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415A -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415A
KR20230097415A KR1020210186899A KR20210186899A KR20230097415A KR 20230097415 A KR20230097415 A KR 20230097415A KR 1020210186899 A KR1020210186899 A KR 1020210186899A KR 20210186899 A KR20210186899 A KR 20210186899A KR 20230097415 A KR20230097415 A KR 2023009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cover
lifte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우형
류재연
김재년
정바위
신민철
박해인
Original Assignee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415A/en
Publication of KR2023009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자 커버 일체형 배터리 모듈(1)은 셀 출력단(4)을 갖춘 셀 유닛(3)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6)의 외부 노출된 단자 연결부(7a)에 형성된 커버 공간(10)에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탈/장착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6)과 일체형 단자부 가림 구조로 위험인자인 단자부의 용이한 외부인식과 함께 일회용 단자 커버 적용 시 요구되던 작업자 주의 및 추가적인 인원/시간/설비/비용 투입 축소로 제품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단자부 가림 구조를 통한 배터리 모듈(1) 간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상대물 형상의 단순화로 작업성 증대와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스프링(30)으로 탄발 지지됨으로써 하드웨어 조립의 토크 유지/안정성 강화로 품질 경쟁력 확보도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The terminal cover integrated battery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ousing terminals in the cover space (10) formed in the externally expose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a) of the battery housing (6) surrounding the cell unit (3) having the cell output terminal (4). By combining the cover (1-1) in a detachable/mountable manner, the battery housing (6) and the integrated terminal cover structure allow easy external recognition of the terminal part, which is a risk factor, along with operator attention and additional personnel/time required when applying a disposable terminal cover It is possible to secure product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input / facility / cost, and in particular, simpl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counterpar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attery modules (1) through the terminal cover structure increases workability and housing terminal cover (1-1) By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30, it has a feature that secures quality competitiveness by maintaining torque/strengthening stability of hardware assembly.

Description

단자 커버 하우징 일체형 배터리 모듈{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하우징을 단자부 가림 구조로 단자 쇼트 방지가 이루어짐으로써 일회용 단자 커버 적용에 따른 단점이 모두 해소되는 단자 커버 하우징 일체형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integrated with a terminal cover housing, in which a terminal short circuit is prevented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housing covers terminals, thereby eliminating all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 disposable terminal cover.

최근 들어 전동차 시장이 커짐에 따라 기존 자동차 부품과 달리 UN 법규에 의한 검증 수준이 상이하면서 운송 수단도 다른 배터리에 대한 검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market for electric vehicles has grown, it is essential to verify batteries with different levels of verification according to UN laws and different means of transportation, unlike existing automobile parts.

특히 상기 배터리는 운송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품 손상 방지가 요구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소형 배터리 모듈은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한 구조이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battery is required to prevent product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ation. This is because the small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terminal par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일례로 상기 배터리는 별도의 커버 또는 개별의 모듈로 박스 포장 처리를 하여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is transported by box packaging with a separate cover or an individual module.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는 박스 포장 처리로 외부 노출된 단자부를 가려 운송됨으로써 단자부 노출 시 예상치 못한 상황(예, 공구, 열쇠, 취급 부주의)으로 인한 폐회로 구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쇼트 위험이 방지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battery is transported by covering terminals exposed to the outside by box packaging, thereby preventing short circuit risk that may occur due to a closed circuit configuration due to unexpected circumstances (eg, tools, keys, careless handling) when terminals are exposed.

더불어 상기 단자부 가림은 단자부 쇼트 발생 후 제품 손상을 포함하여 주변 자재에 스파크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성도 방지하여 준다.In addition, the covering of the terminal part prevents the risk of fire caused by sparks in surrounding materials, including damage to the product after a short circuit of the terminal part occurs.

국내공개특허 KR 10-2021-0135786 ADomestic Patent Publication KR 10-2021-0135786 A

상기 단자부 가림 커버는 배터리와 별개 부품인 일회용 단자 커버로 별도 제조되어 배터리에 조립됨으로써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다.The cover covering the terminal part has several problems because it is separately manufactured as a disposable terminal cover, which is a separate part from the battery, and assembled to the battery.

일례로 제조사 측면에서, 상기 일회용 단자 커버를 상시 제작/공급해야 하고, 커버를 배터리 모듈에 조립하기 위해 인원/시간/설비/비용 등 투입이 불가피하며, 특히 공정 라인에서 취급 시 쇼트 발생 방지를 위한 작업자의 주의도 요구될 수밖에 없다.For example, from the manufacturer side, the disposable terminal cover must be manufactured/supplyed at all times, and personnel/time/facility/cost are unavoidable in order to assemble the cover to the battery module. Workers' attention is also required.

더구나 상기 일회용 단자 커버는 운송 후 현지에서 탈거되어 폐기됨으로써 제조사 비용 손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Moreover, since the disposable terminal cover is detached and discarded after transportation, the manufacturer inevitably loses costs.

반면 상기 일회용 단자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운송을 위해선 배터리 모듈을 하나씩 개별 포장이 요구되어 적용 불가한 방식이라는 단점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osable terminal cover is not used, the battery modu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applicable because individual packaging of each battery module is required for transportation.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운송 또는 작업 중 단자 쇼트를 방지하는 단자부 가림 구조가 배터리 하우징을 이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위험인자인 단자부에 대한 외부인식이 용이하면서 일회용 단자 커버 적용 시 요구되던 작업자 주의 및 추가적인 인원/시간/설비/비용 투입 축소로 제품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단자부 가림 구조를 통한 배터리 모듈 간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상대물 형상의 단순화로 작업성 증대와 하드웨어 조립의 토크 유지/안정성 강화로 품질 경쟁력 확보도 가능한 단자 커버 하우징 일체형 배터리 모듈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covering terminals to prevent terminal shorting during transportation or work by using a battery housing, thereby facilitating external recognition of terminals, which are a risk factor, and requiring operator attention when applying disposable terminal covers.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product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additional personnel/time/facility/cost input,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ability and maintain torque of hardware assembly by simplifying the shape of the counterpar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attery modules through the shield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pa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battery module that can secure quality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stabi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셀 유닛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의 외부 노출된 단자 연결부에 탈/장착되는 하우징 단자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연결부의 커버 공간에서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스프링, 상기 단자 연결부의 조립 홈과 결합으로 상기 커버 공간을 가려주고, 상기 스프링으로 탄발 지지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의 리프터 공간에 결합되고, 상기 셀 유닛의 셀 출력단과 통전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 버스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terminal cover that is detachable/attached to the externally exposed terminal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housing surrounding the cell unit, and the housing terminal cover is in the cover spac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 spring forming a spaced distance, a lifter coupled to the assembly groov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to cover the cover space,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a lifter coupled to the lifter space of the lifter, and a cell output end of the cell unit and a current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ter bus bar forming a.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 공간은 상기 조립 홈을 형성한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ㄷ”형상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리프터의 가림 바디가 상기 커버 공간을 가린 상태에서 상기 리프터의 고정 플랜지가 상기 “ㄷ”형상의 일측트임부로 위치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ver space is formed in a “c” shape in which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the spring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 shape, and the covering body of the lifter covers the cover space In , the fixed flange of the lifter is positioned as the “c”-shaped one-side opening.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로 구성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pr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립 홈은 측면 고정 홈과 수직 위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고정 홈과 상기 수직 위치 홈은 직선 슬롯으로 형성 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assembly groove is composed of a side fixing groove and a vertical positioning groove, and the side fixing groove and the vertical positioning groove are formed as straight slots.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가림 바디가 상기 조립 홈의 수직 위치 홈으로 위치 구속되고, 상기 고정 플랜지가 상기 조립 홈의 측면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lifter, the covering body is positionally constrained to the vertical positioning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and the fixing flang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ide fixing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변형부와 고정부의 절곡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가림 바디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ㄷ”형상의 일측트임부를 가려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변형부의 끝부에서 상기 조립 홈의 상기 측면 고정 홈에 끼워진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xing flange is formed of a bending structure of a deformable part and a fixing part, and the deformable part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covering body to cover the “c”-shaped one-side opening, and the fixing part At the end, it is fitted into the side fixing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형부는 벤딩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벤딩 홈은 외력이 가해진 상기 변형부가 접혀지도록 작용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formable part forms a bending groove, and the bending groove acts to fold the deformable part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가림 바디에 상기 리프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 버스바는 상기 리프터 공간에 결합되는 버스바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스바 바디에 홀과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버스바 바디의 일측부를 단차 구조로 하여 형성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lifter forms the lifter space in the covering body, the inter bus bar is made of a bus bar body coupled to the lifter space, and a hole and a stopper are formed in the bus bar body, The stopper is formed by having a stepped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bus bar bod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셀 유닛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셀 유닛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배터리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단자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상부 배터리 하우징에서 돌출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ttery housing includes an upper battery housing en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cell unit and a lower battery housing enclosing a lower portion of the cell unit, the upper battery housing forming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It protrudes from the upper battery housing.

이러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조립 측면에서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in terms of assembly.

첫째, 단자 커버 하우징 일체형 구조로 배터리 하우징이 활용됨으로써 일회용 단자 커버의 사용 없이도 운송 또는 작업시 요구되는 배터리 단자부 보호가 가능하며, 특히 배터리 하우징에서 외부 노출부를 가짐으로써 비전문가도 해당 부위를 단자부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둘째, 하우징 일체형 단자 커버에 의한 배터리 모듈 자체로 쇼트 방지를 위한 별도의 커버 개발 및 조립이 불필요함으로써 커버 개발/제작비용, 작업 공수, 설비 세팅이 필요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배터리 모듈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하우징에 대한 별도 커버 적용이 없어 상대물 작업성도 확보됨으로써 과도한 작업자 주의가 요구되지 않는다.First, the battery housing is utilized as a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structure, so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attery terminals required during transportation or work without using a disposable terminal cover. can perceive Second, the battery module itself by the housing-integrated terminal cover does not require the development and assembly of a separate cov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so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battery module, unlike the existing method that required cover development/manufacturing cost, work man-hours, and facility setting.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separate cover applied to the housing, the workability of the counterpart is also secured, so excessive operator attention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사용측면에서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in terms of use.

첫째, 하우징 일체형 단자 커버에 단순 이격거리 확보/유지와 복원력에 의한 추력 발생이 가능한 스프링과 벤딩 유도구조를 부가 적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체결 시 토크 유지력이 향상되고, 특히 운송 후 하우징 일체형 단자 커버 탈거 시 쇼트 방지 구조의 원복 및 A/S 후 효과 유지로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둘째, 시스템 사양에 맞춘 공용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 구조로 배터리 모듈 간 직/병렬연결을 위한 조립체가 불필요하다. 셋째,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 수량에 관계없이 단 1종의 직/병렬 버스바 만 활용되는 공용화가 가능함으로써 사양별 맞춤 커버 개발을 위한 커스터마이징이 필요 없고, 특히 단순한 구성으로 시스템 사양별 고객사 요구사항이 만족될 수 있다.First, by additionally applying a spring and a bending guide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maintaining a simple separation distance and generating thrust by restoring force to the housing-integrated terminal cover, the torque holding power when fastening hardware is improved, and in particular, short circuit prevention when removing the housing-integrated terminal cover after transport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by restoring the structure and maintaining the effect after A/S. Second, an assembly for series/parallel connection between battery modules is unnecessary due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mon busbars tailored to the system specifications. Third,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type of serial/parallel bus ba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nnected battery modules, so there is no need for customizing to develop a customized cover for each specification, and in particular, customer requirements for each system specification are satisfi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t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커버 하우징 일체형 배터리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단자 커버의 조립 및 분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단자 커버가 단자 가림 상태에서 단자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예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y and disassembly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using terminal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terminal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terminals This is an example of switching from to the terminal use st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and since these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n example, the description herein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도 1 및 도 2는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1)을 예시 한다.1 and 2 illustrate a battery module 1 to which a housing terminal cover 1-1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1)은 셀 유닛(3)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6)에 외부 노출된 하우징 단자 커버(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module 1 includes a housing terminal cover 1 - 1 externally exposed to the battery housing 6 surrounding the cell unit 3 .

일례로 상기 배터리 하우징(6)은 셀 유닛(3)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배터리 하우징(7)과 하부를 감싸는 하부 배터리 하우징(8)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또는 좌/우에서 셀 유닛(3)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battery housing 6 is composed of an upper battery housing 7 surrounding the upper part of the cell unit 3 and a lower battery housing 8 surrounding the lower part, and the cell unit 3 )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encloses the

특히 상기 셀 유닛(3)은 배터리 셀들의 출력부인 셀 출력단(4)이 구리 및 알루미늄 소재의 버스바(BUSBAR)로 부착/용접되어 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배터리 하우징(6) 중 상부 배터리 하우징(7)은 직/병렬로 연결된 셀 유닛(3)의 셀 출력단(4)을 노출 시키면서 후 공정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드웨어(9)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in the cell unit 3, the cell output terminal 4, which is the output unit of the battery cells, is attached/welded with a copper and aluminum bus bar (BUSBAR) to transmit power, and the upper battery housing of the battery housing 6 ( 7) includes hardware 9 to be assembled in a later process while exposing the cell output terminal 4 of the cell unit 3 connected in series/parallel.

일례로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는 셀 유닛(3)의 셀 출력단(4)으로 연결된 단자부에 대한 단자부 체결력에 영향 없이 가림으로써 쇼트 방지와 함께 인식 가능한 외관으로 조립 전 상태에서 비전공자 및 담당자가 아니라도 해당 부위가 위험인자인 단자부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작용한다.For example,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covers the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cell output terminal 4 of the cell unit 3 without affecting the clamping force of the terminal portion,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and having a recognizable appearance. Even if it is not, it works so that it is easy to know that the corresponding part is the terminal part, which is a risk factor.

그러므로 상기 배터리 모듈(1)은 배터리 모듈 단위 단자부 은폐, 배터리 연결 해제 후 쇼트 방지 구조 복구, 배터리 시스템 기준 모듈 간 연결 공정에서 부품 최소화 및 작업성 확보, 및 단자부 체결력 영향이 없는 단자 커버 일체형 배터리 모듈로 특징된다.Therefore, the battery module (1) is a terminal cover integrated battery module that conceals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unit, recovers the short circuit prevention structure after disconnecting the battery, minimizes parts and secures workability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modules based on the battery system, and does not affect the terminal fastening force characteriz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는 하우징 단자부(10,20), 스프링(30) 및 단자 커버(40,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is composed of housing terminal parts 10 and 20, springs 30 and terminal covers 40 and 50.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단자부(10,20)는 커버 공간(10)과 조립 홈(20)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housing terminal parts 10 and 20 are composed of a cover space 10 and an assembly groove 20 .

일례로 상기 커버 공간(10)은 배터리 하우징(6) 중 상부 배터리 하우징(7)의 단자 연결부(7a)에서 “ㄷ”형상의 일측트임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홈 구조의 조립 홈(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 홈(20)은 커버 공간(10)의 상/하부와 측부에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 구조는 커버 공간(10)의 측부 중 한쪽 측면에 파여진 측면 고정 홈(21)과 커버 공간(10)의 상/하부 각각에 파여진 수직 위치 홈(23)으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over space 10 is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with a “c” shape at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a of the upper battery housing 7 of the battery housing 6, and the assembly groove 20 of the groove structure form And the assembly groove 20 is made of a groove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lower and side parts of the cover space 10, and the groove structure is a side fixing groove 21 dug into one of the side parts of the cover space 10. and vertical positioning grooves 23 du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ver space 10, respectively.

특히 상기 커버 공간(10)의 “ㄷ”형상의 일측트임 사각 형상은 전면개방단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 홈(20)의 측면 고정 홈(21)과 수직 위치 홈(23)은 직선 슬롯(Slot)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공간(10)의 ㄷ”형상은 수직 위치 홈(23)에 대해 안쪽에서 단차 구조(도 3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quare shape of the “c” shape of the cover space 10 is made of a front open cross-section structure, and the side fixing groove 21 and the vertical positioning groove 23 of the assembly groove 20 are straight slots ( Slot) is formed. In this case, the "c" shape of the cover space 10 may form a stepped structure (see FIG. 3) at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sitioning groove 23.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30)은 커버 공간(10)의 내벽 면과 고정 상태에서 전면개방단면의 “ㄷ”형상 안쪽으로 돌출되고, 단자 커버(40,50)의 리프터(40)를 탄발 지지함으로써 리프터(40)의 눌림(즉, 조립)으로 압축된 후 리프터(40)의 원복(즉, 제거)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spring 30 protrudes into the “c” shape of the front open end surface in a fixed state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space 1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lifters 40 of the terminal covers 40 and 50 to lift the lifters. I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lifter 40 is restored (ie, removed) after being compressed by pressing (ie, assembly) of the (40).

특히 상기 스프링(30)은 3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중 2 개의 스프링은 상부 내벽 면에서 서로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반면 1개의 스프링은 하부 내벽 면에서 조립 홈(20)의 측면 고정 홈(21)과 반대쪽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리프터(40)는 한쪽 부위가 측면 고정 홈(21)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spring 30 consists of three springs, two of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while one spring is located on the lower inner wall surface in the side fixing groove 21 of the assembly groove 2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is is because the lifter 4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part is fixed to the side fixing groove 21.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30)은 단자 커버(40,50)의 리프터(40)에 대한 이격거리(T) 유지 및 상대물 체결 시 토크 안정성 부여가 가능하도록 작용한다.Therefore, the spring 30 acts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T of the terminal covers 40 and 50 with respect to the lifter 40 and impart torque stability when fastening the counterpart.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 커버(40,50)는 외관에서 볼 때 쇼트방지 구조를 이루는 리프터(Liter)(40)와 인터 버스바(Inter Busbar)(5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40)는 인터 버스바(50)가 조립된 부품이며, 상기 인터 버스바(50)는 전기 전도를 위한 구리부품이 연질의 고무 및 탄성이 좋은 플라스틱 사출 소재에 조립되어 노출된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terminal covers 40 and 50 are composed of a lifter 40 and an inter busbar 50 that form a short circuit prevention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lifter 40 is a part in which the inter bus bar 50 is assembled, and the inter bus bar 50 is exposed by assembling a copper part for electrical conduction into a soft rubber and plastic injection material having good elasticity. It is a structure.

일례로 상기 리프터(40)는 커버 공간(10)의 형상에 맞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링(30)으로 탄발 지지되는 가림 바디(41), 상기 가림 바디(41)의 한쪽 측부로 연장되어 조립 홈(20)의 측면 고정 홈(21)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45)로 구성된다.For example, the lifter 40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cover space 10, and extends to one side of the cover body 41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30 and the cover body 41 to form an assembly groove ( 20) is composed of a fixed flange 45 fixed to the side fixing groove 21.

특히 상기 가림 바디(41)는 리프터 공간(43)을 타공하고, 상기 리프터 공간(43)은 인터 버스바(50)를 끼우는 공간으로 기능하면서 공간에 끼워진 인터 버스바(50)의 스토퍼(53)와 고정됨으로써 인터 버스바(50)가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 공간(43)은 십자 형상으로 예시되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vering body 41 perforates the lifter space 43, and the lifter space 43 functions as a space for inserting the inter bus bar 50, and the stopper 53 of the inter bus bar 50 inserted into the space By being fixed with the inter bus bar 5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In this case, the lifter space 43 is exemplified in a cross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고정 플랜지(45)는 “ㄴ”형상의 변형부(46)와 고정부(47)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형부(46)는 가림 바디(41)의 한쪽 측부에서 절곡됨으로써 가림 바디(41)와 90도 절곡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47)는 변형부(46)의 한쪽 끝부(즉, 자유단)에서 절곡됨으로써 변형부(46)와 90도 절곡 구조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ixing flange 45 is composed of a “b”-shaped deformable portion 46 and a fixing portion 47, and the deformable portion 46 is bent at one side of the cover body 41 so that the cover body 41 ) and a 90-degree bending structure, and the fixing part 47 is bent at one end (ie, free end) of the deformable part 46 to form a 90-degree bent structure with the deformable part 46.

나아가 상기 변형부(46)는 벤딩 홈(46a)을 형성하고, 상기 벤딩 홈(46a)은 변형부(46)의 앞/뒤면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리프터(40)의 눌림(즉, 조립)으로 압축되는 변형부(46)의 변형(도 3 참조)이 보다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벤딩 홈(46a)은 “<”의 꺾쇠 구조로 형성된다.Furthermore, the deformable part 46 forms a bending groove 46a, and the bending groove 46a is formed in plural at interval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eformable part 46,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lifter 40 (i.e.,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portion 46 (see FIG. 3) that is compressed by assembly) acts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In this case, the bending groove 46a is formed in a “<” clamp structure.

그러므로 상기 리프터(40)는 이격거리(T) 확보용 지지 역할과 인터 버스바(50)의 이동 보조, 측면부 단자 가림 및 가압 시 지지 구조 변형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Therefore, the lifter 40 serves to secure the separation distance T, assists the movement of the inter bus bar 50, covers the side terminals, and enables deforma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when pressurized.

일례로 상기 인터 버스바(50)는 리프터(40)의 리프터 공간(43)에 끼워지는 사각 형상의 버스바 바디로 이루어져 홀(51)과 스토퍼(53)가 형성된다.For example, the inter bus bar 50 is made of a rectangular bus bar body fitted into the lifter space 43 of the lifter 40, and a hole 51 and a stopper 53 are formed.

특히 상기 홀(51)은 사각 형상의 버스바 바디의 중앙에 타공되어져 셀 유닛(3)의 셀 출력단(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하드웨어(9)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53)는 사각 형상의 버스바 바디의 상/하부에서 단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리프터(40)의 리프터 공간(43)에 끼워진 상태에서 리프터 공간(43)과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53)의 상/하부 단차 구조는 사각 형상 바디의 한쪽 측부에서 리프터(40)의 고정 플랜지(45)쪽으로 위치된다.In particular, the hole 51 is punched in the center of the square-shaped bus bar body, and the connection hardware 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ll output terminal 4 of the cell unit 3 is coupled, and the stopper 53 is It is fixed to the lifter space 43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ifter space 43 of the lifter 40 by being made of a stepped structur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haped bus bar body. In this case, the upper/lower stepped structure of the stopper 53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quare body toward the fixing flange 45 of the lifter 40.

그러므로 상기 인터 버스바(50)는 상대물 조립 시 통전 구조(예, 셀 출력단(4)의 버스바)를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Therefore, the inter bus bar 50 serves to form a conducting structure (eg, the bus bar of the cell output terminal 4) when assembling the counterpart.

한편 도 3은 상기 배터리 모듈(1)에서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셀 유닛(3)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6)에 외부 노출 상태로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다.Meanwhile,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of the battery module 1 is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6 surrounding the cell unit 3 in an exposed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의 조립공정은 리프터 결합(A) -> 인터 버스바 결합(B) -> 리프터 변형(C)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는 조립 공정의 진행 순서이다.As show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consists of lifter coupling (A) -> inter busbar coupling (B) -> lifter deformation (C). In this case, “->” is the order of the assembly process.

일례로 상기 리프터 결합(A)은,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 중 리프터(40)가 상부 배터리 하우징(7)의 단자 연결부(7a)에 형성된 커버 공간(10)의 “ㄷ”형상 전면개방단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lifter coupling (A) is the “c”-shaped front surface of the cover space 10 in which the lifter 40 of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is formed at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a of the upper battery housing 7. It is inserted into the open section.

그러면 상기 리프터(40)는 “ㄷ”형상의 안쪽 공간에서, 가림 바디(41)가 조립 홈(20)의 수직 위치 홈(23)쪽으로 상/하부위가 위치되고, 반면 고정 플랜지(45)의 변형부(46)가 “ㄷ”형상의 일측트임부를 가리면서 고정부(47)가 조립 홈(20)의 측면 고정 홈(21)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상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30)은 이격거리(T)(도 2 참조)로 압축되지 않고 초기 상태의 길이를 유지한다.Then, in the inner space of the “c” shape of the lifter 40,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ver body 41 are positioned toward the vertical position groove 23 of the assembly groove 20, while the fixing flange 45 The deformable part 46 forms a fixed state by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fixing groove 21 of the assembly groove 20 while the fixing part 47 covers the “c” shaped one side opening. In this case, the spring 30 maintains the length of the initial state without being compress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T (see FIG. 2).

일례로 상기 인터 버스바 결합(B)은,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 중 인터 버스바(50)가 리프터(40)의 가림 바디(41)에 형성된 리프터 공간(43)으로 끼워져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인터 버스바(50)의 스토퍼(53)는 사각 형상 바디의 일측에서 단차 구조로 리프터(40)의 리프터 공간(43)과 압입 또는 밀착되어 스토퍼 결합(X)의 결합으로 고정 상태를 형성하여 준다.For example, in the inter bus bar coupling (B), the inter bus bar 50 of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is inserted into the lifter space 43 formed in the covering body 41 of the lifter 40. In this case, the stopper 53 of the inter bus bar 50 is press-fitted o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ifter space 43 of the lifter 40 in a stepped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square-shaped body, thereby maintaining a fixed state by the combination of the stopper coupling (X) it forms

일례로 상기 리프터 변형(C)은,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의 리프터(40)와 인터 버스바(50)가 스토퍼 결합(X)으로 조립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하는 누름력(즉, 가압력)을 받아 리프터(40)의 고정 플랜지(45) 중 변형부(46)가 접혀짐으로써 리프터 변형(K)의 상태로 전환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변형부(46)는 “<”의 꺾쇠 구조의 벤딩 홈(46a) 간격으로 접혀지며, 접힘 길이 축소는 스프링(30)의 이격거리(T)(도 2 참조)보다 작게 형성된다.For example, the lifter deformation (C) is the pressing force (ie, pressing force ), the deformable portion 46 of the fixing flange 45 of the lifter 40 is folded, thereby switching to the lifter deformed state (K). In this case, the deformable part 46 is folded at intervals of the bending grooves 46a of the “<” clamp structure, and the folding length reduction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 of the spring 30 (see FIG. 2).

그러므로 상기 리프터 변형(C)은 스프링(30)이 리프터 변형(K)의 길이만큼 압축 변형됨으로써 스프링(30)이 이격거리(T)(도 2 참조)가 제거되면서 조립 홈(20)의 수직 위치 홈(23)에 대한 단차 구조의 커버 공간(10)의 안쪽 공간에서 리프터(40)와 인터 버스바(50)의 조립체가 깊게 위치된 상태로 전환된다.Therefore, the lifter deformation C i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assembly groove 20 as the spring 30 is compressed and deformed by the length of the lifter deformation K,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T (see FIG. 2) of the spring 30 is removed. The assembly of the lifter 40 and the inter bus bar 50 is converted into a deeply positioned state in the space inside the cover space 10 of the step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groove 23.

이로부터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는 상부 배터리 하우징(7)의 단자 연결부(7a)로 보호됨으로써 공정 라인에서 상대물 조립 시 체결력(즉 가압력)에 의해 리프터(40)가 단자측으로 이동하여 최종 체결 시 본체 버스바인 셀 유닛(3)의 셀 출력단(4)과 인터 버스바(50)간 전기적 연결이 마무리되면서도 조립과정에서 쇼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From this,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is protect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a of the upper battery housing 7, so that the lifter 40 moves toward the terminal by the clamping force (ie, pressing force) when assembling the counterpart in the process line. At the time of final connec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ell output end 4 of the cell unit 3, which is the main body bus bar, and the inter bus bar 50 is completed, and short circuits can be prevent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반면,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는 배터리 모듈(10)의 운송 후 현지에서 조립작업 역순의 탈거 작업에 따른 체결력 해제(즉, 조립상태 분리)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탈거 작업에서 스프링(30)이 초기 위치로 원복되면서 스프링 복원력이 인터 버스바(50)를 밀어내 이격거리(T)(도 2 참조)를 유지함으로써 셀 출력단(4)에 대해 쇼트 방지 구조가 복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거 작업은 리프터(40)와 인터 버스바(50)의 조립체를 잡아당기거나 리프터(40)의 고정부(47)를 조립 홈(20)의 측면 고정 홈(21)에서 빼낸 후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battery module 10 is transported,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releases the fastening force (ie, separation of the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disassembly operatio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ssembly operation at the site, and in this disassembly operation, the spring 30 )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pring restoring force pushes the inter bus bar 50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T (see FIG. 2), so that the short circuit prevention structure can be restored to the cell output terminal 4. In this case, the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pulling the assembly of the lifter 40 and the inter bus bar 50 or removing the fixing part 47 of the lifter 40 from the side fixing groove 21 of the assembly groove 20. It can be.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1-1)는 배터리 하우징(6)(즉, 상부 배터리 하우징(7))의 일반적인 배터리 모듈의 하우징과 조립방식은 동일하면서도 쇼트 방지 및 토크 안정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상기 상부 배터리 하우징(7)에 리프터(40)와 인터 버스바(50)의 조립체가 스프링(30)의 적용으로 이격거리(T)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송 및 취급 시 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불가하게 하여 쇼트 방지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secures short-circuit prevention and torque stability while the assembly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ttery housing 6 (ie, the upper battery housing 7) of a general battery module, and furthermore, The assembly of the lifter 40 and the inter bus bar 50 in the upper battery housing 7 maintains the separation distance T by applying the spring 30, thereby prevent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during transportation and handling.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커버 일체형 배터리 모듈(1)은 셀 출력단(4)을 갖춘 셀 유닛(3)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6)의 외부 노출된 단자 연결부(7a)에 형성된 커버 공간(10)에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탈/장착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6)과 일체형 단자부 가림 구조로 위험인자인 단자부의 용이한 외부인식과 함께 일회용 단자 커버 적용 시 요구되던 작업자 주의 및 추가적인 인원/시간/설비/비용 투입 축소로 제품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단자부 가림 구조를 통한 배터리 모듈(1) 간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상대물 형상의 단순화로 작업성 증대와 하우징 단자 커버(1-1)가 스프링(30)으로 탄발 지지됨으로써 하드웨어 조립의 토크 유지/안정성 강화로 품질 경쟁력 확보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over integrated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ver formed on the externally expose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a of the battery housing 6 surrounding the cell unit 3 having the cell output terminal 4. By combining the housing terminal cover (1-1) in the space (10) in a detachable/mountable manner, the battery housing (6) and the integrated terminal cover structure enable easy external recognition of the terminal part, which is a risk factor, and when applying a disposable terminal cover, which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secure product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worker attention and additional personnel/time/facility/cost input, and in particular, workability is increased and housing is simplified by simplifying the shape of the counterpar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attery modules (1) through the terminal cover structure Since the terminal cover 1-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30, it is possible to secure quality competitiveness by maintaining torque/strengthening stability of hardware assembly.

1 : 배터리 모듈
1-1 : 하우징 단자 커버
3 : 셀 유닛 4 : 셀 출력단
6 : 배터리 하우징 7 : 상부 배터리 하우징
7a : 단자 연결부 8 : 하부 배터리 하우징
9 : 연결 하드웨어
10 : 커버 공간 20 : 조립 홈
21 : 측면 고정 홈 23 : 수직 위치 홈
30 : 스프링 40 : 리프터(Lifter)
41 : 가림 바디 43 : 리프터 공간
45 : 고정 플랜지 46 : 변형부
46a : 벤딩 홈 47 : 고정부
50 : 인터 버스바(Inter Busbar)
51 : 홀 53 : 스토퍼
1: Battery module
1-1: housing terminal cover
3: cell unit 4: cell output terminal
6: battery housing 7: upper battery housing
7a: terminal connection part 8: lower battery housing
9: connection hardware
10: cover space 20: assembly groove
21: side fixing groove 23: vertical positioning groove
30: spring 40: lifter
41: cover body 43: lifter space
45: fixed flange 46: deformable part
46a: bending groove 47: fixing part
50: Inter Busbar
51: Hall 53: Stopper

Claims (12)

셀 유닛을 감싼 배터리 하우징의 외부 노출된 단자 연결부에 탈/장착되는 하우징 단자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연결부의 커버 공간에서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스프링,
상기 단자 연결부의 조립 홈과 결합으로 상기 커버 공간을 가려주고, 상기 스프링으로 탄발 지지되는 리프터(Lifter), 및
상기 리프터의 리프터 공간에 결합되고, 상기 셀 유닛의 셀 출력단과 통전 구조를 형성하는 인터 버스바(Inter Busbar)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housing terminal cover that is detachable/attached to the externally exposed terminal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housing surrounding the cell unit is included,
The housing terminal cover includes a spring forming a separation distance in the cover spac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 lifter that covers the cover space by combining with the assembly groov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An inter busbar coupled to the lifter space of the lifter and forming a current structure with the cell output end of the cell unit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공간은 상기 조립 홈을 형성한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ㄷ”형상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리프터의 가림 바디가 상기 커버 공간을 가린 상태에서 상기 리프터의 고정 플랜지가 상기 “ㄷ”형상의 일측트임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space is made of a “c” shape in which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The spring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 shape,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lange of the lifter is positioned as the “c”-shaped one-sid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cover body of the lifter covers the cover spa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 홈은 측면 고정 홈과 수직 위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ssembly groove comprises a side fixing groove and a vertical positioning groov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 홈과 상기 수직 위치 홈은 직선 슬롯(Slot)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ide fixing groove and the vertical positioning groove are formed as straight slo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가림 바디가 상기 조립 홈의 수직 위치 홈으로 위치 구속되고,
상기 고정 플랜지가 상기 조립 홈의 측면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ifter
The covering body is positionally constrained to the vertical position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lange is inserted into the side fixing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and fix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변형부와 고정부의 절곡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가림 바디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ㄷ”형상의 일측트임부를 가려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변형부의 끝부에서 상기 조립 홈의 상기 측면 고정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ing flange is formed of a bending structure of a deformable part and a fixing part,
The deformable part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covering body to cover the “c”-shaped one-side opening,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side fixing groove of the assembly groove at the end of the deformable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벤딩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벤딩 홈은 외력이 가해진 상기 변형부가 접혀지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eformable portion forms a bending groove,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groove serves to fold the deformable portion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가림 바디에 상기 리프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 버스바는 상기 리프터 공간에 결합되는 버스바 바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ifter forms the lifter space in the covering body,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 bus bar is made of a bus bar body coupled to the lifter spa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바디에 홀과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버스바 바디의 일측부를 단차 구조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nter bus bar forms a hole and a stopper in the bus bar body,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by forming one side of the bus bar body in a steppe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셀 유닛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셀 유닛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배터리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단자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housing
an upper battery housing en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cell unit and a lower battery housing enclosing a lower portion of the cell unit;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attery housing forms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상부 배터리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battery housing.
KR1020210186899A 2021-12-24 2021-12-24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KR202300974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99A KR20230097415A (en) 2021-12-24 2021-12-24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99A KR20230097415A (en) 2021-12-24 2021-12-24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15A true KR20230097415A (en) 2023-07-03

Family

ID=8715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899A KR20230097415A (en) 2021-12-24 2021-12-24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41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86A (en) 2020-05-06 2021-11-16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Insulation Cover of Battery Modu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86A (en) 2020-05-06 2021-11-16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Insulation Cover of Battery Modu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0634B1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JP5813397B2 (en) Fuse holder, fus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fuse holder, and fuse connection structure provided with the fuse holder
JP5532357B2 (en) Battery wiring module
JP6376053B2 (en) Joint connector
CN109075300B (en) External connection bus bar holding structure
CN103140988A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10566775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rotection member
KR101611435B1 (en) Junction box for Solar cell panel
US9685905B2 (en) Terminal box and solar cell module
JP6350721B1 (en) External connection busbar holding module, connection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KR20230097415A (en) Terminal Cover Housing Integrated Type Battery Module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CN115882263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CN113161947B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CN105164864A (en) Connector
WO2021131861A1 (en) Battery wiring module
US10862236B2 (en) Connector
US4613192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CN114361841A (en) Electrical terminal
JP5560740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to wire harness
JP2020205711A (en) Bus bar mounting structure
US11955756B2 (en) Electric terminal having secondary latching device
WO2024127804A1 (en) Fuse
CN209921222U (en) Wiring harness plug-in connector fixing device and automobile
JP7042403B2 (en) Joint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