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551A -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551A
KR20230096551A KR1020210186135A KR20210186135A KR20230096551A KR 20230096551 A KR20230096551 A KR 20230096551A KR 1020210186135 A KR1020210186135 A KR 1020210186135A KR 20210186135 A KR20210186135 A KR 20210186135A KR 20230096551 A KR20230096551 A KR 20230096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vertisement
input
target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삼쩜일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쩜일사 filed Critical (주)삼쩜일사
Priority to KR102021018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55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는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 추출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편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TRIBUTION SERVICE OF 360 DEGREE VIDEO}
본 발명은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본 발명은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합 이미지를 생성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사실감 높은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가로(좌우)로 결합하여 가로의 시야각이 180도 내지 360도를 커버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60도 이미지는 사용자 혹은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모두가 커버될 수 있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풍경이나 실내를 회전하며 촬영한 여러 이미지를 가공 과정을 거쳐 연결하여 붙이고, 구형이나 원통형 모양 또는 메카토르(mercator)에 배치하는 과정을 거쳐 획득될 수 있다.
한편, 360도 영상은 촬영자가 선택한 시점에 고정되었던 기존의 동영상과는 달리 사용자 혹은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모두가 커버될 수 있으며, 재생 도중에 사용자가 보고 싶은 방향이나 지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된 동영상이다.
통상적으로 360도 영상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들 간의 타임 라인이 동기화되고 인접한 동영상들을 스티칭(stitching)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거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360도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동영상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360도 형태로 영상을 촬영하고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동영상과 달리 이와 같은 360도 형태의 영상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광고를 삽입하여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817호에서는 지능형 객체 인식 기반 360도 영상저작물 내 광고 삽입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60도 영상저작물에 용이하게 광고를 삽입하여 이를 유통할 수 있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는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 추출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편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에 따르면, 360도 영상저작물에 용이하게 광고를 삽입하여 이를 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가 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입력 영상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광고 영상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하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는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 추출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편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율을 만족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하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은 입력 영상 추출부가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 광고 영상 추출부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 및 편집부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광고 객체 입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가 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입력 영상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의 광고 영상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하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 순서도.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 및 방법(S10)을 설명하겠다.
일례로, 360도 영상저작물은 360도 방향으로 프레임을 가지는 영상으로서,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는 360도 영상저작물 제공 서버(A)로부터 360도 영상저작물(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광고 영상 제공 서버(B)로부터 360도 영상저작물에 입력할 광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광고가 입력된 360도 영상저작물을 유통, 스트리밍하는 플랫폼 서버(C)에 360도 영상저작물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자신의 전자장치(D)를 통해 상기 플랫폼 서버(C)에 접속하여 광고가 입력된 360도 영상저작물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아래에서 설명될 360도 영상저작물에 광고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200), 아래에서 설명될 360도 영상저작물에 광고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0), 아래에서 설명될 360도 영상저작물에 광고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연산식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300), 아래에서 설명될 360도 영상저작물에 광고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0), 아래에서 설명될 360도 영상저작물에 광고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프로세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입력 영상 추출부(110), 광고 영상 추출부(120), 편집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통신부(200)는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 제공 서버(A)로부터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360도 영상저작물인 입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은 상기 입력 영상의 예시로서, 도 3(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영상의 소정의 시점에는 360도 방향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Y1, Y2, Y3, 이미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수많은 프레임에 포함된 수 많은 객체를 식별하여, 각각의 객체에 객체ID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도 3(a)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제1 방향의 제1 프레임(Y1)에 포함된 객체에서,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을 식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O1)에 고유의 ID를 부여하고, 식탁(O2)에 고유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제2 방향의 제2 프레임(Y2)에 포함된 객체에서,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을 식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O1)에 도 3(a)의 스마트폰(O1)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고, 식탁(O2)에 도 3(a)의 식탁(O2)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c)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의 제3 방향의 제3 프레임(Y3)에 포함된 객체에서, 스마트폰(O1), 식탁(O2) 및 냉장고(O3)를 식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O1)에 도 3(a)의 스마트폰(O1)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고, 식탁(O2)에 도 3(a)의 식탁(O2)에 부여한 ID와 동일한 ID를 부여하며, 냉장고(O3)에 고유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에 포함된 모든 프레임에 대해 각각의 프레임이 포함하는 객체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수많은 프레임에 대해,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프레임이 포함하는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도 3(a)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제1 프레임(Y1)에 포함된 객체인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이 상기 제1 프레임(Y1)의 가상의 중심점(X)을 기준으로 하는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레임(Y1)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이 프레임 내의 영역을 차지하는 크기를 산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제2 프레임(Y2)에 포함된 객체인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이 상기 제2 프레임(Y2)의 가상의 중심점(X)을 기준으로 하는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Y2)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마트폰(O1) 및 식탁(O2)이 프레임 내의 영역을 차지하는 크기를 산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c)를 예로 들자면,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제3 프레임(Y3)에 포함된 객체인 스마트폰(O1), 식탁(O2) 및 냉장고(O3)가 상기 제3 프레임(Y3)의 가상의 중심점(X)을 기준으로 하는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3 프레임(Y3)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마트폰(O1), 식탁(O2), 냉장고(O3)가 프레임 내의 영역을 차지하는 크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수많은 프레임 각각에 대해, 각각의 프레임이 포함하는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통신부(200)는 상기 광고 영상 제공 서버(B)로부터 상기 광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영상은 2D 영상, 360도 영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광고 영상 추출부(120)는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은 상기 광고 영상의 예시로서, 도 4(a)는 상기 광고 영상을 구성하는 수 많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이며, 도 4(b)는 상기 광고 영상을 구성하는 수 많은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인 제2 광고 영상 프레임(Z2)이다.
또한, 상기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는 스마트폰(OA)임으로 가정하겠다.
여기서, 도 4(a)를 예로 들자면, 상기 광고 영상 추출부(120)는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에 포함된 객체에서, 스마트폰(OA) 및 사람(O4)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마트폰(OA)이 프레임 내의 영역을 차지하는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예로 들자면, 상기 광고 영상 추출부(120)는 상기 제2 광고 영상 프레임(Z2)에 포함된 객체에서, 스마트폰(OA)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광고 영상 프레임(Z2)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마트폰(OA)이 프레임 내의 영역을 차지하는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가 추출한 상기 입력 영상에 포함된 수 많은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와 대응되는 객체 ID(스마트폰)를 가지는 상기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수 많은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상기 대상 프레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선택 조건하에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입력 영상의 스마트폰(O1))을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광고 영상의 스마트폰(OA))을 입력할 상기 대상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 대신 상기 광고 객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편집부(130)는 도 4(a)의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 상의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의 크기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크기를 가지는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의 유사도는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 -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의 절대값을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로 나눈 값의 백분율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는 0 내지 10%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 상의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의 크기와 도 3(a) 및 도 3(c)의 상기 제1 프레임(Y1) 및 상기 제3 프레임(Y3)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 크기 간의 유사도가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며, 도 3(b)의 상기 제2 프레임(Y2)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 크기 간의 유사도가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제1 프레임(Y1) 및 상기 제3 프레임(Y3)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프레임(Y1) 및 상기 제3 프레임(Y3)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삭제하고, 그 자리에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 상의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을 상기 제1 프레임(Y1) 및 상기 제3 프레임(Y3) 상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동시에, 나아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상기 제1 프레임(Y1)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되고, 도 3(c)의 상기 제3 프레임(Y3)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도면에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나,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함)하는 경우,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제1 프레임(Y1)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프레임(Y1)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삭제하고, 그 자리에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 상의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을 상기 제1 프레임(Y1) 상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율을 만족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 동시에, 나아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E) 내에 위치되는 것을 만족하고, 나아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율을 만족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율은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를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로 나눈 값의 백분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차이율는 500% 이하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상기 제1 프레임(Y1)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 크기와 다른 객체인 식탁(O2)의 크기 간의 차이율이 400%이고, 도 3(c)의 상기 제1 프레임(Y1)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의의 크기와 다른 객체인 냉장고(O3)의 크기 간의 차이율이 800%인 경우, 상기 편집부(130)는 상기 제1 프레임(Y1)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프레임(Y1) 상의 상기 대상 객체인 스마트폰(O1)을 삭제하고, 그 자리에 상기 제1 광고 영상 프레임(Z1) 상의 상기 광고 객체인 스마트폰(OA)을 상기 제1 프레임(Y1) 상에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입력 영상에 입력되는 상기 광고 영상의 상기 광고 객체는 상기 광고 영상과 유사한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 입력되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S10)은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S10)은 상기 통신부(200)가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 제공 서버(A)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입력 영상 추출부(110)가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S10)은 상기 통신부(200)가 상기 광고 영상 제공 서버(B)로부터 상기 광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광고 영상 추출부(120)가 광고 영상 제공 서버(B)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S10)은 상기 편집부(130)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광고 객체 입력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객체 입력 단계(S500)는 상기 편집부(130)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상기 광고 객체와 대응되는 상기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S510), 상기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S520), 상기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상기 대상 프레임을 상기 선택 조건하에 추출하는 단계(S530), 선택된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단계(S540)로 구성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A: 360도 영상저작물 제공 서버
B: 광고 영상 제공 서버
C: 플랫폼 서버
10: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

Claims (8)

  1.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 추출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율을 만족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장치.
  5.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 추출부가 360도 영상 형태로 제작된 입력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 ID를 생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는 입력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
    광고 영상 추출부가 광고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포함된 광고 대상인 광고 객체를 식별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광고 영상의 객체 산출 단계; 및
    편집부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객체 중 상기 광고 객체가 입력될 대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할 대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선택 조건하에 선택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삭제하고 상기 광고 객체를 입력하는 광고 객체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광고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광고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 간에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는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의 상기 대상 객체와 다른 객체의 크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율을 만족하는 것을 추가로 만족하는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조건인,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86135A 2021-12-23 2021-12-23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96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135A KR20230096551A (ko) 2021-12-23 2021-12-23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135A KR20230096551A (ko) 2021-12-23 2021-12-23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551A true KR20230096551A (ko) 2023-06-30

Family

ID=8695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135A KR20230096551A (ko) 2021-12-23 2021-12-23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5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61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group interactive augmented-reality area monitoring, suitable for enhancing the enjoyment of entertainment events
CN107633441A (zh) 追踪识别视频图像中的商品并展示商品信息的方法和装置
US9392248B2 (en) Dynamic POV composite 3D video system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60112898A (ko) 증강현실 기반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052755B (zh) 内容发布服务器、内容发布方法以及内容发布系统
CN106530028A (zh) 使用虚拟相机的个性化购物商场系统
KR20180016424A (ko) 관람자 관계형 동영상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
CN108986117B (zh) 视频图像分割方法及装置
CN113296721A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多屏幕联动系统
JP202305303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143561B (zh) 一种超高清视频多视角漫游播放方法
JP2022507502A (ja) 拡張現実(ar)のインプリント方法とシステム
CN106997366B (zh) 数据库构建方法、增强现实融合追踪方法及终端设备
JP20190168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73891B1 (ko) 실시간 환경객체 선택을 통한 합성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구현 방법
KR2019010162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US20230353717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61437B1 (ko) 증강현실의 공간맵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CN112288877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578306A (zh) 追踪识别视频图像中的商品并展示商品信息的方法和装置
JP6609078B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230096551A (ko) 360도 영상저작물의 유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3632498A (zh) 内容发布系统、内容发布方法、以及内容发布程序
KR101843024B1 (ko) 실시간 환경객체 선택을 통한 합성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