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51A -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51A
KR20230091751A KR1020220055374A KR20220055374A KR20230091751A KR 20230091751 A KR20230091751 A KR 20230091751A KR 1020220055374 A KR1020220055374 A KR 1020220055374A KR 20220055374 A KR20220055374 A KR 20220055374A KR 20230091751 A KR20230091751 A KR 2023009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pressure plate
plate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83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13270A1/ko
Priority to US18/114,473 priority patent/US20230224616A1/en
Publication of KR2023009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폰(10)은, 헤드 밴드(11),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100) 및 상기 헤드 밴드(11)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100)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11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12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1 하우징(120)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140)은, 제 1 압력 판(141) 및 상기 제 1 압력 판(141)과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141)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제 1 압력 핀(14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압력 판이 기울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HEADPHONE AND WEARABLE DEVICE}
이하의 실시 예들은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오관은 머리에 집중되어 있고, 그에 따라 시청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머리에 착용된다. 시청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은 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폰, 헤드셋, VR 헤드셋이라고도 불리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등이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 중 일부는 머리에 착용된다.
머리에 착용되는 기기들 중 예를 들어 헤드셋은 착용시 머리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레오 헤드셋(Stereo Headset)은 착용시 외부 소리를 차폐하기 위하여 이어 컵이 사용자의 귀 부분을 기구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러한 헤드셋은 이어폰(예 : 이어버드(Earbud))보다 사람의 머리에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기들에 있어서, 사람마다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착용점이 조절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시청각 경험을 제공하는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머리에 착용된 이후에 착용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전자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기기들은 특정 지점에 힌지 구조를 도입하여 기기들이 사용자들의 머리 형상 및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하고, 또한 후자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기기들은 탄성을 가지고 사용자들의 머리의 일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슬림한 외관을 가지는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부피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한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압력 포인트가 분산되어 착용점에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는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밀착될 수 있는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손실을 막기 위한 밀착력을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시간 착용에도 신체의 피로감이 덜한 헤드폰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폰에 있어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 및 상기 헤드 밴드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우징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은, 제 1 압력 판 및 상기 제 1 압력 판과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제 1 압력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압력 판이 기울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밴드 및 상기 밴드의 일 단 및 타 단에 연결되는 접촉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밴드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접촉 패드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압력 판 및 상기 압력 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력 판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압력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폰에 있어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 및 상기 헤드 밴드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우징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하우징이 배열된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2 하우징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은, 상기 제 1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압력 판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 단부가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압력 유닛은, 상기 제 2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압력 판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 단부가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들은, 상기 제 1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압력 핀들은, 상기 제 2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판과 상기 제 1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일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2 압력 판과 상기 제 2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일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의 직선부에는 제 1 반발체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의 직선부에는 제 2 반발체가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슬림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부피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압력 포인트가 분산되어 착용점에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음손실을 막기 위한 밀착력을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따라 조절 또는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시간 착용에도 신체의 피로감이 덜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정면도이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이어 피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4b는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b의B-B 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제 1 반발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b의 B-B 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4b의B-B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압력 판 및 제 1 압력 판 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b의C-C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압력 판 및 제 1 압력 판 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압력 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4b의B-B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 1 이어 패드의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4c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에서 제1 압력 판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사용상태도이다.
도 1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액세서리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액세서리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 예들은 압력 분산 구조를 포함하는 헤드폰 또는 압력 분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 분산 구조는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에서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장치들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때 착용점에 걸리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귀 주위에 착용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이 귀 주위에 가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압력 분산 구조가 이어 피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안면의 전면부에 안착됨으로써 눈 주위 가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압력 분산 구조가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압력 분산 구조는 헤드폰, 헤드셋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에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압력 분산 구조가 구비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을 예시하여 이하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에 관한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은 압력 분산 구조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로서의 헤드폰을 설명하는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헤드폰으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한편, 압력 분산 구조가 구비함으로써 발휘될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신체에 대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착용점에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상술하였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20)은 사용자의 고막으로 주변 소리(예: 외부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소리를 스피커(24)를 통해 재생하는 스테레오 헤드셋 장치일 수 있다. 헤드폰(20)은 착용 감지 센서(21), 관성 센서(22), 소리 센서(23), 스피커(24), 이어피스(25), 터치 센서(26), 및 하우징(예: 헤드밴드(2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헤드폰(2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착용 감지 센서(21)(Wear detecting sensor)는 헤드폰(20)가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거나, 헤드폰(20)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 머리 또는 목)에 착용된 자세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20)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거나, 목에 걸릴 수 있다. 헤드폰(20)의 프로세서는 착용 감지 센서(21)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헤드폰(20)가 착용된 신체 부위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20)은 착용 감지 센서(21)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어피스(25)가 하우징(예: 헤드밴드(27))에 대해 기본 자세인지, 뒤쪽으로 회전된 자세인지 여부도 함께 판단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1)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착용 감지 센서들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착용 감지 센서들 중 머리 쪽에 배치되는 머리 근접 감지 센서는 정전식 센서 및 감압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귀 쪽에 배치되는 귀 근접 감지 센서는 광학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근접 감지 센서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는 착용 상태(예: 기본 자세 또는 이어피스가 뒤쪽으로 회전된 자세)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귀 근접 감지 센서는 한쪽 귀에 배치되는 제1 귀 근접 감지 센서, 다른 쪽 귀에 배치되는 제2 귀 근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귀 근접 감지 센서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는 이어피스가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테레오 헤드셋 장치에서 이어피스(25)의 내면이 내측(예: 이어피스(25)들 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어피스(25)와 하우징 간의 기계적 관절 구조에 의해 이어피스(25)의 내면이 외측(예: 이어피스(25)들 사이가 아닌 바깥 공간)을 향하게 반전될 수도 있다. 이어피스(25)의 내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스피커(24)의 소리가 출력되므로, 이어피스(25)가 반전되면 해당 이어피스(25)의 소리 출력 방향도 반전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어피스(25)들 중 한 이어피스(25)가 반전되면, 헤드폰(20)은 둘 중 한 이어피스(25) 및 사용자의 신체 부위 간의 근접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폰(20)은 스테레오 헤드셋 장치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일반 착용, 한쪽 착용, 헤드밴드(27)를 목 쪽으로 내려서 착용, 및 스테레오 헤드셋 장치를 목에 착용과 같은 다양한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1)는, 예를 들어,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및 그립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근접 여부를 식별하는 센서를 나타낼 수 있다. 헤드폰(20)은 근접 센서의 센싱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술한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예시적으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 LED, infrared ray light emitting diode) 및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이용한 광학식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광학식 근접 센서에서는 발광부(light emitter)(예: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 신호를 수광부(light receiver)(예: 포토 다이오드)에서 수신할 수 있다. 헤드폰(20)은 수신된 빛의 세기 또는 발광 및 수광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계산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초음파 센서에서는 송신부(transmitter)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receiver)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신된 초음파 신호의 세기 또는 초음파의 송신 및 수신 간의 시간 차이에 따라 계산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근접 센서는 이어피스(25)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의 센싱을 통해 이어피스(25)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 귀 부분)의 근접 여부와 관련된 데이터(예: 전술한 신호 수신 세기, 신호 수신 시간, 및 거리)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이어피스(25)에 복수의 근접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예: 왼쪽 귀에 대응하는 이어피스(25) 및 오른쪽 귀에 대응하는 이어피스(25))의 각각에 근접 센서가 탑재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헤드밴드(27)에도 탑재될 수 있다. 헤드밴드(27)에 탑재된 근접 센서의 센싱을 통해, 프로세서는 헤드폰(2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피스(25)가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더라도 사용자의 머리 정수리에 헤드밴드(27)가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헤드폰(20)은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적인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립 센서(grip sensor)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이어피스(25) 및/또는 헤드 밴드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 및 그립 센서를 같이 포함하는 헤드폰(20)은, 사용자의 착용 시 탈부착 판단에 관련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근접 센서 및 그립 센서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의 복합 사용에 의해 착용 상태 판별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립 센서도 전술한 근접 센서와 유사하게,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의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그립 센서 및 터치 센서(26)는 센싱 및 처리 원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립 센서 및 터치 센서(26)가 하나의 처리 모듈을 공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립 센서 및 터치 센서(26)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은 각각 별도 모듈로 구분될 수도 있다.
관성 센서스피커(Inertia sensor)는 관성(예: 힘)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세 변화 량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관성 센서(22)의 관성 센싱을 통해 관성 정보(예: 가속도를 지시하는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를 지시하는 각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성 센서(22)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3축에 대한 가속도를 센싱하고, 자이로 센서가 3축을 기준으로 하는 각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관성 센서(22)는 6축 센서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통합한 통합 센서는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과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통합한 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SW(software) 센서(예: 게임 회전 벡터 센서(game rotation vector sensor))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관성 센서(22)는 한 쌍(예: 2개)으로서 각각 한 쌍의 이어피스들 내에 수용될 수 있고, 한 쌍의 관성 센서들은 단일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게 시간적 지연 없이 낮은 소모 전력으로 빠른 해드 트랙킹을 지원할 수 있다.
소리 센서(23)는 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센서(23)는 사용자의 목소리 및 주변 소리를 감지 및 수집할 수 있고,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리 센서(23)는 사용자의 발화(uttering)에 의해 유발되는 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소리 센서(23)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폰(20)은 빔포밍(beam-forming) 기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센싱을 통해 생성된 소리 신호와 입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센싱을 통해 생성된 소리 신호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발화된 음성을 보다 높은 인식률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20)의 다양한 부분들에 배치된 소리 센서(23)들은 다양한 외부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20)의 제1 이어피스(25)(예: 왼쪽 귀에 장착되는 이어피스(25)), 제2 이어피스(25)(예: 오른쪽 귀에 장착되는 이어피스(25)), 및 헤드밴드(27)의 각각에 탑재된 소리 센서(23)들은 헤드폰(20)을 기준으로 음원의 위치에 따라 개별적인 세기로 소리를 센싱하여 소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드폰(20)은 각 부분 별로 탑재된 소리 센서(23)의 센싱을 통해 생성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음원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령 같은 파형의 소리 신호가 좌우 이어피스(25)에 배치된 소리 센서(23)에서 감지되는데, 좌측 소리 센서(23)의 센싱을 통해 생성되는 소리 신호의 세기가 클 수 있다. 헤드폰(20)은 전술한 소리를 발생시킨 음원이 헤드폰(20)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20)은 소리 센서(23)와 관성 센서(22)를 헤드폰(20)을 착용한 사용자(이하, '착용자')가 발화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VPU(Voice Pick-Up) 센서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성 센서(22)는 발화 시 발생하는 미세한 떨림을 감지할 수 있다. 헤드폰(20)은 발화시 발생한 미세한 떨림에 의해 관성 센서(22)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관성 데이터 및 소리 센서(23)(예: 마이크로폰)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소리 신호를 연계하여, 착용자의 발화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헤드폰(20)은 발화 여부 감지를 통해, 센싱된 소리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소리인지, 외부 소리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폰(20)은 음원의 컨텍스트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스피커(24)는 소리를 출력하는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헤드폰(20)가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수신된 소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소리의 출력은 재생(play)이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스피커(24)는 트위터(Tweeter) 및/또는 우퍼(Woofer)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6)(Touch sensor)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및 스와이프(swipe) 행위와 같은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헤드폰(20)은 터치 센서(26)의 센싱을 통해 생성된 터치 데이터에 응답하여, 음악 재생, 중지, 다음 음악 재생, 및 이전 음악 재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터치 센서(26)는 이어피스(25)의 외면(예: 이어피스들 사이의 공간이 아닌 외부 공간을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은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BT(bluetooth) 네트워크, BLE(Bluetooth low energy)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ANT+ 네트워크,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5th generation) 네트워크, 및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다른 기기 및/또는 AP(Access Point)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헤드폰(20)의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이 하우징 내에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이어피스(25)들 중 각 이어피스(25)에 포함된 소자(예: 프로세서, 스피커(24), 관성 센서(22), 소리 센서(23), 착용 감지 센서(21))는 다른 이어피스(25)에 포함된 소자와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이어피스(25)에 포함된 소자는 다른 이어피스(25)에 포함된 소자와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어피스(25)는 헤드폰(20)가 착용될 시 사용자의 한쪽 귀를 커버하는 피스로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피스(25)는 착용 감지 센서(21), 관성 센서(22), 소리 센서(23), 스피커(24), 터치 센서(26),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수용할 수 있다. 헤드폰(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components)은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의 각각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은 서로와 하우징(예: 헤드밴드(27))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어피스(25)들은 헤드폰(2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시 사용자의 귀를 주변 소리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피스(25)는 사용자의 귀를 주변 소리로부터 차폐하는 이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물리제어인터페이스(physical control interface)가 이어피스(25)(예: 이어피스(25)의 외면) 및/또는 헤드밴드(27)에 배치될 수 있다. 물리제어인터페이스는 버튼 및/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물리제어인터페이스는 전원을 켜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예 : 도 1의 헤드폰(20))의 정면도이다. 헤드폰(10)은 사용자의 우측 귀 주위에 안착될 수 있는 제 1 이어 피스(100)(예 : 도 1의 이어피스(25)), 사용자의 좌측 귀 주위에 안착될 수 있는 제 2 이어 피스(200)(예 : 도 1의 이어피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 1 이어 피스(100)가 사용자의 우측 귀 주위에 안착되고, 제 2 이어 피스(200)가 사용자의 좌측 귀 주위에 안착되는 것이 도시 된다. 헤드폰(10)은 또한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를 연결하고 이들을 헤드폰(10) 상에서 지지하는 헤드 밴드(11)(예 : 도 1의 헤드밴드(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이어 피스(100)는 사용자의 좌측 귀 주위에 안착될 수 있고, 또한 제 2 이어 피스(200)는 사용자의 우측 귀 주위에 안착될 수 있다. 헤드폰(10)과 같은 음향 기기에 있어서 좌우 구분은 스테레오 사운드(stereo sound)와 같이 좌우에서 제공되는 음향에 차이를 두는 입체 음향 방식이 제공되는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이러한 음향 방식에 관한 것이 아니라 헤드폰(10)의 물리적인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여기서 제 1 이어 피스(100)가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 귀 주위에 안착될 수 있다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제 1 이어 피스(100)가 안착될 수 있는 위치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판 또는 타원판의 형상일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이를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이 때문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는 예를 들어 착용시 접촉되는 신체 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일반적인 사용자의 귀 주위를 둘러쌀 수 있는 폐곡선의 외곽선을 갖는 원판 또는 타원판의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형태는 상술한 곡선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디자인적인 이유로 각이진 형태 또는 직선들이 조합된 외곽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10)은 이어 피스의 크기에 따라 온-이어(on-ear) 방식과 오버-이어(over-ear)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온-이어 방식은 이어 피스가 사용자의 귀 주위를 밀폐시키는 것이 아니고 이어 피스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되도록 얹히는 방식이며, 오버-이어 방식은 이어 피스에서 제공되는 소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주변 환경음이 이어 피스와 사용자의 귀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지 않도록 이어 피스가 귀를 완전히 덮어서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함으로써 차음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이 온-이어(on-ear) 제품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귀를 덮는 최소한의 크기일 수 있고, 오버-이어(over-ear) 방식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귀 및 그 주변부를 모두 덮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오버-이어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오버-이어 방식은 차음을 위해서 사용자의 귀 주위에 강하게 밀착되어야 하고, 이 때 강한 압력이 사용자의 귀 주위에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사용자의 귀 주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 1 이어 피스(100)와 우측 귀 주위가 접촉하는 면적 및 제 2 이어 피스(200)와 좌측 귀 주위가 접촉하는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서, 총 힘의 크기는 일정하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은 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의 두께(L1)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두께(L2)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것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에는 이어 피스의 기울어짐을 위한 힌지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힌지 구조를 수용할 공간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만큼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는 얇은 두께로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이 디자인적으로 매우 미려한 외관을 보유할 수 있게 하고, 얇아진 두께만큼 사용자가 이를 휴대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어 개선된 휴대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양산형 공산품일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디자인으로 서로 다른 머리 형태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가 기울어질 수 있는 힌지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에는 슬림한 디자인과 휴대성을 위해 힌지와 같은 수단이 제외되었고, 대신에 상술한 압력 분산 구조가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에 구비됨으로써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가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형태에 맞추어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헤드 밴드(11)는 적어도 일 부분이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헤드 밴드(11)의 일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밴드(11)는 대칭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폰(10)을 손으로 파지할 때 헤드 밴드(11)를 잡는다면, 헤드 밴드(11)가 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헤드폰(10)은 전체적으로 대칭 형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헤드폰(10)에 불필요한 토크를 인가할 필요없이 헤드폰(10)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밴드(11)가 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헤드폰(10)을 벽과 같은 곳에서 일 측으로 돌출 형성된 곳에 헤드 밴드(11)를 걸어놓음으로써 헤드폰(10)을 수납할 수 있다.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는 제 1 이어 피스(100)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에는 제 2 이어 피스(200)가 연결될 수 있어서, 헤드 밴드(11)는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헤드폰(10)을 착용할 때 헤드 밴드(11)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밴드(11)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닿을 때 부드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 패드(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헤드 밴드(11)의 호 부분의 반지름이 충분하게 크게 형성되어서 다양한 머리 형상에 대해 헤드 밴드(11)가 접촉되지 않도록 디자인 되는 경우에는 헤드 패드(14)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드 밴드(11)에는 힌지구조가 형성되어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구조는 헤드 밴드(1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여러 지점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접을 수 있는 힌지 구조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헤드폰(10)을 접어서 가방과 같은 운송 수단에 수납함으로써 헤드폰(10)을 휴대할 수 있다.
한편, 헤드 밴드(11)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부재(예 : 연성 금속 및 탄성 플라스틱)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헤드 밴드(11)에 대한 기울어짐만으로 적절하게 착용될 수 없는 사람의 얼굴 형태를 고려하여, 헤드 밴드(11)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헤드폰(10)이 착용될 때 헤드 밴드(11)는 좌우로 벌려질 수 있다.
좌우로 벌려진 상태에서의 헤드 밴드(11)의 탄성력은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밀착력은 헤드폰(10)의 음손실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와 헤드 밴드(11)의 일 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길쭉한 제 1 스템(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 이어 피스(200)와 헤드 밴드(11)의 타 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길쭉한 제 2 스템(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스템(12)은 제 1 이어 피스(100)의 제 1 플레이트(예 : 도 3의 제 1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헤드 밴드(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스템(12)은 제 1 이어 피스(100)와 헤드 밴드(11)가 연결되는 부분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지, 이것이 제 1 이어 피스(100) 또는 헤드 밴드(11)와는 구별된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에는 헤드 밴드(11)와 이어 피스 사이에 이어 피스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힌지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 1 이어 피스(100) 및 헤드 밴드(11)를 연결하는 연결부인 제 1 스템(12)은 제 1 이어 피스(100) 및/또는 헤드 밴드(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템(12)이 제 1 이어 피스(100) 및/또는 헤드 밴드(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들 사이에 파팅 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디자인적으로 우수할 수 있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다양한 형태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미도시)는 헤드 밴드(11)의 임의의 부분 및/또는 제 1 스템(12) 및/또는 제 2 스템(13)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템(12) 및 제 2 스템(13)에 길이 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도 2에서 제 1 스템(12) 및 제 2 스템(13) 주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 1 스템(12) 및 제 2 스템(13) 주위에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헤드 밴드(11),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로 형성되는 개곡선의 내측에, 사용자의 키 방향에 따른 귀에서부터 정수리까지 다양한 거리를 가진 머리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구조는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제 1 이어 피스(100)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고, 설명된 내용은 제 2 이어 피스(2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제 1 보조 패드와 제 1 이어 패드가 제거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일 부분의 정면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b의B-B 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제 1 반발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b 및 도 4c에서, 도 4b는 단면이 취해지는 직선(B-B)이 제 1 압력 핀(143)을 지나는 경우 및 단면이 취해지는 직선(C-C)이 제 1 압력 핀(143)을 지나지 않는 경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보조 패드(예 : 도 3의 제 1 보조 패드(150)) 및 이어 패드(예 : 도 3의 제 1 이어 패드(170))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4c에는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제1 압력 핀(143) 및 제1 압력 판(141)의 전체적인 형상과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제 1 이어 피스(100)에 포함될 수 있는 부품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이어 피스(100)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 또는 제 1 스템(12)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110),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표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 1 방향(예 : 도 3 내지 도 10에서 +z방향) 측에 제 1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어 피스(100)는 제 1 이어 피스(100) 상에서 가장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제 1 이어 패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는 제 1 이어 패드(170)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제 1 이어 패드(17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보조 패드(15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보조 패드(150) 및 제 1 하우징(120) 사이에서 제 1 보조 패드(150) 및 제 1 하우징(120) 각각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는,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제 1 스피커(160)(예 : 도 1의 스피커(24))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스피커(160)는 폐곡선으로 형성된 제 1 보조 패드(150), 제 1 압력 유닛(140), 제 1 하우징(120)의 중앙부를 지나 제 1 플레이트(110)의 상기 일 표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 1 이어 패드(17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경우에 수축할 수 있는 재질(예: 예를 들면 스펀지와 같은 발포 재질)로 적어도 일 부분이 구성될 수 있다.
제 1 이어 패드(170)가 수축되는 연성 정도는 제품의 스펙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제 1 이어 패드(170)가 수축이 전혀 되지 않는 강성 부재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사용감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제 1 이어 패드(170)가 과도하게 수축이 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발포 재질에 형성된 통공들이 막혀서 공기가 통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피부에 습진과 같은 피부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이어 패드(170)의 수축되는 정도는 상기 언급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요소들로 인해 제 1 이어 패드(170)는 과도하게 수축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 1 이어 패드(170)의 연성으로 인한 제 1 이어 피스(100)가 사용자의 오른쪽 귀 주위에 가하는 압력의 분산 효과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1 이어 패드(170)가 발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발포 재질에 형성된 통공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 1 이어 패드(170)의 외부는 별도의 재료(예 : 천 또는 합성 수지)로 래핑(wrapping)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어 패드(170)는 제 1 스피커(160)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이 사용자의 귀에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내측에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어 패드(170)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이어 패드(170)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장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제 1 스피커(160)에 이물질(예 : 수분,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 1 이어 패드(170)의 관통부 주위에 통공이 있는 거름망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스피커(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음향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제 1 스피커(160)에는 음향 장치 및, 음향 장치 및/또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를 통해서 여러가지 음향 기능(예 : 노이즈 캔슬링)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제 1 압력 유닛(1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스피커(160)가 아닌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피커(16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상기 일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스피커(160)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이 제 1 플레이트(110)를 진동시키거나 제 1 플레이트(110)의 타 표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 1 스피커(160)와 제 1 플레이트(110)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보조 패드(150)는 제 1 이어 패드(170)를 제 1 압력 유닛(140)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도 5a를 함께 참조하면, 제 1 보조 패드(150)는 제 1 압력 유닛(140)의 상기 제 1 방향 측에 배치되고, 제 1 이어 패드(170)는 제 1 보조 패드(150)의 상기 제 1 방향 측에 배치된다. 제 1 이어 패드(170)의 연성으로 인해 제 1 압력 유닛(140)에 의해 분산된 압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어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제 1 압력 유닛(140)과 제 1 이어 패드(170) 사이에 제 1 보조 패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보조 패드(150)는 제 1 이어 패드(1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제 1 보조 패드(150)가 구비되지 않고 제 1 이어 패드(170)의 제 1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단단하게 형성되어 제 1 이어 패드(170)가 제 1 압력 유닛(140)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사용자의 신체에 헤드폰(10)이 착용되기위한 압력을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1 압력 유닛(140)은 제 1 보조 패드(150)와 접촉하는 제 1 압력 판(141)(도 7 및 도 8 참조) 및 제 1 압력 판(141)과 제 1 하우징(120)에 연결되는 제 1 압력 핀(1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압력 유닛(14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유닛의 하나의 실시 형태이고, 제 1 압력 유닛(140)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유닛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압력 유닛(140)에 대하여 설명한 이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하우징(120)은 타 표면이 제 1 플레이트(110)와 알맞게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20)은 내측에 제 1 스피커(16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관통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20)에는 제 1 하우징(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1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 홈(130)에는 제 1 압력 핀(143)의 적어도 일부가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핀(14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 홈(130)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핀(143)의 상기 제1 하우징(12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제1 압력 핀(143)은 상기 제 1 압력 판(141)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예: 도 3의 ±Z방향으로) 일정 범위의 상하운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압력 핀(143)들의 타 단부(1433)가 대응하는 각각의 제 1 하우징 홈(130)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압력 판(141)은 제 1 하우징(120)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 홈(130)들은 제 1 하우징(120)에서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거나,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일 축(예 : 도 3에서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거나, 일 평면(도 3에서 X-Y 평면) 상의 임의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홈(130)들은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 홈(130)들은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압력 판(141)은 제 1 압력 판 주 몸체(1411) 및 이에 결합되는 제 1 압력 판 보조 몸체(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압력 판 주 몸체(1411) 및 제 1 압력 판 보조 몸체(1412)는 제 1 압력 판(141)으로써 일체(도 7 및 도 8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해 또는 제 1 압력 핀(143)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압력 판(141)에 형성될 수 있는 제 1 압력 판 홈(142)에 쉽게 수용시키기 위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력 판 주 몸체(1411) 및 제 1 압력 판 보조 몸체(1412)로 나뉘어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는 제 1 압력 판 홈(142)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1433)는 제 1 하우징 홈(130)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폰(예 : 도 2의 헤드폰(10))을 착용하지 않는 때에는, 제1 이어 피스(1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복수 개의 제1 압력 핀(143)은 제1 압력 판 홈(142)과 제1 하우징 홈(130)에 동일한 깊이로 수용될 수 있어서, 제1 압력 판(141)은 제1 플레이트(110)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압력 핀(143)은 외력이 없을 때 제1 하우징 홈(130)에 같은 깊이로 수용될 수 있다.도 6은 도 4b의 B-B 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하우징(120)의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4b의B-B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압력 판(141) 및 제 1 압력 판 홈(142)의 단면도이고, 도 8는 도 4b의C-C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압력 판(141) 및 제 1 압력 판 홈(142)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압력 핀(143)의 정면도이다. 제 1 압력 유닛(140)과 제 1 하우징 홈(130)의 배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도 5a의 단면도를 함께 참조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하우징(120)이 나타난다. 제 1 하우징(120)은 내측에 제 1 스피커(예: 도 5a의 제 1 스피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홈(130)은 볼부(132) 및 상기 볼부(132)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는 직선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부(132)는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의 일 측을 향해(예: 도 6의 +Z방향)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직선부(131)의 반대측에 위치한 볼부(132)의 단부는 다시 확장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a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볼부(132)가 제 1 플레이트(110)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직선부(131)가 매우 짧아지거나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직선부(131)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볼부(132)가 매우 짧아지거나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1433)는 제 1 하우징 홈(130)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 홈(130)에는 제 1 반발체(144)가 수용될 수 있다. 제 1 반발체(144)의 일 측 및/또는 타측은 제 1 압력 핀(143) 또는 제 1 하우징(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반발체(144)는 탄성체,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 1 하우징(120)으로부터 상기 제 1 압력 핀(143)으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반발체(144)가 탄성체인 경우, 상기 탄성체의 일 단 및 타 단이 각각 제 1 하우징(120) 및 제 1 압력 핀(1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압력 핀(143)은 제 1 하우징 홈(130)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제 1 반발체(144)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1433)에는 자석(1433-1)이 배치될 수 있고, 제 1 반발체(144)는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1433)와 접촉하지 않고 제 1 압력 핀(143)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가압할 있다. 이 경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인 제 1 반발체(144)는 제 1 하우징 홈(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압력 핀(143)은 자석(1433-1)에 의해서 상기 제 1 반발체(144)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 반발체(144)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예: 도 5b에서 제 1 반발체(144)의 +Z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압력 핀(143)이 자력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자석(1433-1)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반발체(144)가 전자석인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자석(1433-1)들의 자력은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적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압력 판 홈(142)이 제 1 압력 판(141)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압력 판 홈(142)은, 도 4b을 함께 참조하면, 제 1 압력 판(14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함께 참조하면, 제 1 압력 판 홈(142)에는 압력 핀(예 : 도 5a의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우징 홈(예 : 도 5a의 제 1 하우징 홈(13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1 압력 판 홈(142)은 제1 압력 판(141)의 둘레 상에서 다양한 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압력 판 홈(142)은 제1 압력 판(141)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압력 판(141)의 면 상의 임의의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압력 판(1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압력 판(141)은 제 1 압력 판 주 몸체(1411) 및 제 1 압력 판 보조 몸체(14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이를 함께 제 1 압력 판(141)으로써 설명한다.
제 1 압력 판 홈(142)은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태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가 구 형상인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압력 판 홈(142)은 상기 구 형상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된 구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판 홈(142)의 내경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커졌다가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압력 핀(143)은 제 1 압력 판 홈(142)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 1 압력 핀(143)이 비구속적으로 제 1 압력 판 홈(142)에 수용되는 경우, 제 1 압력 핀(143)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제 1 압력 판 홈(142)의 제 1 방향(예: 도 7에서 +Z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한 부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압력 핀(143)에 대한 제 1 압력 판(141)의 원활한 기울어짐이 허용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제 1 압력 핀(143)이 도시된다. 제 1 압력 핀(143)은 제 1 압력 핀(14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압력 핀(143) 몸체(14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압력 핀(143) 몸체(1432)에 연결되는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 및 타 단부(1433)의 적어도 일부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 및 타 단부(1433)는 일부가 절단된 구 형상일 수 있고,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 및 타 단부(1433)의 구 형상의 절단된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핀(14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 방향으로 제 1 압력 핀(143)의 구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로부터 멀어지는 일 지점에서 절단 될 수 있다. 이 때, 구 형상의 절단된 부분의 지름은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의 지름 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 및 타 단부(1433)는 구 형상이 아니고,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된 직선 부분의 횡방향(예: 도 9에서 X방향 또는 Y 방향) 단면의 면적은 상기 몸체(1432)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은 도 4b의B-B선을 따라 취해진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단면으로, 제 1 이어 피스(100)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4c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의 일 부분에서 제1 이어 피스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도 10, 11a, 11b와 함께 도 4c 및 5a를 참조하여 상기 언급한 구성들의 연결관계 및 움직임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는 제 1 압력 판 홈(142)에 수용될 수 있고,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는 제 1 하우징 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핀(143)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에 대응하는 제1 압력 판 홈(142)과 제1 하우징 홈(130) 또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압력 판 홈(142)에는 복수 개의 제1 압력 핀(143)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압력 핀(143)은 방사형으로 또는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어서 제1 이어 피스(100)에 가해지는 압력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하우징 홈(130)은 직선부(131)를 포함할 수 있어서, 이 직선부(131)에서 제 1 압력 핀(143)은 제 1 반발체(144)의 저항을 받으면서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예: 도 10에서 -Z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 1 압력 핀(143)(예: 도 10에서 제 1 하우징(120)의 중심으로부터 -Y방향 측의 제 1 압력 핀(143))이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시에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압력 핀(예: 도 10에서 제 1 하우징(120)의 중심으로부터 +Y 방향 측의 제 1 압력 핀)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른 압력 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라면, 상기 다른 압력 핀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압력 핀(143)들이 각각 상기 제 1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압력 핀(143)들에 의해 지지된 제 1 압력 판(141)은 제 1 하우징(120)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1 압력 핀(143)의 구 형상의 단부들(1431, 1433)이 제 1 압력 판 홈(142)과 볼부(132)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므로, 상기 제 1 압력 판(141)의 기울어짐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제 1 이어 피스(1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압력 핀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제 1 이어 피스(100)는 다양한 머리 형상에 맞게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압력 핀(143)들 중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제1 압력 핀(143)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 곡면을 따라서 각각의 제 1 압력 핀(143)들은 상기 제 1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때 제 1 이어 피스(100)도 얼굴 곡면을 따라서 기울어지므로,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제1 압력 핀(143)들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압력 판(141)은 제1 하우징(120)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10)을 착용하기 전에는 복수의 제 1 압력 핀(143)들은 제 1 하우징(12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압력 판(141)도 제 1 하우징(130)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얼굴의 곡면을 따라서 제 1 이어 패드(170)가 눌리면서 제 1 압력 판(141)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 1 압력 판(141)과 제 1 하우징(130)은 제 1 압력 핀(143)의 구형의 단부들(1431, 1433)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 1 하우징(130)에 대해서 제 1 압력 판(141)이 기울어짐과 동시에 복수의 제 1 압력 핀들(143)은 상기 제 1 방향(예: 도 10에서 +Z방향)으로 제 1 압력 판(141)을 밀어주게 되고 제 1 압력 판(141)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압력 판(141)과 연결된 제 1 이어 패드(170)에 가해지는 압력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한편, 제 1 하우징 홈(130)의 직선부(131)가 길게 형성될수록 제 1 압력 핀(143)의 이동량은 더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이어 피스(100)의 기울어짐 정도도 커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압력 핀(143), 제 1 압력 판 홈(142) 및 제 1 하우징 홈(130)은 적어도 일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핀(예 : 제 1 압력 핀(143)) 중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압력 판 홈(142) 및 제 1 압력 핀(143) 사이에 그리고 제 1 압력 핀(143) 및 제 1 하우징 홈(130) 사이에 기울어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구 형상의 단부들과 구 형상의 홈들은 이러한 기울어짐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이어 피스(100)는 다양한 얼굴 면의 굴곡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구 형상의 지름이 커질수록 제 1 압력 판 홈(142) 및 제 1 압력 핀(143) 사이에 그리고 제 1 압력 핀(143) 및 제 1 하우징 홈(130) 사이의 움직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력 핀(143)과 제1 압력 판 홈(142) 그리고 제1 하우징 홈(130) 사이의 움직임이 도 10에나타나 있으며, 도 10에는 제 1 압력 핀(143)의 상하운동은 직선 화살표로 표시되며, 이러한 제 1 압력 핀(143)의 움직임에 따른 제 1 하우징(120)에 대한 제 1 압력 판(141)의 기울어짐은 곡선형 화살표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하우징 홈(예 : 도 10의 제 1 하우징 홈(130))이 아닌 압력 판 홈(예 : 도 10의 제 1 압력 판 홈(142))에 직선부(예 : 도 10의 직선부(1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압력 판 홈에서 압력 핀(예: 도 10의 제 1 압력 핀(143))에 대한 압력 판(예: 도 10의 제 1 압력 판(141))의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하우징 홈(예 : 도 10의 제 1 하우징 홈(130)) 및/또는 압력 판 홈(예 : 도 10의 제 1 압력 판 홈(142)) 및/또는 압력 핀(예 : 도 10의 제 1 압력 핀(143))은 구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홈 및/또는 상기 압력 판 홈은 상기 압력 핀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진 홈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압력 핀(143) 뿐만 아니라 조절가능한 제1 반발체(144)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제1 압력 판(141)의 각각의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발체(144)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이어 피스(100)가 얼굴에 가하는 압력 분산은 다양한 형태의 얼굴에 맞게 최적화 될 수 있다. 방사 형태로 배치된 제1 압력 핀(143)에 가해지는 힘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하여 이러한 조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친화적 맞춤 헤드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일 사용 상태도이고, 도 1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가 헤드폰(10)을 착용하면, 사람의 얼굴과 제1 이어 패드(예 : 도 3의 제1 이어 패드(170))가 접촉하게 되고 밀착력에 따른 압력에 따라 상기 제1 이어 패드가 눌릴 수 있다. 상기 제1 이어 패드는 상기 제1 이어 패드에 연결된 제1 압력 유닛(예 : 도 3의 제1 압력 유닛(140))의 제1 압력 판(예 : 도 3의 제1 압력 판(141))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유닛은 상기 제1 압력 유닛에 작용되는 압력을 분산하기 위한 구성들(예 : 도 3의 제1 압력 핀(143), 도 3의 제1 반발체(144)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들로 인하여 상기 제1 압력 판은 사람의 얼굴 형태에 맞게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제1 압력 핀이 상기 제1 반발체를 통하여 상기 제1 압력 판을 복수의 지점에서 고르게 밀어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이어 패드에서 사람의 얼굴에 가해지는 압력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는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머리 형상에 맞게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제 1 이어 피스(100) 및 제 2 이어 피스(200)의 기울어짐을 위한 힌지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힌지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한 만큼 슬림한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복수 개의 제 1 압력 핀(143)을 포함할 수 있어서, 복수 개의 압력 지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이어 피스(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압력은 어느 특정 지점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지점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사용자는 헤드폰(10)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덜 피로하거나 통증을 덜 느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제1 이어 피스(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압력은 복수 개의 제1 압력 핀(143)의 개별적인 거동에 의하여 여러 지점으로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어서, 제1 이어 피스(100)는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은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밀착될 수 있어서, 다양한 얼굴 형태를 가진 사용자들에게 음손실이 적은 청음 환경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10)의 여러 지점으로 분산되는 압력은 복수 개의 제1 반발체(14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어서, 상기 밀착력은 다양한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따라 조절 또는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미도시)는 청각을 위한 이어 피스(예 : 도 5a의 제 1 이어 피스)에 대응되는, 시각을 위한 디스 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촉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사람의 눈 주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폰(예 : 도 5a의 헤드폰(100))과 유사하게, 웨어러블 장치(미도시)는 헤드 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 피스는 하우징, 접촉 패드 및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유닛은 상술한 압력 유닛(예 : 도 5a의 제 1 압력 유닛(140))과 동일한 구성과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람의 눈 주위에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폰(10)에 있어서, 헤드 밴드(11),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100) 및 상기 헤드 밴드(11)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100)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11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12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1 하우징(120)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140)은, 제 1 압력 판(141) 및 상기 제 1 압력 판(141)과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141)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제 1 압력 핀(14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압력 판이 기울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120)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130)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20)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 1 압력 판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 1 압력 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판(141)은 링 형태이고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는 상기 제 1 압력 판(14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타 단부(1433)는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이 연장하는 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은, 상기 제 1 압력 판(1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판 홈(142)들에 상기 일 단부(1431)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판(141)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일 단부(1431)는 절단된 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상기 일 단부(1431)에서 구면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몸체(143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판 홈(142)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에 대응하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일 단부(1431)의 구 형상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구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로부터 멀어지는 일 지점에서 절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판(141)과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31)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상기 타 단부(1433)는 일부가 절단된 구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구 형상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구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몸체(1432)로부터 멀어지는 일 지점에서 절단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은, 절단된 구 형상의 홈인 볼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볼부(132)는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의 상기 직선부(13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의 상기 직선부(131)에서 제 1 압력 판(141)을 향한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 단부(1431)와 상기 타 단부(1433)가 대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120)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20) 상에 형성되는 홈들의 직선부(131)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반발체(14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발체(144)는 탄성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발체(144)는 전자석일 수 있고, 상기 제 1 반발체(144)는, 상기 제 1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전자석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일 단부(1431)의 구 형상의 반지름은,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의 일 단부(1431)와 타 단부(1433) 사이의 몸체(1432) 부분의 반지름 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밴드 및 상기 밴드의 일 단 및 타 단에 연결되는 접촉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밴드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접촉 패드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압력 판 및 상기 압력 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력 판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압력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하우징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압력 핀에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 홈들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핀들은, 상기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압력 판 홈들에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일부가 절단된 구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압력 판과 상기 접촉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에는 탄성체 또는 전자석인 반발체들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의 구 형상의 반지름은,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몸체 부분의 반지름 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폰(10)에 있어서, 헤드 밴드(11),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100) 및 상기 헤드 밴드(11)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100)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11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120),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1 하우징(120)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 및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이어 피스(200)는, 상기 헤드 밴드(11)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하우징이 배열된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압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120)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130)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2 하우징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140)은,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압력 판(141) 및 일 단부(1431)가 상기 제 1 압력 판(141)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 단부(1433)가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핀(143)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압력 유닛은, 상기 제 2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압력 판 및 일 단부(1431)가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 단부(1433)가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압력 핀(143)들은, 상기 제 1 압력 판(1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판 홈(142)들에 상기 일 단부(1431)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판(141)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압력 핀들은, 상기 제 2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1431)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판(141)과 상기 제 1 이어 패드(170)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31)일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2 압력 판과 상기 제 2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31)일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130)들의 직선부(131)에는 제 1 반발체(144)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의 직선부(131)에는 제 2 반발체가 수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헤드폰에 있어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 및
    상기 헤드 밴드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우징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은,
    제 1 압력 판; 및
    상기 제 1 압력 판과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제 1 압력 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압력 판이 기울어질 수 있는,
    헤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력 핀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 1 압력 핀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 1 압력 판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 1 압력 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헤드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판은 링 형태이고 상기 제 1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압력 핀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압력 핀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압력 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압력 핀의 타 단부는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에 수용되는,
    헤드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이 연장하는 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는,
    헤드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들은,
    상기 제 1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는,
    헤드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일 단부는 절단된 구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상기 일 단부에서 구면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압력 판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 1 압력 핀의 일 단부에 대응하는 구 형상을 가지는
    헤드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의 일 단부의 구 형상은, 상기 제 1 압력 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의 구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의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일 지점에서 절단되는,
    헤드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판과 상기 제 1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인,
    헤드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상기 타 단부는 일부가 절단된 구 형상이고,
    상기 제 1 압력 핀의 구 형상은, 상기 제 1 압력 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면 방향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의 구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압력 핀의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일 지점에서 절단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은, 절단된 구 형상의 홈인 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의 상기 직선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의 상기 직선부에서 제 1 압력 판을 향한 측에 형성되는,
    헤드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압력 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가 대칭인,
    헤드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압력 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홈들의 직선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반발체들;
    을 포함하는,
    헤드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발체는 탄성체인,
    헤드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발체는 전자석이고,
    상기 제 1 반발체는,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전자석의 세기가 조절되는,
    헤드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일 단부의 구 형상의 반지름은, 상기 제 1 압력 핀들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몸체 부분의 반지름 보다 큰,
    헤드폰.
  15.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밴드; 및
    상기 밴드의 일 단 및 타 단에 연결되는 접촉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밴드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접촉 패드;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압력 판; 및
    상기 압력 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력 판 내부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압력 핀;
    를 포함하고,
    웨어러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하우징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핀에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 홈들에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핀들은, 상기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압력 판 홈들에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일부가 절단된 구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압력 판과 상기 접촉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인,
    웨어러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에는 탄성체 또는 전자석인 반발체들이 각각 수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의 구 형상의 반지름은, 상기 압력 핀들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몸체 부분의 반지름 보다 큰,
    웨어러블 장치.
  20. 헤드폰에 있어서,
    헤드 밴드;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이어 피스; 및
    상기 헤드 밴드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 2 이어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하우징이 배열된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어 피스는,
    상기 헤드 밴드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하우징이 배열된 제 2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 2 하우징과 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이어 패드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압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하우징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2 하우징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력 유닛은,
    상기 제 1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압력 판;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1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력 유닛은,
    상기 제 2 이어 패드의 둘레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압력 판;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에 대해 비구속적으로 수용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압력 핀들은,
    상기 제 1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1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압력 핀들은,
    상기 제 2 압력 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 판 홈들에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 2 압력 판에 비구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1 압력 판과 상기 제 1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이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 2 압력 판과 상기 제 2 이어 패드가 접촉하는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이고,
    상기 제 1 하우징 홈들의 직선부에는 제 1 반발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 홈들의 직선부에는 제 2 반발체가 수용되는,
    헤드폰.
KR1020220055374A 2021-12-16 2022-05-04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KR20230091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8373 WO2023113270A1 (ko) 2021-12-16 2022-11-21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US18/114,473 US20230224616A1 (en) 2021-12-16 2023-02-27 Headphones and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0816 2021-12-16
KR1020210180816 2021-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51A true KR20230091751A (ko) 2023-06-23

Family

ID=8699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74A KR20230091751A (ko) 2021-12-16 2022-05-04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549B2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9167334B2 (en) Adjustable mechanism for securing in-ear audio device
US9445185B2 (en) Audio listening system
US8965029B2 (en) Headphone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US10951970B1 (en) Open audio device
KR101714442B1 (ko) 휴대용 음향기기
JP7396796B2 (ja) イヤホン装置
EP3731536B1 (en)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US20230091575A1 (en) Audio device with wingtip anchor
KR20230091751A (ko) 헤드폰 및 웨어러블 장치
JP5248367B2 (ja) イヤホン装置
US20230224616A1 (en) Headphones and wearable device
JP2013168981A (ja) イヤホン
JP7452948B2 (ja) 音響出力装置
JP2016195469A (ja) イヤホン
JP5360321B2 (ja) イヤホン
JP5392429B2 (ja) イヤホン
JP6798576B2 (ja) イヤホン
JP6555313B2 (ja) イヤホン
JP2008060943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JP2022137263A (ja) イヤホン
JP6460968B2 (ja) イヤホン
JP5360322B2 (ja) イヤホ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