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567A - Tee for golf - Google Patents

Tee for go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567A
KR20230092567A KR1020210182075A KR20210182075A KR20230092567A KR 20230092567 A KR20230092567 A KR 20230092567A KR 1020210182075 A KR1020210182075 A KR 1020210182075A KR 20210182075 A KR20210182075 A KR 20210182075A KR 20230092567 A KR20230092567 A KR 2023009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long
ball
golf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585B1 (en
Inventor
안상희
안현욱
Original Assignee
안상희
안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희, 안현욱 filed Critical 안상희
Priority to KR102021018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85B1/en
Publication of KR2023009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3Golf tees foldable or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9Golf tees with direction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골프용 티를 이용하여 롱티와 숏티 기능을 수행하면서 티샷 준비 과정에서 올바른 에이밍을 가능하게 하고, 그린에서는 볼마커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내에서는 스윙연습을 위한 도구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티박스에서 지면과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상체로 구성하는 티바디와;
상기 티바디에 일체로 구비되어 우드, 유틸리티 또는 아이언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볼을 안치하는 숏티와;
상기 티바디에 결합되어 드라이버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볼을 안치하고 티샷에 의하여 타격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롱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golf tee to perform the functions of a long tee and a short tee, enabling correct aiming in the tee shot preparation process, enabling use as a ball marker on the green, and being used as a tool for swing practice indoors. as made possible;
A tea body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so that it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tee box;
a short te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tee body to place a ball so that a tee shot is possible with a wood, utility or iron clu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ng tee that is coupled to the tee body and is upright to allow a tee shot with a driver club to place a ball and tilt in a hitting direction by a tee shot.

Description

골프용 티{TEE FOR GOLF}Tee for golf {TEE FOR GOLF}

본 발명은 골프용 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샷을 위한 볼을 안치하기 위한 숏티와 롱티의 기능은 물론, 그린에서의 볼마커로서의 기능과 티잉 후 분실의 우려를 배제하면서 실,내외에서 스윙연습을 가능하게 하면서 에이밍과 라이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선한 골프용 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e for golf, and more specifically, functions as a ball marker on the green as well as the function of a short tee and a long tee for placing a ball for a tee shot, and practicing swing indoors and outdoors while excluding the fear of loss after teeing. It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n improved golf tee to help with aiming and lie judgment while enabling.

골프는 티박스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티샷을 수행하고, 그 후 우드나 아이언 및 유틸리티 클럽과 웨지클럽을 이용하여 세컨드 및 서드샷 또는 어프로치를 수행하여 그린위에 볼을 안착시킨 후, 퍼터를 이용하여 그린에 형성된 홀에 넣음으로서 하나의 홀을 마무리하는 형태로 18개의 홀을 돌아 규정된 타수보다 낮은 스코어를 더 많이 기록할수록 유리한 스포츠이다.In golf, a tee shot is performed using a driver at the tee box, and then the second and third shots or approaches are performed using woods, irons, utility clubs, and wedge clubs to land the ball on the green, and then a putter is used to play the green. It is a sport in which one hole is finished by putting it into a hole formed in the game, and the more scores that are lower than the prescribed number of stroke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go through 18 holes.

상기와 같이 티박스에서 드라이버 또는 아이언을 이용하여 티샷을 하기 위해서는 티박스에 티를 꽂은 후 티 위에 볼을 안치한 후 타격하게 되는 데, 타격 과정에서 볼과 함께 티도 일정거리 날아가게 되므로 분실의 우려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it a tee shot using a driver or iron at the tee box, the tee is put in the tee box, the ball is placed on the tee, and the ball is hit. During the hitting process, the tee flies along with the ball at a certain distance, so there is concern about loss.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이와 같이 티샷 과정에서 볼을 안정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티를 개선하여 분실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용 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is way, a variety of golf te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eliminate the fear of loss by improving the tee that allows the ball to be stably placed during the tee shot proces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through patent documents.

특허문헌 1은, 몸통부(1)의 상부에 볼(B)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호형상태의 볼안착면(3)을 구비한 헤드부(2)와 몸통부(1)의 하부에 티를 꽂을 수 있는 티꽂음부(4)를 구비한 롱티(T1)및 숏티(T2)에 있어서;Patent Document 1 has a head portion 2 having an arc-shaped ball seating surface 3 that allows the ball B to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 and a te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 In the long tee (T1) and short tee (T2) having a tee inserting portion (4) into which a can be inserted;

상기 롱티(T1)와 숏티(T2)가 일체가 되도록 더블티(DT)로 구성하고;constructing a double tee (DT) so that the long tee (T1) and the short tee (T2) are integral;

상기 더블티(DT)는 롱티(T1)와 숏티(T2)의 몸통부(1) 중심선(A)(B)이 90도 각도를 이루며 수직 및 수평상태로 교차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double tee (D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s (A) and (B) of the body parts (1) of the long tee (T1) and the short tee (T2) cross each oth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an angle of 90 degrees.

특허문헌 2는, 상단부에 골프공(4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공받침대(11)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결합부(15)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몸체(10)와,Patent Document 2 includes an upper body 10 having a ball support 11 for placing a golf ball 40 on the upper end and an upper body 10 having a coupling part 15 on the lower end,

상단부에 안착부(22)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삽입 고정이 가능한 쐐기형 고정부(21)로 이루어진 하부몸체(20)와,A lower body 20 having a seating portion 22 at the upper end and a wedge-shaped fixing portion 21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at the lower end;

상기 하부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직상방으로 레이저빔을 투사하는 레이저빔 발생부(30)와,A laser beam generator 30 installed inside the lower body 20 and projecting a laser beam directly upward;

상기 레이저빔 발생부(30)에서 투사되는 레이저빔은 상부몸체(10) 내부의 수직안내로(12)를 거쳐 벽면에 형성된 통공부(14)에서 전방의 지면에 하향경사각으로 레이저빔이 투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laser beam projec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3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guideway 12 inside the upper body 10 and is projected from the through hole 14 formed on the wall surface at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to the ground in front. characterized by one.

특허등록 재 10 - 0657985 - 0000 호Patent Registration No. 10 - 0657985 - 0000 특허등록 제 10 - 1029706 - 0000 호Patent Registration No. 10 - 1029706 - 0000

없음.doesn't exist.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롱티와 숏티를 일체로 구성하여 90도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롱티와 숏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레이저빔이 비춰지도록 함으로서 티샷 과정에서의 타구가 날아가는 방향의 에이밍과 더불어 골퍼의 어드레스 자세를 안정적이면서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mong the prior arts,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the long tee and the short tee are integrally configured so that the long tee and the short tee can be selected and used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at 90 degrees, and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the laser beam is projected In addition to aim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 flies during the tee shot process, it helps golfers to maintain a stable and correct address posture.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티의 크기가 보편적인 1자 형상을 벗어나 +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부피가 커져 휴대와 보관에 큰 어려움이 따르고, 특히 호주머니에 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이동하는 과정 또는 세컨 및 서드샷을 하는 과정에서 뾰족한 부분에 의하여 신체를 찌르게 되는 등 스윙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안정적이고 일관된 스윙이 어렵게 되므로 스코어 관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ze of the tee is configured in a + shape outside the common 1 shape, it is bulky and difficult to carry and store, especially when storing the tee in a pocket In the process of moving or in the process of taking the second and third shots, it become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swing, such as stabbing the body by a sharp part, so that a stable and consistent swing becomes difficult, which adversely affects score management.

이와 같이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오히려 일자형의 숏티와 롱티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이용자들이 휴대하고 사용하는 데 더 편리하고 스윙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역효과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Since the volume increases in this way, having a straight short tee and a long tee togeth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more convenient for users to carry and us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wing.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골프용 티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르는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인하여 기능에 비하여 티의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모든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structure of the golf tee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make it, as well as the cost of the tee is expensive compared to the function due to the subsequent increase in production cost, so all users cannot easily access it. A problem arises.

그리고, 티박스에 티를 꼽은 후 볼을 안착하여 티샷을 수행할 경우에는 티박스에 꼽혀있는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몸체가 드라이버 또는 아이언의 헤드의 타격에 의하여 하부몸체와 분리되어 비산되는 형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tee shot by placing a ball after inserting a tee into the tee box, the upper bod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inserted into the tee box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by the blow of the head of the driver or iron and is scattered. becomes a form

이 경우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티와 같이 티박스에서 짧게는 수 십 센치미터 또는 몇 미터를 날아가게 되고, 이와 같이 날아간 상부몸체가 잔디 또는 조경구역 등으로 들어갈 경우에는 쉽게 찾지 못하여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In this case, like a conventional tee, it flies tens of centimeters or several meters short from the tee box, and when the upper body flies in this way enters the grass or landscaping area, it is often lost because it is not easily found. it happens

일반적인 티의 경우에는 여분의 티를 휴대하여 다니지만 고가이면서 어느정 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티의 경우에는 이용자들이 여분으로 구비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상부몸체가 비산되어 분실될 경우에는 하부몸체 또는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티의 효용성이 크게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a general tee, an extra tee is carried around, but in the case of an expensive tee with some function, users often do not have an extra tee, especially in case the upper body is scattered and lost, the lower body or Since it becomes impossible to use it,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tee is not very high.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분리방지용 와이어 등으로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이러한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숏티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과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nconvenient to connec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a wir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even aside from this problem,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such as not being free from the inconvenience and problems of having to carry the short tee separately. am.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티박스(101)에서 지면(102)과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상체로 구성하는 티바디(110)와;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tee body 110 configured of a plate body so that the tee box 10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102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상기 티바디(110)에 일체로 구비되어 우드, 유틸리티 또는 아이언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볼(105)을 안치하는 숏티(120)와;a short tee 12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tee body 110 to place the ball 105 so that a tee shot is possible with a wood, utility or iron club;

상기 티바디(110)에 결합되어 드라이버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볼(105)을 안치하고 티샷에 의하여 타격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롱티(130)를 포함하여;Including a long tee 130 that is coupled to the tee body 110 and is erected to allow a tee shot with a driver club to set the ball 105 and tilt in the hitting direction by the tee shot;

하나의 골프용 티를 이용하여 롱티와 숏티 기능을 수행하면서 티샷 준비 과정에서 올바른 에이밍을 가능하게 하고, 그린에서는 볼마커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실내에서는 스윙연습을 위한 도구로의 활용이 가능한 등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It enables correct aiming in the tee shot preparation process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s of long and short tees using one golf tee, and can be used as a ball marker on the green and used as a tool for swing practice indoors. purpose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하나의 티를 이용하여 숏티와 롱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롱티의 경우에는 길이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서 이용자(골퍼)의 신체적인 조건과 스윙자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tively responding to the user's (golfer's) physical condition and swing posture by enabling the length adjustment in the case of a long tee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s of a short tee and a long tee using one tee.

본 발명은 티에 볼을 안치하여 스윙시 볼을 타격함과 동시에 헤드에 의하여 티의 스템이 회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서 티가 비산되어 분실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such as loss or breakage due to scattering of the tee by placing the ball on the tee to hit the ball during swing and at the same time tilting the stem of the tee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head. .

본 발명은 티의 몸체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것은 물론 스템을 접어 그린에서 볼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티를 휴대함으로서 롱티와 숏티 및 볼마커를 병행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휴대 과정에서 간섭 등으로 인한 불안전한 스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tee in various ways to add design elements, as well as fold the stem to use it as a ball marker on the green, so that one tee can be carried so that long tees, short tees and ball markers do not have to be carried at the same time, and the carrying proces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safe swings caused by interference in

본 발명은 티를 티박스에 안치하는 형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티박스의 매트 또는 잔디를 보호할 수 있고, 동절기에 결빙시에도 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티를 실내에서 볼을 안치하지 않고 스템을 세운 상태에서 스윙 연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tee in the form of placing it in the tee box, the mat or grass of the tee box can be protected, the tee can be easily used even during freezing in winter, and the tee can be used indoors without placing the ball on the stem. It has various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be used for swing practice while standing upright.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결합하여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도시한 횡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에 적용되는 숏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에 적용되는 숏티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다른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와 도 10에 적용된 골프용 티를 골프클럽에 결합하여 휴대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드라이버 티샷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loded state showing an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shown by combining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oss-sectional state showing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ort tee applied to a golf te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chnology is appli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hort tee applied to a golf te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chnology is applie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 long tee constituting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showing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 long tee constituting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showing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 long tee constituting the golf tee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t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t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olf tee applied to FIGS. 9 and 10 is coupled to a golf club and carried.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3 is a plana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iver tee shot stat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결합하여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도시한 횡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에 적용되는 숏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에 적용되는 숏티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다른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골프용 티를 구성하는 롱티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이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드라이버 티샷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loded state showing an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ort tee applied to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hort te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showing a length adjusting means of a long tee constituting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show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long te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long tee constituting the golf tee shown in Figure 7, Figure 14 is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driver tee shot state of a golf tee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용 티(100)는, 티박스(101)에서 지면(102, 매트 또는 잔디)와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상체이면서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티바디(110)와, 상기 티바디(110)에 결합되어 볼(105)을 안치하고 이용자(골퍼)의 스윙동작에 의하여 클럽 헤드에 의하여 타격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롱티(130)로 구성한다.The golf tee 100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plate-shaped body and made of rubber, plastic, silicone, or urethane so that the tee box 101 can adhere to the ground 102 (mat or grass) and maintain a stable posture. A tee body 110 made of a material, and a long tee 130 that is coupled to the tee body 110, places the ball 105, and tilts in the hitting direction by the club head by the swing motion of the user (golfer). make up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티바디(110)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다각형 또는 캐릭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므로 도면에 예시한 형상으로 국한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tea body 110 is shown in a rectangular shape, but it can be made to have various shapes and shapes such as circular, polygonal, or character, so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llustrated in the drawing.

상기 티바디(110)의 중심위치에는 전방방향(티샷방향)으로 롱티(1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작동홀(111)을 형성하는 데, 상기 작동홀(111)의 후방측은 티바디(110)에 위치하여 폐쇄부(112)를 가지도록 하고 전방측은 개방부(113)를 형성하여 결합된 롱티(13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데 또는 미 사용시 롱티(130)를 접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An operation hole 1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ee body 110 so that the long tee 130 can be coupled in the forward direction (tee shot direction), and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hole 111 is the tee body 110 It is located at the position to have a closed portion 112 and the front side forms an open portion 113 so that the combined long tee 130 tilts forward or does not interfere with folding the long tee 130 when not in use.

상기 티바디(110)의 가장자리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가이드림(115)을 하향 돌출시키고, 상기 작동홀(111)의 하방으로는 롱티(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장착림(116)을 돌출시킨다.A guide rim 115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edge of the tee body 110, and a mounting rim 116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long tee 130 to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hole 111 extrude

상기 가이드림(115)과 장착림(116)의 돌출 높이는 같거나 장착림(116)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된 롱티(130)를 접었을 때 노출되지 않도록 접은 상태의 롱티(130)의 직경보다 높이가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protruding height of the guide rim 115 and the mounting rim 116 or to form a low height of the mounting rim 116, and the long tee 130 in a folded state so as not to be exposed when the combined long tee 130 is folded. ),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e diameter of

상기 장착림(116)의 폐쇄부(112) 위치 양측에는 장착홀(118)을 형성하여 롱티(130)의 하단부를 핀,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119)으로 결합시켜 티바디(110)에 대하여 직립 또는 수평상태(접는 상태)로의 전환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Mounting holes 1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ing part 112 of the mounting rim 116, and the lower end of the long tee 130 is coupled with a fixing means 119 such as a pin or screw to the tee body 110. It enables conversion operation to an upright or horizontal state (folded state).

상기 티바디(110)의 폐쇄부(112) 위치에는 우드샷 또는 아이언샷을 위한 숏티(120)를 일체로 더 형성하는 데, 상기 숏티(120)는 폐쇄부(112) 위치에 롱티(130)의 직립과 접는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볼(105)을 안치하였을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볼안치돌기(12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A short tee 120 for wood shot or iron sho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art 112 of the tea body 110, and the short tee 120 is a long tee 130 at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art 112 It is configured by forming a plurality of ball set protrusions 121 so as to secure stability when the ball 105 is placed while not interfering with the upright and folding operation of the.

다른 예로서는, 폐쇄부(112) 위치의 티바디(110) 상방으로 볼(105)을 안치할 수 있도록 안치홈(122)을 형성한 숏티림체(123)를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As another example, it is okay to integrally protrude the short rim body 123 formed with the seating groove 122 so that the ball 105 can be placed above the tea body 110 at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art 112. .

상기 티바디(110)에 형성되는 가이드림(115)의 사이의 공간은 동일재질로 충진하여 무게감을 증대시키거나 금속재딜 등과 같은 중량체를 내장하여 티샷 과정에서 골프용 티(100)를 타격하였을 때에도 멀리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될 것이며, 별로로 로프로 연결되는 분실방지수단을 더 강구하여도 무방할 것이다.The space between the guide rims 115 formed in the tee body 110 is filled with the same material to increase the sense of weight or a weight such as a metal jaedil is built in to hit the golf tee 100 during the tee shot process. Even at this time, it may be prevented from flying away to eliminate the fear of loss, and it will be okay to further devise a loss prevention means connected by a rope.

상기 롱티(13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관체와 같은 형태로 소정의 길이(일반적인 드라이버 티샷에 사용되는 롱티의 길이)로 롱티스템(131)을 구비하고, 상기 롱티스템(131)의 상부에는 볼(105)을 안치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컵과 같은 형상의 볼컵(132)을 일체로 형성한다.The long tee 130 has a long tee 13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of a long tee used for a general driver tee shot)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or polygonal tube body, and a ball ( 105)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all cup 132 having a cup-like shape so as to be placed and maintained.

상기 롱티(1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단일체로 구성하여도 되고, 다른 예로서는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플레이 성향에 맞게 길이를 가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135)을 더 가지도록 하여도 된다.The long tee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as another example, may further have a length adjusting means 135 so that the length can be var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play tendency.

상기 길이조절수단(135)은, 롱티(130)를 직립하였을 때 티바디(110)와 결합되는 로어스템(136)과, 상단에 볼컵(132)을 가지고 상기 로어스템(136)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스템(137)으로 구성한다.The length adjusting means 135 has a lower stem 136 coupled to the tee body 110 when the long tee 130 is upright, and a ball cup 132 at the top,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em 136 It is composed of an upper system 137 to be.

상기 로어 및 어퍼스템(136,137)의 내경부와 외경부에는 암나사(138)와 수나사(139)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로어스템(136)에 대하여 어퍼스템(13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A female screw 138 and a male screw 139 are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lower and upper stems 136 and 137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tem 137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tem 136 by screwing can also

다른 예로서는, 로어스템(136)의 일측방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되는 슬로트(138)에 의하여 탄성조절편(139)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조절편(139)의 내면에는 조절돌부(140)를 형성하여 어퍼스템(137)의 외면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조절홈부(141)가 걸림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n elastic adjusting piece 139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tem 136 by a slot 138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djus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adjusting piece 139. 140 is formed so that the adjustment groove 141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tem 137 is hooked and fix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와 도 10에 적용된 골프용 티를 골프클럽에 결합하여 휴대하는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용 티(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t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t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A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olf tee applied to FIGS. 9 and 10 is coupled to a golf club and carried,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100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롱티(130)을 전방으로 접혀지고 직립되게 작동홀(111)에 결합한 티바디(110)의 저면에 티박스에서 유동없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요철 형상의 스파이크(145)를 일체로 더 형성하고, 상기 티바디(110)에 형성되는 장착림(116)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요철 형상의 라이라인(146)을 더 형성하여 그리이나 티박스에서 라이를 확인하고 에이밍라인과 퍼팅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Concave-convex spikes 145 having various shapes are integrally placed on the bottom of the tee body 110, in which the long tee 130 is folded forward and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111 to be upright, so that it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flow in the tee box. Further formed,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rim 116 formed on the tea body 110, a concave-convex lye line 146 is further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check the lie at the green or tee box and aiming Check the line and putting line.

상기 롱티(130)의 후방에는 티바디(110)를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시켜 숏티블레이드(147)를 형성하고 그 상방에는 볼(105)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홈(122)을 장착림(116)에 걸쳐 형성하여 숏티(120)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e rear of the long tee 130, the tee body 110 is integrally extended to the rear to form a short tee blade 147, and above it, a seating groove 122 in which a ball 105 can be placed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rim 116 )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hort tee (120).

상기 작동홀(111)의 중도에는 골프클럽의 샤프트(148)과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샤프트홈(150)을 요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홈(150)의 표면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유동방지재(151)를 인서트시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hole 111, a shaft groove 150 is formed to be concave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shaft 148 of the golf club and carried, and the surface of the shaft groove 150 is formed with rubber, silicon and A flow prevention member 151 of the same material may be inserted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단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골프용 티(100)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3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olf te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other example of the golf tee 100 to which this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티바디(110)의 일측방에 걸이홀(160)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홀(160)에는 숏티 또는 앵커(161)와 결속된 연결로프(162)를 연결하여 골프용 티(100) 사용시 숏티 또는 앵커(161)를 지면에 박에 티샷 수행시 골프용 티(10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A hook hole 1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ee body 110, and a short tee or a connecting rope 162 bound with the anchor 161 is connected to the hook hole 160, so that when using the golf tee 100, the short tee Alternatively, the anchor 161 may be anchored to the ground to prevent the golf tee 100 from scattering when performing a tee shot.

상기 티바디(110)에 롱티(130)를 결합하는 고정수단(119)에는 토셔널스프링(165)을 개재하여 롱티(130)가 티바디(110)에 대하여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티샷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수납된 롱티(130)를 직립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동작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The fixing means 119 for coupling the long tee 130 to the tee body 110 maintains the long tee 130 always upright with respect to the tee body 110 via the torsional spring 165 to make a tee shot.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is, an additional operation for erecting the stored long tee 130 may be excluded.

상기 고정수단(119)은 핀 또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필드에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강우 또는 강설 등에 의하여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부식의 우려를 배제하여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xing means 119 can be composed of pins or bolts, and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so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operation by excluding the concern of corrosion even if moisture is introduced due to rain or snowfall in the process of using it in the field. It would be preferable to

또한, 골프용 티(100)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직립된 롱티(130)에 의하여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도록 롱티(130)의 스템과 작동홀(111)에 서로 걸림고정되는 형태의 걸림돌기(166)와 돌기홈(167)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golf tee 100, the long tee 130 standing upright prevents interference from occurring, so that the stem of the long tee 130 and the operating hole 111 are locked to each other. 166 and the protruding groove 167 may be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골프용 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golf tee 100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골프용 티(100)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티바디(110)에 대하여 롱디(130)를 접어서 작동홀(111)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판상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호주머니 또는 백에 수납하여 보관하고 휴대하는 데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다른 물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된다.If you want to carry or store the golf tee 100, fold the long tee 130 with respect to the tee body 110 so that it matches the operation hole 111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and maintains a flat plate shape, so you can put it in your pocket or bag. It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to be stored, stored, and carried, and interference with other items is excluded.

또한 라운딩 중에는 작동홀(111)에 더 형성되는 샤프트홈(150)과 가방에 수납되거나 이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골프클럽의 샤프트(148)를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되며, 작동홀(111)의 탄성에 의하여 쉽게 샤프트(148)로의 출입이 가능하고, 샤프트홈(150)이 샤프트(148)를 감사는 형태가 되고 샤프트홈(150)에 더 인서트 되는 유동방지재(151)에 의하여 탈락되는 등의 현상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ring rounding, the shaft groove 150 further formed in the operation hole 111 and the shaft 148 of a golf club stored in a bag or carried by a user may be combined and used, and the elasticity of the operation hole 111 By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enter and exit the shaft 148, and the shaft groove 150 becomes a shape that surrounds the shaft 148 and is eliminated by the anti-flow member 151 further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150. this can be ruled out.

골프용 티(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티박스(101)에 진입한 후 홀의 종류에 따라 롱티(130) 또는 숏티(120)를 사용할 것인 지 결정한 후 티박스(101)에 골프용 티(100)를 위치시킨 후 볼(105)을 안치한 후 스윙을 수행하면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golf tee 100, after entering the tee box 101,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the long tee 130 or the short tee 120 according to the type of hole, and then the tee box 101 for golf After positioning the tee 100, place the ball 105 thereon, and perform a swing.

예를 들어 파 파이브 또는 파 포 홀인 경우에는 티박스(101)에서 드라이버 티샷을 하여야 하므로 롱티(130)를 사용하여야 하고, 파 쓰리의 경우에는 아이언 티샷을 하여야 하므로 숏티(120)를 사용하게 되며, 파 파이브 또는 파 포 홀인 경우라 하더라도 이용자의 판단에 의하여 우드, 유틸리티 또는 이이언 티샷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숏티(120)를 사용하여 티샷을 수행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r five or par four hole, a driver tee shot must be made from the tee box 101, so a long tee 130 must be used, and in the case of a par three, an iron tee shot must be made, so a short tee 120 is used, Even in the case of a par five or par four hole, there are cases in which a wood, utility, or alien tee sho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judgment, so in this case, the tee shot is performed using the short tee 120.

롱티(130)로 티샷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티바디(110)에 형성되는 작동홀(111)에 결합되어 작동홀(111)과 나란한 상태로 접혀져 있던 롱티(130)를 작동홀(111)에 대한 직각 방향이 되도록 세운 상태에서 티박스(101)에 티바디(110)를 매트 또는 잔디 위에 위치시킨다.In the case of a tee shot with the long tee 130, the long tee 130, which is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111 formed in the tee body 110 and folded parallel to the operation hole 111,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hole 111. Place the tea body 110 on the mat or grass in the tee box 101 in a state of standing upright to the direction.

이 과정에서 티바디(110)의 양측부 또는 작동홀(111)이나 롱티(130)를 이용하거나 또는 장착림(116)의 상면에 더 형성하는 라이라인(146)을 통하여 볼(105)을 타격하여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에이밍을 하고 직립된 롱티(130)를 구성하는 롱티스템(131)의 상단에 구비되는 볼컵(132)에 볼(105)을 안치한다.In this process, the ball 105 is hit by using the both sides of the tee body 110, the operation hole 111 or the long tee 130, or through the lyline 146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rim 116. After aiming in the direction to be sent, the ball 105 is placed in the ball cup 132 provided at the top of the long tee 131 constituting the upright long tee 130.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는 스윙하고자 하는 해당 클럽을 잡고 골프용 티(100)에 의하여 맞춰진 에이밍 상태에 맞게 어드레스를 취한 후 스윙을 수행하여 볼(105)을 타격하여 페이웨이의 목적한 위치로 날려 보내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grabs the club to swing, takes the address according to the aiming state set by the golf tee 100, and then performs a swing to hit the ball 105 and send it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fairway. do.

이때 클럽헤드를 이용하여 볼(105) 만 정확하게 타격한 경우에는 롱티(130)의 롱티스템(131)은 직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볼(105)과 함께 롱티스템(131)이 함께 타격된 경우에는 롱티스템(131)은 작동홀(111) 방향으로 넘어지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골프용 티(100) 전체게 충격이나 타격력이 전도되지 않으므로 골프용 티(100)가 멀리 비산되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only the ball 105 is accurately hit using the club head, the long tee 131 of the long tee 130 remains upright, and the long tee 131 together with the ball 105 hits In this case, the long stem 131 takes the form of fa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hole 111, so that the golf tee 100 is scattered far away because the impact or striking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entire golf tee 100. it will be prevented

물론, 이용자의 체형 또는 스윙상태에 따라 롱티(130)의 높이를 표준적인 상태보다 높게 또는 낮게 한 상태에서 스윙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 경우에는 길이조절수단(135)을 이용하여 롱티(130)의 높이를 이용자에 맞게 조절하여 스윙을 수행하면 된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user's body shape or swing state, there is a case where the long tee 130 is swinging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long tee 130 is higher or lower than the standard state. You can perform a swing by adjusting the height to suit the user.

상기 높이조절수단(135)의 작동은 작동홀(111)과 결합된 로어스템(136)에 결합된 어퍼스템(137)을 로어스템(136)의 상,하방향으로 수납 및 인출시켜 목적하는 높이가 되도록 한 후 볼컵(132)에 볼(105)을 안치한 후 스윙하면 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135 accommodates and withdraws the upper stem 137 coupled to the lower stem 136 coupled to the operating hole 111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lower stem 136 to obtain a desired height. After setting the ball 105 in the ball cup 132, it is sufficient to swing.

어퍼스템(137)을 로어스템(136)에 대하여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것은, 로어 및 어퍼스템(136,137)을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으므로 정,역 회전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예로서는 로어스템(136)에 대하여 어퍼스템(137)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로어스템(136)에 구성되는 탄성조절편(139)에 형성된 조절돌부(140)가 어퍼스템(137)에 형성된 조절홈부(141)가 걸림고정되어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upper stem 137 can be accommodated and withdrawn relative to the lower stem 136 is that the lower and upper stems 136 and 137 are screwed together, 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pper stem 137 is raised or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tem 136, the adjusting protrusion 140 formed on the elastic adjusting piece 139 of the lower stem 136 is formed on the upper stem 137. ) is fix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djusted height.

그리고, 탄성조절편(139)이 어퍼스템(137)의 상,하 움직임에 대하여 탄성작동할 수 있는 것은 로어스템(136)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한 슬로트(138)에 의하여 탄성조절편(139)이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로어스템(136)의 축 중심에 대하여 축 중심 방향과 축 중심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control piece 139 can act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upper stem 137 by the slot 138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stem 136. Since 139 ha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of the lower stem 136.

숏티(12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티바디(110)에 대하여 롱티(13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작동홀(111)과 일치하도록 접은 후, 티바디(110)를 티박스(101)의 매트 또는 잔디 위에 위치시킨다.When using the short tee 120, rotate the long tee 130 forward with respect to the tee body 110 and fold it to coincide with the operation hole 111, and then move the tee body 110 to the tee box 101. Place it on a mat or grass.

이 과정에서 티바디(110)의 양측부 또는 작동홀(111) 또는 장착림(116)의 상면에 더 형성하는 라이라인(146)을 이용하여 볼(105)을 타격하여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에이밍을 하고 티바디(110)에 구비되는 작동홀(111)의 폐쇄부(112) 위치 또는 그 후방에 형성된 숏티(120)에 볼(105)을 안치한다.In this process, the ball 105 is hit by using the lye line 146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ea body 110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le 111 or the mounting rim 116 to send it in the desired direction. After ming, the ball 105 is placed in the short tee 120 formed at or behind the closed part 112 of the operation hole 111 provided in the tea body 110.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는 해당 클럽을 잡고 골프용 티(100)에 의하여 맞춰진 에이밍 상태에 맞게 어드레스를 취한 후 스윙을 수행하여 볼(105)을 타격하여 페이웨이의 목적한 위치로 날려 보내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grabs the corresponding club, tak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iming state set by the golf tee 100, and then performs a swing to strike the ball 105 and send it flying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fairway.

상기 숏티(120)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볼안치돌기(121) 또는 티바디(1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숏티림체(123) 및 장착림(116)과 숏티블레이드(147)에 형성되는 안치홈(122)에 볼(105)을 안치하여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티바디(110)의 높이가 수 밀리티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필드에서 사용되는 숏티의 높이와 대등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short tee 120, the short tee rim body 123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urality of ball set protrusions 121 or the tee body 110, the mounting rim 116, and the set groove formed on the short tee blade 147 ( 122) to keep the ball 105 stable, and since the height of the tea body 110 is only a few millimeter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short tee used in the field It will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골프용 티(100)는, 지면에 꼽아서 유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티샷 과정에서 잔디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 매트에서의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동절기와 같이 결빙된 상태에서도 골프용 티(100)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티샷을 도울 수 있게 된다.The golf te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be plugged into the ground and maintained, so it can protect the grass during the tee shot process and does not interfere with use on the mat. (100) can be kept stable, helping the tee shot.

그리고, 티바디(110)의 양측 또는 중앙에 형성되는 작동홀(112)과 상기 작동홀(112)에 결합된 롱티(130)의 롱티스템(131) 및 장착림(116)의 상면에 더 형성되는 라이라인(146)을 통하여 목표지점의 에이밍을 가능하게 하므로 타구방향을 바르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티박스 및 그린에서의 티샷라이 및 퍼팅라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목적한 위치로 볼(105)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hole 112 formed on both sides or the center of the tee body 110 and the long system 131 of the long tee 130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1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rim 116 are further formed. Since it is possible to aim at the target point through the lie line 146, the ball can be hit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ee shot lie and putt lie on the tee box and green, so the ball 105 moves to the target position. It becomes possible to send

롱티(130)의 경우에는 높이조절을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클럽의 종류는 물론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할 수 있어 여러 개의 롱티와 숏티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롱티(130)를 이용한 티샷시 헤드의 타격이 있더라도 롱티(130)가 전방(타격방향)으로 넘어(쓰러지는 형태)가게 되므로 골프용 티(100)의 비산을 방지하여 잃어버리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case of the long tee 130, it can respond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the type of club to be used through height adjustment,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having to have several long tees and short tees, and when teeing with the long tee 130, the head Even if there is a blow, the long tee 130 goes forward (falling down) in the forward (strike direction), so the golf tee 100 is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and lost.

티샷을 완료한 후 세컨 및 서드샷과 어프로치를 통하여 볼(105)을 그린에 올린 후에는 볼(105)을 홀컵에 넣기 전 그린에 올려진 볼(105)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골프 라운딩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준비물을 구비할 필요없이 골프용 티(100) 하나만으로 여러 기능을 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completing the tee shot and putting the ball 105 on the green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shots and approaches, it is a marker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ll 105 placed on the green before putting the ball 105 into the hole cup. Since it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combine several functions with only one golf tee 100 without the need to have unnecessarily many preparations for a round of golf.

본 발명의 골프용 티(100)를 실내에 비치한 상태에서 롱티(130)를 직립시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스윙연습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롱티(130)를 드라이버의 헤드 페이스에 의하여 타격하게 되더라도 티 또는 클럽의 손상이 없으면서 타격시 발생하는 소리와 롱티를 시각적으로 보면서 스윙하기 때문에 올바르고 안정된 스윙연습을 가능하게 한다.In a state where the golf te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doors, the long tee 130 can be erected to practice swing using a golf club such as a driver. In this case, the long tee 130 is placed on the head face of the driver. Even if it is hit, it enables correct and stable swing practice because it swings while visually observing the sound and long tee that occur at the time of hitting without damage to the tee or club.

100; 골프용 티
105; 볼
110; 티바디
111; 작동홀
112; 폐쇄부
113; 개방부
116; 장착림
120; 숏티
130; 롱티
131; 롱티스템
132; 볼컵
135; 길이조절수단
136; 로어스템
137; 어퍼스템
100; tee for golf
105; cheek
110; tea body
111; operation hall
112; closure
113; opening
116; mounting rim
120; short tea
130; long tea
131; long stem
132; ball cup
135; length adjusting device
136; lower stem
137; upper system

Claims (5)

티박스(101)에서 지면(102)과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상체로 구성하는 티바디(110)와; 상기 티바디(110)에 일체로 구비되어 우드, 유틸리티 또는 아이언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볼(105)을 안치하는 숏티(120)와;상기 티바디(110)에 결합되어 드라이버클럽으로 티샷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볼(105)을 안치하고 티샷에 의하여 타격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롱티(130)를 포함하는 골프용 티에 있어서;
상기 티바디(110)는, 중심위치에서 전방방향으로 롱티(1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작동홀(111)과; 상기 작동홀(111)의 후방측은 티바디(110)에 위치하는 폐쇄부(112)와, 전방측은 롱티(13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데 또는 미 사용시 롱티(130)를 접는 데 지장이 없도록 형성하는 개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티바디(110)의 가장자리 전체 둘레에 하향 돌출시키는 가이드림(115)과; 상기 작동홀(111)의 하방으로 롱티(130)의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장착림(116)과;
상기 장착림(116)의 폐쇄부(112) 위치 양측에 형성하여 롱티(130)의 하단부를 고정수단(119)으로 결합시켜 티바디(110)에 대하여 직립 또는 수평상태의 전환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장착홀(118)을 포함하고;
상기 숏티(120)는, 폐쇄부(112) 위치에 롱티(130)의 직립과 접는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볼(105)을 안치하였을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볼안치돌기(121)를 포함하거나 또는; 폐쇄부(112) 위치의 티바디(110) 상방으로 볼(105)을 안치할 수 있도록 안치홈(122)을 형성하여 일체로 돌출되는 숏티림체(123)를 포함하거나 또는; 장착림(116)의 후방 및 티바디(110)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숏티블레이드(147)에 볼(105)을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안치홈(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티.
a tee body 110 composed of a plate-shaped body so that the tee box 101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102 and maintain a stable posture; A short tee 12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tee body 110 and holding a ball 105 so that a tee shot can be made with a wood, utility or iron club; In a golf tee including a long tee 130 that is placed on the ball 105 and tilted in a hitting direction by a tee shot;
The tee body 110 includes an operation hole 111 formed to couple the long tee 130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positi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ng hole 111 is formed with the closing part 112 located on the tee body 110, and the front side is formed so that the long tee 130 does not interfere with tilting forward or folding the long tee 130 when not in use. It includes an opening 113 to;
a guide rim 115 protruding downwar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ea body 110; A mounting rim 11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peration hole 111 so that the long tee 130 can be coupled thereto;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ing part 112 of the mounting rim 116 to combine the lower end of the long tee 130 with the fixing means 119 to enable a switching operation in an upright or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tee body 110 including a mounting hole 118;
The short tee 120 is formed to secure stability when the ball 105 is placed while not interfering with the erection and folding operation of the long tee 130 at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art 112. A plurality of ball seat protrusions formed (121) or; It includes a short rim body 123 integrally protruding by forming a seating groove 122 so that the ball 105 can be placed above the tea body 110 at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art 112; For golf,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ting groove 122 formed so that the ball 105 can be placed in the short tee blade 147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mounting rim 116 and the rear of the tee body 110 t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티(130)는, 소정의 길이로 구비하는 롱티스템(131)과;
상기 롱티스템(131)의 상부에 볼(105)을 안치하여 유지할 수 있는 볼컵(132)을 포함하고;
상기 롱티(130)는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플레이 성향에 맞게 길이를 가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1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티.
According to claim 1;
The tong tee 130 includes a long tee stem 1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includes a ball cup 132 that can place and hold the ball 105 on the upper part of the long stem 131;
The long tee 130 is a golf te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means 135 to be used while varying the length to sui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play tendenc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바디(110)의 일측방에 형성하는 걸이홀(160)과;
걸이홀(160)과 연결되고 티박스의 지면에 막히는 숏티 또는 앵커(161)와 결속되어 티샷 과정에서 골프용 티(100)의 비산을 방지하는 연결로프(162)와;
상기 티바디(110)에 롱티(130)를 결합하는 고정수단(119)에 개재하여 롱티(130)가 티바디(110)에 대하여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재하는 토셔널스프링(165)과;
직립된 롱티(130)에 의하여 보관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도록 롱티(130)의 스템과 작동홀(111)에 걸림고정되게 형성하는 걸림돌기(166) 및 돌기홈(16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티.
According to claim 1;
a hook hole 160 formed on one side of the tea body 110;
A connection rope 162 connected to the hanging hole 160 and bound to a short tee or anchor 161 blocked on the ground of the tee box to prevent the golf tee 100 from scattering during a tee shot process;
A torsional spring 165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ans 119 for coupling the long tee 130 to the tee body 110 so that the long tee 130 always maintains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tee body 110, and ;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caused by the upright long tee 130 during storage, a locking protrusion 166 and a protrusion groove 167 are formed to be hooked and fixed to the stem of the long tee 130 and the operating hole 111. A tee for golf,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홀(111)을 형성하는 장착림(116)의 상면에는 에이밍과 라이확인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하는 라이라인(146)과;
골프클럽의 샤프트(148)와 결합하여 티바디(1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홀(111)에 형성하는 샤프트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티.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rim 116 forming the operation hole 111, a lyline 146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enable aiming and ly check;
A golf te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aft groove 150 formed in the operation hole 111 to maintain the tee body 110 by combining with the shaft 148 of the golf club.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135)은, 롱티(130)를 직립하였을 때 티바디(110)와 결합되는 로어스템(136)과; 상단에 볼컵(132)을 가지고 상기 로어스템(136)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스템(137)과; 상기 로어 및 어퍼스템(136,137)의 내경부와 외경부에는 암나사(138)와 수나사(139)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로어스템(136)에 대하여 어퍼스템(137)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로어스템(136)의 일측방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슬로트(138)에 의하여 탄성조절편(139)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조절편(139)의 내면에는 조절돌부(140)를 형성하여 어퍼스템(137)의 외면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조절홈부(141)가 걸림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티.
According to claim 2;
The length adjusting means 135 includes a lower stem 136 coupled to the tee body 110 when the long tee 130 is erected; an upper stem 137 having a ball cup 132 at an upper end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em 136; A female screw 138 and a male screw 139 are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lower and upper stems 136 and 137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tem 137 with respect to the lower stem 136 by screwing;
An elastic adjustment piece 139 is formed by a slot 138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tem 13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Golf te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ing protrusion 1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adjusting piece 139 so that the adjusting groove 141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tem 137 is hooked and fixed.
KR1020210182075A 2021-12-17 2021-12-17 Tee for golf KR102614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75A KR102614585B1 (en) 2021-12-17 2021-12-17 Tee for go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75A KR102614585B1 (en) 2021-12-17 2021-12-17 Tee for go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567A true KR20230092567A (en) 2023-06-26
KR102614585B1 KR102614585B1 (en) 2023-12-14

Family

ID=8694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075A KR102614585B1 (en) 2021-12-17 2021-12-17 Tee for go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58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5728A1 (en) * 2004-08-10 2006-02-16 Chang Rea T Golf range tee
KR100657985B1 (en) 2005-07-25 2006-12-15 최희진 Golf tee with multi function
KR101029706B1 (en)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Tee for golf
KR101935143B1 (en) * 2017-04-14 2019-01-03 김종현 Ball marker with golf tee
JP6778345B1 (en) * 2019-06-12 2020-10-28 泰照 佐伯 Golf te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5728A1 (en) * 2004-08-10 2006-02-16 Chang Rea T Golf range tee
KR100657985B1 (en) 2005-07-25 2006-12-15 최희진 Golf tee with multi function
KR101029706B1 (en)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Tee for golf
KR101935143B1 (en) * 2017-04-14 2019-01-03 김종현 Ball marker with golf tee
JP6778345B1 (en) * 2019-06-12 2020-10-28 泰照 佐伯 Golf te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585B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7377Y1 (en) golf putter
US3429576A (en) Golf club having level indicating means and weight means
US7488263B2 (en) Golf tee set
US8622853B1 (en) Golf training device
US7052416B2 (en) Golf range tee
US908975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n indoor putting green
KR100921857B1 (en) Golf putter equipped four strike pad
US7070520B1 (en) Sports training device for hitting a ball
EP1894607A1 (en) Golf tee set
US6458041B1 (en) Golf ball putting device
KR101931575B1 (en) Golf tee designed to mount golf balls at various heights
US20080102983A1 (en) Putter
US7914398B2 (en) Golf training aid
US5700206A (en) Golf putter structure
KR20230092567A (en) Tee for golf
KR100577053B1 (en) Golf tee
US7507166B2 (en) V-shaped golf club
US20070093321A1 (en) Golf tee leveling device
US20180207495A1 (en) Swivel golf tee
KR101789764B1 (en) Self standing type golf putter head
US20050181885A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Golf Putting Stroke
US20060199663A1 (en) Putting alignment system
US7128655B2 (en) Putting practice golf cup
KR20020034840A (en) Golf tee
KR200474303Y1 (en) Putter with minus loft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