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860A -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860A
KR20230094860A KR1020210184332A KR20210184332A KR20230094860A KR 20230094860 A KR20230094860 A KR 20230094860A KR 1020210184332 A KR1020210184332 A KR 1020210184332A KR 20210184332 A KR20210184332 A KR 20210184332A KR 20230094860 A KR20230094860 A KR 2023009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transmission
slave
master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860A/ko
Priority to US18/085,349 priority patent/US20230199830A1/en
Publication of KR2023009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4Adaptation or special uses of UDP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6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UDP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동기식 MAC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 마스터 스테이션이 수퍼프레임 구간, 비콘 구간, 경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각각의 송신 구간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송신 구간을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자신에게 할당된 송신 구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Wireless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appratus based on unlreliable network}
본 발명은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데이터(예컨대, 영상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 패킷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지만 실시간 전송 효율에 유리한 UDP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에 최적화 될 수 있는 무선전송 스케줄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영상데이터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비디오 코덱을 활용하여 엔코딩(압축)과정 이후에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압축된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TCP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활용할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수신단에서 패킷이 성공적으로 도착했는지 알리기 위하여 Ack를 보내거나, 송신단에서 특정 시간동안 Ack를 받지 못하면 패킷을 다시 수신단으로 재전송하는 메커니즘으로 동작한다. 이는 송수신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렇게 잦은 Ack와 패킷 재전송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영상 프레임에 대한 시간적 지연으로 인해 수신단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제약사항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앞에서 언급한 실시간 영상 전송시스템에서 시간적 지연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엔코딩(압축)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 UDP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전송하면 수신단에서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에 송신단에 알리기 위한 Ack를 보내지 않으며, 손실된 패킷에 대한 재 전송 없어 TCP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 방식과 비교하여 실시간 영상 전송에 더 적합하다. 물론 UDP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에서도 수신단에서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아주 작은 패킷(Small Packet)이 존재하기는 하지만(UDP 프로토콜은 단방향 통신 방식이나, 실제로 Linux나 Windows등의 상용 OS의 UPD/IP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서는 도 5와 같이 수신단이 송신단으로 간헐적으로 송신하는 스몰 패킷이 존재하도록 구현되어 있음), TCP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패킷 크기나 전송 빈도수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효율성 측면에서는 신뢰성 프로토콜(예컨대, TCP)보다는 무신뢰성 프로토콜(예컨대, UPD)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UDP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최적의 전송효율 실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도 4처럼 TDMA 기반으로 동작하는 MAC 계층에서 최적의 무선 전송 스케줄링 기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TDMA 기반으로 동작하는 MAC 계층의 전송은 도 5와 같이 비콘(Beacon), 경쟁 구간(Contention Period), 할당 구간(Allocation Period)으로 이루어진 수퍼프레임(Superframe) 기반의 무선 전송 스케줄링에 따라 동작한다. 만약 송신단과 수신단 합산 개수가 N개인 것으로 가정하면, 도 5와 같이 수퍼프레임의 할당 구간은 1/N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실시간 영상 전송시스템에서 송신단이 수신단에게 UDP 패킷을 보낼 때 송신단은 첫 번째 수퍼프레임의 센더(Sender) 할당 구간에서 데이터를 보내고 수신단은 다음번 수퍼프레임의 리시버(Receiver) 구간에서 스몰 패킷(Small Packet)을 보내게 된다.
이럴 경우 리시버와 센더의 할당 구간이 1/N 방식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송신단에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단에게 연속적으로 보낼 경우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센더 구간은 대용량인 영상데이터를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보낼려고 하고 리시버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작은 양의 스몰 패킷만 보내면 되는데, 센더 구간과 리시버 구간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하면 유휴 구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동기식 스케줄링 기반의 MAC 무선 전송방식은 슬레이브 개수에 따라 1/N 방식으로 동일하게 데이터 전송구간을 할당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IP기반의 UDP 프로토콜을 활용할 경우 이러한 무선구간의 전송스케줄링 할당방식은 UDP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에 최적화 되지 않아 전송효율을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DP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구간 전송 스케줄링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UDP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동기식 MAC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은, 네트워크 내 마스터 스테이션이 수퍼프레임 구간, 비콘 구간, 경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각각의 송신 구간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송신 구간을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자신에게 할당된 송신 구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증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구간과 상기 비콘 구간, 상기 경쟁 구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구간의 합이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한 경우 상기 계산된 송신 구간에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과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다음 수퍼프레임에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수를 고려하여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식에 의하여 마스터 송신 구간 및 슬레이브 송신 구간을 계산한다.
할당 구간 = 수퍼프레임 구간 - (비콘 구간 + 경쟁 구간);
마스터 구간 = 최소 유닛 + α;
슬레이브 구간 = (할당 구간 - 마스터 구간)/슬레이브 카운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술한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마스터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DP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MAC 계층 무선구간 전송을 할 수가 있다. 즉, 동기식 무선 스케줄링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MAC 계층 상위에 UDP 프로토콜을 활용한 네트워크 계층을 적용하는 경우, 송신부가 단방향 대용량 데이터(예컨대, 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단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간 영상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TCP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UPD 프로토콜 전송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각 스테이션에 탑재된 UDP 프로토콜 스택.
도 5는 종래의 MAC 수퍼프레임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에 할당된 수퍼프레임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스테이션이 구성하는 네트워크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퍼프레임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영상전송 시스템의 개요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스케줄링된 수퍼프레임의 각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개인 무선네트워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무선 네트워크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서 스테이션을 가진다. 예컨대, 피코넷(Piconet)은 개인 활동 영역 내에서 동일한 무선 주파수 채널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스테이션이 존재할 때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로 구별된다. 마스터는 피코넷 전체를 관리하고 피코넷 내에서 오직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마스터는 비콘을 브로드캐스팅 함으로 해서 슬레이브를 제어한다.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통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개인 무선네트워크 전송]
도 7에서 무선구간의 전송스케줄링의 기본단위인 수퍼프레임 구조는 크게 비콘 구간, 경쟁 구간, 할당 구간의 3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구간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비콘 구간에서는 마스터가 슬레이브들에게 네트워크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비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
경쟁 구간에서는 슬레이브와 마스터가 네트워크 합류요청/분리요청/허용, 자원할당 요청/허용, 연결 요청/허용 등의 명령 패킷을 임의 접근 방식으로 전송한다. 경쟁 구간 동안은 마스터에 의한 시간의 배타적 할당을 통한 매체에 대한 독점적 접근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각 슬레이브들은 경쟁방식의 CSMA/CA를 사용하여 매체에 접근한다.
할당 구간 동안은 각 슬레이브가 자신에게 배분된 시간 슬롯동안 매체에 대해 독점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마스터는 TDMA 방식을 사용하여 할당 구간의 시간 슬롯을 각 슬레이브에게 분배한다. 분배된 시간 슬롯 동안은 각 슬레이브는 매체에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할당된 슬롯 동안은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개입없이 데이터를 독점적으로 보낼수 있으며 주로 마스터 하나와 여러 슬레이브들이 통신할 수 있는 스타토폴로지를 지원한다.
[영상 전송 시스템을 위한 무선 전송 스케줄링]
이하,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영상 전송 시스템에서 UDP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동기식 MAC 무선 전송 스케줄링에 대한 구체적 실시예와 전반적인 절차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영상 전송시스템은 도 8과 같이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전송할수 있는 슬레이브들과 하나의 마스터들간에 상호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타구조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여러대의 슬레이브는 영상 데이터를 UDP와 같은 비신뢰성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마스터에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전송 시스템은 스테이션 개수가 N개라면 마스터 1개에 슬레이브 N-1로 구성힐 수 있지만 대용량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자원에 대한 리소스의 한계로 인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스테이션의 개수는 전송 시스템 환경에 따른 제약으로 N 이하가 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개수가 2 내지 5일 때 무선 전송 스케줄링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으며, 디폴트 수퍼프레임의 크기는 20ms, 비콘과 경쟁 구간 합의 크기는 3ms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퍼프레임내의 한 필드의 최소단위는 1ms로 설정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영상 전송부(슬레이브) 1개, 영상 수신부(마스터) 1개로 구성된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스테이션 개수가 2일때(N = 2),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할당 구간을 16:1 비율로 비대칭으로 스케줄링을 하였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는 16ms 구간 동안 연속으로 영상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스터는 최소 할당 구간 단위인 1ms 구간 동안만 슬레이브1에게 작은 패킷을 전송할 수가 있어 단방향 1:1 영상전송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영상 전송부(슬레이브) 2개, 영상 수신부(마스터) 1개로 구성된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스테이션(N) 개수가 3일 때, 마스터의 할당 구간은 최소단위로하고, 나머지 할당 구간에서 슬레이브간에 할당 구간을 1/N 비율로 할당하여 스케줄링을 하였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는 각각 8ms 구간 동안 연속으로 영상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스터는 잔존 할당 구간 단위인 1ms 구간 동안만 슬레이브1 및/또는 슬레이브2 에게 작은 패킷을 전송할 수가 있어 단방향 2:1 영상전송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전송부(슬레이브) 3개, 영상 수신부(마스터) 1개로 구성된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스테이션(N) 개수가 4일때, 마스터의 할당 구간은 최소화하고, 나머지 할당 구간에서 슬레이브간에 할당 구간을 1/N 비율로 할당하여 스케줄링을 하였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는 각각 5ms 구간 동안 연속으로 영상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스터는 잔존 할당 구간인 2ms 구간 동안만 슬레이브1 내지 슬레이브3 에게 작은 패킷을 전송할 수가 있어 단방향 3:1 영상전송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전송부(슬레이브) 4개, 영상 수신부(마스터) 1개로 구성된 영상전송 시스템에서 스테이션(N) 개수가 5일때, 마스터의 할당 구간은 최소화하고, 나머지 할당 구간에서 슬레이브간에 할당 구간을 1/N 비율로 할당하여 스케줄링을 하였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는 각각 4ms 구간 동안 연속으로 영상 패킷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마스터는 최소 할당 구간인 2ms 구간 동안만 슬레이브1 내지 슬레이브4 에게 작은 패킷을 전송할 수가 있어 단방향 4:1 영상전송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2에서 디폴트 수퍼프레임 크기는 20ms 이였으나 마스터가 4대의 슬레이브에 스몰패킷을 보내는 시간이 1ms를 초과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마스터 구간을 2ms로 설정하고, 수퍼프레임의 크기를 21ms로 조정한 케이스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경우에는 수퍼프레임의 크기를 디폴트 값인 20ms로 유지하고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며 전술한 스테이션의 수에 따른 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을 정리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션 송수신 구간의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케줄링은 마스터에 의하여 수행되며 네트워크 내 여러 독립 기기 중 마스터를 결정하는 로직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도 무방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마스터로 정해진 기기는 수퍼프레임 구간(Superframe Period), 비콘 구간(Beacon Period), 경쟁 구간(Contension Period)을 설정하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슬레이브의 수를 파악한다(S110). 슬레이브 수의 파악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며, 일례로 비콘 구간에서 송신된 마스터의 비콘 신호에 대하여 경쟁 구간에서 응답한 슬레이브의 수를 카운트 하여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3에 정의한 계산 수식에 따라 마스터가 송신하는 마스터 구간(Master Perid)과 슬레이브가 송신하는 슬레이브 구간(Slave Period)을 정한다(S120).
[수학식 1]
할당 구간 = 수퍼프레임 구간 - (비콘 구간 + 경쟁 구간)
[수학식 2]
마스터 구간 = 최소 유닛 크기 + α
[수학식 3]
슬레이브 구간 = (할당 구간 - 마스터 구간)/슬레이브 카운트
수학식 2에서 마스터 구간은 수퍼프레임내의 최소 유닛 크기 단위(예컨대, 1ms) + α로 설정 가능한데, α는 0 이상의 값을 설정함으로서 슬레이브 개수가 증감에 따라 마스터 구간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α는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슬레이브 수가 3 이하이면 0, 4 내지 6이면 1ms, 6 이상이면 2ms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4대의 슬레이브에 스몰패킷을 보내기 위한 마스터 구간의 크기를 최소 크기(1ms) + α(1ms) = 2ms로 산정하였다.
마스터 구간 및 슬레이브 구간의 계산이 수행되면, 수학식 4에 따라 검증구간(Verification Period) 값을 산출한다.
[수학식 4]
검증 구간 = (비콘 구간 + 경쟁 구간) + 마스터 구간 + (슬레이브 구간 x 슬레이브 카운트)
계산된 검증구간이 수퍼프레임구간과 같으면(S130의 Y), 계산된 대로 각 슬레이브 마스터별로 구간을 할당하고(S150), 각 슬레이브들 및 마스터는 자신들에게 할당된 구간에 데이터를 송신한다(S160). 추가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고 네트워크 내 스테이션 수의 변화가 없으면 다음 수퍼프레임에도 계산된 구간대로 할당을 하며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스테이션 수의 변화가 있으면 S110 단계로 돌아가 구간 설정 및 스테이션 수의 파악 단계로 진입한다.
만약 검증 단계(S130)의 판단시 검증 구간이 수퍼프레임 구간과 상이할 경우 수퍼프레임 구간을 최소 유닛 크기(예컨대, 1ms)만큼 증가시키고 계산처리 로직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여, 검증 구간과 수퍼프레임 구간이 동일하게 될 때까지 반복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퍼프렘임의 구간 크기가 디폴트 값인 20ms이 아니라 1ms 증가된 21ms인데, 본 검증 단계 판단의 결과에 따른 수퍼프레임 크기 증가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구간 계산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학식 5 내지 수학식 8과 같이 모듈로 연산을 이용하여 마스터 구간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구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다.
[수학식 5]
할당 구간 = 수퍼프레임 구간 - (비콘 구간 + 경쟁 구간)
[수학식 6]
if(할당 구간 mod 슬레이브 카운트 ≠ 0)
then 마스터 구간 = 할당 구간 mod 슬레이브 카운트 + α
else 마스터 구간 = 최소 유닛(예컨대, 1ms) + α +((할당 구간 - 최소 유닛) mod 슬레이브 카운트)
[수학식 7]
슬레이브 구간 = (할당 구간 - 마스터 구간)/슬레이브 카운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스터가 경쟁 구간 중에 각 슬레이브들로부터 전송할 데이터 양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슬레이브들에게 전송 데이터 량에 비례하여 할당 구간을 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UDP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동기식 MAC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 마스터 스테이션이 수퍼프레임 구간, 비콘 구간, 경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각각의 송신 구간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 송신 구간을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자신에게 할당된 송신 구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검증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구간과 상기 비콘 구간, 상기 경쟁 구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구간의 합이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한 경우 상기 계산된 송신 구간에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과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다음 수퍼프레임에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수를 고려하여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 및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식에 의하여 마스터 송신 구간 및 슬레이브 송신 구간을 계산하는 것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할당 구간 = 수퍼프레임 구간 - (비콘 구간 + 경쟁 구간);
    마스터 구간 = 최소 유닛 + α;
    슬레이브 구간 = (할당 구간 - 마스터 구간)/슬레이브 카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수퍼프레임의 크기가 20ms, 비콘 구간 및 경쟁 구간의 합은 3ms일 때, 마스터 스테이션 1개, 슬레이브 스테이션 1개 일 경우,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16ms,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1ms로 계산하는 것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수퍼프레임의 크기가 20ms, 비콘 구간 및 경쟁 구간의 합은 3ms일 때, 마스터 스테이션 1개, 슬레이브 스테이션 2개 일 경우, 상기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8ms,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1ms로 계산하는 것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수퍼프레임의 크기가 20ms, 비콘 구간 및 경쟁 구간의 합은 3ms일 때, 마스터 스테이션 1개, 슬레이브 스테이션 4개 일 경우, 상기 각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4ms,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송신 구간을 2ms로 계산하는 것인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 무선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마스터 스테이션.
KR1020210184332A 2021-12-21 2021-12-21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30094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32A KR20230094860A (ko) 2021-12-21 2021-12-21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8/085,349 US20230199830A1 (en) 2021-12-21 2022-12-20 Wireless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unreliabl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32A KR20230094860A (ko) 2021-12-21 2021-12-21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60A true KR20230094860A (ko) 2023-06-28

Family

ID=8676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32A KR20230094860A (ko) 2021-12-21 2021-12-21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99830A1 (ko)
KR (1) KR2023009486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9830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535B2 (en) Method of accommodating fragmentation and burst in a wireless protocol
JP53513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トラフィックチャネルを取得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280518B2 (en) Method of operating a media access controller
US7936774B2 (en) Method and devices for multicasting information over a network that applied a distributed media access control scheme
US79205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liable broadcast or multicas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301951B2 (en) Base station with a retransmission function
US7684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synchronous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5258358B2 (ja) ワイヤレスノードネットワークのチャネルにアクセス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7634275B2 (en) Method of accommodating periodic interfering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JP4444660B2 (ja) 非同期タイムスロットにおける長非同期データを取り扱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30137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030199272A1 (en) Method of using sub-rate slots in an ultrawide bandwidth system
US9819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packet for low-power wireless sensor communications
US20030140296A1 (en) Method of improving system performance in a wireless network by making requests without acknowledgement
JP2010093758A5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中継局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566354B1 (en) Adaptive multiple harq entity design
Gerami et al. Configured grant for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and beyond
CN111385045B (zh) 一种音频数据通信系统
KR20230094860A (ko) 비신뢰성 네트워크 기반 무선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JP2003527033A (ja) Tcp/ip衛星ベースネットワークにtdma帯域幅を効率的に割当て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Robles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ndoor localization protocol in a 802.15. 4 sensor network
WO2024060208A1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in large propagation delay wireless communications
RU2388152C1 (ru) Поддержание связи между подвижным терминалом и сетью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GB2348581A (en) Data communications method and data signal
JPH0911648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