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488A - micro-needle - Google Patents

micro-nee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488A
KR20230095488A KR1020210185019A KR20210185019A KR20230095488A KR 20230095488 A KR20230095488 A KR 20230095488A KR 1020210185019 A KR1020210185019 A KR 1020210185019A KR 20210185019 A KR20210185019 A KR 20210185019A KR 20230095488 A KR20230095488 A KR 2023009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layer
glucose
concentration
bo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가영
이준희
엄성현
최인희
허윤정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488A/en
Publication of KR2023009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4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77Arrays of piercing elements for simultaneous piercing
    • A61B5/150984Microneedles or micro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층 및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도당 센서층 및 활성산소종 제거층의 이중층을 포함함으로써, 체내 포도당에 대한 안정적인 센서 감도를 나타내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needle including a first layer containing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a material that removes or inhibi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y including a double layer of a glucose sensor layer and a reactive oxygen species removal layer, stable sensor sensitivity to glucose in the body and excellent durabilit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 Micro-needle {micro-need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니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포도당 모니터링을 위한 마이크로 니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nee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needle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되어가면서 사회 구성원들의 당뇨병 부담은 커지고 있다. 당뇨는 장기간 높은 혈당수치가 지속되는 질병으로 충분한 인슐린 생산이 되지 못하거나 신체 세포가 생산된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다. 이는 합병증을 유발하여 실명, 심근경색 등의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온다. 당뇨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혈당 측정이 필요하다. As the population ages worldwide, the burden of diabetes among members of society is increasing. Diabetes mellitus is a disease in which high blood sugar levels persist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s caused by insufficient production of insulin or inability of body cell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produced insulin. This leads to complications such as blindness and myocardial infarction, which lead to a decrease in quality of life. Diabetes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and proper blood sugar measurement is necessary accordingly.

기존의 혈당 측정 방식으로는 1일 6-10회 직접 채혈을 통해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정확한 혈당 측정을 할 수 있으나, 매번 손가락에 상처를 내야 하므로 편리성이 떨어지고, 환자들에게 통증과 두려움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간헐적인 채혈은 측정 순간의 혈당만 알 수 있으므로 측정 사이의 고혈당과 저혈당을 놓칠 수 있어 정확한 혈당 변동추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집중적인 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연속적인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이하 CGMS)이 필요하다. As a conventional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there is a method of measuring blood sugar by directly drawing blood 6 to 10 times a day. This method can accurately measure blood sugar, but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less convenient and gives patients pain and fear because they have to injure their fingers every time. In addition, since intermittent blood sampling can only know blood glucose at the moment of measurement, hyperglycemia and hypoglycemia between measurements may be missed, and thus do not accurately reflect changes in blood glucose. Therefore, for intensive blood glucose management,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 is required.

예를 들어, 상업용 CGMS는 바늘형 및 완전히 이식이 가능한 포도당 센서 등이 있다. 바늘형 센서는 큰 바늘을 찔러 넣는다는 것에 대해 바늘 공포증을 앓는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완전 이식형 센서는 3개월마다 이식 및 제거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사 바늘을 이용한 직접적인 채혈이나 수술 없이 연속 포도당 측정을 통해 혈당을 정상 범위 이내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commercial CGMS include needle-type and fully implantable glucose sensors. Needle-type sensors are unreasonable for patients suffering from needle phobia to be inserted with a large needle. In addition, fully implantable sensors require implantation and removal surgery every 3 month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glucose within a normal range through continuous glucose measurement without direct blood collection using an injection needle or surgery.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4986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9864

본 발명은 체내 포도당에 대한 안정적인 센서 감도를 나타내며 내구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니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needle that exhibits stable sensor sensitivity to glucose in the body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은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층; 및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icro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yer including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a material that removes or inhibi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은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상기 보론산 유도체는 비스-페닐보로네이트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및 아크릴아마이드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ronic acid derivative includ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bis-phenylboronat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polyethylene glycol;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crylamide.

상기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은 폴리페놀(Polyphenol), Astaxanthin(아스타잔틴), 베타카로틴(β-Carote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유비뉘논(Ubiquinone, Q, CoQ), 피세틴(Fisetin), α-리포산(α-lipoic acid, ALA), 라이코펜(Lycopene), 토코페롤(Tocopherol),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ubstances that remove or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include polyphenol, astaxanthin, beta-carotene, glutathione (GSH), L-ascorbic acid (L- Ascorbic acid), Ubiquinone (Q, CoQ), Fisetin, α-lipoic acid (ALA), Lycopene, Tocopherol,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dexamethason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외면에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layer may be co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상기 제1층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may further include polyacrylamide.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및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polyacrylamide may be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sodium persulfate, and tetramethylethylenediamine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15 w/v% 내지 30 w/v%의 농도, 상기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1 w/v% 내지 10 w/v%의 농도, 및 상기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0.1 w/v% 내지 2 w/v%의 농도로 반응시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polyacrylamide is acrylamide at a concentration of 15 w / v% to 30 w / v%, the sodium persulfate at a concentration of 1 w / v% to 10 w / v%, and the tetmethylethylene It may be formed by reacting diamine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at a concentration of 0.1 w/v% to 2 w/v%.

상기 제2층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ayer may further include carboxymethyl cellulose.

상기 제2층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는 2 w/v% 내지 12 w/v%의 농도; 및 아스코르브산은 0.4 w/v% 내지 0.8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The second layer is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concentration of 2 w / v% to 12 w / v%; and ascorbic acid may be included at a concentration of 0.4 w/v% to 0.8 w/v%.

상기 제1층에 코팅된 제2층의 두께는 2 μm 내지 10 μm일 수 있다. The second layer coated on the first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2 μm to 10 μm.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은 포도당 센서층 및 활성산소종 제거층의 이중층을 포함함으로써, 체내 포도당에 대한 안정적인 센서 감도를 나타내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은 사용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포도당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할 수 있다.The micro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 layer of a glucose sensor layer and a reactive oxygen species removal layer, thereby exhibiting stable sensor sensitivity to glucose in the body and providing excellent durability. In addition, the micro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continuously monitoring glucose without causing pain to the user.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microneed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A and 2B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microneed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need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to 8 are diagrams showing evaluation results of microneedle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or region, layer, sec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directly placed/placed on the other element. It means that they can be connected/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may be placed between them.

한편,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rectly disposed" may mean that there is no layer, film, region, plate, etc. added betwe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and another part. For example, being “directly disposed” may mean disposing without using an additional member such as an adhesive member between two layers or two members.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components.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ratio,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element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하단에”, “위에”, “상측에”, “상단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below”, “lower side”, “lower side”, “above”, “upper side”, and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disposed on" may indicate a case of disposing not only on top of any one member but also on the bottom.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interpreted as too idealistic or too formal. It shouldn't b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icroneed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 는 도 1a에 도시된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에 대응하는 영역(A)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하나의 마이크로 니들에 대응하는 영역(B)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microneed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microneed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rea (A) corresponding to one microneedle shown in FIG. 1A, and 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an area (B) corresponding to one microneedle shown in FIG. 1B.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by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 II′ of FIG. 2A.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베이스층(130)에 접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and 1B ,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bonded form to the base layer 130 .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직교한다. 마이크로 니들(100)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 각각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정의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microneedle 100 is orthogonal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al axis DR1 and the second directional axis DR2 .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icroneedle 100 is indicated by the third direction axis DR3. However, the first to third directional axes DR1 , DR2 , and DR3 shown in this embodiment are merely examples. Hereinafter, first to third directions are defined as directions indicated by each of the first to third direction axes DR1 , DR2 , and DR3 , and refer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니들(100)은 베이스층(130)에 접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100)은 베이스층(130)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층(130)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100)들 각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icroneedles 100 may be provided by being bonded to the base layer 130 . The microneedles 100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base layer 130 in the third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on the base layer 130 in plurality.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needles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니들(100)의 양 말단 중, 베이스층(130)에 접합되는 부분을 하단부(111), 하단부(111)와 대향되는 타측 말단을 상단부(112)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이 하단부(111)에서 상단부(112)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부(112)는 첨단부를 포함하고, 하단부(111)는 평면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 of both ends of the microneedle 100, the lower end 111 is defined as the part bonded to the base layer 130,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lower end 111 is defined as the upper end 112. can do. In one embodiment, the area of the microneedle 100 when viewed on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may decrease from the lower end 111 to the upper end 112. For example, the upper end 112 may include a tip, and the lower end 111 may have a fla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1층(110) 및 제2층(120)을 포함한다. 제1층(110)은 포도당 센서층일 수 있다. 제1층(110)은 연속적인 포도당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층(110)은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에서, 제1층(110)에 포함되는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은 효소나 시약 없이 포도당에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은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층(110)은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로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는 다른 당과 비교해 포도당과의 반응성이 10배 이상 높은 포도당 선택성을 가지고 있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포도당 센서층인 제1층(110)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icroneedle 100 includes a first layer 110 and a second layer 120 . The first layer 110 may be a glucose sensor layer.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 sens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In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the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included in the first layer 110 may be a material that can react reversibly to glucose without an enzyme or reagent. In one embodiment, the substance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as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have a glucose selectivity that is 10 times higher in reactivity with glucose than other sugars, and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ey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first layer 110, which is a glucose sensor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보론산 유도체는 비스-페닐보로네이트(bis-phenylboronate)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및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론산 유도체는 비스-페닐보로네이트에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아크릴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화합물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ronic acid derivative includ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bis-phenylboronat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polyethylene glycol (PEG);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crylamide. For example, the boronic acid derivative may be a compound in which polyethylene glycol and acrylamide are chemically bonded to bis-phenylboron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에는 형광을 나타낼 수 있는 작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광을 나타낼 수 있는 작용기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안트라센(Anthracene)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exhibiting fluorescence may be bound to the boronic acid or boronic acid derivative. For example,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exhibiting fluorescence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thracene.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1층(110)에 형광을 나타낼 수 있는 안트라센이 결합된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를 포함하여 체내 포도당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어 체내 포도당에 대한 효율적인 검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안트라센은 형광 발생부위로 작용할 수 있고,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는 포도당 인식부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부분인 안트라센(Anthracene)이 포도당 인식부인 보론산 유도체와 결합되어 형광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체내에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이 삽입되었을 때, 체내에 포도당이 없을 때에는 안트라센의 형광이 질소원자의 공유되지 않은 전자쌍으로부터 발생하는 광 유도 전자 전달(PET)에 의해 붙잡히게 되어 형광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체내에 포도당이 존재하는 경우,포도당 분자가 보론산 유도체와 결합하면, 질소 원자와 붕소 원자 사이의 강한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광 유도 전자 전달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안트라센의 형광이 강해진다. 이러한 원리로 체내 존재하는 포도당 농도에 따라 형광의 세기(Intensity) 차이가 발생하며, 변화하는 형광의 세기를 보정 과정을 통해 혈당 수치로 표현하여 센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포도당 센서층인 제1층(110)에 안트라센이 결합된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을 포함하여 연속적인 포도당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boronic acid and/or a boronic acid derivative to which anthracene capable of exhibiting fluorescence is bound to the first layer 110, and exhibits high sensitivity to glucose in the body, thereby efficiently detecting glucose in the body. ability can be demonstrated. At this time, anthracene may act as a fluorescence generating site, and boronic acid and/or boronic acid derivatives may act as a glucose recognition site. For example, anthracene, which is a fluorescent part, may be combined with a boronic acid derivative, which is a glucose recognition part, to function as a fluorescent sensor. When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body, when there is no glucose in the body, the fluorescence of anthracene is captured by light-induced electron transfer (PET) generated from an unshared electron pair of a nitrogen atom, and the fluorescence is suppressed. It becomes. In addition, when glucose is present in the body, when glucose molecules are combined with boronic acid derivatives, light-induced electron transfer caused by strong reactions between nitrogen atoms and boron atoms is suppressed, and as a result, the fluorescence of anthracene becomes stronger. According to this principle, a difference in intensity of fluorescence occur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present in the body, and the changing intensity of fluorescence can be expressed as a blood glucose level through a calibration process and used as a sensor. Accordingly,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ncludes boronic acid and/or a boronic acid derivative to which anthracene is bound to the first layer 110, which is a glucose sensor layer, so that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s possibl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하단부(111)가 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니들(100)은 원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에서 하단부(111)는 네 변의 길이가 동일 또는 상이한 사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니들(100)은 사각뿔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것과 다르게 마이크로 니들(100)의 하단부(111)는 삼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그 전체 형상이 삼각뿔 또는 오각뿔과 같은 다각뿔,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 the lower end 111 of the microneed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microneedle 100 may have a cone sha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 in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the lower end 111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having four sides of the same length or different lengths. In this case, the microneedle 100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unlike the illustration, the lower end 111 of the microneedle 100 may be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pentag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overall shape thereof may be a triangular pyramid or a pentagonal pyramid. It may have a polygonal pyramid such as,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이크로 니들(110)은 통상적인 주사 바늘과 같이 하단부(111)에서 상단부(112)까지 직경이 일정한 기둥 형상이며 최상단의 단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상일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microneedle 110 may have a columnar shape having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lower end 111 to the upper end 112 like a conventional injection needle, and may have a cross section of the uppermost end obliquely cu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단부(112)가 끝이 뾰족한 첨단부인 경우, 패치 형태로 제공된 마이크로 니들(100)을 적용 대상 부위에 부착 시, 상기 첨단부가 표피를 관통하며 마이크로 니들(110)이 용이하게 상기 표피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end 112 has a pointed tip, when the microneedle 100 provided in the form of a patch is attached to the target area, the tip penetrates the epidermis and the microneedle 110 is easily applie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epidermis.

일 실시예에서 제1층(110)에는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 예컨대,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약 1 w/v% 내지 약 10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제1층(110)에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체내 포도당과의 반응이 원활하고, 체내에 삽입되는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이 장기간 사용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layer 110 contains a substance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for example,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 w/v% to about 10 w/v%. can When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is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in the first layer 110, the reaction with glucose in the body is smooth, and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nserted into the body is used for a long time. can do.

일 실시예에서, 제1층(110)은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과 함께 생체적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물질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biocompatible material together with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The biocompatible material may be polyacrylamid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SPS) 및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TEMED)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층(110)은 상술한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가 결합된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Polyacrylamide is a high-molecular polymer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sodium persulfate (SPS) and tetramethylethylenediamine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TEMED). can be material. As an example,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polyacrylamide to which the above-described boronic acid and/or boronic acid derivative are bonded.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제1층(110)에 포함되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아크릴아마이드 약 15 w/v% 내지 약 30w/v%의 농도, 상기 과황산나트륨(1.5M) 약 1w/v% 내지 약 10 w/v%의 농도, 및 상기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0.86 M) 약 0.1 w/v% 내지 약 2 w/v%의 농도로 반응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층(110)에 포함되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제조시, 아크릴아마이드가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니들에 체내 삽입이 가능한 수준의 경도를 부여함과 동시에 충분한 용량의 체액을 흡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과황산나트륨과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이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중합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lyacrylamid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110 is acrylamide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5 w / v% to about 30 w / v%, the sodium persulfate (1.5M) about 1 w / v% to about 10 It may be formed by reacting the concentration of w / v%, and the tetmethylethylenediamine (0.86 M) at a concentration of about 0.1 w / v% to about 2 w / v%. When polyacrylamid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110 is manufactured, when acrylamide is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microneedles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with a level of hardness and at the same time absorb a sufficient amount of body fluid. . In addition, when sodium persulfate and tetmethylethylenediamine are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polymerization of polyacrylamide can be effectively induced.

일 예로서, 제1층(110)은 20 w*?*v%의 농도를 갖는 아크릴아마이드, 0.4 w*?*v% 의 농도를 갖는 비스아크릴아마이드(Bis-acrylamide), 5 w/v%의 농도를 갖는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 6 w/v%의 농도를 갖는 1.5 M의 과황산나트륨(SPS), 및 0.6 w/v%의 농도를 갖는 0.86 M의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TEMED)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s an example, the first layer 110 includes acrylamide having a concentration of 20 w*?*v%, bis-acrylamide having a concentration of 0.4 w*?*v%, and 5 w/v%. boronic acid and/or boronic acid derivatives having a concentration of 6 w/v%, 1.5 M sodium persulfate (SPS) having a concentration of 6 w/v%, and 0.86 M tetramethylethylenediamine having a concentration of 0.6 w/v% ( TEMED) may be included.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에서 제1층(110)은 상단부(112)의 첨단부로부터 하단부(111)까지의 수직 길이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표피에 삽입되어 체내의 포도당을 원활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650 μm 내지 800 μm 일 수 있다.In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tip of the upper end 112 to the lower end 111 of the first lay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inserted into the epidermis to smoothly detect glucose in the body. To do so, it may be, for example, 650 μm to 800 μm.

한편, 상기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와 같은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은 염증 등에 의해 발생한 체내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해 포도당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1층(110)에 포함된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포도당 센서로서의 기능을 잃지 않도록 활성산소종(ROS) 제거 또는 억제하는 층인 제2층(120)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substances that selectively react with glucose in the body, such as boronic acid and/or boronic acid derivatives, may have reduced glucose sensing sensitivity due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caused by inflammation. Accordingly,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s a layer that removes or inhibi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o that the substance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contained in the first layer 110 does not lose its function as a glucose sensor. It includes the second floor (12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층(120)은 제1층(110)의 외면에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층(120)은 제1층(110)의 최상단 즉, 상단부(112)의 첨단부로부터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제1층(110)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것일 수 있다. 제2층(120)은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이 피부를 관통하였을 때 제1층(110)에 포함된 보론산이 체내 포도당과의 원활하게 반응하여 포도당 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2 μm 내지 10 μ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second layer 120 may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110 .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120 may wrap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110 along the third direction axis DR3 from the tip of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layer 110, that is, the upper end 112. can When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penetrates the skin of the second layer 120, the boronic acid contained in the first layer 110 reacts smoothly with glucose in the body to sense the glucose concentration from 2 μm to 2 μm. It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0 μm.

일 실시예에서, 제2층(120)은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마이크로 니들(100)이 안정적인 센서 감도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ayer 12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removes or suppress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so that the microneedle 100 provides stable sensor sensitivity.

예를 들면, 제2층(120)은 상기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로 폴리페놀(Polyphenol), Astaxanthin(아스타잔틴), 베타카로틴(β-Carote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유비뉘논(Ubiquinone, Q, CoQ), 피세틴(Fisetin), α-리포산(α-lipoic acid, ALA), 라이코펜(Lycopene), 토코페롤(Tocopherol),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120 is a material that removes or inhibits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and includes polyphenol, astaxanthin, beta-carotene, and glutathione. , GSH), L-Ascorbic acid, Ubiquinone (Q, CoQ), Fisetin, α-lipoic acid (ALA), Lycopene, Tocopherol ( Tocopherol), epigallo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dexamethasone.

상기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은 활성산소종을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0.4 w/v% 내지 약 0.8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내 활성산소종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써, 아스코르브산은 제2층(120)에 50mM로 포함될 수 있다. 제2층(120)에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하는 물질이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니들(100)은 안정적인 포도당 센서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substance that removes or inhibi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may be included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capable of removing or suppressing reactive oxygen species, for example, at a concentration of about 0.4 w/v% to about 0.8 w/v%. can For example, as at least one of the substances that remove or inhibit active oxygen species in the body, ascorbic acid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120 at 50 mM. When the second layer 120 contains a substance that remov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microneedle 100 may exhibit stable glucose sensor sensitivity.

예를 들면, 일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100)은 제2층(120)에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함으로써, 체내에 삽입된 마이크로 니들(100)의 제1층(110)에 포함된 보론산 및/또는 보론산 유도체가 채내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도당 센서 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croneedle 100 of one embodiment includes ascorbic acid in the second layer 120, thereby containing boronic acid and/or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sensitivity of the glucose sensor by preventing the boronic acid derivative from being oxidiz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body and losing its function.

일 실시예에서, 제2층(120)은 마이크로 니들(100)이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복시메틸셀룰로스(CMC)는 제2층(120)에 약 2 w/v% 내지 약 12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복시메틸셀룰로스(CMC)는 제2층(120)에 4 w/v% 로 포함될 수 있으나,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층(120)에 카복시메틸셀룰로스(CMC)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제1층(110)의 선단부에 제2층(120)이 얇고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니들(100)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ayer 120 may include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o that the microneedles 100 may have appropriate mechanical strength to penetrate the skin. The carboxymethylcellulose (CMC)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120 at a concentration of about 2 w/v% to about 12 w/v%. For example, carboxymethylcellulose (CMC)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120 at 4 w/v%,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carboxymethylcellulose (CMC) is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in the second layer 120, the second layer 120 may be thinly and uniformly coat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layer 110, and the microneedle 100 ) may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100)은 최상단부의 첨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수직 길이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700 μm 내지 1mm 일 수 있다.In the micronee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tip of the uppermost end to the lower e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700 μm to 1 mm.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130)은 마이크로 니들(100)을 지지한 상태로 피부에 밀착되는 일종의 패치일 수 있다. 베이스층(130)은 제1층(110)을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130)은 제1층(110)을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 및 상기 생체적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se layer 130 may be a kind of patch adhered to the skin while supporting the microneedles 100 . The base layer 13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or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aterial forming the first layer 110 . For example, when the base layer 130 includes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forming the first layer 110, it may include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and the biocompatible material.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icro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addition, the examples shown below are examples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1. Fabrication of microneedles

실시예 1Example 1

1) 60 mM NaPi, 1 mM EDTA, pH 7.4의 Phosphate buffer 준비하였다.1) Phosphate buffer of 60 mM NaPi, 1 mM EDTA, pH 7.4 was prepared.

2) 상기 1)의 용액을 DI water를 이용하여 70%로 희석한 후, 50 w*?*v% 아크릴아마이드와 1 w*?*v% 비스-아크릴아마이드를 혼합하고 이를 용해하였다.2) After diluting the solution of 1) to 70% with DI water, 50 w*?*v% acrylamide and 1 w*?*v% bis-acrylamide were mixed and dissolved.

3) 상기 2)의 용액을 DI water를 이용하여 20 w/v%으로 한번 더 희석하여, 20w/v% 농도의 아크릴아마이드와 0.4 w/v% 농도의 비스-아크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5 w/v%의 보론산 유도체(F-PEG-AAM(형광 센서 파우더)는 US 8,822,722 B2를 참고하여 제조하였다)를 용해하였다.3) Dilute the solution of 2) once again to 20 w/v% using DI water to prepare a solution containing 20 w/v% acrylamide and 0.4 w/v% bis-acrylamide After that, 5 w/v% of a boronic acid derivative (F-PEG-AAM (fluorescent sensor powder) was prepared by referring to US 8,822,722 B2) was dissolved.

4) 금형 마스터 몰드에 replica molding 기법으로 PDMS 몰드를 제작하고, O2 플라즈마를 1분간 처리하였다.4) Mold PDMS mold was fabricated on the master mold by replica molding technique, and O 2 plasma was treated for 1 minute.

5) 상기 3)의 용액에 6 w/v% 1.5 M SPS 용액을 섞은 뒤, 200 μl씩 PDMS 몰드에 로딩하였다. PDMS 몰드에 로딩하고 남은 용액은 중합되지 않도록 냉장고에 보관하였다.5) A 6 w/v% 1.5 M SPS solution was mixed with the solution of 3) above, and loaded into a PDMS mold in an amount of 200 μl. After loading the PDMS mold, the remaining solution was stored in a refrigerator to prevent polymerization.

6) 상기 5)의 용액이 로딩된 PDMS 몰드에 대하여, 잔류 기포제거를 위해 Sonicator에서 15분 간 처리하고 desiccator서 15분 동안 기포를 제거하였다.6) The PDMS mold loaded with the solution of 5) was treated in a sonicator for 15 minutes to remove residual bubbles, and then bubbles were removed in a desiccator for 15 minutes.

7) 냉장고에 보관해둔 용액을 꺼내서 0.6 w/v% 0.86 M TEMED 용액을 섞어 이를 PDMS 몰드에 부어서 끝까지 채운 뒤 cover glass를 올려서 hot plate 위에 80 ℃로 30분 중합하였다.7) Take out the solution stored in the refrigerator, mix it with 0.6 w/v% 0.86 M TEMED solution, pour it into the PDMS mold, fill it up to the end, put a cover glass on it, and polymerize it on a hot plate at 80 ℃ for 30 minutes.

8) 중합이 완료되면 PDMS 몰드에서 떼어내 Phosphate buffer로 3번 세척 후 Phosphate buffer에 넣어서 2일 간 세척하였다.8) After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it was removed from the PDMS mold, washed three times with Phosphate buffer, and washed for 2 days in Phosphate buffer.

9) 세척이 완료된 제1층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은 상온에서 하루간 건조하였다.9) The washed microneedles on which the first layer was formed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10) 카복시메틸셀룰로스(CMC)를 4 w/v% 로 Di water에 100℃로 용해하였다.10) Carboxymethylcellulose (CMC) was dissolved in Di water at 4 w/v% at 100°C.

11) 60℃ 초과의 높은 온도에서 아스코르브산(AA)이 쉽게 산화하기 때문에 상기 10)의 용액 온도를 60 ℃로 낮추고 아스코르브산(AA)를 50mM로 용해하였다.11) Since ascorbic acid (AA) is easily oxidized at a high temperature of more than 60 ° C,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of 10) was lowered to 60 ° C and ascorbic acid (AA) was dissolved at 50 mM.

12) 건조가 완료된 상기 9)의 제1층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을 준비된 상기 11)의 용액에 넣어 겉면을 코팅하고 하루 동안 건조하였다.12) The dried microneedles on which the first layer of 9) was formed were placed in the prepared solution of 11) to coat the surface and dried for one day.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측정2.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 하였고, 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서 10) 내지 12)의 단계를 생략하여 제조하였다. The microneedle of Exampl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comparative example microneedle was manufactured by omitting steps 10) to 12) in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실시예와 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각각 3회씩 제조하였고,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The microneed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anufactured three times each,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croneedles of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s are shown in Table 1.

구분division 높이(㎛)Height (μm) 너비(㎛)Width (μm)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μm) 팁 각도(˚)Tip angle (˚) 실시예Example 730±14730±14 286±19286±19 23±223±2 16±916±9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69±13669±13 327±5327±5 26±826±8 23±223±2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3. Evalua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및 결과 and result

1) 마이크로 니들 강도 테스트 및 결과1) Microneedle strength test and results

마이크로니들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장 압축기를 이용하여 니들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도 4의 (a)는 polyacrylamide로만 제작된 마이크로 니들(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 단층)과 polyacrylamide 위에 CMC를 코팅한 마이크로 니들(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 이중층)의 강도를 비교한 힘 - 변위 그래프이다. To check the strength of the microneedle, the strength of the needle was checked using a tensile compressor. Figure 4 (a) is a force-displacement graph comparing the strength of a microneedle made only of polyacrylamide (microneedle, single layer of comparative example) and a microneedle coated with CMC on polyacrylamide (microneedle, double layer of example).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니들 강도 테스트에서 사용한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서 10) 내지 12)의 단계를 생략하여 제조하였다. Specifically, the microneedles of Examples used in the microneedle strength test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The microneedle of Comparative Example was manufactured by omitting steps 10) to 12) in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도 4의 (a)를 참조하면, 힘 - 변위 곡선이 상승하다가 크게 꺾이는 부분이 파손지점인데 PAAM으로만 구성된 마이크로 니들(비교예의 마이크로 니들)이 파손 지점이 더 빨리 나타나는 것으로 CMC를 코팅한 마이크로니들(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의 강도가 더 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a) of FIG. 4, the part where the force-displacement curve rises and is greatly bent is the breakage poi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the microneedle of the example) was stronger.

2) 마이크로 니들의 관통성 테스트 및 결과2) Microneedle penetration test and results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이 피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돼지피부를 사용하여 관통성을 테스트하였다. Penetration was tested using pig ski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microneedles of the examples were stably inserted into the skin.

관통성 테스트에서 사용한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고, 추가로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의 10) 단계에서 Rhodamine B를 첨가하여 Rhodamine B와 CMC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The microneedle of the example used in the penetrability tes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and additionally Rhodamine B was added in step 10) of the above 1. Microneedle manufacturing method, and Rhodamine B and CMC were mixed. used

제조된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을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돼지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여 관통시켰다. 이 후,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을 돼지피부로부터 제거한 후 돼지피부에 tripan blue를 도포한 직 후, 이를 촬영하여 도 4의 (b)에 나타내었다. 이후, 3~5분이 경과한 다음 돼지피부를 다시 촬영하여 도 4의 (c)에 나타내었다.The microneedle of the manufactured example was penetrated by pressing the microneedle into pig skin using a thumb. Thereafter, after removing the microneedle of the example from the pig skin, immediately after applying tripan blue to the pig skin, it was photographed and shown in FIG. 4 (b). Thereafter, after 3 to 5 minutes had elapsed, the pig skin was photographed again and shown in FIG. 4 (c).

4의 (b)를 참조하면, 돼지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이 관통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이 체내 삽입이 가능한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b) of 4,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at the microneedle penetrates the pig skin, and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icroneedle of the embodiment has the str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3) 마이크로 니들의 약물전달 테스트 및 결과3) Microneedle drug delivery test and result

도 4의 (c)를 참조하면, Rhodamine B를 함유한 CMC로 코팅한 니들로 돼지피부를 관통시켰을 때, Rhodamine B가 돼지피부에 퍼진 것으로부터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면 제2층에 포함된 약물, 즉 아스코르브산이 잘 전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c) of FIG. 4, when the pig skin was pierced with a needle coated with CMC containing Rhodamine B, Rhodamine B was spread on the pig skin, and when the microneedle of the example was used, the second layer con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rug, namely ascorbic acid, could be well delivered.

4) 포도당 농도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의 형광강도 테스트 및 결과4) Microneedle fluorescence intensity test and results according to glucose concentration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 내의 형광기반의 포도당 센서가 제대로 작동함을 확인하기 위해 glucose monitoring을 진행하였다. 형광강도 테스트에서 사용한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1.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at the fluorescence-based glucose sensor in the microneedle of the example works properly, glucose monitoring was performed. The microneedles of Examples used in the fluorescence intensity test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1.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needles.

먼저 농도가 다른 포도당 용액을 준비하였다. 농도가 다른 포도당 용액은 D-(+)Glucose solution을 DI water로 희석하여 0 - 500 mg/dl로 제작하였다. 형광 현미경은 Zeiss사의 AXIO Zoom V.16을 사용하였다. 형광 필터는 49026 - ET - Tetracycline로 Excitation filter (ET405/40x), Beamsplitter (T470lpxr), Emission filter (ET550/60m)이다.First, glucose solution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prepared. Glucose solu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prepared by diluting the D-(+)Glucose solution with DI water to 0 - 500 mg/dl. As a fluorescence microscope, Zeiss' AXIO Zoom V.16 was used. The fluorescence filter is 49026 - ET - Tetracycline, which is an Excitation filter (ET405/40x), Beamsplitter (T470lpxr), and Emission filter (ET550/60m).

형광 현미경은 upright microscope로 마이크로 니들 부분을 위로하여 각 포도당 농도에서의 형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c)에서 각 포도당 농도 0, 200, 500 mg/dl의 형광세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의 (d)를 통해 다양한 포도당 농도(0-500mg/dl)에 따라 488 nm의 방출 파장에서 마이크로니들에 고정된 형광 센서의 형광 강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The fluorescence was measured at each glucose concentration with the microneedle portion upward using an upright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In (a)-(c) of FIG. 5,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ach glucose concentration of 0, 200, and 500 mg/dl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d) of Figure 5, it can be seen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fluorescence sensor immobilized on the microneedle changes at the emission wavelength of 488 nm according to various glucose concentrations (0-500 mg/dl).

5) confocal 분석 결과5) confocal assay

이중층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니들 구조물이 이중층을 제대로 구성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confocal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이크로니들의 코어 본체는 422 nm의 excitation light에서 파란색 형광을 나타내는 형광센서를 사용하였고, 바깥 부분에는 532 nm의 excitation light에서 빨간색 형광을 나타내는 congo red를 사용하여 이중층 구조를 확인하였다. 도 6에서 이중층이 정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이중층 구조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nfo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that the microneedle structure made of double layers properly constitutes the double layer. For the core body of the microneedle, a fluorescence sensor that emits blue fluorescence under 422 nm excitation light was used, and for the outer part, congo red, which emits red fluorescence under 532 nm excitation light, was used to confirm the double layer structure. In FIG. 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ouble layer structure is configured by accurately distinguishing the double layer.

6) AA를 함유한 CMC-film 관련 실시간 PRET 모니터링 결과6) Real-time PRET monitoring results related to CMC-film containing AA

AA를 함유한 CMC - film을 이용하여 ROS를 소거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PRET를 사용하여 신체의 대표적인 ROS인 과산화수소를 소거할 수 있음일 실시간으로 시연하였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cyt C가 환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A가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킬 정도의 환원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t was confirmed whether ROS could be scavenged using CMC-film containing AA. It was demonstrated in real time that PRET can be used to scavenge hydrogen peroxide, a representative ROS in the body. As can be seen in FIG. 7 , it can be confirmed that cyt C is reduced over tim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AA has a reducing power sufficient to reduce hydrogen peroxide.

7)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 결과7) Results of drug release over time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코팅층이 용해되면서 코팅층에 함유되어 있는 용액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franz cell을 이용하여 약물 방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로딩약물로는 Rhodamine B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의 a는 Rhodamine B의 농도에 따른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fitting을 진행하였고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Franz cell에서 방출된 약물의 형광강도에 따른 Rhodamine B의 약물 농도를 역계산하여 산출하였다. 도 8의 b를 통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출된 약물의 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coating layer is released as the coating layer dissolves over time, a drug releas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Franz cell. Rhodamine B was used as a loading drug so that it could be visually confirmed. In Figure 8a, the fluorescence intens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Rhodamine B was measured and fitting was performed, and based on this data, the drug concentration of Rhodamine B according to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drug released from the Franz cell was calculated by reverse calculation. It can be seen from b of FIG. 8 that the amount of released drug increased over tim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마이크로 니들
110: 제1층
111: 하단부
112: 상단부
120: 제2층
130: 베이스층
100: micro needle
110: first layer
111: lower part
112: upper part
120: second layer
130: base layer

Claims (11)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층; 및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 first layer containing a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and
A second layer comprising a material that removes or inhibi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that includes, the micro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포도당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은 보론산 및 보론산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that selectively reacts with glucose in the body includes at least one of boron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the micro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산 유도체는 비스-페닐보로네이트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 및 아크릴아마이드로부터 유래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The boronic acid derivative include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bis-phenylboronat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polyethylene glycol;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crylamide; that will include a micro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활성산소종(ROS)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물질은 폴리페놀(Polyphenol), Astaxanthin(아스타잔틴), 베타카로틴(β-Carote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유비뉘논(Ubiquinone, Q, CoQ), 피세틴(Fisetin), α-리포산(α-lipoic acid, ALA), 라이코펜(Lycopene), 토코페롤(Tocopherol),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Substances that remove or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body include polyphenol, astaxanthin, beta-carotene, glutathione (GSH), L-ascorbic acid (L- Ascorbic acid), Ubiquinone (Q, CoQ), Fisetin, α-lipoic acid (ALA), Lycopene, Tocopherol,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dexamethasone (Dexamethasone) that will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icro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외면에 코팅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ayer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micronee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ayer further comprises polyacrylamide, the microneed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및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의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6,
The polyacrylamide is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sodium persulfate and tetramethylethylenediamine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microneed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상기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15 w/v% 내지 30 w/v%의 농도;
상기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1 w/v% 내지 10 w/v%의 농도; 및
상기 테트메틸에틸렌다이아민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0.1 w/v% 내지 2 w/v%의 농도로 반응시켜 형성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7,
The polyacrylamide,
The acrylamide (acrylamide) concentration of 15 w / v% to 30 w / v%;
The sodium persulfate (sodium persulfate) concentration of 1 w / v% to 10 w / v%; and
A microneedle formed by reacting the tetramethylethylenediamine (N, N, N', N'-Tetramethylethylenediamine) at a concentration of 0.1 w/v% to 2 w/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ayer further comprises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the microneed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2 w/v% 내지 12 w/v% 농도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0.4 w/v% 내지 0.8 w/v% 농도의 폴리페놀(Polyphenol), Astaxanthin(아스타잔틴), 베타카로틴(β-Carote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유비뉘논(Ubiquinone, Q, CoQ), 피세틴(Fisetin), α-리포산(α-lipoic acid, ALA), 라이코펜(Lycopene), 토코페롤(Tocopherol)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layer is carboxymethyl cellulose at a concentration of 2 w/v% to 12 w/v%; And 0.4 w / v% to 0.8 w / v% concentration of polyphenol (Polyphenol), astaxanthin (astaxanthin), beta-carotene (β-Carotene), glutathione (Glutathione, GSH), L-ascorbic acid acid), Ubiquinone (Q, CoQ), Fisetin, α-lipoic acid (ALA), Lycopene, Tocopherol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 EGCG)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cronee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에 코팅된 제2층의 두께는 2 μm 내지 10 μm인 것인, 마이크로 니들.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coated on the first layer is 2 μm to 10 μm, the microneedle.
KR1020210185019A 2021-12-22 2021-12-22 micro-needle KR202300954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019A KR20230095488A (en) 2021-12-22 2021-12-22 micro-nee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019A KR20230095488A (en) 2021-12-22 2021-12-22 micro-nee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488A true KR20230095488A (en) 2023-06-29

Family

ID=8694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019A KR20230095488A (en) 2021-12-22 2021-12-22 micro-nee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48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864A (en) 2018-08-24 2021-05-06 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Microneedle Array Patch with Glucose Reactive Matrix for Closed Loop Insulin Deli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864A (en) 2018-08-24 2021-05-06 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Microneedle Array Patch with Glucose Reactive Matrix for Closed Loop Insulin Deliv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Plasmonic microneedle arrays for in situ sensing with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Nicholas et al. Rapid paper based colorimetric detection of glucose using a hollow microneedle device
US7964390B2 (en) Sensor system
CN109475333B (en) Wearable sensor biofouling prevention and methods of use and calibration related thereto
KR101542549B1 (en) Microneedle arrays for biosensing and drug delivery
CN100591265C (en) Dermally affixed sensor device
US20040180391A1 (en) Sliver type autonomous biosensors
US8694069B1 (en) Fiber-optic probe with embedded peripheral sensors for in-situ continuous monitoring
ES2738099T3 (en) Implantable sensor element
CN110604585A (en) Tissue-integrating sensor
EP1468281A1 (en) Diagnostic sensing apparatus
US99211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alytes
WO2005074612A2 (en) Sensor system
Balaconis et al. Glucose-sensitive nanofiber scaffolds with an improved sensing design for physiological conditions
CN102428364A (en) Membrane System With Sufficient Buffering Capacity
Zhang et al.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enabled by fluorescent nanodiamond boronic hydrogel
Müller et al. Phosphorescent microneedle array for the measurement of oxygen partial pressure in tissue
US11534503B2 (en) Oxidase-based sensors and methods of using
Babity et al. Polymer-based microneedles for decentralized diagnostics and monitoring: concepts, potentials, and challenges
KR20230095488A (en) micro-needle
Wang et al. Microneedle-based glucose monitoring: a review from sampling methods to wearable biosensors
EP2744909B1 (en) Method for preparing a barrier layer for a glucose sensor
Willander et al. Applications of zinc oxide nanowires for bio-photonics and bio-electronics
Zhermolenko et al. Photocontrolled release of nitric oxide for precise management of NO concentration in a solution
KR20210091059A (en) Microneedle patch for bio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