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828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828A
KR20230093828A KR1020210182751A KR20210182751A KR20230093828A KR 20230093828 A KR20230093828 A KR 20230093828A KR 1020210182751 A KR1020210182751 A KR 1020210182751A KR 20210182751 A KR20210182751 A KR 20210182751A KR 20230093828 A KR20230093828 A KR 2023009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rque
regenerative braking
speed
cr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진
이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828A/en
Publication of KR2023009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8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차 중인 차량의 주행 이질감이나 백래쉬에 의한 쇼크를 저감할 수 있게 한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시키는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기어 정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aking, which can reduce a driving sensation or shock caused by backlash of a stopped vehicle.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bra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decel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intention is the vehicle stopping intention a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a preset value when the speed of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and a gear alignment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e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a driving direction before the vehicle stops.

Figure P1020210182751
Figure P1020210182751

Description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본 발명은 전기 모터가 구비된 차량이 약 브레이크로 제동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의도치 않았던 크립 주행이 실행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주행 이질감이나 백래쉬에 의한 쇼크를 저감할 수 있게 한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lash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that can reduce the shock caused by backlash or driving discomfort that may occur when a driver unintentionally creeps in a situation where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is braked with weak brakes. It relates to a shock reduction device and method.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를 동력원으로 구비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동화 차량은 내연기관을 동력원으로 구비한 자동차와 같은 크립토크가 없다.In general, an electrified vehic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does not have the same creep torque as a vehicle ha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power source.

그에 따라, 전기 모터를 동력원으로 구비한 차량은 운전자의 주차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크립토크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킴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크립토크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발생되는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따라 크립토크를 가변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common for vehicles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to artificially generate a certain level of creep torque in order to improve driver's parking convenience. Such creep torque may be variab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brake torque gen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그러나, 크립토크가 발생되는 차량은 브레이크 토크가 작은 상황, 즉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는 감속되다가 운전자의 의도와 달리 크립주행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였다.However,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a vehicle generating creep torque decelerates in a situation where the brake torque is small, that is, in a weak braking situation, and then converts to creep driving contrary to the driver's intention.

이와 같이 제동이 이루어지던 중 크립주행으로 전환될 경우,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 회생제동(- 토크)을 하던 전기 모터가 급작스럽게 구동(+ 토크) 상태로 천이 되면서 백래쉬에 의한 쇼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when switching to creep driving during braking, the electric motor, which had been performing regenerative braking (-torque) in a weak brake situation, suddenly transitioned to a driving (+ torque) state, causing shock due to backlash. .

또한,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 운전자가 감속 상태의 유지 및 정차를 의도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크립주행으로 전환됨으로 인하여 차량의 거동이 운전자의 의도와 다르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different from the driver's intention due to the vehicle being switched to creep driving even though the driver intends to maintain the deceleration state and stop in the weak brake situation.

본 발명은 전기 모터가 구비된 차량이 약 브레이크로 제동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의도치 않았던 크립 주행이 실행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주행 이질감이나 백래쉬에 의한 쇼크를 저감할 수 있게 한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lash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that can reduce the shock caused by backlash or driving discomfort that may occur when a driver unintentionally creeps in a situation where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is braked with weak brakes. It is to provide a shock reduc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임의의 값으로 변경시키는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기어 정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receives bra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decel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intended intention is to stop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and a gear alignment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e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a driving direction before the vehicle stops.

또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생제동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차속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may include: a brake torque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viously 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present using a motor torque value generated from an electric motor when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vehicle speed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speed of the decelerating vehicle with a preset arbitrary speed 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또한, 상기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는, 브레이크 토크를 비교한 결과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약 브레이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ke torque comparator may determine that a weak brake situation in which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current brake torqu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rake torques.

또한, 상기 회생제동 판단부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을 경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when the value of the motor torqu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또한, 상기 차속 비교부는,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peed comparator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또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크립토크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controls to change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0 N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and otherwise, the brake torque It may further include a creep torque determining unit which controls to generate a creep torqu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또한,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는,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범위 내에서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차 중인 차량의 모터 토크를 음(-)의 토크에서 양(+)의 토크로 미리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ear alignment control unit rotates the gear in the driving direction within the clearance range between the two gear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to change the motor torque of the stopped vehicle from negative (-) torque to positive (+) torque in advance. can be conver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차량 구동에 대비하여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bra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decel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etermines the intention of the driver to stop. controlling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and performing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ing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a driving direction in preparation for driving the vehicle before stopping the vehicle.

또한,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may include comparing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viously 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changing the creep torque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present using a motor torque value generated by an electric motor when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comparing the speed of the decelerating vehicle with a previously set arbitrary speed 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또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브레이크 토크를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the brake torque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vehicle is compared with an arbitrary set value set as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so that the current brake torque is arbitrarily determined. If it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of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또한, 상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을 경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when the value of the motor torqu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또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vehicle speed with the arbitrary speed, when the vehicle speed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vehicle is s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또한,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크립토크 결정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be changed to 0N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and otherwise, the brak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reep torque determining step of controlling to generate a set creep torq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torque.

또한, 상기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범위 내에서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차 중인 차량의 모터 토크를 음(-)의 토크에서 양(+)의 토크로 미리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ligning the gears, the motor torque of the stopped vehicle is changed from negative (-) torque to positive (+) by rotating the gear in the drive direction within the clearance range between the two gear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It can be converted to torque in advan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브레이크 토크가 0Nm이 아닌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도 운전자가 여전히 정차 의도를 갖고 있을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크립토크를 0Nm로 변경하여 정차 의도에 반하는 크립 주행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still has an intention to stop even in a weak brake situation where the brake torque is not 0 Nm, the creep torqu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is changed to 0 Nm to match the intention to sto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ary creep run from being execut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차량의 정차 전에 기어 정렬을 위한 약한 구동 토크를 인가하여 구동 방향 쪽의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가 구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경우에도 차량의 속도가 급작스럽게 변하는 백래쉬 쇼크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weak driving torque for gear alignment before stopping the vehicle to remove play in the driving direction, the vehicle speed even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brake pedal for driv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backlash shock in which the abruptly change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a는 브레이크 토크와 크립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b는 브레이크 토크와 구동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 크립토크 상승으로 인한 백래쉬 쇼크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백래쉬 쇼크 방지를 위한 기어 정렬이 실행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회생제동 중 모터 토크가 제어될 경우의 모터 토크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ke torque and creep torque;
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ke torque and driving force.
3 is a graph showing the occurrence of backlash shock due to the increase in creep torque in a weak brake condi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gear alignment for preventing backlash shoc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 motor torque profile when motor torque is controlled during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모터 제어기(MCU),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 제어기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unit or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name of a motor controller (MCU), hybrid controller (HCU), etc. is a term widely used for nam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a specific function of a vehicle. However, it does not mean a generic function unit. For example, each controller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controllers or sensors to control the function in charge, a memory that stores operating system or logic commands and input/output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that performs judgment, calculation, and decis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in charge.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processor.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시키는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100)와,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기어 정렬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bra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decel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intention. A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00 that changes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a preset value when the vehicle speed is decelerat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with the intent to stop; It may include a gear alignment control unit 200 that performs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ing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s between drive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the driving direction.

전기 모터가 구비된 차량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 등 운전감 향상을 위하여 브레이크가 오프(Off)되거나 브레이크 토크가 일정수준 이하(예를 들어, 브레이크 토크가 500 Nm 이하인 경우)로 감소할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여 크립주행이 가능하게 한다.In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when the brake is turned off or the brake torque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brake torque is 500 Nm or less) to improve driving comfort, such as driver's driving convenience, the brake torque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creep torque, a preset creep torque is generated to enable the creep run.

그에 따라, 브레이크 토크와 크립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토크가 500 Nm보다 클 경우에는 제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크립토크를 생성하지 않지만, 브레이크 토크가 500 Nm보다 작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크립토크를 가변적으로 생성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A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ke torque and creep torque, when the brake torque is greater than 500 Nm, no creep torque is generated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braking, but when the brake torque is less than 500 Nm A creep torqu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variably generated.

이와 같이 생성되는 크립토크는 브레이크 토크와 구동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토크가 감소하는 약 브레이크 상황으로 변함에 따라 크립주행을 유도하는 구동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구동력은 크립토크에서 브레이크 토크를 차감하고 차량 부하를 차감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토크가 감소하여 산출되는 구동력이 양의 값을 갖게 될 경우 차량은 정차하지 않고 주행을 위한 구동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B ,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ke torque and driving force, the creep torque generated in this way generates a driving force that induces creep driving as the brake torque changes to a weak brake situation. In this case, the driving force may be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brake torque and the vehicle load from the creep torque, and when the calculated driving force has a positive value due to the decrease in the brake torque, the vehicle does not stop and is in a driving state for driving. will transition to

따라서,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가 작은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 회생제동 중이던 차량이 크립토크에 의해 구동 상태로 천이될 경우 차량의 가속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백래쉬 쇼크를 초래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vehicle in regenerative braking transitions to a driving state due to creep torque in a weak brake situa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brake torque is smal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rapidly increases, causing backlash shock.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어 횔속도가 감소하며 정차를 준비하던 중, 브레이크 토크가 크립토크 발생조건을 충족시키는 정도까지 감소하면 크립토크가 발생되면서 모터토크를 증가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brake pedal is operated by the driver to reduce the wheel speed and prepare to stop, when the brake torque decreases to the extent that satisfies the creep torque generating condition, the creep torque is generated and the motor torque will increase

이와 같이 발생된 크립토크는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은 차량 가속도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면서 백래쉬 쇼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reep torque generated in this way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vehicle, and this driving force may cause a rapid increase in vehicle acceleration and generate backlash shock.

도 3에서는 휠속도의 감소 기울기가 줄어드는 약 브레이크 상황에서 발생된 크립토크가 더해지면서 모터토크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고, 증가된 모터토크에 의해 차량의 가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백래쉬 쇼크가 발생되는 것을 나타내었다.3 shows that the motor torque increases as the creep torque generated in the weak braking situation in which the slope of the wheel speed decreases decreases, an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ncreases rapidly due to the increased motor torque, resulting in backlash shock. showed up

또한, 도 3에서 휠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정차 의도를 갖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음에도 차량의 휠속도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차속이 증가하면서 크립주행을 진행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graph showing the change in wheel speed in FIG. 3, even though the driver has the intention of stopping and presses the brake pedal, the wheel speed of the vehicle no longer decreases, but rather creeps while increasing. You can check.

이와 같이 정차를 의도하고 있는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 달리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100)는 브레이크 토크와 모터토크 및 차량의 속도 등을 제동 정보로 획득하여 운전자의 정차 의도를 판단한 후 크립토크를 크립주행을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 발생시킬지 또는 안정적인 정차를 위해 0 Nm으로 변경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vehicle intending to stop from driving against the driver's intention,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00 acquires brake torque, motor torque, and vehicle speed as braking information to preven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After determining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the creep torque at a preset value for creep driving or to change it to 0 Nm for stable stopping.

이를 위하여,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100)는,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차량 제어기(VCU : Vehicle Control Unit)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 Hybrid Control Unit)를 비롯하여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각종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vehicle control unit (VCU) included in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control unit (HCU) included in a hybrid vehicle, as well as electronic controls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by using brak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controllers such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100)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110)와,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생제동 판단부(120)와,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차속 비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brake torque comparison unit 110 that compares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ing unit 12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using a motor torque value generated from an electric motor when a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being decelerated 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t may include a vehicle speed comparison unit 130 that compares with a preset arbitrary speed.

이때, 상기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110)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브레이크 가압 정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브레이크 토크를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ke torque comparator 110 compares the brake torque that can be generated at the degree of brake pressure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with an arbitrary set value set as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and compares the current brake torqu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orque satisfies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상기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110)는, 브레이크 토크를 비교한 결과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예를 들어, 500Nm)보다 작을 경우에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약 브레이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brake torque comparison unit 110 compares the brake torque and the current brake torqu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eg, 500 Nm),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changing the creep torque is satisfied in a weak brake situation. can do.

또한, 상기 회생제동 판단부(120)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는지 판단하여, 음의 값을 갖을 경우에는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motor torqu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and if it has a negativ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

또한, 상기 차속 비교부(130)는,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vehicle speed comparat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일 예로서, 상기 차속 비교부(130)는 차량에 구비된 차속 센서나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속도가 3kph 보다 느릴 경우에는 운전자가 현 속도로 크립주행을 하기보다는 정차하고자 하는 의도가 더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정차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차량의 속도를 3kph보다 낮거나 높은 임의의 속도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an example, the vehicle speed comparator 130 determines that the driver has a stronger intention to stop rather than creep at the current speed when the vehicle speed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or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slower than 3 kph. can judge In this case, of course,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determining that the driver is stopped may be set to an arbitrary speed lower than or higher than 3 kph.

또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100)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크립토크 결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be changed to 0 N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and otherwise The creep torque determiner 14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to generate a set creep torq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brake torque.

상기 크립토크 결정부(140)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브레이크 토크와 모터 토크와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정차 직전까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된다고 판단될 경우 크립토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의도에 맞는 안정적인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The creep torque determin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until immediately before stopping using the brake torque, motor torque, and vehicle speed acquired from various controlle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maintained, it is changed so that creep torque is not generated so that a stable stop suitable for the driver's intention can be achieved.

이때, 상기 크립토크 결정부(140)는 상기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110)에서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크기 때문에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eep torque determiner 140 determines that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not satisfied because the brake torq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brake torque comparator 110, and sets a preset creep torque. can be configured to create

또한, 상기 크립토크 결정부(140)는 상기 회생제동 판단부(120)에서 모터 토크가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도 회생제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eep torqu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not established even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motor torque has a positive value and generates a preset creep torque.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크립토크 결정부(140)는 상기 차속 비교부(130)에서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클 경우에도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변경되거나 보류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reep torque determiner 140 determines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has changed or is pending eve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vehicle speed comparator 130 is greater than a certain speed, and generates a preset creep torque. can be configured to

또한, 상기 크립토크 결정부(140)는, 발생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한 이후에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오프시키거나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정도를 감소시켜 브레이크 토크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정차 대신 크립주행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e torque is reduced by the driver turning off the brake pedal 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even after changing the generated creep torque to 0 Nm, the creep torque determiner 140 determines that the driv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reset creep torque by determining that creep driving is intended instead of stopping the vehicle.

또한,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모터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약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들(예컨대, 감속기 및/또는 차동기어)을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기어 정렬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ar alignment controller 200 generates a weak torque for rotating the electric motor in a driving direction to the electric motor to drive gears (eg, a reduction gear and/or a differential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It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gear alignment that closely adheres in the direction.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에 있을 경우,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와 감속기 및 디프부에 구비된 기어들이 역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4 , the gears provided in the electric motor, the reduction gear, and the diff unit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4에서는 전기 모터의 기어와 디프부의 기어 일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면서 회생제동 상태에서는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톱니가 역방향으로 밀착되어 있어 두 톱니 사이의 유격(즉, 백래쉬)이 구동 방향 쪽에 발생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4 schematically shows only the gears of the electric motor and a part of the gears of the diff unit, and in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the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gap between the two teeth (i.e., backlash) is gener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indicates

이와 같이 백래쉬가 구동 방향 쪽에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크립주행이 이루어지거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오프(Off)시키고 가속 페달을 밟는 등 구동 상태로 변경될 경우, 기어가 회전하며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내에서 맞부딪쳐 백래쉬 쇼크를 초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acklash is gener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creep driving is performed or the driver turns off the brake pedal and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the gear rotates and the gear rotates within the gap between the two teeth. It may collide and cause backlash shock.

이러한 백래쉬 쇼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200)는,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들(예컨대, 감속기 및/또는 차동기어)을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약한 구동 토크를 전기 모터에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is backlash shock, the gear alignment control unit 200,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It can be controlled to apply a weak driving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이때,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200)는 구동 방향으로의 기어 정렬을 위해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범위 내에서만 기어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므로, 수 Nm 크기(예를 들어, 약 5Nm)의 약한 모터 토크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gear alignment controller 200 intends to rotate the gear only within the range of play between two gear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for gear alignment in the driving direction, the size of several Nm (for example, about 5 Nm) It can be controlled to apply a weak motor torque of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200)는 차량의 정차 전 약한 구동 토크를 인가하여, 정차된 차량 또는 정차를 준비 중인 차량의 모터 토크를 음(-)의 토크에서 양(+)의 토크로 미리 전환시킴으로써 이후의 주행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백래쉬 쇼크를 저감할 수 있다.The gear alignment controller 200 applies a weak driving torque before the vehicle stops, and converts the motor torque of the stopped vehicle or the vehicle preparing to stop in advance from negative (-) torque to positive (+) torque. It is possible to reduce backlash shock that may occur in the initial stage of driving.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인 경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00)와,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bra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decelerated by a driver's brake operation, determines the driver's intention,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intention. controlling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be changed to a preset valu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celerat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intention is to stop (S100); It may include a step (S200) of performing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ing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s between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the driving direction.

이때,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S100)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10)과,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20)과,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S100) includes the step of comparing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changing the creep torque is satisfied (S110); When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using the motor torque val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S120), and if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the speed of the decelerating vehicle is determined It may include a process of comparing with a set arbitrary speed (S130).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브레이크 토크를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S110), the brake torque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compared with an arbitrary set value set as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so that the current brake torque is If it is smaller than a certain set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if no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atisfied.

이때, 도 5에서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되는 임의의 설정값을 500Nm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토크가 500Nm보다 작을 경우에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약 브레이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예로 나타내었다.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되는 임의의 설정값이 500Nm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FIG. 5, an arbitrary setting value that is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et to 500 Nm, and when the brake torque is less than 500 Nm,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is a weak brake situation in which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generated creep torque to be generated is shown as an example. Of course, an arbitrary set value that is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not limited to 500 Nm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set.

또한, 상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S120)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는지 또는 양의 값을 갖는지 판단하여, 음의 값을 갖을 경우에는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회생제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in place (S1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motor torqu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or a positiv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and if not,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not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또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S130)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여,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정차보다는 현상태로의 추가적인 주행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with an arbitrary speed (S130), the speed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vehicle is compared with a preset arbitrary speed, so that the vehicle speed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If it is slow,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and if no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iver intends to continue driving in the current state rather than stopping.

이때, 도 5에서는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의의 속도를 3kph로 설정하고, 차량의 속도가 3kph보다 작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한 임의의 속도가 3kph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FIG. 5, an arbitrary speed for determining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set to 3 kph,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less than 3 kph,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Of course, the arbitrary speed for this determination is not limited to 3 kph and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또한,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S100)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결정하는 크립토크 결정과정(S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S100),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is determined to be 0 Nm, otherwise A creep torque determination process ( S140 ) of determining to generate a set creep torq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brake torqu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크립토크 결정과정(S140)에서는, 브레이크 토크와 모터 토크와 차량 속도 등의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된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크립토크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운전자의 의도에 맞는 안정적인 정차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In the creep torque determining process (S1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using braking information such as brake torque, motor torque, and vehicle speed, creep torque is not generated so that the vehicle stops safely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make it possible

또한, 상기 크립토크 결정과정(S14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한 이후에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오프시키거나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정도를 감소시켜 브레이크 토크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정차 대신 주행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reep torque determining process (S140), as shown in FIG. 5, even after changing the creep torque to 0 Nm, the driver turns off the brake pedal or reduces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so that the brake torque is reduced. If it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ntends to drive instead of stopping, and control may be performed to generate a preset creep torque.

또한, 상기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전기 모터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약한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들(예컨대, 감속기 및/또는 차동기어)을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기어 정렬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ligning the gears (S200), a weak driving torque for rotating the electric motor in a driving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electric motor so that gears (eg, a reducer and/or a differential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gear)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gear alignment that closely adheres to the drive direction.

즉. 차량이 회생제동 중에는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들 상호간이 역방향으로 밀착되어 있어 톱니 사이의 유격이 구동 방향 쪽에 발생된 상태로 정차하게 된다.in other words. During regenerative braking, the gears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ing whee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vehicle stops with a gap between the teeth in the driving direction.

그에 따라, 상기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S200)에서는, 톱니 사이의 유격이 역 방향쪽에 발생될 수 있도록,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들을 구동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약한 구동 토크를 전기 모터에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tep of aligning the gears (S200), a driving torque weak enough to bring the gears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the driving direction is appli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teeth can be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can be controlled to apply to the motor.

도 5에서는 기어 정렬을 위해 전기 모터에 발생시키는 모터 토크의 크기의 일 예로서 5Nm를 인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기어 정렬을 위해 발생시키는 모터 토크의 크기가 5Nm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의 부하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shows that 5 Nm can be applied as an example of the amount of motor torque generated in the electric motor for gear alignment.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agnitude of motor torque generated for gear alignment is not limited to 5 Nm and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vehicle load.

이와 같이 브레이크 토크에 의해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크립토크를 ONm으로 변경하고, 차량의 정차 전 약한 구동 토크를 인가하여 모터 토크를 양(+)의 토크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백래쉬 쇼크 없이 운전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정차 및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is way,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is slower than a certain speed due to the brake torque, the creep torque is changed to ONm, and a weak drive torque is applied before the vehicle stops to convert the motor torque to a positive (+) torque state. , Stopping and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intention without backlash sho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0 Nm보다 큰 브레이크 토크를 발생시키면, 차량은 회생제동 상태가 되고 차량의 속도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 도 6에서는 모터 토크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회생제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brake pedal to generate a brake torque greater than 0 Nm, the vehicle enters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and the vehicle speed gradually decreases. 6 shows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n which the motor torque has a negative value.

이후 차량의 속도가 감소하여 정차 직전, 즉 차량의 속도가 0kph에 가까워지는 상황이 되면 차량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브레이크 토크가 0Nm이 아니어서 운전자는 여전히 정차 의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발생될 크립토크를 0Nm로 변경하여 정차 의도에 반하는 크립 주행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decreases and immediately before stopping, that is,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approaches 0 kph, a preset creep torque is generated in the vehicle. However, since the current brake torque is not 0 Nm,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river still has an intention to stop, and thus, the creep torque to be generated is changed to 0 Nm to prevent creep driving against the intention to stop.

도 6에서는 모터 토크가 0Nm에 가까워져도 도 3과 달리 차량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0kph에 이르기까지 감소하지 않는 것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에 반하는 크립주행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6 , unlike FIG. 3 , even when the motor torque approaches 0 Nm, the vehicle speed does not increase and does not decrease until it reaches 0 kph, so it can be seen that creep driving against the driver's intention is not executed.

또한, 차량이 정차 직전 상황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정렬을 위한 양(+) 방향의 모터 토크를 발생시켜 회생 제동 중 역방향으로 밀착되어 있던 기어의 톱니들이 구동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이후의 구동을 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about to stop, as shown in FIG. 6, motor torque is generat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for gear alignment so that the teeth of the gear that were in close contact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regenerative braking are in close contact in the driving direction. drive can be prepared.

도 6에서는 이와 같이 기어 정렬을 위해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모터 토크를 양(+)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가 사라지는 톱니파의 형태로 모터 토크 그래프에 나타내었다.In FIG. 6 , a small motor torque applied for gear alignment is shown on a motor torque graph in the form of a sawtooth wave that temporarily rises in a positive (+) direction and then disappears.

이와 같이 정차 전에 인가되는 약한 모터 토크에 의해 기어 정렬을 수행하여 구동 방향 쪽의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가 구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경우(도 6에서는 브레이크 토크가 0Nm로 감소되는 경우로 나타내고 있다)에도 차량의 속도가 급작스럽게 변하는 백래쉬 쇼크 없이 크립토크에 의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such, gear alignment is performed by the weak motor torque applied before stopping to remove play in the driving direction, so that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brake pedal for driving (in FIG. 6, the brake torque is reduced to 0 Nm). ), it can be confirmed that stable driving is achieved by the creep torque without backlash shock in which the speed of the vehicle suddenly changes.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
110 :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 120 : 회생제동 판단부
130 : 차속 비교부 140 : 크립토크 결정부
200 : 기어 정렬 제어부
100: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110: brake torque comparison unit 120: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130: vehicle speed comparison unit 140: creep torque determining unit
200: gear alignment control unit

Claims (15)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임의의 값으로 변경시키는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기어 정렬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driver's intention is determined by receiving brak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being decelerated by the driver's brake operation, and when the determined intention is to stop and the vehicle's speed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creep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a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torque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device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including a gear alignment control unit generating drive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s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a driving direction before the vehicle stops, thereby aligning the gears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생제동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차속 비교부;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a brake torque comparator comparing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present using a motor torque value generated from an electric motor when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device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comprising: a vehicle spee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under deceleration with a previously set arbitrary speed 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토크 비교부는,
브레이크 토크를 비교한 결과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약 브레이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rake torque comparison unit,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which determines that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current brake torqu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as a result of comparing brake torqu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 판단부는,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을 경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ation unit,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when the value of motor torque received from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속 비교부는,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speed comparison unit,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which determines that the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is slower than a certain spe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제어부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크립토크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reep torque change control unit,
Control to change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0 N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otherwise the creep torque set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brake torque An apparatus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further comprising: a creep torque determiner controlling to gene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정렬 제어부는,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범위 내에서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차 중인 차량의 모터 토크를 음(-)의 토크에서 양(+)의 토크로 미리 전환시키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ear alignment control unit,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that converts the motor torque of a stopped vehicle from negative (-) torque to positive (+) torque in advance by rotating the gear in the driving direction within the play range between the two gear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Backlash shock reduction device.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감속되는 차량의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의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의도가 정차 의도이면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속도 이하로 감속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정차 전 상기 전기 모터와 구동륜 사이의 기어를 차량 구동에 대비하여 구동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동 토크를 상기 전기 모터에 발생시켜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driver's intention is determined by receiving brak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being decelerated by the driver's brake operation, and when the determined intention is to stop and the vehicle's speed is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creep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Controlling to change the torque to a preset value; and
performing gear alignment by generating drive torque to the electric motor to bring the gear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ing wheels into close contact in a driving direction in preparation for driving the vehicle before the vehicle stops, thereby aligning the gears; How to reduce shock.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토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전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이 회생제동 상태일 경우 감속 중인 차량의 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determining whether a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by comparing the brake torque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determining whether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present using a value of motor torque generated by an electric motor when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method of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comprising: comparing a speed of the vehicle under deceleration with a previously set arbitrary speed when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브레이크 토크를 상기 크립토크 변경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브레이크 토크가 임의의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크립토크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The brake torque obtained from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compared with an arbitrary set value set as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reep torque chang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current brake torque is smaller than the arbitrary set value.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모터 토크의 값이 음의 값을 갖을 경우 회생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generative braking state is in,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regenerative braking state when a value of motor torque received from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has a negative valu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임의의 속도와 비교하는 과정은,
차량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획득한 차량의 속도가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운전자의 정차 의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with an arbitrary speed,
A method of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determining that a driver's intention to stop is maintained when the vehicle speed obtained from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크립토크를 변경하는 단계는,
회생제동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속도보다 느릴 경우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크립토크를 0Nm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크립토크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크립토크 결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changing the creep torque,
Control to change the creep torqu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to 0 Nm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a regenerative braking situation, otherwise the creep torque set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brake torque A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further comprising a creep torque determining process for controlling to genera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어 정렬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어 상호간이 맞물리는 두 톱니 사이의 유격 범위 내에서 기어를 구동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차 중인 차량의 모터 토크를 음(-)의 토크에서 양(+)의 토크로 미리 전환시키는,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performing the gear alignment,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that converts the motor torque of a stopped vehicle from negative (-) torque to positive (+) torque in advance by rotating the gear in the driving direction within the play range between the two gear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How to reduce backlash shock.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생제동 중인 차량의 백래쉬 쇼크 저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a vehicle under regenerative brak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KR1020210182751A 2021-12-20 202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KR202300938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51A KR20230093828A (en) 2021-12-20 202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51A KR20230093828A (en) 2021-12-20 202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828A true KR20230093828A (en) 2023-06-27

Family

ID=8694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751A KR20230093828A (en) 2021-12-20 202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8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070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053274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torque in electric vehicle
JP5074876B2 (en) Idle stop mode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JP5668856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0884491B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JP2016028913A (en) Vehicle pitching vibration control device
KR20180057277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e cooperation system
CN110753649B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wheels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allowable regenerative torque
JP2022518472A (en) Control unit that provides one-pedal feeling and / or creep function
JP4355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e unit
US2021035469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control unit, motor vehicle
CN108137008B (en) Electric brake device
JP2017056746A (en) Electric brake device
KR202300938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acklash shock of vehicle during regenerative breaking
JP4499691B2 (en) Braking control device
CN110107412A (en) A kind of engine control improving the excessively curved performance of vehicle
KR100520569B1 (en) Method of controlling creep torque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JP2021138175A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04553822A (en) Electric-machines-drag torque compensation
US11833960B2 (en) Vehicle including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e lamp for the same
US11565697B2 (en) Vehicle equipped with electric motor and park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7416631B2 (en) vehicle
JP5966662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WO2021130859A1 (en)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and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KR202301121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u-turning radius of electrifie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