그 사이에 각도를 한정한다. 제3 각도는 35° 내지 50° 범위일 수 있고, 약 45°일 수 있다.
제1 및 제3 섹터 가상 선은 주요 또는 제1 치형 섹터를 한정하고, 제1 치형 섹터는 제3 원호를 한정한다; 제3 원호는 치형부(46, 44)에 의해 점유된다. 즉, 치형부(46, 44)는 제1 구멍(A7)의 주변 영역에서 제43원호 주위에 배치된다.
제2 및 제4 섹터 가상 선은 제3 마이너 섹터 또는 제2 치형 섹터를 한정하고, 제2 치형 섹터는 제4 원호를 한정한다. 제4 원호는 치형부(46, 44)에 의해 점유된다. 즉, 치형부(46, 44)는 제1 구멍(A7)의 주변 영역에서 제4 원호 주위에 배치된다.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는 제2 오목부(56C)에 대향하는 제1 맞물림 탭(T1)과 제1 오목부(56B)에 대향하는 제2 맞물림 탭(T2)을 포함한다.
제1 맞물림 탭(T1)은 제1 또는 제2 측면 패널(18, 2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 맞물림 탭(T2)은 제1 또는 제2 단부 패널(14, 16)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1 맞물림 탭(T1)은 메인 패널과 일체이다. 즉, 제1 및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54)은 생략하였다. 제1 맞물림 탭(T1)은 메인 패널(12)을 각각의 측면 패널(18, 20)에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접힘선(17, 19)에 근접하다.
제2 맞물림 탭(T2)은 메인 패널(12)과 일체이다. 즉, 제1 및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54)이 생략되어 있다. 제2 맞물림 탭(T2)은 메인 패널(12)을 각각의 단부 패널(14, 16)에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절단선(13, 15)에 근접하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 각각은 구성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 중 제1의 것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 중 제1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제2 개구(A8)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물품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제2 구멍(A8)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치형부(46, 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치형부(46, 44) 또는 적어도 그의 자유 에지는 제2 가상 원을 한정하거나 근사할 수 있다.
복수의 치형부(46, 44)는 접힘선에 의해 메인 패널(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접힘선은 복수의 절단선(42, 5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선(42, 54)은 원을 한정하거나 근사할 수 있다.
제2 구멍(A8)은 제2 구멍(A8)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또는 완전 치형부(46)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치형부(46) 각각은 힌지식으로 연결된 에지에 대향하는 맞물림 에지(E1)를 포함한다. 맞물림 에지(E1)는 제2 개구(A8)를 한정하는 절단선의 직선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각각의 맞물림 에지(E1)는 16각형의 일부 또는 측면을 한정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16각형의 일부를 함께 한정하는 7개의 제1 치형부(46)를 포함한다. 각각의 치형부(46)는 한 쌍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측면 에지는 16각형의 각각의 꼭짓점으로부터, 즉, 제2 개구(A8)를 한정하는 절단선의 한 쌍의 인접한 직선 부분 사이의 각각의 꼭짓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절단선(47, 48)에 의해 한정된다. 절단선(47, 48)은 서로에 대해 벌어져 배열되고 그 사이의 각도를 정의하며, 각도는 약 22.5°일 수 있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하나와 정렬되며, 상기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상기 하나 또는 그것의 가상 연장선은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의 해당하는 하나를 이등분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치형부(46, 44) 사이의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을 정의하기 위해 이를 이등분하는 반경 방향 절단선(47, 48) 중 하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은 치형부(46)의 베이스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각각은 직선형일 수 있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은 복수의 제1 원주방향 절단선(54) 중 한 쌍 사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각 치형부(46, 44)와 메인 패널(12) 사이에 한 쌍의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을 한정한다. 한 쌍의 연결 닉 또는 가교 부분은 각 치형부(46, 44)와 메인 패널(12) 사이에 힌지식 또는 접을 수 있는 연결부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각각은 직선형일 수 있다.
복수의 치형부(46, 44)는 제1 오목부 또는 절개부(56B)에 의해, 제2 오목부 또는 절개부(56C)에 의해, 및 제3 오목부 또는 절개부(56A)에 의해 차단된다.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는 각각 제1 가상 선(y-y) 상에 놓여 있다. 제1 가상 선(y-y)은 제2 개구(A8)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의 각각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 오목부(56B)는 제1 마이너 섹터에 의해 정의된 제1 원호를 점유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제1 마이너 섹터는 부분적으로 제1 섹터 가상 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2 섹터 가상 선에 의해 한정되며, 제1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56B)의 제1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며, 제2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56B)의 제2 대향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한다. 제1 및 제2 섹터 가상 선은 그 사이에 각도를 정의한다. 이 각도는 35° 내지 50° 범위일 수 있고, 약 45°일 수 있다.
제2 오목부(56C)는 제2 마이너 섹터에 의해 정의된 제2 원호를 점유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제2 마이너 섹터는 부분적으로 제3 섹터 가상 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4 섹터 가상 선에 의해 한정되며, 제3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56C)의 제1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며, 제4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오목부(56C)의 제2 대향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한다. 제3 및 제4 섹터 가상 선은 그 사이에 각도를 정의한다. 제3 각도는 35°내지 50° 범위일 수 있으며, 약 45°일 수 있다.
제3 오목부(56A)는 제3 마이너 섹터에 의해 정의된 제3 원호를 점유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제3 마이너 섹터는 제5 섹터 가상 선 및 제6 섹터 가상 선에 의해 한정되며, 제5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오목부(56A)의 제1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5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하며, 제6 섹터 가상 선은 상기 가상 원의 중심(C)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오목부(56A)의 제2 대향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6 부분 치형부(44)의 측면 에지를 통과한다. 제5 및 제6 섹터 가상 선은 그 사이에 각도를 정의한다. 제3 각도는 35° 내지 50° 범위일 수 있고, 약 45°일 수 있다.
제1 및 제5 섹터 가상 선은 주요 또는 제1 치형 섹터를 한정하고 제1 치형 섹터는 제4 원호를 한정한다; 제4 원호는 치형부(46, 44)에 의해 점유된다. 즉, 치형부(46, 44)는 제2 구멍(A8)의 주변 영역에서 제4 원호 주위에 배치된다.
제2 및 제4 섹터 가상 선은 제3 마이너 섹터 또는 제2 치형 섹터를 한정하고, 제2 치형 섹터는 제5 원호를 한정한다; 제5 원호는 치형부(46, 44)에 의해 점유된다. 즉, 치형부(46, 44)는 제2 구멍(A8)의 주변 영역에서 제5 원호 주위에 배치된다.
제3 및 제6 섹터 가상 선은 제4 마이너 섹터 또는 제3 치형 섹터를 한정하고, 제3 치형 섹터는 제6 원호를 한정한다. 제6 원호는 치형부(46, 44)에 의해 점유된다. 즉, 치형부(46, 44)는 제2 구멍(A8)의 주변 영역에서 제6 원호 주위에 배치된다.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는 서로 정반대 위치에 있다.
제2 오목부(56C)는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되거나 배치된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의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의 중심은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의 제1 오목부(56B)의 중심과 동일선상에 있다.
각각의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의 제1 오목부(56B)는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 중 인접한 것의 제1 오목부(56B)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그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의 제3 오목부(56A)는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 중 인접한 것의 제1 오목부(56B)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그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2 물품 유지 구조부들(RT2)의 제2 오목부들(56C)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의 제2 오목부(56C)는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의 제2 오목부(56C)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그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는 제2 오목부(56C)에 대향하는 제1 맞물림 탭(T1)을 포함한다.
제1 맞물림 탭(T1)은 제1 또는 제2 측면 패널(18, 2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1 맞물림 탭(T1)은 메인 패널(12)과 일체형이다. 즉, 제1 및 제2 원주방향 절단선(42, 54)은 생략되어 있다. 제1 맞물림 탭(T1)은 메인 패널(12)을 각각의 측면 패널(18, 20)에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접힘선(17, 19)에 근접한다.
블랭크(10)를 형성하는 재료의 결(grain)은 제2 물품 유지 구조체(RT2)의 제1 및 제3 오목부(56B, 56A)의 중심에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블랭크(10)를 형성하는 재료의 결은 제1 물품 유지 구조체(RT1)의 제1 오목부(56B)의 중심에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찢김이 제1 구멍(A7)과 두 번째 구멍(A8) 사이에서 전파되기 위해서는 찢김이 블랭크(10)의 결을 가로질러 전파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랭크(10)는 제1 및 제2 구멍(A7, A8) 사이의 찢김 전파에 대한 최대 저항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2개의 인접한 구멍(A7, A8)이 아주 근접하게 배치되는 위치에 오목부(56B, 56C, 56A)를 제공함으로써 치형부(46)의 제거는, 예를 들어 날렵하거나 슬림한 디자인의 물품(B)(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 물품이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물품의 상부 마개와 물품의 몸체 사이의 직경의 변화는 7mm 미만일 수 있고, 5mm 미만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4mm 미만일 수 있음)을 포장할 때, 찢김 전파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리한 이점은 개구(A7, A8)가 매우 근접한 블랭크(210)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절단선(47, 48)을 제거한 결과일 수 있다.
블랭크(10)는 편평한 형태로 물품 그룹(B)에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대해 접힐 수 있다.
메인 패널(12)은 물품 그룹(B)에 대하여 낮아진다.
블랭크(10)의 각각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물품 그룹 내의 각각의 물품(B)과 정렬된다. 물품(B)의 일부는 메인 패널(12)을 통과한다.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각각에 대한 메인 패널(12)의 치형 영역들은 메인 패널(12)의 평면 밖으로 접힐 수 있다.
메인 패널(12)의 각각의 치형 영역은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각각에 수용된 물품(B) 중 하나에 대해 접힐 수 있다. 메인 패널(12)은 물품(B)에 대해 물품(B)의 어깨 부분(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대해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물품(B)은 캔이고, 어깨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인(neck-in)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치형부(44, 46)의 맞물림 에지(E1)는 돌출부 아래에서 맞물린다. 이 돌출부는 (플랜지를 제공할 수 있는) 물품(B)의 목 또는 차임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물품(B)이 캔인 경우, 돌출부는 캔의 끝 이음새(canner's end seam)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맞물림 특징부 또는 위치는 물품(B)의 융기부 또는 언더컷 성형에 의해, 또는 크라운 코르크 또는 마개(이에 제한되지 않음)와 같은 물품(B)의 단부 폐쇄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 에지는 물품(B)을 잡거나 유지하고 물품(B)이 메인 패널(12)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18, 20)은 물품 그룹(B)의 대향 측면에 대해 접혀진다. 모서리 패널(60A, 60B, 62A, 62B)은 물품 그룹(B)의 모서리에 대해 접혀지고 및 고정 패널(64A, 64B, 66A, 66B)은 물품 그룹(B)의 끝 부분에 대해 접혀진다.
접착제(glue) 또는 다른 접착 처리가 고정 패널(64A, 64B, 66A, 66B)에, 또는 제1 및 제2 단부 패널(14, 16)의 대응 영역의 내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 패널(14, 16)은 물품 그룹(B)의 각각의 단부 주위에서 아래쪽으로 접힌다. 제1 및 제2 단부 패널(14, 16)은 고정 패널(64A, 64B, 66A, 66B)의 각 해당 패널과 대면 접촉 관계를 이룬다. 제1 및 제2 단부 패널(14, 16)은 고정 패널(64A, 64B, 66A, 66B)의 각 해당 패널에 고정된다.
물품 캐리어(90) 및 물품 그룹(B)을 포함하는 패키지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90)는 유리하게는 물품(B)의 일부를 시야로부터 숨길 수 있다. 측면 패널(18, 20) 및/또는 단부 패널(14, 16)은 물품(B)의 일부 영역을 숨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패널(18, 20, 14, 16)은 개별 물품에 제공된 바코드 또는 가격과 같은 다른 표시를 숨길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측면 패널(18, 20) 및 단부 패널(14, 16)은 물품(B)의 그룹을 둘러싸고 물품(B)을 수용할 수 있으며; 물품 캐리어(90)가 사용자에 의해 운반될 때 물품(B)의 움직임, 예를 들어 물품(B)의 기울어짐 또는 벌어짐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고정 패널(64A, 64B, 66A, 66B)(및 존재하는 경우 모서리 패널(60A, 60B, 62A, 62B))을 통한 단부 패널(14, 16)과 측면 패널(18, 20)의 맞물림은, 예를 들어 캐리어(90)를 복수의 패널(12, 14, 16, 18, 20) 중 하나와 맞물려 운반할 때 캐리어(90)의 강도, 강성 및 견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사용 중인 운반 손잡이를 도시하며, 운반 손잡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또는 제2 단부 패널(14, 16)로부터 형성된다. 도 3은 제1 단부 패널(14)과 맞물리는 사용자(U)를 도시한다.
사용자(U)는 제1 단부 패널(14)과 물품 그룹(B) 사이의 갭 또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공간은 한 쌍의 인접한 물품(B)의 원통형 측벽들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절단 가능한 선(13)은 절단될 때 메인 패널(12)로부터 제1 단부 패널(14)을 분리한다.
제1 단부 패널(14)의 중간 또는 내측 영역은 물품 캐리어(90)의 외측으로 변위될 수 있어서, 제1 단부 패널(14)은 형상이 구부러진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2 실시형태에서, 가능한 경우 유사한 숫자들이 유사한 부품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특징들이 제2 실시형태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접두어 "100"이 추가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3의 실시형태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만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캐리어(190)(도 5 참조)의 맞물림 패널 또는 상부 벽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 패널(1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112, 114, 116, 118, 120)을 포함하는 블랭크(110)를 도시한다.
제1 측면 패널(118)은 접힘선(117)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12)의 제1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120)은 접힘선(119)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12)의 제2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110)는 제1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12)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 패널(114)을 포함한다.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선(113)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중간 부분 및 접힘선(113F)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113)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단부 패널(114)은 메인 패널(1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161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18)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모서리 패널(160A)을 포함한다. 제2 모서리 패널(160B)은 접힘선(161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120)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16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모서리 패널(16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164A)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164B)은 접힘선(16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모서리 패널(16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웹 패널(168A)은 접힘선(169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1 고정 패널(16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171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단부 패널(1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웹 패널(168B)은 접힘선(169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2 고정 패널(16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171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단부 패널(1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110)는 제2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112)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 패널(116)을 포함한다. 힌지 연결부는 절단 가능한 선(115)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중간 부분 및 접힘선(115F)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115)의 제1 중간 부분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단부 패널(116)은 메인 패널(1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165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118)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모서리 패널(162A)을 포함한다. 제4 모서리 패널(162B)은 접힘선(16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120)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167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3 모서리 패널(16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166A)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166B)은 접힘선(167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4 모서리 패널(16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웹 패널(170A)은 접힘선(17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3 고정 패널(16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175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단부 패널(1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4 웹 패널(170B)은 접힘선(117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4 고정 패널(16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75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단부 패널(116)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118), 제1 모서리 패널(160A), 제1 고정 패널(164A), 제3 모서리 패널(162A) 및 제3 고정 패널(166A)이 메인 패널(112)의 제1 측면을 따라 제1 스트랩(164A/160A/118/162A/166A)을 형성한다. 제2 측면 패널(120), 제2 모서리 패널(160B), 제2 고정 패널(164B), 제4 모서리 패널(162B) 및 제4 고정 패널(166B)은 메인 패널(112)의 제2 측면을 따라 제2 스트랩(164B/160B/120/162B/166B)을 형성한다.
미인 패널(112)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112)은 복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특히 2×3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6개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각각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도 1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와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블랭크(110)로부터 형성된 물품 캐리어(190)를 예시하고, 단부 패널(114, 116)은 메인 패널(1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단부 패널(114, 116)의 끝 부분은 메인 패널(112)에 연결된다. 단부 패널(114, 116) 각각의 중간 영역은 운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서, 가능한 경우 동일한 번호가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특징이 각각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 속함을 나타내기 위해 접두사 "200" 및 "300"이 추가되었다. 제3 및 제4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형태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예시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블랭크(210)를 도시한다. 블랭크(210)는 캐리어(290)(도 7 참조)의 맞물림 패널 또는 상부 벽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 패널(2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212, 214A, 214B, 216A, 216B, 218, 220)을 포함한다.
제1 측면 패널(218)은 접힘선(217)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212)의 제1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220)은 접힘선(219)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212)의 제2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210)는 접착제 필요 없이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블랭크(210)는 제1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212)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상부부 패널(214A)을 포함한다.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선(213A)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중간 부분 및 접힘선(213F)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213A)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상부부 패널(214A)은 메인 패널(2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하단부 패널(214B)은 접힘선(21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상부부 패널(21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261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218)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모서리 패널(260A)을 포함한다. 제2 모서리 패널(260B)은 접힘선(261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20)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26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모서리 패널(26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264A)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264B)은 접힘선(26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모서리 패널(26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웹 패널(268A)은 접힘선(269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1 고정 패널(26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271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상부부 패널(21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웹 패널(268B)은 접힘선(269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2 고정 패널(26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271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상단부 패널(21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210)는 제2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212)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상단부 패널(216A)을 포함한다. 힌지 연결부는 절단선(215A)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중간 부분 및 접힘선(215F)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215A)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상단부 패널(216A)은 메인 패널(2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하단부 패널(216B)은 접힘선(21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상단부 패널(21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265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218)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모서리 패널(262A)을 포함한다. 제4 모서리 패널(262B)은 접힘선(26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220)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267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3 모서리 패널(26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266A)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266B)은 접힘선(267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4 모서리 패널(26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웹 패널(270A)은 접힘선(27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3 고정 패널(26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275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상단부 패널(21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4 웹 패널(270B)은 접힘선(27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4 고정 패널(26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275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상단부 패널(21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218), 제1 모서리 패널(260A), 제1 고정 패널(264A), 제3 모서리 패널(262A) 및 제3 고정 패널(266A)은 메인 패널(212)의 제1 측면을 따라 제1 스트랩(264A/260A/218/262A/266A)을 형성한다. 제2 측면 패널(220), 제2 모서리 패널(260B), 제2 고정 패널(264B), 제4 모서리 패널(262B) 및 제4 고정 패널(266B)은 메인 패널(212)의 제2 측면을 따라 제2 스트랩(264B/260B/220/262B/266B)을 형성한다.
블랭크(210)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하단부 패널(21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플랩(272)을 포함한다.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선(V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절단선(V1)은 제1 하단부 패널(214B)의 외측 또는 하단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탭(P1)을 한정한다. 절단선(V1)은 잠금 탭 또는 디텐(detent)트(C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 슬롯 또는 슬릿 형태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고정 패널(264A, 264B) 각각은 그 하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 탭 또는 디텐트(C1)를 포함한다.
제1 플랩(272)은 각각의 접힘선(277A, 277B)에 의해 제1 플랩(272)의 중심 부분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날개 부분(274A, 274B)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힘선(277A, 277B)은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배열될 수 있고, 접힘선(277A, 277B)은 제1 하단부 패널(214B)을 향해 벌어진다.
제1 및 제2 고정 패널(264A, 264B) 각각은 개구(A5) 형태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A5)는 각각의 제2 잠금 탭 또는 디텐트(C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를 형성한다. 제1 상단부 패널(214A)은 각각 실질적으로 "U" 형상인 한 쌍의 절단선(20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선(201)은 각각의 디텐트(C2)를 한정한다.
블랭크(210)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하단부 패널(21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플랩(276)을 포함한다.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선(V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절단선(V2)은 제2 하단부 패널(216B)의 외측 또는 하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탭(P2)을 한정한다. 절단선(V2)는 잠금 탭 또는 디텐트(C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슬롯 또는 슬릿 형태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제3 및 제4 고정 패널(266A, 266B) 각각은 그 하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 탭 또는 디텐트(C2)를 포함한다.
제2 플랩(276)은 각각의 접힘선(278A, 278B)에 의해 제2 플랩(276)의 중앙 부분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날개 부분(278A, 278B)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힘선(279A, 279B)은 제2 하단부 패널(216B)을 향해 벌어진다.
제3 및 제4 고정 패널(266A, 266B) 각각은 개구(A5) 형태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A5)는 각각의 제2 잠금 탭 또는 디텐트(C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를 형성한다. 제2 상단부 패널(216A)은 각각 실질적으로 "U" 형상인 한 쌍의 절단선(20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선(201)은 각각의 디텐트(C2)를 한정한다.
메인 패널(212)은 복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 특히 2×3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8개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각각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도 1 및 4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와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단부 구조체들은 물품 그룹(B)의 측면 주위에 제1 및 제2 측면 패널(218, 220)을 고정하도록 접혀진다.
메인 패널(212)은 물품 그룹(B) 아래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218, 220)은 물품 그룹(B)의 대향 측면에 대해 접혀진다. 모서리 패널(260A, 260B, 262A, 262B)은 물품 그룹(B)의 모서리 주위에 접혀지고 고정 패널(264A, 264B, 266A, 266B)은 물품 그룹(B)의 단부 주위에서 접혀진다.
제1 및 제2 상단부 패널(214A, 216A)은 물품 그룹(B)의 각각의 단부 주위에서 아래쪽으로 접힌다. 제1 및 제2 하단부 패널(214B, 216B)은 제1 및 제2 상단부 패널(214A, 216A)에 대해 위쪽으로 접혀서 디텐트(C2)가 구멍(A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하단부 패널(214B, 216B)은 이들이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단부 패널(214A, 216A)의 해당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관계로 복귀하도록 아래쪽으로 접힌다.
제1 및 제2 플랩(272, 276)은 내측으로 접혀지고, 날개 부분(274A, 274B, 276A, 276B)은 인접 배치된 물품(B)의 측벽을 통과하도록 중앙부에 대해 접혀진다.
절단선(V2)은 각 고정 패널(266A, 266B)의 잠금 탭(C1)이 수용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날개 부분(278A, 278B)은 탭(272)의 중앙 부분과 동일 평면 관계로 접혀지고; 이러한 방식으로 탭(272)은 인접하게 배치된 물품(B)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탭(272)은 물품(B)에 의해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잠금 탭(C1)이 수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힌 상태의 탭(272)은 구멍(A5)에 수용된 디텐트(C2)의 부분과 대면 관계에 있고; 구멍(A5)으로부터 디텐트(C2)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탭(P1, P2)은 수용부에서 잠금 탭(C1)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잠금 탭(C1)을 숨기거나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블랭크(310)를 도시한다. 블랭크(310)는 캐리어(390)(도 9 참조)의 맞물림 패널 또는 상부 벽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 패널(3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312, 314A, 314B, 316A, 316B, 318, 320)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의 실시형태는 절단 가능한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312)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및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상단부 패널(314A)을 포함하는 제1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운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될 수 있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361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8)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모서리 패널(360A)을 포함한다. 제2 모서리 패널(360B)은 접힘선(361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320)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36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모서리 패널(360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364A)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364B)은 접힘선(36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모서리 패널(360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웹 패널(368A)은 접힘선(369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1 고정 패널(36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371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상단부 패널(31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웹 패널(368B)은 접힘선(369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2 고정 패널(36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371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상단부 패널(31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상단부 패널(314A)과 메인 패널(312) 사이의 절단 가능한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 가능한 선(313A)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313A)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상단부 패널(314A)은 적어도 블랭크 형태로 메인 패널(312)에 결합된다.
제1 모서리 패널(360A), 제1 고정 패널(364A) 및 제1 웹 패널(368A)은 제1 상단부 패널(314A)의 제1 단부를 제1 측면 패널(318)에 연결한다. 제2 모서리 패널(360B), 제2 고정 패널(364B) 및 제2 웹 패널(368B)은 제1 상단부 패널(314A)의 제2 대향 단부를 제2 측면 패널(320)에 연결한다.
절단 가능한 선(313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는 상기 운반 손잡이가 전개될 때 절단될 수 있다.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는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 의한 운반 손잡이의 완전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절단 가능한 선(313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는 블랭크(310)가 캐리어(390)로 조립될 때 절단될 수 있다. 절단 가능한 선(313A)은 예를 들어 절단 가능한 선(315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의 일부(전부는 아님)를 절단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블랭크(310)는 절단 가능한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312)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및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상단부 패널(316A)을 포함하는 제2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제2 운반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될 수 있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365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측면 패널(318)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모서리 패널(362A)을 포함한다. 제4 모서리 패널(362B)은 접힘선(36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측면 패널(320)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367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3 모서리 패널(362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366A)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366B)은 접힘선(367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4 모서리 패널(36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웹 패널(370A)은 접힘선(37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3 고정 패널(36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375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상단부 패널(31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4 웹 패널(370B)은 접힘선(37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4 고정 패널(36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375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상단부 패널(31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상단부 패널(316A)과 메인 패널(312) 사이의 절단 가능한 힌지식 연결부는 절단 가능한 선(315A)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315A)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상단부 패널(316A)은 적어도 블랭크 형태에서 메인 패널(312)에 연결된다.
제3 모서리 패널(362A), 제3 고정 패널(366A) 및 제3 웹 패널(370A)은 제2 상단부 패널(316A)의 제1 단부를 제1 측면 패널(318)에 연결한다. 제4 모서리 패널(362B), 제4 고정 패널(366B) 및 제4 웹 패널(370B)은 제2 상단부 패널(316A)의 제2 대향 단부를 제2 측면 패널(320)에 연결한다.
절단 가능한 선(315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는 운반 손잡이가 전개될 때 절단될 수 있다.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는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 의한 운반 손잡이의 완전한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블랭크(310)가 캐리어(390)로 조립될 때 절단 가능한 선(315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가 절단될 수 있다. 절단 가능한 선(315A)은 예를 들어 절단 가능한 선(315A)의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의 일부(전부가 아님)를 절단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제5 실시형태에서, 가능한 경우 유사한 숫자가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특징이 제5 실시형태에 속함을 나타내기 위해 접두사 "400"이 추가되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9의 실시형태와 많은 공통 특징을 공유하므로,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만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490)(도 11 참조)의 맞물림 패널 또는 상부 벽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 패널(41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412, 414, 416, 418, 420)을 포함하는 블랭크(4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측면 패널(118)은 접힘선(417)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412)의 제1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420)은 접힘선(419)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412)의 제2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블랭크(410)는 제1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파단성 또는 절단 가능한 선(413)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412)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단부 패널(414)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413)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제1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461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 패널(414)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고정 패널(464A)을 포함한다. 제2 고정 패널(464B)은 접힘선(461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1 단부 패널(414)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웹 패널(468A)은 접힘선(469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1 고정 패널(464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471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측면 패널(4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개구 형태의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 및 제1 고정 패널(464A)로부터 제1 웹 패널(468A)을 분리한다. 이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웹 패널(468B)은 접힘선(469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2 고정 패널(464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471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측면 패널(4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개구 형태의 제2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 및 제2 고정 패널(464B)로부터 제2 웹 패널(468B)을 분리한다. 이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410)는 제2 단부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파단성 또는 절단 가능한 선(415)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메인 패널(412)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2 단부 패널(416)을 포함한다. 절단 가능한 선(415)은 파단성 자국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절단부 또는 슬릿을 포함한다.
제2 단부 구조체는 접힘선(465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 패널(420)의 제1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3 고정 패널(466A)을 포함한다. 제4 고정 패널(466B)은 접힘선(465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 패널(416)의 제2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3 웹 패널(470A)은 접힘선(473A)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3 고정 패널(466A)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475A)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1 측면 패널(4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개구 형태의 제3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 및 제3 고정 패널(466A)로부터 제3 웹 패널(470A)을 분리한다. 이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웹 패널(470B)은 접힘선(473B)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일단에서 제4 고정 패널(466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접힘선(475B)의 형태의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제2 단부에서 제2 측면 패널(42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개구 형태의 제4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 및 제4 고정 패널(466B)로부터 제4 웹 패널(470B)을 분리한다. 이 절개부는 메인 패널(412)의 필렛, 연귀 또는 경사진 모서리를 한정한다. 이 모서리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이거나 둥글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절개부는 절단선, 슬롯, 슬릿, 오목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 패널(414), 제1 고정 패널(464A) 및 제2 고정 패널(464B)이 메인 패널(412)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스트랩(464A/414/464B)을 형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단부 패널(416), 제3 고정 패널(466A) 및 제4 고정 패널(466B)은 메인 패널(412)의 제2 단부를 따라 제2 스트랩(466A/416/466B)을 형성한다.
제1 단부 패널(414), 제1 고정 패널(464A) 및 제2 고정 패널(464B)은 결속 구조체의 제1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 패널(464A)은 제1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2 고정 패널(464B)은 제1 세그먼트의 제2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측면 패널(418)은 상기 결속 구조체의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단부 패널(416), 제3 고정 패널(466A) 및 제4 고정 패널(466B)은 상기 결속 구조체의 제3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고정 패널(466A)은 제3 세그먼트의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4 고정 패널(466B)은 제3 세그먼트의 제2 가교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측면 패널(420)은 상기 결속 구조체의 제4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패널(412)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12)은 복수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특히 2×3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6개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를 포함한다.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각각은 개구 또는 구멍(A7, A8)을 포함한다.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각각은 도 1의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와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블랭크(410)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장치(M)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블랭크(410)는 2개의 안정화 장치(M)를 포함한다. 안정화 장치는 블랭크(410)로부터 형성된 개구의 형태를 취한다. 제1 안정화 장치(M)는 블랭크(410)의 제1 또는 선단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그룹의 4개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 유지 구조체 그룹(RT1, RT2) 사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정화 장치(M)는 블랭크(410)의 제2 또는 후단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한 제2그룹의 4개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 유지 구조체 그룹(RT1, RT2) 사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정화 장치(M)는 블랭크(410)를 물품 그룹(B)에 적용하는 동안 지지 말뚝(abutment peg)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지지 말뚝은 측면 및 단부 패널(418, 420, 414, 416)이 제품 주위에 접힐 때 블랭크(410)를 안정화하거나 고정한다.
안정화 장치(M)의 개구는 원형이 아닐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메인 패널(412)로부터 형성되고 거기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탭(49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개구는 메인 패널(412)로부터 각각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메인 패널(4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탭에 의해 한정된다. 한 쌍의 탭(494)은 절단부 또는 절단 가능한 선(495)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정화 장치(M)는 추가적인 손잡이 개구를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형태에서, 안정화 장치(M)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너무 작아 사용자 손가락 또는 그 일부를 수용할 수 없다. 이것은, 안정화 장치(M)와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 사이의 메인 패널(412)에 더 많은 양의 기판 재료가 제공되어 물품 캐리어(490)의 강건성 및 일체성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제1 단부 패널(414), 제1 고정 패널(464A) 및 제2 고정 패널(464B)은 캐리어(490)의 제1 단부에 운반 손잡이(464A/414/464B)를 제공한다. 제2 단부 패널(416), 제3 고정 패널(466A), 제4 고정 패널(466B)은 캐리어(490)의 제2 단부에 제2 운반 th손잡이(466A/416/466B)을 형성한다. 사용 시 제1 단부 패널(414) 또는 제2 단부 패널(416)은 메인 패널(412)로부터 분리되고, 각각의 파단 가능한 선(413, 415)이 절단되거나 파단되며; 이는 단부 패널(414, 416) 또는 적어도 그 중간 부분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B) 및/또는 메인 패널(412)로부터 바깥쪽으로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패널(414, 416)의 내부면과 물품(B) 사이에 갭 또는 공간이 생성되며 여기에 사용자가 손의 일부 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운반 손잡이(464A/414/464B, 466A/416/466B), 특히 고정 패널(464A, 464B, 466A, 466B)은 물품(B)의 측벽에 대해 지지할 수 있고, 이것은 물품(B)의 측벽으로 하중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운반 손잡이(464A/414/464B, 466A/416/466B)의 강도 또는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적어도 판지 기재를 포함한다. 판지 기재의 재료는 예를 들어 약 10pt.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6pt. 이상부터 약 28pt. (0.028"/~0.7mm) 중량 범위의 임의의 통상적인 판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의 예는, WestRock® Company에 의해 제조된, 27 포인트(pt.) SBS 보드(한 면이 코팅된 고체 표백된 황산염 판지, 상표명 PrintKote®) 또는 CNK® 보드(Coated Natural Kraft® - 한 면에 점토 코팅이 있는 미표백 크라프트 판지, 상표명 CarrierKoteTM). 상기 판지는 표백되거나 표백되지 않은 판지일 수 있다. 상기 판지는 인쇄 방법 및 판지 구성과의 호환성을 위해 선택된 종래의 코팅으로 적어도 한 면, 선택적으로 라미네이션 반대면에, 코팅될 수 있다.
블랭크(10; 110; 210; 310; 410)는 판지 층에 적층된 찢김 저항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판지 기재와 찢김 저항 층 사이에 접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찢김 저항 층은 판지 기재의 코팅되지 않은 면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분자 재료로 형성되어 기재에 고정될 수 있다. 찢김 저항 층은 라미네이트 구조에 인성을 부여한다. 적합한 찢김 저항 재료는 찢김 저항 적층 시트 재료(예: NATRALOC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재료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배향 나일론, 교차-적층된 폴리올레핀 또는 고밀도 폴리올레핀인 MYLAR®와 같은 N축 배향 필름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재료의 배향과 교차-적층된 구조는 찢김 저항 특성에 기여한다. 또한, 찢김 저항성은 압출된 메탈로센-촉매화 폴리에틸렌(mPE)과 같은 찢김 저항성 재료의 화학적 특성에 기인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찢김 저항 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층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mPE가 사용되는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층을 통합할 필요가 없다. 높은 수준의 찢김 저항성을 갖는 다른 적합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같은 폴리올레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기재와 찢김 저항 층 사이에 배치되어 찢김 저항 층을 기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물품 유지 구조체 또는 물품 상부 맞물림 장치를 갖는 상부 맞물림 유형의 캐리어를 제공한다.
물품 캐리어(90; 190; 290; 390; 49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B)을 고정하거나 맞물린다. 물품 캐리어(90; 190; 290; 390; 49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B)의 일부를 맞물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품 맞물림 구조체(RT1, RT2)를 갖는 맞물림 패널(12; 112; 212; 312; 412)을 포함한다. 물품 캐리어(90; 190; 290; 390; 49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B)을 둘러싸기 위한 결속, 그룹화 또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맞물림 특징부(RT1, RT2)를 갖는 상부패널(12, 112, 212, 312, 412)을 포함하는 상부 맞물림 캐리어(90; 190; 290; 390; 490)를 제공한다. 상부 맞물림 캐리어(90; 190; 290; 390; 490)는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상의 측면 패널(18, 20; 118, 120; 218, 220; 318, 320; 418, 420)과 한 쌍의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각각은 측면 패널(18, 20; 118, 120; 218, 220; 318, 320; 418, 420) 사이를 가교한다. 한 쌍의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선(13, 15; 113, 115, 213A, 215A; 313A, 315A; 413, 415)을 따라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112; 212; 312; 절단선(13, 15)을 따라 412; 113, 115, 213A, 215A; 313A, 315A; 413, 415.
선택적으로, 절단선(13, 15; 313A, 315A; 413, 415)은 상부 패널(12; 312; 412)의 단부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14, 16; 314A/314B, 316A/316B; 414, 416)이 상부 패널(12; 312; 412)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된다.
절단선(113, 115, 213A, 215A)은 상부 패널(112; 212)의 단부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114; 116; 214A/214B, 216A/216B)이 상부 패널(112; 212)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선(113, 115, 213A, 215A)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114; 116; 214A/214B, 216A/216B)의 대향 단부들에 미치지 못해서 멈춘다.
절단선(13, 15; 113, 115, 213A, 215A; 313A, 315A; 413, 415)는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의 단부 에지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분(line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측면 패널(18, 20; 118, 120; 218, 220; 318, 320; 418, 420)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각 측면 패널(218, 220; 318, 320)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패널(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에 잠금 특징부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은 적어도 2개의 경사진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의 단부 에지는 상기 경사진 모서리들 사이로 연장된다.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은 패키지의 맞물림 패널을 형성하고,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은 포장되는 물품(B)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은 포장되는 물품(B)의 상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절단선(13, 15; 113, 115, 213A, 215A; 313A, 315A; 413, 415)은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와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식 연결부는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거나 전개의 결과로 절단 가능하다.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는 운반 손잡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단선(13, 15; 113, 115, 213A, 215A; 313A, 315A; 413, 415)은 적어도 하나의 파단성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성 연결 요소는 운반 손잡이를 처음 사용하기 전에 온전할 수 있다(또는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를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에 연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성 연결 요소는 운반 손잡이로서 사용될 때까지 상부 맞물림 캐리어의 형성시 상부 패널(12; 112; 212; 312; 412 )에 연결된 단부 패널(14, 16; 114; 116; 214A/214B, 216A/216B; 314A/314B, 316A/316B; 414, 416)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고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널 및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은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의 물품, 더 많거나 적은 수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조정되고 및/또는 다른 어레이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복수의 탭이 개구 주위에 배열되는 "선버스트(sunburst)" 유형의 물품 유지 구조체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지 구조체가 채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고 플랜지, 차임 또는 기타 돌출부 아래에서 물품의 대향 측면과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대향하는 맞물림 에지를 제공하는 물품 수용 개구를 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부 패널 또는 맞물림 패널은 포장되는 물품의 상단부 아래 임의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물품 유지 구조체(RT1, RT2)는 물품 위에 커버를 형성하고 플랜지, 차임 또는 기타 돌출부 아래에서 물품의 대향 측면과 맞물리기 위한 한 쌍의 대향된 맞물림 에지를 제공하는 변위 가능한 영역을 한정하는 한 쌍의 이격된 대향 절개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바닥", "베이스", "전면", "후면", "단부", "측면", "내측", "외측", " 상부" 및 "하부"는 반드시 각각의 패널을 그러한 방향으로 제한하지 않고, 단지 이들 패널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힌지식 연결부" 및 "접힘선"이라는 용어는 블랭크의 힌지 특징을 한정하거나, 서로에 대해 블랭크의 접는 부분을 용이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블랭크에 대해 최적의 패널 접힘 위치를 나타내는 모든 방식의 선을 지칭한다. "힌지식 연결부"에 대한 모든 언급은 반드시 단일의 접힘선만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힌지식 연결부는 2개 이상의 접힘선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2개 이상의 접힘선 각각은 모양이 직선/선형 또는 굽은/곡선 형상일 수 있다. 선형 접힘선이 힌지식 연결을 형성할 때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서로에 대해 약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곡선의 접힘선이 힌지식 연결을 형성할 때 곡선의 접힘선들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모양을 가진 패널을 한정하도록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식 연결부의 전형적인 예는 두 지점에서 교차하는 한 쌍의 아치형 접힘선을 포함하여 그 사이에 타원형 패널을 한정할 수 있다. 힌지식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선형 접힘선과 하나 이상의 곡선형 접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식 연결부의 전형적인 예는 두 지점에서 교차하여 그 사이에 반달 모양의 패널을 한정하는 선형 접힘선과 아치형 접힘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힘선"은 다음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자국낸 선(scored line), 양각 선, 음각 선, 천공 선, 짧은 슬릿 선, 절반-컷 선, 단일 절반-컷, 중단된 절단 선, 정렬된 슬릿들의 선, 자국들(scores)의 선 및 앞서 언급한 옵션들의 임의의 조합.
힌지식 연결부 및 접힘선은 각각 천공, 천공 선, 짧은 슬릿 선, 절반-컷 선, 단일 절반-컷, 절단 선, 중단된 절단 선, 슬릿, 자국,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블랭크의 기재에 형성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지정되고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선 및/또는 분리선을 한정하기 위해 천공 선의 치수를 정하거나 취약도가 설계될 수 있다. 천공 선은 접기를 용이하게 하고 파손에 저항하거나, 접기를 용이하게 하고 더 많은 노력으로 파손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적은 노력으로 파손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합(in registry with)"의 문구는 2개의 중첩 패널 중 첫 번째 패널에 형성된 구멍과 2개의 중첩 패널 중 두 번째 패널에 형성된 제2 구멍과 같은, 직립된 카톤 내의 2개 이상의 요소들의 정렬을 지칭한다. 서로 정합을 이루는 요소들은 중첩 패널들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패널의 구멍이 첫 번째 패널과 중첩하는 배열로 배치된 두 번째 패널의 두 번째 구멍과 "정합"을 이루는 경우 구멍의 에지는 제2 구멍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제2 구멍과 정렬될 수 있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물품을 맞물기 위한 물품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각각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하는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은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물품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부 패널이 상기 상부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물품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부 패널이 상기 상부 패널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물품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부 패널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미치지 못해서 멈추는, 물품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선분을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들 각각은 해당 단부들 중 하나에서 하나 이상의 단부 패널에 고정되는, 물품 캐리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들 각각은 해당 단부들 중 하나에서 잠금 특징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부 패널에 연결되는, 물품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둘 이상 경사진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부 패널의 단부 에지는 상기 경사진 모서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물품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상기 하나 이상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단 가능한, 물품 캐리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식 연결부는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상기 하나 이상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 시 절단되는, 물품 캐리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 힌지식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식 연결부는 상기 단부 패널들 중 상기 하나 이상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운반 손잡이의 전개의 결과로 절단 가능한, 물품 캐리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캐리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을 둘러싸는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1 측면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단부 패널,
    상기 외측 단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 단부 패널과 중첩 위치에 배치된 내측 단부 패널,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가교 부분과 맞물리는 가교-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교-맞물림 특징부는 상기 가교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과 면-접촉 배열로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측 및 외측 단부 패널에 의해 적어도 제공되는, 물품 캐리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캐리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을 둘러싸는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제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1 측면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단부 패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가교 부분은 상기 단부 패널에 면-접촉 배열로 고정되는, 물품 캐리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을 둘러싸는 결속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구조체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단부 패널,
    상기 제1 단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가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측면 패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가교 부분은 상기 측면 패널에 면-접촉 배열로 고정되는, 물품 캐리어.
  15. 상부-맞물림 캐리어 및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캐리어는:
    각각의 물품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각각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하는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은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은 운반 손잡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은 하나 이상의 파단성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단성 연결 요소는 상기 운반 손잡이의 초기 사용 전에 손상되지 않는, 패키지.
  16. 상부-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로서,
    상기 블랭크는:
    하나 이상의 물품-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각각 상기 측면 패널들 사이를 가교하는 한 쌍의 단부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단부 패널들 중 하나 이상은, 상부-맞물림 캐리어의 형성 시 상기 절단선이 파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절단선을 따라 상기 상부 패널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블랭크.
KR1020237016523A 2020-10-30 2021-10-29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KR20230098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7889P 2020-10-30 2020-10-30
US63/107,889 2020-10-30
US202163271577P 2021-10-25 2021-10-25
US63/271,577 2021-10-25
PCT/US2021/057361 WO2022094282A1 (en) 2020-10-30 2021-10-29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212A true KR20230098212A (ko) 2023-07-03

Family

ID=7872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523A KR20230098212A (ko) 2020-10-30 2021-10-29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391523A1 (ko)
EP (1) EP4237345A1 (ko)
JP (1) JP2023548158A (ko)
KR (1) KR20230098212A (ko)
AU (1) AU2021368724A1 (ko)
CA (1) CA3196783A1 (ko)
CO (1) CO2023006706A2 (ko)
MX (1) MX2023004895A (ko)
TW (1) TW202222651A (ko)
WO (1) WO2022094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01610U1 (et) * 2022-10-19 2023-09-15 Vilesova Larissa Volditav mahutihoidik paberkot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7120B2 (en) * 2014-12-16 2017-02-14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for articles
MX2021012496A (es) * 2019-04-11 2022-01-24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Dispositivo de acoplamiento superior de articulos, portador de articulos y preforma del mismo.
BR112022021022A2 (pt) * 2020-04-17 2022-12-27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Embalagens, transportadores de artigo e peças brutas para os mesm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3004895A (es) 2023-09-12
EP4237345A1 (en) 2023-09-06
TW202222651A (zh) 2022-06-16
CO2023006706A2 (es) 2023-06-30
AU2021368724A1 (en) 2023-06-08
WO2022094282A1 (en) 2022-05-05
CA3196783A1 (en) 2022-05-05
US20230391523A1 (en) 2023-12-07
JP2023548158A (ja)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2377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230098212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US20220396406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30257177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40034532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30052589A1 (en) Article top engaging device,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20297911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KR20220149779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CN116670044A (zh) 物品承载器及其坯件
US20230339665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40116689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30286717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WO2023064193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240044436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WO2023096931A2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WO2023154958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KR20230162655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WO2023150594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WO2023150593A2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