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181A - 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 Google Patents

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181A
KR20230097181A KR1020237018951A KR20237018951A KR20230097181A KR 20230097181 A KR20230097181 A KR 20230097181A KR 1020237018951 A KR1020237018951 A KR 1020237018951A KR 20237018951 A KR20237018951 A KR 20237018951A KR 20230097181 A KR20230097181 A KR 20230097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container
ed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쿠야 나가노
도모유키 아오야마
다케시 도이
도모히사 다카하마
Original Assignee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1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용기의 축공의 상하 치수를 작게 유지하면서, 손잡이가 용기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 가능하고,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오수를 배출할 때,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 (20) 에는, 원공 (31) 과, 원공 (31)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공 (32) 을 포함한 축공 (30) 이 형성되어 있다. 종공 (32) 은, 원공 (31) 의 전단 (31f) 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전측 가장자리 (32f) 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50) 는, 축공 (30) 에 삽입된 축 (54) 을 가지고 있다. 축 (54) 은, 원공 (31)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원공 (31) 으로부터 종공 (32) 으로 이동하여 종공 (32) 에 끼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축 (54) 의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보다 길다.Provided is a portable toilet bucket in which the handle can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while keep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shaft hole of the container small, and the handle is not released when filthy water is discharged by tilting the container while holding the handle. aims to do The container 20 is formed with a shaft hole 30 including a circular hole 31 and a vertical hole 32 extending upward from the circular hole 31 . The longitudinal hole 32 has a front edge 32f exten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front end 31f of the circular hole 31 . The knob 50 has a shaft 54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0. The shaft 5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within the round hole 31, and move from the round hole 31 to the follow-up hole 32 and be caught in the follow-up hole 32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of the longitudinal hole 3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54a of the shaft 54 .

Figure P1020237018951
Figure P1020237018951

Description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포터블 토일렛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본 발명은, 포터블 토일렛의 토일렛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그것을 구비한 포터블 토일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detachably mounted on a toilet body of a portable toilet and a portable toilet having the same.

포터블 토일렛은,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착탈 가능한 버킷을 구비하고 있다. 포터블 토일렛의 사용 후, 사용자 또는 개호자 등 (이하, 그것들을 총칭하여 이용자라고 한다) 은, 버킷 본체로부터 버킷을 떼어내고, 예를 들어 변소 등의 오수 배출 장소까지 버킷을 옮긴다. 그리고, 이용자는, 버킷에 모인 오수를 변소의 변기 등에 배출한다.The portable toilet is equipped with a detachable bucket disposed under a toilet seat. After use of the portable toilet, a user or a caregiver (here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user) removes the bucket from the bucket body and carries the bucket to a wastewater discharge location such as a toilet. Then, the user discharges the sewage accumulated in the bucket to a toilet bowl or the like of a toilet.

버킷은, 용기와, 용기의 상부에 걸쳐 놓여진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이용자는, 손잡이를 들어올림으로써, 버킷을 떼어낼 수 있다. 또, 이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이동함으로써, 버킷을 옮길 수 있다. 버킷을 떼어낼 때 및 옮길 때에는, 손잡이는 세운 상태에서 파지되지만, 포터블 토일렛의 사용시에는, 손잡이는 방해가 되지 않게 쓰러뜨린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손잡이는, 용기에 대해 회동 (回動)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The bucket has a container and a handle placed over the top of the container. The user can remove the bucket by lifting the handle. In addition, the user can move the bucket by moving while gripping the handle. When removing and carrying the bucket, the handle is gripped in an upright state, but when using a portable toilet, the handle is in a collapsed state so as not to interfere. Therefore, the handle is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그러나, 손잡이가 회동 가능하면, 이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버킷을 옮길 때, 용기가 흔들려 버려, 오수가 외부로 비산할 우려가 있다. 또, 옮기는 도중에 용기가 가구 등에 닿았을 경우, 용기가 기울어져 오수가 흘러넘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handle is rotatable, when the user moves the bucket by gripping the handle, the container may be shaken and the sewage may be scattered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touches furniture or the like while being mov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ainer tilts and overflows with sewage.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대해,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용기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되는 기구 (이하, 로크 기구라고 한다) 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포터블 토일렛용은 아니지만, 그러한 로크 기구를 구비한 버킷이 개시되어 있다.Then, the present inventor conceived of providing a mechan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ck mechanism) fixed to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when the handle is lifted.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bucket provided with such a locking mechanism, although not for a portable toilet.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로크 기구는, 도 3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500) 에 형성된 축공 (軸孔) (501) 과, 손잡이 (510) 에 구비된 축 (51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축공 (501) 은 가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공 (圓孔) (502) 과, 원공 (502) 의 상방의 종공 (縱孔) (503) 으로 되어 있다. 손잡이 (510) 의 축 (511) 은,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10) 를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축 (511) 은 원공 (502) 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 (510) 는 회동 가능하다. 한편, 도 3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1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축 (511) 은 원공 (502) 으로부터 종공 (503) 으로 이동하므로, 회동 불능이 된다. 이로써, 손잡이 (510) 는 용기 (500) 에 대해 회동 불능으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 32(a), the locking mechanism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is constituted by a shaft hole 501 formed in a container 500 and a shaft 511 provided in a handle 510. there is. Shaft hole 501 is formed in a branch shape, and consists of a circular hole 502 and a vertical hole 503 above the circular hole 502 . The shaft 511 of the knob 51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32(a), in a state where the knob 510 is knocked down, since the shaft 511 is located inside the circular hole 502, the knob 510 can rotat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2(b), when the knob 510 is lifted upright, the shaft 511 moves from the round hole 502 to the vertical hole 503, so it becomes impossible to rotate. As a result, the handle 510 is fixed to the container 500 without rotation.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54-148540호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4-148540

이용자는, 버킷으로부터 변소의 변기에 오수를 배출할 때, 먼저, 도 3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10) 를 파지하면서 용기 (500) 를 변기 (520) 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 때, 도 3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10) 의 축 (511) 은 종공 (503) 에 끼여있어, 손잡이 (510) 의 회동은 규제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는, 도 3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10) 를 파지하면서 용기 (500) 를 기울인다. 로크 기구를 구비한 버킷에서는, 손잡이 (510) 는 용기 (500) 에 회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는 용기 (500) 와 함께 손잡이 (510) 를 기울이게 된다. 이 때, 손잡이 (510) 의 축 (511) 에는, 종공 (503) 으로부터 기울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도 34(b) 참조). 축 (511) 은, 서서히 기울어짐과 함께, 종공 (503) 으로부터 원공 (502) 을 향하여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기울기의 정도가 커지면, 축 (511) 은 종공 (503) 으로부터 벗어나 버린다 (도 35(b) 참조). 축 (511) 이 종공 (503) 으로부터 벗어나면, 손잡이 (510) 의 고정이 해제되어, 용기 (500) 는 급격하게 기울어져 버린다 (도 35(a) 참조). 그 결과, 오수가 변기 (520) 를 향하여 강한 기세로 배출되어, 오수가 변기 (520) 의 밖으로 비산해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When a user discharges sewage from a bucket to a toilet bowl of a toilet bowl, first, as shown in Fig. 33(a), the container 500 is positioned above the toilet seat 520 while gripping the handle 51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3(b), the shaft 511 of the knob 510 is caught in the longitudinal hole 503, and rotation of the knob 510 is restricted. Next, the user tilts the container 500 while holding the handle 510, as shown in Fig. 34(a). In the bucket provided with the locking mechanism, since the handle 510 is fixed to the container 500 immovably, the user tilts the handle 510 together with the container 500. At this time, a tilting force from the vertical hole 503 acts on the shaft 511 of the knob 510 (see Fig. 34(b)). The shaft 511 slides from the longitudinal hole 503 toward the circular hole 502 while gradually inclining. Then,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increases, the shaft 511 moves away from the longitudinal hole 503 (see Fig. 35(b)). When the shaft 511 deviates from the vertical hole 503, the fixation of the handle 510 is released, and the container 500 tilts sharply (see Fig. 35(a)).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in that sewage is discharged with strong force toward the toilet 520 and the sewage is scattered outside the toilet 520 .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축공의 상하 치수를 작게 유지하면서, 손잡이가 용기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 가능하고,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오수를 배출할 때,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그것을 구비한 포터블 토일렛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eep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shaft hole of the container small, fix the handle so that it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and to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unfixed when discharging sewage by tilting the container while holding the handl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oilet bucket and a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bucket.

본 발명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은, 상방으로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부와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에서 우측 부분에 걸쳐 놓여지고, 상기 용기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는, 원공과, 상기 원공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종공을 포함한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축공에 삽입된 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축은, 상기 원공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상기 원공으로부터 상기 종공으로 이동하여 상기 종공에 끼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공은, 상기 원공의 전단 (前端) 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후측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축은, 상기 축이 상기 종공에 끼였을 때, 상기 전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직선상의 제 1 축 가장자리와 상기 후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직선상의 제 2 축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다.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having an upper edge portion opened upwards,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and a container placed from the left portion to the right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container. Provide a handle.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shaft hole including a circular hole and a longitudinal hole exten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circular hole. The handle has a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The shaft is rotatable within the circular hole, and is configured to move from the circular hole to the final hole and be caught in the final hole when the handle is raised and lifted. The vertical hole has a front edge extending linearly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ircular hole, and a rear edge formed behind the front edge and extending upward linearly. The shaft has a first shaft edge on a straight line opposite to the front edge and a second shaft edge on a straight line opposite to the rear edge when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hole. A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상기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의하면, 손잡이의 축은 용기의 원공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므로, 손잡이는 용기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버킷을 포터블 토일렛의 토일렛 본체에 장착하고 있을 때, 손잡이를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포터블 토일렛의 사용시에 손잡이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손잡이의 축은 용기의 원공으로부터 종공으로 이동하여, 종공에 끼인다. 이로써, 손잡이는 용기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그 때문에, 오수가 흘러넘치지 않게 버킷을 옮기는 것이 용이해진다. 버킷으로부터 오수를 배출할 경우에는, 손잡이를 파지한 채로 용기를 전방으로 기울인다. 이 때, 축에는, 종공으로부터 기울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버킷에서는,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축의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다. 그 때문에, 축에 상기 힘이 작용해도, 제 1 축 가장자리의 하단부는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에 지지된 채로 되어, 축은 종공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의 고정은 해제되지 않아, 용기가 급격하게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가 용기로부터 강한 기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의하면,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는, 원공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를 확보하면서, 축공의 상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ucket for the portable toilet, since the shaft of the handle is rotatable inside the circular hole of the container, the handle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Since the handle can be knocked down when the bucket is attached to the toilet body of the portable toilet, the handle does not get in the way when using the portable toilet.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the shaft of the handle moves from the round hole to the end hole of the container and is caught in the end hole. Thereby, the handle is secured against rotation relative to the container. Therefore, it becomes easy to move the bucket so that sewage does not overflow. When discharging sewage from a bucket, tilt the container forward while holding the handle. At this time, a force inclined from the vertical hole acts on the shaft. However, in the bucket,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of the shaft. Therefore, even if the force acts on the shaf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edge remains supported by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and the shaft does not deviate from the vertical hole. Therefore, the fixation of the handle is not released, and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rapid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with strong force. Further, according to the portable toilet bucket, the front edge of the longitudinal hole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ircular 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shaft hole while secur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상기 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rear edge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이에 따라, 축공의 상하 치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shaft hole can be further suppressed.

상기 종공의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종공의 상기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구멍폭보다 길어도 된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may be longer than the hole width between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of the vertical hole.

이와 같이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를 크게 하면, 축은 종공으로부터 보다 한층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용기를 기울였을 때에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f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is increased in this way, the shaf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viate from the vertical hol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unfixed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상기 축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일단과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타단과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4 축 가장자리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 3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4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is the first shaft edge, the second shaft edge, a third shaft edg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haft edge and one end of the second shaft ed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edge It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having a fourth shaft edge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edge. Lengths of the first shaft edge and the second shaft edg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third shaft edge and the fourth shaft edge.

이에 따라,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제 1 축선과 전측 가장자리의 접촉 면적은 비교적 크다. 손잡이의 축은,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에 의해 충분히 지지된다. 따라서, 축이 종공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axial edge is relatively lo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axial line and the front edge is relatively large. The shaft of the handle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haft from moving away from the longitudinal hol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fixation of the handle from being released.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축의 선단측에 형성된 스토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손잡이를 쓰러뜨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공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본체부와, 상기 스토퍼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를 쓰러뜨렸을 때에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용기의 상기 종공의 주위부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handle may have a stopper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haft. The stopper may have a stopper main body portion at least part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ircular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knocked down, and a protruding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stopper main body por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overlap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hole of the container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knocked down and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it may be

이에 따라, 손잡이는 축의 선단측에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지만, 손잡이를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스토퍼의 돌출부는,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종공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축공에 스토퍼를 통과시키는 것은 용이하여, 손잡이를 용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스토퍼의 돌출부는,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용기의 종공의 주위 부분과 겹친다. 그 때문에, 손잡이가 축의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도, 스토퍼의 돌출부가 종공의 주위 부분에 맞닿으므로, 축이 종공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손잡이가 용기에서 빠지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손잡이가 용기에서 잘 빠지지 않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knob has a stopper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haft, but in a state where the knob is knocked dow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is located inside the longitudinal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refore, it is easy to pass the stopper through the shaft hole, and the handl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container.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overlap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hole of the container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refore, even if the handle is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hole, so the shaft does not come off from the vertical hole and the handle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ose handle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container.

상기 스토퍼 본체부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구멍폭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축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topper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e width of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축공은,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축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haft hole may be formed in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shaft and the stopp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Even if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lowered backward, and positioned forward of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do.

이에 따라,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스토퍼의 돌출부는 종공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스토퍼를 축공에 통과시킬 수 있다.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손잡이를 용기에 장착할 수 있다.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는, 스토퍼의 돌출부는 종공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돌출부는 용기의 종공의 전측 부분과 걸어맞춤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손잡이가 용기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tilted backward,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is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the stopper can pass through the shaft hole. By knocking the handle backwards, the handle can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When the handle is erected and lifte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ngitudinal hole,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longitudinal hole of the container. Therefore, the handle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the container.

상기 용기는, 상기 종공의 주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축의 축선 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는 역 U 자상의 보강 리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축의 축선 방향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상기 보강 리브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container may have an inverted U-shaped reinforcing rib protruding from a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in one direction of an axial line of the shaft. The knob may have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edge and the second shaft edge, and inserted inside the reinforcing rib when the knob is lifted upright.

이에 따라, 용기를 기울였을 때, 축으로부터 용기에 가해지는 힘은, 종공의 전측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보강 리브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종공의 주위 부분은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축이 종공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보다 한층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he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from the shaft is supported not only by the front edge of the longitudinal hole but also by the reinforcing rib. Sinc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is not easily deformed, the shaft is further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vertical hole.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unfixed.

상기 용기는, 상기 보강 리브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리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container may have transverse ribs extending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reinforcing ribs.

이에 따라, 종공의 주위 부분은 더욱 변형되기 어려워져, 축이 종공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용기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eriphery of the longitudinal hole becomes more difficult to deform, and the deviation of the shaft from the longitudinal hole is prevented more reliably.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he fixation of the handle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상기 용기의 전후 길이는, 상기 용기의 좌우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The front-back length of the container may be longer than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ontainer.

상기 용기의 전단과 상기 축공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용기의 후단과 상기 축공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ontainer and the shaft hole may be longer than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and the shaft hole.

상기 용기의 바닥벽은, 전방을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포터블 토일렛에서는, 사용 전에,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버킷에 물이 모인다. 상기 사항에 의하면, 수량이 비교적 적어도, 용기 내에 있어서 수위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절수할 수 있다.In a portable toilet, water is collected in a bucket before use to reach a predetermined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above, it becomes easy to secure the water level in the container when the water quantity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water can be saved.

상기 용기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전부 (前部) 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액절판 (液切板) 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extending vertically and a liquid-cutting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a front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이에 따라, 용기를 기울여 오수를 배출했을 때, 오수는 액절판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떨어진다. 오수가 외주벽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외주벽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오수의 배출에 의해 용기의 외주벽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o discharge the sewage, the sewage flows down from the tip of the liquid plate. The movement of sewag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is suppressed, and contamina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is suppressed. Therefore, contamina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due to discharge of filthy water can be suppressed.

상기 용기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의 전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An inlet concave downward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이에 따라, 용기를 기울였을 때, 오수는 주입구로부터 집중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수가 좌우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오수를 변기 등에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he sewage is intensively discharged from the inlet.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sewage water is scattered from side to side. Sewage can be discharged satisfactorily into a toilet bowl or the like.

본 발명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은, 전술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을 구비한 것이다.A portable toile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forementioned portable toilet bucket.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축공의 상하 치수를 작게 유지하면서, 손잡이가 용기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 가능하고,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오수를 배출할 때, 손잡이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그것을 구비한 포터블 토일렛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keep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shaft hole of the container small, the handle can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and the fixation of the handle is not released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while holding the handle to discharge sewage. A toilet bucket and a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bucket can be provided.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용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6 은,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VII-VII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4 의 VIII-VIII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도 7 상당도이다.
도 10 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도 7 상당도이다.
도 11 은, 도 4 의 XI-XI 선 단면도이다.
도 12 는, 용기의 축공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3 은, 용기의 축공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7 의 XI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는, 도 7 의 X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 은,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XVI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 은, 손잡이의 축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 17 상당도이다.
도 19 는, 손잡이를 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의 좌측면도이다.
도 20 은,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의 좌측면도이다.
도 21 은,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의 좌측면도이다.
도 22 는,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의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손잡이를 상방으로 회동하고 있을 때의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의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 ∼ 도 26(c) 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용기 내의 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a) 는 용기가 기울어져 있지 않은 상태, 도 26(b) 는 용기가 후방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 도 26(c) 는 용기가 전방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27(a) 는, 용기를 기울이기 전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7(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 는 용기를 기울이고 있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8(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a) 는 용기를 더욱 기울였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9(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대해, 손잡이를 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의 스토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의 사시도이다.
도 32(a) 및 도 32(b) 는, 손잡이를 들어올렸을 때에 손잡이를 용기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종래의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32(a) 는 손잡이를 쓰러뜨린 상태, 도 32(b) 는 손잡이를 세운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3(a) 및 도 33(b) 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종래의 로크 기구를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이고, 도 33(a) 는 용기를 기울이기 전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3(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 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종래의 로크 기구를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이고, 도 34(a) 는 용기를 기울이고 있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4(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 및 도 35(b) 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종래의 로크 기구를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이고, 도 35(a) 는 용기가 급격하게 기울어졌을 때의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5(b) 는 그 때의 축 및 축공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tainer.
5 is a rear view of the container.
6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4;
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7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Fig. 10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7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XI of Fig. 4;
Fig. 12 is an enlarged left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shaft hole of the container.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shaft hole of the container.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IV of Fig. 7;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V in Fig. 7;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VII of Fig. 16;
Fig. 18 is a view equivalent to Fig. 17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haft of the handle.
Fig. 19 is a left sid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bucket when the handle is knocked forward.
Fig. 20 is a left sid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bucket when the handle is erected and lifted.
Fig. 21 is a left side view of the portable toilet bucket when the handle is tilted backward.
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shaft and the shaft hole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when the handle is knocked backward.
Fig. 24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when the knob is rotated upward.
Fig. 25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when the handle is erected and lifted.
26(a) to 26(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water in a portable toilet bucket and container, FIG. 26(a) shows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not tilted, and FIG. 26(b) shows the container 2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ssel is tilted for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Fig. 27 (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toilet before the container is tilted, and Fig. 27 (b) is a diagram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shaft and shaft hole at that time.
Fig. 28 (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toilet bucket and a toilet bowl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and Fig. 28 (b) is a diagram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shaft and shaft hole at that time.
Fig. 29 (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toilet when the container is further tilted, and Fig. 29 (b) is a diagram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shaft and shaft hole at that time.
Fig. 30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when the handle is til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bu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2(a) and 32(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conventional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handle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when the handle is lifted, and FIG. 32(a)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knocked down; 32(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upright.
33(a) and 33(b) are explanatory diagrams in the case where a conventional locking mechanism is formed in a portable toilet bucket, and FIG. 33(a) is a model of a portable toilet bucket and a toilet before tilting the container. 33(b) is a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haft and the shaft hole at that time.
34(a) and 34(b) are explanatory diagrams in the case where a conventional lock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FIG. 34(a) shows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toilet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n, and FIG. 34(b) is a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haft and the shaft hole at that time.
35(a) and 35(b) are explanatory diagrams in the case where a conventional locking mechanism is formed in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FIG. 35(a) shows the portable toilet bucket and It is a side view which schematically shows a toilet, and FIG. 35(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haft and shaft hole at that tim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 및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 (1) 의 사시도이다. 또한, 포터블 토일렛 (1) 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란, 후술하는 변좌 (5) 에 앉은 이용자가 본 전, 후, 좌, 우, 상, 하의 각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ortable toilet and a portable toilet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oi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ortable toilet 1, front, back, left, right, top, bottom, each direction of front, back, left, right, top, bottom seen by a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5 described later. shall mean each.

<포터블 토일렛><Portable Toilet>

포터블 토일렛 (1) 은, 토일렛 본체 (2) 와, 토일렛 본체 (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이하, 간단히 버킷이라고 한다) (10) 을 구비하고 있다.The portable toilet 1 includes a toilet main body 2 and a portable toilet bucke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bucket) 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ilet main body 2 .

<토일렛 본체><Toilet body>

먼저, 토일렛 본체 (2) 에 대해 설명한다. 토일렛 본체 (2) 는, 의자부 (3) 와, 의자부 (3) 를 지지하는 다리 (4) 와, 변좌 (5) 와, 등받이 (6) 와, 좌우의 팔걸이 (7) 와, 덮개 (8) 를 구비하고 있다. 의자부 (3) 는, 상방으로 개구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킷 (10) 은, 의자부 (3) 의 내측에 장착된다. 변좌 (5) 는, 의자부 (3) 의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변좌 (5) 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변좌 (5) 를 수평으로 쓰러뜨릴 수 있어, 이용자는 변좌 (5) 위에 앉을 수 있다. 변좌 (5) 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변좌 (5) 를 세울 수 있어, 의자부 (3) 의 내측을 개방할 수 있다. 변좌 (5) 를 세운 상태로 함으로써, 버킷 (10) 을 의자부 (3) 로부터 상방으로 떼어낼 수 있고, 또, 버킷 (10) 을 의자부 (3) 를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First, the toilet body 2 will be described. The toilet body 2 includes a chair part 3, a leg 4 supporting the chair part 3, a toilet seat 5, a backrest 6, left and right armrests 7, and a cover ( 8) is provided. The chair part 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open upwards. The bucket 10 is mounted inside the chair part 3 . The toilet seat 5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chair part 3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When the toilet seat 5 is rotated forward, the toilet seat 5 can be knocked over horizontally, and a user can sit on the toilet seat 5. When the toilet seat 5 is rotated upward, the toilet seat 5 can be erected, and the inner side of the chair part 3 can be opened. By setting the toilet seat 5 in an upright state, the bucket 10 can be removed from the seat 3 upwards, and the bucket 10 can be attached toward the seat 3 from above.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토일렛 본체 (2) 는 일례에 불과하다. 버킷 (10) 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토일렛 본체 (2) 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팔걸이 (7), 등받이 (6), 또는 덮개 (8)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의자부 (3) 가 플로어에 직접 재치 (載置)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다리 (4) 는 없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oilet main body 2 shown in FIG. 1 is only an example. As long as the bucket 10 is detachably mounted,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body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rmrest 7, the backrest 6, or the cover 8 is not necessarily required. When the chair part 3 is formed so that it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floor, the leg 4 may be absent.

<버킷><bucket>

다음으로, 버킷 (10)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버킷 (10) 에 관한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란, 버킷 (10) 이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되어 있을 때, 변좌 (5) 에 앉은 이용자가 본 전, 후, 좌, 우의 각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 하는, 버킷 (10) 이 수평면에 놓여졌을 때의 상, 하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의 부호 F, Re, L, R, U, D 는, 각각 전, 후, 좌, 우, 상, 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Next, the bucket 10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ucket 10 below, when the bucket 10 is attached to the toilet body 2,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5 sees the front, rear, left, right, It is assumed that each direction of the right is respectively meant. Up and down mean up and down when the bucket 10 i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respectively. Symbols F, Re, L, R, U, and D in the figure indicate front, back, left, right, top, and bottom, respectively.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방이란, 수평 방향의 전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좌우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후방이란, 수평 방향의 후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좌우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좌방이란, 수평 방향의 좌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전후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우방이란, 수평 방향의 우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전후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방이란, 연직 방향의 상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전후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하방이란, 연직 방향의 하향의 방향 뿐만 아니라, 당해 방향에서 전후로 9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front shall include not only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the direction tilt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left and right from the direction. The backward direction shall include not only the backward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the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left and right from the direction. The term "left" includes not only the leftward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a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direction. The term "right" includes not only the rightward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a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direction. Upward shall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the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from the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ownward shall include not only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the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버킷 (10) 의 사시도이다. 버킷 (10) 은, 용기 (20) 와 손잡이 (50) 를 가지고 있다. 용기 (20) 는, 상방으로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부 (22) 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50) 는, 용기 (20) 의 좌측 부분에서 우측 부분에 걸쳐 놓여져 있다. 손잡이 (50) 는, 상측 가장자리부 (22) 를 걸치도록 용기 (20) 에 걸쳐 놓여져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대해, 축선 (C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cket 10 has a container 20 and a handle 50. The container 20 has an upper edge portion 22 open upward. The handle 50 is placed from the left side of the container 20 to the right side. The handle 50 is placed across the container 20 so as to span the upper edge portion 22 . Although detailed later, the handle 50 is engaged with the container 20 around the axis C1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용기><Courage>

도 3, 도 4, 도 5, 도 6 은, 각각 용기 (20) 의 평면도, 좌측면도, 배면도, 저면도이다. 도 7 은 용기 (20) 의 종단면도이고, 도 5 의 VII-VII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용기 (20) 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 의 VIII-VIII 선 단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는, 바닥벽 (24) 과, 바닥벽 (24)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 (26) 과, 둘레벽 (26) 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가장자리부 (22) 와, 바닥벽 (24) 의 하측에 형성된 환상 다리 (28) 를 구비하고 있다.3, 4, 5, and 6 are a plan view, a left view, a rear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20, respectively.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20,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VII-VII of Fig. 5; 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20, and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VIII-VIII of FIG. As shown in FIG. 7 , the container 20 includes a bottom wall 24, a circumferential wall 26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wall 24, and an upper edge portion located above the circumferential wall 26. (22) and an annular leg (28) formed below the bottom wall (24).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24) 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24) 은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벽 (24) 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수평벽 (24A) 과, 수평벽 (24A) 의 외주단으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벽 (24B) 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ottom wall 2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7, the bottom wall 24 is formed in a downward concave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wall 24 includes a circular horizontal wall 24A extending horizontally and viewed from above, and an inclined wall 24B inclined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horizontal wall 24A. Have.

단, 바닥벽 (24)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24) 은 오목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벽 (24) 은, 굴곡부가 없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바닥벽 (24) 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 (24) 은,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However, the shape of the bottom wall 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shown in FIG. 9, the bottom wall 24 may be curved concavely. The bottom wall 24 may be formed without a bent portion. Also in this case, the bottom wall 2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bottom wall 24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24) 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바닥벽 (24) 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10 , the bottom wall 24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lso in this case, the bottom wall 2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 (26) 은, 수평 단면이 원호상의 후측 둘레벽 (26A) 과, 후측 둘레벽 (26A)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수평 단면이 전방으로 볼록상인 전측 둘레벽 (26B) 을 가지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 전측 둘레벽 (26B) 의 윤곽은, 상방으로 갈수록 수평선에 대한 경사 각도 α 가 작아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부분 (26BL) 을 가지고 있다. 당해 만곡 부분 (26BL) 이 전측 둘레벽 (26B) 의 윤곽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80 % 이상이다. 전측 둘레벽 (26B) 의 윤곽의 전체가 상기 만곡 부분 (26BL) 이어도 된다.As shown in FIG. 8 , the circumferential wall 26 includes a rear circumferential wall 26A having an arc-shape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a front circumferential wall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circumferential wall 26A and having a forward convex horizontal cross section ( 26B). As shown in Fig. 4,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outline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has a curved portion 26BL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decreases as it goes upward. The ratio of the curved portion 26BL to the entire outline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5% or more. In this embodiment, it is 80% or more. The entire outline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may be the curved portion 26BL.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수평선에 대한 경사 각도 α 가 작아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부분 (26BL) 의 상방에는, 상부 수직벽 (26BU) 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직벽 (26BU) 은, 대략 연직의 벽이다. 상부 수직벽 (26BU) 은, 연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연직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부 수직벽 (26BU) 은, 연직면으로부터 ±10 도 이내, 바람직하게는 ±5 도 이내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상부 수직벽 (26BU) 은, 포터블 토일렛 (1) 의 사용시에, 방뇨의 기세로 뇨가 용기 (20) 의 전방으로 비산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뇨의 비산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부 수직벽 (26BU) 의 상하 치수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8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수직벽 (26BU) 의 상하 치수가 크면, 포터블 토일렛 (1) 의 사용 후, 용기 (20) 를 전방으로 기울여 오수를 배출할 때, 남은 마지막 오수가 상부 수직벽 (26BU) 의 앞에서 점프하여, 상부 수직벽 (26BU) 에 닿아서 튀어나오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오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부 수직벽 (26BU) 의 상하 치수는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하 수직벽 (26BU) 의 상하 치수를 17 ㎜ 이하로 하면, 오수의 튀어나옴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 upper vertical wall 26BU is formed above the curved portion 26BL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decreases as it goes upward.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is a substantially vertical wall.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may extend vertically or may be slightly inclined from the vertical plane. For example,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may be inclined at an angle within ±10 degrees from the vertical plane, preferably within ±5 degrees.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serves to prevent urine from scattering forward of the container 20 with the force of urination when the portable toilet 1 is use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urine from scattering,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are preferably 3 mm or more, more preferably 8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top and bottom dimensions of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are large,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forward to discharge the sewage after using the portable toilet 1, the last remaining sewage jumps in front of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As a result, it tend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and come out easily.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scattering of such sewage,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is preferably 30 mm or less, more preferably 20 mm or less. When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walls 26BU are 17 mm or less, splashing of sewage can be further prevented.

도 11 은, 전측 둘레벽 (26B) 의 연직 단면도이고, 도 4 의 XI-XI 선 단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연직 단면은, 전측 둘레벽 (26B) 의 후단 (26Bb) 과 용기 (20) 의 전단 (20f) 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벽 (26B) 의 연직 단면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둘레벽 (26B) 은, 하벽부 (27D) 와, 하벽부 (27D) 의 좌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벽부 (27L) 와, 하벽부 (27D) 의 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벽부 (27R) 를 가지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하벽부 (27D), 좌벽부 (27L), 및 우벽부 (27R) 에 의해,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전후로 연장되는 유로 (27) 가 형성되어 있다.Fig. 1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and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XI-XI in Fig. 4 . The vertical section shown in FIG. 11 is a vertical section of the front side wall 26B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rear end 26Bb of the front side wall 26B and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s shown in Fig. 11,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has a lower wall portion 27D, a left wall portion 27L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lower wall portion 27D, and an upper portion from the right end of the lower wall portion 27D. It has a right wall portion 27R extending to . As shown in Fig. 3, the flow passage 27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when viewed from above is formed by the lower wall portion 27D, the left wall portion 27L, and the right wall portion 27R.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은, 비교적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이란, 유로 (27) 의 상기 단면 (전측 둘레벽 (26B) 의 후단 (26Bb) 과 용기 (20) 의 전단 (20f) 의 중간 위치의 단면) 에 있어서의 좌우의 폭을 말한다.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은, 바닥벽 (24) 의 반경 (r24) 의 반보다 크다. 또,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은, 바닥벽 (24) 의 수평벽 (24A) 의 반경 (r24A) 보다 크다. 여기서는,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은, 바닥벽 (24) 의 반경 (r24) 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은, 환상 다리 (28) 의 반경 (r28) (도 6 참조) 보다 크다. 또한, 환상 다리 (28) 의 반경이란, 환상 다리 (28) 의 내경의 1/2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환상 다리 (28) 는, 하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략 환상에는, 바닥벽 (24) 의 중심 (24C) 둘레로 일주한 형상 (즉, 엄밀한 고리형) 과,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의 일부에 절개선 (28a) 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포함된다.The left and right widths W27 of the flow path 27 are relatively larg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W27 of the flow path 27 here means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27 (between the rear end 26Bb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and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t refers to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sec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W27 of the passage 27 is greater than half the radius r24 of the bottom wall 24 .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W27 of the flow path 27 is larger than the radius r24A of the horizontal wall 24A of the bottom wall 24 . Here, the left and right width W27 of the passage 27 is larger than the radius r24 of the bottom wall 24 . Further, the left and right widths W27 of the passage 27 are larger than the radius r28 of the annular leg 28 (see Fig. 6). In addition, the radius of the annular leg 28 shall mean 1/2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leg 28. The annular leg 2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when viewed from below. In the substantially annular shape, a shape that goes around the center 24C of the bottom wall 24 (that is, a strict annular shape) and a shape in which an incision 28a is formed in a part of the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6 . This is included.

유로 (27) 의 좌우의 폭 (W27)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7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표준적인 일본식 변기의 비교적 작은 유수부에 대해서도, 오수를 흘러넘치게 하지 않고 단번에 주입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the left and right width W27 of the flow path 27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70 mm or less, for example. This makes it easy to inject sewage at once without overflowing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water flow part of a standard Japanese toilet.

포터블 토일렛 (1) 에서는, 사용 전에, 버킷 (10) 에 미리 정해진 소정 용적의 물을 모아 두는 것이 추천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 (26) 에는, 용기 (20) 중에 소정 용적의 물이 저류될 때의 수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안표로서, 단차 (25)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단차 (25) 는, 용기 (20) 중에 1 리터의 용적의 물이 저류될 때의 수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1 리터의 물을 모아 두면 충분한 수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 변은 수중에 잠겨,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단차 (25) 는, 후측 둘레벽 (26A) 에 형성되어 있지만, 전측 둘레벽 (26B)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표는, 시인 가능한 것이면 되고, 단차 (25) 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표로서, 단차 (25) 대신에, 홈, 돌기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안표로서, 착색된 선, 도형, 문자, 기호 등을 사용해도 된다. 단, 안표로서 단차 (25) 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오염이 퇴적되어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장기간의 사용 후에도 사라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toilet 1, it is recommended to store a predetermined volume of water in the bucket 10 before use. As shown in FIG. 7 , a step 25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26 as a guid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surface when a predetermined volume of water is stored in the container 20 . Here, the level difference 25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water surface when water of a volume of 1 liter is stored in the container 20. Since a sufficient water level can be ensured by storing 1 liter of water, the feces are usually submerged in water and the generation of odor can be suppressed. The step 25 is formed on the rear circumferential wall 26A, but may be formed on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In addition, an eye mark should just be w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is not limited to the level difference 25. As an eye mark, you may use grooves, protrusions, etc. instead of the step 25. Moreover, you may use colored lines, figures, characters, symbols, etc. as an eye mark. However, using the level difference 25 as an eye mark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visibility can be ensured even if dirt is deposited, and it does not disappear even after long-term use.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장자리부 (22) 는, 둘레벽 (26) 의 상방에 위치하는 내주벽 (22A) 과, 내주벽 (22A) 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벽 (22B) 과, 상벽 (22B) 의 외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주벽 (22C) 을 가지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부 (22) 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되접어 꺾인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가장자리부 (22) 는, 단면이 역 U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 (22A) 은 전술한 상부 수직벽 (26BU) 과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상부 수직벽 (26BU) 의 일부여도 된다.As shown in FIG. 7 , the upper edge portion 22 includes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A located above the circumferential wall 26, an upper wall 22B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A, It has an outer peripheral wall 22C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wall 22B. The upper edge portion 22 is formed in a shape bent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toward the outer side. The upper edge portion 22 is formed in an inverted U-shape in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A may coincide with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described above, or may be a part of the upper vertical wall 26BU.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는, 손잡이 (50) (도 2 참조) 가 걸어맞추어지는 축공 (30)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축공 (30) 은, 상측 가장자리부 (22) 의 외주벽 (22C) 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shaft holes 30 into which handles 50 (see FIG. 2 ) are engaged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ontainer 20 . Here, the shaft hole 30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of the upper edge portion 22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공 (30) 은, 원공 (31) 과, 원공 (31)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공 (32)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2 에 있어서의 가상선 (30S) 은, 원공 (31) 과 종공 (32) 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이다. 원공 (31) 은 하방에 위치하는 하공 (下孔) 의 일례이고, 종공 (32) 은 하공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공 (上孔) 의 일례이다. 종공 (32) 은, 원공 (31) 으로부터 상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종공 (32) 은, 상하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전측 가장자리 (32f) 및 후측 가장자리 (32b) 와, 전측 가장자리 (32f) 및 후측 가장자리 (32b) 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가장자리 (32t) 를 가지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 (32t) 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측 가장자리 (32b)는 전측 가장자리 (32f)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전측 가장자리 (32f) 와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가장자리 (32f) 는 원공 (31) 의 전단 (31f)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축공 (30) 은 b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공 (32) 의 중심선 (전측 가장자리 (32f) 와 후측 가장자리 (32b) 의 중간을 통과하는 상하로 연장되는 선) (32CL) 은, 원공 (31) 의 중심 (31C) 으로부터 전측 가장자리 (32f) 측으로 어긋나 있다.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전측 가장자리 (32f) 와 후측 가장자리 (32b) 사이의 구멍폭 (W32) 보다 길다.As shown in FIG. 12 , the shaft hole 30 includes a circular hole 31 and a vertical hole 32 extending upward from the circular hole 31 . In addition, the virtual line 30S in FIG. 12 is a line which shows the boundary of the circular hole 31 and the vertical hole 32. As shown in FIG. The circle hole 31 is an example of a lower hole located below, and the end hole 32 is an example of an upper hole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hole. The longitudinal hole 32 extends straight upward from the circular hole 31 . The vertical hole 32 has a front edge 32f and a rear edge 32b extending linearly up and down, and an upper edge 32t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ont edge 32f and the rear edge 32b to each other. there is. The upper edge 32t extends horizontally. The rear edge 32b is formed behind the front edge 32f and faces the front edge 32f.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edge 32f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end 31f of the circular hole 31 . Shaft hole 30 is formed in b shape. The center line of the vertical hole 32 (a line extending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middle of the front edge 32f and the rear edge 32b) 32CL extends from the center 31C of the round hole 31 to the front edge 32f side. is out of sync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is longer than the hole width W32 between the front edge 32f and the rear edge 32b.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 (22C) 의 종공 (32) 의 주위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역 U 자상의 보강 리브 (34) 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 (34) 는, 외주벽 (22C) 으로부터 축선 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의 종공 (32) 의 주위 부분에는, 좌방으로 돌출되는 보강 리브 (34) 가 형성되고, 우측의 종공 (32) 의 주위 부분에는, 우방으로 돌출되는 보강 리브 (34) 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 (34) 는, 종공 (32) 의 전방에 위치하기 전측 리브 (34A) 와, 종공 (32) 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측 리브 (34B) 와, 종공 (32) 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리브 (34T) 를 가지고 있다. 또, 원공 (31) 의 주위 부분에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의 보강 리브 (35) 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 (34) 와 보강 리브 (35) 는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리브 (34) 및 보강 리브 (35) 는, 축공 (30) 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an inverted U-shaped reinforcing rib 34 projecting outward is formed around the vertical hole 32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22C. The reinforcing rib 34 protrudes in on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wall 22C. In detail, a reinforcing rib 34 protruding left is formed around the vertical hole 32 on the left side, and a reinforcing rib 34 protruding rightward is formed around the peripheral hole 32 on the right side. has been The reinforcing ribs 34 include a front rib 34A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hole 32, a rear rib 34B located in the rear of the vertical hole 32, and an upper rib located above the vertical hole 32. (34T). In addition, circular arc-shaped reinforcing ribs 35 protruding outward are also formed around the circular hole 31 . The reinforcing rib 34 and the reinforcing rib 35 are connected.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34 and the reinforcing rib 35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shaft hole 30 .

또, 외주벽 (22C) 에는, 보강 리브 (34) 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리브 (36A, 36B) 가 형성되어 있다. 횡리브 (36A) 는 횡리브 (36B)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횡리브 (36B) 의 전후 길이는, 상측의 횡리브 (36A) 의 전후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Further, transverse ribs 36A and 36B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reinforcing rib 34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wall 22C. The transverse rib 36A is formed above the transverse rib 36B. The front-rear length of the lower transverse rib 36B is longer than the front-rear length of the upper transverse rib 36A.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장자리부 (22) 의 후측 또한 좌우 방향의 중앙의 부분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4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는, 손잡이 (40) 의 종단면도이고, 도 7 의 XI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40) 는, 외주벽 (22C) 의 하단에서 후방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만곡벽 (41) 과, 만곡벽 (41) 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벽 (42) 과, 횡벽 (42)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종벽 (43) 을 가지고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40) 는, 각각 만곡벽 (41), 횡벽 (42), 및 종벽 (43) 의 좌방 및 우방에 형성된 좌벽 (44L) 및 우벽 (44R)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벽 (42) 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벽 (43) 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횡벽 (42) 은 수평 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어도 되고, 종벽 (43) 은 연직 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 a handle 40 protruding rearward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edge portion 22 an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andle 40, and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IV in Fig. 7 . As shown in FIG. 14, the handle 40 includes a curved wall 41 extending rear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and a side wall 4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urved wall 41. and a vertical wall 4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ransverse wall 42 . 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knob 40 has left wall 44L and right wall 44R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rved wall 41, the horizontal wall 42, and the vertical wall 43, respectively. .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wall 4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wall 4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horizontal wall 42 may be slightly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wall 43 may be slightly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손잡이 (40) 의 좌우의 길이 (W40) (도 5 참조) 는, 적어도 3 개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손잡이 (40) 의 좌우의 길이 (W40) 는, 35 ㎜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의 좌우의 길이 (W40) 는, 손잡이 (40) 중 내치수를 말한다. 즉, 손잡이 (40) 의 좌벽 (44L) 의 우측면과 우벽 (44R) 의 좌측면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40) 를 걸기 쉽게, 종벽 (43) 의 상하의 길이 (H43) 는 2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이다. 만곡벽 (41) 의 곡률 반경 (R) 은, 적어도 1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다. 또, 만곡벽 (41) 의 곡률 반경 (R) 은, 30 ㎜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left and right lengths W40 of the knob 40 (see Fig. 5) are set to a length that allows at least three fingers to be inserted. Here, the left and right length W40 of the handle 40 is set to 35 mm or more. Further, the left and right lengths W40 of the handle refer to the inner dimensions of the handle 40 . That is, it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left wall 44L and the left side of the right wall 44R of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14, the vertical length H43 of the vertical wall 43 is 2 mm or more, preferably 4 mm or more, so that the handle 40 can be easily hung.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curved wall 41 is at least 1 mm or more, preferably 3 mm or more. Moreover, as for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curved wall 41, 30 mm or less is preferable.

도 15 는, 용기 (20) 의 전단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 의 XV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상측 가장자리부 (22) 에는, 외주벽 (22C) 의 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액절판 (23)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액절판 (23) 은, 상벽 (22B) 과 면일 (面一) 로 형성되어 있다.Fig. 1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front end of the container 20, and an enlarged view of part XV in Fig. 7 . As shown in Fig. 15, the upper edge portion 22 of the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a liquid-clamping plate 2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Here, the liquid-removing plate 23 is formed flush with the upper wall 22B.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전후 길이는, 용기 (20) 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전단 (20f)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 (L20f) 는, 용기 (20) 의 후단 (20b)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 (L20b) 보다 길다. 또한, 용기 (20) 의 전단 (20f)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용기 (20) 의 전단 (20f) 과 축공 (30) 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 (여기서는, 원공 (31) 의 중심 (31C) 의 위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 동일하게, 용기 (20) 의 후단 (20b)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용기 (20) 의 후단 (20b) 과 축공 (30) 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 (여기서는, 원공 (31) 의 중심 (31C) 의 위치)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As shown in FIG. 2 , the front-back length of the container 20 is longer than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ontainer 20 . As shown in FIG. 4 , the length L20f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s the length L20f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rear end 20b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L20b). In addition,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s the center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here, the round hole 31 ) refers to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center 31C) of ). Similarly,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rear end 20b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s the center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rear end 20b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here, the circular hole ( 31) refers to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centers 31C).

이상이 용기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손잡이 (5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은 손잡이 (50) 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XVII 부분의 확대도이다.The above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Next, the handle 50 will be described.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50.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VII of Fig. 16;

<손잡이><handle>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는, 병부 (柄部) (51) 와, 병부 (51) 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 (52) 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 (52) 는, 용기 (20) 의 축공 (30) 에 걸어맞추는 부분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 (52) 는, 병부 (51) 의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52) 는, 축 (54) 과, 축 (54) 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 (56) 와, 축 (54) 의 외측에 형성된 보강부 (58) 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 (56) 는, 축 (54) 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50) 의 우측의 걸어맞춤부 (52) 는, 보강부 (58) 와, 보강부 (58) 의 좌방에 형성된 축 (54) 과, 축 (54) 의 좌방에 형성된 스토퍼 (56) 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50) 의 좌측의 걸어맞춤부 (52) 는, 보강부 (58) 와, 보강부 (58) 의 우방에 형성된 축 (54) 과, 축 (54) 의 우방에 형성된 스토퍼 (56) 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6 , the handle 50 has a bottled portion 51 and engaging portions 52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led portion 51 . The engaging portion 52 is a portion engaged with the shaft hole 30 of the container 20 . As shown in FIG. 17 , the engaging portion 52 extends i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le portion 51 . The engaging portion 52 has a shaft 54, a stopper 56 formed inside the shaft 54, and a reinforcing portion 58 formed outside the shaft 54. The stopper 56 is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shaft 54. In detail, the engaging part 52 on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50 is a reinforcing part 58, a shaft 54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einforcing part 58, and a stopper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haft 54 (56). The engaging portion 52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50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58, a shaft 54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58, and a stopper 56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haft 54. Have.

축 (54) 은 사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54) 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사각형상에는, 코너부가 직각인 엄밀한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부에 둥근 부분이 형성된 사각형상도 포함된다. 축 (54) 은, 제 1 축 가장자리 (54a) 와,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축 가장자리 (54b) 와,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일단과 제 2 축 가장자리 (54b) 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축 가장자리 (54c) 와,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타단과 제 2 축 가장자리 (54b) 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4 축 가장자리 (54d) 를 가지고 있다. 제 1 축 가장자리 (54a) 및 제 2 축 가장자리 (54b) 의 길이는, 제 3 축 가장자리 (54c) 및 제 4 축 가장자리 (54d) 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Shaft 5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rism. As shown in Fig. 18,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5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Note that the quadrangular shape referred to herein is not limited to a strict quadrangle with right angle corners, but also includes a quadr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 18 . The shaft 54 includes a first shaft edge 54a, a second shaft edge 54b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haft edge 54a, one end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a second shaft edge. It has a third shaft edge 54c connecting one end of 54b and a fourth shaft edge 54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edge 54b. The lengths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the second shaft edge 54b ar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third shaft edge 54c and the fourth shaft edge 54d.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므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는 전방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또,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는 세울 수 있다. 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는 후방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또한,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 손잡이 (50) 는 손잡이 (40) 의 횡벽 (42) 위에 놓여진다.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 손잡이 (50) 는 손잡이 (40) 에 의해 지지된다.Since the handle 50 is engaged with the container 2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s shown in FIG. 19 , the handle 50 can be knocked down forward. Moreover, as shown in FIG. 20, the knob 50 can stand upright. Moreover, as shown in FIG. 21, the knob 50 can be knocked back. Also, when the handle 50 is tipped backward, the handle 50 rests on the side wall 42 of the handle 40. When the handle 50 is knocked back, the handle 50 is supported by the handle 40 .

축 (54) 은 축공 (30) 에 삽입되어 있다. 축 (54) 은, 원공 (31) 내에서 회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축 (54) 의 횡단면의 최대 치수 (L54) (여기서는, 대각 방향의 치수이다. 도 18 참조) 는, 원공 (31) 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축 (54) 이 원공 (31) 내에 있는 경우, 손잡이 (50) 를 회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 (50) 가 쓰러진 상태에서는, 축 (54) 은 원공 (31) 내에 배치된다.Shaft 54 is inserted into shaft hole 30 . The shaft 54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rotating within the circular hole 31 . The maximum dimension L54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54 (here, the dimens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See Fig. 18)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31. When the shaft 54 is within the circular hole 31, the handle 50 can be rotated. When the handle 50 is in a collapsed state, the shaft 54 is disposed in the circular hole 31.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도 20 참조),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54) 은 원공 (31) 으로부터 종공 (32) 으로 이동하여, 종공 (32) 에 끼인다. 축 (54) 이 종공 (32) 에 끼이면, 축 (54) 의 회동은 종공 (32) 에 의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손잡이 (50) 는 회동 불능이 된다. 축 (54) 및 종공 (32) 은,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손잡이 (50) 를 용기 (20) 에 대해 회동 불능으로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 (55) 를 구성하고 있다.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see Fig. 20), as shown in Fig. 22, the shaft 54 moves from the circular hole 31 to the vertical hole 32 and is caught in the vertical hole 32. When the shaft 54 is caught in the vertical hole 32, rotation of the shaft 54 is restricted by the vertical hole 32. Therefore, when the handle 50 is erected and lifted, the handle 50 becomes unable to rotate. The shaft 54 and the vertical hole 32 constitute a locking mechanism 55 that fixes the handle 50 to the container 20 in a non-rotatable manner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축 (54) 이 종공 (32) 에 끼이면, 제 1 축 가장자리 (54a) 는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에 대향하고, 제 2 축 가장자리 (54b) 는 종공 (32) 의 후측 가장자리 (32b) 에 대향한다. 제 3 축 가장자리 (54c) 는, 종공 (32) 의 상측 가장자리 (32t) 에 맞닿는다. 종공 (32) 의 구멍폭 (W32) (도 12 참조) 은, 제 3 축 가장자리 (54c) 의 길이 (H54c) 와 동일하거나, 혹은, 제 3 축 가장자리 (54c) 의 길이 (H54c) 보다 약간 크다.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보다 길다. 종공 (32) 의 후측 가장자리 (32b) 의 상하 길이 (H32b) 는,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보다 짧다.When the shaft 54 is caught in the longitudinal hole 32, the first shaft edge 54a opposes the front edge 32f of the longitudinal hole 32, and the second shaft edge 54b faces the rear edge of the longitudinal hole 32. It opposes (32b). The third shaft edge 54c abuts against the upper edge 32t of the vertical hole 32 . The hole width W32 (see FIG. 12) of the vertical hole 32 is equal to the length H54c of the third shaft edge 54c or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H54c of the third shaft edge 54c. .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of the vertical hole 32 is longer than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The vertical length H32b of the rear edge 32b of the longitudinal hole 32 is shorter than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부 (58) 는 축 (54) 과 동일하게, 사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 (58) 의 횡단면 형상은, 축 (54) 보다 한층 큰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54) 이 종공 (32) 에 끼이면, 보강부 (58) 는 보강 리브 (34) 의 내측에 삽입된다. 보강부 (58) 는 보강 리브 (34) 의 내측에 끼여, 보강 리브 (34) 와 접촉한다.As shown in FIG. 18, the reinforcement part 58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column like the shaft 5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inforcing portion 58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e size larger than the shaft 54 . As shown in FIG. 22 , when the shaft 54 is caught in the vertical hole 32, the reinforcing portion 58 is inserted inside the reinforcing rib 34. The reinforcing portion 58 is sandwiched inside the reinforcing rib 34 and contacts the reinforcing rib 34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56) 는, 원판상의 스토퍼 본체부 (56A) 와, 스토퍼 본체부 (56A) 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56B) 를 가지고 있다. 축 (54) 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스토퍼 (56) 는 b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56) 는, 손잡이 (50) 의 걸어맞춤부 (52) 가 축공 (30) 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3 ∼ 도 25 는, 축 (54) 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축공 (30), 스토퍼 (56), 및 축 (54) 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 도 25 는, 용기 (20) 의 우측의 외주벽 (22C) 을 이측 (裏側) 에서 본 도면 (바꾸어 말하면, 용기 (20) 의 우측의 외주벽 (22C) 을 좌측에서 우향으로 본 도면) 이다.As shown in Fig. 17, the stopper 56 has a disk-shaped stopper body portion 56A and a protruding portion 56B protruding from the stopper body portion 56A.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the stopper 56 is formed in a b-shape. The stopper 56 is formed to prevent the engaging portion 52 of the knob 5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shaft hole 30. 23 to 25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ft hole 30, the stopper 56, and the shaft 54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23 to 25 are views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22C on the right side of the container 20 viewed from the back side (in other words, views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22C on the right side of the container 20 view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 am.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를 쓰러뜨렸을 때에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스토퍼 본체부 (56A) 의 적어도 일부는, 원공 (31)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토퍼 본체부 (56A) 는,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공 (31) 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원공 (31) 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본체부 (56A) 의 외경 (D56A) 은, 종공 (32) 의 구멍폭 (W32) 보다 크다.As shown in FIG. 23 , when the handle 50 is knocked down,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stopper main body 56A is located inside the circular hole 31 . The stopper body portion 56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31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but here, i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31. has been The outer diameter D56A of the stopper main body 56A is larger than the hole width W32 of the vertical hole 32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 (56B) 는 스토퍼 본체부 (56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에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 (56B) 는, 종공 (32)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용기 (20) 는 수지제이고, 탄성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스토퍼 (56) 를 축공 (30) 에 삽입하면, 원공 (31) 은 스토퍼 본체부 (56A) 에 의해 일시적으로 눌려서 퍼진다. 따라서, 스토퍼 본체부 (56A) 는 원공 (31) 을 통과할 수 있다. 또, 돌출부 (56) 는 종공 (32)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종공 (32) 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스토퍼 (56) 를 표측 (表側) 에서 축공 (30) 에 대고 누름으로써, 스토퍼 (56) 를 축공 (30) 의 이측 (바꾸어 말하면, 외주벽 (22C) 의 내측) 에 배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when the handle 50 is knocked down backward, as shown in Fig. 23,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projecting portion 56B protrudes upward from the stopper main body 56A.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knob 50 is tilted backward, the protrusion 56B is located inside the longitudinal hole 32 . The container 20 is made of resin and has elasticity. When the stopper 56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0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50 is tilted backward, the round hole 31 is temporarily pressed by the stopper main body 56A and spreads. Accordingly, the stopper body portion 56A can pass through the circular hole 31 . Moreover, since the protruding part 56 is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32, it can pass through the vertical hole 32 as it is. Therefore, by pressing the stopper 56 against the shaft hole 30 from the front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knob 50 is tilted backward, the stopper 56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shaft hole 30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 22C)).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를 쓰러진 상태에서 회동시키면, 돌출부 (56B) 는,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축공 (30) 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돌출부 (56B) 는,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외주벽 (22C) 의 축공 (30) 의 주위 부분과 겹친다. 돌출부 (56B) 가 축공 (30) 의 주위 부분과 맞닿음으로써, 손잡이 (50) 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규제되어, 손잡이 (50) 가 축공 (30) 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As shown in Fig. 24, when the handle 50 is rotated in a fallen state, the protruding portion 56B moves outside the shaft hole 30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56B overlap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hole 3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56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shaft hole 30, displacement of the handle 50 in the axial direction is restricted, and the handle 50 is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shaft hole 30.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54) 은 원공 (31) 으로부터 종공 (32) 으로 이동한다. 돌출부 (56B) 는,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종공 (32) 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도, 돌출부 (56B) 는,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외주벽 (22C) 의 축공 (30) 의 주위 부분과 겹친다. 따라서, 손잡이 (50) 가 축공 (30) 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As shown in FIG. 20 ,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the shaft 54 moves from the round hole 31 to the vertical hole 32 as shown in FIG. 25 . The projecting portion 56B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hole 32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Also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ortion 56B overlap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hole 3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refore, the handle 50 is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shaft hole 30.

포터블 토일렛 (1) 을 사용한 후, 이용자는,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림으로써, 버킷 (10) 을 토일렛 본체 (2) 로부터 떼어낸다. 또, 이용자는, 손잡이 (50) 를 파지하면서 이동함으로써, 버킷 (10) 을 변소까지 옮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20) 는, 축공 (30) 의 전방 부분의 길이 (L20f) 쪽이, 축공 (30) 의 후방 부분의 길이 (L20b) 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4 참조). 그러나, 전측 둘레벽 (26B) 은, 측방에서 보았을 때 전경사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용기 (20) 는, 소정량 이하의 물이 저류되는 경우에, 용기 (20) 및 물의 전체의 무게 중심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수위에 관계없이 축공 (30) 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 (20) 는, 소정 용적 이하의 물이 저류되는 경우, 용기 (20) 및 물의 합계의 무게 중심이 실질적으로 축공 (30) 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수위가 바뀌어도 무게 중심의 전후 위치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After using the portable toilet 1, the user detaches the bucket 10 from the toilet body 2 by standing up and lifting the handle 50. Moreover, the user carries the bucket 10 to the toilet by moving while gripping the handle 50 .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iner 20, the length L20f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haft hole 30 is longer than the length L20b of the rear portion of the shaft hole 30 (see Fig. 4). However,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inclines in an upwar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ontainer 20 is formed so that,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of water is stor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20 and the entire wa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ocated near the shaft hole 30 regardless of the water level. . That is, the container 20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m of the container 20 and the water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shaft hole 30 when water of a predetermined volume or less is stored, and even if the water level chang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er of gravity It is formed so that the fluctuation of a position may be small.

용기 (20) 의 저류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버킷 (10) 을 옮기는 것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포터블 토일렛 (1) 에서는, 미리 용기 (20) 의 저류 용적의 상한값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소정 용적은, 예를 들어, 용기 (20) 의 저류 용적의 상한값과 동일해도 된다. 단,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소정 용적은, 용기 (20) 의 저류 용적의 상한값보다 적어도 된다. 여기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는, 용기 (20) 의 내용적의 50 % 이하의 물이 저류되는 경우에, 용기 (20) 및 물의 전체의 무게 중심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수위에 관계없이 축공 (30) 의 전단으로부터 10 ㎜ 전방의 위치 (P1) 와, 축공 (30) 의 후단으로부터 10 ㎜ 후방의 위치 (P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Since it becomes difficult to move the bucket 10 when the storage amount of the container 20 is too large, in the portable toilet 1, the upper limit of the storage volume of the container 20 is set in advance in many cases. The said predetermined volume may be the same as the upper limit of the storage volume of the container 20, for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 said predetermined volume should be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storage volume of the container 20. Here, as shown in FIG. 20 , in the container 20, when 50% or less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tainer 20 is store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20 and the entire wa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Regardless of the water level, it is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a position P1 10 mm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haft hole 30 and a position P2 10 mm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haft hole 30.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버킷 (10) 은, 수위가 바뀌어도 무게 중심의 전후 위치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버킷 (10) 을 토일렛 본체 (2) 로부터 떼어내거나, 운반하거나 할 때, 버킷 (10) 이 흔들리거나, 가구 등에 접함으로써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용기 (20) 의 형상에 따라서는, 기울어진 측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기울기를 촉진하도록 중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기울기가 커져, 용기 (20) 로부터 오수가 흘러넘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공 (30) 의 축선 (C1) (도 2 참조) 을 통과하는 연직면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기울어진 측에 물이 모일 수 있는 저류부 코너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 등이다. 그러나, 기울어진 측에 고이는 물의 용적을 줄이도록 용기 (20) 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상기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류부 코너가 되는 바닥과 전후벽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하도록, 바닥에 각도를 부여하거나, 바닥과 전후벽 사이를 곡면이나 구면으로 하거나, 바닥을 깊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cket 10 is formed so that the fluctuation of the front-back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is reduced even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but when the bucket 10 is removed from the toilet body 2 or carried, the bucket 10 ) may be shaken or tilted by contact with furniture, etc.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20,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center of gravity moves to the tilted side and gravity acts to promote the tilt. In that case, the inclination becomes large, and a phenomenon in which sewage overflows from the container 20 may occur. Fo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 reservoir corner shape in which water can accumulate on an inclined side exists at a point away from a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axis C1 (see Fig. 2) of the shaft hole 30, or the like. However, this phenomenon can be avoided by devising the shape of the container 20 to reduce the volume of water accumulated on the inclined side. For example, the above phenomenon can be avoided by giving an angle to the floor so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ottom serving as the corner of the reservoir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is small, by making the bottom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a curved or spherical surface, or by making the bottom deep. can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20) 는 이하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a) ∼ (c) 에 있어서, 연직선 (VP) 은, 축공 (30) 의 축선 (C1) 을 통과하는 연직면을 나타낸다. 각도 (θ) 는, 수평면에 대한 용기 (20) 의 경사 각도를 나타낸다. 부호 (G) 는, 용기 (20) 및 물의 전체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20) 는, 용기 (20) 의 내용적의 50 % 이하의 물이 저류되는 경우에, 도 2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용기 (20) 가 수평면에 대해 0 도보다 크고 또한 20 도 미만인 각도 (θ) 로 후방 하향으로 기울었을 경우에, 무게 중심 (G) 이 연직면 (VP) 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20) 는, 용기 (20) 의 내용적의 50 % 이하의 물이 저류되는 경우에, 도 2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용기 (20) 가 수평면에 대해 0 도보다 크고 또한 20 도 미만의 각도 (θ) 로 전방 하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무게 중심 (G) 이 연직면 (VP)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20 is formed as follows. 26(a) to (c), a vertical line VP represents a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axis line C1 of the shaft hole 30. The angle θ represents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2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ymbol (G)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20 and the entire w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water of 50% or less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tainer 20 is stored, the container 20 is at least 0 degrees from the horizontal surface, as shown in FIG. When inclined backward and downward at an angle θ of greater than 20 degrees, the center of gravity G is formed to be located forward of the vertical plane VP.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c), when the container 20 stores water of 50% or less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container 20, the container 20 is at least larger than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When tilted forward and downward at an angle θ of less than 20 degrees, the center of gravity G is formed to be located rearward than the vertical plane VP.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버킷 (10) 을 토일렛 본체 (2) 로부터 떼어낼 때 또는 운반할 때, 적어도, 용기 (20) 가 20 도 미만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중력은 그 기울기를 되돌리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기울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 용기 (20) 로부터 오수가 흘러넘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용기 (20) 는, 20 도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그 기울기를 되돌리도록 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bucket 10 is detached from the toilet body 2 or carried, at least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at an angle of less than 20 degrees, gravity reverses the tilt. it works to Therefore, the inclination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overflow of waste water from the container 20 is suppressed. Further, even when the container 20 is inclined at an angle of 20 degrees or mor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gravity acts so as to reverse the inclination.

이상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터블 토일렛 (1) 및 버킷 (10) 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버킷 (10) 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The above is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oilet 1 and the bu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Next, an example of how to use the bucket 10 will be described.

<버킷의 사용 방법><How to use the bucket>

이용자가 포터블 토일렛 (1) 을 사용하면, 버킷 (10) 에 오수가 모인다. 이용자는 버킷 (10) 의 오수를 버리기 위해서, 먼저,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림으로써, 버킷 (10) 을 토일렛 본체 (2) 로부터 떼어낸다. 이 때, 손잡이 (50) 의 축 (54) 이 용기 (20) 의 종공 (32) 에 끼여,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회동 불능으로 고정된다. 그 때문에, 이용자는, 버킷 (10) 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When a user uses the portable toilet 1, sewage is collected in the bucket 10. In order to dispose of the dirty water in the bucket 10, the user first lifts up the handle 50 to remove the bucket 10 from the toilet body 2. At this time, the shaft 54 of the handle 50 is caught in the longitudinal hole 32 of the container 20, and the handle 50 is immovably fixed to the container 20. Therefore, the user can remove the bucket 10 easily.

다음으로, 이용자는, 손잡이 (50) 를 파지하면서 변소로 이동한다. 이 때,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회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용기 (20) 가 흔들리는 것은 억제된다. 또, 옮기는 도중에 용기 (20) 가 가구 등에 닿아도, 크게 기울어지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버킷 (10) 을 옮기고 있을 때, 오수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user moves to the toilet while holding the handle 50 . At this time, since the handle 50 is immovably fixed to the container 20, shaking of the container 20 is suppressed. Moreover, even if the container 20 touches furniture etc. in the middle of carrying, it does not incline greatly. Therefore, when the bucket 10 is being moved, overflowing of sewage water can be prevented.

이용자는 변소에 도착한 후, 버킷 (10) 의 오수를 변소의 변기에 배출한다. 도 27 ∼ 도 29 를 참조하면서, 버킷 (10) 으로부터 변기에 오수를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7(a), 도 28(a), 도 29(a) 는, 버킷 및 변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7(b), 도 28(b), 도 29(b) 는, 축 및 축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After arriving at the toilet, the user discharges the sewage from the bucket 10 into the toilet bowl of the toilet. Referring to Figs. 27 to 29,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sewage from the bucket 10 to the toilet bowl will be described. 27(a), 28(a), and 29(a)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ucket and a toilet, and FIGS. 27(b), 28(b), and 29(b) show shaft and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ft hole.

도 2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는, 변기 (60) 의 상방에서, 일방의 손 (h1) 으로 손잡이 (50) 를 파지하면서, 타방의 손 (h2) 을 용기 (20) 의 손잡이 (40) 에 하방에서 건다. 그리고, 손잡이 (40) 를 들어올림으로써, 손잡이 (50) 와 함께 용기 (20) 를 전방으로 기울인다.As shown in FIG. 27(a), the user holds the handle 50 with one hand h1 above the toilet bowl 60, while the other hand h2 holds the handle 50 of the container 20 ( 40) from below. Then, by lifting the handle 40, the container 20 is tilted forward together with the handle 50.

도 2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기울기를 서서히 크게 함으로써, 용기 (20) 내의 오수는 변기에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 때, 도 2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의 축 (54) 은 종공 (32) 의 주위 부분으로부터 눌려, 축 (54) 에는 종공 (32) 으로부터 기울어지는 힘 (화살표 A1 참조) 이 작용한다. 그러나,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는 축 (54) 의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축 (54) 이 기울었다고 해도,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하단부 (54ad) 는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에 지지된 채이다. 그 때문에, 축 (54) 이 종공 (32) 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방지된다.As shown in Fig. 28(a), by gradually increasing the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20, the sewage in the container 20 is quickly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wl.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8(b), the shaft 54 of the handle 50 is presse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32, and the shaft 54 is subjected to a force tilting from the vertical hole 32 (see arrow A1 ) works. However, since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32f of the vertical hole 3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54a of the shaft 54, even if the shaft 54 is tilted, the first shaft edge 54a The lower end portion 54ad of the vertical hole 32 remains supported by the front edge 32f. Therefore, the shaft 54 is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vertical hole 32.

따라서, 도 29(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를 크게 기울여도, 축 (54) 은 종공 (32) 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손잡이 (50) 의 고정은 해제되지 않는다. 손잡이 (50) 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용자의 의도대로 용기 (20) 를 기울일 수 있다. 용기 (20) 를 기울이고 있는 한중간에 손잡이 (50) 의 고정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어 버리면, 용기 (20) 이 단번에 기울어져, 오수가 급격하게 배출되어 변기 (60) 의 밖으로 비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29(a) and (b), even if the container 20 is greatly tilted, the shaft 54 does not come out of the vertical hole 32 and the fixation of the handle 50 is not released. With the handle 50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he container 20 can be til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f the fixing of the handle 50 is unintentionally released while the container 20 is tilted, the container 20 tilts at once, and there is a risk that sewage water is rapidly discharged and scattered outside the toilet bowl 60. 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uch a thing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용기 (20) 로부터 오수를 배출한 후, 이용자는 버킷 (10) 을 세정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버킷 (10) 을 싱크대 또는 욕조의 플로어면 등의 위에 두고,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린다. 이로써, 손잡이 (50) 에 방해받지 않고, 용기 (20) 안을 세정할 수 있다.After discharging the sewage from the container 2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leans the bucket 10 .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bucket 10 is placed on a sink or a floor surface of a bathtub and the like, and the handle 50 is knocked backwards. 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 can be cleaned without being obstructed by the handle 50.

이용자는 버킷 (10) 을 세정한 후, 용기 (20) 에 소정 용적의 물을 모은다. 그리고,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려 손잡이 (50) 를 파지하면서 버킷 (10) 을 옮겨,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한다. 그 후,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리고, 변좌 (5) (도 1 참조) 를 전방으로 쓰러뜨린다. 이로써, 포터블 토일렛 (1) 은 다시 이용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20) 에 물을 모으는 작업은, 버킷 (10) 을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하기 전에 한정되지 않고,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한 후에 실시해도 된다.After washing the bucket 10, the user collects a predetermined volume of water in the container 20. T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the bucket 10 is moved while gripping the handle 50, and attached to the toilet body 2. After that, the handle 50 is knocked down backwards, and the toilet seat 5 (see Fig. 1) is knocked forward. With this, the portable toilet 1 becomes usable again. The operation of collecting water in the container 20 is not limited to before attaching the bucket 10 to the toilet body 2, but may be performed after attaching the bucket 10 to the toilet main body 2.

이상이 버킷 (10) 의 사용 방법의 일례이다. 또한, 여기서는, 버킷 (10) 의 오수를 변소의 변기 (60) 에 배출하는 것으로 했지만, 오수의 배출 장소는 변소의 변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is an example of how to use the bucket 10. In addition, although it was assumed here that the sewage from the bucket 1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wl 60 of the lavatory, the discharge location of the filthy water is not limited to the toilet bowl of the lavatory.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Embodiment>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여러 가지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various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버킷 (10) 에 의하면, 손잡이 (50) 의 축 (54) 은 용기 (20) 의 원공 (31) 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므로,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버킷 (10) 을 포터블 토일렛 (1) 의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하고 있을 때,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도 1 참조), 포터블 토일렛 (1) 의 사용시에 손잡이 (50) 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손잡이 (50) 의 축 (54) 은 용기 (20) 의 원공 (31) 으로부터 종공 (32) 으로 이동하여, 종공 (32) 에 끼인다. 이로써, 손잡이 (50) 는 용기 (20) 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그 때문에, 이용자는 오수가 흘러넘치지 않게 버킷 (10) 을 옮기는 것이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ft 54 of the handle 50 is rotatable inside the hole 31 of the container 20, so the handle 50 is a container ( 20) can be rotated about. When the bucket 10 is attached to the toilet body 2 of the portable toilet 1, the handle 50 can be knocked down backwards (see FIG. 1), so when using the portable toilet 1, the handle 50 ) is not in the way.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the shaft 54 of the handle 50 moves from the round hole 31 of the container 20 to the vertical hole 32 and is caught in the vertical hole 32. Thereby, the handle 50 is fixed non-rotatably relative to the container 20 . Therefore, it becomes easy for the user to move the bucket 10 so that the sewage does not overflow.

버킷 (10) 으로부터 오수를 배출할 때에는, 손잡이 (50) 를 파지한 채로 용기 (20) 를 기울인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버킷 (10) 에 의하면,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축 (54) 의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보다 길다. 그 때문에, 용기 (20) 를 기울이고 있는 동안,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하단부는 전측 가장자리 (32f) 에 지지된 채로 되어, 축 (54) 은 종공 (32) 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도 28(b) 및 도 29(b) 참조). 따라서, 손잡이 (50) 의 고정은 해제되지 않아, 용기 (20) 를 기울이고 있을 때에 용기 (20) 가 급격하게 기울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가 용기 (20) 로부터 강한 기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수가 변기 (60) 의 밖으로 비산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draining sewage from the bucket 10, the container 20 is tilted while holding the handle 50. According to the bu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of the vertical hole 32 is longer than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of the shaft 54. Therefore, while the container 20 is tilt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edge 54a remains supported by the front edge 32f, and the shaft 54 does not come out of the longitudinal hole 32 (FIG. 28(b) ) and see FIG. 29(b)).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20 from tilting abruptly while the container 20 is tilted without being released from the fixation of the handle 5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20 with strong force. It can prevent sewage water from scattering outside the toilet bowl 60.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54) 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축공 (30) 은 b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공 (32) 의 중심선 (32CL) 은, 원공 (31) 의 중심 (31C) 으로부터 전측 가장자리 (32f) 측으로 어긋나 있다. 중심선 (32CL) 이 원공 (31) 의 중심 (31C) 을 통과하도록 종공 (32)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를 동등하게 확보하고자 하면, 축공 (30) 의 상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중심선 (32CL) 이 원공 (31) 의 중심 (31C) 을 통과하는 경우, 축공 (30) 의 상하 길이는, 원공 (31) 의 상하 길이 (H31) 와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를 더한 길이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공 (30) 의 상하 길이는, 원공 (31) 의 상하 길이 (H31) 와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를 더한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축공 (30) 의 전체의 상하 치수를 억제하면서,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축공 (30) 을 소형화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the shaft hole 30 is formed in a b-shape. The center line 32CL of the vertical hole 32 is shifted from the center 31C of the circular hole 31 toward the front edge 32f side. When the vertical hole 32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line 32CL passes through the center 31C of the circular hole 31, and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is to be equally secured, the shaft hole 30 It is necessary to lengthen the top and bottom length. When the center line 32CL passes through the center 31C of the circular hole 31, the vertical length of the shaft hole 30 is the vertical length H31 of the circular hole 31 and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is the length of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of the shaft hole 30 is shorter than the sum of the vertical length H31 of the circular hole 31 and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Accordingly,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32f can be secured while the overall vertical dimension of the shaft hole 30 is suppress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haft hole 30 exhibiting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miniaturiz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공 (32) 의 후측 가장자리 (32b) 의 상하 길이 (H32b) 는,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보다 짧다. 이에 따라, 축공 (30) 의 상하 치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H32b of the rear edge 32b of the vertical hole 32 is shorter than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shaft hole 30 can be further suppressed.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와 후단 (32b) 사이의 구멍폭 (W32) 보다 길다. 축 (54) 은, 종공 (32) 으로부터, 보다 빠지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20) 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 (50) 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is longer than the hole width W32 between the front edge 32f and the rear end 32b of the vertical hole 32. The shaft 54 is configured to be more difficult to come off from the vertical hole 32 .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ation of the handle 50 from being released more reliably.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 (54) 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축 가장자리 (54a) 및 제 2 축 가장자리 (54b) 의 길이는, 제 3 축 가장자리 (54c) 및 제 4 축 가장자리 (54d) 의 길이보다 길다.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제 1 축 가장자리 (54a) 와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접촉 면적은 비교적 크다. 축 (54) 은,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에 의해 충분히 지지된다. 따라서, 용기 (20) 를 기울였을 때, 축 (54) 이 종공 (32) 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 (50) 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5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the second shaft edge 54b are the third shaft edge 54c and the fourth shaft edge 54c. I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dge 54d.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54a is relatively lo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the front edge 32f is relatively large. The shaft 54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front edge 32f of the vertical hole 32 .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haft 54 from coming out of the longitudinal hole 32, and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andle 50 from being released. .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손잡이 (50) 는 축 (54) 의 선단측에 형성된 스토퍼 (56) 를 구비하고 있지만,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스토퍼 (56) 의 돌출부 (56B) 는, 축 (54) 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종공 (32) 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축공 (30) 에 스토퍼 (56) 를 통과시키는 것은 용이하여, 손잡이 (50) 를 용기 (20) 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스토퍼 (56) 의 돌출부 (56B) 는, 축 (54) 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용기 (20) 의 종공 (32) 의 주위 부분과 겹친다. 그 때문에, 손잡이 (50) 가 축 (54) 의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도, 스토퍼 (56) 의 돌출부 (56B) 가 종공 (32) 의 주위 부분에 맞닿으므로, 축 (54) 이 축공 (30) 으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어, 손잡이 (50) 가 용기 (20) 로부터 빠지는 것은 방지된다. 따라서, 손잡이 (50) 는 용기 (20) 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50 is provided with a stopper 56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haft 54, but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50 is tilted backward, the protruding portion 56B of the stopper 56 is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32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Therefore, it is easy to pass the stopper 56 through the shaft hole 30, and the handle 5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the protruding portion 56B of the stopper 56 overlap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hole 32 of the container 20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Therefore, even if the knob 50 is dis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54, the protruding portion 56B of the stopper 56 abuts agains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32, so that the shaft 54 moves away from the shaft hole 30. , and the handle 5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container 20 . Therefore, the handle 50 is difficult to come out of the container 20.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기 (20) 는 역 U 자상의 보강 리브 (34) 를 갖고, 축 (54) 은, 손잡이 (50) 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보강 리브 (34) 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부 (58) 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용기 (20) 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 (50) 로부터 용기 (20) 에 가해지는 힘은,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뿐만 아니라, 보강 리브 (34) 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종공 (32) 의 주위 부분은 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축 (54) 이 종공 (32) 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보다 한층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 (20) 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 (50) 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20 has an inverted U-shaped reinforcing rib 34, and the shaft 54 is a reinforc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reinforcing rib 34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upright. (58) has.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the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20 from the handle 50 is supported not only by the front edge 32f of the longitudinal hole 32 but also by the reinforcing rib 34. Sinc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32 is not easily deformed, the shaft 54 is further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vertical hole 32.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handle 50 from being unfixed.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기 (20) 는 추가로, 보강 리브 (34) 로부터 종공 (32) 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리브 (36A) 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종공 (32) 의 주위 부분은 더욱 변형되기 어려워져, 축 (54) 이 종공 (32) 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용기 (20) 를 기울였을 때, 손잡이 (50) 의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20 further has transverse ribs 36A extending from the reinforcing ribs 34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hole 32 . Therefor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32 is more difficult to deform, and the shaft 54 is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vertical hole 32 more reliably.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the fixation of the handle 5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포터블 토일렛 (1) 에서는, 사용 전에, 소정의 수위가 되도록 버킷 (10) 에 물이 모인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바닥벽 (24) 을,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시키는 것으로 하면, 수량이 비교적 적어도, 용기 (20) 내에 있어서 수위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절수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oilet 1, water is collected in the bucket 10 to reach a predetermined water level before use. As shown in FIG. 10 , if the bottom wall 24 of the container 2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it becomes easy to secure the water level in the container 20 when the amount of water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water can be saved.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상측 가장자리부 (22) 는, 외주벽 (22C) 의 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액절판 (23) 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용기 (20) 를 전방으로 기울여 오수를 배출했을 때, 오수는 액절판 (23) 의 선단으로부터 흘러떨어진다. 오수가 외주벽 (22C) 이나 전측 둘레벽 (26B) 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외주벽 (22C) 및 전측 둘레벽 (26B) 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수의 배출에 의해 용기 (20) 의 외주벽 (22C) 및 전측 둘레벽 (26B) 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upper edge portion 22 of the container 20 has a liquid-clamping plate 2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For this reason,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forward and the sewage is discharged, the sewage flows down from the front end of the liquid-removing plate 23. The movement of sewag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or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is suppressed. Contamina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and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can be suppressed. Therefore, contamina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C and the front circumferential wall 26B of the container 20 due to discharge of filthy water can be suppressed.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그 밖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said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Next, examples of other embodiments are briefly describ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스토퍼 (56) 를 축공 (30) 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도 23 참조),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50) 를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스토퍼 (56) 를 축공 (30) 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스토퍼 (56) 는, 손잡이 (50) 를 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에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 (56B) 가 종공 (32) 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손잡이 (50) 를 전방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손잡이 (50) 를 용기 (20) 에 장착할 수 있다. 용기 (20) 를 토일렛 본체 (2) 에 장착한 때 또는 플로어면 등에 두었을 때,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스토퍼 (56) 의 돌출부 (56B) 는 원공 (31) 의 하방에 위치하여, 돌출부 (56B) 는 원공 (31) 의 하측 부분과 걸어맞춤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손잡이 (50) 를 들어올렸을 때 뿐만 아니라, 손잡이 (50) 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도, 손잡이 (50) 가 용기 (20)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opper 56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0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50 is tilted backward (see FIG. 23), but as shown in FIG. 30, the handle 50 is moved forward.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stopper 56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0 in the state which fell down. That is, the stopper 56 may be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56B may be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32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handle 50 is knocked forward. In this case, the handle 50 can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by knocking the handle 50 forward. When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toilet body 2 or placed on a floor surface or the like, when the handle 50 is tilted backward, the protrusion 56B of the stopper 56 is located below the round hole 31 Thus, the protruding portion 56B can be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hole 3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le 5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20 not only when the handle 50 is lifted but also when the handle 50 is knocked down backward.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20) 의 상측 가장자리부 (22) 에 주입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0) 의 상측 가장자리부 (22) 의 전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주입구 (29)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용기 (20) 를 전방으로 기울였을 때, 오수는 주입구 (29) 로부터 집중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수가 좌우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어, 오수를 변기에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let is not formed in the upper edge 22 of the container 20, but as shown in Fig. 31, the front end of the upper edge 22 of the container 20 An inlet 29 concave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20 is tilted forward, dirty water is intensively discharged from the inlet 29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hy water from scattering left and right, so that the filthy water can be satisfactorily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wl.

전술한 용기 (20) 의 바닥벽 (24) 및 둘레벽 (26) 의 형상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s of the bottom wall 24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26 of the container 20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at all.

축 (54) 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 (54) 의 횡단면 형상으로서, 직선상의 제 1 축 가장자리 (54a) 및 제 2 축 가장자리 (54b) 를 갖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54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54, any shape having linear first shaft edges 54a and second shaft edges 54b can be adopted.

종공 (32) 의 후측 가장자리 (32b) 의 상하 길이 (H32b) 는,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와 동일해도 되고, 제 1 축 가장자리 (54a) 의 길이 (H54a) 보다 길어도 된다.The vertical length H32b of the rear edge 32b of the vertical hole 32 may be equal to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or longer than the length H54a of the first shaft edge 54a. .

종공 (32) 의 전측 가장자리 (32f) 의 상하 길이 (H32f) 는, 종공 (32) 의 구멍폭 (W32) 이하여도 된다.The vertical length H32f of the front edge 32f of the vertical hole 32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ole width W32 of the vertical hole 32 .

축 (54) 의 제 1 축 가장자리 (54a) 및 제 2 축 가장자리 (54b) 의 길이는, 제 3 축 가장자리 (54c) 및 제 4 축 가장자리 (54d) 의 길이 이하여도 된다.The lengths of the first shaft edge 54a and the second shaft edge 54b of the shaft 54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s of the third shaft edge 54c and the fourth shaft edge 54d.

보강 리브 (34) 는 없어도 된다. 횡리브 (36A 또는 36B) 는 없어도 된다.The reinforcing rib 34 may not be present. The transverse ribs 36A or 36B may be omitted.

용기 (20) 의 전단 (20f)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 (L20f) 는, 용기 (20) 의 후단 (20b) 과 축공 (30)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 (L20b) 와 동일해도 되고, 길이 (L20b) 보다 짧아도 된다.The length L20f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nd 20f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s the same as the length L20b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rear end 20b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haft hole 30. It may be used, or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20b).

용기 (20) 의 액절판 (23) 은 없어도 된다.The liquid-removing plate 23 of the container 20 may not be present.

1 : 포터블 토일렛
2 : 토일렛 본체
10 :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20 : 용기
22 : 상측 가장자리부
22C : 외주벽
23 : 액절판
24 : 바닥벽
29 : 주입구
30 : 축공
31 : 원공
32 : 종공
32f : 전측 가장자리
32b : 후측 가장자리
34 : 보강 리브
36A : 횡리브
36B : 횡리브
50 : 손잡이
54 : 축
54a : 제 1 축 가장자리
54b : 제 2 축 가장자리
54c : 제 3 축 가장자리
54d : 제 4 축 가장자리
58 : 보강부
1 : Portable toilet
2: Toilet body
10: bucket for portable toilet
20: Courage
22: upper edge
22C: outer wall
23: cleavage plate
24: bottom wall
29: inlet
30: axis
31: round hole
32: Jonggong
32f: anterior edge
32b: rear edge
34: reinforcement rib
36A: transverse rib
36B: transverse rib
50: handle
54: axis
54a: first axis edge
54b: second axis edge
54c: third axis edge
54d: 4th axis edge
58: reinforcement part

Claims (16)

상방으로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부와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에서 우측 부분에 걸쳐 놓여지고, 상기 용기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는, 원공과, 상기 원공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종공을 포함한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축공에 삽입된 축을 갖고,
상기 축은, 상기 원공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리면 상기 원공으로부터 상기 종공으로 이동하여 상기 종공에 끼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종공은, 상기 원공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후측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축은, 상기 축이 상기 종공에 끼였을 때, 상기 전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직선상의 제 1 축 가장자리와 상기 후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직선상의 제 2 축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긴,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 container having an upper edge opening upward and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It is placed from the left part to the right part of the container and has a handle rotatably engaged with the container,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shaft hole including a round hole and a longitudinal hole exten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round hole,
The handle has a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The shaft is rotatable within the circular hole, and is configured to move from the circular hole to the vertical hole when the handle is raised and lifted to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The vertical hole has a front edge exten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front end of the round hole, and a rear edge formed behind the front edge and extend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The shaft has a first shaft edge on a straight line opposite to the front edge and a second shaft edge on a straight line opposite to the rear edge when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A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짧은,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1,
A vertical length of the rear edge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first shaft ed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공의 상기 전측 가장자리의 상하 길이는, 상기 종공의 상기 전측 가장자리와 상기 후측 가장자리 사이의 구멍폭보다 긴,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1 or 2,
A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edge of the vertical hole is longer than a hole width between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of the vertical ho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일단과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의 타단과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4 축 가장자리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 3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4 축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긴,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is the first shaft edge, the second shaft edge, a third shaft edg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haft edge and one end of the second shaft ed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edge It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having a fourth axis edge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xis edge,
wherein lengths of the first shaft edge and the second shaft edge are longer than lengths of the third shaft edge and the fourth shaft edg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축의 선단측에 형성된 스토퍼를 갖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손잡이를 쓰러뜨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공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본체부와, 상기 스토퍼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를 쓰러뜨렸을 때에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용기의 상기 종공의 주위부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andle has a stopper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shaft,
The stopper has a stopper main body portion at least part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ircular hole when view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knocked down, and a protruding portion projecting upward from the stopper main body por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overlap the periphery of the vertical hole of the container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knocked down and located inside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The bucket for the portable toilet which becomes 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본체부는,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구멍폭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5,
The stopper body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e width of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은, 상기 용기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축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haft hole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ontainer,
The shaft and the stoppe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를 후방으로 쓰러뜨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상기 축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공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rusion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hole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lowered backward, and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handle is raised and lifted, it is form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hole , bucket for portable toilet.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종공의 주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축의 축선 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는 역 U 자상의 보강 리브를 갖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축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축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축의 축선 방향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세워서 들어올렸을 때에 상기 보강 리브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부를 가지고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container has an inverted U-shaped reinforcing rib protruding from a peripheral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in one direction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handle is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the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edge and the second shaft edge, and has a reinforc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reinforcing rib when the handle is lifted upright. bucke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보강 리브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횡리브를 가지고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claim 9,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the container has transverse ribs extending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reinforcing ribs.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전후 길이는, 상기 용기의 좌우 길이보다 긴,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container ar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전단과 상기 축공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용기의 후단과 상기 축공 사이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ontainer and the shaft hole is longer than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and the shaft hole.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벽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액절판을 가지고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sliding plate protruding forward from an entir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부의 전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bucket for a portable toilet, wherein an inlet concave downward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터블 토일렛용 버킷을 구비한 포터블 토일렛.
A portable toilet comprising the portable toilet bu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KR1020237018951A 2020-12-24 2021-11-08 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KR2023009718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5667 2020-12-24
JPJP-P-2020-215667 2020-12-24
PCT/JP2021/040962 WO2022137842A1 (en) 2020-12-24 2021-11-08 Bucket for portable toilet and portable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181A true KR20230097181A (en) 2023-06-30

Family

ID=8215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951A KR20230097181A (en) 2020-12-24 2021-11-08 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37842A1 (en)
KR (1) KR20230097181A (en)
CN (1) CN116528736A (en)
WO (1) WO202213784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540A (en) 1978-05-15 1979-11-20 Meiji Gomu Kasei Kk Paper feeding belt for copying machin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9656Y1 (en) * 1968-05-02 1972-07-04
JPS57175674U (en) * 1981-04-30 1982-11-06
JP2593817Y2 (en) * 1993-12-27 1999-04-19 株式会社吉川国工業所 Organized basket
JP2855083B2 (en) * 1994-11-29 1999-02-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Stool container
JP6279847B2 (en) * 2013-07-03 2018-02-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Portable toilet
JP6502711B2 (en) * 2015-03-20 2019-04-17 株式会社リード Storage case handle mounting structure
JP6956374B2 (en) * 2017-05-30 2021-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ucket
CN207107291U (en) * 2017-07-15 2018-03-16 台州市黄岩泽骏塑业有限公司 Multifunctional storage basket
CN111156621A (en) * 2020-02-27 2020-05-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Dehumid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540A (en) 1978-05-15 1979-11-20 Meiji Gomu Kasei Kk Paper feeding belt for copying machin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7842A1 (en) 2022-06-30
CN116528736A (en) 2023-08-01
JPWO2022137842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447A (en) Portable cleaning container having foot activated drain
US20140068851A1 (en) Toilet equipment
JP7441410B2 (en) flush toilet
RU2011129072A (en) CHILDREN&#39;S POTTY
JP6279847B2 (en) Portable toilet
KR20230097181A (en) Buckets for portable toilets and portable toilets
JP2007198019A (en) Bowl structure
JP2017141578A (en) Flush toilet bowl
JP7474693B2 (en) Portable toilet buckets and portable toilets
JP7474692B2 (en) Portable toilet buckets and portable toilets
JP2022101214A (en) Bucket for portable toilet and portable toilet
JP2022101217A (en) Bucket for portable toilet and portable toilet
JP2747284B1 (en) Cleaning air freshener container for flush toilet
JP6198489B2 (en) Portable toilet
JP2009011498A (en) Dustpan
JP2855083B2 (en) Stool container
JP2018201586A (en) bucket
JP2022081669A (en) Flush toilet bowl
JP2004230052A (en) Bucket for washing mop
JP2007308911A (en) Flush toilet bowl
JP3859060B2 (en) Western style flush toilet
JP7062487B2 (en) Bath lid
WO1994016644A1 (en) Cuspidor
JP7062486B2 (en) Bath lid
JP2024007406A (en) Hip bath device for seat type toilet bow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