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899A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5899A KR20230095899A KR1020230078487A KR20230078487A KR20230095899A KR 20230095899 A KR20230095899 A KR 20230095899A KR 1020230078487 A KR1020230078487 A KR 1020230078487A KR 20230078487 A KR20230078487 A KR 20230078487A KR 20230095899 A KR20230095899 A KR 202300958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sound generating
- display device
- display panel
- cover botto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667 anti-refl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Inorganic materials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DLPOXTZKUMGOV-UHFFFAOYSA-N oxo(oxoferriooxy)iron hydrate Chemical compound O.O=[Fe]O[Fe]=O NDLPOXTZKUMG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YJRCSIUFZENHW-UHFFFAOYSA-L bar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Ba+2].[O-]C([O-])=O AYJRCSIUFZENH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70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JCDFVKYMIUXCR-UHFFFAOYSA-N oxobarium;oxo(oxoferriooxy)iron Chemical compound [Ba]=O.O=[Fe]O[Fe]=O.O=[Fe]O[Fe]=O.O=[Fe]O[Fe]=O.O=[Fe]O[Fe]=O.O=[Fe]O[Fe]=O.O=[Fe]O[Fe]=O AJCDFVKYMIUX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IOAGBVUUVVLOB-UHFFFAOYSA-N strontium atom Chemical compound [Sr] CIOAGBVUUVVL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04R9/027—Air gaps using a magnetic flu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부와 표시장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와 그를 위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표시영역(A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active area, NA)으로 정의되며, 표시 패널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어레이기판 또는 제1기판은 다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포함하며, 각각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하나의 화소영역(Pixel; P)이 정의된다. 하나의 화소영역(P) 내에는 1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또는 소스 전극은 각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배면에 LED와 같은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어 액정 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화상이 구현된다.
한편,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서브픽셀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서브픽셀들의 밝기를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제어한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 소자로서, 소비전력이 낮고, 고속의 응답 속도, 높은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광시야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완제품 개념의 세트 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세트장치의 예로는 TV, 컴퓨터 모니터, 광고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에는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발생시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생산업체는 표시패널 또는 표시장치만을 생산하였고, 스피커를 생산하는 별도의 업체에서 완성된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영상 및 소리가 출력되는 세트장치를 구현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1) 또는 세트장치에서 스피커(2)는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하단부에 구비되고 있다.
이 경우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발생된 음향의 진행방향이 표시장치 관찰자 방향이 아닌 쪽으로 향하게 되어 음향의 회절 현상 등에 의하여 소리의 정위감(定位感)이 떨어질 뿐 아니라,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 상에 일정한 제약이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고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최근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에서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 등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커버 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하여 발생된 음향이 누설됨으로써 음향 발생 특성이 나빠지고, 누설된 음향이 후면 벽에서 반사되어 반사음이 시청자가 있는 전방으로 출력됨으로써 음향 간섭에 의한 음질 약화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우수한 음향 발생 성능을 가지면서도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의 후면(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지지홀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술한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버텀과,상기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및 일측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되는 환상형상의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높이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제1 밀봉부에서 연장되고 제2 높이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는 배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마그네트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및 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 일부를 둘러싸는 몰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몰드 커버의 내면 일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장되는 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확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안착하는 프레임 형상의 미들캐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우수한 음향 발생 성능을 가지면서도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
도 6a은 커버버텀에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I-I' 절단선 및 II-II' 절단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 및 그를 통한 음향 누설 현상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누설 음향이 후면벽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반사음향 및 그에 의한 음향 특성 저하 현상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b는 몰드 커버를 이용하여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b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확장한 확경부로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진동판으로서의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사이에 음향 전달용 에어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지지구조 중 하나인 미들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플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
도 6a은 커버버텀에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I-I' 절단선 및 II-II' 절단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 및 그를 통한 음향 누설 현상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누설 음향이 후면벽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반사음향 및 그에 의한 음향 특성 저하 현상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b는 몰드 커버를 이용하여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b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확장한 확경부로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진동판으로서의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사이에 음향 전달용 에어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지지구조 중 하나인 미들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플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그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되어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등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센터폴과,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선단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측면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 등은 그 지지구조에 고정된다.
지지구조는 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버텀(300)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미들 캐비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커버버텀(Cover Bottom)은 표시장치의 후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 부재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커버버텀(300)은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방 기저부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라는 용어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는 물론, 그러한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 또는 세트 장치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그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그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그러한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 표시패널과 그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은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이 액정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엔캡슐레이션(Encap.)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그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의 경우 적층되는 레이어가 많고, 별도의 광원이 배치된 간접 광원 방식의 백라이트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는 경우 액정재료의 방향성이 흔들리고 그에 따라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유기 발광(OLED) 표시 패널의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소자에 해당하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편광 레이어(POL), 글래스 레이어, 인캡슐레이션 레이어(Encap.)등의 여러 레이어가 하나의 패널로 합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더라도 유기발광층의 발광특성에 영향이 거의 없어서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표시패널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지지구조인 커버버텀(300) 또는 미들캐비닛(500)과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된 음파를 전달시키는 공간인 에어갭 공간(A/G)을 형성하기 위한 배플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갭 공간(A/G)의 가장자리에서 표시패널을 커버버텀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에어갭 공간이 사방 밀봉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밀봉된 에어갭 공간을 배플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배플부(400)는 커버버텀 또는 미들캐비닛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되 표시패널의 저면과 접착되는 접착부(412)와 상기 접착부 외곽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A/G)의 밀봉성을 더 제공하는 실링부(4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착부(41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며, 도 12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접착부(412)의 높이보다 실링부(414)의 높이를 더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와, 그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10, 210')와,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되는 센터폴(230)과, 상기 센터폴(230) 주위에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250)과, 보빈 외곽에 권취되어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다이나믹 타입 또는 외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에 환상 형태의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20)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10')가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의 외곽에는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외부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돌출되어 배치되며,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위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에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된다.
한편, 보빈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을 지지하면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30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부 플레이트(2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상에 링 형상으로 구비된 마그네트(220)가 구비되고, 마그네트 상에 상부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결합됨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센터폴(230)과 하부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로서, 보빈의 하측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된다. 이러한 보빈과 코일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로 표현할 수 있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기 때문에,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 전체가 센터폴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빈(250)의 선단부는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을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된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산화 제2철 (Fe2O3), 탄산바륨 (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며, 댐퍼(220)는 주름진 구조로 구비되어 보빈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수축 및 이완하면서 상기 보빈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외부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되고, 구체적으로 보빈(27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마이크로 타입 또는 내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 상부에 센터폴이 연장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 주변에 돌출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 외측에는 외부 프레임(240)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2방식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방식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나, 큰 전류 입력에 의한 자속 감소 현상이 생길 수 있고 제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식 또는 제2방식에 의한 액츄에이터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편의상 아래에서는 제1방식에 의한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도 3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인가에 따라 표시패널을 상하로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한 다른 종류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로서, 마그네트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의 상면과 연결된 상부 플레이트가 S극이 되어, 코일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보빈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보빈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표시패널이 상측으로 진동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와 같이,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따라서 표시패널이 하측으로 진동한다.
이와 같이, 코일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가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키고 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따라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보빈 또는 보이스 코일을 이동에 의하여 그에 접착된 표시패널을 진동시켜야 하므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본체는 표시장치의 후방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에 고정하는 여러가지 방식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5a는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 내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고, 도 5b는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그 지지홀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5a에서는 커버버텀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의 후면을 접착부재(290)로 커버버텀(300)의 내면에 접착 고정하는 방식이다.
한편, 도 5b는 커버버텀(300)에 지지홀(310)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측면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물론, 위의 2가지 경우 모두에서 표시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미들캐비닛(500) 또는 커버버텀의 상면과 표시패널(100) 사이에 배플부(400)가 구비되어 밀봉영역인 에어갭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도 5a 방식에서는 표시장치와 커버버텀 사이의 공간인 에어갭 공간의 거리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높이 이상인 G1으로 비교적 크게 되는 반면, 도 5b 방식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일부가 커버버텀의 지지홀에 삽입되기 때문에 표시장치와 커버버텀 사이의 에어갭 공간의 거리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높이보다 작은 G2가 된다.
따라서, 도 5b의 방식이 표시장치의 두께를 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최근 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하는 박형화 트랜드에 더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도 5b와 같이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한편, 위와 같이 표시장치의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하는 방식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직경보다 지지홀의 직경이 커짐으로 인하여, 그 사이 간극을 통한 음향 누설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은 커버버텀에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I-I' 절단선 및 II-II' 절단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 및 그를 통한 음향 누설 현상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300)에는 지지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200)의 하부플레이트(210)와 마그네트(220) 및 상부 플레이트(210') 중 하나 이상이 그 지지홀 내부에 수용되도록 삽입된다.
이 때,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2)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212)가 커버버텀(310)의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6a와 같이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에 고정함에 있어서, 커버버텀의 후면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고정볼트(320) 또는 나사를 커버버텀의 나사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커버버텀의 지지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액츄에이터의 직경 D1보다 지지홀(310)의 직경 D2가 더 커야 한다.
한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수십 KHz 이상으로 강하게 진동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지홀의 내측과 부딪힐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보빈 주위에 권취되는 코일(260)을 외부의 음향발생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배선(도 7의 262)이 외부에서 진입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
따라서, 커버버텀의 지지홀의 직경 D2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직경 D1보다 일정크기 이상으로 커야 하며, 따라서 도 6b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이 존재하게 된다.
즉, 도 7a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0)는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만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는 모든 방향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의 진동에 의한 음향 발생 및 전달 특성이 우수하기 위해서는 에어갭 공간(A/G)의 밀폐성이 좋아야 하는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에 의하여 에어갭 공간(A/G)의 밀봉성이 약화된다.
즉, 도 7b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에어겝 공간에서 발생된 음향 중 일부가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음향 누설에 따라서 에어갭 공간 내부의 음압이 감소하여 음향 출력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설된 음향에 의한 반사음향에 따른 간섭 등에 의하여 음질역시 저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누설 음향이 후면벽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반사음향 및 그에 의한 음향 특성 저하 현상을 도시한다.
도 8과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누설된 음향은 표시장치(TV 등)가 설치되는 후면 벽(Wall)에서 반사되어 전방 시청자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이러한 음향을 반사음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음향은 원래 발생된 정상음향의 위상과 달라지거나 정상음향과 간섭을 일으켜서, 전체적인 음향 출력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시키는 방식이 유리하지만, 이 경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에 의하여 음향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9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후방부분에 직경이 확장된 외곽부를 형성하고, 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과 커버 버텀 외면(후면) 사이에 반사음 누설 방지를 위한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b는 몰드 커버를 이용하여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의 커버버텀(300)과,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의 표시패널(100)과, 커버버텀(300) 및 그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은 앞선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는 지지홀에 삽입되는 하부 플레이트(610)와, 하부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620)와, 하부 플레이트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폴(630)과,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선단부는 표시패널(100)에 접촉되는 보빈(650)과, 보빈의 외곽에 권취된 코일(6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보빈(650)과 코일(660)을 보이스 코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도 9와 같은 외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가 액츄에이터의 가운데 배치되는 내자형 또는 마이크로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 세부적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보빈(650)의 선단부에는 보빈을 표시패널(100)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6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 side Tap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 이외에 보빈의 선단에 1 이상의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는 접착부재(6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 플레이트는 보빈의 이동에 따른 진동력을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진동전달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빈 및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후방부에 하부 플레이트(610)의 직경보다 더 확장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외곽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한 확경부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부 플레이트 측면을 둘러싸도록 인서트 몰딩 등에 의하여 사출성형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로서 하부 플레이트 등의 액츄에이터 측면 구조를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가 사용된 예를 도시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몰드 커버(69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최후방 구조물인 하부 플레이트(610) 또는 요크의 적어도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요크를 일정 금형에 삽입한 후 플라스틱 또는 레진을 투입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몰드 커버(690)는 하부 플레이트와 마그네트 등의 측면을 덮도록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플레이트의 후면까지 커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몰드 커버(69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물인 한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몰드 플레이트, 몰드구조물 등 액츄에이터 지지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몰드 커버(69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 측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경부(692)와, 확경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692)를 포함하며, 연장부(892)에는 고정볼트(320)가 관통되는 관통홀(696)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 커버(690)가 사용되며, 더 구체적으로 몰드커버(690)의 확경부(694)의 내면과 커버버텀(300)의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700)가 배치되고, 몰드커버의 연장부(612)에 형성된 관통홀(69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320)에 의하여 커버버텀과 결합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의한 몰드 커버(690)를 포함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펨너트(330)가 커버버텀에 형성되는 펨너트 고정홀에 일측이 압입된 후 선단부가 코팅됨으로써 커버버텀에 고정된다.
한편, 액츄에이터의 몰드 커버(690)의 연장부(692)에도 관통홀(69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홀을 펨너트(330)의 나사홀에 정렬한 후 고정볼트(320)를 조임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가 커버버텀과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펨너트(Pem Nut; 330)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 clinching nut)로 표현되기도 하며, 이를 사용하게 되면, 고정볼트(32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커버버텀이 얇아서 고정볼트를 커버버텀에 직접 나사결합하는 경우 고정력이 충분치 않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펨너트(330)가 없는 경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외곽부인 몰드 커버(690)의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볼트를 커버버텀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직접 나사결합시켜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커버버텀의 두께가 크면 결합에 문제가 없지만, 커버버텀의 두께가 얇은 경우 결합력이 충분치 않은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위와 같이 펨너트(330)를 미리 커버버텀에 압입/코킹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그 펨너트에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커버버텀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하는 몰드커버(690)의 내면, 더 구체적으로는 몰드커버의 확경부(694)와 커버버텀 표면 사이에 밀봉부재(7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밀봉부재(700)는 일종의 환상 오링(O-ring) 형태의 실링부재일 수 있으며, 밀봉부재(700)의 일측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몰드 커버의 확경부(694) 내면에 접촉 또는 부착되고, 타측은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밀봉부재 내측의 액츄에이터 공간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의 지지홀(310)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 및 그로 인한 반사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밀봉부재(700)의 재료 선택이 중요해지는데. 밀봉부재(700)의 재료로서 탄성계수가 낮은 무른 재질로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누설된 음향의 음압에 의하여 밀봉부재(700)가 변형됨으로써 음향이 일부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즉, 밀봉부재(700)를 무른 단일 재료로만 형성하는 경우, 발생된 음향의 음압이 크게 되면 밀봉부재가 변형됨으로써, 밀봉부재와 커버버텀 표면 사이를 통하여 음향이 새어나와, 결과적으로 휘바람 소리, 떨리는 소리 등과 같은 이상음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밀봉부재(700)의 재료로서 탄성계수가 높은 단단한 재료를 이용하게 되면, 전술한 음압에 의한 변형과 그에 따른 음향 누설은 방지될 수 있으나, 음향발생을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진동하는 경우 밀봉부재(700)의 선단과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의 단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양 부재 모두 단단한 재질이므로 그러한 접촉에 의한 소음(노이즈)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700)는 2가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1밀봉부(710) 및 제2밀봉부(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10과 같이, 밀봉부재(700)는 일정한 높이 L를 가지는 환상부재로서 밀봉부재의 전체 높이 L는 도 9a에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외곽부, 즉 몰드 커버(690)의 확경부(694)와 커버버텀(300)의 후면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70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에 접촉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710)와, 제1밀봉부와 연장 형성되되 제1탄성계수보다 낮은 제2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밀봉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밀봉부(71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에 접촉 또는 접착되고, 제2밀봉부(720)는 커버버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밀봉부(710)의 제1탄성계수는 약2Mpa 이상으로서, 제1밀봉부(710)는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형성된다.
반면, 제2밀봉부(720)의 제2탄성계수는 약0.5Mpa 이하로서, 제2밀봉부(720)는 실리콘, 고무, 부직포 등의 무른 재료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2가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밀봉부재가 단일 재료인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술한 문제, 즉 단단한 재질인 경우의 소음발생과, 무른 재질인 경우의 변형에 따른 음향 누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2중 구조의 밀봉부재를 이용하면, 기본적으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착되는 제1밀봉부(710)가 단단한 재료이므로 음압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면서도, 커버버텀 후면과의 접촉부분에 배치되는 무른 재질의 제2밀봉부(720)가 진동시 발생되는 커버버텀 후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 동작함으로써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1밀봉부(710) 및 제2밀봉부(720)의 높이를 각각 최적화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른 재질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는 제2밀봉부의 재료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약3mm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커버버텀과의 접촉에 따른 소음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한 재료에 따라서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는 일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단한 재질의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밀봉부재 전체의 높이 L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바, 전체 밀봉부재의 높이 L에서 일정한 값으로 정해지는 제2밀봉부재(720)의 높이 L2를 뺀 값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부의 내면과 커버버텀 후면 사이의 거리가 10mm인 경우, 밀봉부재(700)의 전체 높이 L은 약10mm가 되고, 부직포 형태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가 1mm이면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9mm가 되며, 실리콘 형태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가 2mm이면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약8mm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와 커버버텀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그러한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밀봉부재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에 추가로 형성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를 이용하게 되면,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포함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기본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 장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b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확장한 확경부로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700)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는 커버버텀의 지지홀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외곽부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형성을 위한 방안으로 2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1은 그 중 하나로서, 도 9와 같은 별도의 몰드 커버(690)를 사용하지 않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부품 중에서 하부 플레이트(610) 또는 요크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확경부(614)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즉,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610)을 제작할 때, 일반적인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일측에는 직경이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직경이 커진 환상의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확경부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하며, 그 확경부(614)와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700)를 배치하는 것이다.
도 11b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기본 직경을 D1이라 할 때, 확경부(614)의 직경은 D1보다 큰 D3로 형성되며, 이러한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액츄에이터 나사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연장 형성된다.
도 11a는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커버버텀에 고정된 경우의 단면도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커버버텀에 고정된 펨너트(1330)를 이용하여, 도 11b와 같은 구조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가 고정볼트(1320)에 의하여 커버버텀에 장착된다.
한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형성하는 확경부(614)의 내면과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는 환상형태를 가지는 밀봉부재(70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밀봉부재(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밀봉부재(700)의 세부 구성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밀봉부재(700)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1과 같이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직접 확장시켜 확경부를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몰드 커버 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진동판으로서의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사이에 음향 전달용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지지구조 중 하나인 미들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플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진동형 음향발생장치에서는 표시패널(100)과 지지구조(커버버텀; 300 등) 사이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패널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인 에어갭 공간(A/G)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표시패널이 진동할 때 음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표시패널 일측이 표시패널의 지지구조에 접합되어야 하며, 특히 발생된 음향이 표시장치의 측면 등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지지구조 사이에 일정한 배플부(400)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주위의 일정한 구획(즉, 에어갭 공간)이 정의되고, 그 구획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미들캐비닛 또는 커버버텀의 상면 사이에서 배플부가 배치되며, 배플부(400)는 표시패널 저면과 표시장치의 지지구조 상면 사이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12))와 접착부재 외곽에 더 배치되는 실링부(4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배플부가 형성되는 구획은 표시패널의 외곽 4개 변으로 정의되는 전체 표시패널 영역일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 PCB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입체 음향 등의 구현을 위하여 2 이상의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배플부가 형성되는 구획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와 같이, 표시장치의 지지구조는 표시패널의 후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버텀(300) 이외에, 커버버텀에 결합되고 표시패널의 일부를 안착하기 위한 미들캐비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500)은 표시패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의 부재로서, 표시패널의 일부가 안착되는 수평지지부(502)와, 상기 수평지지부로부터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커버버텀의 측면 및 표시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지지부(50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미들 캐비닛(500)은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의 측면 외관부를 구성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거나 커버버텀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a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플부(400)를 구성하는 접착부재(412)는 미들캐비닛(500)의 수평지지부 상면과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 테이프로서, 표시패널의 하면을 미들캐비닛에 접착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배플부를 구성하는 실링부(414)는 접착부재의 외곽에 더 배치되고 접착부재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더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414)는 탄성이 큰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412)의 두께(t1)보다 더 큰 두께 t2를 가진다.
즉, 도 12a와 같이 미들캐비닛(500)의 수평지지부(502) 상면의 내측 부분에 두께 t1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인 접착부재(412)의 일면을 접착 배치하고, 접착부재의 외곽에 t1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료의 실링부(414)를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표시패널(100)을 접착부재(412)의 타접착면에 부착시키면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실링부(414)가 일정 정도 압박되면서 표시패널과 미들캐비닛이 접착된다. (도 12b)
따라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주위의 에어갭 영역의 밀봉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미들캐비닛의 수평지지부(502)과 접착부재(412)의 두께만큼의 에어갭(A/G)이 형성되면서 표시패널(100)과 커버버텀(300)이 결합됨으로써, 표시패널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가 표시장치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에어갭 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배플부(400)를 접착부재(412)와 실링부(414)의 이중구조로 하되 실링부의 두께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에어갭 공간의 밀봉성을 더 향상시켜 음향의 유출을 더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미들캐비닛(500)은 가이드 패널(Guide Panel), 플라스틱 샤시, p-샤시, 서포트 메인, 메인 서포트, 몰드 프레임 등 다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절곡부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로서 커버버텀에 연결되어 표시패널 및 배플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들캐비닛(5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의 몰드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 방식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버텀과 표시패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미들캐비닛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미들캐비닛은 반드시 필요한 구조는 아닐 수 있다.
즉, 도 12c와 같이, 미들캐비닛 없이 커버버텀(300)이 표시장치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표시패널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커버버텀(300)의 일측에서 기저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단차부(360)가 형성되고, 단차부(360)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지지부(362)가 형성되는 커버버텀(300)이 제공된다.
커버버텀(300)의 단차부(360)에는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 일부가 안착되어 접합되고, 커버버텀의 측면지지부(362)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서 보호하며, 결과적으로 커버버텀이 표시장치의 측면 및 후면 전체의 외관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음향발생 등을 위한 배플부(400)를 구성하기 위하여, 양면 테이프 형태의 접착부재(412)가 커버버텀의 단차부(36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접착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실링부(414)가 접착부재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패널(100)이 커버버텀의 단차부(360)에 안착되어 접착부재(412)의 일면에 접착됨으로써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그 때 실링부(414)가 압착되면서 음향 전달을 위한 에어갭 공간의 밀봉이 확보된다.
도 12c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미들캐비닛과 같은 중간 지지구조가 없어지면서 구조가 간단해지고, 에어갭 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배플부(400)를 접착부재(412)와 실링부(414)의 이중구조로 하되 실링부의 두께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가 표시장치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갭 공간의 두께, 즉 에어갭 공간에서의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사이의 거리(G3)는 약1.0~3.0mm로 정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의 진동정도 등에 따라 다른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
다만,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한 표시패널의 진동량과 출력해야 하는 음역대 및 출력량 등을 고려하되, 에어갭 공간의 두께(G3)는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갭 공간의 두께(G3)를 약2.0mm로 하는 것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점선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주파수별 음향 출력량을 나타내며,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의 점선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의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누설 음향과 그의 반사음향에 의하여 특정한 음역대(약500~1000Hz)에서 음향 출력(음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딥(Dip.)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면, 도 13의 실선과 같이, 특정주파수에서의 음압감소(Dip 현상)가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음역대에서 균일한 음질 구현이 가능해짐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200, 600 :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210, 610 : 하부 플레이트 220, 620 : 마그네트
230, 630 : 센터폴 240, 640 : 외부 프레임
250, 650 : 보빈 260, 660 : (보이스) 코일
300 : 커버버텀 310 : 지지홀
400 : 배플부 412 : 접착부
414 : 실링부 690 : 몰드 커버
614, 694 : 확경부 612, 692 : 연장부
320 : 고정볼트 330 : 펨너트
700 : 밀봉부재 710 : 제1밀봉부
720 : 제2밀봉부
210, 610 : 하부 플레이트 220, 620 : 마그네트
230, 630 : 센터폴 240, 640 : 외부 프레임
250, 650 : 보빈 260, 660 : (보이스) 코일
300 : 커버버텀 310 : 지지홀
400 : 배플부 412 : 접착부
414 : 실링부 690 : 몰드 커버
614, 694 : 확경부 612, 692 : 연장부
320 : 고정볼트 330 : 펨너트
700 : 밀봉부재 710 : 제1밀봉부
720 : 제2밀봉부
Claims (12)
-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일측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되는 환상형상의 밀봉부재;
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높이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제1 밀봉부에서 연장되고 제2 높이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는 배플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패널인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마그네트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및 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 일부를 둘러싸는 몰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몰드 커버의 내면 일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장되는 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확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안착하는 프레임 형상의 미들캐비닛을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는 1.0~3.0mm거리의 에어갭 공간이 형성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487A KR102721481B1 (ko) | 2023-06-19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431A KR102546842B1 (ko) | 2016-05-31 | 2016-05-31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KR1020230078487A KR102721481B1 (ko) | 2023-06-19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431A Division KR102546842B1 (ko) | 2016-03-28 | 2016-05-31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899A true KR20230095899A (ko) | 2023-06-29 |
KR102721481B1 KR102721481B1 (ko) | 2024-10-24 |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465A (ko) | 2017-12-08 |
KR102546842B1 (ko) | 2023-06-23 |
CN107454512B (zh) | 2020-07-07 |
CN107454512A (zh) | 2017-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6842B1 (ko)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
JP6582019B2 (ja) | アクチュエータ固定装置及びそれを含む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 |
US10142738B2 (en) |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 |
US11736858B2 (en) |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 |
JP6961668B2 (ja) |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 |
EP3229063B1 (en) | Double faced display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 |
KR101780302B1 (ko)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
KR101746496B1 (ko)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
KR101780297B1 (ko)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
KR102721481B1 (ko)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