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623A -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623A
KR20230092623A KR1020210182173A KR20210182173A KR20230092623A KR 20230092623 A KR20230092623 A KR 20230092623A KR 1020210182173 A KR1020210182173 A KR 1020210182173A KR 20210182173 A KR20210182173 A KR 20210182173A KR 20230092623 A KR20230092623 A KR 2023009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docent
hearing
sign langu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현
우정인
이정후
조우진
Original Assignee
이나현
우정인
이정후
조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현, 우정인, 이정후, 조우진 filed Critical 이나현
Priority to KR102021018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623A/ko
Publication of KR2023009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와,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와,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EXHIBITION DOCENT SERVICE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도슨트에 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 청소년들은 문화를 누리기 어려운 소외집단으로 문화예술 체험 기회가 부족하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실제 500명의 장애인들을 선별하여 여가 생활을 조사한 결과, 그 중에서 5%인 25명만이 미술 관련 여가활동을 즐긴다고 대답했다. 이는 비장애인의 여가생활 중 문화예술 관람 활동이 16.7%를 차지한 것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이 관람하기에 문화예술 활동의 접근성이 낮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2019년 기준 등록장애인 중에서 청각장애인은 14.4%인 377,000명으로서 장애 유형 중 두 번째로 많다. 비장애인의 경우, 전시 관계자가 관람객들에게 전시물 및 작가 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전시물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돕는 도슨트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시물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도슨트 서비스는 청각적인 설명으로 제공되므로,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은 도슨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
나아가, 미술관의 도슨트 서비스는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시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118호(2019.06.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각장애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도슨트에 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각장애인이 원하는 시간에 전시 도슨트를 수어 형태로 제공하여 청각장애인의 적극적인 전시관람을 도울 수 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시 도슨트 내에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필담(자막)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후천적 장애에 의해 수어나 구어를 할 수 없는 청각장애인과 고령자 등 다양한 대중들에게 맞춤형 전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와,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와,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화자의 동작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동작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대해 수화자의 손짓의 형태와 방향 및 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의미를 대응시킨 후,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시 도슨트와 상기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텍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수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수어와 상기 텍스트를 동기화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전시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와,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와,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화자의 동작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동작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대해 수화자의 손짓의 형태와 방향 및 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의미를 대응시킨 후,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시 도슨트와 상기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텍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수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수어와 상기 텍스트를 동기화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전시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장애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도슨트에 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장애인이 원하는 시간에 전시 도슨트를 수어 형태로 제공하여, 청각장애인의 적극적인 전시관람을 돕고 문화 생활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 도슨트 내에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필담(자막)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후천적 장애에 의해 수어나 구어를 할 수 없는 청각장애인과 고령자 등 다양한 대중들에게 맞춤형 전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를 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라고도 함)(100)는 사용자가 소지 가능한 장치 형태로 구현되거나, 이동 단말 등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정보는 작품 장르, 작가, 화풍, 작업 방식, 내용, 주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분류이거나,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분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110)는 청각장애인으로부터 관심 정보를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전시품과,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시품은 해당 전시관에서 전시하는 모든 작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시 도슨트는 수어, 구어, 필담(자막),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어(Sign language, 수화)는 음성 대신 손의 움직임을 포함한 신체적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시각 언어이다. 수어는 손가락이나 팔로 그리는 형태, 그 위치나 이동, 표정이나 입술의 움직임 등을 종합하여 행해진다. 음성 언어와 마찬가지로 자연언어에 속하므로,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이 존재하며 음성 언어의 모국어 습득과 마찬가지로 자연 습득된다.
구어는 음성에 의해 표현되는 언어이다.
필담(자막)은 음성언어가 아닌 문자언어로 대화를 주고받는 행위이다. 수화를 모르는 사람이 청각장애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끼리 공유하는 공통의 문어가 존재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전시 도슨트는 각각의 작품에 대하여 수어, 구어, 필담 및 영상 등의 형태로 생성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임베디드 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모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 모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은 인공 지능 모델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인공 지능 모델에 포함된 복수의 레이어에 대한 정보,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필터 계수, 바이어스 등)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심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분류뿐만 아니라,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분류도 포함한다. 따라서, 예측되지 못한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대해서도 전시 도슨트를 큐레이션 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전시 도슨트와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수화자의 동작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동작으로 분리하고,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대해 수화자의 손짓의 형태와 방향 및 각도를 추출하고,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의미를 대응시킨 후, 이에 기초하여 제1전시 도슨트와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는 관절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화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전시 도슨트는 텍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전시 도슨트를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수어로 변환하고, 제1전시 도슨트를 텍스트로 변환하며, 수어와 텍스트를 동기화한 후 디스플레이(140)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수어와 이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동기화되어 표시됨으로써,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전시 도슨트를 청각장애인이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전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전시품에 대응하는 제2전시 도슨트를 증강 현실(Augment Reality: AR)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장애인이 다른 관람 위치로 이동하면, 이동된 위치에 존재하는 전시품에 대한 전시 도슨트가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와 관련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전시품을 비추면, 해당 전시품에 대한 전시 도슨트가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관련되어 증강 현실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응하여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가 드로잉 기법인 경우,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하고, 드로잉 기법의 실제예를 영상이나 AR로 표시할 수 있다. 관심 정보가 작가의 생애인 경우, 텍스트 형태로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하고, 작가의 생애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청각장애인에게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에 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심 정보와 전시 도슨트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전에 정의된 분류에 대한 관심 정보와 전시 도슨트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분류에 대한 관심 정보에 대한 전시 도슨트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는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관심 정보와 전시 도슨트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곱 신경망은 특징 벡터의 분류가 가능한 복수개의 계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계층은 정사각형 형태의 필터들로 구성되는데, 각 필터들은 컨볼루션 연산을 통해 입력 정보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계층 구조는 추출한 특징값들을 다음 컨볼루션 계층을 통과시켜 계속하여 특징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해서 특징을 추출한 후, 전연결(Fully connected, FC) 계층을 통과시켜 성별과 연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분류되지 않은 관심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 -> 합성곱 계층 -> 특징 -> 합성곱 계층 -> 특징 -> 합성곱 계층 -> 특징 -> 전연결 계층 -> 사전에 분류되지 않은 관심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의 추론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사전에 분류된 관심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에 해당하는 레이블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학습시킨 신경망에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입력한다. 이 경우, 관심 정보의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는 커널들로 구성된 레이어 층들을 통과하면서, 세밀한 특징들을 추출하게 되고, 이에 기초하여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서 입력된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의 추론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전에 분류된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와, 사전에 분류되지 않는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를 각각 서로 다른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와 메모리(120) 및 디스플레이(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모델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30)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과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가 전용 프로세서(또는 인공 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특정 인공 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인공 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는 ASIC, FPGA 등의 하드웨어 칩으로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전용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외부 메모리를 이용하기 위한 메모리 처리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와 텍스트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전시 도슨트는 구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만일, 청각장애인 외의 비장애인이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전시 도슨트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수어 기능을 끄고 구어 형태로 전시 도슨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4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분류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가 작품 장르나 작품 기법 등 일반적으로 관람자가 많이 검색하는 정보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검색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사전에 작품 해설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로 뉴모피즘(210)과 국내작품(220)이 입력된다. 이 경우, 뉴모피즘(210)과 국내작품(220)은 사전에 정의된 분류에 해당하는 관심 정보이고, 각각에 대한 작품 해설이 이미 생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장된 작품 해설들 중에서 뉴모피즘(210)과 국내작품(220)에 대응하는 작품 해설만을 추출하여, 전시 도슨트를 구성한다.
한편, 도 2b는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가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분류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가 작가의 생애나 수상 경력이거나, 모더니즘 화풍의 드로잉 기법인 경우 등 일반적으로 관람자가 잘 검색하지 않는 정보인 경우이다.
청각장애인에게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심 정보에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를 생성하여 제공해야 한다.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는 개인별로 각각 상이하며, 또한 원하는 정보의 조합들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모든 관심 정보의 조합을 미리 예측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시 도슨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나아가, 청각장애인에게는 전시 도슨트가 기본적으로 수어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전시 도슨트를 생성하는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검색하지 않는 정보에 대해서는, 사전에 작품 해설을 생성하여 저장하지 않으며, 대신 사전에 저장된 관심 정보와 전시 도슨트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된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대한 전시 도슨트를 생성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로 모더니즘(230)과 드로잉(240)이 입력된다. 이 경우, 모더니즘(230)과 드로잉(240)은 일반적으로 잘 검색되지 않은 키워드의 조합이고, 따라서 사전에 정의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관심 정보로서, 각각에 대한 작품 해설은 없다. 따라서, 저장된 작품 해설을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대응되게 변환하고 편집하여 새로운 전시 서비스를 생성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 도슨트는 청각이 아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청각장애인은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화면에서, 소리없는 전시(310)를 선택한다. 이 경우, 작품 해설은 청각적 수단을 제외한 수단, 즉, 수어, 텍스트, 영상, AR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b는 전시 도슨트가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이다.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화면에는, 텍스트(320) 형태의 작품 해설이 표시된다.
도 3c는 전시 도슨트가 수어와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이다.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화면에는, 수어(330)와 텍스트 형태로 작품 해설이 표시된다. 이 경우, 수어(330)와 텍스트는 대응하는 의미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호 동기화되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수어가 표시될 때 이에 대응하는 제1텍스트가 함께 표시되고, 이어서 b 수어가 표시될 때 이에 대응하는 제2텍스트가 함께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최적화된 전시 도슨트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 도슨트는 수어(410)와 영상(40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400)은 작품을 해설하는 영상이거나, 작품과 관계되는 미디어 아트일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아트(media art)는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예술형태로서, 책이나 잡지, 신문, 만화, 포스터,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등 대중에의 파급효과가 큰 의사소통 수단의 형태를 빌려 표현된다.
수어(410)와 영상(400)은 상호 동기화되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수어가 표시될 때 이와 관련되는 제1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이어서 b 수어가 표시될 때 이와 관련되는 제2영상이 함께 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장애인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여 모바일 수어, 구어 및 필담 등으로 구성된 전시 도슨트 서비스와 다양한 전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이고 풍부한 관람 문화 활동을 돕고 문화적 소외집단의 문화생활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전시 도슨트 서비스는 예약도 가능하며, 청각장애인을 배려한 수화용 UX와 UI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개인별 맞춤 전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람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설정 단계에서 좋아하는 작가나 작품 장르 등의 관심 정보와 연령대와 지역 등의 개인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개인의 취향에 가까운 전시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을 통해, 일반적으로 많이 검색되는 관심 정보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잘 검색되지 않는 편향된 관심 정보에 대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와,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와,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입력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화자의 동작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동작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대해 수화자의 손짓의 형태와 방향 및 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의미를 대응시킨 후,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시 도슨트와 상기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텍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수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수어와 상기 텍스트를 동기화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전시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다르게 제어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시품과 상기 전시품을 해설하는 제1전시 도슨트를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전시 도슨트 중에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추출하여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제2전시 도슨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수어를 포함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수화자의 동작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복수개의 동작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대해 수화자의 손짓의 형태와 방향 및 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의미를 대응시킨 후,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시 도슨트와 상기 수어 간의 변환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시 도슨트는 텍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수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1전시 도슨트를 상기 텍스트로 변환하며, 상기 수어와 상기 텍스트를 동기화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함께 표시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전시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시 도슨트를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장애인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시 도슨트의 표시 유형을 다르게 제어하는,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82173A 2021-12-17 2021-12-17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92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173A KR20230092623A (ko) 2021-12-17 2021-12-17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173A KR20230092623A (ko) 2021-12-17 2021-12-17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23A true KR20230092623A (ko) 2023-06-26

Family

ID=8694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173A KR20230092623A (ko) 2021-12-17 2021-12-17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6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118A (ko) 2017-12-01 201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도슨트 단말, 도슨트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118A (ko) 2017-12-01 201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도슨트 단말, 도슨트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092B2 (ja) ワードフロー注釈
US20200236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deo
KR102576135B1 (ko) 감각 안경류
CN109766065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1877203B2 (en) Controlled exposure to location-based virtual content
CN109729426B (zh) 一种视频封面图像的生成方法及装置
US9094576B1 (en) Rendered audiovisual communication
CN112840398A (zh) 将音频内容变换为图像
US20240119682A1 (en) Recording the complete physical and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of a user
US2017020167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5046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livering recommendations
US116407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ndering virtual objects in user-defined spatial boundary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US202400713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a cgr environment based on audio data and lyric data
US11948263B1 (en) Recording the complete physical and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of a user
KR20230092623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도슨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armigniani Augmented reality methods and algorithms for hearing augmentation
US202201827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Yang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e-receptionist
US11955028B1 (en) Presenting transformed environmental information
US20240104863A1 (en) Contextual presentation of extended reality content
US20240330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sual captions
JP200623779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