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654A -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654A
KR20230094654A KR1020210183989A KR20210183989A KR20230094654A KR 20230094654 A KR20230094654 A KR 20230094654A KR 1020210183989 A KR1020210183989 A KR 1020210183989A KR 20210183989 A KR20210183989 A KR 20210183989A KR 20230094654 A KR20230094654 A KR 2023009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consumption
data
measur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파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파더
Priority to KR102021018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654A/ko
Publication of KR2023009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04L63/0421Anonymous communication, i.e. the party's identifiers are hidden from the other party or parties, e.g. using an anonym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부 및 운영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값 및 수신값을 수집하는 복수의 수집부, 수집부와 연결되어 수신값 만을 선별하는 구별부, 구별부와 연결되어 수신값에 포함된 측량 정보 및 소비 정보를 디코딩하는 디크립트부, 디크립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량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크립트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본 훼손 없이도 용이하게 수집 및 가공할 수 있고,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서 파악이 필요한 부분만 노출시키고 개인정보는 가명처리 또는 익명처리함으로써 보안성 및 정보 제공 신속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소비부 및 운영부가 먼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소비부 및 운영부의 사이에서 연결점을 만들어 접근 및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전력 정보의 수집을 위한 별도의 설비 및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REAL-TIME ENERGY USAGE DATA IN PUBLIC SPACE}
본 발명은 전력 정보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전력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에너지 데이터를 수집하되, 수집 과정에서 원본을 훼손하지 않고도 해당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며,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과다 사용에 의해 에너지 공급 부족 현상, 환경 오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등 여러 세대가 모여서 생활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에너지의 과소비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세대가 발생하면서 전체적인 전력 사용량이 극도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과 에너지 사용량 파악에 대한 필요성이 동시에 대두되면서 특히 에너지 사용에 대한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선행문헌 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패킷 흐름을 바이패스하여 네트워크 연결의 단절을 방지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선행문헌 2는 복수의 입출력 포트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이 비정상일 경우 포트 간의 바이패스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모듈을 개시한다.
하지만, 선행문헌들의 경우 연결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데이터의 우회 이동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전부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의 바이패스 측면에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들은 원본 데이터를 보존하지 않고 가공 및 송수신을 실시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를 실시하는 구성 자체가 개시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평상 시에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하면서도, 수집 과정에서 원본 훼손을 방지하고 개인정보 공개를 극도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4215호 (2004.05.28. 공개)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919호 (2012.05.24.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동 주택 내 사용되는 전력 관련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 정보의 수집 과정에서 개인정보의 암호화를 실현시켜 보안성을 극도로 높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만으로도 공동 주택의 전체 전력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면서도 원본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비부 및 운영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값 및 수신값을 수집하는 복수의 수집부, 수집부와 연결되어 수신값 만을 선별하는 구별부, 구별부와 연결되어 수신값에 포함된 측량 정보 및 소비 정보를 디코딩하는 디크립트부, 디크립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량 정보를 암호화하는 인크립트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본 훼손 없이도 용이하게 수집 및 가공할 수 있어, 편의성 측면에서 종래 기술 대비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서 파악이 필요한 부분만 노출시키고 개인정보는 가명처리 또는 익명처리함으로써, 보안성 및 정보 제공 신속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소비부 및 운영부가 먼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비부 및 운영부의 사이에서 연결점을 만들어 접근 및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전력 정보의 수집을 위한 별도의 설비 및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 단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부, 운영부 및 수집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정보의 수집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집 단계(s110)는 전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집부(310)는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RS-232 통신을 활용하여 송신값(a) 및 수신값(b)이 모두 포함된 전력 정보를 수집한다. 즉, 수집 단계(s110)에서 수집부(310)는 송신값(a) 및 수신값(b)을 모두 수집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의 정확도를 높인다.
구별 단계(s120)는 수집 데이터 만을 선별하기 위한 단계로서 선술한 수집 단계(s110) 이후에 실시된다. 이를 위해, 수집부(310)와 연결된 구별부(320)는 상기 수집부(310)로부터 송신값(a) 및 수신값(b)을 모두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수신값(b) 만을 선택한다. 여기서, 수신값(b)은 수집부(310)를 통한 수집 이후에 암호화 및 복호화를 거치지 않은 원본 상태이며, 상기 원본 상태의 수신값(b)은 소비부(100)에서 먼저 암호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신값(b)을 구성하는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는 모두 암호화된 문자 배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크립트 단계(s130)는 구별 단계(s120)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로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의 디코딩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구별부(320)와 연결된 디크립트부(330)는 선별로부터 암호화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포함하는 수신값(b)을 전달받으며, 암호화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대상으로 복호화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DCU, HCU, 계량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 정보(b1) 및 소비부(100)의 에너지 사용량과 관련된 소비 정보(b2)는 문자열로 변환된다.
인크립트 단계(s140)는 측량 정보(b1)만을 다시 암호화하여 개인정보노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며, 디크립트부(330)와 연결된 인크립트부(340)에 의해 실시된다. 상세하게, 인크립트부(340)는 디크립트부(330)로부터 암호 해제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로 구성된 수신값(b)을 전달받고, 이를 대상으로 측량 정보(b1)만을 다시 암호화한다. 일례로 상기 인크립트부(340)는 Sha256 암호화를 통해 측량 정보(b1)를 암호화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부(100), 운영부(200) 및 수집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소비부(100)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주체로서, 별도의 전력 공급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소비부(100)의 에너지 사용에 관한 정보는 소비부(100)와 통신 연결된 운영부(200)로 전달되며, 후술하겠지만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는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된 수집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소비부(100)는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세대로서, AMI 등의 계량수단을 통해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가 형성, 수집 및 운영부(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연결 형태는 전력선, 근거리 통신 수단, 원거리 통신 수단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비부(100)는 후술할 운영부(200)의 요청에 따라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가 포함된 전력 정보를 형성 및 송수신한다. 이 밖에도, 전력 정보는 운영부(200)에서 소비부(100)로 보내져 상기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측량 정보(b1)는 소비부(10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의 일련번호 등을 포함한 정보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DCU, HCU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정보(b2)는 계량기를 통해 측정되는 소비부(100)의 전력 사용량 정보로서, 추가로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온수 사용량, 가스 사용량, 난방 사용량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가 포함된 전력 정보는 소비부(100)에서 운영부(200)로 이동하기 전에,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원본 상태를 갖는다.
운영부(200)는 소비부(10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형성되는 전력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상세하게, 운영부(200)는 소비부(100)에 전력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부(100)로부터 발생하는 원본 상태의 전력 정보를 수신 받는다. 이를 위해,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는 양방향 통신 수단으로 연결되고, 운영부(200)는 소비부(100)에 전력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운영부(200)는 공동주택 내 관리사무소로 구비되거나, 상기 공동주택으로부터 별도 연결된 외부 계측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집부(310) 및 운영부(200) 간 이동되는 데이터는 소비부(100)에서 운영부(200)로 이동되는 수신값(b), 운영부(200)에서 소비부(100)로 이동되는 송신값(a)으로 구분된다.
수집부(310)는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서 상기 소비부(100)의 전력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수집부(310)는 소비부(100)의 의해 형성 및 송신된 전력 정보를 수집하되, 선술한 송신값(a) 및 수신값(b)을 전부 수집한다. 이는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서 형성 및 이동되는 전력 정보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별부(320)는 전력 정보를 선별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만을 취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구별부(320)는 선술한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된 전력 정보 중에서 송신값(a)은 제외하고 수신값(b)만을 선별 수집한다. 즉, 구별부(320)는 소비부(100)에 전력 정보 형성을 요청하도록 운영부(200)에서 소비부(100)로 이동되는 송신값(a)은 제외한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구별부(320)는 상기 송신값(a)을 기반으로 소비부(100)가 형성하고 운영부(200)로 전송하는 수신값(b)을 수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집된 수신값(b)은 암호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포함한다.
디크립트부(330)는 구별부(320)를 통해 선별된 수신값(b)에서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복호화한다. 상세하게, 디크립트부(330)는 암호 상태의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대상으로 디코딩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디크립트부(330)를 통해 계량기의 정보, DCU, HCU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 정보(b1)와 소비부(100)의 사용량에 관한 소비 정보(b2)는 문자로의 변환이 완료된다.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공동주택 내 소비부(100)에 관한 에너지 사용량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측량 정보(b1)는 계량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각각의 소비부(100)를 특정할 수 있고, 이는 소비부(100)의 직접 동의가 없는 한 개인정보의 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 궁극적인 개인정보노출 관련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너지 사용량 현황을 쉽게 파악하면서도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는 인크립트부(340) 구성을 개시한다.
인크립트부(340)는 선술한 디크립트부(330)를 통해 문자로 변환되어 암호화가 해제된 측량 정보(b1)에 대한 암호화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인크립트부(340)는 측량 정보(b1)의 노출을 최소화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인크립트부(340)는 측량 정보(b1)에 포함되는 계량기 정보를 기반으로 이와 일대일 대응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구비된다. 이를 위해, 인크립트부(340)는 디크립트부(330)와 연결되어 복호화된 수신값(b)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인크립트부(340)는 수신값(b)에 포함되 측량 정보(b1)를 대상으로 문자에서 바이트 형식 등으로의 변환 등 암호화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수신값(b)은 암호화된 측량 정보(b1) 및 복호화된 소비 정보(b2)로 구비되며, 측량 정보(b1)로는 소비부(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정보 노출이 사전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인크립트부(340)가 구비됨으로써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 사용량 파악이 용이하면서도 개인정보 노출이 최소화되어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인크립트부(340)와 연결되는 리디크립트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디크립트부(350)는 복수의 소비부(100) 중 별도의 문의 수단을 통해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특정된 소비부(100)에 해당되는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보다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리디크립트부(350)는 인크립트부(340)와 연결되어 암호화된 측량 정보(b1) 및 복호화된 소비 정보(b2)로 구비된 수신값(b)을 전달받으며, 상기 측량 정보(b1)를 다시 복호화한다. 여기서, 리디크립트부(350)는 상기 별도의 문의 수단이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소비부(100)로부터 획득한 미리 지정된 인식키를 기반으로 측량 정보(b1)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인식키의 사용이 가능한 소비부(100)에 한해서만 측량 정보(b1)의 공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성의 향상 및 정보 조회의 신속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 및 과정을 통해,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본 훼손 없이도 용이하게 수집 및 가공할 수 있어, 편의성 측면에서 종래 기술 대비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서 파악이 필요한 부분만 노출시키고 개인정보는 가명처리 또는 익명처리함으로써, 보안성 및 정보 제공 신속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가 먼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서 연결점을 만들어 접근 및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전력 정보의 수집을 위한 별도의 설비 및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소비부 200: 운영부
310: 수집부 320: 구별부
330: 디크립트부 340: 인크립트부
350 : 리디크립트부
s110: 수집 단계 s120: 구별 단계
s130: 디크립트 단계 s140: 인크립트 단계

Claims (2)

  1. 소비부(100) 및 운영부(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값(a) 및 수신값(b)을 수집하는 복수의 수집부(310);
    상기 수집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값(b) 만을 선별하는 구별부(320);
    상기 구별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값(b) 내 측량 정보(b1) 및 소비 정보(b2)를 디코딩하는 디크립트부(330); 및
    상기 디크립트부(330)와 연결되어 상기 측량 정보(b1)를 암호화하는 인크립트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크립트부(340)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값(b)을 전달받으며, 상기 측량 정보(b1)를 다시 복호화하는 리디크립트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0210183989A 2021-12-21 2021-12-21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20230094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89A KR20230094654A (ko) 2021-12-21 2021-12-21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89A KR20230094654A (ko) 2021-12-21 2021-12-21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654A true KR20230094654A (ko) 2023-06-28

Family

ID=8699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989A KR20230094654A (ko) 2021-12-21 2021-12-21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6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15A (ko) 2002-11-19 2004-05-28 주식회사 타오네트웍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KR101151919B1 (ko) 2010-07-27 2012-06-01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와 바이패스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215A (ko) 2002-11-19 2004-05-28 주식회사 타오네트웍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KR101151919B1 (ko) 2010-07-27 2012-06-01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와 바이패스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8217B (zh) 用于计量设施消耗的设施仪表和用于管理上游通信的方法
EP3055972B1 (en) Securing a device and data within the device
JP5311459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外部アクセス装置
KR101512502B1 (ko) 하드웨어 보안모듈이 적용된 ami 보안 시스템
KR101133378B1 (ko) 보안 기능이 적용된 원격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기능이 적용된 원격 전력 미터링 시스템
CN103827636A (zh) 管理设施仪表通信的系统和方法
KR101772936B1 (ko) 일회성 패스워드를 이용한 ami 보안시스템 및 방법
KR101023709B1 (ko) 원격 검침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및 이의 키 교환 방법
KR101357074B1 (ko) 공개키 기반의 키 공유 메커니즘을 이용한 보안 키 설정 방법
WO2014030186A1 (ja) 中継装置、中継方法、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中継システム
Akgün et al. A privacy-preserving scheme for smart grid using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CN104854598B (zh) 嵌入在线缆中的有源组件
KR102017727B1 (ko) 검침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94654A (ko) 공동 사용 공간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KR101326530B1 (ko) 원격 검침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아이디를 이용한 상호 인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278077B (zh) 一种用于获取电能表数据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171882A1 (ko) 보안모듈이 적용된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20068640A (ko) 공동주택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 수집 장치
US8331565B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preferably for an energy distribution network
KR20220126517A (ko) 선택적 요금제 지원을 위한 미터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장치가 수행하는 개인 정보 비식별화 방법
WO2013012163A1 (ko) 비밀키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20210077050A (ko) Ami 시스템의 보안 방법
WO2023008651A1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미터링 시스템
WO2012164666A1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外部アクセス装置
WO2022050626A1 (ko)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