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346A - Trash collector for drain - Google Patents

Trash collector for d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346A
KR20230095346A KR1020210184733A KR20210184733A KR20230095346A KR 20230095346 A KR20230095346 A KR 20230095346A KR 1020210184733 A KR1020210184733 A KR 1020210184733A KR 20210184733 A KR20210184733 A KR 20210184733A KR 20230095346 A KR20230095346 A KR 2023009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inge shaft
opening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낙준
Original Assignee
이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낙준 filed Critical 이낙준
Priority to KR102021018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346A/en
Publication of KR2023009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3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10); 개폐판(20); 및 힌지축(30);을 포함하고, 상기 축받이(80)의 축착공은 상기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되며, 상기 개폐판은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감싸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100)이 마련되되, 상기 축지지판은 상기 개폐판의 폭 방향 양단 저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는 한 쌍의 상기 축지지판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의 인접부인 상기 메인프레임의 바닥판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축은 양단부가 상기 축지지판의 축위치변경홀 및 상기 축받이의 축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받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게추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은 물론 다양한 중량의 무게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개폐판의 호환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제품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comprising: a main frame (10);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nd a hinge shaft 30; including,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80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has a bottom surface on one side of the hinge A shaft support plate 100 having a plurality of shaft position changing holes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hinge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asses through and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is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t is provided, but the shaft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ai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bearing corresponds to the pair of shaft support plates and is adjacent to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A pair is provid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protrud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through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f the shaft support plate and the shaft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weights of various weights as well as cost reduction due to the deletion of the weights,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effects such as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

Description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TRASH COLLECTOR FOR DRAIN}Trash COLLECTOR FOR DRAIN}

본 발명은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로입구에 설치되어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등의 물은 하방의 배수로로 안내되도록 개방되고 그 외의 주변 도로 등에서 낙하되는 쓰레기는 하방의 배수로로 침투되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에서 쓰레기를 수집한 후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age channel,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drainage channel so that water such as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a grating is opened to be guided to a drainage channel below, and garbage falling from other surrounding roads is opened to a downward drainage channel. It relates to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age channel that allows garbage to be collected and then artificially removed in a closed state so as not to penetrate into the drainage channel.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공원, 유원지 등 다양한 장소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에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대응력을 가지면서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을 걸러줌과 동시에 빗물이나 오수 등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 시설물 중의 하나인 배수로덮개(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가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drains formed in various places such as roadsides, parks, and amusement parks have a response to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while filtering out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at the same time draining facilities so that rainwater or sewage can be smoothly drained One of them, a drainage cover (garbage collection port for drainage) is provided.

이렇게, 배수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배수로덮개는, 일례로 양측프레임 사이에 폭 방향으로 복수개의 평철이나 아이자 형태의 베어링 바가 용접되고, 그 베어링 바의 상단에 복수개의 봉이나 스크류 형태의 크로스바가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배수로의 상단부에서 비교적 큰 이물질은 걸러주면서 빗물이나 오수 등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in the conventional drainage cover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rain, for example, a plurality of flat iron or Isa-shaped bearing bars are weld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ram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rods or screw-shaped crossbars ar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earing bars.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rossing, and is configured to smoothly drain rainwater or sewage while filtering out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t the upper end of the drain.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배수로덮개의 경우, 하방의 배수로와 상방의 주변 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로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방인 대기상으로 그대로 방출되어 배수로 주위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drainage cover of the prior art, since the lower drainage channel and the upper peripheral space are formed in an open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odor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rainage channel is released as it is to the upper atmosphere, and is discharged into the drainage channel. There was a problem that a bad odor was generated around it.

또한, 배수로와 대기가 연통되게 형성됨으로 인해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비교적 부피가 작은 이물질 등이 투입되어 배수로가 지저분해지거나 또는 투입된 이물질 등으로 인해 배수로가 막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rainage channel and the air, relatively small-volu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cigarette butts or fallen leaves are introduced to make the drainage channel dirty or the drainage channel is clogged due to the injected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밀폐형 배수로덮개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밀폐형 배수로덮개 중 일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우수시에만 개방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즉 프레임의 상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서 개폐부재가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밀폐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부력통과, 이 부력통 내에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승, 하강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의해 개폐부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부력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losed drainage covers have been proposed. Looking briefly at an example of the prior art closed drainage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channel is normally sealed and opened only in case of rain, so that smooth drainage can be achieved. That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ably hinged by the hinge shaft at the top of the inclined surface, and is normally sealed, and the buoyancy passag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It includes a buoyancy body that rises and falls by the water flowing in the buoyancy cylinder, and a buoyancy mean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by the buoyancy body.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개폐부재가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켜 배수로의 하부에 배출되는 악취를 차단함은 물론 담배꽁초나 낙엽 등과 같은 작은 이물질 등 또한 배수로 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비나 우수 발생시에는 유입되는 물로 인해 부력수단이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통상적인 개방형 형태의 배수로 덮개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member seals the upper part of the drain at normal times to block odor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as well as to prevent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cigarette butts and fallen leaves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drain, while preventing rain or rainwater from entering the drain. Due to this, the buoyancy means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that smooth drainage can be achieved,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open type drainage cover.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수로덮개는 상기 개폐부재가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로입구의 그레이팅과 경사면 하단부 간의 높이 차이가 너무 벌어지게 되면서 예를 들어 도로 청소차 등의 흡입력에 의해 하단부의 쓰레기는 흡입이 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가 우수와 함께 배수로로 침투되어 결과적으로 배수로의 막힘이나 최종적인 하수처리장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prior art drain cover has an inclined surface structur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grating at the drain inlet and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is too wide, for example, the garbage at the lower end is suctioned by the suction force of a road sweeper, etc. It remained untreated and then penetrated into the drain along with rainwater, resulting in clogging of the drain or contaminating the final sewage treatment pla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1321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91321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메인프레임의 바닥판은 편평한 수평판 구조로 되고, 상기 바닥판의 관통부에 장착되는 개폐판 역시 상기 바닥판과 함께 상기 배수로입구의 상단까지 전체적으로 동일높이를 갖는 수평판 구조로 함으로써, 도로 청소차 등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 및 개폐판 상에 쌓여 수집된 낙엽이나 그 밖에 도로 상의 쓰레기들이 충분히 빨려 올라갈 수 있게 하기 위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has a flat horizontal plate struct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mounted on the penetration part of the bottom plate also extends to the top of the drain inlet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By having a horizontal plate structure having the same height as a whole, it is used for drainage to have a height to allow the fallen leaves or other garbage on the road to be sufficiently sucked up on the bottom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the suction force of a road sweeper,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garbage collection point.

또한, 축받이의 축착공은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하고, 상기 개폐판의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무게추를 제거하거나 또는 힌지축의 위치 이동에 따라 무게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is vari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hinge shaft is in a state where the hinge shaft penetrates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providing an axis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xis position change holes to change the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emoving the weight separate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r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hinge axi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that can also be appli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는, 배수로입구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일측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로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의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된 축받이의 축착공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개폐판을 축 회전시키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축받이의 축착공은 상기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되며, 상기 개폐판은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감싸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이 마련되되, 상기 축지지판은 각각의 축위치변경홀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이동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축은 일측에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상기 힌지축을 일측의 축위치변경홀에서 인접하는 다른 축위치변경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릿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판은 상기 개폐판의 폭 방향 양단 저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는 한 쌍의 상기 축지지판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의 인접부인 상기 메인프레임의 바닥판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축은 양단부가 상기 축지지판의 축위치변경홀 및 상기 축받이의 축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받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위치변경홀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축착공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wast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hooking portion that is caught on a hooking jaw of a drain inlet and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vertically penetrated; an opening/closing plate mounted on the through portion of the main fram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hrough portio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nd a hinge shaft connected to the shaft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to pivo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wherein the shaft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t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as to be variable alo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raps and supports the hinge axis in a state where the hinge axis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inge axis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 shaft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haft position change holes to change position is provided, and the shaft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slits communicating each shaft position change hole, and the hinge shaft is provided along the moving slit on one side.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age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a slit plate is provided to move the hinge shaft from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n one side to the other adjacent shaft position change hole, the shaft support plate is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respectively A pair is provided, and the bearings are provided with a pair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which is adjacent to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haft support plates, and the hinge shaft has both ends of the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through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f the shaft support plate and the shaft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and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and the shaft The start of constru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슬릿판부가 상기 양측의 각 축지지판의 이동슬릿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so that the slit plate parts correspond to the moving slits of each shaft support plate on both sid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어느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가 어느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과 축받이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는 다른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의 폭방향 내측인 상기 개폐판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축지지판 상에서의 상기 힌지축 이동시 상기 힌지축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의 이동슬릿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 후 축위치를 변경시키고 나서 다시 폭 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상기 힌지축이 상기 축받이에 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ast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is located between the slit plate portion on one side and the shaft support plate and the bearing on the other side, and the slit plate portion on the other side is It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hich is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and moves the hinge shaft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hinge axis moves on the shaft support plate to be on the same line as the movement slit of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After changing the shaft position, it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hinge shaft is coherently fixed to the bear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원기둥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축지지판의 축위치변경홀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을 감싸 형합되도록 하는 원형 구조로 되되, 상기 축위치변경홀은, 상기 축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 양측부가 상기 이동슬릿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 하측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하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상향오목부 및 하향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ast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f the shaft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hereto has a circular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to form a shape However,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is open so that both sides of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communicate with the moving slit,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inge shaft. A portion and a downward concave portion may be respective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는 위치 변경이 완료된 상기 힌지축이 형합되어 위치변경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ag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change in location by matching the hinge shaft whose location has been changed.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축착공의 내부테두리 일측에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을 감싸 위치변경 방향으로 이동을 차단하는 오목홈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ag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revention means has a concave groove structure that blocks movement in the position change direction by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on one side of the inner rim of the coaxial hole it may have bee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축착공의 내부테두리 하측면 중 상기 축지지판의 하향오목부와 동일선상 높이에 위치되는 원형오목홈 구조로 된 안착홈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arbage collection port for a drainag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revention means is a circular concave groove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downward concave por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inner rim of the shaft hole. It may be a structured sea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축 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길이가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In addition, in the wast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haft has a length-variable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축받이 중 어느 일측의 축받이는 상기 축착공의 내주면에 제1고정나사산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힌지축의 상기 길이가변구조는, 일단부에 타측의 상기 축받이의 외측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에서 상기 개폐판의 중앙부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내주면에 형성된 제1신축나사산부 및 외주면 일측에 상기 축받이 인접부의 상기 축지지판의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1슬릿판부를 갖는 제1힌지축; 및 상기 제1힌지축의 제1신축나사산부와 나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2신축나사산부와, 상기 제1고정나사산부와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나사산부 및 상기 제2고정나사산부 일측에 상기 축받이 인접부의 상기 축지지판의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2슬릿판부를 갖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aste collector for a drainag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on any one side of the pair of bearings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hole, and the hinge shaft corresponding thereto The variable length structure includes a contact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on the other side at one end, and a first exten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contact plate to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concavely recessed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a first hinge shaft having a first slit plate portion to be moved along the moving slit of the shaft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bear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screw threa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expansion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portion to be threaded with the first expansion screw thread por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a second fixing screw threa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fixing screw thread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screw thread. A second hinge axis having a second slit plate part to be moved along the movement slit of the shaft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shaft support at one side of the unit; may include.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는, 메인프레임의 바닥판은 편평한 수평판 구조로 되고, 상기 바닥판의 관통부에 장착되는 개폐판 역시 상기 바닥판과 함께 상기 배수로입구의 상단까지 전체적으로 동일높이를 갖는 수평판 구조로 하여, 도로 청소차 등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 및 개폐판 상에 쌓여 수집된 낙엽이나 그 밖에 도로 상의 쓰레기들이 충분히 빨려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흡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쓰레기가 우수등과 함께 배수로로 침투되어 궁극적으로 하수처리장 등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 등의 오염물 제거작업을 삭제시킬 수 있게 되면서 작업비용 절감은 물론 하수처리장 투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has a flat horizontal plate struct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mounted on the through portion of the bottom plate is also connected to the drain inlet along with the bottom plate. With a horizontal plate structure having the same height as a whole up to the upper end of, the fallen leaves or other garbage collected on the floor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the suction force of a road sweeper etc. are sufficiently sucked up. To have a height to be sucked up By doing so,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rbage remaining without being sucked into the drain along with the rainwater and ultimately contaminat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etc., thereby eliminating the pollutant removal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etc. In addition to reducing work costs, it is possible to obtain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caused by inputting into a sewage treatment plant.

또한, 축받이의 축착공은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하고, 상기 개폐판의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을 마련하여,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무게추를 제거하거나 또는 힌지축의 위치 이동에 따라 무게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추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은 물론 다양한 중량의 무게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개폐판의 호환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제품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is vari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hinge shaft is in a state where the hinge shaft penetrates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providing an axis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xis position change holes to change the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moving the weight separate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r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hinge axis. By allowing the application to be appli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weights of various weights as well as cost reduction due to the deletion of weights,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 competitiveness. Effects such a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저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bage collection port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collector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3 is a plan view of a waste collection port for drai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bage collection port for a d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는, 메인프레임(10)과, 개폐판(20) 및 힌지축(30)을 포함한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S. 1 to 3 , a waste collector for a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 , an opening/closing plate 20 and a hinge shaft 30 .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배수로입구(미도시)의 걸림턱(미도시)에 걸리는 걸림부(11)가 마련되고 일측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12)를 갖는 사각틀 구조로 되어 있다.The main frame 10 has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a hooking part 11 that is caught on a hooking jaw (not shown) of a drain inlet (not shown) is provided and one side has a penetrating part 12 vertically penetrat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기 사각홀 형상의 관통부(12)가 중앙부에 마련된 바닥판(13)과, 상기 바닥판(13)의 각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되는 복수의 직벽판(14) 및 상기 각각의 직벽판(14)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상기 걸림부(11)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frame 10 includes a bottom plate 13 in which the square hole-shaped through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upright wall plates upwardly erected at each edge of the bottom plate 13. (14) and the hooking portion (11)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vertical wall plates (14).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관통부(12)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로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의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부(12)를 개폐시키는 사각판재 구조로 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has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through portion 12 of the main frame 10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through portion 12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

그리고, 상기 바닥판(13)은 편평한 수평판 구조로 되고, 상기 바닥판(13)의 관통부(12)에 장착되는 개폐판(20)은 상기 바닥판(13)과 함께 상기 배수로입구의 상단까지 전체적으로 동일높이를 갖는 수평판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3 has a flat horizontal plate struct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mounted to the through portion 12 of the bottom plate 13 is the upper end of the drain inlet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13. It has a horizontal plate structure with the same height as the whole.

여기서, 상기 바닥판(13) 및 개폐판(20)에서 상기 배수로입구 상단까지의 높이는 일례로 도로 청소차 등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13) 및 개폐판(20) 상에 쌓여 수집된 낙엽이나 그 밖에 도로 상의 쓰레기들이 충분히 빨려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eight from the bottom plat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to the upper end of the drain inlet is, for example, the fallen leaves collected on the bottom plat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height so that garbage on the road can be sufficiently sucked up.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개폐판(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상기 개폐판(20)을 축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길다란 원봉 구조로 되어 있다. The hinge shaft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nd has a long circular rod structur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0 there is.

보다 상세하게,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개폐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20)의 상면에 가해지는 우수 등의 수(물)하중에 의해 상기 힌지축(30)과 멀리 떨어져 있는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개폐판(20) 부위가 하방으로 축 회전되면서 상기 관통부(1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inge shaft 30 is eccentric to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ard 20 so that the water load such as rainwater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ard 20 The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ar from the hinge shaft 30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through portion 12.

그리고, 상기 개폐판(20)은 수하중에 의해 상기 힌지축(30)의 반대편이 하향 개방된 후 수하중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무게추(60)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s provided with a square block-shaped counterweight 60 that allows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shaft 30 to be opened downward by a water load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water load is removed. .

여기서, 상기 무게추(60)는 상기 힌지축(30) 인접부인 상기 개폐판(20)의 저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Here, the weight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djacent to the hinge shaft 30.

그리고, 상기 개폐판(20)은 수하중의 해제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시 복귀되는 해당 개폐판(20) 부위가 상기 관통부(12)를 넘어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들림방지스톱퍼(70)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water load, the lifting prevention stopper 70 prevents the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that is returned from being lifted upward beyond the through portion 12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들림방지스톱퍼(70)는 일측이 상기 복귀되는 해당 개폐판(20) 부위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복귀되는 개폐판(20) 부위와 일직선상에 놓여 밀착되는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13)의 저면에 걸리도록 하는 장방형 띠판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anti-lifting stopper 7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opening/closing plate 20 part to be returned,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3 plac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part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o be return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it. ), and has a rectangular band structure that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3 to be caught.

또한, 상기 바닥판(13)은 폭 방향 양측(즉, 상기 관통부(12)와 인접된 바닥판(13)의 폭 방향 단부)에서 하향 직립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30)이 축착 고정되도록 하는 축착공(81)을 갖는 길다란 사각판 형상의 축받이(8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3 is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13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e,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bottom plate 13 adjacent to the through portion 12), and the hinge shaft 30 is coaxially fixed Each bearing 80 in the shape of a long rectangular plate having a shaft mounting hole 81 is provided.

이러한 상기 축받이(80)는 힌지축(30)을 축착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판(20)이 측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기 개폐판(2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인접되어 정확하게 축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bearing 80 supports the hinge shaft 30 and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s adjacent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without being biased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also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축받이(80)의 축착공(81)은 상기 힌지축(30)의 위치가 상기 개폐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되어 있다.And, the mounting hole 81 of the bearing 80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30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

그리고, 상기 개폐판(20)은 각각의 상기 축받이(80)의 인접부인 저면 양측에 상기 힌지축(30)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30)을 감싸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어 상기 힌지축(30)이 상기 개폐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101)을 갖는 축지지판(10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surrounds and supports the hinge shaft 30 in a state where the hinge shaft 30 passes through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djacent to each of the bearings 80, and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aft support plates 100 having a plurality of shaft position changing holes 101 are provided, respectivel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그리고, 상기 축지지판(100)은 각각의 축위치변경홀(101)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이동슬릿(102)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축(30)은 일측에 상기 이동슬릿(102)을 따라 상기 힌지축(30)을 일측의 축위치변경홀(101)에서 인접하는 다른 축위치변경홀(101)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얇은 평판재 형상의 슬릿판부(31)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haft support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slits 102 communicating with each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101, and the hinge shaft 30 is provided along the moving slit 102 on one side. A slit plate portion 31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material is provided so that the hinge shaft 30 can be moved from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on one side to the other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adjacent thereto.

이렇게 함으로써, 개폐판(20)의 저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무게추(60)를 제거하거나 또는 힌지축(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무게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By doing this, the weight 60 separate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may be removed or the weight of the weight may be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hinge shaft 30.

미설명부호 32는 힌지축(30)이 축받이(80)의 외측면에 걸려 축받이(8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비너트를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wing nut for preventing the hinge shaft 30 from being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80 and leaving the bearing 80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축받이(80)는 한 쌍의 상기 축지지판(100)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100)의 인접부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바닥판(13)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축(30)은 양단부가 상기 축지지판(100)의 축위치변경홀(101) 및 상기 축받이(80)의 축착공(81)을 관통하여 상기 축받이(8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위치변경홀(101)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3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축착공(81)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looking 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bearing 80 is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10, which is an adjacent portion of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100,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haft support plates 100. (13) A pair is provid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hinge shaft 30 has both ends through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of the shaft support plate 100 and the shaft hole 81 of the bearing 80 It penetrates and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80, and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30, and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30.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30 .

그리고,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슬릿판부(31)가 상기 양측의 각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축(3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inge shaft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30 so that the slit plate portion 31 corresponds to the moving slit 102 of each shaft support plate 100 on both sides.

그리고, 상기 힌지축(30)은 어느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31)가 어느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100)과 축받이(80)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31)는 다른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100)의 폭방향 내측인 상기 개폐판(20)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축지지판(100) 상에서의 상기 힌지축(30) 이동시 상기 힌지축(30)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 후 축 위치를 변경시키고 나서 다시 폭 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상기 힌지축(30)이 상기 축받이(80)에 축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hinge shaft 30, the slit plate portion 31 on one side is located between the shaft support plate 100 and the bearing 80 on one side, and the slit plate portion 31 on the other side is It is locat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which is inside the shaft support plate 1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hinge shaft 30 moves on the shaft support plate 100, the hinge shaft 3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moving it so that it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moving slit 102 of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100, the shaft position is changed, and then the hinge shaft 30 is placed on the bearing 80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width direction again. It is designed to be coherently fixed.

그리고, 상기 힌지축(30)은 원기둥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축지지판(100)의 축위치변경홀(101)은 상기 힌지축(30)의 외주면을 감싸 형합되도록 하는 원형 구조로 되되, 상기 축위치변경홀(101)은, 상기 축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 양측부가 상기 이동슬릿(102)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 하측부는 상기 힌지축(30)의 외주면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하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상향오목부(101a) 및 하향오목부(10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inge shaft 3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of the shaft support plate 100 corresponding thereto has a circular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30 to be molded, The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101 is open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100 communicate with the moving slit 102,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30 An upward concave portion 101a and a downward concave portion 101b are formed, respectively, which are rounded concavely up and down to surround the .

그리고, 상기 축받이(80)는 위치 변경이 완료된 상기 힌지축(30)이 형합되어 위치변경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80 is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on means to prevent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cation change by matching the hinge shaft 30 whose location has been changed.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축착공(81)의 내부테두리 일측에 상기 힌지축(30)의 외주면을 감싸 위치변경 방향으로 이동을 차단하는 오목홈 구조로 되어 있다. And, the flow prevention means has a concave groove structure that blocks the movement in the position change direction by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30 on one side of the inner rim of the coaxial hole 81.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축착공(81)의 내부테두리 하측면 중 상기 축지지판(100)의 하향오목부(101b)와 동일선상 높이에 위치되는 원형오목홈 구조로 된 안착홈(82)이 마련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low prevention means is a seating groove of a circular concave groove structu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ownward concave portion 101b of the shaft support plate 100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inner rim of the shaft mounting hole 81. (82)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waste collector for drainag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힌지축(30)을 통해 메인프레임(10)의 관통부(12)에 개폐판(20)을 연결하여 본 발명의 쓰레기수집구의 전체 조립을 완성시킨다. First, the entire assembly of the garbage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o the penetrating portion 12 of the main frame 10 through the hinge shaft 30.

이러한 쓰레기수집구를 배수로입구의 걸림턱에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1)가 걸리도록 한 후 이 걸림부(11) 상에 그레이팅을 안착시켜 그 설치를 완료한다.After the hooking part 11 of the main frame 10 is caught on the hooking step of the entrance of the drain, the grating is seated on the hooking part 11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되는 동안 도로 주변의 낙엽 등 쓰레기가 그레이팅을 통해 낙하되면서 배수로로 침투되기 전에 메인프레임(10)의 바닥판(13) 및 개폐판(20) 상에 쌓여 수집된다. In this state, while a certain time elapses, garbage such as fallen leaves around the road falls through the grating and is accumulated on the bottom plate 13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20 of the main frame 10 before penetrating into the drainage channel.

그러면, 도로 청소차가 상기 그레이팅 상을 지나가면서 별도의 흡입기를 통해 상기 바닥판(13) 및 개폐판(20) 상에 쌓여 수집되어 있는 쓰레기 등을 흡입 청소하게 된다. Then, as the road sweeper passes over the grating, it suctions and cleans the garbage accumulated on the floor plate 13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hrough a separate suction device.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도로 상의 쓰레기는 배수로로 침투되지 않고 수시로 흡입 수거해 갈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쓰레기가 배수로로 침입하면서 발생되었던 기존의 여러 가지 문제점(배수로 막힘이나 하수처리장의 오염 등)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process, the garbage on the road can be sucked in and collected from time to time without penetrating into the drainage channel. tha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우수시에는 빗물이 배수로입구(3)를 통해 바닥판(13) 및 개폐판(20) 상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어느 정도 우수가 충진되면 그 수하중에 의해 개폐판(20)은 힌지축(30)을 기준으로 하향 축 회전되면서 관통부(12)가 개방되어 우수는 하방의 배수로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In case of rain, rainwater flows into the floor plat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through the drainage inlet 3. At this time, when the rainwater is filled to some exten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s hinged by the water load. As the shaft rotates downward with reference to (30),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opened, and rainwater flows down into the drainage channel below.

그런 다음, 개폐판(20)에 대한 우수의 수하중이 해제되면 하방으로 축 회전 개방되어 있던 상기 개폐판(20)은 무게추(60)의 하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Then, when the rain water load on the opening/closing board 20 is released, the opening/closing board 20, which has been axially opened downwar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weight of the weight 60.

여기서는, 힌지축(30) 반대편인 들림방지스톱퍼(70)가 바닥판(13)의 저면에 걸려 개폐판(20)이 상방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anti-lifting stopper 70 opposite the hinge shaft 30 is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3 to block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from being lifted upward.

그리고, 상기 축받이(80)와 힌지축(30) 및 축지지판(100)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개폐판(20)은 수하중의 정도에 따라 힌지축(30)의 축위치변경홀(101)을 통한 위치 변경만으로 개폐판(20)의 하중밸런스를 조절하여 원활한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bearing 80, the hinge shaft 30, and the shaft support plate 100 are applie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changes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of the hinge shaft 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ter load.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 smooth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by adjusting the load bala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only by changing the position through the.

즉, 힌지축(30)을 통한 개폐판(20)의 무게중심 위치를 다르게 하고자 할 경우, 우선, 힌지축(30)의 나비너트(32) 체결을 해제한 후, 힌지축(30) 양단의 각 슬릿판부(31)가 해당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힌지축(30)을 개폐판(20) 저면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이동시킨 다음, 상기 슬릿판부(31)가 상기 이동슬릿(102)을 타고 원하는 위치의 축위치변경홀(101)로 이동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rying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through the hinge shaft 30, first, after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wing nut 32 of the hinge shaft 30, After moving the hinge shaft 3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each slit plate part 31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moving slit 102 of the corresponding shaft support plate 100, the slit The plate part 31 is moved along the moving slit 102 to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at a desired position.

그러고 나서, 힌지축(30)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힌지축(30)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나비너트(32)로 상기 힌지축(30)의 양단부를 축받이(80)에 축착 고정되도록 체결하여 힌지축(30)을 통한 개폐판(20)의 무게중심 조정이 완료된다.Then, when the movement of the hinge shaft 30 is completed, move the hinge shaft 30 in the width direction again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n each wing nut 32 connects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0 to the bearing ( 80), the adjust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hrough the hinge shaft 30 is completed.

이때, 상기 해당 축위치변경홀(101)에 위치되는 힌지축(30)은 그 양측의 대응되는 각 축받이(80)에 위치되는 그 저면이 상기 각각의 축받이(80)의 안착홈(82)에 안착 고정되면서 축받이(80)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hinge shaft 3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 is located in each bearing 8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30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82 of each bearing 80 While seated and fixed, the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80 is prevented.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의 사용예는, 힌지축(40)이 축 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길이가변구조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using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has a variable length structure that allows the hinge shaft 40 to be variable in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는 한 쌍의 상기 축받이(80) 중 어느 일측의 축받이(80)는 상기 축착공(81)의 내주면에 제1고정나사산부(83)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힌지축(40)의 상기 길이가변구조는, 일단부에 타측의 상기 축받이(80)의 외측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원판 구조의 밀착판(41a)과, 상기 밀착판(41a)에서 상기 개폐판(20)의 중앙부로 연장되고 타단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내주면에 형성된 제1신축나사산부 (41b)및 외주면 일측에 상기 축받이(80) 인접부의 상기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1슬릿판부(41c)를 갖는 제1힌지축(41) 및 상기 제1힌지축(41)의 제1신축나사산부(41b)와 나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2신축나사산부(42a)와, 상기 제1고정나사산부(83)와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나사산부(42b) 및 상기 제2고정나사산부(42b) 일측에 상기 축받이(80) 인접부의 상기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2슬릿판부(42c)를 갖는 제2힌지축(42)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80 on either side of the pair of bearings 80 has a first fixing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mounting hole 81 ( 83) is provided, and the variable length structure of the hinge shaft 40 corresponding thereto has a disk structure contact plate 41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80 on the other side at one end and adheres to it, A first expansion screw portion 41b extending from the close plate 41a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cavely recessed inward at the other end and the shaft adjacent to the bearing 80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rst hinge shaft 41 having a first slit plate portion 41c to be moved along the moving slit 102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a first expansion screw portion 41b of the first hinge shaft 41, A second expansion screw thread 42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to be screwed together, a second fixing screw thread 42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fixing screw thread 83, and the second fixing screw thread 42b )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hinge shaft 42 having a second slit plate portion 42c to be moved along the moving slit 102 of the shaft support plate 100 adjacent to the bearing 80 on one side. .

그리고, 이러한 상기 힌지축(40)을 통해 개폐판(20)의 무게중심 위치를 다르게 하고자 할 경우, 우선, 제1, 2힌지축(41,42)의 제1, 2신축나사산부(41b,42a)의 나사 체결을 느슨하게 하여 힌지축(40)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각각의 제1, 2힌지축(41,42)의 각 슬릿판부(41c,42c)가 해당 축지지판(100)의 이동슬릿(102)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rying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hrough the hinge shaft 40, first,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screw threads 41b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41 and 42, While the length of the hinge shaft 40 is extended by loosening the screw fastening of 42a), the slit plate parts 41c and 42c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41 and 42 respectively move the shaft support plate 100 It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slit 102.

이때, 상기 제2힌지축(42)의 제2고정나사산부(42b)가 해당 축받이(80)의 제1고정나사산부(83)에서 나합 해제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screw thread 42b of the second hinge shaft 42 is in a state where the screwing is released from the first fixing screw thread 83 of the bearing 80.

그러고 나서, 상기 제1, 2힌지축(41,42)을 개폐판(20) 저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적절히 이동시킨 다음, 상기 각각의 슬릿판부(41c,42c)가 대응되는 각각의 이동슬릿(102)을 타고 원하는 위치의 축위치변경홀(101)로 이동되도록 한다.Th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41 and 42 are properly mov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nd then each of the slit plate parts 41c and 42c moves correspondingly. Take the slit 102 and move it to the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101 at the desired position.

그런 후, 힌지축(40)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제1, 2힌지축(41,42)의 제1, 2신축나사산부(41b,42a)를 수축되는 폭 방향으로 나사 체결시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제1, 2힌지축(41,42)을 통한 개폐판(20)의 무게중심 조정이 완료된다. Then, when the movement of the hinge shaft 40 is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screw portions 41b and 42a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41 and 42 are screwed in the contracted width direc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djust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ning/closing plate 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41 and 42 is completed.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힌지축(42)의 제2고정나사산부(42b)는 축받이(80)의 제1고정나사산부(83)에 나사 체결되어 최종적으로 힌지축(40)이 축받이(80)에 견고히 축착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At the same time, the second fixing screw thread 42b of the second hinge shaft 42 is screwed into the first fixing screw thread 83 of the bearing 80, so that the hinge shaft 40 is finally connected to the bearing 80. It will be firmly attached to the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는, 메인프레임의 바닥판은 편평한 수평판 구조로 되고, 상기 바닥판의 관통부에 장착되는 개폐판 역시 상기 바닥판과 함께 상기 배수로입구의 상단까지 전체적으로 동일높이를 갖는 수평판 구조로 하여, 도로 청소차 등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 및 개폐판 상에 쌓여 수집된 낙엽이나 그 밖에 도로 상의 쓰레기들이 충분히 빨려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흡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쓰레기가 우수등과 함께 배수로로 침투되어 궁극적으로 하수처리장 등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 등의 오염물 제거작업을 삭제시킬 수 있게 되면서 작업비용 절감은 물론 하수처리장 투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has a flat horizontal plate struct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mounted on the penetration part of the bottom plate is also connected to the drain inlet along with the bottom plate. With a horizontal plate structure having the same height as a whole up to the upper end of, the fallen leaves or other garbage collected on the floor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the suction force of a road sweeper etc. are sufficiently sucked up. To have a height to be sucked up By doing so,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rbage remaining without being sucked into the drain along with the rainwater and ultimately contaminat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etc., thereby eliminating the pollutant removal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work as well as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due to the input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또한, 축받이의 축착공은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하고, 상기 개폐판의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을 마련하여,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무게추를 제거하거나 또는 힌지축의 위치 이동에 따라 무게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추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은 물론 다양한 중량의 무게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개폐판의 호환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제품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is vari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hinge shaft is in a state where the hinge shaft penetrates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providing an axis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xis position change holes to change the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moving the weight separate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r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hinge axis. By allowing the application to be appli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weights of various weights as well as to reduce costs due to the deletion of weights,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hich leads to improved product competitiveness as a resul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based on thi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letion or addition,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프레임 11 : 걸림부
12 : 관통부 13 : 바닥판
14 : 직벽판 20 : 개폐판
30 : 힌지축 31 : 슬릿판부
32 : 나비너트 40 : 힌지축
41 : 제1힌지축 41a : 밀착판
41b : 제1신축나사산부 41c : 제1슬릿판부
42 : 제2힌지축 42a : 제2신축나사산부
42b : 제2고정나사산부 42c : 제2슬릿판부
60 : 무게추 70 : 들림방지스톱퍼
80 : 축받이 81 : 축착공
82 : 안착홈 83 : 제1고정나사산부
100 : 축지지판 101 : 축위치변경홀
101a : 상향오목부 101b : 하향오목부
102 : 이동슬릿
10: main frame 11: hanging part
12: penetration part 13: bottom plate
14: direct wall plate 20: opening and closing plate
30: hinge axis 31: slit plate part
32: butterfly nut 40: hinge axis
41: first hinge axis 41a: contact plate
41b: first expansion screw thread portion 41c: first slit plate portion
42: second hinge shaft 42a: second expansion screw thread
42b: second fixing screw thread portion 42c: second slit plate portion
60: weight 70: lifting prevention stopper
80: bearing 81: bearing hole
82: seating groove 83: first fixing screw thread
100: shaft support plate 101: shaft position change hole
101a: upward concave portion 101b: downward concave portion
102: moving slit

Claims (5)

배수로입구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일측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로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의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된 축받이의 축착공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개폐판을 축 회전시키는 힌지축;
을 포함하고,
상기 축받이의 축착공은 상기 힌지축이 위치가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장공 구조로 되며,
상기 개폐판은 저면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감싸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개폐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되도록 하는 복수의 축위치변경홀을 갖는 축지지판이 마련되되,
상기 축지지판은 각각의 축위치변경홀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이동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축은 일측에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상기 힌지축을 일측의 축위치변경홀에서 인접하는 다른 축위치변경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릿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판은 상기 개폐판의 폭 방향 양단 저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는 한 쌍의 상기 축지지판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의 인접부인 상기 메인프레임의 바닥판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축은 양단부가 상기 축지지판의 축위치변경홀 및 상기 축받이의 축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축받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위치변경홀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축착공은 상하폭 넓이가 상기 힌지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A main frame having a hooking part provided on the hooking jaw of the drain inlet and one side having a through part vertically penetrated;
an opening/closing plate mounted on the through portion of the main fram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hrough portio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nd
a hinge shaft tha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provided in the main frame and rotates the opening/clos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including,
The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has a long hole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is vari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raps and supports the hinge shaft in a state where the hinge shaft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inge shaft is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 plurality of axis position change An axis support plate having a hole is provided,
The shaft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slits communicating with each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and the hinge shaft moves the hinge shaft from one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to another adjacent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along the moving slit on one side. In the garbage collector for the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plate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haft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ai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The bearings are provided with a pair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frame, which is adjacent to each of the shaft support plat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haft support plates,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protrud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ring through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f the shaft support plate and the shaft mounting hole of the bearing,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in the vertical width,
The coaxial hole is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슬릿판부가 상기 양측의 각 축지지판의 이동슬릿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shaft is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so that the slit plate portion corresponds to the moving slit of each shaft support plate on both si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어느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가 어느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과 축받이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측의 상기 슬릿판부는 다른 일측의 상기 축지지판의 폭방향 내측인 상기 개폐판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축지지판 상에서의 상기 힌지축 이동시 상기 힌지축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상기 축지지판의 이동슬릿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 후 축위치를 변경시키고 나서 다시 폭 방향으로 원상 복귀시켜 상기 힌지축이 상기 축받이에 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According to claim 2,
In the hinge axis, the slit plate portion on one side is located between the shaft support plate and the bearing on one side, and the slit plate portion on the other side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which is in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on the other side. ,
When the hinge axis is moved on the shaft support plate, the hinge shaft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it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moving slit of each shaft support plate, and then the shaft position is changed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width direction again so that the hinge shaft is Garbage collector for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ixed to the bea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원기둥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축지지판의 축위치변경홀은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을 감싸 형합되도록 하는 원형 구조로 되되,
상기 축위치변경홀은, 상기 축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 양측부가 상기 이동슬릿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 하측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하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상향오목부 및 하향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shaf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is, the shaft position change hole of the shaft support plate has a circular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to form a shape,
The shaft position changing hole is open so that both sides of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support plate communicate with the moving slit,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rounded upward and downwar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and A waste collector for a drain, characterized in that each downward concave portion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는 위치 변경이 완료된 상기 힌지축이 형합되어 위치변경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According to claim 4,
The bearing is a garbage collector for a drai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flow prevention means to prevent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location change by matching the hinge shaft of which the location change is completed.
KR1020210184733A 2021-12-22 2021-12-22 Trash collector for drain KR202300953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33A KR20230095346A (en) 2021-12-22 2021-12-22 Trash collector for d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33A KR20230095346A (en) 2021-12-22 2021-12-22 Trash collector for dr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346A true KR20230095346A (en) 2023-06-29

Family

ID=8694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733A KR20230095346A (en) 2021-12-22 2021-12-22 Trash collector for d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34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10B1 (en) 2009-03-09 2009-08-24 오웅배 Shutting tightly style spill way handgu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10B1 (en) 2009-03-09 2009-08-24 오웅배 Shutting tightly style spill way handgu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6942A (en) Steel grating
KR101016159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a storm overflow chamber
KR100964725B1 (en) The foreign body the prevention spill way handguard getting jammed in
KR101326602B1 (en) Apparatus for draining of rain water for road
US20220356692A1 (en) Trash collector for drainage channels
KR101730150B1 (en) Garbage separation prevention type manhole
KR20230095346A (en) Trash collector for drain
WO2008099182A1 (en) Surface water drainage
DE3902791C1 (en) Road gulley, in particular bridge gulley
KR100741695B1 (en) Stink cutoff device of drainer
KR101026068B1 (en)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a storm overflow chamber
KR102555249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atch basin
KR100913209B1 (en) Offensive odor prevention and foreign body influx interception spill way handguard
DE2323687C2 (en) Backflow and odor trap for liquids
DE10326636A1 (en) Manhole cover with ventilation
KR101182811B1 (en) cover drainage canal
KR101081582B1 (en) Foreign body influx interception spill way handguard
KR20140104673A (en) drain cover for preventing bad smell
KR102620010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Grating from Clogging
DE202019101853U1 (en) Filter device for manholes
EP2154300B1 (en) Waste water station
KR101242668B1 (en) Drainage system of spill way
KR101343058B1 (en) Sump structur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KR102378660B1 (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road drainage facilities against heavy rain
KR100364299B1 (en) Lids of d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