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430A -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 Google Patents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430A
KR20230097430A KR1020210186917A KR20210186917A KR20230097430A KR 20230097430 A KR20230097430 A KR 20230097430A KR 1020210186917 A KR1020210186917 A KR 1020210186917A KR 20210186917 A KR20210186917 A KR 20210186917A KR 20230097430 A KR20230097430 A KR 20230097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imary
lens unit
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2202B1 (en
Inventor
박성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텍시그널
박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텍시그널, 박성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텍시그널
Priority to KR102021018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202B1/en
Publication of KR2023009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매립형 보행 신호등은, 일측과 타측에 차도와 인도가 각각 배치되도록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 유닛; 상기 매설 유닛에 결합되며, 하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유닛; 그리고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복수의 LED 사이마다 솔라셀이 각각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여, LED와 솔라셀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방수 성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s disclosed.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ied unit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roads and sidewalk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 lens unit coupled to the embedding unit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spaced laterally from each other, and a substr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solar cell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the LED and the solar cell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manufacturing is easy, Waterproof performance can last for a long time.

Description

매립형 보행 신호등{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본 발명은 매립형 보행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LED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솔라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in which LEDs are installed horizontally and can supply power to a solar cell.

본 발명은 매립형 보행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방수 성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type pedestrian signal light capable of maintaining waterproof perform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교차로 부위나 그 밖의 도로 횡단자가 많은 곳에 주로 마련된다. 이러한 횡단보도에는 주기적으로 멈춤신호와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은 지주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다.In general, crosswalks are intended to enable vehicles to safely cross the road, and are mainly provided at intersections of roads or other places where there are many road crossings. In such a crosswalk, it is common that a crosswalk signal light is installed to periodically display a stop signal and a crosswalk signal, and the crosswalk signal light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surface through a support.

하지만, 길을 가면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 또는 무거운 가방 등을 메고 가는 학생 등과 같이 시선을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보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보행 습관을 가진 보행자들은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를 확인하지 않고 횡단보도를 건널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되어 동일한 색상의 빛을 내면서,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바닥신호등에 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However,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alking with their gaze directed toward the floor, such as people using mobile phones while walking or students carrying heavy bags. Pedestrians with these wrong walking habits are likely to cross the crosswalk without checking the signal of the crosswalk traffic light, and traffic accidents are actually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floor traffic lights buried in the floor while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in conjunction with the crosswalk traffic lights.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표준지침에 따르면, 바닥신호등에서 발산되는 빛은 인도방향으로 10도 기울어져야 한다. 이러한 바닥신호등의 종래기술의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4912호(특허문헌 1)에 공지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내측에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조명기판이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었다. 따라서, 조명기판과 커버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간격이 있으므로, 바닥신호등의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사람이 빛을 식별하기 곤란해질 수 있다. 또한, 조명기판과 커버프레임 상측이 밀착될 수 없어 바닥신호등의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standard guideline for assistive devices for floor-type pedestrian traffic lights, the light emitted from floor traffic lights should be inclined 10 degrees toward the sidewalk.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of such floor traffic lights, there is one kn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74912 (Patent Document 1). As in Patent Document 1, a lighting board that is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a crosswalk traffic light on the inside is installed to tilt. Therefore, since there is a gap between the lighting substr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cover frame, moisture inside the floor traffic light may cause a malfunction or make it difficult for a person to identify the light. In addition, since the lighting substr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cover frame cannot be closely adhered t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floor signal lamp is low.

바닥신호등과 유사한 분야 기술인 도로 표지병의 관련 특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871호(특헌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는 태양광으로 광원 LED를 작동시키는 기술로, 특허문헌 1과 달리 LED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LED 상부에 육각뿔 형상의 돌출 형성된 도광돌기부에서 LED의 빛을 6면으로 발산한다. 그러나, 도광돌기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빛을 인도방향으로 10도로 기울어지게 발산하기 곤란할 수 있고, 상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보행에 방해가 될 수 있어 바닥신호등으로 적용하기 곤란할 수 있다.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3871 (Patent Document 2) as a related patent for a road marker, a technology similar to floor traffic lights. Patent Document 2 is a technology for operating a light source LED with sunlight. Unlike Patent Document 1, the LED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light of the LED is emitted on six sides from the light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pyramid on the top of the LED. However, since the light guiding protrusion is made of a flat surface, it may be difficult to emit light at an angle of 10 degrees in the direction of guidance, and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it as a floor traffic light because it protrudes excessively upward and may interfere with walking.

도로 표지병의 또 다른 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92413호(특허문헌 3)가 있는데, 특허문헌 3은 LED의 빛을 도로 표지병의 측면으로 발산하는 것으로, 바닥신호등으로는 부적합하다.As another technology for road markers, 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2413 (Patent Document 3). Patent Document 3 emits LED light to the side of a road marker and is not suitable for floor traffic lights.

도로 표지병의 또 다른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632호(특허문헌 4)가 있다. 특허문헌 4는, 투명재질의 복개부, 복개부의 하측에 기울어지게 배치된 엘이디전구와, 복개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된다. 복개부의 상면은 내측면인 확대경부와 서로 다른 구배의 곡면으로 구성된다. 확대경부를 통해 엘이디전구의 빛이 확산되고, 입사되는 태양광이 태양전지판으로 집광될 수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4에선 엘이디전구가 수평으로 설치되지 않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As another technology of the road marker, ther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9632 (Patent Document 4). Patent Literature 4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cover portion, an LED bulb disposed obliquely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ortion, and a solar panel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with a different gradient from the magnifying glass part, which is the inner surface. Light from the LED bulb is diffused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and incident sunlight can be condensed to the solar panel. In this Patent Document 4, the problem that the LED bulb is not installed horizontally has not been solv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4912호(2021.07.02)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74912 (2021.07.02)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871호(2011.04.20)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3871 (2011.04.20)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92413호(2020.09.29)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2413 (2020.09.2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632호(2019.01.11)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39632 (2019.01.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regoing and other problems.

본 발명은 솔라셀로 태양광을 2차 집광하여 LED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ondaryly collect sunlight with a solar cell and use it as a power source for an LED.

본 발명은 LED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LEDs are installed horizontally.

본 발명은 LED의 빛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조사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ght of the LED is irradia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본 발명은 렌즈 유닛의 제조가 용이한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manufacturing of a lens unit.

본 발명은 돌기가 미끄럼 방지 기능과 함께 LED의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otrusion can diffuse the light of the LED together with the anti-slip func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과 타측에 차도와 인도가 각각 배치되도록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 유닛; 상기 매설 유닛에 결합되며, 하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유닛; 그리고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복수의 LED 사이마다 솔라셀이 각각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솔라셀의 상측에 위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집광부;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LED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1차 굴절부; 그리고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1차 굴절부의 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2차 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광부는, 태양광을 1차 집광하는 1차 집광 파트; 그리고 상기 솔라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1차 집광된 태양광을 2차 집광하는 복수의 2차 집광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집광 파트는 상기 복수의 2차 굴절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2차 집광 파트는 상기 복수의 1차 굴절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1차 집광 파트의 곡률은 상기 2차 집광 파트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r other object, a buried unit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roads and sidewalk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 lens unit coupled to the embedding unit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aterally, and a substr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solar cell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Ds, wherein the lens unit is positioned above the solar cell to receive sunlight. a plurality of light concentrating units for condensing light; a plurality of primary bend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and forming accommodating grooves in which the plurality of LED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refracting units convex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respectively positioned above the primary refracting unit,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unit comprises: a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that primarily collects sunlight;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concentrating parts positioned above the solar cell and secondarily condensing the primary condensed sunlight, the primary condensing parts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refracting parts, The secondary light-concentrating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imary refracting parts, and the curvature of the primary light-concentrating part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ary light-concentrat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보행 신호등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buried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ED와 기판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어, 렌즈 내부에서 공기의 열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구조적 뒤틀림이 최소화되고, 방수구조의 항상성이 장기간 유지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required to install the LED and the substrate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structural distortion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ir inside the lens, and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n which the homeostasis of the waterproof struc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ED의 빛이 기판에 조사되면, 빛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 유닛으로 반사된 후, 굴절부에서 재굴절되어 렌즈 유닛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1차 굴절부에서 굴절된 빛의 일부는, 렌즈 유닛의 내부로 재굴절된 후,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ght from the LED is irradiated onto the subs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may be reflected by the lens unit, rerefracted by the refracting unit, and then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lens unit. In addition, some of the light refracted by the primary refracting unit may be rerefracted into the lens unit and then radia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n which loss of light is minimize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ED의 빛이 1차 제 3 굴절 파트를 통해 인도 방향으로 더 많이 조사되어 차도측에서 빛이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can be provided in which more light from the LED is radiated in the sidewalk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third refraction parts to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seen on the side of the roadw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1차 집광 파트는 태양광을 2차 집광 파트의 중심에 가깝게 집광시킬 수 있고, 2차 집광 파트는 1차 집광된 태양광을 솔라셀의 중심뿐만 아니라 솔라셀의 전반으로 집광시킬 수 있어, 태양광의 집광 효율이 좋은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concentrating part can condense sunlight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ondensing part, and the secondary condensing part directs the primarily condensed sunlight to the center of the solar cell as well as to the solar cell. Since the light can be condensed in the first half of the light, a buried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with good condensing efficiency of sunligh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1차 굴절부과 2차 굴절부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유닛을 사출 성형으로 제조할 때, 렌즈 유닛이 금형에서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렌즈 유닛의 제작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nding part and the second bending part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Therefore, when the lens uni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 lens unit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mold, and thus the lens unit is easily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뿔(角錐) 형상의 돌기가 LED의 빛을 렌즈 상면의 사방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렌즈 상면 휘도분포도의 균일성이 상쇄될 수 있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is provided in which pyramid-shaped protrusions can uniformly diffuse LED light in all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thereby canceling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It can b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보행 신호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보행 신호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의 빛이 렌즈 유닛을 통해 굴절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보행 신호등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의 작동과 관련된 계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와 관련된 회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A cross sec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n in Figure 4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BB shown in FIG. 1;
7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mulation result in which light of an LED is refracted through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related to an 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유닛'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When an embodiment is otherwise implement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proce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렌즈 유닛(100)에는 화살표와 화살표 방향에 '차도' 또는 '인도'가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도' 및 '차도'를 가리키는 화살표는 렌즈 유닛(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인도' 및 '인도'를 가리키는 화살표는 렌즈 유닛(100)의 상면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을 기준으로 차도 방향을 일측, 인도 방향을 타측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을 기준으로 일측은 A, 타측은 B, 좌측은 L, 우측은 R로 도시하였다.In the lens unit 100, an arrow and a 'roadway' or 'india' may be embo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rrows indicating 'roadway' and 'roadway'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Arrows indicating 'India' and 'India'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Based on the buried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10, the roadway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and the sidewalk direction as the other side. 1 to 9, one side of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is shown as A, the other side as B, the left side as L, and the right side as R.

도 1을 참조하면,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하측에 위치되는 매설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may include an buried unit 300 located at a lower side.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매설 유닛(300)에 결합되는 렌즈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이 일체형이므로 손실되는 광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의 상면에는 2차 굴절부(150)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유닛(100)의 상면에는 2차 굴절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대략 반구형(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2차 굴절부(150)는 복수의 1차 굴절부(110)의 상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굴절부(110)의 갯수와 2차 굴절부(150)의 갯수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2차 굴절부(150)는 일타방향으로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5 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5 개의 2차 굴절부(150)를 1 세트(Set)로 보면, 2차 굴절부(150) 세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2차 굴절부(150) 세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총 11 세트의 2차 굴절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may include a lens unit 100 coupled to the buried unit 300 . The lens unit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Since the lens unit 100 is integral, loss of light source can be minimized. A plurality of secondary refractive parts 1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That is, the secondary refraction part 1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DOME) shap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ends 150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bove the plurality of primary bends 110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primary bends 110 and the number of secondary bends 150 are the sam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ends 150 may be formed parallel to one an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ve secondary bends 150 ar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the five secondary bends 150 are viewed as one set, a set of secondary bends 15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t of secondary bends 150 . 1, a total of 11 sets of secondary bends 150 are formed.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면에 형성되는 1차 집광 파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집광 파트(171)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상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태양광을 1차 집광할 수 있다. 복수의 1차 집광 파트(171)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1차 집광 파트(171)가 서로 이웃하는 2차 굴절부(150)의 세트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렌즈 유닛(100)에 복수의 1차 집광 파트(171)가 형성되어 있다. 1차 집광 파트(171)는 일타측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집광 파트(171)는 렌즈 유닛(100)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최대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집광 파트(171)는 최대한 넓은 범위에서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어 집광률이 좋다.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light collecting part 171 formed on an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s 17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to primarily collect sunlight. A plurality of primary light-collecting parts 171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a plurality of primary light-concentrating parts 171 may be formed between sets of adjacent secondary refraction parts 150 . In FIG. 1 , a plurality of primary light condensing parts 171 are formed in the lens unit 100 .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formed as wide as possibl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100 . Therefore, the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171 can collect sunlight in a wide range as much as possible and has a good light condensing rat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유닛(100)은 상측 렌즈(101)와, 상측 렌즈(101)의 사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측벽(10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n upper lens 101 and a first sidewall 103 extending downward from all sides of the upper lens 101 .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상면에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LED(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복수의 LED(220) 사이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솔라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흰색 바탕의 유광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LED(220)의 빛을 상기 렌즈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LED(220)의 빛이 기판(210)에 조사되면, 빛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 유닛(100)으로 반사된 후, 굴절부(110,150)에서 재굴절되어 렌즈 유닛(10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의 손실이 최소화된다.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may include a substrate 210 . The substrate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220 installed to be spaced laterally apart from each other on an upper surface. The substrate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230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Ds 220 . The substrate 210 may be formed of a glossy material with a white background. The substrate 210 may serve as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ED 220 toward the lens. Accordingly, when light from the LED 220 is irradiated onto the substrate 210,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s reflected to the lens unit 100, then rerefracted by the refracting units 110 and 150, and then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lens unit 100. It can be. Thus, loss of light is minimized.

렌즈 유닛(100)은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60)는 렌즈 유닛(100)에 6 개가 일타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돌기(160)는 각뿔(角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60)는 오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60)의 옆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60)는 상기 옆면이 5 개가 서로 측면끼리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160)는 2차 굴절부(1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LED(220)에서 조사된 빛 중에서 2차 굴절부(150)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굴정된 빛은 돌기(160)의 각 옆면을 통해 렌즈 유닛(100)의 상면에서 사방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60)는, 자칫 부족할 수 있는 렌즈 상면의 휘도분포도의 균일성을 상쇄시킬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0 formed on an upper surface. Six protrusions 160 are formed on the lens unit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direction. The protrusion 160 may be formed in a pyramidal shape. The protrusion 160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pyramid shape. A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6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he protrusion 16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five side surfaces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160 may be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bend 150 , respectively. Therefore,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20, the light refra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is uniformly diffused in all direction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through each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60. can Therefore, the protrusion 160 can cancel the uniformity of the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which may be insufficient.

매설 유닛(300)은, 하판(310)과, 상기 하판(310)의 사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측벽(320)을 포함할 수 있다. 매설 유닛(300)의 하판(310)에는 둘레에 복수의 체결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매설 유닛(300)은, 상기 하판(310)과 제 2 측벽(320)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매설 유닛(300)에는 상기 하판(310)과 제 2 측벽(320)과 리브(330)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34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340)에 기판(210)이나 LED(220)의 전원 공급에 관련된 전선(미도시), 배터리(B, 도 10 참고)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The embedding unit 300 may include a lower plate 310 and a second side wall 320 extending upward from all sides of the lower plate 310 .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13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plate 310 of the embedding unit 300 . The embedding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330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310 and the second side wall 320 . An inner space 340 surrounded by the lower plate 310 , the second side wall 320 and the rib 330 may be formed in the embedding unit 300 . Components such as wires (not shown), batteries (B, see FIG. 10) related to power supply of the board 210 or the LED 22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34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00)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유닛(100)의 하면에는 수용 공간(105)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5)은 상측 렌즈(101)와 제 1 측벽(103)에 둘러싸여 렌즈 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5)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accommodation space 105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The accommodating space 105 may be formed inside the lens unit 100 surrounded by the upper lens 101 and the first sidewall 103 .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5 may be open.

상측 렌즈(101)의 하면에는 복수의 1차 굴절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1차 굴절부(110)는 일타측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1차 굴절부(110)는 도 1에 도시된 2차 굴절부(150)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rimary refractive parts 1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 The plurality of primary bends 110 may be form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he primary bender 110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second bender 150 shown in FIG. 1 .

상기 렌즈 유닛(100)은 하면에 형성되는 2차 집광 파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집광 파트(173)는 상측 렌즈(101)의 하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집광 파트(173)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하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1차 집광된 태양광을 2차로 집광할 수 있다. 복수의 2차 집광 파트(173)가 렌즈 유닛(100)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2차 집광 파트(173)가 서로 이웃하는 1차 굴절부(110)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2차 집광 파트(173)는 1차 집광 파트(171)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 A plurality of secondary concentrating parts 173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to secondarily converge sunlight that has been primarily condensed. A plurality of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s 173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ens unit 100 . A plurality of secondary light condensing parts 173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primary refraction parts 110 .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s 173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s 171 .

제 1 측벽(103)은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81)는 제 1 측벽(103)의 내면에서 수용 공간(105)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idewall 103 may include a support part 181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support part 181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103 toward the receiving space 105 .

렌즈 유닛(100)은 하면에 형성되는 접촉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83)는, 상측 렌즈(10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83)는, 지지부(18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183)는, 지지부(181)보다 수용 공간(105)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183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 contact portion 183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 The contact portion 183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81 . The contact portion 183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105 than the support portion 181 .

제 1 측벽(103)에는 복수개의 보스(185)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 부재가 보스(185)와 체결부(313, 도 2 참고)에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렌즈 유닛(100)과 매설 유닛(300)의 결합이 고정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bosses 185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wall 103 . By simultaneousl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not shown) to the boss 185 and the fastening part 313 (see FIG. 2 ), the lens unit 100 and the embedded unit 3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shown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매설 유닛(300)은 일측과 타측에 차도와 인도가 각각 배치되도록 지면(G)에 매설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하측이 지면(G)에 매설될 수 있다. 렌즈 유닛(100)과 매설 유닛(300)이 결합되면, 수용 공간(105)의 하부가 폐쇄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5)에 기판(210)이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embedding unit 300 may be buried in the ground G so that roads and sidewalk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lower side of the lens unit 100 may be buried in the ground (G). When the lens unit 100 and the embedding unit 300 are coupled,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5 may be closed. A substrate 2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

렌즈 유닛(100)과 매설 유닛(300)의 결합시, 지지부(181)가 제 2 측벽(320)에 접촉될 수 있고, 제 1 측벽(103)이 하판 테두리(311)에 지지될 수 있다. 하판 테두리(311)는 매설 유닛(300)의 하판(3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When the lens unit 100 and the embedding unit 300 are coupled, the support portion 181 may contact the second sidewall 320 and the first sidewall 103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rim 311 . The lower plate rim 31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310 of the embedding unit 300 .

돌기(160)의 상단은 2차 굴절부(150)의 상단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돌기(160)를 밟을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2차 굴절부(150)의 파손 가능성이 낮다. 또한 돌기(16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6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n upper end of the secondary bend 150 .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a pedestrian stepping on the protrusion 160 increase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secondary bend 150 is low. Also, the protrusion 160 may serve to prevent slipping.

기판(210)의 상측에 1차 굴절부(110)가 위치될 수 있다. 기판(2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0)은 일측 지지 파트(181a)와 타측 지지 파트(18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기판(210)은 접촉부(183)에 접촉될 수 있다. 기판(210)의 일측과 타측이 일측 접촉 파트(183a)와 타측 접촉 파트(183b)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기판(210)은 렌즈 유닛(10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10)의 상면이 접촉부(183)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10)의 상면이 렌즈 유닛(100)의 하면과 서로 면접촉되어 닫힌 공간(10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rimary bend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210 . The substrate 2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substrate 210 may be positioned between one support part 181a and the other support part 181b. The substrate 210 ma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183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21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ide contact part 183a and the other side contact part 183b, respectively. The substrate 21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83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10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to form a closed space 107 .

복수의 LED(220)는 복수의 1차 굴절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복수의 수용홈(117)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117)은 닫힌 공간(107)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LED(220)는 닫힌 공간(107)과 수용홈(117)에 수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EDs 2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17, which are spac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primary bends 110, respectively. The receiving groove 117 may communicate with the closed space 107 . Therefore, the LED 2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107 and the receiving groove 117.

렌즈 유닛(100)과 기판(210)이 매설 유닛(300)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유닛(100)과 기판(210)은 지면(G)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LED(220)는 기판(210)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LED(220)는 기판(210)에 기울어지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210) 및 LED(220)를 지면(G)이나 상측 렌즈(101)의 하면에 대해 기울지 않게 설치시킴으로써, LED(220)와 기판(210)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닫힌 공간(107) 및 수용홈(117) 내부의 공기의 열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렌즈 유닛(100), 기판(210), 매설 유닛(300)의 뒤틀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뒤틀림이 최소화됨으로써 방수구조의 항상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렌즈 내부의 빈 공간이 종래 기술 대비 최소화됨으로써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의 제조 단계와 조립 단계에서 수용홈(117)과 닫힌 공간(107)으로의 공기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7) 및 닫힌 공간(107)의 내부 공기는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반복적인 급격한 팽창 및 수축이 최소화되므로, 매립형 보행 신호등은 구성들의 결합 부위에서 방수(sealing) 효과를 오래 유지할 수 있고,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의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장기간 차단될 수 있다. 이때, 구성이란 렌즈 유닛(100), 기판(210), 매설 유닛(300), 솔라셀(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unit 100 and the substrate 21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embedding unit 300 . The lens unit 100 and the substrate 21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G). The LEDs 22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substrate 210 . The LED 220 may be installed on the substrate 210 without tilting. 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substrate 210 and the LED 220 no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or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the space required to install the LED 220 and the substrate 210 can be minimized. there is. Accordingly, distortion of the lens unit 100, the substrate 210, and the embedding unit 300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ir inside the closed space 107 and the accommodation groove 117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distortion, the homeostasis of the waterproof structur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Since the empty space inside the lens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prior art, air inflow into the receiving groove 117 and the closed space 107 can be minimized in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steps of the embedd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 In addition, since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7 and the closed space 107 minimizes repeated rapid expansion and contract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ir, the embedded walking traffic light has a long-lasting sealing effect at the junction of the components. It can be maintained, and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can be block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may include the lens unit 100, the substrate 210, the embedding unit 300, and the solar cell 23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

도 5를 참조하면, 1차 굴절부(110)는 상측 렌즈(101)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굴절부(1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1차 제 1 굴절 파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제 1 굴절 파트(111)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rimary refraction part 110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 The primary refracting part 110 may include a primary first refracting part 111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primary first refracting part 11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상기 1차 굴절부(110)는, 일단이 상기 1차 제 1 굴절 파트(11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1차 굴절부(110)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1차 제 2 굴절 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제 2 굴절 파트(112)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제 2 굴절 파트(112)는 LED(220)의 빛의 일부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내부로 굴절시킬 수 있다.One end of the primary bending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first bending part 111 . The primary refracting part 110 may include a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that is convex upwardly from one end to the other. The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may refract some of the light of the LED 220 into the lens unit 100 .

1차 굴절부(110)는, 일단이 1차 제 2 굴절 파트(112)의 타단에 연결되는 1차 제 3 굴절 파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일단부터 타단 사이의 일타측 길이는 1차 제 1 굴절 파트(111)의 일단부터 1차 제 2 굴절 파트(112)의 타단까지의 일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굴절부(110)는 LED(220)의 빛이 최대한 인도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굴절시킬 수 있다.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제 3 굴절 파트(113)와 LED(220)의 최소 거리는 1차 제 2 굴절 파트(112)와 LED(220)의 최소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LED(220)의 빛이 1차 제 3 굴절 파트(113)를 통해 인도 방향으로 더 많이 조사되어 차도측에서 빛이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에서 빛이 인도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1차 제 1 굴절 파트(111)나 1차 제 2 굴절 파트(112)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primary refracting part 110 may include a primary third refracting part 1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refracting part 112 . The one-side length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order third bend part 113 is formed longer than the one-side length from one end of the first-order first bend part 111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order second bend part 112. It can be. The primary refracting unit 110 may refract the light of the LED 220 so as to be radiated in the guidance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The primary third refractive part 11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The primary third refractive part 113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order third refractive part 113 and the LED 220 may be closer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order second-order refractive part 112 and the LED 220 . Accordingly, more light from the LED 220 is radiated toward the sidewalk through the primary third refracting part 113, so that the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en on the side of the roadway. The primary third refracting part 113 has a larger area than the primary first refracting part 111 or the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so that light can be converged in the direction of delivery in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may be formed.

1차 굴절부(110)는, 일단이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타단에 연결되는 1차 제 4 굴절 파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제 4 굴절 파트(114)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제 4 굴절 파트(114)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제 4 굴절 파트(114)의 기울기는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imary bending part 110 may include a first-order fourth bending part 11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order third bending part 113 . The primary fourth refractive part 11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The primary fourth refractive part 114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e slope of the first-order fourth refractive part 114 may be greater than the slop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order third refractive part 113 .

2차 굴절부(150)는 상측 렌즈(101)의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굴절부(150)는, 2차 제 1 굴절 파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제 1 굴절 파트(151)는 일단이 1차 제 1 굴절 파트(1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2차 제 1 굴절 파트(151)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제 1 굴절 파트(151)는, 빛이 차도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빛을 인도 방향으로 최대한 굴절시킬 수 있다.The secondary refractive portion 150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ens 101 . The secondary bending part 150 may include a secondary first bending part 151 . One end of the secondary first refractive part 15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rimary first refractive part 111 . The secondary first refracting part 15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The secondary first refracting part 151 can minimize the refraction of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and maximally refract th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상기 2차 굴절부(150)는 2차 제 2 굴절 파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제 2 굴절 파트(152)는 일단이 상기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2차 제 2 굴절 파트(152)는 일단이 상기 2차 제1 굴절 파트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2차 제 2 굴절 파트(152)는 일단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ary bending part 150 may include a secondary second bending part 152 . One end of the secondary second refractive part 15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rimary third refractive part 113 . One end of the secondary second bending part 152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first bending part. The secondary second refracting part 15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2차 제 1 굴절 파트(151)의 곡률은 2차 제 2 굴절 파트(152)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2차 제 1 굴절 파트(151)의 일타측 길이는 2차 제 2 굴절 파트(152)의 일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urvature of the secondary first bend part 151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econdary bend part 152 .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first refracting part 15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condary refracting part 152 .

한편, 1차 굴절부(110)와 2차 굴절부(150)를 통틀어 굴절부(110,150)라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bend 110 and the second bend 15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bends 110 and 150 .

도 6은 도 1에 도시된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B-B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1차 집광 파트(171)는 2차 집광 파트(17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2차 집광 파트(173)는 솔라셀(230)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솔라셀(230)은 2차 집광 파트(173)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1차 집광 파트(171)의 곡률은 2차 집광 파트(173)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집광 파트(171)의 좌우 길이는 2차 집광 파트(173)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1차 집광 파트(171)의 상하 길이는 2차 집광 파트(173)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2차 집광 파트(173)의 좌우 길이는 솔라셀(230)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집광 파트(171)는 태양광을 2차 집광 파트(173)의 중심에 가깝게 집광시킬 수 있다. 나아가, 2차 집광 파트(173)는 1차 집광된 태양광을 솔라셀(230)의 중심뿐만 아니라 솔라셀(230)의 전반으로 집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이 집광부(170)를 통해 2번에 걸쳐 집광되므로, 태양광의 집광 효율이 좋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173 .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olar cell 230 . The solar cell 23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 The curvature of the primary light-collecting part 171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light-collecting part 173 .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173 .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173 .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may b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olar cell 230 . Accordingly, the primary concentrating part 171 may concentrate sunlight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ondensing part 173 . Furthermore, the secondary concentrating part 173 may condense the primary condensed sunlight not only to the center of the solar cell 230 but also to the entire solar cell 230 . Accordingly, since sunlight is condensed twice through the concentrating unit 170, the condensing efficiency of sunlight is good.

복수의 굴절부(110,150)는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LED(220)의 빛을 렌즈 유닛(100)의 외부로 조사하므로, LED(220)의 빛이 골고루 넓은 범위에 조사될 수 있다. 집광부(170)는 굴절부(110,150) 사이마다 형성되어 태양광을 넓은 범위에서 집광할 수 있다. 따라서, 굴절부(110,150)와 집광부(170)가 최소 면적에 최대한 설치되어 있으므로,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부피에 비하여 빛의 조사 효율과 태양광 집광 효율이 좋다. Since the plurality of refractive parts 110 and 150 radiate the light of the LED 220 to the outside of the lens unit 1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ight of the LED 220 can be uniformly irradiated over a wide range. The concentrating unit 170 is formed between the refracting units 110 and 150 to collect sunlight in a wide range. Therefore, since the refracting parts 110 and 150 and the light concentrating part 170 are maximally installed in the minimum area, the embedd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has good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and sunlight concentrating efficiency compared to its volume.

1차 집광 파트(171)와 2차 집광 파트(173)를 통틀어 집광부(170)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집광부(170)는, 솔라셀(230)의 상측에 위치되어 태양광을 총 2 회 집광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collecting part 171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173 may collectively be referred to as the light collect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light collecting unit 17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olar cell 230 to collect sunlight a total of two times.

도 3, 도 5, 도 6을 참고하면, 접촉부(183)는 렌즈 유닛(100)의 좌측, 우측, 일측,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타좌우 접촉 파트(183a,183b,183c,18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접촉 파트(183c), 우측 접촉 파트(183d), 일측 접촉 파트(183a), 타측 접촉 파트(183b)는 양측이 다른 접촉 파트(183a,183b,183c,183d)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83)가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10)은 일타좌우측이 접촉 파트(183a,183b,183c,183d)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210)과 접촉 파트(183a,183b,183c,183d)와 상측 렌즈(101)에 둘러싸인 닫힌 공간(10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닫힌 공간(107)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10)의 좌측과 우측이 좌측 접촉 파트(183c)와 우측 접촉 파트(183d)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5, and 6, the contact portion 183 may include left and right contact parts 183a, 183b, 183c, and 183d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side, right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ens unit 100. can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left contact part 183c, the right contact part 183d, one contact part 183a, and the other contact part 183b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ntact parts 183a, 183b, 183c, and 183d. Therefore, the contact portion 183 may be formed in a band shape. Referring to FIGS. 4 and 6 ,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bstrate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rts 183a, 183b, 183c, and 183d. As a result, a closed space 107 surrounded by the substrate 210, the contact parts 183a, 183b, 183c, and 183d, and the upper lens 101 may be formed. Therefore, water or foreign matter may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losed space 107 . Referring to FIG. 6 ,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bstrate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ft contact part 183c and the right contact part 183d, respective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00)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렌즈 유닛(100)에는 복수의 2차 집광 파트(173)가 형성되어 있다. 2차 집광 파트(173)의 일타측 길이가 좌우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plurality of secondary light condensing parts 173 are formed in the lens unit 100 . A length of one side of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173 may be longer than lengths of left and right sides.

1차 굴절부(110)는 2차 굴절부(150)(도 9 참고)처럼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secondary bend 150 (refer to FIG. 9 ), the primary bend 11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1차 제 1 굴절 파트(111)는, 1차 제 2 굴절 파트(112)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imary first refractive part 11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rimary second refractive part 112 .

1차 제 1 굴절 파트(111)는, 1차 제 3 굴절 파트(1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imary first refractive part 11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rimary third refractive part 113 .

1차 제 2 굴절 파트(11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좌우 길이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ft-right length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일측이 1차 제 2 굴절 파트(112)와 연결되는 제 3-1 굴절 멤버(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1 굴절 멤버(113a)는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일측이 제 3-1 굴절 멤버(113a)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3-2 굴절 멤버(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2 굴절 멤버(113b)는 1차 제 3 굴절 파트(113)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order third refractive part 113 may include a 3-1-th refractive member 113a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order second refractive part 112 . The 3-1st bending member 113a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primary third bending part 113 . The primary third refractive part 113 may include a 3-2 refractive member 113b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3-1 refractive member 113a. The 3-2nd bending member 113b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mary third bending part 113 .

제 3-1 굴절 멤버(113a)는 1차 굴절부(11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The 3-1st bending member 113a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rimary bending part 110 .

제 3-2 굴절 멤버(113b)의 좌우 길이는 제 3-1 굴절 멤버(113a)의 좌우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2 굴절 멤버(113b)는 LED(220, 도 8 참고)의 빛을 최대한 인도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인도 방향에서의 빛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3-2nd bend member 113b may b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3-1st bend members 113a. Accordingly, the 3-2 refracting member 113b can refract the light of the LED 220 (refer to FIG. 8) as much as possible in the guiding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light in the guiding direction.

지지부(181)는, 렌즈 유닛(100)의 일타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일측 지지 파트(181a), 타측 지지 파트(181b), 좌측 지지 파트(181c), 우측 지지 파트(181d)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81 may include one support part 181a, the other support part 181b, the left support part 181c, and the right support part 181d formed on one left and right side of the lens unit 100, resp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220)의 빛(L)이 렌즈 유닛(100)을 통해 굴절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돌기(160, 도 5 참고)의 도시는 생략되었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mulation result in which light L of the LED 220 is refracted through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illustration of the protrusion 160 (refer to FIG. 5) is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1차 굴절부(110)는 오목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LED(220)의 빛(L)을 2차 굴절부(150)로 집중시켜 빛(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볼록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LED(220)의 빛(L)을 인도 방향으로 조사되게 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굴절부(110,150)에 의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굴절부(110)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굴절부(110)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으로 렌즈 유닛(100)을 제조할 때, 렌즈 유닛(100)이 금형에서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렌즈 유닛(100)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LED(220)의 빛(L)이 인도측과 차도측에 비대칭으로 발산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경기술에 전술한 바와 같이 LED(220)를 인도쪽으로 약 10도 기울여 설치한 것과 동일한 또는 더 나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도측에서 인도측으로 조사되는 빛(L)이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primary refraction unit 110 may serve as a concave lens. Accordingly, the loss of light L may be minimized by concentrating the light L of the LED 220 into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 The secondary refraction part 150 may serve as a convex lens. Accordingly, the light L of the LED 220 can be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guidance. The lens unit 100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by the refractive parts 110 and 150 . Specifically, the primary bend 110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imary bend 110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Therefore, when the lens unit 10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lens unit 100 does not fall out of the mold is prevented, and thus manufacturing of the lens unit 100 is easy. In addition, an effect in which the light L of the LED 220 is asymmetrically emitted to the sidewalk side and the roadway side may occur.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has the same or better effect as installing the LED 220 at an angle of about 10 degrees toward the sidewalk.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L) irradiated from the side of the road to the side of the sidewal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en.

구체적으로, 1차 제1 굴절 파트는 LED(220)의 빛(L)의 일부를 일측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1차 제1 굴절 파트는 LED(220)의 빛(L)의 일부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내부로 굴절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imary first refracting part may refract a part of the light L of the LED 220 to one side. The primary first refracting part may refract part of the light L of the LED 220 into the lens unit 100 .

1차 제 2 굴절 파트(112)는 LED(220)의 빛(L)의 일부를 일측과 2차 굴절부(150)측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빛(L)의 일부는, 렌즈 유닛(100)의 상면과 2차 제 1 굴절 파트(151)에서 굴절되어 차도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primary second refracting part 112 may refract a part of the light L of the LED 220 to one side and the secondary refracting part 150 side. Accordingly, some of the light L may be refrac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0 and the secondary first refracting part 151 and then irradiated toward the roadway.

1차 제 3 굴절 파트(113)는 LED(220)의 빛(L)을 타측과 2차 굴절부(150)측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이때, 2차 굴절부(150)로 굴절된 빛(L)의 대부분은 인도 방향으로 굴절되어 조사될 수 있다. The primary third refracting part 113 may refract the light L of the LED 220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side. At this time, most of the light L refracted by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may be refracted and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delivery.

1차 제 4 굴절 파트(114)는 LED(220)의 빛(L)의 일부를 타측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The primary fourth refracting part 114 may refract a part of the light L of the LED 220 to the other side.

1차 굴절부(110)에서 굴절된 빛(L)의 일부(L1)는, 렌즈 유닛(100)의 상면(100c)과 일측면(100a)과 타측면(100b)에서 렌즈 유닛(100)의 내부로 재굴절된 후, 렌즈 유닛(100), 즉 상측 렌즈(101)의 하면(100d)에서 1차 굴절부(110) 또는 2차 굴절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굴절된 후, 외부(차도, 인도 방향)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빛(L)을 렌즈 유닛(100)의 내부로 되돌림으로써, 외부로 발산되지 못한 빛(L)을 일부라도 재활용할 수 있어, LED(220)의 빛(L)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 재굴절되는 빛의 일부(L1)는 점선으로 1 개만 도시되었지만, 이외에도 더 존재할 수 있다.A portion L1 of the light L refracted by the primary refracting unit 110 is a part of the lens unit 100 on the top surface 100c, one side surface 100a, and the other side surface 100b of the lens unit 100. After being rerefracted to the inside, after being refracted by at least one of the primary refraction part 110 and the secondary refraction part 150 in the lens unit 100, that is, the lower surface 100d of the upper lens 101, the outer ( roadway, sidewalk direction) can be investigated. In this way, by returning the light L to the inside of the lens unit 100, it is possible to recycl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L that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the light L of the LED 220. can At this time, although only one portion L1 of rerefracted light is shown as a dotted line in FIG. 8 , there may be more than one.

상기 2차 굴절부(150)의 타단은 1차 굴절부(110)의 타단보다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굴절부(150)의 타단은 1차 굴절부(110)의 타단보다 인도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빛(L)의 최소 50%를 수직광축(V)을 기준으로 인도측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따라서, 2차 굴절부(150)는, 빛(L)을 최대한 인도 방향으로 조사시키므로, 보행자(미도시)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제 1 굴절 파트(151)는, 빛(L)의 일부는 차도 방향(A)으로, 나머지 일부는 인도 방향(B)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2차 제 2 굴절 파트(152)는 1차 굴절부(110)에서 굴절된 빛(L)을 LED(220)의 수직광축(V)을 기준으로 인도측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bend 110 .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located closer to India than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bend 110 .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may refract at least 50% of the light L toward an Indian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optical axis V. Therefore, since the secondary refracting unit 150 radiates the light L as much as possible in the direction of the sidewalk, the visibility of a pedestrian (not shown)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the secondary first refracting part 151 may refract some of the light L in the roadway direction A and the other part in the Indian direction B. The secondary second refracting part 152 may refract the light L refracted by the primary refracting unit 110 toward an Indian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optical axis V of the LED 220 .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00)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plane view of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2차 굴절부(150)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굴절부(150)는 일타측 최대길이가 좌우측 최대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The maximum length of one side of the secondary bend 150 may be short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1차 집광 파트(171)의 좌우측 길이는 2차 굴절부(150)의 좌우측 최대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primary light collecting part 171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econdary refraction part 150 .

돌기(160)는 2차 굴절부(150)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160)의 좌우측 길이 및 일타측 길이는 2차 굴절부(150)의 좌우측 길이나 일타측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60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ary bend 150 . The left and right lengths and one other side length of the protrusion 160 may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side lengths or one other side length of the secondary bend 15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220)의 작동과 관련된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dia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LED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를 참조하면,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기판(210)에 포함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솔라셀(230)에 연결된 기준 입력 요소(S)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준 입력 요소(S)에 연결되는 배터리(B)(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LED(220)에 연결되는 정전류 회로(C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전류 회로(CC)와 배터리(B)에 연결되는 컨르롤러(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트롤러(CR)에서 정전류 회로(CC)에 공급되는 신호를 받아 배터리(B)에 공급하는 피드백(F)(Feedback)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F)은 매립형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일반적인 보행 신호등의 동작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F)은 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일반 전기 전원 또는 솔라셀(230)을 통해 형성되는 태양광(Solar) 전원 중에서 태양광 전원을 우선 사용하게 한다. 제어부는 정전류 회로(CC)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시 전원(OP)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included in a substrate 21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ference input element (S)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30 .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battery B connected to the reference input element S.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stant current circuit (CC) connected to the LED 22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CC) and the battery (B).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eedback F for receiving a signal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CR to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CC and supplying the signal to the battery B. The feedback (F)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mbedded pedestrian traffic light in the same way as the operation state of a general pedestrian traffic light. Feedback (F) causes solar power to be used first among general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wires or solar power formed through the solar cell 23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stant power supply (OP) connected to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CC) to supply power.

LED(220)를 점등시키는 기본 전원은 솔라셀(230)을 우선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솔라셀(230)만으로 LED(220)에 전원 공급이 어려운 경우에는 상시 전원(OP)으로 LED(2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이중 상호 보완 전원을 사용하므로, 상시 감시 회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LED(2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즉, 매립형 보행 신호등(10)은 끊김 없이 보행자 신호를 표출할 수 있다. The basic power for lighting the LED 220 may give priority to the solar cell 230 .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to the LED 220 only with the solar cell 230, the LED 220 can be turned on by the regular power supply (OP). Therefore, since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uses dual complementary power sources, the LED 220 can be continuously turned on through the monitoring circuit at all times. That is, the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 10 can express the pedestrian signal without interrup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220)와 관련된 회로도이다.11 is a circuit diagram related to the LED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전원 선택부(P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LED(220)에 연결되는 녹색 신호 정전류부(G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LED(220)에 연결되는 적색 신호 정전류부(R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동작 방지부(MP)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전원 차단시 동작 방지부(MP)는 전원 선택부(PC)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방지부(MP)는 주전원이 차단될 때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저전압 승압부(LP)를 포함할 수 있다. 저전압 승압부(LP)는 전원 선택부(PC)와 저전압 승압부(LP)에 연결될 수 있다. 동작 방지부(MP)는 제어부의 전원을 항시 감지할 수 있다. 동작 방지는, 전원이 차단될 때 LED(220)가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녹색 신호 정전류부(GC)와 적색 신호 정전류부(RC)의 전원을 차단하여 LED(220)를 강제 소등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wer selection unit (PC).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green signal constant current unit GC connected to the LED 22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d signal constant current unit (RC) connected to the LED 22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preventing unit MP. When the main power is cut off, the operation prevention unit MP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election unit PC. The operation preventing unit MP may prevent operation when the main power is cut off.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low voltage booster (LP). The low voltage booster LP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elector PC and the low voltage booster LP. The operation prevention unit (MP) can always sense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Operation prevention can forcibly turn off the LED 220 by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green signal constant current part (GC) and the red signal constant current part (RC) in order to prevent the LED 220 from being turned on when the power is cut off. .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Certain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ation of respective components or function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매립형 보행 신호등
100 : 렌즈 유닛
101 : 상측 렌즈
110 : 1차 굴절부
150 : 2차 굴절부
160 : 돌기
170 : 집광부
210 : 기판
220 : LED
230 : 솔라셀
300 : 매설 유닛
G : 지면
L : 빛
10: buried pedestrian traffic lights
100: lens unit
101: upper lens
110: primary bend
150: secondary bend
160: protrusion
170: light collector
210: substrate
220: LED
230: solar cell
300: buried unit
G: ground
L: light

Claims (5)

일측과 타측에 차도와 인도가 각각 배치되도록 지면에 매설되는 매설 유닛;
상기 매설 유닛에 결합되며, 하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유닛; 그리고
서로 측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복수의 LED 사이마다 솔라셀이 각각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솔라셀의 상측에 위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집광부;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LED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1차 굴절부; 그리고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1차 굴절부의 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2차 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광부는,
태양광을 1차 집광하는 1차 집광 파트; 그리고
상기 솔라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1차 집광된 태양광을 2차 집광하는 복수의 2차 집광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집광 파트는 상기 복수의 2차 굴절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2차 집광 파트는 상기 복수의 1차 굴절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1차 집광 파트의 곡률은 상기 2차 집광 파트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
A buried unit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roads and sidewalk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 lens unit coupled to the embedding unit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spaced laterally from each other, and a substr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solar cell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The lens unit,
a plurality of concentrating units positioned above the solar cell to condense sunlight;
a plurality of primary bend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and forming accommodating grooves in which the plurality of LED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and
It is formed convexly on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ends each positioned above the first bend,
The light collector,
a primary concentrating part that primarily condenses sunlight; and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condensing parts for secondary condensing the primary condensed sunlight,
The primary light-collecting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refracting parts,
The secondary light collecting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imary refracting parts,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primary light-concentrating part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ary light-concentr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기판이 상기 매설 유닛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LED는 상기 기판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의 하면과 상기 기판의 상면이 서로 면접촉되어 닫힌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닫힌 공간은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며, 상기 LED는 상기 닫힌 공간과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unit and the substrate are dispos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embedding unit,
The LED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subs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space, the close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LED is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and the receiving groove.
Recessed pedestrian traffic l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굴절부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2차 굴절부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end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a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secondary bend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asymmetrical to each other,
Recessed pedestrian traffic l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각뿔(角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옆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2차 굴절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옆면을 통해 상기 렌즈 유닛의 상면에서 사방으로 확산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pyramid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The protrusion is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ary refracting part, so that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is diffused in all direction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Recessed pedestrian traffic ligh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흰색 바탕의 유광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LED의 빛을 상기 렌즈 유닛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역할을 하는,
매립형 보행 신호등.
According to claim 2,
The substrate is formed of a glossy material on a white background and serves as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ED toward the lens unit.
Recessed pedestrian traffic lights.
KR1020210186917A 2021-12-24 2021-12-24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KR102662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17A KR102662202B1 (en) 2021-12-24 2021-12-24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17A KR102662202B1 (en) 2021-12-24 2021-12-24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30A true KR20230097430A (en) 2023-07-03
KR102662202B1 KR102662202B1 (en) 2024-05-03

Family

ID=8715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917A KR102662202B1 (en) 2021-12-24 2021-12-24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2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71U (en) 2009-10-14 2011-04-20 김무광 In-pavement solar road stud
KR101939632B1 (en) 2017-04-12 2019-01-17 이봉길 Pavement marker and road direction guide system using the same
KR200492413Y1 (en) 2020-03-23 2020-10-08 주식회사 대화 Pavement Marker
KR102274912B1 (en) 2021-03-03 2021-07-07 형지민 Floor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030B1 (en) 2014-07-25 2015-03-18 미미라이팅주식회사 LED module for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that
KR101754724B1 (en) 2016-11-01 2017-07-19 (주)엠파이브 Control system for solar road stud
KR102303352B1 (en) 2021-03-25 2021-09-17 (주)천강이엔씨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71U (en) 2009-10-14 2011-04-20 김무광 In-pavement solar road stud
KR101939632B1 (en) 2017-04-12 2019-01-17 이봉길 Pavement marker and road direction guide system using the same
KR200492413Y1 (en) 2020-03-23 2020-10-08 주식회사 대화 Pavement Marker
KR102274912B1 (en) 2021-03-03 2021-07-07 형지민 Floor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202B1 (en)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7054B2 (en) Lighting device
US9581750B2 (en) Outdoor and/or enclosed structure LED luminaire
US10379278B2 (en) Outdoor and/or enclosed structure LED luminaire outdoor and/or enclosed structure LED luminaire having outward illumination
US20110007505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led street lamp using the same
KR101343563B1 (en) Led light diffusing lens using numerical formula of asymmetric free curved surface
US20150109820A1 (en) Outdoor and/or Enclosed Structure LED Luminaire
JP5147358B2 (en) Illumination optics
CN102245964A (en) Light emitting diode roadway lighting optics
US20020149949A1 (en) LED signal light
CN102654268A (en) LED (Light-Emitting Diode) lens device, LED lens device module and LED lamp device
KR101236736B1 (en) Aspherical lens for a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236737B1 (en) Aspherical lens for a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02588878A (en) Transparent lampshade and lens module of high-power LED streetlamp
KR101471609B1 (en) Compound Refractive Lens for Lighting Unit and Street Ligh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404492B1 (en)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TW201407198A (en) Lens module for LED light source
KR20230097430A (en) Reclamation 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KR101664426B1 (en) Lighting apparatus
JP5693096B2 (en) Lighting device
KR102002969B1 (en) Multi Lens for LED Lighting
KR101201881B1 (en) Light Guide Plate of Point LED and Light Guide Plate Module by Using Light Guide Plate
CN220228829U (en) Condenser and car lamp module using same
KR101461614B1 (en) LED lens
KR20000030723A (en) Lens body for light-emitting diode traffic light and the light-emitting diode traffic light comprising the lens body
KR101120005B1 (en) Transmission plate for led street lamp with optimum light using a refraction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