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734A -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 Google Patents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734A
KR20230095734A KR1020210185504A KR20210185504A KR20230095734A KR 20230095734 A KR20230095734 A KR 20230095734A KR 1020210185504 A KR1020210185504 A KR 1020210185504A KR 20210185504 A KR20210185504 A KR 20210185504A KR 20230095734 A KR20230095734 A KR 2023009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ire
emergency escape
user
portabl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9307B1 (en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21018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307B1/en
Publication of KR2023009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H02P3/12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by short-circuit or resistive br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rtable emergency escape apparatus.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a drum rotationally installed at the interior of the casing and on which a wire rope is wound; a reduction gear connected to the drum; a DC motor wherein a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and a seat belt worn by a user. A holding unit for holding the wire rope on a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wire rope. The hold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a wire with a relatively thick diameter compared to the wire rope; a wire extending from at least two strands; and a wire extended in a loop shap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apparatus with a reinforced holding structure which secures the wire rope to the support structure.

Description

와이어 로프의 걸이 구조가 보강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with reinforced hook structure of wire rope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걸이 구조가 보강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사용자가 건물의 창문 등을 통해서 와이어 로프를 이용해 하강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와이어 로프의 걸이 구조가 보강된 가진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in which a hook structure of a wire rope is reinforced,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 user safely escapes to the ground by descending using a wire rope through a window of a building or the like. It relates to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with a reinforced hook structure of a wire rope that helps to do so.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 빌딩 등과 같은 건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에는 소방용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거나 지상에 공기매트를 설치한 후 공기매트 위로 뛰어 내리게 하는 비상 탈출 작전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high-rise building, an emergency escape operation is performed to evacuate using an elevated firefighting ladder or to jump onto an air mat after installing an air mat on the ground.

그러나, 고가사다리를 이용한 탈출은 고가사다리를 설치하기 위해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장소적 제한이 있고, 고가사다리가 미치지 못하는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escape using an elevated ladder has a place limitation requiring a large space to install the elevated ladder, and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the elevated ladder does not reach, there is a disadvantage of being useless.

또한, 공기매트는 설치시 많은 인원과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제한이 따르고 고층 건물의 경우 탈출자의 불안한 심리로 인해 탈출시간이 지연되고 바람 등에 의해 공기매트 위로 정확히 뛰어내리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ir mats are subject to restrictions requiring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a large space during installation, and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escape time is delayed due to the uneasy psychology of escapees,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jump off the air mat due to wind.

이에 따라,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결된 상태에서 비상 탈출시 드럼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단에 연결되고 고층 건물의 기둥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와, 상기 케이싱 하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결속하는 안전벨트로 이루어진 비상탈출장치가 제안되었다.Accordingly,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around which a wire rope is wound, a reduction gear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n case of an emergency escape while connected to the drum, and a pol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and a pillar of a high-rise building An emergency escape device composed of a hook fixed to the hook and a safety bel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ing to bind the user's body has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는 비상탈출장치는 화재 발생 시 신속히 창문을 통하여 하강하여 비상 탈출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감속기어만을 이용하여 낙하되는 속도를 감속하기 때문에 낙하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불안한 느낌을 받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비상탈출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using a wire rop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ke an emergency escape by quickly descending through a window in the event of a fire. However, since the falling speed is reduced using only a reduction gear, the falling speed is not constant, causing problems such as not only the user feeling unstable, but also not being able to stably us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대안으로, 특허문헌 1은 속도 조절부의 유량제어밸브를 이용해 탈출자의 체중에 맞게 항속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강속도를 가감하여 이동할 수 있는 초고층 건물 비상 탈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As an alternative, Patent Document 1 proposes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that can descend at a constant spe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escapee using the flow control valve of the speed controller, and can mov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descending speed if necessary.

특허문헌 1의 초고층 건물 비상 탈출장치는 와이어 로프 드럼부가 회전하는 속도를 유량조절을 통해 조절하고, 이를 위해 제1, 2 피스톤 실린더 사이에 유량조절을 위한 유량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2 피스톤 실린더 내의 유체가 이동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면 제1, 2 피스톤 실린더의 체적변화가 크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 드럼부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탈출자가 하강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The high-rise building emergency escape device of Patent Document 1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wire rope drum part through flow control, and for this purpose, a flow control valve for flow control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ston cylinders. When the amount of fluid moving in the first and second piston cylinders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re rope drum part increases because the volume change of the first and second piston cylinders increases, so that the escapee descends faster.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체를 이용하여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장치의 부피와 중량이 크고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유체 이송라인이나 피스톤 실린더가 고온에 노출되어 유체가 누설될 경우에는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작동불능 상태가 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escending speed using fluid as described above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device are large and complicated,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may occur or become inoperable.

한편, 종래의 비상 탈출장치는 와이어 로프를 건물의 기둥이나 베란다 가로봉 등에 걸어서 하강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가 건물의 기둥이나 베란다 가로봉과 반복적으로 마찰되어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손상이 심할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가 끊어질 위험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mergency escape device,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by hanging a wire rope on a pillar of a building or a veranda crossbar, the wire rope repeatedly rubs against a pillar of a building or a veranda crossbar, reducing tensile strength, and when the damage is severe, the wire rope There is a risk of breaking, so safety measures are required for this.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9180호(2018.11.02.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9180 (published on November 2, 2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와이어 로프를 지지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걸이 구조가 보강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having a reinforced hook structure for fixing a wire rope to a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강 시 DC모터의 제동저항을 이용하여 제동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하강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체중과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apable of safely descending at a constant spe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scending speed in response to the weight of the user and performing braking using the braking resistance of the DC motor when descend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하강 도중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하강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descent speed as needed during desc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결된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에 회전축이 연결된 DC모터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구비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부분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구조물에 걸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및 루프 형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ing,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around which a wire rope is wound, a reduction gear connected to the drum, and a DC motor having a rotational shaft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And, in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equipped with a seat belt worn by a user, a hook portion for hanging the wire rope to a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rope, and the hook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re rope Provided is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ire having a thick diameter, a wire extending in at least two strands, and a wire extending in a loop shape.

상기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는, 록 가공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latively thick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by lock processing.

상기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부가 정해진 길이만큼 폴딩된 상태에서 록 가공 또는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extending in at least two or more strands may be formed by lock processing or ice splice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e rope is fol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걸이부의 끝부분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구조물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걸 수 있는 후크가 연결될 수 있다.A hook capable of hanging on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hooking part.

상기 루프 형상으로 연장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부가 루프 형상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록 가공 또는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extending in the loop shape may be formed by lock processing or ice splice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e rope is folded into a loop shape.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는 하강 속도를 결정하는 제동저항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동저항부는 저항값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동저항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A braking resistance unit for determining a descending speed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and a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can be adjusted. A constant speed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keep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상기 등속 제어부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 부품이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may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by physically moving or transforming at least some part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대안으로, 상기 등속 제어부는, 하강 시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by checking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current generated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s of the DC motor differently for each weight of the user when descending. there is.

다른 대안으로, 상기 등속 제어부는, 하강 시 상기 DC모터, 상기 드럼, 상기 감속기어 및 안내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회전량을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by checking the rotation amount of one selected from among the DC motor, the drum, the reduction gear, and the guide roll for each weight of the user during descent. there is.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을 쇼트시키면 브레이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A brake function may be provided by shorting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걸이 구조가 보강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in which the hanger structure of the wire rope is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지지구조물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걸이부가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나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와이어, 루프 형상의 와이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인장강도가 개선되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hook portion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latively thick wire, at least two or more wires, a loop-shaped wire, etc., so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rope is improved and safety can be improved.

둘째, 하강 시 DC모터의 제동저항을 이용하여 제동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하강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체중과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다.Second, when descending, braking is performed using the braking resistance of the DC motor, and the descending speed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user's weight, so that the descending speed can be safely descended at a constant spe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셋째, 하강 직전에 건물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가 팽팽해지도록 체중이 실리게 함과 아울러 발을 건물 난간 등에 디뎌서 안정적으로 자세를 잡은 후 간편한 버튼 조작 등으로 부드럽게 줄이 풀려나가면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에 충격하중을 가하지 않으므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ird, just before descending, the weight is placed on the wire rope fixed to the building so that it is taut, and the foot is placed on the railing of the building to establish a stable posture. . Therefore, since an impact load is not applied to the wire rope, damage to the wire rope can be prevent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넷째, 하강 직전에는 와이어 로프를 팽팽하게 당겨도 풀리지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하강을 위한 자세나 마음의 준비를 충분히 한 후에 하강을 시작할 수 있다.Fourth, right before the descent, the wire rope is not loosened even if it is pulled tight, so the user can start the descent after fully preparing the attitude or mind for the descent.

다섯째, 고층에서 화재 발생 시 몇 초를 다투는 다급한 상황인데도 한 명씩 대기하면서 차례대로 탈출해야 하는 기존의 완강기와는 달리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신속히 탈출할 수 있다.Fifth, in the case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unlike the existing descending machines where one person has to wait and escape one by one even in an urgent situation in which a few seconds are contested, multiple users can quickly escape individually using their own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하강 스타트 스위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전 손잡이가 달린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 로프에 안전 벨트가 연결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DC모터의 제동 및 정지를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선도이다.
도 13은 등속 제어부가 PWM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을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걸이 구조가 보강된 가진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tail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by separating the cover from FIG. 1 .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own start switch in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with a safety han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afety belt connected to a wire ro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wiring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braking and stopping a DC motor.
1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stant speed controller performs PWM control.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having a wire rope hanging structure reinfor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by removing the cover from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탈출장치는 소정 형상의 케이싱(100)과, 케이싱(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103)가 권취되는 드럼(101)과, 드럼(101)과 연결되어 비상 탈출시 드럼(101)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109)와, 감속기어(109)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는 DC모터(102)와, DC모터(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동저항부(106)와,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 제어부(도 12의 115 참조)와, 케이싱(100) 하단에 연결되고 탈출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안전벨트(104)와,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고층 건물에 고정된 소정의 지지 구조물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105)를 포함한다.1 to 3,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ing 100 of a predetermined shap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100, and a wire rope 103 is wound. A drum 101, a reduction gear 109 connected to the drum 101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101 in case of emergency escape, and a DC motor 102 having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109 ,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connected to the DC motor 102,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see 115 in FIG. 12) that keeps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100, It includes a safety belt 104 for fixing the upper body and a hook 105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and hook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fixed to a high-rise building.

드럼(101)은 케이싱(100) 내에 배치되고 탈출자의 하강에 의해 와이어 로프(103)가 잡아 당겨지는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한다. 드럼(101)의 회전축 양단은 케이싱(100) 내에서 지지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감속기어(109)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um 101 is disposed in the casing 100 and rotates passively by the force of pulling the wire rope 103 by the descent of the escapee.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drum 101 are preferably supported within the casing 100 to prevent the user's load from leaning to one side of the reduction gear 109.

와이어 로프(103)로는 통상의 로프형 와이어 로프를 비롯하여 다양한 소재의 줄이 채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와이어 로프(103)는 일부 길이구간 또는 길이전체가 불연소 코팅 또는 보호튜브로 피복되어 화재 시 내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103)는 적어도 일부에 LED, EL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발광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화재 시 또는 흐린날, 야간 등에 하강 모습을 식별하기 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the wire rope 103, lines of various materials may be employed, including a conventional rope-type wire rope.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wire rope 103 or the entire length may be covered with a non-combustible coating or a protective tube to ensure flame resistance in case of fire.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n LED or an EL wire rope is install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rope 103 to secure visibility for identifying the descending state in case of fire, on a cloudy day, or at night.

감속기어(109)는 탈출자의 하강 속도를 정해진 기어비로 감소시켜서 회전축에 전달한다. 감속기어(109)는 공지의 다양한 기어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reduction gear 109 reduces the descending speed of the escapee at a predetermined gear ratio and transmits it to the rotating shaft. The reduction gear 109 may be composed of various known gear assemblies.

DC모터(102)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DC모터(102)는 외부 전원에 의해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탈출자의 하강(자유낙하운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103)가 잡아 당겨지는 힘에 의해 드럼(101)과 함께 회전축이 수동적으로 회전한다.The DC motor 102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rotating a rotating shaft by an external force. The DC motor 102 is not actively rot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but the rotating shaft together with the drum 101 is passively rotated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rope 103 caused by the descent (free fall movement) of the escapee. rotate to

제동저항부(106)는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 연결되어 하강 속도를 결정한다. 비상 탈출시 탈출자의 체중에 부합하는 저항값을 갖도록 제동저항부(106)를 제어하면 체중에 상관없이 하강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을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쇼트(short)시키면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워 입력단자 양단에는 별도의 스타트 스위치(112,113)가 연결될 수 있다. 스타트 스위치(112,113)의 조작에 의해 DC모터(102)는 쇼트되면서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스타트 스위치(112,113)는 케이싱(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다.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to determine the descending speed. In case of emergency escape, if the braking resistor 106 is controlled to have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escapee's weight, the descending speed can be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escapee. In addition, a brake function can be provided by shorting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to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eparate start switches 112 and 113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By operating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the DC motor 102 is shorted and brakes.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ar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

DC모터(102)의 발전에 의해 생성되는 제동력은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에 따라서 변화된다. 즉, DC모터(102)에 연결되는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크면 제동저항부(106)에서 주울열로 소모되는 에너지가 커서 DC모터(102)의 제동력이 약하므로 하강속도는 빨라지고,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주울열로 소모되는 에너지가 작아 DC모터(102)의 제동력이 크므로 하강속도가 느려진다. 저항값이 0인 경우는 쇼트 상태이므로 제동력이 커서 하강은 실질적으로 정지된다.The brak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of the DC motor 10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 That is,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connected to the DC motor 102 is relatively large, the energy consumed as Joule heat in the braking resistor 106 is large, so the braking force of the DC motor 102 is weak, so the descending speed is faster, and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relatively small, the energy consumed as Joule heat is small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DC motor 102 is large, so the descending speed is slow.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0, the descent is substantially stopped because the braking force is large because it is in a short circuit state.

예를 들어,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이 100옴(Ω) 정도로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DC모터(102)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이 커서 DC모터(102)의 회전축에 연결된 드럼(101)이 천천히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103)가 풀려나가는 속도가 느리게 되므로 하강이 천천히 이루어진다. 반대로,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이 200Ω, 300Ω, 400Ω 등과 같이 점차 커지게 조절할 경우에는 DC모터(102)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이 점차 약해져서 하강은 점차 빨라진다. 상기와 같이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은 하강속도를 결정하므로 사용자(탈출자)가 안전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되는 저항값으로 제어된다.Fo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relatively small, such as 100 ohms (Ω), the braking force generated by the DC motor 102 is large, so that the drum 101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C motor 102 slowly moves. Since the speed at which the wire rope 103 is released by rotation is slow, the descent is made slowly. Conversely,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adjusted to gradually increase, such as 200Ω, 300Ω, or 400Ω, the braking force generated by the DC motor 102 gradually weakens and the descending speed gradually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determines the descending speed, so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is controlled so that the user (escaper) can feel safe.

스타트 스위치(112,113)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서로 쇼트된 제1 상태로부터,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제동저항부(106)와 연결되는 제2 상태로 전환하여 하강 운동을 스타트한다. 사용자는 하강 도중에 필요할 경우 스타트 스위치(112,113)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점에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are connected to the braking resistor 106 from the first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are shorted to each other by a switching operation. Switch to state 2 and start the downward movement. The user can also stop at a desired point by operating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if necessary during descent.

스타트 스위치(112,113)는 케이싱(100) 내부까지 소정 길이의 케이블이 연장된 버튼 형태로 구성된다. 대안으로, 스타트 스위치(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싱(100)에 삽입된 소정의 안전핀(미도시)이 끝부분에 연결된 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스타트 스위치(112,113)는 레버 형태나 다이얼 형태, 또는 연장 케이블 없이 케이싱(100)의 외부면에 설치된 온/오프 버튼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in which a cabl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 Alternatively, the start switch 11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ine connected to an end of a predetermined safety pi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casing 100 as shown in FIG. 4 . Alternatively,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ever, a dial, or an on/off butto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00 without an extension cable.

안전벨트(104)는 사용자의 팔 부위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안전벨트(104)는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 부분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 belt 104 has a ring shape into which the user's arm can be inserted. The seat belt 104 is preferably worn on both armpits of the user.

안전벨트(104)는 사용자의 양팔을 상기 안전벨트(104)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가슴 앞부분에서 양쪽 안전벨트(104)를 소정의 패스너를 통해 서로 연결하거나 탈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at belt 104 can be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front of the chest through a predetermined fastener in a state where both arms of the user are inserted into the seat belt 104 .

사용 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매달릴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104)의 일측에는 고리형의 안전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 케이싱(100)이 건물의 일측에 고정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1)에서 풀리는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에 안전벨트(104)가 연결될 수 있다.A ring-shaped safety handle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at belt 104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hang it by hand during use. In addition, when the casing 100 is fixed to one side of a building during use, the safety belt 104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released from the drum 101 as shown in FIG. 6 .

비상 탈출시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에 연결된 비너 형태의 후크(105)는 기둥측에 걸어 고정하고 안전벨트(104)는 사용자의 상체 즉, 겨드랑이에 걸어 결속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너 형태의 후크(10)를 건물의 베란다나 테라스 등에 설치된 봉형 지지물(1)에 걸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3)가 건물 기둥 또는 상기 봉형 지지물(1)을 감은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103)에 후크(10)를 걸어서 결속하면 된다.In case of emergency escape, the hook 105 in the form of a bin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is hooked to the pole side and fixed, and the seat belt 104 is hooked to the user's upper body, that is, the armpi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a biner-shaped hook 10 is hung on a rod-shaped support 1 installed on a veranda or terrace of a building, or as shown in FIG. The hook 10 is hooked to the wire rope 103 in a state where the rod-shaped support 1 is wound and bound.

도 9 내지 도 11에는 와이어 로프(103)를 건물 기둥이나 봉형 지지물(1)과 같은 지지구조물에 감아서 결속할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에 걸이부(125)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9 to 11 show an example in which a hook 12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so that the wire rope 103 can be wound around and bound to a support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pillar or a rod-shaped support 1. has been

구체적으로, 걸이부(12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3)에 비해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120)와 이 와이어(120)의 끝부분에 연결된 비너 형태의 후크(105)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103)는 직경 2.4mm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굵은 직경의 와이어(120)는 직경 3mm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굵은 직경의 와이어(120)의 양단은 각각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과 후크(105)에 연결되고 그 연결 부분은 슬립(121)을 끼워 넣고 압착하는 록(lock) 가공에 의해 고정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hook 125 includes a wire 120 having a relatively thick diameter compared to the wire rope 103 and a biner-shaped hook 105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120. may consist of For example, the wire rope 103 may be composed of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4 mm and the thick wire 120 may be composed of a wire having a diameter of 3 mm. Both ends of the thick diameter wire 120 a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and the hook 105,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ixed by a lock process in which the slip 121 is inserted and compressed.

대안으로, 걸이부(1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3)의 일부를 정해진 길이만큼 폴딩(folding)하여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집합부(123)와 이 와이어 집합부(123)의 끝부분에 연결된 비너 형태의 후크(105)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집합부(123)의 양단, 즉 와이어의 최종단과 폴딩 부분은 각각 슬립(121)을 끼워 넣고 압착하는 록 가공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록 가공은 와이어 로프(103)의 스트랜드(strand) 소선들을 끼워 짜는 방식으로 결속하는 아이 스플라이스(eye splice) 가공으로 대체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the hook part 125 is a wire assembly part 123 extending at least two strands by folding a part of the wire rope 103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wire assembly part It may be composed of a biner-shaped hook 105 connected to the end of 123. Both ends of the wire assembly unit 123, that is, the final end of the wire and the folding portion are fixed by a locking process in which the slip 121 is inserted and compressed. The lock processing may be replaced with an eye splice processing that binds the strands of the wire rope 103 by interweaving.

다른 대안으로, 걸이부(1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형상으로 연장된 루프 와이어(1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걸이부(125)가 지지구조물을 감은 상태에서 루프 와이어(124) 내로 본체 케이싱(100)을 통과시켜서 결속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후크는 필요치 않다. 루프 와이어(124)는 와이어 로프(103)의 일부일 수 있고, 와이어 로프(103)에 연결된 별도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루프 와이어(124)의 와이어 형상은 슬립(121)을 끼워 넣고 압착하는 록 가공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록 가공은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으로 대체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ok 125 may be composed of a loop wire 124 extending in a loop shape as shown in FIG. 11 . In this case, since the binding is possible by passing the body casing 100 through the loop wire 124 in a state where the hook part 125 is wound around the support structure, a separate hook is not required. The loop wire 124 may be part of the wire rope 103,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wire connected to the wire rope 103. The wire shape of the loop wire 124 is fixed by a locking process in which the slip 121 is inserted and crimped. Similarly, the lock machining can be replaced with an eye splice machinin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은 선택적으로 브레이크(쇼트 상태)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112,113)가 연결되고, 스타트 스위치(112,113)에 대하여 병렬 연결이 되게 상기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는 하강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복수개의 저항소자들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제동저항부(106)와,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 제어부(115)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2,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are connected to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brake (short state), and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 plurality of resistance element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r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to adjust the descending speed,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changed to A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is connected to keep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대안으로, 제동저항부(106)는 통상의 회전식 또는 슬라이드식 가변저항기(볼륨)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제동저항부(106)는 다수의 LED 또는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밖에, 제동저항부(106)는 전체 저항값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전기/전자부품(또는 기기)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braking resistor 106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rotary or sliding variable resistor (volume). Alternatively, the braking resistor 106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or motors. In addition,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may be composed of various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or devices)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resistance value.

등속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 부품이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등속 제어부(115)는 케이싱(10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된 용수철 또는 판 형태의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드럼(101)의 축 또는 와이어 로프(103)가 접촉하는 소정의 안내롤(미도시)의 기계적 변형을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감지하여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등속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체중이 예컨대, 100kg인 경우 체중에 대응하여 드럼(101)의 축이나 안내롤의 축이 제1 변위만큼 기계적으로 변형되었을 때 이에 연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제1 길이만큼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예컨대, 100Ω으로 자동 설정한다. 이에 따라, DC모터(102)에서는 비교적 큰 제동력이 발생하므로 와이어 로프(103)가 서서히 풀려나가면서 사용자가 하강하게 된다. 한편, 등속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체중이 예컨대, 50kg인 경우 체중에 대응하여 드럼(101)의 축이나 안내롤의 축이 제2 변위만큼 기계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제2 길이만큼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예컨대, 400Ω으로 자동 설정한다. 이에 따라, DC모터(102)에서는 비교적 작은 제동력이 발생하므로 와이어 로프(103)가 100kg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풀려나가면서 사용자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속 제어부(115)가 사용자의 체중별로 제동력이 다르게 발생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과 상관없이 누구나 일정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등속 제어부(115)의 속도 제어기능이 없다면, 사용자의 체중이 100kg인 경우가 50kg인 경우에 비해 현저히 큰 회전력(토오크)을 DC모터(102)의 회전축에 가하면서 현저히 빠른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The constant velocity control unit 115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by physically moving or transforming at least some parts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Preferably, the constant velocity control unit 115 is a predetermined guide roll to which the axis of the drum 101 or the wire rope 103 contacts through a spring or plate-shaped spring (not show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changed by sensing the mechanical deformation (not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Specifically, when the user's weight is, for example, 100 kg, the axis of the drum 101 or the axis of the guide roll is mechanically deformed by the first displacement in response to the user's weight. It is physically moved or deformed by 1 length to automatically se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to, for example, 100Ω. Accordingly, since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DC motor 102, the user descends while the wire rope 103 is gradually rel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weight is, for example, 50 kg,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mechanically deforms the axis of the drum 101 or the axis of the guide roll by the second displacement in response to the user's weight, and interlocks with this to move the spring to a second lengt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automatically set to, for example, 400 Ω by physically moving or deforming by the amount. Accordingly, since a relatively small brak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DC motor 102, the user descends while the wire rope 103 is released relatively quickly compared to the case of 100 kg. In this way, since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controls the braking force to be generated differently for each user's weight, anyone can descend at a constant speed regardless of the user's weight. If there is no speed control function of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the user's body weight of 100 k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50 kg, while applying a significantly larger rotational force (torque)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C motor 102. Descent at a significantly faster speed will do

대안으로, 등속 제어부(115)는, 하강 시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등속 제어부(115)는 통상의 전류감지센서나 전압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등속 제어부(115)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성인인 경우에는 어린이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가고 이에 따라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의 전기가 발생하게 되는 바, 등속 제어부(115)는 발생하는 전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체크함으로써 DC모터(102)의 발전량을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감지하여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사용자의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Alternatively,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checks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electricity gener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differently for each user's weight during descent, and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resistance value can be changed. To this end,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may include a conventional current sensor or voltage sensor.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n adult, weighs more than a child, and accordingly, electricity of relatively high power is gener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The control unit 115 checks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generated electricity, detect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DC motor 102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and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unit 106.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to keep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above.

다른 대안으로, 등속 제어부(115)는, 하강 시 DC모터, 드럼, 감속기어 및 안내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회전량을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사용자의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Alternatively,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may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by checking the rotation amount of one selected from among the DC motor, drum, reduction gear, and guide roll for each weight of the user during descent. .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to keep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above.

또 다른 대안으로, 등속 제어부(115)는, 사용자가 본인의 체중이 속하는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인지 선택용 딥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인지 선택용 딥스위치는 예컨대,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구분될 수 있고, '10~30kg', '31~60kg', '61~90kg', '91~120kg'과 같이 소정의 체중 범위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사용자의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As another alternative,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may include a dip switch for selecting a rang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 range to which the user's body weight belongs. In this case, the dip switch for selecting the range may b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adult' and 'children', and may be classified as '10 to 30 kg', '31 to 60 kg', '61 to 90 kg', and '91 to 120 kg'. I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eight rang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to keep the descending spe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above.

더욱 바람직하게, 등속 제어부(115)는, 제동저항부(106)에 연결된 소정의 스위칭소자(115d)를 이용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과 같은 펄스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PWM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별로 제동저항부(106)에 가해지는 전압에 대한 펄스폭의 듀티비(Duty Ratio)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펄스 제어는 PWM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펄스 변조방식이나 전기신호 제어방법을 채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WM 방식으로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예를 중심으로 등속 제어부(115)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constant velocity control unit 115 performs pulse control such as PWM (Pulse Width Modulation) using a predetermined switching element 115d connected to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to correlate with the user's weigh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rate of descent. When PWM control is per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by chang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width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braking resistor 106 for each weight of the user. effect can be obtained. The pulse control is not limited to the PWM method and may be performed using various known pulse modulation methods or electrical signal control method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an example of performing pulse control using a PWM metho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속 제어부(115)는 SMPS 레귤레이터(115a), 전압검출부(115b), PWM 제어 마이컴(115c), 스위칭소자(115d), 전압검출부(115b) 및 B접점 릴레이(115f)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3,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includes an SMPS regulator 115a, a voltage detector 115b, a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a switching element 115d, a voltage detector 115b and a B contact relay 115f. includes

SMPS 레귤레이터(115a)는 DC모터(102)에서 발생한 기전력을 스위칭 제어하여 PWM 제어 마이컴(115c) 및 B접점 릴레이(115f)의 구동을 위한 정전압을 출력한다.The SMPS regulator 115a outputs a constant voltage for driving 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and the B contact relay 115f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DC motor 102.

전압검출부(115b)는 DC모터(102)에서 발생한 기전력의 전압을 검출하여 PWM 제어 마이컴(115c)에 전달한다.The voltage detector 115b detects the voltage of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DC motor 102 and transmits it to 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PWM 제어 마이컴(115c)은 전압검출부(115b)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PWM 제어를 수행하여 DC모터(102)의 양단에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이때, PWM 제어 마이컴(115c)은 제동저항부(106)에 연결된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115d)를 구동하여 펄스폭의 듀티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FET는 다양한 공지의 반도체 스위칭소자로 대체 가능하다.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detects the weight of the user from the voltage valu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unit 115b and performs PWM control based on this, and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substanti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C motor 102. )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At this time, 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controls the duty ratio of the pulse width by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115d such as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connected to the braking resistor 106 . Here, the FET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known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s.

B접점 릴레이(115f)는 SMPS 레귤레이터(115a), PWM 제어 마이컴(115c) 및 스위칭소자(115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장 발생 시에도 DC모터(102)의 양단에 제동저항부(106)를 연결시켜서 제동불능에 따른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즉, B접점 릴레이(115f)는 평상 시(제어신호 입력이 없을 때) 접점이 서로 붙어 있는 온(On) 상태로 있다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접점이 서로 떨어진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 구조(Normally Closed)를 가지므로 SMPS 레귤레이터(115a), PWM 제어 마이컴(115c) 및 F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접점이 서로 붙어 있는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DC모터(102)의 양단에 제동저항부(106)를 연결시켜준다.The B contact relay 115f connects the braking resistor 106 to both ends of the DC motor 102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SMPS regulator 115a, the PWM control micom 115c, and the switching element 115d fails. It acts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a fall accident due to inability to brake. That is, the B contact relay 115f is a switch that is normally in an on state where the contacts are attached to each other (when there is no control signal input), and is switched to an off state where the contac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Since it has a structure (Normally Closed), even if at least one of the SMPS regulator 115a,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and FET fails, it is switched to an on state where the contacts are attached to each other, so both ends of the DC motor 102 Connects the braking resistor 106 to

PWM 제어 마이컴(115c)은 PWM 제어를 수행하는 정상동작 시에는 B접점 릴레이(115f)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B접점 릴레이(115f)의 접점이 서로 떨어진 오프(Off) 상태가 되게 한다. 또한, PWM 제어 마이컴(115c)은 스위칭소자(115d)인 FET의 소스단자와 션트저항(Shunt Resistor)(115e) 사이에 연결되어(도 12의 116 참조) 스위칭소자(115d)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PWM 제어 마이컴(115c)은 전류값을 측정하여 스위칭소자(115d)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쇼트(Short)된 상태인 경우 정상적인 PWM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B접점 릴레이(115f)를 접점이 서로 붙어 있는 온(On) 상태로 전환하여 DC모터(102)의 양단에 제동저항부(106)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B접점 릴레이(115f)는 스위칭소자(115d) 및 션트저항(115e)에 대해서는 병렬로 연결되고 제동저항부(106)에 대해서는 직렬로 연결된다.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PWM control, 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inputs a control signal to the B contact relay 115f so that the contacts of the B contact relay 115f are turned off. In addition, the PWM control micom 115c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FET, which is the switching element 115d, and the shunt resistor 115e (see 116 in FIG. 12) to measu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115d do. The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c detects the failure of the switching element 115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and if the current does not flow or is shorted, normal PWM control is impossible, so the B contact relay 115f is disconnected. By switching to the on state where they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e braking resistance unit 106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C motor 102. To this end, the B contact relay 115f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witching element 115d and the shunt resistor 115e and connected in series to the braking resistor 106.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걸이 구조가 보강된 가진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having a wire rope hanging structure reinfor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층 건물의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 시 사용자(탈출자)는 와이어 로프(103) 끝부분의 정해진 길이구간을 건물 기둥이나 봉형 지지물(1)과 같은 지지구조물에 감은 후 비너 형태의 후크(105)를 와이어 로프(103)에 체결하거나, 루프 와이어(124)에 본체 케이싱(100)을 통과시켜서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 신속하게 와이어 로프(103)를 지지구조물에 결속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103)의 끝부분에 있어서 지지구조물에 감겨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굵은 직경의 와이어(120)나,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집합부123), 또는 루프 형상으로 가공된 루프 와이어(124)로 구성된 걸이부(125)가 위치하므로 지지구조물과의 마찰에 따른 인장강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the user (escapee) winds the fixed length section of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around a support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column or rod-shaped support (1), and then uses a biner-shaped hook (105). ) to the wire rope 103, or by passing the body casing 100 through the loop wire 124, the wire rope 103 can be quickly bound to the support structure only by pulling. At the end of the wire rope 103, the part that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tructure is a thick diameter wire 120, a wire assembly part 123 extending at least two strands, or a loop processed into a loop shape. Since the hook portion 125 made of the wire 124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due to friction with the support structure.

와이어 로프(103)를 지지구조물에 결속한 후에는 건물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가 팽팽해지도록 체중이 실리게 함과 아울러 발을 건물 난간 등에 디뎌서 하강을 위한 자세를 잡는다.After binding the wire rope 103 to the supporting structure, weight is put on the wire rope fixed to the building so that it is taut, and the foot is placed on the building handrail to take a posture for descending.

이후, 바람직하게 스타트 스위치(112,113)를 버튼을 누르거나 줄을 잡아당기는 등의 방식으로 조작하면,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서로 쇼트된 제1 상태로부터,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제동저항부(106)와 연결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DC모터(102)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이 약해져서 부드럽게 줄이 풀려나가면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에 충격하중을 가하지 않으므로 와이어 로프가 끊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n, preferably, when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are operated by pressing a button or pulling a string, the DC motor 102 starts from the first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are short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re converted to a second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the braking resistor 106 . Accordingly, the braking force generated by the DC motor 102 is weakened, so that the line can be smoothly released while descending. Therefore, since an impact load is not applied to the wire rop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wire rope breaking.

하강 속도는 등속 제어부(115)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등속 제어부(115)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 부품이 물리적으로 이동 또는 변형되거나, 하강 시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발전량을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레인지 선택용 딥스위치의 체중 범위 셋팅치에 따르거나, PWM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체중이 무거운 성인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적정치로 낮춰서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체중이 가벼운 어린이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동저항부(106)의 저항값을 적정치로 높여서 하강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체중에 상관없이 하강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descending speed may be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user by the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 .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115 physically moves or transforms at least some parts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checks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gener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when descending differently for each weight, or sets the user'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range setting value of the dip switch for selecting one range or by performing PWM control. For example, when used by an adult with a relatively heavy weigh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106 is lowered to an appropriate value to reduce the descending speed, and when used by a child with a relatively light weight, the braking resistor 106 )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to an appropriate value to increase the descent speed, the descent speed can always be maintain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weight.

사용자가 지면에 거의 도달하여 소망하는 위치에서 멈추고자 할 경우 스타트 스위치(112,113)를 조작하여 DC모터(102)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을 쇼트시키면 DC모터(102)에서 발생하는 강한 제동력에 의해 드럼(101)의 회전이 억제되어 와이어 로프(103)가 풀려나갈 수 없으므로 하강이 정지된다.When the user almost reaches the ground and wants to stop at a desired position, by operating the start switches 112 and 113 to short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102, the drum ( Since the rotation of 101 is suppressed and the wire rope 103 cannot be unwound, descent is stopp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케이싱 101: 드럼
102: DC모터 103: 와이어 로프
104: 안전벨트 105: 후크
106: 제동저항부 109: 감속기어
112,113: 스타트 스위치 114: 안전 손잡이
115: 등속 제어부 115a: SMPS 레귤레이터
115b: 전압검출부 115c: PWM 제어 마이컴
115d: 스위칭소자 115e: 션트저항
115f: B접점 릴레이 121: 슬립
125: 걸이부
100: casing 101: drum
102: DC motor 103: wire rope
104: seat belt 105: hook
106: braking resistor 109: reduction gear
112,113: start switch 114: safety handle
115: constant speed controller 115a: SMPS regulator
115b: voltage detection unit 115c: PWM control microcomputer
115d: switching element 115e: shunt resistor
115f: B contact relay 121: sleep
125: hanging part

Claims (10)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결된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에 회전축이 연결된 DC모터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구비한 휴대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부분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구조물에 걸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및 루프 형상으로 연장된 와이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 portable device having a casing,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around which a wire rope is wound, a reduction gear connected to the drum, a DC 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and a safety belt worn by a user. I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The end of the wire rope is provided with a hook for hanging the wire rope to the support structure,
The hook part,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ire having a relatively thick diameter compared to the wire rope, a wire extending in at least two strands, and a wire extending in a loop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는, 록 가공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tively thick wire is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by lock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가닥 이상으로 연장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부가 정해진 길이만큼 폴딩된 상태에서 록 가공 또는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exte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strands is formed by lock processing or ice splice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e rope is fol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끝부분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구조물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걸 수 있는 후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2 or 3,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capable of hanging on the wire in a state where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support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ok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상으로 연장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부가 루프 형상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록 가공 또는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extending in the loop shape is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lock processing or ice splice processing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wire rope is folded into a loop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는 하강 속도를 결정하는 제동저항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동저항부는 저항값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동저항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켜서 체중과 상관없이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속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aking resistor for determining a descending speed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The braking resistance unit can adjust the resistance value,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stant speed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braking resistance unit and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to maintain a constant descent speed regardless of the user's weigh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 제어부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 부품이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parts are physically moved or deform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 제어부는,
하강 시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When descending, at least one of the voltage and current generated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s of the DC motor is checked differently for each weight of the user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 제어부는,
하강 시 상기 DC모터, 상기 드럼, 상기 감속기어 및 안내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회전량을 사용자의 체중별로 서로 다르게 체크하여 상기 제동저항부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stant speed control unit,
When descending, the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raking resistance unit is changed by checking the rotation amount of any one selected from among the DC motor, the drum, the reduction gear and the guide rol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C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을 쇼트시키면 브레이크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탈출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rake function is provided when both ends of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DC motor are shorted.
KR1020210185504A 2021-12-22 2021-12-22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KR102639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04A KR102639307B1 (en) 2021-12-22 2021-12-22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04A KR102639307B1 (en) 2021-12-22 2021-12-22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34A true KR20230095734A (en) 2023-06-29
KR102639307B1 KR102639307B1 (en) 2024-02-20

Family

ID=8694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504A KR102639307B1 (en) 2021-12-22 2021-12-22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30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908A (en) * 1994-02-10 1995-08-22 Kokoku Kousensaku Kk Wire rope terminal structure
JPH07308394A (en) * 1994-05-18 1995-11-28 Hisao Oshima Safe refuging apparatus for escaping from high position
US20100101059A1 (en) * 2007-02-20 2010-04-29 Seguin Paul Antoine Stick operable hooking device
KR20100057964A (en) * 2008-11-24 2010-06-03 신정훈 Emergency escape device
KR20180119180A (en) 2017-04-24 2018-11-02 (주)엠아이티 Emergency Escape Device for skyscrap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908A (en) * 1994-02-10 1995-08-22 Kokoku Kousensaku Kk Wire rope terminal structure
JPH07308394A (en) * 1994-05-18 1995-11-28 Hisao Oshima Safe refuging apparatus for escaping from high position
US20100101059A1 (en) * 2007-02-20 2010-04-29 Seguin Paul Antoine Stick operable hooking device
KR20100057964A (en) * 2008-11-24 2010-06-03 신정훈 Emergency escape device
KR20180119180A (en) 2017-04-24 2018-11-02 (주)엠아이티 Emergency Escape Device for skyscr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307B1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35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imbing assistance
RU2396998C2 (en) Preventer
AU2005275639B2 (en) Life saving implement
KR101025717B1 (en) Emergency escape device
JP4138660B2 (en) Variable speed lifesaving device
EP4279142A1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apparatus
JP2005511214A5 (en)
IT202000006769A1 (en) SAFETY EQUIPMENT FOR SPORTS CLIMBING.
KR20230095734A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reinforced wire reck structure of wire rope
KR102634848B1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having auto decending speed control function
US4503933A (en) Building evacuation device
EP0902937B1 (en) Sign suspension system
WO2007037563A1 (en) Descending device
CN116685377A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CA2837943C (en) Emergency descent device
KR200190542Y1 (en) Rescue equipment
KR20220103562A (en) Portable emergency escape device
KR101032238B1 (en) Emergency escape device
CN116570851B (en) Follow-up descent control device applied to high-altitude self-rescue escape
JP2006192231A (en) Evacuation device for performing safe and easy evacuation from building
CN213466547U (en) High-rise fire-fighting continuous slow-descending escape device
US20050236233A1 (en) Lifting and descent apparatus
KR20070014225A (en) Balance maintenance system of skyscraper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JP2004307205A (en) Staircase climb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