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378A -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378A
KR20230096378A KR1020210185817A KR20210185817A KR20230096378A KR 20230096378 A KR20230096378 A KR 20230096378A KR 1020210185817 A KR1020210185817 A KR 1020210185817A KR 20210185817 A KR20210185817 A KR 20210185817A KR 20230096378 A KR20230096378 A KR 2023009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function
wave signal
eeg
signal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9193B1 (en
Inventor
오병모
이유경
윤서정
김학승
허재욱
김호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서울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서울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1018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93B1/en
Publication of KR2023009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 상기 획득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델타파 신호, 상기 추출된 세타파 신호 및 상기 추출된 알파파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 기능 평가부; 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rainwave-based cognitive function are disclosed. A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n EEG acquisition unit acquiring an EEG signal of a subject; a signal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acquired brain wave signal; and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 extracted theta wave signal, and the extracted alpha wave signal. includes

Description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단일 뇌파 신호만을 사용하여 인지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과 관련된다.It is related to a technique for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using only a single EEG signal.

외상성 뇌손상 후에 많은 후유증이 생기는데, 그 중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으로 가장 흔한 문제는 인지 장애다. 중등도 및 중증의 외상성 뇌손상에서는 인지 기능이 장기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약 6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에는 약 15% 정도의 환자들은 외상 1년 후에도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육체적 장애가 지속되며 그 중에서도 인지기능 저하가 외상성 뇌손상 후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Many sequelae occur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nd among them, the most common neuropsychiatric sequelae is cognitive impairment. In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long-term problems with cognitive function have been reported in about 65% of cases.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bout 15% of patients continue to have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disabilities one year after trauma, and among them, cognitive decline is often the main cause of disability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인지기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조기 개입이 중요하다. 그러나 인지에 대한 기존 임상적 평가 도구는 대뇌의 신경생리학적인 작용을 비교, 분석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외상성 뇌손상은 기전에 따라 병태생리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인지 장애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비슷한 임상 양상을 보이더라도 신경생리학적 기전은 다를 수 있다. 이에 단순한 임상적인 평가도구보다 인지기능에 대한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하여 적합한 중재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Accurate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early intervention are important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However, existing clinical evaluation tools for cognition have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neurophysiological actions of the brain. Because the pathophysiology of traumatic brain injury varies according to the mechanism, cognitive impairment also appears in various ways. Therefore, even though they show similar clinical features,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may be different. Therefore, a method of setting appropriate intervention goals through biomarker analysis for cognitive function rather than a simple clinical evaluation tool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089호 (2018.04.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1089 (2018.04.23.)

단일 뇌파 신호만을 사용하여 인지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using only a single EEG signal.

일 양상에 따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 상기 획득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델타파 신호, 상기 추출된 세타파 신호 및 상기 추출된 알파파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 기능 평가부; 를 포함한다.A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n EEG acquisition unit acquiring an EEG signal of a subject; a signal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acquired brain wave signal; and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 extracted theta wave signal, and the extracted alpha wave signal. includes

상기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이다.The EEG signal is a single channel EEG signal.

상기 뇌파 신호는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이다.The EEG signal is an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상기 인지 기능 평가부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한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calculate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는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Figure pat00002
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03
는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04
는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a, b, c는 계수임)(F i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Figure pat00002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Figure pat00003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igure pat00004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a, b, c are coefficients)

상기 인지 기능 평가부는, 상기 산출된 지표가 클수록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한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est subject highly as the calculated index increases.

다른 양상에 따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은,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델타파 신호, 상기 추출된 세타파 신호 및 상기 추출된 알파파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include acquiring an EEG signal of a subject; extracting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obtained brain wave signal; and evaluating a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 extracted theta wave signal, and the extracted alpha wave signal. includes

상기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이다.The EEG signal is a single channel EEG signal.

상기 뇌파 신호는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이다.The EEG signal is an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may include calculating an index representing the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includes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는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Figure pat00006
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07
는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08
는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a, b, c는 계수임)(F i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Figure pat00006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Figure pat00007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igure pat00008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a, b, c are coefficients)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지표가 클수록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한다.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est subject, the higher the calculated index is, the higher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is evaluated.

인지 검사 없이 단일 뇌파 신호만을 사용하여 인지 기능(예, 주의력)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일 뇌파 신호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Cognitive function (e.g., attention) can be mor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only a single EEG signal without a cognitive test. Since only a single EEG signal is used, cognitive function can be evaluated simply and accurately.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각 단계들에 있어,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each step, each step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intended to specify that something exis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구성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a classification for each main function in charge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are dedicated to other components. may be performed.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장치(100)는 뇌파 획득부(110), 전처리부(120), 신호 추출부(130) 및 인지 기능 평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EEG acquisition unit 110, a preprocessor 120, a signal extraction unit 130, and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can

뇌파 획득부(110)는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뇌파 신호는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EG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EEG signals of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EEG signal may be a single channel EEG signal. For example, the EEG signal may be an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뇌파 획득부(110)는 뇌파 측정 장치(예컨대,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장치)를 포함하며 이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EG acquisition unit 110 includes an EEG measuring device (eg, an electroencephalogram (EEG) device) and measures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by using the EEG measuring device, thereby obtaining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can be obtained

다른 예를 들면, 뇌파 획득부(110)는 뇌파 신호를 측정 및/또는 저장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뇌파 획득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another example, the EEG acquisition unit 110 may obtain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by receiving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measures and/or stores the EEG signal. At this time, the brain wave acquisition unit 110 may us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communication,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ommunication, and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Ant +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3G communication, 4G communication and 5G communication, etc.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처리부(120)는 획득된 뇌파 신호를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120)는 획득된 뇌파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뇌파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전처리부(120)는 공개된 다양한 잡음 제거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pre-processor 120 may pre-process the acquired EEG signal. For example, the pre-processor 120 may amplify the acquired EEG signal and remove noise from the amplified EEG signal. At this time, the pre-processing unit 120 may use various publicly available noise removal techniques.

신호 추출부(130)는 전처리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The signal extractor 130 may extract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preprocessed EEG signal.

인간의 뇌파는 그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텔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및 감마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델타파는 4Hz 미만의 뇌파로서 주로 꿈을 꾸지 않는 깊은 수면 상태에서 발생하며, 세타파는 대략 4~8Hz 범위의 뇌파로서 주로 특정 수면 상태 또는 깊은 명상 상태에서 발생하며, 알파파는 대략 8~13.5Hz 범위의 뇌파로서 주로 조용히 휴식을 취하고 있는 각성 상태에서 발생하며, 베타파는 대략 13.5~30Hz 범위의 뇌파로서 주로 대뇌피질이 각성상태에서 일반적인 인지적 사고 활동을 할 때 발생하며, 감마파는 대략 30~80 Hz 범위의 뇌파로서 주로 긴장하거나 흥분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Human brain waves may be classified into telta waves, theta waves, alpha waves, beta waves, and gamma waves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range. Delta waves are brain waves with a frequency of less than 4 Hz and occur mainly in a state of deep sleep without dreaming. As a brain wave, it is mainly generated in a quiet resting state of arousal. Beta waves are brain wave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3.5 to 30 Hz and are mainly generated when the cerebral cortex performs general cognitive thinking activities in the state of awakening, and gamma waves are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30 to 80 Hz. It is a brain wave of the brain and can occur mainly in a tense or excited state.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추출부(130)는 델타파 신호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를 추출하고, 세타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세타파 신호를 추출하고, 알파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알파파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ignal extractor 130 extracts a delta wave signal from an EEG signal through a first band pass filter passing a delta wave signal band, and passes a theta wave signal through a second band pass filter. The alpha wave signal may be extracted from the brain wave signal through a third band pass filter that extracts the theta wave signal from the brain wave signal and passes the alpha wave signal.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 각각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시간 도메인의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각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calculate power spectrum densities of each of the delta wave signal, theta wave signal, and alpha wave signal.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convert the delta wave signal, theta wave signal, and alpha wave signal of the time domain into the frequency domain, and calculate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each signal. At this tim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use a fast Fourier transform.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및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y using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예를 들어,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수학식 1을 통해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F)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표(F)를 기반으로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인지 기능 평가부(140)는 지표(F)가 높을수록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calculate an index (F) representing the cognitive function through Equation 1, and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index (F).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140 may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as the index F is higher.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여기서, F는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Figure pat00010
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11
는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12
는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a, b, c는 실험적으로 도출된 계수이다. 예를 들어, a=b=c=1 일 수도 있다.Here, F i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Figure pat00010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Figure pat00011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igure pat00012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a, b, and c are experimentally derived coefficients. For example, it may be a=b=c=1.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구성부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도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2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200)은 컴퓨팅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210)는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지 기능 평가 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부일 수 있다.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200 may include a computing device 21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210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컴퓨팅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 및 통신 버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1)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214)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214)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10)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1 ,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2 and a communication bus 213 . Processor 211 may cause computing device 21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embodiments. For example, processor 211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214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2 . One or more programs 214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processor 211 cause computing device 210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an illustrative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에 저장된 프로그램(214)은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2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212 may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or other suitable forms of information. The program 214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2 may include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211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2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ther form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computing device 210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combinations thereof.

통신 버스(213)는 프로세서(21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12)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다양한 구성부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us 213 may interconnect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210, including the processor 211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212.

컴퓨팅 장치(2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2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15)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5)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16)는 통신 버스(213)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컴퓨팅 장치(210)의 다른 구성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20)는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20)는 컴퓨팅 장치(210)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로서 컴퓨팅 장치(21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210)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210)와 연결될 수도 있다.Computing device 210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215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16 that provide interfaces for one or more input/output devices 220 . The input/output interface 215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16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213 . Input/output device 220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210 through input/output interface 215 . The input/output device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trackpad),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pad or touchscreen), a voice or sound input device,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or a photographing device. and/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or network cards. The input/output device 220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mputing device 210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2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210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210. there is.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의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은 도 1의 인지 기능 평가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of FIG. 3 may be performed by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100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310). 예를 들어,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로서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obtain an EEG signal of a subject (310). For example, the EEG signal may be a single channel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측정하거나, 뇌파 신호를 측정 및/또는 저장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measures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using an EEG measuring device, or receives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measures and/or stores the EEG signal, thereby measuring the EEG signal of the subject. can be obtained.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획득된 뇌파 신호를 전처리할 수 있다(320). 예를 들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획득된 뇌파 신호를 증폭시키고, 공개된 다양한 잡음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증폭된 뇌파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pre-process the acquired EEG signal (320).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amplify the obtained EEG signal and remove noise from the amplified EEG signal using various publicly available noise removal techniques.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전처리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330).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extract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preprocessed EEG signal (330).

예를 들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델타파 신호 대역을 통과시키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를 추출하고, 세타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세타파 신호를 추출하고, 알파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뇌파 신호로부터 알파파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extracts a delta wave signal from an EEG signal through a first band pass filter passing a delta wave signal band, and extracts a theta wave signal from an EEG signal through a second band pass filter passing the theta wave signal.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alpha wave signal from the brain wave signal through a third band pass filter that extracts and passes the alpha wave signal.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추출된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분석하여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340).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ta wave signal, and alpha wave signal (340).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및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산출하고,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 및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전술한 수학식 1을 통해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F)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표(F)를 기반으로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인지 기능 평가 장치는 지표(F)가 높을수록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calculate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and calculate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and the power of the theta wave signal.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may be evaluated using the spectral density and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calculate the index F representing the cognitive function through Equation 1 described above, and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index F.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ay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as the index F is higher.

실시예 - 뇌파 신호 측정 위치별 성능 비교Example - Comparison of performance by EEG signal measurement location

12명의 환자 각각에 대하여 4일 동안 경두개직류전류자극 시행 전과 후에 뇌파 측정 및 청각 연속 수행 검사를 진행하여 총 96개의 뇌파-청각 연속 수행 검사 데이터 쌍을 획득하였다. 이때, 뇌파는 10개의 채널(FC6, FC2, T8, C3, O2, F4, P8, CP6, Pz, FC5)에서 측정하였다.A total of 96 EEG-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data pairs were acquired by measuring EEG and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before and afte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for 4 days for each of the 12 patients. At this time, EEG was measured in 10 channels (FC6, FC2, T8, C3, O2, F4, P8, CP6, Pz, FC5).

총 96개의 뇌파-청각 연속 수행 검사 데이터 쌍을 각각 분석하여 총 96개의 인지 기능 지표(F)-정반응 시간의 평균값 쌍을 획득하고, 각 채널에 대하여 인지 기능 지표(F)와 정반응 시간의 평균값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표 1을 획득할 수 있었다.A total of 96 EEG-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data pairs were analyzed to obtain a total of 96 cognitive function index (F)-correct response time average value pairs, and for each channel, the average value of cognitive function index (F) and correct response time Table 1 was obtain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표 1을 참조하면, FC6 채널에서 측정된 뇌파가 다른 채널들에서 측정된 뇌파보다 정반응 시간의 평균값과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EEG measured in the FC6 channel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correct reaction time than the EEG measured in the other channels.

청각 연속 수행 검사는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고 정반응 시간의 평균값은 인지 기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FC6 채널에서 측정된 뇌파로부터 인지 기능 지표(F)를 산출하여 피검체의 인지 기능 평가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is a test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correct reaction time i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gnitive function index (F) can be calculated from the EEG measured in the FC6 channel and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mong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written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with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0: 인지 기능 평가 장치 110: 뇌파 획득부
120: 전처리부 130: 신호 추출부
140: 인지 기능 평가부
100: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110: EEG acquisition unit
120: pre-processing unit 130: signal extraction unit
140: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Claims (10)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
상기 획득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델타파 신호, 상기 추출된 세타파 신호 및 상기 추출된 알파파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 기능 평가부; 를 포함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an EEG acquisition unit acquiring an EEG signal of the subject;
a signal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acquired brain wave signal; and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 extracted theta wave signal, and the extracted alpha wave signal; including,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EG signal is a single channel EEG signal,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신호는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EEG signal is an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 평가부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수학식]
Figure pat00014

(F는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Figure pat00015
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16
는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17
는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a, b, c는 계수임)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Calculating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14

(F i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Figure pat00015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Figure pat00016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igure pat00017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a, b, c are coefficien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 평가부는,
상기 산출된 지표가 클수록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unit,
The higher the calculated index, the higher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is evaluated.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피검체의 뇌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뇌파 신호로부터 델타파 신호, 세타파 신호 및 알파파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델타파 신호, 상기 추출된 세타파 신호 및 상기 추출된 알파파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
obtaining an EEG signal of the subject;
extracting a delta wave signal, a theta wave signal, and an alpha wave signal from the obtained brain wave signal; and
Evaluating a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extracted delta wave signal, the extracted theta wave signal, and the extracted alpha wave signal; including,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신호는 단일 채널 뇌파 신호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EEG signal is a single channel EEG signal,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신호는 FC6 영역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인,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EEG signal is an EEG signal measured in the FC6 region,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18

(F는 인지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Figure pat00019
는 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20
는 알파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Figure pat00021
는 세타파 신호의 파워스펙트럼밀도이고, a, b, c는 계수임)
According to claim 6,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Calculating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including,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mathematical expression]
Figure pat00018

(F is an index representing cognitive function,
Figure pat00019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delta wave signal,
Figure pat00020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alpha wave signal,
Figure pat00021
is the power spectrum density of the theta wave signal, and a, b, c are coefficient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지표가 클수록 상기 피검체의 인지 기능을 높게 평가하는,
뇌파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9,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The higher the calculated index, the higher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is evaluated.
EEG-bas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KR1020210185817A 2021-12-23 2021-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KR102599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817A KR102599193B1 (en) 2021-12-23 2021-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817A KR102599193B1 (en) 2021-12-23 2021-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378A true KR20230096378A (en) 2023-06-30
KR102599193B1 KR102599193B1 (en) 2023-11-07

Family

ID=8696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817A KR102599193B1 (en) 2021-12-23 2021-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19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381A (en) * 2012-01-24 2014-10-24 네우로비길, 아이엔씨 Correlating brain signal 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hanges in brain state
KR20180041089A (en) 2015-03-12 2018-04-23 아킬리 인터랙티브 랩스 인크. Processor Imple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KR20190059376A (en)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Brai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platform and method using drain wave analy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381A (en) * 2012-01-24 2014-10-24 네우로비길, 아이엔씨 Correlating brain signal 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hanges in brain state
KR20180041089A (en) 2015-03-12 2018-04-23 아킬리 인터랙티브 랩스 인크. Processor Imple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KR20190059376A (en)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Brai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platform and method using drain wave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193B1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Nuaimi et al. Complexity measures for quantifying changes in electroencephalogram in Alzheimer’s disease
Duman et al. Efficient sleep spindle detection algorithm with decision tree
KR101371299B1 (en) Analyz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pth of anesthesia using cepstrum method
KR101535352B1 (en) Measurement of depression depth with frontal lobe brain waves
US20160078771A1 (en) Multi-view learning in detection of psychological states
CN111839506A (en) Mental load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29969A (en) Sensibility classification method using brain wave
CA3014574C (en) Estimation method, estimation program, estimation device, and estimation system
Liparas et al. Incorporating resting state dynamics in the analysis of encephalographic responses by means of the Mahalanobis–Taguchi strategy
Karthikeyan et al. A study on mental arithmetic task based human stress level classification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KR102526181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lassification of sleep stages based on image including multi-channel bio-signals, and sleep stage classification method thereof
KR20210134274A (en) Method and program for calculating brain injury index of status epilepticus
KR1025991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brain wave
Chaibi et al. A robustness comparison of two algorithms used for EEG spike detection
KR102655670B1 (en) Bio signal assessment apparatus and method, Measurement parameter optimization apparatus and method
Al-Nafjan et al. Recognition of affective states via electroencephalogram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udakov et al. Distributed system for sampling and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Moca et al. Superlets: time-frequency super-resolution using wavelet sets
Dilber et al. EEG based detection of epilepsy by a mixed design approach
KR10214127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agnosing and predicting a mental illness using a heart rate variability and a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CN112842358A (en) Brain physiological data processing system,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immatkar et al. Initial analysis of brain EEG signal for mental state detection of human being
Karagiannis et al. Biomedical time series processing and analysis methods: the case of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WO2021132289A1 (en)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system,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device,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method, and pathological condition analysis program
Jacob et al. Automated diagnosis of encephalopathy using fractal dimensions of EEG sub-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