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212A -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212A
KR20230091212A KR1020210179394A KR20210179394A KR20230091212A KR 20230091212 A KR20230091212 A KR 20230091212A KR 1020210179394 A KR1020210179394 A KR 1020210179394A KR 20210179394 A KR20210179394 A KR 20210179394A KR 20230091212 A KR20230091212 A KR 2023009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ontrol unit
underwater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2692B9 (en
KR102552692B1 (en
Inventor
유선철
표주현
김태식
성민성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9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92B1/en
Publication of KR1025526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92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Abstract

수중 관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수중을 관찰하기 위한 수중 관찰 장치로서, 수중에 배치될 수 있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와의 사이에 관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몸체;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찰공간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is disclosed.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for observing underwater, comprising: a first body that can be disposed underwater; a second body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providing an obser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may include a first camera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to photograph the observation space.

Description

수중 관찰 장치{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중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수중 플랑크톤을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apable of observing underwater plankton without being affected by water currents.

양식장 주변의 수중 생태계와 수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적조 및 녹조와 온수대 또는 냉수대의 갑작스러운 유입을 들 수 있다.Red and green tides and sudden influx of warm or cold water zones ar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quatic ecosystem and water quality around the farm.

적조와 녹조는 편모충류나 조류 등 플랑크톤의 이상 대량 번식으로 인하여 물의 색이 변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적조 및 녹조 현상은 물의 부패를 유발하여 양식되는 어패류의 집단 폐사를 일으키고 수질 정화 비용을 증가시키는 등 수중 생태계와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Red and green algae are phenomena in which the color of water changes due to abnormal mass reproduction of plankton such as flagellates and algae. These red and green algae phenomena greatly affect aquatic ecosystems and water quality by causing water decay, causing mass death of farmed fish and shellfish, and increasing water purification costs.

또한, 온수대나 냉수대의 갑작스러운 유입은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이상 수온 현상을 발생시켜, 양식장의 어패류의 성장 및 활동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어패류의 쇼크사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dden inflow of a hot water zone or a cold water zone causes an abnormal water temperature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temperature changes rapidly,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and activity of fish and shellfish in the farm, and in severe cases, can cause shock death of fish and shellfish.

이러한 수중 생태계 및 수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발생 초기에 관찰하여 대응할 수 있다면, 그로 인한 피해와 복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If the occurrence of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aquatic ecosystem and water quality can be predicted in advance or observed and responded to at an early stage, the resulting damage and restoration costs can be minimized.

적조 및 녹조 현상은 수중 플랑크톤 수의 급격한 증가에 의하여 발생되고, 온수대나 냉수대의 유입은 영양염의 농도 변화에 의한 플랑크톤의 밀도나 개체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Red tides and green tides are caused by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lankton in water, and the inflow of hot water zones or cold water zones accompanies changes in the density or population of plankton due to changes in nutrient concentrations.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의 발생을 예측하거나 초기에 관찰하기 위하여, 수중 플랑크톤의 종류와 밀도, 운동성, 수색(水色), 어종 및 수중 환경을 관찰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dict or initially observe the occurrence of these factors, a method of observing the type and density, motility, color, fish species, and aquatic environment of aquatic plankton can be used.

종래에는 수중 플랑크톤, 어종 및 수중 환경을 관찰하기 위하여 관찰용 카메라가 설치된 수중 관찰 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수중 관찰 장치는 카메라를 수중에 노출시켜 수중 환경을 직접 관찰하므로, 수류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왔다. Conventionally,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observation camera has been used to observe underwater plankton, fish species, and the underwater environment.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directly observes the underwater environment by exposing the camera to the water, it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the water flow.

특히, 수중에 부유하는 플랑크톤은 크기가 작아 미세한 수류에 의하여 크게 요동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매우 쉽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중 관찰 장치는 수류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 및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In particular, since plankton floating in water is small in size and can be greatly fluctuated by fine water currents, it can very easily deviate from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Accordingly, it has been difficult for conventional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s to observe and photograph plankton floating in an environment where water currents exist.

즉, 종래의 수중 관찰 장치는 수류의 규모가 크거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표층 플랑크톤의 관찰에는 적합하지 않아, 수류가 거의 없거나 변화하지 않는 심층 영역의 플랑크톤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로 이용되어 왔다. That is, the conventional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is not suitable for observing surface plankton where the water flow is large or the direction changes rapidly, and has been mainly used to observe plankton in the deep region where the water flow is little or does not change.

따라서, 수류의 규모와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표층에서도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수중에서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apable of observing plankton floating in the wate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ater current even in the surface layer where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water current rapidly chan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수중에서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apable of observing plankton floating in water without being affected by water curr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플랑크톤과 어종, 수색 등 수중 환경을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apable of observing underwater environments such as underwater plankton, fish species, and search.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중을 관찰하기 위한 수중 관찰 장치로서, 수중에 배치될 수 있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와의 사이에 관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몸체;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찰공간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for observing underwater, comprising: a first body that can be disposed underwater; a second body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providing an obser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is provided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bservation space.

이때,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동축 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axially arranged, and the second body is axi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제 2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의 단면은 상기 축방향 길이가 폭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direction ke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cross section of the direction key may be formed such that a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longer than a width.

이때,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관찰공간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관찰공간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가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 내측에 상기 관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e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bod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cover the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nd the second body has a first en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 second end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first body may be formed, and the observation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nd portion may be bent inward so that the first end portion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end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 1 몸체에 구비되는 제 3 몸체; 및 일단이 상기 제 2 몸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 3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작동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for relatively mov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rein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third body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an operating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third body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hird body.

이때, 상기 제 3 몸체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ird bodies may be plural, and the plurality of third bodies may b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body.

이때,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 외부에 결합되며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body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이때, 상기 제 3 몸체 내부에는 전자석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는 자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lectromagne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a magne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d, and an elastic memb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electromagnet.

이때, 상기 제 1 카메라 전방에는 고배율 렌즈가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high magnification lens may be mounted in front of the first camera.

이때, 상기 제 1 몸체의 타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econd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이때, 상기 제 2 카메라 전방에는 어안 렌즈가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sheye lens may be mounted in front of the second camera.

이때,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동작과 상기 제 2 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과 동일한 시각에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captures the second camera at the same time as the picture or video taken by the first camera.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photo or image taken in can be converted into data and stored.

이때, 상기 제 1 카메라의 촬영 동작 및 상기 제 2 몸체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부표; 및 상기 부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ntrol unit formed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and to convert and store photos or images taken by the first camera into data; a buoy provid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installed on the buo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wirelessly transmit data stored in the control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연결하되, 일 구간이 상기 제 1 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기회선; 및 상기 전기회선의 상기 일 구간을 수용하는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and connects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ceiver, but an electric line having one section located outside the first body;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ipe accommodating the one section of the electric line.

이때, 상기 배관은 내부가 상기 제 1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배관 및 상기 제 1 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회선에는 슬립링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pe includes a first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pip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pe so that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electrical line has a slip A ring may be installed.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상대 이동하며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관찰공간을 형성하고, 관찰공간 내의 수중 플랑크톤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하여, 수중에서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o form an observation space unaffected by water flow, and to photograph plankton underwater in the observation space. 1 Including a camera, it is possible to observe plankton floating in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관찰공간 내의 수중 플랑크톤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와 제 1 몸체 전방의 수중 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하여, 수중 플랑크톤과 어종, 수색 등 수중 환경을 함께 관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underwater plankton in the observation space and a second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front of the first body, including underwater plankton and fish species, search You can observe the underwater environment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2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키에 의하여 수류의 방향과 제 1 및 제 2 몸체를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수류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수중 환경을 관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keys protruding outward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underwater environment can be observed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water flow. can be obser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어부가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데이터화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지상에 있는 관찰소로 제 1 및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capable of converting photos or images taken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into data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by the control unit, including an observatory located on the ground. In real time, information about pictures or images taken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can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수중에 배치되는 제 1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과 수면 상에 위치하는 구성을 연결하는 전기회선이 회전 가능한 배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전기회선에는 슬립링을 설치하여, 수중 환경으로부터 전기회선을 보호하고, 제 1 및 제 2 몸체의 회전에 의한 전기회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n electrical circuit connecting a component located inside a first body disposed in water and a component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s accommodated inside a rotatable pipe, A slip ring may be installed on the electric circuit to protect the electric circuit from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to prevent twisting of the electric circuit due to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은 수중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가 해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 절단선에 따른 방향키의 단면과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수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정되기 전의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수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정된 후의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작동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몸체는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관찰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부표, 태양광 패널 및 송수신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배관, 전기회선 및 슬립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 2 배관은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 1 카메라, 제 2 카메라, 전자석, 제어부 및 송수신부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t shown so that the in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visibl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ocea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rection key along the line II' of FIG. 1 and a direction of water flow, and FIG. 5 (a)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key before the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water flow. (b) is a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keys after the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water flow.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operating unit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body is shown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n observation space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 a solar panel, and a transceiver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pipes, electrical circuits, and slip rings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the second pipe is shown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amera, a second camera, an electromagnet, a controller, and a transceiver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the "front", "rear", "above" or "below" of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nd is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z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이라 규정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을 후방이라 규정한다. y축의 양의 방향을 상측이라 규정하고 y축의 음의 방향을 하측이라 규정하여 설명한다. x축의 양의 방향을 우측이라 규정하고, x축의 음의 방향을 좌측이라 규정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rawings, each direction is defin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coordinate axes shown in FIG. 1 .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is defined as forward,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is defined as backward.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y-axis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is defined as the right side,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x-axis is defined as the left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수중에 배치되는 제 1 몸체와 제 1 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고, 제 2 몸체가 제 1 몸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사이에 수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관찰공간이 형성되며, 제 1 몸체 내부에 관찰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제 1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관찰공간 내에서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disposed underwater and a second body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body. As it moves, an observation space that can be protected from water flow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by installing a first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observation space inside the first body, plankton floating in the observation space can be detected. The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apable of observ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1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관찰공간을 관찰할 수 있는 제 1 카메라와 제 1 몸체의 타측을 관찰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가 제 1 몸체에 설치되어, 관찰공간 내를 부유하는 플랑크톤과 제 1 몸체 전방의 수중 환경을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capable of observing an observation sp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camera capable of observ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observation space and can observe both plankton floating in the observation space and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front of the first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은 수중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t shown so that the in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visibl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제 1 몸체(10), 제 1 카메라(14), 제 2 카메라(16), 제 2 몸체(20), 제 1 배터리(18), 조명 모듈(26), 작동부(30,36), 부표(50),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 first camera 14, a second camera 16, and a second body 20. ), a first battery 18, a lighting module 26, operating units 30 and 36, a buoy 50, a solar panel 52, and a transceiver 56.

제 1 몸체(10)는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몸체(10)는 내부에 제 1 카메라(14), 제 2 카메라(16) 및 제 1 배터리(18)를 수용 및 보호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The first body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he first body 10 may be a housing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first camera 14, the second camera 16, and the first battery 18 therein.

제 2 카메라(16)와 제 1 카메라(14)는 각각 제 1 몸체(10)의 전방과 후방을 바라보도록 제 1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배터리(18)는 제 1 카메라(14) 및 제 2 카메라(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카메라(14) 및 제 2 카메라(16)를 작동시키는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6 and the first camera 1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10 to look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body 10, respectively. The first battery 1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mera 14 and the second camera 16 to store and provide electrical energy for operating the first camera 14 and the second camera 16. .

또한, 제 1 배터리(18)는 제 2 배터리(263)와 전력선(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배터리(18)는 제 2 배터리(263)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부족할 경우에는, 제 2 배터리(263)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배터리(18)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부족할 경우에는, 제 1 배터리(18)는 제 2 배터리(263)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Also, the first battery 18 may be interconnected with the second battery 263 through a power line (not shown). Accordingly, when the electrical energy stored in the second battery 263 is insufficient, the first battery 18 may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second battery 263 . Also, when the electrical energy stored in the first battery 18 is insufficient, the first battery 18 may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second battery 263 .

제 1 몸체(10)의 후방에는 전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몸체(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몸체(20)는 작동부에 의하여 제 1 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0, a second body 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may be disposed. The second body 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 by the operating unit.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는 제 1 몸체(10)의 중심축(C1)과 제 2 몸체(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2 몸체(20)는 제 1 몸체(10)에 대하여 축방향(C1,C2)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he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body 20 may be coaxially arranged, and The body 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 in axial directions C1 and C2.

이때, 작동부는 제 3 몸체(30), 작동로드(36), 자성체(37)(도 6에 도시됨), 전자석(34)(도 6에 도시됨) 및 탄성부재(38)(도 6에 도시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몸체(30)는 제 1 몸체(10)에 비하여 작은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third body 30, an operating rod 36, a magnetic body 37 (shown in FIG. 6), an electromagnet 34 (shown in FIG. 6) and an elastic member 38 (shown in FIG. 6). shown). The third body 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maller length and diameter than the first body 10 .

제 3 몸체(30)는 제 1 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3 몸체(30)의 중심축(C3)은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의 중심축(C1,C2)과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3 몸체(30)의 후방에는 작동로드(36)가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body 30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The central axis C3 of the third body 3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es C1 and C2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An operating rod 36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third body 30 .

작동로드(36)의 후단은 제 2 몸체(2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전단은 제 3 몸체(30)의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36)가 제 3 몸체(30)의 내부로 전진하거나 제 3 몸체(30)로부터 후퇴함으로써, 제 2 몸체(20)는 제 1 몸체(10)에 대하여 축방향(C1,C2)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operating rod 36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front end may be coupled to be retractable into the third body 30. Accordingly, as the operating rod 36 advances into the third body 30 or retreats from the third body 30, the second body 20 moves toward the first body 10 in the axial direction C1, It may be possible to move along C2).

이때, 제 3 몸체(3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 3 몸체(30)는 제 1 몸체(1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부는 안정적으로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의 상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ird bodies 30 may be plural, and the plurality of third bodies 30 may be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first body 10 . Accordingly, the operating unit can stably perform relative motion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제 2 몸체(20)는 내부에 조명 모듈(26)이 수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26)은 조명 램프(261), 조명 모듈 본체(262) 및 제 2 배터리(26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body 20 may be formed of a housing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26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lighting module 26 may include a lighting lamp 261 , a lighting module body 262 and a second battery 263 .

제 2 배터리(263)는 조명 모듈(26)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핀바와 같이 제 2 배터리(263)는 제 1 배터리(18)와 전력선에 의하여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 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battery 263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and providing electrical energy for operating the lighting module 26 . Also, as discussed above, the second battery 263 is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18 through a power line to receive or provide electrical energy.

조명 모듈(26) 본체의 일측에는 조명 램프(261)가 설치되며, 조명 모듈(26) 본체의 내부에는 조명 램프(261)의 온오프(on-off), 밝기 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설치될 수 있다. A lighting lamp 26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lighting module 26,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n-off, brightness, etc. of the lighting module 261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of the lighting module 26. can

조명 램프(261)는 프로세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제 2 배터리(263)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조명 램프(261)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램프(261)는 제 2 몸체(20)의 중심축(C2)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lamp 261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processor and receive electrical energy from the second battery 263 to generate ligh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lighting lamps 261 ,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lamps 261 may b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body 20 .

제 1 몸체(10)의 상측에는 부표(5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부표(50)의 상부측에는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몸체(10)와 부표(50) 사이에는 배관(58a,58b)이 배치될 수 있다. 배관(58a,58b)은 제 1 몸체(10)의 상측부와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를 연결할 수 있다. A buoy 5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10, and a solar panel 52 and a transceiver 5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 50. Pipes 58a and 58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buoy 50. Pipes 58a and 58b may connec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10 to the solar panel 52 and the transceiver 56.

배관(58a,58b)의 내부에는 제 1 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과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를 연결하는 복수의 회선들이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회선은 전기회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side the pipes 58a and 58b, a plurality of lines connecting the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0 and the solar panel 52 and the transceiver 56 may be accommodated and protect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nes may be made of electric line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해양 또는 호수 등의 수면 및 수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몸체(10,20)는 수중에 배치될 수 있고, 부표(50),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는 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몸체(10,20)는 수류의 방향에 수평하게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or below the surface of the ocean or lak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may be disposed underwater, and the buoy 50, the solar panel 52, and the transceiver 56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송수신부(56) 및 태양광 패널(52)과 제 1 몸체(10)를 연결하는 배관(58a,58b)은 제 1 배관(58a) 및 제 2 배관(58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배관(58a)의 하단은 제 1 몸체(10)의 상측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배관(58a)의 상단은 제 2 배관(58b)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배관(58b)의 상단은 부표(50)의 하측으로 관입되어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와 연결될 수 있다.Pipes 58a and 58b connecting the transceiver 56 and the solar panel 52 and the first body 10 may include a first pipe 58a and a second pipe 58b.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58a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pe 58a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58b.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ipe 58b penetrates the lower side of the buoy 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olar panel 52 and the transceiver 56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몸체(10)의 내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 2 카메라(16), 제 1 배터리(18), 제 1 카메라(14)가 배열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16)는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렌즈가 전방을 주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16)는 제 1 몸체(10)의 전방을 관찰함으로써, 수중에 분포하는 어류의 종류 및 운동성, 수색 등 수중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second camera 16 , a first battery 18 , and a first camera 14 may be arranged from front to back inside the first body 10 . The second camera 16 may be disposed so that a photographing unit and a lens that perform a photographing function look forward. The second camera 16 observes the front of the first body 10 to take pictures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such as types and motility of fish distributed in the water, and search.

한편, 제 2 카메라(16)의 전방에는 어안 렌즈(17)가 설치될 수 있다. 어안 렌즈(17)는 반구 형상의 렌즈로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fisheye lens 17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camera 16 . The fisheye lens 17 is a hemispherical lens and may be made of acrylic or glass.

어안 렌즈(17)는 수중에서 빛의 굴절률 감소에 따른 카메라의 화각이 줄어드는 현상을 상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안 렌즈(17)가 장착된 제 2 카메라(16)는 제 1 몸체(10) 전방의 넓은 영역을 관찰할 수 있다.The fisheye lens 17 may offset a phenomenon in which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de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refractive index of light underwater. 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16 equipped with the fisheye lens 17 can observe a wide area in front of the first body 10 .

물론, 카메라의 화각 감소 현상을 상쇄하기 위하여, 제 1 몸체(10)의 전방에는 다수의 광각 카메라(Wide-angle camera) 또는 전방향 카메라(Omnidirectional camera)라가 설치될 수 있다. Of course, in order to offset the decrease i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a plurality of wide-angle cameras or omnidirectional cameras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body 10 .

제 1 카메라(14)는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 및 렌즈가 후방을 주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14 may be disposed such that a photographing unit and a lens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look backward.

제 1 몸체(10)의 후방에는 제 2 몸체(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는 제 3 몸체(30) 및 작동로드(36)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body 20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body 10, and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coupled by the third body 30 and the operating rod 36. It can be.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에는 관찰공간(A)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몸체(10)의 후방을 주시하도록 배치된 제 1 카메라(14)는 관찰공간(A)을 촬영할 수 있다. An observation space 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The first camera 14 arranged to look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0 may take pictures of the observation space A.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제 1 카메라(14)가 관찰공간(A) 내를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16)가 제 1 몸체(10) 전방의 수중 환경을 촬영함으로써, 수중 플랑크톤과 수중 환경을 함께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14 photographs plankton floating in the observation space A, and the second camera 16 captures the first body ( 10) By taking pictures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front, it is possible to observe both the underwater plankton and the underwater environment.

한편, 제 1 카메라(14)에는 고배율 렌즈(15)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관찰공간(A) 내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플랑크톤을 관찰하고 촬영할 수 있다.Meanwhile, a high magnification lens 15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amera 14 . Accordingl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erve and photograph plankton having a minute size in the observation space A.

제 2 몸체(20)의 내부에는 전방에 후방으로 조명 램프(261), 조명 모듈 몸체(262) 및 제 2 배터리(263)가 배열될 수 있다. 조명 모듈(26)의 조명 램프(261) 및 조명 모듈 몸체(262)의 전면은 제 2 몸체(20)의 전면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Inside the second body 20, a lighting lamp 261, a lighting module body 262, and a second battery 263 may be arrang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Front surfaces of the lighting lamp 261 of the lighting module 26 and the lighting module body 262 may be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

즉, 제 1 카메라(14)와 조명 램프(261)는 관찰공간(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조명 램프(261)를 제 1 카메라(14)의 측부에 배치하지 않고, 제 1 카메라(14)의 전방에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부유물에 의한 빛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amera 14 and the lighting lamp 261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observation space A. In this wa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spose the illumination lamp 261 on the side of the first camera 14, but rather faces the front of the first camera 14, thereby disposing it. , scattering of light by floating object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제 1 카메라(14)가 플랑크톤 및 부유물 등에 의하여 산란된 조명 램프(261)의 빛을 조명 램프(261)의 전방에서 수집함으로써, 움직이는 플랑크톤을 배경과 대비하여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14 collects the light of the lighting lamp 261 scattered by plankton and floating matter in front of the lighting lamp 261, Moving plankton can be clearly observed against the backgroun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 1 카메라(14), 제 2 카메라(16) 및 제 1 배터리(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 1 배터리(18)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카메라(14,16)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controller 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10 . The controller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mera 14, the second camera 16, and the first battery 18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controller 40 may receive electric energy from the first battery 18 and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4 and 16 .

이때, 제어부(40)는 제 2 전기회선(57b)에 의하여, 수면 상의 송수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터리(18)는 제 1 전기회선(57a)에 의하여, 수면 상의 에너지 저장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기회선(57a,57b)은 제 1 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제 1 배관(58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second electric line 57b.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18 may be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mean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first electric line 57a.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ircuits 57a and 57b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58a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0 .

도 5는 도 1의 I-I’ 절단선에 따른 방향키의 단면과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수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정되기 전의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수류에 의하여 방향이 조정된 후의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rection key along the line II' of FIG. 1 and a direction of water flow, and FIG. 5 (a)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key before the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water flow. 5(b) is a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keys after the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water flo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방향키(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키(24)는 제 2 몸체(20)의 외주면 상에 제 2 몸체(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key 24 . The direction keys 24 may protrude outwardly of the second body 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

이때, 방향키(2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향키(24)의 두께 방향이 제 2 몸체(20)의 중심축 방향(C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방향키(24)의 단면은 단면의 축방향 길이가 단면의 폭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rection keys 24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s 24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C2 of the second body 20 . That is, referring to FIG. 5 , the cross section of the direction key 2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xial length of the cross section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수류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방향키(24)의 길이 방향과 수류의 방향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류는 수류의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키(24)의 일면과 부‹H힌 후 접하며 흐를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 as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chang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 24 and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t this time, the water flow may flow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irection key 24 fac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fter colliding with it.

수류는 방향키(24)의 모서리(방향키(24)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서 회전한 후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면상을 흐를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향키(24)의 양면을 흐르는 수류에는 속도차가 발생하게 되어, 방향키(24)의 양면에는 다른 크기의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After rotating at the corners of the direction key 24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 24), the water flow may flow on the other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As a result, a speed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water streams flowing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key 24, so that pressures of different magnitudes can b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direction key 24.

상술한 압력차에 의하여, 방향키(24)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양면에 같은 크기의 압력이 인가될 때까지 위상이 조정될 수 있다.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key 24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phase can be adjusted until the pressure of the same magnitude is applied to both sides.

도 3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방향키(24)는 방향키(24)의 양면을 흐르는 수류의 속도가 같아지는 위상(즉, 방향키(24)의 양면에 인가되는 압력이 같아지는 위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방향키(24)는 방향키(24)의 길이 방향과 수류의 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3 and 5 (b), the direction key 24 is a phase in which the speed of the water flow flowing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key 24 is the same (ie, a phase in which the pressur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direction key 24 is the same) ) can be arranged. That is, the direction keys 24 may be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s 24 and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are parallel.

제 1 및 제 2 몸체(20)는 방향키(24)와 일체로 회전하여 제 1 및 제 2 몸체(2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과 수류의 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dies 20 may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direction keys 24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0 and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may be arranged in parall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제 2 카메라(16)는 제 1 몸체(1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이 수류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제 2 카메라(16)를 수류와 마주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16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so that the second camera 16 ) can be placed facing the water stream.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 2 카메라(16)는 수류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제 1 몸체(10) 전방의 수중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2 카메라(16)의 렌즈가 수류에 의하여 씻겨지도록 배열됨으로써, 제 2 카메라(16)의 렌즈에 부유물이 침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16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pture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 front of the first body 10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water flow. 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lens of the second camera 16 is washed by the water stream, thereby preventing the floating matter from depositing on the lens of the second camera 1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작동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몸체는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관찰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operating unit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body is shown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n observation space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작동부는 제 3 몸체(30), 제 1 실링부재(32), 전자석(34), 작동로드(36), 자성체(37) 및 탄성부재(38)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ng part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body 30, a first sealing member 32, an electromagnet 34, an operating rod 36, and a magnetic body 37. And 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38).

앞서 살핀바와 같이, 제 3 몸체(3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3 몸체(30)의 전면은 폐쇄될 수 있으며, 후면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s previously seen, the third body 3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er shape. 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may be closed, and a hol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작동로드(36)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봉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단이 제 3 몸체(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작동로드(36)는 제 3 몸체(30)의 후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제 3 몸체(30)의 후면을 관통할 수 있다.The operating rod 36 may be formed of a rod-like member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front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body 30 . At this time, the operating rod 36 may pas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

제 3 몸체(30)의 후면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제 1 실링부재 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링부재 홈(31)에는 제 1 실링부재(32)가 설치될 수 있다. A first sealing member groove 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to the outside. A first sealing member 32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ealing member groove 31 .

예를 들어, 제 1 실링부재(32)는 고무링일 수 있다. 제 1 실링부재(32)는 작동로드(36)의 외주면과 제 3 몸체(30)의 후면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 사이를 통하여 제 3 몸체(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aling member 32 may be a rubber ring. The first sealing member 32 is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third body 30 through a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3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 can

작동로드(36)의 전단에는 자성체(37)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37)는 자기장 속에서 자기화되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37)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magnetic material 37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36 . The magnetic material 37 may refer to an object that is magnetized in a magnetic field. For example, the magnetic body 37 may be made of a magnet.

제 3 몸체(3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 중 후방에 위치하는 면에는 전자석(34)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자석(34)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적 성질을 잃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An electromagnet 34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body 30 . The electromagnet 34 may refer to an object that is magnetized when current flows and loses magnetic properties when current does not flow.

이때, 전자석(34)은 작동로드(36)의 전단에 위치하는 자성체(37)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석(34)은 자성체(3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석(34)은 제 3 몸체(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 3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magnetic body 37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36.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magnet 34 may be positioned relatively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37 . The electromagnet 34 may be fixed inside the third body 30 .

한편, 전자석(34)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36)는 전자석(34)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predetermined holes may b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lectromagnet 34 . Accordingly, the operating rod 36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while penetrating the hole formed in the electromagnet 34 .

전자석(34)과 자성체(37)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8)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8)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8)의 일단은 전자석(34)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자성체(37)에 연결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38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8 may be made of a spr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8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magnetic body 37.

탄성부재(38)는 탄성을 이용하여 전자석(34)과 자성체(37)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당기는 힘 또는 전자석(34)과 자성체(37)가 서로 멀어지도록 밀어내는 힘(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34)과 자성체(37)는 탄성부재(38)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8)의 정상상태는 자성체(37)가 제 3 몸체(30) 내부의 최전방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8 may provide a force (elastic force) to pull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closer to each other or push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away from each other by using elasticity. . As a result,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38 . For example, the normal state of the elastic member 38 may be a state in which the magnetic body 37 is locat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side the third body 30 .

물론, 탄성부재(38)는 자성체(37)가 제 3 몸체(30)의 최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정상상태에 이르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8)는 자성체(37)를 전방으로 밀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성체(37)의 일측은 제 3 몸체(30)의 내벽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 3 몸체(30), 탄성부재(38), 전자석(34) 및 자성체(37)는 힘의 평형을 유지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elastic member 38 may be formed so that the magnetic body 37 does not reach a normal state even when the third body 30 is located at the foremost position.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8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pushing the magnetic body 37 forward. One side of the magnetic body 37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third body 30, so that the third body 30, the elastic member 38,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may maintain a balance of force. .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전자석(34)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전류 제어 수단(미도시)을 제어하여 전자석(34)에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전류가 흐르는 전자석(34)과 자성체(37)에는 서로 당기는 인력(자기력)이 인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6 , the control unit may allow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lectromagnet 34 by controlling a current control means (not shown) capable of flowing current through the electromagnet 34 . A mutually attractive attraction (magnetic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through which current flows.

전류가 흐르는 전자석(34)과 자성체(37) 사이의 인력은 탄성력을 극복하고 자성체(37)를 전자석(34)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로드(36)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electromagnet 34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and the magnetic body 37 can overcome the elastic force and move the magnetic body 37 toward the electromagnet 34 . By this, the operation rod 36 can move backward.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전자석(34)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전류 제어 수단을 제어하여 전자석(34)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자석(34)은 자성을 잃게 되어, 전자석(34)과 자성체(37) 사이에는 더 이상 인력(자기력)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 the control unit may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34 by controlling a current control unit capable of sending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34 . The electromagnet 34 in which current does not flow loses magnetism, so that an attractive force (magnetic force) may no longer be applied between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탄성부재(38)는 정상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전자석(34)과 자성체(37)에 전자석(34)과 자성체(37)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로드(36)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rder to return to a normal state, the elastic member 38 may apply force (elastic force) to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to separate the electromagnet 34 and the magnetic body 37 from each other. By this, the operating rod 36 can move forward.

도 7의 (a)를 참조하면,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의 사이에는 관찰공간(A)이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7, as discussed above, an observation space 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be provided.

제 1 몸체(10)의 후측에는 관찰공간(A)의 전방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단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단부(12)는 제 1 몸체(10) 후측의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단부(12)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A first end 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ody 10 extending backward to cover the front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 The first end 12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circumference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body 10 . At this time, the first end 12 may be formed bent inward.

제 2 몸체(20)의 전방측에는 관찰공간(A)의 후방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단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부(22)는 제 2 몸체(20) 전방측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end portion 22 extending forward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ody 20 to cover the rear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 The second end 2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body 20 .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는 각각 관찰공간(A)의 전방 및 후방을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의 제 1 단부(12)와 제 2 몸체(20)의 제 2 단부(22)는 각각 관찰공간(A)의 외측 전방과 외측 후방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observation space 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end 12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end 22 of the second body 20 may cover portions of the outer front and outer rear portions of the observation space A, respectively.

또한,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는 전술한 방향키(24)에 의하여 수류의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전후방)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류는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의 외주면을 타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front and rear with reference to FIG. 7) by means of the direction keys 24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water flow can form a flow flow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찰공간(A)은 전후방으로 수류가 흐르는 공간 내에서 전방, 후방 및 외측 일부가 각각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수류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제 1 카메라(14)는 관찰공간(A) 내를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observation space A formed b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rear and outer parts of the space in which the water flow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0, respectively. 2 Since it is covered by the body 20, it can be less affected by the water flow. Accordingly, the first camera 14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photograph plankton floating in the observation space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다음의 작동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관찰공간(A)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observation space A that is not affected by water flow by performing the following operation process.

도 7의 (b)를 참조하면, 작동부는 제 2 몸체(20)를 제 1 몸체(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에 제공되는 관찰공간(A)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찰공간(A) 내에 수용된 물의 일부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7 , the operating unit may move the second body 20 toward the first body 10 . As the second body 20 moves toward the first body 10, the volume of the observation space A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decrease. As a result, some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observation space A may flow out.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 측으로 이동하여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가 인접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때, 제 1 몸체(10)의 제 1 단부(12)는 제 2 몸체(20)의 제 2 단부(2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7 , the second body 20 may move toward the first body 10 to reach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end 12 of the first body 1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22 of the second body 20.

이에 따라, 관찰공간(A)의 전후방은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에 의하여 커버되고, 관찰공간(A)의 외측은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22)에 의하여 커버됨으로써, 관찰공간(A)은 외부와 격리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of the observation space (A) are covered by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nd the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 is the first end 12 and the second end 22 By being covered by, the observation space (A) can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이때, 관찰공간(A)이 외부와 격리된다는 것은 관찰공간(A)이 외부와 완전히 물리적으로 격리 또는 구획되어 밀폐되는 것 또는 밀폐되는 정도는 아니더라도 수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도에 인접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bservation space (A)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means that the observation space (A) is completely physically isolated or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and sealed, or a state close 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water flow can be minimized, even if not to the extent of being sealed. can mean reaching

한편, 제 2 단부(22)의 전방 말단부에는 실링마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링마개는 제 1 단부(12)가 제 2 단부(2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단부(22)와 제 1 단부(12)의 외측면 사이를 메꿈으로써, 관찰공간(A)을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다.Meanwhile, a sealing stopp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nd 22 . As a result, the sealing plug fills the gap between the second end 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d 12 in a state where the first end 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22, so that the observation space A ) can be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22) 및 작동부에 의하여, 관찰공간(A)을 외부로부터 격리(또는 구획)함으로써, 관찰공간(A)에 미치는 수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14)는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관찰공간(A) 내를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olates (or divides) the observation space A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end 12 and the second end 22 and the operation unit, thereby observing The effect of the water flow on the space (A)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first camera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photograph plankton floating in the observation space A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ater f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부표, 태양광 패널 및 송수신부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 a solar panel, and a transceiver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부표(50)는 수면상을 부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표(50)의 상측에는 태양광 패널(52) 및 송수신부(56)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8 , the buoy 50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solar panel 52 and a transceiver 5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 50 .

부표(50)에는 태양광 패널(52)과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수단은 태양광 패널(52)에 의하여 획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An energy storage means (not shown) connected to the solar panel 52 may be installed in the buoy 50 . The energy storage unit may store electrical energy obtained by the solar panel 52 .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제 1 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배터리(18)와 제 1 전기회선(57a)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제 1 전기회선(57a)을 통하여 제 1 배터리(18)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energy storage mean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18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0 through the first electric line 57a. The energy storage unit may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battery 18 through the first electric line 57a.

한편, 제 2 배터리(263)는 제 1 배터리(18)와 전력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저장 수단에 의하여 제 1 배터리(18)에 제공된 전기 에너지는 제 2 배터리(263)에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battery 26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18 through a power line, electrical energy provided to the first battery 18 by the energy storage means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battery 263. .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52)에 의하여 획득된 전기 에너지는 제 1 및 제 2 배터리(18,263)를 모두 충전할 수 있다. 물론, 에너지 저장 수단과 제 2 배터리(263)는 별도의 전기회선에 의하여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lectrical energy obtained by the solar panel 52 may charge bo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18 and 263 . Of course, the energy storage unit and the second battery 263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a separate electric line.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별도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 수단이 없더라도, 수면에 부유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을 획득하여 제 1 배터리(18)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electrical energy from sunlight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provide it to the first battery 18 even without a separate stable power supply means.

태양광 패널(52)은 일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되, 부표(5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52)은 부표(50)를 중심으로 좌우 및 전후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olar panels 52 may be installed in a radial direction around the buoy 50 while til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one surface faces upward. For example, the solar panels 52 may be install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with the buoy 50 as the cent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태양의 위치나 수류에 의한 부표(50)의 회전과 무관하게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acquire electrical energy from sunligh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un or the rotation of the buoy 50 by water flow.

또한, 태양광 패널(52)에는 태양광 패널(52)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서보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광 패널(5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패널(52)의 전기 에너지 변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ervomotor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olar panel 52 may be installed in the solar panel 52 . Accordingl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panel 52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olar panel 52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there is.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부표(50)의 상측에는 송수신부(56)가 설치될 수 있다. 송수신부(56)는 제 2 전기회선(57b)에 의하여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56)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LTE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수신부(56)는 제어부(40)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 a transceiver 5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 50 .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through a second electric line 57b. Transceiver 56 may be composed of an LTE modul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6 may transmit data received over the wire from the control unit 40 over la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송수신부(56)의 외측에는 파도나 비로부터 송수신부(56)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전파의 간섭 또는 차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율이 낮은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hous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transceiver 56 to protect the transceiver 56 from waves or rain. The housing may be made of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or polyvinyl chloride (PVC) having low conductivity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or shielding of radio wav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배관, 전기회선 및 슬립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 2 배관은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이 도시되었다.9 is a diagram showing pipes, electrical circuits, and slip rings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the second pipe is shown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inside is visibl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제 1 배관(58a)과 제 2 배관(58b)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배관(58a)의 외경은 제 2 배관(58b)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배관(58a)은 제 2 배관(58b)의 하측 단부를 통하여 제 2 배관(58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pipe 58a and the second pipe 58b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ipe 58a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58b. Accordingly, the first pipe 58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58b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58b.

제 2 배관(58b)의 하측 단부에는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에는 제 2 실링부재(581)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재(581)는 제 2 실링부재(581)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배관(58a)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때, 제 2 실링부재(581)는 회전 방수가 가능한 고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redetermined step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ipe 58b, and a second sealing member 581 may be installed in the step. The second sealing member 581 may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58a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581 . At this time, the second sealing member 581 may be made of a rubber ring capable of rotational waterproofing.

이에 따라, 제 1 배관(58a)과 제 2 배관(58b)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실링부재(581)는 제 1 배관(58a)과 제 2 배관(58b)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ipe 58a and the second pipe 58b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581 allows water to flow between the first pipe 58a and the second pipe 58b.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한편,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배관(58a,58b)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전기회선(57a,57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전기회선(57a,57b)에는 슬립링(59)이 설치될 수 있다. 슬립링(59)(slip ring)은 전력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회전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전선의 꼬임없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전기/기계적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as seen above,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ircuits 57a and 57b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ipes 58a and 58b. At this time, slip rings 59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circuits 57a and 57b. The slip ring 59 may refer to an electrical/mechanical component used to transmit power and signals without twisting wires in a system requiring rotation while transmitting power or signal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1)의 전기회선(57a,57b)에는 슬립링(59)이 설치되므로, 제 1 및 제 2 몸체(10,20)의 회전에 따른 전기회선(57a,57b)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lip ring 59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circuits 57a and 57b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Twisting of the circuits 57a and 57b can be preven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 1 카메라, 제 2 카메라, 전자석, 제어부 및 송수신부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amera, a second camera, an electromagnet, a controller, and a transceiver of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제 1 수신부(42), 제 1 저장부(44), 제 1 연산부(46) 및 제 1 송신부(48)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송수신부(56)는 제 2 수신부(561), 제 2 저장부(562) 및 제 2 송신부(563)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unit 42, a first storage unit 44, a first calculation unit 46, and a first transmission unit 48.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6 may include a second reception unit 561, a second storage unit 562, and a second transmission unit 563.

제 1 수신부(42)는 제 1 카메라(14), 제 2 카메라(16) 및 전자석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전류 제어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카메라(14,16)는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제 1 수신부(42)로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urrent control unit capable of sending current to the first camera 14, the second camera 16, and the electromagnet.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4 and 16 may convert the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picture or video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receiver 42 .

제 1 수신부(42)는 제 1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관한 정보(이하, 제 1 정보라 한다) 및 제 2 수신부(561)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관한 정보(이하, 제 2 정보라 한다)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receiver 42 provides information on a picture or video taken by the first camera 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picture or video taken by the second receiver 56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information). referred to as secon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제 1 저장부(44)는 제 1 수신부(42)로부터 제 1 및 제 2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1 처리부(46)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촬영 시간에 따라 조합한 후 데이터화 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44 may receive and store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ceiver 42 . The first processing unit 46 may convert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to data after combining them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time.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처리부(46)는 제 1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이과 동일한 시각에 제 2 카메라(16)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과 조합하여 정보화(이하, 제 3 정보라 한다)할 수 있다. 이때, 제 1 처리부(46)는 사진 또는 영상 정보에 타임스탬프를 추가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ocessing unit 46 combines the photo or video taken by the first camera 14 with the photo or video taken by the second camera 16 at the same time and converts it into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information). called) can be done. At this time, the first processing unit 46 may additionally record a timestamp in the photo or image information.

즉, 특정 시간이 기록된 타임스탬프, 특정 시간에 제 1 및 제 2 카메라(14,16)에서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은 조합된 후 데이터화 되어 하나의 패킷을 이룰 수 있으며, 제 3 정보는 데이터화된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저장부(44)는 제 1 처리부(46)로부터 제 3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That is, a timestamp at a specific time, photos and videos taken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4 and 16 at a specific time can be combined and converted into data to form one packet, and the third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ata. It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packets. The first storage unit 44 may receive and store thi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processing unit 46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의 제어부(40)는 제 3 정보의 데이터화를 위하여, 싱글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of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ngle board computer (SBC) to convert the third information into data.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동일한 시각에 제 1 카메라(14)에서 촬영된 수중 플랑크톤에 대한 정보, 제 2 카메라(16)에서 촬영된 수중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그 시각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적조 및 녹조 현상이나 온수대 또는 냉수대의 갑작스러운 유입을 예측하거나 조기에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underwater plankton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14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about the underwater environment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6, and the information thereof. Information about tim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user can predict or observe the sudden influx of red and green algae or a hot water zone or a cold water zone at an early stage.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송수신부(56)의 제 2 수신부(561)는 제어부(40)의 제 1 송신부(48)로부터 제 1 정보, 제 2 정보 또는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0 , the second receiver 561 of the transceiver 56 may receiv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r third information from the first transmitter 48 of the control unit 40. there is.

제 2 저장부(562)는 수신 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송수신부(56)는 별도로 제 2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처리부는 수신한 정보를 무선 송신에 적합하도록 데이터화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송신부(563)는 제 2 저장부(56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상 관찰소로 송신할 수 있다. The second storage unit 562 may store received information. Of course, the transceiver 56 may include a second processing unit (not shown) separately,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 process of transform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to data suitable for wireless transmission.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563 may transmi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562 to the ground observation station in real tim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촬영된 수중 플랑크톤에 대한 정보, 수중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시간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underwater plankton, information about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ing time to a remote user in real time.

한편, 제어부(40)는 제 1 카메라(14), 제 2 카메라(16)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제 1 카메라(14) 및 제 2 카메라(16)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전자석(34)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자석에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전류 제어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40 may transmit signals capable of controlling photographing operations of the first camera 14 and the second camera 16 to the first camera 14 and the second camera 16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34 to a current control means capable of flowing current through the electromagnet.

이에 의해, 제어부(4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14,16)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여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40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4 and 16 and can control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또한,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제 2 몸체(20)의 조명 모듈 본체(262) 내부에 위치하는 프로세서와 신호선(미도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는 제 1 카메라(14)의 작동과 조명 램프(261)의 작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제 1 카메라(14)의 촬영이 시작되면 조명 램프(261)가 켜지도록 제 1 카메라(14)와 조명 램프(261)의 작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4 again, the control unit 40 may be connected to a processor located inside the lighting module body 262 of the second body 20 through a signal line (not shown). Accordingly, the controller 40 may synchroniz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14 and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lamp 261 . For example, the controller 40 may synchronize operations of the first camera 14 and the lighting lamp 261 so that the lighting lamp 261 is turned on when photographing of the first camera 14 starts.

물론, 제 1 카메라(14)와 제 2 몸체(20)의 조명 모듈 본체(262) 내부에 위치하는 프로세서가 직접 신호선으로 연결되고, 제 1 카메라(14)의 작동이 시작되면 조명 램프(261)가 켜지도록 하는 알고리즘이 구성됨으로써, 제 1 카메라(14)의 작동과 조명 램프(261)의 작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first camera 14 and the processor located inside the lighting module body 262 of the second body 20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signal lines,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14 starts, the lighting lamp 261 By configuring an algorithm to turn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14 and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261 can be synchronized.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관찰공간을 제공하고, 제 1 카메라가 관찰공간을 촬영함으로써, 수중을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 및 촬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servation spac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t affected by water current, and the first camera photographs the observation space, thereby floating underwater. It is possible to observe and photograph plankt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1 카메라가 수중을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관찰 및 촬영하고, 제 2 카메라가 수중 환경을 관찰 및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중 플랑크톤에 대한 정보 및 어종, 수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중 환경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observes and photographs plankton floating in the water, and the second camera observes and photographs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underwater plankton and fish species. It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at can be checked for search, et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방향키가 수류의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및 제 2 몸체를 배열함으로써, 수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플랑크톤 및 수중 환경을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렌즈에 부유물이 침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so that the direction keys ar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the effect of the water flow can be minimized to take pictures of plankton and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the lens of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floating matters are deposi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어부가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및 영상과 촬영 시간에 관한 정보를 조합한 후 데이터화고, 송수신부가 이를 수신한 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수중 플랑크톤, 수중 환경 및 촬영 시간에 관하여 조합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ler combines photos and videos taken by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time, data storage, and the transceiver receives them, wireless By transmitting using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bined information about aquatic plankton, aquatic environment, and photographing time to a user at a distanc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수면을 부유하는 부표에 태양광 패널 및 에너지 저장 수단을 구비하여,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 및 저장한 후 제 1 배터리에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 수단이 없더라도, 제 1 및 제 2 카메라, 작동부 및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panel and an energy storage means on a buoy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converts and store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n provides it to a first battery, Even if there is no stable power supply means,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operation unit and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관찰 장치는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기회선에는 슬립링이 설치되어, 전기회선이 제 1 및 제 2 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lip ring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circuit, so that the electric circu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wisting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중 촬영 장치 10: 제 1 몸체
12: 제 1 단부 14: 제 1 카메라
16: 제 2 카메라 20: 제 2 몸체
22: 제 2 단부 24: 방향키
26: 조명모듈 30: 제 3 몸체
32: 제 1 실링부재 34: 전자석
36: 작동로드 38: 탄성부재
40: 제어부 50: 부표
52: 태양광 패널 56: 송수신모듈
57a: 제 1 전기회선 57b: 제 2 전기회선
58a: 제 1 배관 58b: 제 2 배관
59: 슬립링
1: underwater shooting device 10: first body
12 first end 14 first camera
16: second camera 20: second body
22: second end 24: direction keys
26: lighting module 30: third body
32: first sealing member 34: electromagnet
36: operating rod 38: elastic member
40: control unit 50: buoy
52: solar panel 56: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57a: first electric circuit 57b: second electric circuit
58a: first pipe 58b: second pipe
59: slip ring

Claims (16)

수중을 관찰하기 위한 수중 관찰 장치로서,
수중에 배치될 수 있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와의 사이에 관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몸체;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찰공간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를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
As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for observing underwater,
a first body that can be placed underwater;
a second body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providing an observ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camera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to photograph the observation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동축 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axially arranged,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be axi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의 단면은 상기 축방향 길이가 폭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key protruding outward of the second body,
The cross section of the direction key is formed such that the axial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관찰공간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관찰공간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가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 내측에 상기 관찰공간이 형성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end extending toward the second bod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cover the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A second end extending toward the first body to cover the outside of the observation space is formed on the second body,
Wherein the observ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wherein the first end is bent inward so that the first end can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e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adjacent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 1 몸체에 구비되는 제 3 몸체; 및
일단이 상기 제 2 몸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 3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for relatively mov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working part
a third body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comprising an operating ro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third body and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hird bod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third body is plural,
The plurality of third bodies are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first bod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 외부에 결합되며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third body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and made of a cylindrical shap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 내부에는 전자석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타단에는 자성체가 결합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8,
An electromagne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A magne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d,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electromagn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전방에는 고배율 렌즈가 장착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wherein a high magnification lens is mounted in front of the first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타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body to photograp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메라 전방에는 어안 렌즈가 장착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fisheye lens is mounted in front of the second camer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동작과 상기 제 2 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과 동일한 시각에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The control unit is formed to convert and store a photo or video taken by a second camera at the same time as a photo or video taken by the first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의 촬영 동작 및 상기 제 2 몸체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구비되는 부표; 및
상기 부표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and a movement of the second body, and to convert and store photos or images taken by the first camera as data;
a buoy provid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installed on the buo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wirelessly transmit data stored in the control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연결하되, 일 구간이 상기 제 1 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기회선; 및
상기 전기회선의 상기 일 구간을 수용하는 배관을 더 포함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an electric line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one section of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pipe accommodating the one section of the electric line, the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내부가 상기 제 1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배관 및 상기 제 1 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회선에는 슬립링이 설치되는, 수중 관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pipe includes a first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pip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ipe so that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An underwater observation device in which a slip ring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line.
KR1020210179394A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KR102552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94A KR102552692B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94A KR102552692B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212A true KR20230091212A (en) 2023-06-23
KR102552692B1 KR102552692B1 (en) 2023-07-06
KR102552692B9 KR102552692B9 (en) 2023-09-07

Family

ID=8699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394A KR102552692B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2B1 (en) * 2009-05-21 2010-03-0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Real time observation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ceanographic information
KR101569281B1 (en) 2014-06-19 2015-1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mo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hip, underwater moving robot and docking station having the same
CN113447066A (en) * 2020-03-25 2021-09-28 中天海洋系统有限公司 Seabed dat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2B1 (en) * 2009-05-21 2010-03-0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Real time observation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ceanographic information
KR101569281B1 (en) 2014-06-19 2015-1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mo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hip, underwater moving robot and docking station having the same
CN113447066A (en) * 2020-03-25 2021-09-28 中天海洋系统有限公司 Seabed dat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692B9 (en) 2023-09-07
KR102552692B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761B2 (en) Inspection camera devices and methods with selectively illuminated multisensor imaging
CN217849511U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device and system and integrated sensor optical component assembly
WO2016182502A1 (en) Multi purpose mobile device case/cover integrated with a camera system & non electrical 3d/multiple video & still frame viewer for 3d and/or 2d high quality videography, photography and selfie recording
US20230037461A1 (en) Case for a cellular phone configured to enable the cellular phone to capture 360-degree field-of-view images
WO2004109385A3 (en) Digital 3d/360 degree camera system
CN101291427A (en) Stereo intelligent camera apparatus based on all-directional visible sensor
CN101102480A (en) Underwater video detection device based on the omnidirectional vision
CN108965798B (en) Distributed close-range panoramic monitoring terminal, system and layout method for beach birds
CN103389611A (en) Camera
CN205647716U (en) Twin -lens panoramic camera
CN204405869U (en) Non-homogeneous large light field target image sniffer
US20140267891A1 (en) Mobile device camera enclosure with imaging sensor
KR102552692B1 (en)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CN206332711U (en) A kind of special eyeglass water-tight device of waterproof smart mobile phone
CN207051657U (en) A kind of camera lens arrangement architecture of big visual field compound eye structural
CN101800788B (en) Cellphone capable of being externally connected with movable camera
CN206100246U (en) Law enforcement appearance with anti -shake camera lens zooms
CN103124324A (en) Invisible monitoring device
KR102587548B1 (en) Retractable apparatus for observing underwater
CN201608760U (en) Mobile phone capable of being externally connected with mobile camera
CN209593627U (en) Anti-terrorism camera chain
CN106873301A (en) Based on the system and method that array camera is imaged to remote aperture rear
CN201657121U (en) Digital camera with external mobile camera
CN101778211B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externally connecting camera
WO2012019497A1 (en) Im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