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469A -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469A
KR20230091469A KR1020210180600A KR20210180600A KR20230091469A KR 20230091469 A KR20230091469 A KR 20230091469A KR 1020210180600 A KR1020210180600 A KR 1020210180600A KR 20210180600 A KR20210180600 A KR 20210180600A KR 20230091469 A KR20230091469 A KR 2023009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rod
connecting rod
fastening
faste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김용영
옥동한
성연준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21018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469A/en
Publication of KR2023009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4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체결봉,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봉은 단일의 봉재에 기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45~9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ro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a second fasten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rod,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e second fastening rod is made integrally based on a single rod, and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is 45 to 90 °, and provides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nd a profile connect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프로파일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구조{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Profile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it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파일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에 인가되는 외력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프로파일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file connection member and a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can effectively buffer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easily fastened,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It relates to a profile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reduced and a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태양광 발전소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장착된 구조물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소는 일반적으로 육상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막대한 부지구입 및 시공 비용이 소요되고, 주로 야산을 깎아 부지로 사용하게 되므로 환경이 파괴된다. 또한, 육상에 설치하게 되면 여름철의 경우 지열에 의해 태양광 모듈이 가열되어 태양광 모듈들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없고, 이는 태양광 모듈의 발전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A photovoltaic power plant is an assembly of structures in which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are mounted in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These photovoltaic power plants are generally installed on land, which requires enormous land purchase and construction costs, and is mainly used as a site by cutting down hills, which destroys the environment. In addition, when installed on land, the solar modules are heated by geothermal heat in the summer, so that the solar modules cannot be effectively cooled, which reduces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module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을 호수, 강, 연못, 댐, 해양 등의 수상에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부표와 함께 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배치된 복수의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 which a photovoltaic module is installed on a water surface such as a lake, river, pond, dam, or ocean has been developed. Such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a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floating structures in which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long with buoys are disposed.

상기 부유 구조물들은 상호 견고하게 연결, 체결되어야 한다. 상기 부유 구조물은 태양광 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수면에 떠있는 태양광 모듈 고정용 주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 시, 상기 주부력체의 부력을 보완하고 태양광 모듈의 주변을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면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개별 부력체 및/또는 2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은 이들을 상호 직접 연결하거나, 부력체 상에 고정된 프로파일(profile)과 같은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 체결될 수 있다.The floating structures must be firmly connec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The floating structure may include a main buoyancy body for fixing a photovoltaic modu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ith the photovoltaic module fixed, and if necessary, complement the buoyancy of the main buoyancy body and move the worker around the photovoltaic module. An auxiliary buoyancy bod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adjacent individual buoyancy bodies and/or unit units including two or more buoyancy bodie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a support member such as a profile fixed on the buoyancy body. It can be connected and fastened.

이러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해상에 적용되는 경우, 호수, 저수지와 같은 담수에 적용된 경우에 비해 기후 변화, 파도의 강도, 높이 등에 따라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부력체에 인가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상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부력체가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 손상될 우려가 있고, 상기 부력체가 크게 파손되는 경우 태양광 모듈에 제공되는 부력, 지지력이 상실되어 태양광 모듈이 수몰될 수 있다.When such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applied to the sea, the load applied to the buoyant body supporting the solar module is relatively large depending on climate change, wave intensity, height, etc.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is applied to fresh water such as lakes and reservoirs. Accordingly,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uoyancy body made of plastic or synthetic resin may be damaged or damaged by external impacts such as waves, and when the buoyancy body is greatly damaged, the buoyancy and support provided to the solar module are lost. As a result, the solar module may be submerged.

종래 단봉 형태의 간단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2 이상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단위 유닛을 연결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파도, 이러한 형태의 연결부재는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단위 유닛 간 상대적인 상하 변위, 수평 변위, 회전 변위를 수용하지 못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connecting unit units including two or more buoyant bodies using a simple connecting member in the form of a single rod has been proposed, but this type of connecting member is inevitably caused by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and wi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damaged because it cannot accommodate vertical displacement, horizontal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1929428호 등은 단위 유닛 간 상대적인 상하 변위, 수평 변위, 회전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위 유닛 연결용 회전 브래킷을 개시한다. 다만, 상기 회전 브래킷 중 프로파일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되어 수평 변위를 수용하는 1쌍의 판재, 및 인접한 별도의 회전 브래킷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변위를 수용하는 1쌍의 판재가 중심에 위치한 판재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90°로 절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절곡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상기 회전 브래킷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In contras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9428 discloses a rotating bracket for connecting unit units capable of actively accommodating relative vertical displacement, horizontal displacemen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between unit units. However, among the rotating brackets, a pair of plates that are fixedly coupled or hinged to the end of the profile to accommodat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 pair of plates that are hinged to an adjacent separate rotating bracket to accommodate vertical displacement are located at the center They are bent at 90° in opposite directions relative to the plate material, and as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bent portion, the rotating bracket may be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인접한 2개의 회전 브래킷을 힌지 결합시키는 볼트의 생크부(shank) 및/또는 나사부(tread)가 상하 변위를 수용하는 1쌍의 판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수분, 염분 등에 의해 볼트가 쉽게 부식, 파손될 수 있고, 볼트의 생크부(shank) 및/또는 나사부(tread)가 상하 변위를 수용하는 1쌍의 판재에 형성된 통공의 얇은 내주면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회전 브래킷 간 힌지 결합이 장기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the shank and/or the thread of the bolt that hinge-joins the two adjacent rotation brackets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plates accommoda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moisture, salt, etc. The bolts can be easily corroded and damaged by this, and since the bolt's shank and/or thread are supported only by the thi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pair of plates that accommodates the vertical displacement, the hinge coupling between the rotating brackets is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aintain firmly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에 인가되는 외력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프로파일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buffer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be easily fastened, and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It is to provide a profile connection member capable of and a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체결봉,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봉은 단일의 봉재에 기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45~9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ro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a second fasten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rod,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e second fastening rod is made integrally based on a single rod, and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provides a profile connection member having a 45 to 90 ° ang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봉, 상기 제1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봉, 상기 제2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연결봉, 및 상기 제3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 체결봉의 전단까지 연장된 제4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제1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의 중심축은 제1 평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3 연결봉, 상기 제4 연결봉, 및 상기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은 제2 평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이 이루는 각은 45~9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 second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 third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a fourth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to a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rod, and central axes of the first fastening rod,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form a first plane; Central axes of the third connecting rod, the fourth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form a second plane, and an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nes may be 45° to 9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90~15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may be 90° to 1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봉의 중심축 및 상기 제2 평면이 이루는 각은 90~15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plane may be 90° to 1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80~12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may be 80° to 120°.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체결봉 및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는 상기 제1 체결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체결봉 및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는 상기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files connected by the profil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fastening rod is hing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rofile to form a join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rod and the first profile. The end rotate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is hing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rod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r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fastening rod It provides a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that rotates wit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1 통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연결봉의 길이는 상기 제1 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2 통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4 연결봉의 길이는 상기 제2 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rod is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idewall of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fastening rod is fasten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is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can be longer th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의 일 측벽 및 타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의 일 측벽 및 타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rod is fastened through one sidewall and the other sidewall of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is fastened through one sidewall and the other sidewall of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It can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측벽 및 상기 제1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및 상기 제4 연결봉의 측벽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dewall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idewall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sidewall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 및 상기 제2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말단 및 상기 제3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는, 제1 체결봉,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봉은 단일의 봉재에 기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을 45~90°로 설계함으로써,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에 인가되는 외력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 profi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ro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a second fasten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fastening rod,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are integrally made based on a single rod, and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is designed to be 45 to 90 °, which is applied to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External forces can be effectively buffe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simply fasten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조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조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는, 제1 체결봉(10),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체결봉(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봉(10),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제2 체결봉(30)은 단일의 봉재에 기반하여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rofi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rod 10, a connecting portion 20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a thir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It may include two fastening rods 30,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the connection part 20,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may be integrally formed based on a single rod material.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프로파일"은 기설정된 종횡비(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율(D/L) 또는 길이에 대한 단면적의 비율(A/L))을 가지는 막대형 및/또는 관형 부재를 의미하며, 프레임, 파이프, 로드, 형강, 강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그 단면의 형태에 따라, C형강, H형강, I형강, L형강, 각관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그 내부에 대한 빈 공간의 허용 여부에 따라, 중실형, 중공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file" means a rod-shaped and/or tubul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ratio of diameter to length (D/L) or cross-sectional area to length (A/L)). I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frames, pipes, rods, beams, steel pipes, etc. The profile, for example, can be divided into C-beams, H-beams, I-beams, L-beams, square tubes, etc. according to the shape of its cross section, and depending on whether an empty space is allowed inside, solid, It can be classified as hollow.

상기 제1 체결봉(10)은 제1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로파일이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bar 10 is hinged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so that the first profil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bar 10 .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힌지 결합"은 체결된 각 부재에 대해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 즉, 회동을 기설정된 범위로 허용하는 형태의 결합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inge coupling" refers to a rotational motion around an arbitrary axis for each fastened member, that is, a coupling in a form that allows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제1 프로파일이 중공형인 경우, 상기 제1 체결봉(10)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측벽 중 하나를 관통하도록 상기 측벽의 두께를 초과하거나,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즉,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파일이 중실형인 경우, 상기 제1 체결봉(10)의 길이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즉,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profile is hollow, the length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exceeds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so as to pass through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first profile, or pass through both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profile. ie to excee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file. When the first profile is solid, the length of the first fastening bar 10 may be designed to pass through both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profile, that is, to excee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file.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측벽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여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체결봉(10)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체결봉(10)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홈, 나사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rod 10 protrudes into the first profile through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first profile or protrudes out of the first profile through all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first profile. A groove, a threaded portion, or a similar configuration (not shown) to which a member for fixing the first fastening rod 10 can be coupled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상기 제1 체결봉(10)의 표면, 구체적으로, 외주면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회동 시 마찰을 저감하도록 적절히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봉(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코팅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은 오일,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bar 10,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appropriately treated to reduce friction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profile.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may have a coating layer (not shown),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oil, thermoplastic resin, film,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 체결봉(30)은 상기 제1 프로파일과 인접한 별도의 제2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로파일이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파일이 중공형인 경우, 상기 제2 체결봉(30)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중 하나를 관통하도록 상기 측벽의 두께를 초과하거나,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즉,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파일이 중실형인 경우, 상기 제2 체결봉(30)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즉,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rod 30 is hinged with an end of a separate second profile adjacent to the first profile, so that the second profile rotates based on the central axis (x 2 )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can make it When the second profile is hollow, the length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exceeds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so as to pass through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or pass through both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That is, it may be designed to excee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file. When the second profile is solid, the length of the second fastening bar 30 may be designed to pass through both opposing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that is, to excee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file.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벽을 모두 관통하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2 체결봉(30)의 단부에는 상기 제2 체결봉(30)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홈, 나사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rod 30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profile through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or protrudes out of the second profile through all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At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ar 3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a threaded portion, or a similar configuration (not shown) to which a member for fixing can be coupled.

상기 제2 체결봉(30)의 표면, 구체적으로, 외주면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회동 시 마찰을 저감하도록 적절히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체결봉(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코팅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은 오일,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bar 30,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appropriately treated to reduce friction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may have a coating layer (not shown),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oil, thermoplastic resin, film,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제1 체결봉(1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 체결봉(30)의 전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10, 30)을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10, 30)이 각각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이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0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10 and 30, and thus ,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10 and 30 are hinged, respectively, may be connected.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체결봉(10),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제2 체결봉(30)은 단일의 봉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bar 10,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fastening bar 30 constituting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are formed by bending a single ba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봉재"는 기설정된 종횡비(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율(D/L) 또는 길이에 대한 단면적의 비율(A/L))을 가지는 막대형 및/또는 관형 부재를 의미하며, 파이프(pipe), 로드(rod)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봉재의 단면 형태는 타원형, 원형, 다각형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봉재는 그 내부에 대한 빈 공간의 허용 여부에 따라, 중실형, 중공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실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재의 직경은 5~30mm, 바람직하게는, 10~20mm, 더 바람직하게는, 10~1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bar" means a rod-shaped and/or tubul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ratio of diameter to length (D/L) or cross-sectional area to length (A/L)). and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pipes, rods, etc.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a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lliptical, circular, polygonal,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preferably, may be circ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bar may be classified into a solid type and a hollow type depending on whether an empty space is allowed therein, preferably, but may be a solid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od may have a diameter of 5 to 30 mm, preferably, 10 to 20 mm, and more preferably, 10 to 1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x1, x2)이 이루는 각(A1)은 45~90°, 바람직하게는, 60~90°, 더 바람직하게는, 80~9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 및 상기 제1 체결봉(10) 간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 및 상기 제2 체결봉(30) 간 수직 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 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2 is a front view of a profi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ngle A 1 formed by the central axes (x 1 , x 2 )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is 45 to 90 °, preferably 60 to 90 °, more preferably, It may be 80-90°. For example,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may allow rot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second The central axis (x 2 ) of the fastening rod 30 may allow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n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Rotation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ay be permitted.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제1 체결봉(1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봉(21), 상기 제1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봉(22), 상기 제2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연결봉(23), 및 상기 제3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 체결봉(30)의 전단까지 연장된 제4 연결봉(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art 2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od 21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a second connecting rod 22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It may include an extended third connecting rod 23 and a fourth connecting rod 24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to a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

상기 제1 연결봉(21)은 수직으로 배치한 상기 봉재를 절곡선(b1)을 따라 기설정된 각으로 전방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선(b1)에 의해 상기 제1 체결봉(10) 및 상기 제1 연결봉(21)이 구획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rod 21 may be formed by forward bending the vertically disposed bar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bending line b1,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is formed by the bending line b1.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may be partitioned.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과 상기 제1 연결봉(21)의 중심축(y1)이 이루는 각은 80~120°, 바람직하게는, 90~100°, 더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1)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1 체결봉(10) 및 상기 제1 연결봉(21)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체결봉(1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연결봉(21)이 상호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원활한 회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과 상기 제1 연결봉(21)의 중심축(y1)이 이루는 각이 80° 미만이면 상기 제1 연결봉(21)과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측벽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연결봉(21)의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제1 프로파일의 회동이 저해될 수 있고, 120° 초과이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central axis (y 1 )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is 80 to 120°, preferably 90 to 100°,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may be 90 °, and through this,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1)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fastening rod 10 Smooth rotation of the first profile can be induced by allowing the first profile hinged to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interval. Conversely,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central axis (y 1 )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is less than 80°,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s of one profil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so rotation of the first profile may be hindered, and if it exceeds 120°,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연결봉(22)은 상기 제1 연결봉(21)의 후단을 절곡선(b2)을 따라 기설정된 각으로 하방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선(b2)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21, 22)이 구획될 수 있다.Figure 3 (a) is a side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may be formed by downward bend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bending line b2, and the bending line (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1 and 22 may be partitioned by b2).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21, 22)의 중심축(y1, y2)이 이루는 각(A2)은 90~150°, 바람직하게는, 110~150°, 더 바람직하게는, 120~14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2)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21, 22)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봉(22)을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과 전체적으로 이격시키되, 상기 제2 연결봉(2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과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봉(21)의 하부 및 상기 제2 연결봉(22)의 측하부에 상기 제1 프로파일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21, 22)의 중심축(y1, y2)이 이루는 각(A2)이 90° 미만이면 상기 제2 연결봉(22)과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연결봉(22)의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제1 프로파일의 회동이 저해될 수 있고, 150° 초과이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angle A 2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1 and y 2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1 and 22 is 90 to 150°, preferably 110 to 150°, more preferably 120 ~140°, and through this,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2)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1 and 22,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whole, and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file can rotate at the lower side. Conversely, when the angle A 2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1 and y 2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1 and 22 is less than 90°,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and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so rotation of the first profile may be hindered, and if it exceeds 150°,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제3 연결봉(23)은 상기 제2 연결봉(22)의 후단을 절곡선(b3)을 따라 기설정된 각으로 상방 절곡, 바람직하게는, 상측방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선(b3)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 연결봉(22, 23)이 구획될 수 있다.Figure 3 (b) is a plan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b) , the third connecting rod 23 is formed by bend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bending line b3, preferably upwardly.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rods 22 and 23 may be partitioned by the bending line b3.

상기 제2 및 제3 연결봉(22, 23)의 중심축(y2, y3)이 이루는 각은 80~120°, 바람직하게는, 90~100°, 더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3)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2 및 제3 연결봉(22, 23)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3 연결봉(23)을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말단과 전체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3 연결봉(23)의 측부에 상기 제2 프로파일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및 제3 연결봉(22, 23)의 중심축(y2, y3)이 이루는 각이 90° 미만이면 상기 절곡선(b3)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120° 초과이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2 and y 3 of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rods 22 and 23 may be 80 to 120°, preferably 90 to 100°, more preferably 90°, , Through this,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3)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rods 22 and 23,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connecting rod 23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s a whole, 3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file can rotat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rod 23. Conversely,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2 and y 3 of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rods 22 and 23 is less than 90°, stress is concentrated at the bending line b3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exposed to external force. It can be easily broken by, and if it exceeds 120 °,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file connecting member.

상기 제4 연결봉(24)은 상기 제3 연결봉(23)의 후단을 절곡선(b4)을 따라 기설정된 각으로 전방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선(b4)에 의해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23, 24)이 구획될 수 있다.The fourth connecting rod 24 may be formed by forwardly bending the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23 at a preset angle along a bending line b4, and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23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23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bending line b4. 4 connecting rods 23 and 24 may be partitioned.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23, 24)의 중심축(y3, y4)이 이루는 각(A4)은 80~120°, 바람직하게는, 90~100°, 더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4)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23, 24)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체결봉(3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프로파일과 상기 제4 연결봉(24)이 상호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원활한 회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23, 24)의 중심축(y3, y4)이 이루는 각(A4)이 80° 미만이면 상기 제4 연결봉(24)과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간의 간격이 상기 제4 연결봉(24)의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제2 프로파일의 회동이 저해될 수 있고, 120° 초과이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angle A 4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3 and y 4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23 and 24 is 80 to 120°, preferably 90 to 100°, more preferably 90° °, through which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4)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23, 24)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fastening rod (30) The second profile hinged Smooth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may be induced by allowing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interval. Conversely, if the angle A 4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3 and y 4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23 and 24 is less than 80°,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nd the sidewall of the second profile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which may hinder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and if it exceeds 120°,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상기 제2 체결봉(30)은 상기 제4 연결봉(24)의 후단을 절곡선(b5)을 따라 기설정된 각으로 측방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곡선(b5)에 의해 상기 제4 연결봉(24) 및 제2 체결봉(30)이 구획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rod 30 may be formed by laterally bending the rear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 bending line b5, and the fourth connecting rod by the bending line b5. (24) and the second fastening bar (30) can be partitioned.

상기 제4 연결봉(24) 및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y4, x2)이 이루는 각은 80~120°, 바람직하게는, 90~100°, 더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5)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4 연결봉(24) 및 상기 제2 체결봉(30)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체결봉(3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프로파일과 상기 제4 연결봉(24)이 상호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원활한 회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과 상기 제4 연결봉(24)의 중심축(y4)이 이루는 각이 80° 미만이면 상기 제4 연결봉(24)의 전단과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간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제2 프로파일의 회동이 저해될 수 있고, 120° 초과이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y 4 , x 2 )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is 80 to 120°, preferably 90 to 100°, more preferably 90°. It may be °, through which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5)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nd at the same time hinged to the second fastening rod 30 Smooth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may be induced by allowing the second profile and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interval. Conversely,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x 2 )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nd the central axis (y 4 )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is less than 80°, the front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second profile may be narrowed to inhibit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and if it exceeds 120 °,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file connecting member.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체결봉(10), 상기 제1 연결봉(21), 및 상기 제2 연결봉(22)의 중심축(x1, y1, y2)은 제1 평면(p1)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3 연결봉(23), 상기 제4 연결봉(24), 및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y3, y4, x2)은 제2 평면(p2)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b), the central axes (x 1 , y 1 , y 2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are the first It can form a plane (p 1 ), and the central axes (y 3 , y 4 , x 2 ) of the third connecting rod 23 ,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re A second plane p 2 may be formed.

상기 제1 및 제2 평면(p1, p2)이 이루는 각(A1)을 45~90°, 바람직하게는, 60~90°, 더 바람직하게는, 80~90°로 설계함으로써 반복적인 절곡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에 잔류하는 응력, 구체적으로, 각각의 절곡선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10, 30)과,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봉(21, 22, 23, 24)에 균형적으로 분산시켜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이 상기 제2 평면(p2)의 연장면을 관통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른 중량을 각각 40~60 : 40~60의 비율로 배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10, 3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이 기본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By designing the angle A 1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planes p 1 and p 2 to be 45 to 90°, preferably, 60 to 90°, and more preferably 80 to 90°, iterative The stress remaining in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by bending, specifically, the stress concentrated on each bending lin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10 and 30 and the first to fourth connecting rods 21 and 22, 23, 2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of the profile connecting member.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central axis (x 2 )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to pass through the extension surface of the second plane (p 2 ), the weight of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alo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40, respectively. By distributing at a ratio of ~60:40~60,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10 and 30 can be basically maintained horizontally.

상기 제2 연결봉(22)의 중심축(y2) 및 상기 제2 평면(p2)이 이루는 각(A3)은 90~150°, 바람직하게는, 110~150°, 더 바람직하게는, 120~140°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절곡선(b3)에 집중된 응력을 상기 제1 및 제2 평면(p1, p2)으로 적절히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봉(22)을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과 전체적으로 이격시키되, 상기 제2 연결봉(22)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과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봉(21)의 하부 및 상기 제2 연결봉(22)의 측하부에 상기 제1 프로파일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y 2 ) and the second plane (p 2 ) form an angle (A 3 ) of 90 to 150 °, preferably, 110 to 150 °, more preferably, It may be 120 to 140 °, and through this,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bending line (b3) is properly distributed to the first and second planes (p 1 , p 2 )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 22)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file can rot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조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조는, 상기 프로파일 연결부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프로파일(100, 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10)은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체결봉(10) 및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단부는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체결봉(30)은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체결봉(30) 및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단부는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files 100 and 200 connected by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is The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re hinged with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rotate based on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is hinged with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are the second fastening rod 30 ) can be rotated based on the central axis (x 2 ).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제1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제1 단위 유닛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단위 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막대형 및/또는 봉형 부재를 의미하고, "제2 프로파일"은 상기 제1 단위 유닛에 인접하되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제2 단위 유닛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단위 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막대형 및/또는 봉형 부재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first profile" refers to a rod-shaped and/or rod-shaped member fastened to a first uni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buoyant body to fix and support the first unit unit, and " The term “second profile” refers to a rod-shaped and/or rod-shaped member that is adjacent to the first unit unit but fastened to the second uni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buoyant body to fix and support the second unit unit.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의 단부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의 상호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유닛에 기설정된 범위(방향 및/또는 각)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다.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mutually fac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of the connecting member to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irection and/or angle) may be allowed for the first and second unit units.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10, 30)의 중심축(x1, x2)이 이루는 각은 45~90°, 바람직하게는, 60~90°, 더 바람직하게는, 80~9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봉(10)의 중심축(x1)은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단부 및 상기 제1 체결봉(10) 간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봉(30)의 중심축(x2)은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단부 및 상기 제2 체결봉(30) 간 수직 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100, 200) 간(상기 제1 및 제2 단위 유닛 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x 1 , x 2 )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10 and 30 is 45 to 90°, preferably 60 to 90°, more preferably , may be 80 to 90°. For example, the central axis (x 1 ) of the first fastening rod 10 may allow rot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The central axis (x 2 ) of the second fastening rod 30 may allow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30, and as a result, the Rotation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100 and 2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nit units) may be permitted.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단부와 상기 제1 체결봉(10)의 힌지 결합은 상기 제1 체결봉(10)을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1 통공(110)에 체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단부와 상기 제2 체결봉(30)의 힌지 결합은 상기 제2 체결봉(30)을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2 통공(210)에 체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의 유형과 그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길이, 고정 방식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Hinge coupling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first fastening rod 10 is the first through hole 110 provided in the sidewall of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by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rod 10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 ), and the hinged coupling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second fastening bar 30 is the second fastening bar 30 at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It may be implemented by fasten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210 provided in the side wall. The typ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files,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fixing methods, and the like accordingly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구조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연결봉(21)의 길이(l1)는 상기 제1 통공(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말단까지의 길이(d1)보다 길고, 상기 제4 연결봉(24)의 길이(l4)는 상기 제2 통공(2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말단까지의 길이(d2)보다 길 수 있다.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length l 1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is longer than the length d 1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0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The length l 4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d 2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0 to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

상기 제1 연결봉(21)의 길이(l1)를 상기 제1 통공(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말단까지의 길이(d1)보다 길게 설계함으로써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이 회동 간 상기 제2 연결봉(2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봉(24)의 길이(l4)를 상기 제2 통공(2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말단까지의 길이(d2)보다 길게 설계함으로써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이 회동 간 상기 제3 연결봉(23)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designing the length l 1 of the first connecting rod 21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d 1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0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the first profile 100 )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ng rod 21 during rotation, and the length l 4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is measured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0 to the second profile 200 By designing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d 2 ) to the end of , the second profile 200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rd connecting rod 23 during rotation.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측벽 및 상기 제1 연결봉(21)은 기설정된 간격, 예를 들어, 5~20mm, 바람직하게는, 5~15mm, 더 바람직하게는, 5~10mm의 간격으로 평행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측벽 및 상기 제4 연결봉(24)의 측벽은 기설정된 간격, 예를 들어, 5~20mm, 바람직하게는, 5~15mm, 더 바람직하게는, 5~10mm의 간격으로 평행 이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회동 간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측벽과 상기 제1 연결봉(21)의 접촉, 마찰과 같은 간섭과,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회동 간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측벽과 상기 제4 연결봉(24)의 접촉, 마찰과 같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wall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are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5 to 20 mm, preferably 5 to 15 mm, more preferably 5 to 10 mm. spaced apart, and the sidewall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sidewall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ar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5 to 20 mm, preferably, 5 to 15 mm, more preferably, 5 to 20 mm. It may be spaced in parallel at an interval of 10 mm, and through this, interference such as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the sidewall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21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Interference such as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the sidewall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fourth connecting rod 24 can be prevented during rotation of the two profiles 200 .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말단 및 상기 제2 연결봉(22)은 기설정된 간격,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21, 22)의 중심축(y1, y2)이 이루는 각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봉(22)의 후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말단 및 상기 제3 연결봉(23)은 기설정된 간격, 예를 들어, 5~20mm, 바람직하게는, 5~15mm, 더 바람직하게는, 5~10mm의 간격으로 평행 이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회동 간 상기 제1 프로파일(100)의 말단과 상기 제2 연결봉(22)의 접촉, 마찰과 같은 간섭과,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회동 간 상기 제2 프로파일(200)의 말단과 상기 제3 연결봉(23)의 접촉, 마찰과 같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central axes y 1 and y 2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21 and 22 Depending on the angle, the second connecting rod 22 is spaced apart so that the distance becomes wider toward the rear end,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23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5 to 20 mm , Preferably, it may be spaced in parallel at an interval of 5 to 15 mm, more preferably, 5 to 10 mm, and through this,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100 and the first profile 100 between rotations of the first profile 100 2 Prevents interference such as contact and friction of the connecting rod 22 and interference such as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200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23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profile 200 can do.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체결봉 20: 연결부
21: 제1 연결봉 22: 제2 연결봉
23: 제3 연결봉 24: 제4 연결봉
30: 제2 체결봉 100: 제1 프로파일
110: 제1 통공 200: 제2 프로파일
210: 제2 통공 p1, p2: 제1 및 제2 평면
b1, b2, b3, b4, b5: 절곡부(절곡선)
x1, x2: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
y1, y2, y3, y4: 제1 내지 제4 연결봉의 중심축
A1, A2, A3, A4: 각
10: first fastening rod 20: connection part
21: first connecting rod 22: second connecting rod
23: third connecting rod 24: fourth connecting rod
30: second fastening rod 100: first profile
110: first through hole 200: second profile
210: second through hole p 1 , p 2 : first and second planes
b 1 , b 2 , b 3 , b 4 , b 5 : bent part (bending line)
x 1 , x 2 : central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y 1 , y 2 , y 3 , y 4 : central axis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ng rods
A 1 , A 2 , A 3 , A 4 : each

Claims (10)

제1 체결봉,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봉은 단일의 봉재에 기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45~9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A first fastening ro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nd a second fasten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fastening rod,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are integrally made based on a single rod,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ods is 45 to 90 °,
Profile connect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체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봉, 상기 제1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봉, 상기 제2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제3 연결봉, 및 상기 제3 연결봉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 체결봉의 전단까지 연장된 제4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 상기 제1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의 중심축은 제1 평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3 연결봉, 상기 제4 연결봉, 및 상기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은 제2 평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이 이루는 각은 45~9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astening rod, a second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 third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a rea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And a fourth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rod,
Central axes of the first fastening rod,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constitute a first plane,
Central axes of the third connecting rod, the fourth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fastening rod constitute a second plane,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planes is 45 to 90 °,
Profile connection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90~15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2,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is 90 to 150 °,
Profile connection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봉의 중심축 및 상기 제2 평면이 이루는 각은 90~15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2,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plane is 90 to 150 °,
Profile connection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결봉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은 80~120°인,
프로파일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2,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axes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rods is 80 to 120 °,
Profile connection member.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연결부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체결봉 및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는 상기 제1 체결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체결봉 및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는 상기 제2 체결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files connected by the profi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first fastening rod is hing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rod and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rotat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astening rod,
The second fastening rod is hing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rod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rotat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fastening rod,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1 통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연결봉의 길이는 상기 제1 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의 측벽에 구비된 제2 통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4 연결봉의 길이는 상기 제2 통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프로파일 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fastening rod is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idewall of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The second fastening rod is fasten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idewall of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is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봉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의 일 측벽 및 타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봉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의 일 측벽 및 타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fastening rod is fastened through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The second fastening rod is fastened through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측벽 및 상기 제1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측벽 및 상기 제4 연결봉의 측벽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7,
The sidewall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idewall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sidewall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말단 및 상기 제2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말단 및 상기 제3 연결봉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프로파일 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9,
The end of the first profile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end of the second profile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Profile connection structure.
KR1020210180600A 2021-12-16 2021-12-16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202300914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00A KR20230091469A (en) 2021-12-16 2021-12-16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00A KR20230091469A (en) 2021-12-16 2021-12-16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69A true KR20230091469A (en) 2023-06-23

Family

ID=869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600A KR20230091469A (en) 2021-12-16 2021-12-16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4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8322T3 (en) Floating Wind Turbine Support System
KR101543727B1 (en) sunlight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floating structure
BR112013028971B1 (en) OFFSHORE SUPPORT STRUCTURE FOR WIND ENERGY FACILITIES
US20210058022A1 (en) Floating Solar System
ITRM20080638A1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 FOR PHOTOVOLTAIC SYSTEM"
KR20190002833U (en) Support apparatus for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KR20210102670A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262016B1 (en) Solarcell panel supporting structure having device for coupling frames
KR102410262B1 (en) Non-perfo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ate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18201B1 (en) Floating photovoltaic equipment
EP4020795A1 (en) A floating solar array
KR20230091469A (en)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2005924B1 (en) Marine Photovoltaic Structure using Wave-Resistant Apparatus
KR20180025370A (en)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KR102374324B1 (en)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2576584B1 (en) Structure for floating photovoltaics system
KR20200132021A (en) Multiple float for water surface structure
KR20230094509A (en)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20230094510A (en) Connecting part for profiles an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2209442B1 (en) Assembly type mooring facilities
CN220465744U (en) Offsho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U2016100759A4 (en) Floatation device for solar panels
JP7054959B1 (en) Floating structure for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KR20190001357U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KR102579679B1 (en) Structure for floating photovoltaic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